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980B1 - A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condensation prevention - Google Patents
A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condensation preven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2980B1 KR102272980B1 KR1020190072619A KR20190072619A KR102272980B1 KR 102272980 B1 KR102272980 B1 KR 102272980B1 KR 1020190072619 A KR1020190072619 A KR 1020190072619A KR 20190072619 A KR20190072619 A KR 20190072619A KR 102272980 B1 KR102272980 B1 KR 1022729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ensation
- surface temperature
- temperature
- blowing fan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은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 상기 실내의 벽체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표면온도센서; 상기 온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 값이 입력되어 결로 발생 조건값을 도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nd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a surface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wall in the room;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measured b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to derive a dew condensation condition value; and a blowing fan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의 온습도를 측정하여 결로 발생 조건을 예측하고 결로가 발생되거나 예측되는 경우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which measures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to predict conditions for occurrence of condensation and to automatically operate when condensation occurs or is predicted.
종래에는 밀폐된 공간에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고, 외벽의 단열성능이 떨어지며, 외부에서 습공기가 유입 및 유출 되는 공간에는 시간과 기간이 지나면 습기가 차고 결로가 발생하여 결로수에 의한 부패, 악취 및 곰팡이의 번식 등 여러 가지 불편함이 발생하고 사람이 거주하기 어렵거나, 결로수에 의한 전기의 합선, 누전 등 전기적인 결함 및 화재 등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았다. Conventionally, ventilation in a closed space is not good,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outer wall is poor, and the space where the humid air flows in and out from the outside becomes damp after a period of time and condensation occurs.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that various inconveniences, such as the propagation of the plant, could occur, making it difficult for people to live, or causing electrical defects such as short circuits and short circuits due to condensation water and fires.
또한, 공간을 구성하는 물체의 부식 속도를 증가시켜 부식에 따른 방청작업, 페이트칠 등의 도포작업 및 부식에 의한 구성체의 수명감소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corrosion rate of the objects constituting the space, various problems such as rust prevention work according to corrosion, coating work such as paint, and reduction of the lifespan of the structure due to corrosion were caused.
특히 부식에 의한 구조물이나 조립 부품 등의 수명감소는 구조물의 안전을 위협하고, 수명의 단축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와 결국 교체나 구조물 전체의 재건축 등 불필요하거나 필요 이상의 비용이 발생하여 낭비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소비요인과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In particular, the reduction in the lifespan of structures or assembly parts due to corrosion threatens the safety of structures, increases maintenance costs due to the shortened lifespan, and eventually causes unnecessary or more costs such as replacement or reconstruction of the entire structure, which is a wasteful factor and acted as a factor threatening consumption and safety.
따라서, 실내 측 표면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유효한 대책 중 하나인 환기를 실시하는 방법은 크게 (1) 창호를 개폐하여 외기를 도입하는 방법과 (2) 환기시스템(전열, 현열교환기 또는 환기팬)을 이용하여 외기를 도입하는 방법 두 가지로 나뉜다.Therefore, ventilation, which is one of the effective countermeasures to prevent dew condensation occurring on the indoor surface, is largely (1) a method of introducing outside air by opening and closing windows and (2) a ventilation system (electrical heat, sensible heat exchanger or There are two methods of introducing outside air using a ventilation fan.
이 중 (2) 환기시스템(전열, 현열교환기 또는 환기팬)을 이용하여 외기를 도입하는 방법은 24시간 또는 사용자 거주시 가동하기에는 전기료가 많은 부담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결로발생을 예측하여 환기시스템을 구동시켜야 하는 즉 사용자의 임의적 선택에 따라 가동 여부가 결정되는 문제점이 있다.Of these, (2) the method of introducing outdoor air using a ventilation system (electrical heat, sensible heat exchanger, or ventilation fan) requires a large amount of electricity to operate for 24 hours or when the user resides, so the user directly predicts the occurrence of dew condensation and operates the ventilation system 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in which opera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arbitrary selection.
따라서, 현재 사용자들은 환기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음에도 전기료 등의 부담으로 일부만이 환기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even though the ventilation system is currently installed, only some users are using the ventilation system due to the burden of electricity costs.
즉, 실내에서 인체 발한, 취사 등으로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환기시스템 등으로 습기를 배출하지 않을 경우 실내의 절대습도(수증기량)가 결로가 발생하는 절대습도를 초과하여 결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달리 환기시스템을 상시 가동할 경우 습기가 지속적으로 배출되므로 실내 절대습도가 항상 결로발생 절대습도 이하로 유지되어 결로가 발생하지 않으나, 장비 상시 가동으로 인해 전력소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That is, if water vapor is continuously generated indoors due to sweating or cooking, or if moisture is not discharged through the ventilation system, the absolute humidity (amount of water vapor) in the room exceeds the absolute humidity at which dew condensation occurs.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ntilation system is operated at all times, moisture is continuously discharged, so the indoor absolute humidity is always kept below the absolute humidity where dew condensation does not occur,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power consumption increases due to the constant operation of the equipment.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구동시키지 않아도 일정조건이 되면 각 세대의 동절기 외피 표면 결로 예방을 위해서 실내외 온습도에 따라 결로 발생 전에만 일정시간 환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과습 방지 자동 환기시스템을 개발하여 시스템이 간헐적으로 작동하면서 실내 절대 습도가 결로 발생 절대 습도 이하로 유지되므로, 전력소비를 절감하면서도 결로 방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환기 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user does not manually drive it, if certain conditions are met, we developed an over-humidity prevention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that automatically ventilat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nly before condensation occurs depending on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to prevent condensation on the surface of the winter skin of each household. Since the indoor absolute humidity is maintained below the absolute humidity of the occurrence of dew condensation while operating as an air conditioner, the need to develop an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achieve the purpose of preventing dew condensation is emerg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기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결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실내에 온, 습도를 측정하여 노점 온도를 도출하고, 상기 실내의 표면 온도와 상기 노점 온도를 비교하여 결로 발생 여부를 예측 및 도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결로 발생 시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송풍팬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구동시키지 않아도 일정 조건이 되면 외피 표면 결로 예방을 위해서 일정 시간 환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환기시스템을 개발하여 시스템이 간헐적으로 작동하면서 실내 절대습도가 결로발생 절대습도 이하로 유지되므로, 전력소비를 절감하면서도 결로 방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the dew point temperature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a room where condensation frequently occurs because a ventilation device is not provided, and compare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room with the dew point temperature. By having a control unit that predicts and derives whether or not condensation occurs, and a blower fan that is selectively driven when condensation occurs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occurs even if the user does not manually drive it, ventilation is performed for a certain time to prevent condensation on the surface of the skin By developing an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that automatically performs the system operation intermittently, the absolute humidity in the room is maintained below the absolute humidity due to condensation,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providing an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that achieves the purpose of preventing condensation. but it has a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은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센서; 상기 실내의 벽체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표면온도센서; 상기 온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 값이 입력되어 결로 발생 조건값을 도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a surface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wall in the room;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measured b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to derive a dew condensation condition value; and a blowing fan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은 상기 결로 발생 조건값이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값을 기반으로 도출된 상기 실내의 노점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room is derived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value for the condensation occurrence condition valu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가 표면 온도 ≤ 노점 온도 일 경우, 상기 송풍팬을 작동시키고, 표면 온도 > 노점 온도 일 경우, 상기 송풍팬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blowing fan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 dew point temperature, and stops the blowing fan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 dew point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은 상기 표면온도센서가 제1위치에 위치한 제1표면온도센서; 및 상기 제1표면온도센서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표면온도센서보다 먼 제2위치에 위치한 제2표면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rface temperature sensor in which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is located i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surface temperature sensor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temperature sens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located at a second position with a distance to the blowing fan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surface temperature sens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송풍팬을 상시 구동시키는 상시운전모듈; 및 상기 송풍팬을 상기 결로 발생 조건 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결로방지운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gular operation module in which the control unit always drives the blowing fan; and a condensation prevention operation module for selectively driving the blower fan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condensation occurrence condi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은 상기 결로방지운전모듈이 상기 제1위치의 표면 온도 ≤ 노점 온도 일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위치의 결로를 제거 및 방지하도록 하는 상기 송풍팬의 제1작동모드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2위치의 표면 온도 ≤ 노점 온도 일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위치의 결로를 제거 및 방지하도록 하는 상기 송풍팬의 제2작동모드를 구동시키며, 상기 표면 온도 > 노점 온도 일 경우, 상기 송풍팬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nti-condensation operation module has a surface temperature ≤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first position, the control unit removes and prevents condensation at the first position. driving a first operation mode, and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second position ≤ dew poin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drives a second operation mode of the blower fan to remove and prevent dew condensation at the second position, the surface When the temperature > dew point tempera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wing fan is stopp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은 상기 송풍팬이 상기 제2작동모드의 풍속이 상기 제1작동모드의 풍속보다 크게 구동되어, 상기 제2작동모드시 상기 제1작동모드보다 실내의 환기력이 더욱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er fan is driven so that the wind spe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greater than the wind speed in the first operation mode, so that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indoor air quality is higher than in the first operation mo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lation power is further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은 상기 온도, 습도, 표면 온도, 노점 온도 및 상기 제어부의 설정 모듈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the temperature, humidity, surface temperature, dew point temperature and the setting module of the control uni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의 모듈이 사용자의 수동 조작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 및 상기 실내 공기 및 외기의 유체 흐름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nipulation unit that allows the module of the control unit to be set by a user's manual operation; and 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for fluid flow of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구동시키지 않아도 일정 조건이 되면 외피 표면 결로 예방을 위해서 일정 시간 간헐적으로 환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내 절대습도가 결로 발생 절대 습도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여 결로가 빈번히 발생되는 실내의 결로 발생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user does not manually drive it, when a certain condition is reached, the ventil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intermittent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prevent condensation on the surface of the skin, thereby reducing the indoor absolute humidity from condensation.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prevent the occurrence of dew condensation in the room where dew condensation frequently occurs by keeping the occurrence absolute humidity or less.
또한, 제어부가 실내 벽체의 표면온도 및 노점온도를 비교하여 결로가 발생되었거나 결로 발생이 예상되는 결로 발생 조건값을 도출함으로써, 결로를 예방하는 자동 환기 시스템이 상시 구동되지 않고 결로 발생 조건값이 도출될 경우에만 구동될 수 있도록 하여 전력 소비를 현저히 절감하면서도 결로 방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surface temperature and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indoor wall and derives the condition value for occurrence of condensation where condensation has occurred or is expected to occur, so that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that prevents condensation is not always operated and the condition value for occurrence of condensation is derived It has the effect of achieving the purpose of preventing dew condensation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llowing it to be driven only when necessary.
또한, 표면온도센서를 실내의 위치에 따라 제1표면온도센서 및 제2표면온도센서로 구성하여 송풍팬으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이 비교적 강하게 구동되어 실내의 환기력을 증대시키고, 송풍팬으로부터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이 약하게 구동되도록 결로 발생 위치에 따른 상기 송풍팬의 강도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저감시켜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is composed of a first surface temperature sensor and a second surface temperature senso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room, and condensation occurs at a location relatively far from the blowing fan, the blowing fan is driven relatively strongly to increase the ventilation power of the room. and by controlling the strength of the blowing fa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ndensation so that the blowing fan is driven weakly when condensation occurs at a position relatively close to the blowing fan, the efficiency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is increased and unnecessary Economical effect can be seen 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또한, 온도, 습도, 표면 온도 및 노점 온도값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설계 변경 없이도 기존의 건축물에 바로 적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temperature, humidity, surface temperature, and dew point temperature, so that it can be applied directly to an existing building without a separate design change.
아울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 및 통풍구의 구성만으로도 결로가 빈번히 발생하는 실내의 환기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의 설치 공정이 간단하고 이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is simple and economical effect can be obtained by enabling ventilation of the room where condensation frequently occurs only by the configuration of the ventilation fan and the ventilation hole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make it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의 표시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의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확대도이다.1 is a firs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ond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unit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구성도이다.1 is a firs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2nd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condensation pre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실내에 빈번히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 및 제거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실내 일측에 구비된 온습도센서(100)에서 측정된 상기 실내의 온도 및 습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노점온도를 도출하고, 도출된 노점온도와 표면온도센서(200)에서 측정된 표면 온도를 비교하여 실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예측하도록 함으로써, 결로 발생 조건값이 도출되면 송풍팬(400)을 가동시켜 상기 실내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실내의 결로를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환기 시스템이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노점 온도는 습공기가 어느 일정 압력에서 수분의 증감 없이 냉각되었을 때, 공기중에 있던 수증기가 응결하기 시작하여 이슬이 맺히는 온도를 말한다.The dew point temperature refers to the temperature at which water vapor in the air starts to condense and forms dew when the moist air is cooled at a certain pressure without increasing or decreasing moisture.
즉, 공기 선도에서 수증기 분압 압력 곡선의 100% 부분의 커브 부분의 온도로 지칭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referred to as the temperature of the curve portion of the 100% portion of the water vapor partial pressure pressure curve in the air diagram.
따라서, 실내에 빈번히 발생하는 결로는 상기 실내의 표면 온도가 실내의 노점 온도보다 낮아지는 경우 공기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실내의 벽체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을 의미한다.Accordingly, condensation frequently occurring indoors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water vapor in the air is condensed and water droplets form on the walls of the room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room is low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room.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1)은 상기 노점 온도 및 표면 온도를 이용하여 결로를 미리 예측하여 결로 발생 조건값이 도출되면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송풍팬(400)을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이에, 상기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1)은 온습도센서(100), 표면온도센서(200), 제어부(300), 송풍팬(400), 표시부(500), 조작부(600) 및 통풍구(70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1) includes a temperature and
상기 온습도센서(100)는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The temperature-
구체적으로, 상기 온습도센서(100)는 상기 실내의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emperature-
또한, 상기 온습도센서(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또한, 상기 온습도센서(100)는 측정된 실내의 온도 및 습도값을 상기 제어부(300)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온도 및 습도값을 이용하여 노점온도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and
상기 표면온도센서(200)는 상기 실내 벽체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표면온도센서(200)는 제1위치에 위치한 제1표면온도센서(210) 및 상기 제1표면온도센서(21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400)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표면온도센서(210)보다 먼 제2위치에 위치한 제2표면온도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상기 표면온도센서(200)는 상기 실내 벽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써, 상기 온습도센서(100)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값에 의해 도출해 낸 노점 온도와 비교하여 표면 온도 측정 지점의 결로 현상을 예측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따라서, 상기 표면온도센서(200)는 상기 실내의 결로 발생 확률이 비교적 높은 곳에 다수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표면온도센서(200)는 비교적 상기 송풍팬(400)과 가까운 제1위치에 배치되는 제1표면온도센서(210) 및 상기 송풍팬(400)과의 거리가 상기 제1표면온도센서(210)보다 먼 제2위치에 배치되는 제2표면온도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또한, 상기 표면온도센서(200)는 배치된 표면온도센서(200)의 개수를 상기한 제1표면온도센서(210) 및 제2표면온도센서(220)에 한정하지 않고, 설치되는 실내 공간의 넓이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적용 실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1표면온도센서(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400)과 비교적 가까운 제1위치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써, 상기 제1위치의 표면 온도가 실내의 노점 온도보다 낮게 나타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송풍팬(400)이 후술할 제1작동모드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first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송풍팬(400)과 비교적 가까운 제1위치의 결로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위치의 결로를 제거 또는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풍속이 발생하도록 상기 송풍팬(400)을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occurrence of dew condensation at the first position relatively close to the blowing
또한, 상기 제2표면온도센서(220)는 상기 송풍팬(400)과 비교적 먼 거리의 제2위치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써, 상기 제2위치의 표면 온도가 실내의 노점 온도보다 낮게 나타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송풍팬(400)이 후술할 제2작동모드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second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송풍팬(400)과 비교적 먼 제2위치의 결로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위치의 결로를 제거 또는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풍속이 발생하도록 상기 송풍팬(400)을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occurrence of dew condensation at the second position relatively far from the blowing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온습도센서(100)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 값이 입력되어 결로 발생 조건값을 도출하도록 구비된다.The
또한, 상기 결로 발생 조건값은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값을 기반으로 도출된 상기 실내의 노점 온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ensation occurrence condition value may be a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room derived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value.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온습도센서(100)에서 측정된 실내의 온도 및 습도 값을 전송받아 상기 온도 및 습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의 노점 온도를 도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실내의 표면 온도값이 노점 온도와 같거나 작을 경우 즉 표면 온도 ≤ 노점 온도 일 경우, 상기 실내의 결로가 발생됨을 예측하여 상기 송풍팬(400)이 가동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value of the room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that is,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실내의 표면 온도값이 노점 온도보다 클 경우 즉 표면 온도 > 노점 온도 일 경우, 상기 실내의 결로가 제거되었음이 예측되어 상기 송풍팬(400)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value of the room is great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that is,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송풍팬(400)을 상시 구동시키는 상시운전모듈(310) 및 상기 송풍팬(400)을 상기 결로 발생 조건 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결로방지운전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상시운전모듈(310)은 상기 제어부(300)가 도출해내는 실내의 결로 발생 예측값과 무관하게 상기 송풍팬(400)이 상시 가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모듈일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상시운전모듈(31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조작부(600)에 의해 설정되어지는 모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상시운전모듈(310)이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온습도센서(100), 표면온도센서(200) 및 노점 온도을 도출하는 제어부(300)는 작동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상기 결로방지운전모듈(320)은 상기 송풍팬(400)을 상기 결로 발생 조건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모듈일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결로방지운전모듈(320)은 상기 제어부(300)에서 도출해내는 결로 발생 조건값에 따라 결로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400)을 가동시켜 발생된 결로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결로 발생이 예측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400)을 가동시키지 않거나 가동중인 송풍팬(400)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결로방지운전모듈(320)은 상기 제1위치에서 표면 온도≤노점 온도일 경우,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제1위치의 결로를 제거하거나 방지하도록 하는 송풍팬(400)의 제1작동모드를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 dew point temperature at the first position, the
이 때, 상기 제1작동모드는 상기 송풍팬(400)의 구동 모드 중 하나로써, 상기 송풍팬(400)과 비교적 가까운 제1위치의 결로를 제거하거나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풍속으로 상기 송풍팬(400)을 구동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operating mode is one of the driving modes of the blowing
또한, 상기 결로방지운전모듈(320)은 상기 제2위치에서 표면 온도≤노점 온도일 경우,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제2위치의 결로를 제거하거나 방지하도록 하는 송풍팬(400)의 제2작동모드를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 dew point temperature at the second position, the
이 때, 상기 제2작동모드는 상기 송풍팬(400)의 구동모드 중 하나로써, 상기 송풍팬(400)과 비교적 먼 제2위치의 결로를 제거하거나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풍속으로 상기 송풍팬(400)을 구동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one of the driving modes of the blowin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환기 시스템(1)은 결로 발생을 예측하여 결로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에만 상기 송풍팬(400)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결로가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풍속으로 상기 송풍팬(400)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켜 상기 자동 환기 시스템(1)의 경제적인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결로방지운전모듈(320)은 상기 표면 온도>노점 온도일 경우, 상기 송풍팬(400)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송풍팬(400)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The blowing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팬(400)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실내 공기를 강제 유출시키거나 외기를 강제 유입시켜 결로 발생이 예측되는 실내에 유체의 흐름을 형성하여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송풍팬(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의 외측문 일측에 구비되어 특히 환기가 어려운 밀폐공간 즉 창고, 베란다 및 다용도실의 환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송풍팬(400)은 상기 제어부(300)의 상시운전모듈(310)에서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0)의 결로방지운전모듈(320)시 표면 온도≤노점 온도일 경우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ing
또한, 상기 송풍팬(400)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표면 온도〉노점온도일 경우 구동이 중지되거나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송풍팬(400)은 제1작동모드 및 제2작동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Meanwhile, the blowing
상기 제1작동모드는 상기 제1위치의 결로를 제거 및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모드로써, 상기 송풍팬(400)의 풍속이 상기 제1위치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비교적 약하게 구동되도록 하는 모드일 수 있다.The first operating mode is a mode provided to remove and prevent condensation at the first position, and is a mode in which the wind speed of the blowing
상기 제2작동모드는 상기 제2위치의 결로를 제거 및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모드로써, 상기 송풍팬(400)의 풍속이 상기 제2위치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비교적 강하게 구동되도록 하는 모드일 수 있다.The second operation mode is a mode provided to remove and prevent condensation at the second position, and is a mode in which the wind speed of the
따라서, 상기 송풍팬(400)은 상기 제2작동모드의 풍속이 상기 제1작동모드의 풍속보다 크게 구동되어 상기 제2작동모드시 상기 제1작동모드보다 실내의 환기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blowing
이에, 상기 송풍팬(400)은 결로가 발생되는 위치에 따라 송풍팬(400)의 가동력을 선택적으로 증감 시킬 수 있도록 제어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켜 상기 자동 환기 시스템(1)의 경제적인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blowin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의 표시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4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표시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 습도, 표면 온도, 노점 온도 및 상기 제어부(300)의 설정 모듈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구성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따라서, 상기 표시부(500)는 상기 표시부(500)를 통해 실내의 환경 상태 및 현재 자동 환기 시스템(1)에 적용되는 제어부(300)의 모듈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표시부(5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상기 자동 환기 시스템(1)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동 환기 시스템(1)의 작동과 더불어 사용자가 결로 방지를 위해 기타 다양한 다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표시부(50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실내의 외측문 외측에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의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확대도이다.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on unit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작부(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0)의 모듈을 사용자의 수동조작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 5 , the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600)는 상기 제어부(300)의 모듈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선택 적용 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자동 환기 시스템(1)을 상시운전모듈(310) 또는 결로방지운전모듈(320)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따라서, 상기 조작부(600)는 상기 제어부(300)의 각각의 모듈 선택 버튼 및 상기 자동 환기 시스템(1)의 작동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온/오프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상기 통풍구(700)는 상기 실내 공기 및 외기의 유체 흐름을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통풍구(700)는 상기 실내 외측문 중 상기 송풍팬(400)과 대향되는 상기 외측문 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송풍팬(400)의 가동에 따른 유체 흐름 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통풍구(7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송풍팬(400)의 가동에 따른 유체 흐름시 외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따라서, 상기 통풍구(700)는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통공 형상으로 상기 외측문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According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구동시키지 않아도 일정조건이 되면 외피 표면 결로 예방을 위해서 일정 시간 간헐적으로 환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내 절대습도가 결로 발생 절대습도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여 결로가 빈번히 발생되는 실내의 결로 발생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certain condition is met, even if the user does not manually drive it, the ventil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intermittent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prevent condensation on the surface of the outer skin, thereby reducing the indoor absolute humidity from condensation. By keeping the generated absolute humidity below the absolute humidity, it is possible to easily prevent the occurrence of dew condensation in the room where dew condensation frequently occurs.
또한, 제어부가 실내 벽체의 표면온도 및 노점온도를 비교하여 결로가 발생되었거나 결로 발생이 예상되는 결로 발생 조건값을 도출함으로써, 결로를 예방하는 자동 환기 시스템이 상시 구동되지 않고 결로 발생 조건값이 도출될 경우에만 구동될 수 있도록 하여 전력 소비를 현저히 절감하면서도 결로 방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surface temperature and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indoor wall and derives the condition value for occurrence of condensation where condensation has occurred or is expected to occur, so that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that prevents condensation is not always operated and the condition value for occurrence of condensation is derived There is an effect of achieving the purpose of preventing condensation while remarkably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llowing it to be driven only when necessary.
또한, 표면온도센서를 실내의 위치에 따라 제1표면온도센서 및 제2표면온도센서로 구성하여 송풍팬으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이 비교적 강하게 구동되어 실내의 환기력을 증대시키고, 송풍팬으로부터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이 약하게 구동되도록 결로 발생 위치에 따른 상기 송풍팬의 강도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저감시켜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is composed of a first surface temperature sensor and a second surface temperature senso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room, and condensation occurs at a location relatively far from the blowing fan, the blowing fan is driven relatively strongly to increase the ventilation power of the room. and by controlling the strength of the blowing fa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ndensation so that the blowing fan is driven weakly when condensation occurs at a position relatively close to the blowing fan, the efficiency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is increased and unnecessary It reduces power consumption so that economic effects can be seen.
또한, 온도, 습도, 표면 온도 및 노점 온도값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설계 변경 없이도 기존의 건축물에 바로 적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operation can be controlled by temperature, humidity, surface temperature, and dew point temperature, so that it can be directly applied to an existing building without a separate design change.
아울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 및 통풍구의 구성만으로도 결로가 빈번히 발생하는 실내의 환기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의 설치 공정이 간단하고 이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is simple and economical effect can be obtained by enabling ventilation of the room where condensation frequently occurs only by the configuration of the ventilation fan and the ventilation hole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make it possible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present inventors have adequately defined the concept of terms to describe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y can be substitut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that exist.
1 :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
100 : 온습도센서 200 : 표면온도센서
210 : 제1표면온도센서 220 : 제2표면온도센서
300 : 제어부 310 ; 상시운전모듈
320 : 결로방지운전모듈 400 : 송풍팬
500 : 표시부 600 : 조작부
700 : 통풍구1: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100: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00: surface temperature sensor
210: first surface temperature sensor 220: second surface temperature sensor
300:
320: anti-condensation operation module 400: blowing fan
500: display unit 600: operation unit
700: vent
Claims (9)
상기 실내의 벽체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표면온도센서;
상기 온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및 습도 값이 입력되어 결로 발생 조건값을 도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결로 발생 조건값은,
상기 온도 및 상기 습도 값을 기반으로 도출된 상기 실내의 노점 온도이며,
상기 표면온도센서는,
제1위치에 위치한 제1표면온도센서; 및
상기 제1표면온도센서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표면온도센서보다 먼 제2위치에 위치한 제2표면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을 상시 구동시키는 상시운전모듈; 및
상기 송풍팬을 상기 결로 발생 조건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결로방지운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결로방지운전모듈은,
상기 제1위치의 표면 온도 ≤ 노점 온도 일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위치의 결로를 제거 및 방지하도록 하는 상기 송풍팬의 제1작동모드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2위치의 표면 온도 ≤ 노점 온도 일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위치의 결로를 제거 및 방지하도록 하는 상기 송풍팬의 제2작동모드를 구동시키며,
상기 표면 온도 > 노점 온도 일 경우, 상기 송풍팬을 정지시키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제2작동모드의 풍속이 상기 제1작동모드의 풍속보다 크게 구동되어, 상기 제2작동모드시 상기 제1작동모드보다 실내의 환기력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that measures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a surface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wall in the room;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measured b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to derive a dew condensation condition value; and
Including; a blowing fan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condensation occurrence condition value is,
It is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room derived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value,
The surface temperature sensor is
a first surface temperature sensor located at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surface temperature sensor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temperature sens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located at a second position where the distance to the blowing fa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surface temperature sensor;
The control unit is
a regular operation module for constantly driving the blowing fan; and
Condensation prevention operation module for selectively driving the blower fan according to the condensation occurrence condition value;
The anti-condensation operation module,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irst position ≤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drives the first operation mode of the blowing fan to remove and prevent dew condensation at the first position,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second position ≤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drives a second operation mode of the blowing fan to remove and prevent dew condensation at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 dew point temperature, stop the blowing fan,
The blower fan,
The wind speed of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driven to be greater than the wind speed of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the ventilation power of the room is increas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an in the first operation mode.
상기 제어부는,
표면 온도 ≤ 노점 온도 일 경우, 상기 송풍팬을 작동시키고,
표면 온도 > 노점 온도 일 경우, 상기 송풍팬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blowing fan is operated,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wing fan is stopped.
상기 온도, 습도, 표면 온도, 노점 온도 및 상기 제어부의 설정 모듈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the temperature, humidity, surface temperature, dew point temperature, and a setting module of the control unit;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comprising a.
상기 제어부의 모듈이 사용자의 수동 조작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 및
상기 실내 공기 및 외기의 유체 흐름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용 자동 환기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a manipulation unit that allows the module of the control unit to be set by a user's manual operation; and
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for fluid flow of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2619A KR102272980B1 (en) | 2019-06-19 | 2019-06-19 | A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condensation preven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2619A KR102272980B1 (en) | 2019-06-19 | 2019-06-19 | A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condensation preven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4665A KR20200144665A (en) | 2020-12-30 |
KR102272980B1 true KR102272980B1 (en) | 2021-07-05 |
Family
ID=7408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2619A KR102272980B1 (en) | 2019-06-19 | 2019-06-19 | A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condensation preven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2980B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5212B1 (en) | 2013-03-05 | 2014-11-04 | (주)에이피 | Preventing dew type ventilation system |
KR20150145970A (en) * | 2014-06-20 | 2015-12-31 | 주식회사 케이티 |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remote sens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101790690B1 (en) * | 2015-07-02 | 2017-10-26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Ventilator having function of dew condensation prevention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 same |
KR20180041783A (en) * | 2016-10-13 | 2018-04-25 | (주)푸르고팜 | Low temperature storage having automated ventilator |
KR101904428B1 (en) * | 2017-02-15 | 2018-10-0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Ict-based indoor environment control method and system |
-
2019
- 2019-06-19 KR KR1020190072619A patent/KR102272980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4665A (en) | 2020-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349563A1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 |
SE0702099A1 (en) | Dehumidifying ventilation and control of air flow in confined spaces | |
US20200326086A1 (en) |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devic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 |
ATE530860T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BUILT INTO A ROOM CEIL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JP7195423B2 (en) | Air-conditioning and ventilation systems and controllers for air-conditioning and ventilation systems | |
CN205102269U (en) | Dew point temperature defrosting type changes in temperature components of a whole that can function independently air conditioner | |
EP3330628B1 (en) | Air-conditioning system, controller, and program | |
JP2012021730A (en) | Ventilation system | |
CN105752774A (en) |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of elevator air conditioner | |
KR102272980B1 (en) | A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for condensation prevention | |
Gil-Lopez et al. | Experimental analysis of energy savings and hygrothermal conditions improvement by means of air curtains in stores with intensive pedestrian traffic | |
CN111174343A (en) | Indoor anti-condensation dehumidif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 |
CN113167497A (en) |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 |
CN204693740U (en) | Indoor environment comfort tuning system | |
JP6830005B2 (en) | Prefabricated prefabricated refrigerator | |
WO2022024374A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densation prevention method | |
JP4022537B2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JPWO2017170491A1 (en) |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system, air conditioning method and program | |
CN109425070B (en) | Air conditioner dehumidification method | |
CN109378745A (en) | A kind of the environment automatic regulating system and adjusting method of substation control buildings | |
Chenari et al. | Towards energy-efficient ventilation in buildings: Development of the smart window ventilation system | |
US20110263192A1 (en) | Attic Ventilation System | |
Merema et al. | Impact of demand controlled ventilation on indoor air quality, ventilation effectiveness and energy efficiency in a school building | |
CN207555946U (en) | Processing device for improving condensation of capillary radiation air-conditioning system | |
JP5511595B2 (en) | Air conditioner and outside air cooling opera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