KR102273308B1 -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308B1
KR102273308B1 KR1020200129176A KR20200129176A KR102273308B1 KR 102273308 B1 KR102273308 B1 KR 102273308B1 KR 1020200129176 A KR1020200129176 A KR 1020200129176A KR 20200129176 A KR20200129176 A KR 20200129176A KR 102273308 B1 KR102273308 B1 KR 102273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report
information
function
m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우
이소희
박진이
김옥주
이동만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29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관리 매핑콘텐츠 정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조회가 가능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DB 서버와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저장하는 DB 서버 간 테이블을 공유하고, WEB/WAS/Geo 서버와의 연결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재난 발생 또는 사전에 기존 재해이력 DB와 위험지도 등 각종 정보를 매핑하여 재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제작된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상기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에서 표출함으로써 하나의 시스템에서 최종 결과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사용자 등록정보 메뉴에는 ‘매핑콘텐츠’, '현장조사 '메뉴가 포함되는데,
상기 '매핑콘텐츠' 메뉴를 활성화하면 상기 매핑콘텐츠 결과물인 주제도 목록이 표출되고, 주제도 목록에는 매핑콘텐츠 내 주제도 목록에서와 같이 폴더명칭과 주제도 명칭, 저장시간 등이 표시되도록 구성되고, 각 목록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매핑콘텐츠 주제도가 상기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GIS에 표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장조사' 메뉴를 활성화하면 현장조사보고서를 등록하는 ‘현장조사 등록’과‘현장조사 조회’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데, ‘현장조사 등록’은 기존 팝업창 디자인에서 요구사항을 토대로 사고일자, 선택주소, 작성자 정보, 재난유형, 위험수준, 피해등급 등의 내용을 업로드 할 수 있도록 각 요소별 배치되고, ‘현장조사 조회’는 ‘날짜, 보고서 제목, 피해정도, 지역’등의 검색조건으로 현장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인데 ,
‘현장조사 등록’에 의한 따른 현장 보고서 등록은 웹과 모바일 기반의 2가지 환경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데, 보고서 송신도 모바일과 인터넷 환경에서 모두 가능하고, 송신한 보고서 파일을 서버에 저장하여 통합 관리 가능하며, 보고서 수신 시 저장된 보고서 데이터를 관리자가 확인하고 표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system to provide mapping contents results}
본 발명은 상황관리 매핑콘텐츠 정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조회가 가능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재난 발생 또는 사전에 기존 재해이력 DB와 위험지도 등 각종 정보를 매핑하여 재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정보가 매핑콘텐츠로 제작하여 제공되는데, 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조회가 가능하도록 제공됨으로써 재난관리담당자는 하나의 지도기반 시스템에서 각종 실시간 정보와 함께 매핑콘텐츠 정보를 조회하여 신속한 재난상황파악과 통합적인 재난 정보 제공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의 대형화, 다양화로 발생 패턴이 불규칙해 지면서 정부의 재난대응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그리고 재난현장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되는 대량의 정보가 무분별하게 전달되어 효율적인 상황판단이 어렵다.
따라서, 체계적인 재난현장의 상황관리를 위한 정보전달 체계가 필요하다. 상황관리 측면에서 보면 재난발생 현장에서 발생되는 정보가 의사결정권자에게 전달되어 신속한 상황판단이 이루어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상황 정보전달 체계는 현장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전달하여 가독성, 신속성, 편의성 등 측면에서 신속한 판단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재난 발생 시 지역적 특성과 상황에 적절한 대응을 위해서는 재난발생현장과 중앙 및 지자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상황정보를 공유하여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황관리 담당자 및 현장조사자 간의 일원화되지 못한 정보전달 체계로 인해 재난현장에 적합한 상황 판단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재난현장의 대응 역량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일원화된 정보전달·공유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그리고 기존의 텍스트 중심의 정보전달체계를 보완하기 위한 현장중심의 가시화된 정보전달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재난현장의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를 구축하고, 재난상황 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및 가시화 기능을 개발하여 실제 재난상황관리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국내외의 재난상황 관리 시스템을 검토한 결과, 실시간의 피해정보, 재난상황 분석정보를 제공하여 의사결정권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었다.
국내에서 다양한 부처에서 제공하고 있는 공간/통계 정보를 검토하였고 풍수해·지진 재난분야에 활용 가능한 매핑정보를 분석하였으며, 우선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경우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선정하는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에 관한 정보의 가시화를 통하여 지정지구의 범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대책수립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진재난에 활용 가능한 매핑정보로는 긴급 위험도 평가의 기준이 되는 건축물의 구조에 관한 정도를 나타내는 정성, 정량적 지표인 건축물의 구조에 관한 사항으로 피해발생 현장조사시 지진에 취약한 건축물의 구조에 관한 주제도를 사전에 구축함으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하는 정보가 있었으며, 『건축법』에 따라 건축물의 내진등급에 해당하는 건물중요도는 건축물에 대한 중요도의 분류를 통하여 재난발생시 대응을 위한 우선순위 결정의 바탕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콘텐츠를 표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 구축된 정보인 정적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위한 ‘기구축 정보의 동기화’ 방안과 본 연구에서 동적 데이터로 분류한 현장조사를 통한 신규 항목 및 정보를 동기화하는 ‘현장조사 정보의 동기화’ 방안으로 구분하였다.
기구축 정보의 동기화 방안은 탑재되어 있는 매핑정보의 메타데이터 관리체계 구축을 통한 동기화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와 함께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의 기본기능을 제시하였으며, 현장조사 정보의 동기화 방안은 스마트 재난상황관리 시스템에서 활용하고 있는 현장조사정보 등록 서비스를 개선하여 동기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2017-0022607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2018-011481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재난 발생 또는 사전에 기존 재해이력 DB와 위험지도 등 각종 정보를 매핑하여 재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정보를 매핑콘텐츠로 제작하여 제공함에 있어서, 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조회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재난관리담당자는 하나의 지도기반 시스템에서 각종 실시간 정보와 함께 매핑콘텐츠 정보를 조회하여 신속한 재난상황파악과 통합적인 재난 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함에 첫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풍수해와 지진재난을 중심으로 매핑콘텐츠를 제시하였고 매핑콘텐츠를 가시화하기 위한 재난현장 지원 매핑서비스를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매핑 서비스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했으므로,
본 발명을 통해 도출한 풍수해·지진 재난에 대한 매핑콘텐츠와 매핑서비스의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재난현장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제공, 정보수집 등을 통한 의사 결정 지원을 가능하도록 함에 두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에서는;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DB 서버와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저장하는 DB 서버 간 테이블을 공유하고, WEB/WAS/Geo 서버와의 연결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재난 발생 또는 사전에 기존 재해이력 DB와 위험지도 등 각종 정보를 매핑하여 재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제작된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상기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에서 표출함으로써 하나의 시스템에서 최종 결과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사용자 등록정보 메뉴에는 ‘매핑콘텐츠’, '현장조사 '메뉴가 포함되는데,
상기 '매핑콘텐츠' 메뉴를 활성화하면 상기 매핑콘텐츠 결과물인 주제도 목록이 표출되고, 주제도 목록에는 매핑콘텐츠 내 주제도 목록에서와 같이 폴더명칭과 주제도 명칭, 저장시간 등이 표시되도록 구성되고, 각 목록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매핑콘텐츠 주제도가 상기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GIS에 표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현장조사' 메뉴를 활성화하면 현장조사보고서를 등록하는 ‘현장조사 등록’과‘현장조사 조회’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데, ‘현장조사 등록’은 기존 팝업창 디자인에서 요구사항을 토대로 사고일자, 선택주소, 작성자 정보, 재난유형, 위험수준, 피해등급 등의 내용을 업로드 할 수 있도록 각 요소별 배치되고, ‘현장조사 조회’는 ‘날짜, 보고서 제목, 피해정도, 지역’등의 검색조건으로 현장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인데 ,
‘현장조사 등록’에 의한 따른 현장 보고서 등록은 웹과 모바일 기반의 2가지 환경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데, 보고서 송신도 모바일과 인터넷 환경에서 모두 가능하고, 송신한 보고서 파일을 서버에 저장하여 통합 관리 가능하며, 보고서 수신 시 저장된 보고서 데이터를 관리자가 확인하고 표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매핑콘텐츠’ 메뉴를 조회하면 매핑콘텐츠 결과물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데, 매핑콘텐츠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매핑콘텐츠 결과물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팝업창이 표출되고, 매핑콘텐츠 결과물의 제목 및 내용 등이 간략하게 표출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시스템 사용자 입장에서 현장조사 보고서를 통한 재난상황 파악을 위해 날짜별로 분류하여 표출되고, 날짜별 구분을 위해 날짜별로 색상을 적용하고 표출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적용 및 표출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현장조사보고서 목록에서 보고서별로 색상을 적용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시스템 사용자가 목록에서 설정하고자 하는 보고서와 적용하고자하는 색상을 선택, 적용하면 보고서 조회 목록에서 선택한 색상이 적용된다.
현장조사보고서 등록 시 '선택주소’입력을 위한 주소 검색 기능에서는 ‘명칭’, ‘위,경도’만 있던 기존 검색 구분 설정에서 ‘주소’ 검색 구분 기능이 추가되고, ‘현장조사보고서’ 메뉴에서 보고서 등록 시 지도 확대버튼이 추가될 수 있다.
현장조사보고서 등록 시 '파일선택’ 기능이 추가되어, 사진과 동영상 파일의 선택 및 업로드가 가능하고 파일 선택 시 파일의 속성 정보가 표출되며, 한 번에 하나의 파일 선택이 가능하고 동영상의 경우 MP4파일의 동영상만 업로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영상 파일을 등록할 때 코덱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동영상 코덱을 재생 가능한 코덱인 AVC로 변환하여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현장조사보고서의 새로운 메뉴와 현장조사 등록 팝업창의 사고일자 기능, 선택주소(주소검색, 확대, 지도선택) 기능, 작성자 기능, 피해정도 기능, 파일 선택 기능을 확인할 수 있고, 현장조사보고서 조회 기능과 현장 조사보고서 수정 기능 또한 구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기반의 ‘현장조사 등록’의 경우, 모바일 접속시 로그인 페이지에 모바일 웹 로그인 기능을 추가하여 접속이 가능하고, 재난상황 발생시 관련 현장정보를 손쉽게 입력이 가능하도록 PC 웹에서 변경된 일자, 선택주소, 피해정도 등의 입력 사항이 구현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기반의 ‘현장조사 등록’의 경우, 모바일 웹 의 로그인 화면에서는 ‘웹 로그인’ 선택 후 로그인할 수 있는 기능 을 추가하여 선택 후 로그인 시 기존 웹 메인 화면이 표출되고, 미 선택 후 로그인 시에는 바로 현장조사보고서 등록 화면이 표출되는데, 기본 화면은 미 선택된 화면으로 사용자가 웹 메인 화면을 모바일에서 확인 하고자 할 때에만 선택 후 로그인하면 확인이 가능하고, 모바일 웹의 현장조사보고서 등록 화면은 모바일 전용 화면을 구축하여 진행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모바일 기반의 ‘현장조사 등록’의 경우, 모바일 웹 의 현장조사보고서 등록 화면도 PC 웹과 마찬가지로 ‘피해정도’ 선택과 ‘파일선택’시 파일정보 표출이 되도록 구현하였으며, 모바일 웹 사용자 편의를 위해 등록 후 바로 로그아웃이 가능하도록 하단에 ‘로그아웃’ 버튼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해정도’의 선택은 색상이 표출되는 PC버전과는 다르게 모바일 버전에서는 선택사항이 텍스트로 표출되도록 하여, 모바일 버전에서도 ‘피해정도’의 등급에 따른 색상을 파악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보고서 위치 등록을 위한 지도 기능도 지도상에서 위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에서는, 재난 발생 또는 사전에 기존 재해이력 DB와 위험지도 등 각종 정보를 매핑하여 재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정보가 매핑콘텐츠로 제작하여 제공되는데, 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조회가 가능하도록 제공됨으로써 재난관리담당자는 하나의 지도기반 시스템에서 각종 실시간 정보와 함께 매핑콘텐츠 정보를 조회하여 신속한 재난상황파악과 통합적인 재난 정보 제공이 가능하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풍수해와 지진재난을 중심으로 매핑콘텐츠를 제시하였고 매핑콘텐츠를 가시화하기 위한 재난현장 지원 매핑서비스를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매핑 서비스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했으므로,
본 발명을 통해 도출한 풍수해·지진 재난에 대한 매핑콘텐츠와 매핑서비스의 기능을 활용한다면 재난현장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제공, 정보수집 등을 통한 의사 결정 지원이 가능하게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에서 매핑콘텐츠 결과물이 표출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의 기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에서 매핑콘텐츠 결과물이 표출된 예시도로서, 메뉴를 조회한 화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에서 매핑콘텐츠 결과물이 표출된 예시도로서, 풍수해(태풍) 발생 매핑콘텐츠 결과물이 표출된 화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에서 매핑콘텐츠 결과물이 표출된 예시도로서, 지진 발생 매핑콘텐츠 결과물이 표출된 화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등록'을 위한 기본 환경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등록'을 위한 팝업 디자인 및 팝업창의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조회'의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조회'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조회' 화면에서 현장 조사보고서 목록의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보고서'의 업로드 화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보고서'의 검색조건 추가 화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보고서'의 검색 색상적용 및 메뉴 추가 화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보고서'의 색상지정 및 표출기능을 표시한 화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등록'을 위한 팝업 디자인 및 팝업창의 또 다른 예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보고서'의 등록 서비스 화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보고서'의 등록 및 주소검색 화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보고서'의 등록과정을 표시한 화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보고서'의 수정과정을 표시한 화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서 '파일 선택' 의 동영상 타입 구분을 표시한 화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보고서' 의 PC웹 버전의 구현 결과를 표시한 화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서 모바일 로그인 화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서 모바일 '현장조사 보고서'의 제1 등록 화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서 모바일 '현장조사 보고서'의 제2 등록 화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에서 모바일 '현장조사 보고서'의 제3 등록 화면이고,
도 26은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보고서' 의 모바일 버전의 구현 결과를 표시한 화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에서 '시스템 위치정보 조회'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고,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에서 매핑콘텐츠 결과물이 표출된 예시도로서, 광주, 여수 POI 적용 화면이고,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에서 매핑콘텐츠 결과물이 표출된 예시도로서, 여수시 POI 아이콘 적용 상세화면이고,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에서 매핑콘텐츠 결과물이 표출된 예시도로서, 광주광역시 POI 이이콘 적용 상세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황관리 매핑콘텐츠 결과물의 연계·표출은 원내 운영중인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SBB)에 본 연구의 결과물인 상황관리 매핑콘텐츠 정보를 표출함으로써 최종 결과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조회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신속한 재난상황 파악 및 통합적인 재난 정보 제공을 지원하고자 한다.
상기 매핑콘텐츠는 재난 발생 또는 사전에 기존 재해이력 DB와 위험지도 등 각종 정보를 매핑하여 재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정보를 매핑콘텐츠로 제작하여 제공하는데, 이러한 결과를 본 발명에 따른 지도기반 재난 상황관리시스템에 표출함으로써 재난관리담당자는 하나의 지도기반 시스템에서 각종 실시간 정보와 함께 매핑콘텐츠 정보를 조회하여 신속한 재난상황파악과 통합적인 재난 정보 제공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매핑 콘텐츠의 연계 및 표출을 통하여 재난 현장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 전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시군구 담당자와 관련 기관에서는 재난 상황에 따른 대처를 지원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원내 지도기반 상황관리시스템에 결과를 적용하여 표출하는 화면 구성안을 도출하였다. 화면 구성안은 총 3가지로 재난 사고지역 표출 예시와 풍수해 발생 매핑 콘텐츠 표출 예시, 지진 발생 매핑콘텐츠 표출 예시 등을 작성하였다.
재난사고 발생 시에는 재난 사고 발생 지역에 관한 지역 정보를 도형으로 표출하여 가시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풍수해 발생 시에는 침수 피해현황과 침수 예상 지역정보를 표출하고 지진 발생 시에는 누적인명피해 및 시설피해 현황과 2차 피해위험 시설정보를 표출하여 재난 발생 시 상황에 따른 대응 판단 지원이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하였다.
원내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에 매핑콘텐츠 결과를 탑재 및 표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황관리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는 서버 및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구성도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기 구축된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서버 및 네트워크 구성도 자료를 검토하여 매핑콘텐츠 결과의 연계·표출을 위한 서버 및 네트워크 구성도를 도출하였다.
도 2에서와 같이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DB 서버와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저장하는 DB 서버 간 테이블을 공유하고, WEB/WAS/Geo 서버와의 연결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공유된 매핑콘텐츠 결과물은 상황관리시스템의 정보로 연계·표출되어 사용자가 상황관리시스템의 지도기반에서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이처럼 상황관리시스템을 통해 매핑콘텐츠 결과의 각종 매핑 주제도를 연계하여 표출했을 때 여러 사용자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실시간 정보와 함께 매핑 정보 조회가 가능해진다.
매핑콘텐츠 결과물의 연계·표출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사용자 등록정보 메뉴에 ‘매핑콘텐츠’ 메뉴를 추가하고, 해당 메뉴를 활성화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매핑콘텐츠 결과인 주제도 목록이 표출되도록 구성하였다.
주제도 목록에는 매핑콘텐츠내 주제도 목록에서와 같이 폴더명칭과 주제도 명칭, 저장시간 등이 표시되도록 구성하였고, 각 목록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매핑콘텐츠 주제도가 원내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GIS에 표출되도록 구성하였다.
도 3, 도 4, 도 5 는 서버 및 네트워크 구성을 통해 매핑콘텐츠가 연계ㆍ표출되었을 때의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표출 예시이다.
도 3은 ‘매핑콘텐츠’ 메뉴를 조회했을 때의 표출(안)으로, 매핑콘텐츠 결과물 목록을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는데, 매핑콘텐츠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매핑콘텐츠 결과물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팝업창이 표출되고, 매핑콘텐츠 결과물의 제목 및 내용 등이 간략하게 표출되어 사용자가 확인 후 선택할 수 있다.
매핑콘텐츠 결과물은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SBB) ‘매핑콘텐츠’ 항목에 주제도를 표출하는 것으로, 매핑서비스와 연계하여 서비스에서 조회할 수 있는 주제도를 불러온다.
특정한 주제를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된 지도를 뜻하는 주제도는 풍수해와 지진으로 구성된 재난 종류에 따라 나뉘며, 각 재난별로 풍수해는 침수피해 위주의 예상도를 불러오고 지진은 시설 및 건축물 위주의 지도를 불러온다.
도 4와 도 5에서는 본 연구의 주요 대상 재난인 풍수해와 지진에 대한 매핑 콘텐츠 주제도를 조회한 결과를 제시하였는데, 조회한 주제도에서 지점의 심벌을 선택하면 지점 상세정보도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매핑콘텐츠가 원내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에 연계 표출됨으로써 강우 및 태풍 등 실시간 정보와 함께 재난발생전 또는 발생상황에서 실시간으로 조회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연계 표출체계는 재난 발생 또는 사전에 실시간 정보와 함께 조회됨으로써 기존 재해이력 DB와 위험지도 등 각종 정보를 매핑하여 조회해봄으로써 재난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태풍이 발생했을 경우 실시간 태풍경로 정보를 확인하고 태풍이 발생했을 경우에 대한 매핑 콘텐츠 정보를 미리 표출하여 조회해봄으로써 태풍피해지역과 위험지역에 대한 사전 인지가 가능하여 이에 대한 대응방안 마련을 마련하는데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과정은 재난을 관리하는 담당자 입장에서 실시간 정보와 함께 매핑콘텐츠를 조회함으로써 재난 현장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 전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시군구 담당자와 관련 기관에서는 재난 상황에 따른 대처를 지원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재난상황 발생 시 재난 현장상황 및 관련정보의 연계·표출 기능 개발은 원내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에 기 구축된 현장조사 보고서 등록기능을 관리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간편화하여 보다 손쉽게 현장상황 및 관련정보가 연계·표출이 되도록 기능을 개선 및 추가하는 것으로 기능 개발을 진행하였다.
웹과 모바일 환경에서 현장상황 정보 등록이 가능한 상황관리시스템의 현장조사 보고서 등록기능에 대한 관리자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간략화 버전으로 개선 및 재구축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재난상황 발생시 웹과 모바일 환경에서 보다 신속한 재난 현장상황 및 관련정보의 연계·표출이 가능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현장조사 등록' 기능의 기본틀은 기존에 구현된 기능을 그대로 구현하였다.
재난 현장상황 및 관련정보 연계·표출을 위해 웹과 모바일 기반의 2가지 환경에서 보고서를 등록할 수 있도록 기존 등록기능을 구현하였고, 보고서 송신도 모바일과 인터넷 환경에서 모두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송신한 보고서 파일을 서버에 저장하여 통합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보고서 수신 시 저장된 보고서 데이터를 관리자가 확인하고 표출할 수 있는 방안으로 기능 개발을 진행하였다.
사용자 간편성을 고려한 재난상황관리시스템 현장조사보고서 등록기능 개선을 위하여 수집한 요구사항을 토대로 개선된 현장조사 등록 화면을 도 7에서와 같이 구성하였다.
우선적으로 현장조사보고서를 등록하는 ‘현장조사 등록’ 팝업창과 ‘현장조사 조회’ 창을 배치하였는데, ‘현장조사 등록’은 기존 팝업창 디자인에서 요구사항을 토대로 사고일자, 선택주소, 작성자 정보, 재난유형, 위험수준, 피해등급, 내용을 업로드 할 수 있도록 각 요소별 성격에 맞게 배치하였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등록된 현장조사보고서 목록에 대한 검색조건 및 세부항목에 대한 개선도 진행하였는데, 검색조건에서 피해등급에 대한 검색조건을 추가하였고, 등록 형식 변경에 따라서 목록의 제목과 내용 부분의 삭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삭제하는 방향으로 수정하였다.
도 9에서와 같이 현장조사 보고서 조회 화면에서는 검색조건과 그에 따른 지정색을 표출하는 기능을 신규로 추가하였는데, 검색조건은 기존 보고서 검색 조건인 ‘날짜, 지역, 재난유형, 작성자’에서 ‘날짜, 보고서 제목, 피해정도, 지역’으로 시스템 사용자 관점에 맞추어 변경하였고, 수정한 검색 조건 중에서 ‘피해정도’는 선택 시 피해정도의 단계별로 추가 검색 조건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피해정도의 단계는 ‘준비, 관심, 주의, 경계, 심각’으로 단계별 색을 지정하고 시각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검색조건에서 단계별 지정색을 표출하는 기능을 추가하였으며, ‘피해정도’ 단계별 지정 색상으로 조회하는 기능과 더불어, 현장조사 보고서 등록 시에도 ‘피해정도’에 따라 지정색이 표출되어 사용자가 색상으로 구분하고 선택해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재난상황관리시스템에서 현장조사 보고서 목록을 조회하고 정보를 연계 및 표출하는 기능 구현을 위한 현장조사보고서 목록 화면안과 표출안을 제시하였다. 시스템 사용자 입장에서 현장조사 보고서를 통한 재난상황 파악을 위해 날짜별로 분류하여 표출하고자 하였으며, 날짜별 구분을 위해 날짜별로 색상을 적용하고 표출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적용 및 표출 기능을 설계하였다.
먼저 현장조사 보고서 목록 화면에서 날짜별 색상을 적용하기 위해 적용 화면을 도 10과 같이 제시하였는데, 기본적으로 표출되는 색상을 적용하여 기본 값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날짜별 색상의 개별적 적용 또는 선택한 날짜별 색상의 일괄적 적용도 가능하도록 화면을 구성하였다.
앞서 수집한 요구사항과 설계 내용을 통해 현장조사보고서 기능을 구현하였는데,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 환경에 따른 기능 구현을 위해 PC 웹과 모바일 웹으로 구분하여 요청사항을 정리하였고, 각 요청사항에 따른 기능 구현을 수행하였다.
1) PC 웹 버전의 현장조사보고서(간략화) 구현
기본적 구성인 PC 웹에서의 기능 구현을 위해 구현 요청 사항을 정리하였는데, 관련 요청 사항에 따라 협의 진행 여부 및 처리 완료 등 진행 상황을 분류하였고, 그 중 기능의 시범 구현이 완료된 사항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Figure 112020105825007-pat00001
먼저, 도 11과 같이 재난상황관리 시스템에 현장조사보고서를 업로드하는 기능을 지원하였고 세부 기능들을 추가적으로 구현하였으며, 기존 시스템의 이전 구현 내용과 본 연구에서 새롭게 구현되는 내용의 구분을 위해, 새로운 항목을 생성하였다.
이에 따라 본 시스템 상에서 새로운 ‘현장조사 보고서(간략화)’ 항목을 생성하여 기능 구현을 진행하였다.
현장조사 보고서 조회 기능에서는 기존 검색조건인 ‘날짜, 지역, 재난유형, 작성자’ 구성에서 ‘재난유형’과 ‘작성자’를 삭제하고 ‘보고서 제목’, ‘피해정도’를 추구하여 변경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구현 진행 중 ‘작성자’ 검색 조건 포함 추가 요청사항이 발생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는 도 12 같이 ‘날짜’, ‘제목’, ‘피해정도’, ‘지역’, ‘작성자’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다음은 세부 기능으로 현장조사 보고서 조회 화면에서 검색조건과 그에 따른 지정색을 표출하는 기능을 그림 도 13과 같이 구현하였는데, 검색 조건 중에서 ‘피해 정도’도 설계 방향대로 선택 시 피해정도의 단계별로 추가 검색 조건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피해정도의 ‘준비,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단계에 따라 지정한 색상을 표출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조회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도 14와 같이 현장조사보고서 목록에서 보고서별로 색상을 적용하는 기능도 구현하였다. 시스템 사용자가 목록에서 설정하고자 하는 보고서와 적용하고자하는 색상을 선택, 적용하면 보고서 조회 목록에서 선택한 색상이 적용되도록 하였다.
여러 개의 보고서를 일괄적으로 적용하고자 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하고자 하는 보고서들과 색상의 선택 및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일괄적용 시 적용한 보고서들 간의 구분을 위해 선택한 목록들 중 시간 순으로 자동 농도를 지정하고 표출되도록 구현하였다.
현장조사 등록 화면에 대해서는 도 15와 같이 1차적인 구성에서 변경 의견이 있어 일부 항목들에 대한 변경을 진행하였는데, 변경안에서는 ‘사고일자’ 입력 기능에서 기존에 선택만 가능하게 되어있던 시간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고, ‘선택주소’ 입력 기능에서는 전국 지도에서 해당 지점을 찾아 위치점을 찍기 어려운 점을 반영하여 지도를 확대하는 기능과 확대한 지도에서 위치점을 찍어 선택하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작성자’ 입력 기능에서는 아이디별 여러 사용자 접속 시 현장조사 등록에 어려운 점을 반영하여 아이디별 해당 작성자 이름이 고정 표출되던 기능을 작성자명을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고 작성자의 기본 값은 빈값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그림 4.16에서와 같이 앞서 구현하였던 현장조사보고서 검색 조건 ‘피해 정도’ 항목 추가에 맞추어 현장조사 등록 화면에서도 ‘피해정도’ 항목을 추가하였고 색상을 표출하도록 하였다.
‘피해정도’ 항목 추가에 따라 도 17과 같이 현장 조사보고서 등록 화면에서도 ‘피해정도’ 단계별 지정 색상으로 구분하여 등록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8에서와 같이 ‘선택주소’ 입력을 위한 주소 검색 기능에서는 ‘명칭’, ‘위,경도’만 있던 기존 검색 구분 설정에서 ‘주소’ 검색 구분 기능을 추가하여 시스템 사용자가 지역 명칭보다 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검색하고자 할 때 느꼈던 불편했던 점을 개선하였고, 기존 ‘현장조사보고서’ 메뉴에서 보고서 등록 시 지도 확대버튼이 누락되는 것을 발견하여 이에 대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다.
도 19에서와 같이 현장조사 보고서 등록 완료 후 등록된 현장조사 보고서를 수정하는 기능도 보완 및 구현하였는데, 등록한 현장조사보고서 게시글을 수정하는 과정 중 등록한 영상이 리셋 되는 현상이 발견되었고 이에 대한 리셋 현상을 수정하여 정상적으로 등록되도록 하였다.
또한, 도 20과 같이 기능을 개선하는데 있어 해결이 필요한 부분도 발견하였는데, '파일선택’ 기능으로, 이 기능은 사진과 동영상 파일 선택 및 업로드가 가능하며 파일 선택 시 파일의 속성 정보가 표출된다. 한 번에 하나의 파일 선택이 가능하며 동영상의 경우 MP4파일의 동영상만 업로드가 가능하다.
그러나 기능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MP4 파일의 동영상인 경우에도 업로드 후 파일 재생이 불가하다는 점을 발견하였으며, 인코더 프로그램으로 MP4 형태의 동영상 파일들을 인코딩해본 결과, 비디오 타입이 AVC (H.264)과 HEVC (H.265)로 나뉘며 이 중 AVC (H.264) 타입의 동영상 만 재생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문제 해결을 위해 해당 비디오 타입 정보를 개발 소스에서 불러올 수 없어 처리가 불가능하였으나, 해결 방안을 모색한 결과 동영상 코덱 변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해결하였다. 사용자가 동영상 파일을 등록할 때 코덱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동영상 코덱을 재생 가능한 코덱인 AVC로 변환하여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보완하였다.
위와 같이 PC 웹 기능 구현을 진행한 결과, 도 21과 같이 개선 완화된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데, 현장조사보고서의 새로운 메뉴와 현장조사 등록 팝업창의 사고일자 기능, 선택주소(주소검색, 확대, 지도선택) 기능, 작성자 기능, 피해정도 기능, 파일 선택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조사보고서 조회 기능과 현장 조사보고서 수정 기능 또한 구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모바일 웹 기반 현장조사보고서 등록기능 구현
모바일 웹 버전의 경우 모바일 접속시 로그인 페이지에 모바일 웹 로그인 기능을 추가하여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재난상황 발생시 관련 현장정보를 손쉽게 입력이 가능하도록 PC 웹에서 변경된 일자, 선택주소, 피해정도 등의 입력사항이 구현되도록 구성하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아래 그림 4.22와 그림 4.23과 같이 모바일 웹의 로그인 기능과 현장조사 보고서 등록 화면을 구현하였다. 모바일 웹의 로그인 화면에서는 ‘웹 로그인’ 선택 후 로그인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선택 후 로그인 시 기존 웹 메인 화면이 표출되도록 하였고, 미 선택 후 로그인 시 바로 현장조사보고서 등록 화면이 표출되도록 하였다.
기본 화면은 미 선택된 화면으로, 사용자가 웹 메인 화면을 모바일에서 확인하고자 할 때에만 선택 후 로그인하면 확인이 가능하고, 모바일 웹의 현장조사보고서 등록 화면은 모바일 전용 화면을 구축하여 진행하였다.
기존 웹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와 비슷한 모습이지만 메인화면 로드 시 불러오는 서비스를 제거하여 리소스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속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모바일 웹의 현장조사보고서 등록 화면도 PC 웹과 마찬가지로 ‘피해정도’ 선택과 ‘파일선택’시 파일정보 표출이 되도록 구현하였으며, 모바일 웹 사용자 편의를 위해 등록 후 바로 로그아웃이 가능하도록 하단에 ‘로그아웃’ 버튼을 배치하였다.
‘피해정도’ 선택은 도 24와 같이 색상이 표출되는 PC버전과는 다르게 모바일 버전에서는 선택사항이 텍스트로 표출되도록 하여, 모바일 버전에서도 ‘피해정도’의 등급에 따른 색상을 파악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보고서 위치 등록을 위한 지도 기능도 지도상에서 위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현장조사 결과물 등록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모바일 현장조사 보고서 구현 진행 중 추가 요청 사항을 수집하여 이에 따른 기능 보완 및 구현을 도 25와 같이 진행하였는데, 먼저 현장조사 보고서 등록 시 현재 시간을 자동 입력하기 위한 ‘현재 시간’ 버튼을 추가하여 현재 시간으로 갱신되도록 구현하였다.
작성자 및 내용 등의 기입란에서는 기입 예시 가이드 표기 요청이 발생함에 따라, 회색의 이텔릭체로 기입 예시를 표기하도록 하였으며, 모바일에서 첨부파일 변경 시 파일 명이 숫자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 등록된 파일이 수정하고자 새롭게 업로드 한 파일인지 구분이 어렵다는 요청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이전 첨부파일명과 수정 첨부파일명을 함께 표기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환경에서도 첨부파일 수정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위와 같이 모바일 버전 기능 구현을 진행한 결과, 도 26과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웹 로그인 체크 기능의 구현과 앱 다운로드 기능을 확인할 수 있고 그 외에도 현재 시간 기능, 지도 선택 기능, 모바일버전의 피해 정도 선택 기능, 기입 예시 표기, 파일 정보 표출 기능, 로그아웃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3) 시스템 부가 기능 구현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 환경에 따른 기능 구현을 위한 현장조사보고서 등록 기능 구현에 따라, 도 27과 같이 재난상황관리 시스템(SBB)의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 수정 및 구현을 진행하였다.
기존 재난상황관리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 조회 시 ‘주소’로 검색하면 화면의 지도가 이동되지 않는 점을 발견하였고, 지도 이동 기능을 수정하여 시스템 사용자의 지도상 위치 파악이 용이하도록 구현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재난상황을 대비하여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POI 형태를 활용한 재난 관련 신규정보의 표출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은 현재 재난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통합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본 연구의 매핑콘텐츠 결과물도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목적에 따라 연계·표출을 진행하였다.
이와 함께 본 절에서는 이벤트성으로 재난 관련된 정보의 추가적인 표출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본 절에서 적용한 이벤트는 2019년 국제 수영대회 관련하여 해당 지자체에서 필요한 지역의 정적맵 정보를 KML로 변환하고 추가적인 아이콘 적용 가능성과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에 업로드 했을 때의 활용성 여부를 검토하는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우선 도 28과 도 29와 같이 국제 대회와 관련이 있는 광주광역시 및 여수시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침수흔적도 및 관공서, 무더위쉼터 등의 주요 POI 정보를 KML로 변환하는 것으로 도 30과 같이 자체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아이콘의 추가 적용은 우선 구글에서 웹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아이콘을 활용하여 적용하였으며, 아이콘을 적용한 매핑정보는 도 28, 도 29, 도 30에서와 같이 1차적으로 구글 어스(google earth)를 통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상황관리시스템에 적용한 결과, 심볼의 다양성에 대한 한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심볼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개발을 통하여 구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업로드한 정보를 사용자가 관리하기 위해서는 상황관리시스템에서 별도로 관리화면이 필요하며 특정 정보의 업로드는 해당정보의 단순 표출에 국한되어 구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재난상황관리를 위한 매핑정보의 구축방안을 지방자치단체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역할과 작성할 지도 등의 작성방법에 관한 가이드라인(안)을 작성하여 매핑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한 참고자료를 구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은, 매핑서비스를 통하여 도출되는 상황관리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원내 상황 관리시스템에 연계·표출하여 활용하는 방안과 재난 현장상황 및 관련정보를 연계· 표출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우선, 상황관리 매핑콘텐츠 결과물의 연계·표출은 원내 운영 중에 있는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에 본 연구의 결과물인 상황관리 매핑콘텐츠 정보를 레이어 형태로 제공하여 표출함으로써 기존 재난 상황관리에 활용되고 있는 원내 지도기반 상황관리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을 제고하였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한 매핑콘텐츠의 연계·표출은 향후 재난 현장 정보를 제공하고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 전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시군구 담당자와 관련 기관에서는 재난 상황에 따른 대처를 지원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재난상황 발생 시 재난 현장상황 및 관련정보의 연계·표출 기능 개발에 관한 사항은 원내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에 기 구축된 현장조사 보고서 등록 기능을 활용하여 보다 손쉽게 재난 현장상황 및 관련정보를 연계·표출할 수 있도록 기능 개선을 완료하였다.
기능 개선은 웹과 모바일 기반의 2가지 환경에서 각각 진행하였고 보다 간편화된 현장상황 정보 등록이 가능하도록 담당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간략화 버전으로 개선 및 재구축을 진행하였으며, 보고서 송신도 모바일과 인터넷 환경에서 모두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송신한 보고서 파일을 서버에 저장하여 통합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보고서 수신 시 저장된 보고서 데이터를 관리자가 확인하고 표출할 수 있는 방안으로 기능 개발을 완료하였다.
이를 통하여 재난상황 발생시 웹과 모바일 환경에서 보다 신속하게 재난 현장상황 및 관련정보의 연계, 표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형태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2)

  1.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DB 서버와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저장하는 DB 서버 간 테이블을 공유하고, WEB/WAS/Geo 서버와의 연결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재난 발생 또는 사전에 기존 재해이력 DB와 위험지도 등 각종 정보를 매핑하여 재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제작된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상기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에서 표출함으로써 하나의 시스템에서 최종 결과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원내 지도기반 상황관리시스템에 결과를 적용하여 표출하는 화면 구성안을, 재난 사고지역 표출 예시와, 풍수해 발생 매핑 콘텐츠 표출 예시와, 지진 발생 매핑콘텐츠 표출 예시의 세가지로 구분하는데,
    먼저 재난사고지역 표출예시의 경우에는 재난 사고 발생 지역에 관한 지역 정보를 도형으로 표출하여 가시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위치 파악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풍수해 발생 매핑 콘텐츠 표출 예시의 경우에는, 침수 피해현황과 침수 예상 지역정보를 표출하도록 구성되고,
    지진 발생 매핑콘텐츠 표출 예시의 경우에는, 누적인명피해 및 시설피해 현황과 2차 피해위험 시설정보를 표출하여 재난 발생 시 상황에 따른 대응 판단 지원이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사용자 등록정보 메뉴에는 실시간 정보와 함께 매핑 콘텐츠를 조회할 수 있도록 ‘매핑콘텐츠’, '현장조사 '메뉴가 함께 제공되는데,
    상기 '매핑콘텐츠' 메뉴를 활성화하면 상기 매핑콘텐츠 결과물, 즉 특정 주제마다 매핑하여 표현되어진 주제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먼저 주제도 목록이 표출되는데 풍수해와 지진으로 구성된 재난 종류에 따라 나뉘고, 풍수해의 경우 침수피해 위주의 예상도를 불러오고, 지진의 경우에는 시설 및 건축물 위주의 지도를 불러오게 되며, 조회한 주제도에서 지점의 심벌을 선택하면 지점상세정보가 조회되도록 제공되고,
    주제도 목록에는 매핑콘텐츠 내 주제도 목록에서와 같이 폴더명칭과 주제도 명칭, 저장시간 등이 표시되도록 구성되고, 각 목록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매핑콘텐츠 주제도가 상기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의 GIS에 표출되게됨으로써 강우, 태풍의 실시간 정보와 함께 재난 발생 전 또는 발생 상황에서 실시간 조회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연계 표출 체계는 재난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재난 발생 또는 사전에 실시간 정보와 함께 조회되고 기존 재해 이력 DB와 위험지도의 정보를 매핑하여 조회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현장조사' 메뉴를 활성화하면 현장조사보고서를 등록하는 ‘현장조사 등록’과‘현장조사 조회’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데, ‘현장조사 등록’은 기존 팝업창 디자인에서 요구사항을 토대로 사고일자, 선택주소, 작성자 정보, 재난유형, 위험수준, 피해등급 등의 내용을 업로드 할 수 있도록 각 요소별 배치되고, ‘현장조사 조회’는 ‘날짜, 보고서 제목, 피해정도, 지역’등의 검색조건으로 현장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인데 ,
    ‘현장조사 등록’에 의한 따른 현장 보고서 등록은 웹과 모바일 기반의 2가지 환경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데, 보고서 송신도 모바일과 인터넷 환경에서 모두 가능하고, 송신한 보고서 파일을 서버에 저장하여 통합 관리 가능하며, 보고서 수신 시 저장된 보고서 데이터를 관리자가 확인하고 표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바일 기반에서 로그인할 경우에는 로그인하기에 앞서 상기 웹 기반의 로그인 여부를 선택하는 기능을 반드시 경유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웹 기반의 로그인을 선택 후 로그인 시에는 기존 웹 메인화면이 표출되고, 여기에서 '현장 조사' 메뉴와 '현장 조사 등록'메뉴를 차례로 선택하면 현장 보고서 등록화면이 표출되는데, '피해 정도' 선택과 '파일 선택'시 파일 정보 표출되도록 구성되고 여기에는 로그아웃 버튼이 함께 제공되며,
    상기 웹 기반의 로그인을 선택하지않고 로그인 시에는 바로 현장보고서 등록화면이 표출되는데, 상기 웹 기반의 로그인이 미선택된 화면이 기본화면이 되게하여 리소스 사용량은 감소하고 속도는 향상되도록 구성되며,
    현장조사보고서 등록 시 동영상 파일의 선택 및 업로드가 가능하고 파일 선택 시 파일의 속성 정보가 표출되는데, MP4파일의 동영상인 경우 업로드 후 파일 재생이 불가하므로, 상기 동영상 파일이 등록될 시에는 코덱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 동영상 코덱을 재생 가능한 코덱인 AVC로 변환하여 동영상이 재생되어지며,
    현장 조사보고서 조회 메뉴에는 검색조건으로 '피해 정도'를 포함하는데, '피해 정도' 단계별 지정 색상으로 조회하는 기능이 제공되고,
    모바일 기반의 현장 보고서 등록 시 첨부되는 파일에는 첨부파일명과 수정 첨부파일명을 함께 표기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수정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매핑콘텐츠’ 메뉴를 조회하면 매핑콘텐츠 결과물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데, 매핑콘텐츠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매핑콘텐츠 결과물 목록을 조회할 수 있는 팝업창이 표출되고, 매핑콘텐츠 결과물의 제목 및 내용 등이 간략하게 표출되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현장조사보고서 목록에서 보고서별로 색상을 적용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시스템 사용자가 목록에서 설정하고자 하는 보고서와 적용하고자하는 색상을 선택, 적용하면 보고서 조회 목록에서 선택한 색상이 적용되도록 구성되며,
    현장조사보고서 등록 시 '선택주소’입력을 위한 주소 검색 기능에서는 ‘명칭’, ‘위,경도’만 있던 기존 검색 구분 설정에서 ‘주소’ 검색 구분 기능이 추가되고, ‘현장조사보고서’ 메뉴에서 보고서 등록 시 지도 확대버튼이 추가되며,
    현장조사보고서의 새로운 메뉴와 현장조사 등록 팝업창의 사고일자 기능, 선택주소(주소검색, 확대, 지도선택) 기능, 작성자 기능, 피해정도 기능, 파일 선택 기능을 확인할 수 있고, 현장조사보고서 조회 기능과 현장 조사보고서 수정 기능 또한 구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모바일 기반의 ‘현장조사 등록’의 경우, 모바일 접속시 로그인 페이지에 모바일 웹 로그인 기능을 추가하여 접속이 가능하고, 재난상황 발생시 관련 현장정보를 손쉽게 입력이 가능하도록 PC 웹에서 변경된 일자, 선택주소, 피해정도 등의 입력 사항이 구현되도록 구성되며,
    모바일 기반의 ‘현장조사 등록’의 경우, 모바일 웹 의 현장조사보고서 등록 화면도 PC 웹과 마찬가지로 ‘피해정도’ 선택과 ‘파일선택’시 파일정보 표출이 되도록 구현하였으며, 모바일 웹 사용자 편의를 위해 등록 후 바로 로그아웃이 가능하도록 하단에 ‘로그아웃’ 버튼을 배치되는데,
    상기 '피해정도’의 선택은 색상이 표출되는 PC버전과는 다르게 모바일 버전에서는 선택사항이 텍스트로 표출되도록 하여, 모바일 버전에서도 ‘피해정도’의 등급에 따른 색상을 파악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보고서 위치 등록을 위한 지도 기능도 지도상에서 위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시스템 사용자 입장에서 현장조사 보고서를 통한 재난상황 파악을 위해 날짜별로 분류하여 표출되고, 날짜별 구분을 위해 날짜별로 색상을 적용하고 표출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적용 및 표출 기능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129176A 2020-10-07 2020-10-07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KR102273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176A KR102273308B1 (ko) 2020-10-07 2020-10-07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176A KR102273308B1 (ko) 2020-10-07 2020-10-07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308B1 true KR102273308B1 (ko) 2021-07-06

Family

ID=76860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176A KR102273308B1 (ko) 2020-10-07 2020-10-07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30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528B1 (ko) * 2007-02-27 2007-08-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과 웹-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피해조사 실시간자동화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40032205A (ko) * 2012-09-06 2014-03-14 대한민국(안전행정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2607A (ko) 2015-08-21 2017-03-0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101724260B1 (ko) * 2015-08-21 2017-04-07 대한민국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KR101800127B1 (ko) * 2016-07-04 2017-12-21 엔에이치엔페이코 주식회사 웹―앱 연동 간편 로그인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14814A (ko) 2017-09-18 2018-10-19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권역별 재난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528B1 (ko) * 2007-02-27 2007-08-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과 웹-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피해조사 실시간자동화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40032205A (ko) * 2012-09-06 2014-03-14 대한민국(안전행정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2607A (ko) 2015-08-21 2017-03-0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101724260B1 (ko) * 2015-08-21 2017-04-07 대한민국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KR101800127B1 (ko) * 2016-07-04 2017-12-21 엔에이치엔페이코 주식회사 웹―앱 연동 간편 로그인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14814A (ko) 2017-09-18 2018-10-19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권역별 재난정보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08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ing electronic content
US984805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o-collaboration
US9984170B2 (en) Community awareness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7856407B2 (en) Community awareness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Slamet et al. Social media-based identifier for natural disaster
KR102230258B1 (ko)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US20120320058A1 (en)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701743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business data associated with a network-based user collaboration tool to include spatial reference information for collaborative visualization
Pradhan et al. Infrastructur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ramework requirements for disasters
KR20180114814A (ko) 권역별 재난정보 제공방법
KR20140032205A (ko)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및 방법
Heard et al. Big board: Teleconferencing over maps for shared situational awareness
US200400595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real estate web sites
KR102273308B1 (ko)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KR20180114813A (ko) Marker Cluster를 활용한 피해 현장정보 표출 방법
KR102300807B1 (ko) 필드 데이터 입력을 통한 작업 레포트 자동 생성 시스템
KR100990847B1 (ko) 태풍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059818A (ja) 砂防関連情報管理システム
JP2020140617A (ja) 地物管理システム
WO2010141991A1 (en) Image displays for project management
Marino et al. Geotechnologies for surveys and catastrophic events of Rio de Janeiro Geological Survey: a case study
Charvat et al. Geohosting–publish your spatial data yourself
JPH10187950A (ja) 地図検索顧客建物データ管理装置および管理方法
Maiellaro et al. Multimedia Interactive Map for CH Presentation
Althén Bergman et al. GIS-based crisis communication: A platform for authorities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during wildf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