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694B1 -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2694B1 KR102272694B1 KR1020200003510A KR20200003510A KR102272694B1 KR 102272694 B1 KR102272694 B1 KR 102272694B1 KR 1020200003510 A KR1020200003510 A KR 1020200003510A KR 20200003510 A KR20200003510 A KR 20200003510A KR 102272694 B1 KR102272694 B1 KR 1022726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groove
- laundry
- frame portion
- auxili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빨래 건조가 완료된 경우에, 상단 또는 하단 외부 지지대가 홈을 개방시키는 상태로 전환된 후, 상단 또는 하단 제 2프레임부가 회동하여 상단 또는 하단 보조대가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건조된 빨래가 상기 상단 또는 하단 보조대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수거될 수 있는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빨래 건조가 완료된 경우에, 상단 또는 하단 외부 지지대가 홈을 개방시키는 상태로 전환된 후, 상단 또는 하단 제 2프레임부가 회동하여 상단 또는 하단 보조대가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건조된 빨래가 상기 상단 또는 하단 보조대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수거될 수 있는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정의 공간 내에서 다수의 빨래를 널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거치봉을 구비한 빨래 건조대가 개발되었다.
이후, 더 많은 빨래를 한 번에 널 수 있도록 한 빨래 건조대, 공간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접을 수 있는 접철식 빨래 건조대, 무거운 빨래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한 빨래 건조대 등으로 개량되었다.
관련문헌 1은 접이식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빨래의 하중에 대한 지지 링크의 지지력 상실을 방지하고, 접철 구조가 간단하면서, 빨래의 건조 완료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접이식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관련문헌 1은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측면 건조대, 탈부착 가능하고, 플렉시블한 메쉬 형태의 하단 건조대, 옷걸이의 거치를 위한 옷걸이 고정부가 구비되어 다수의 빨래를 널 수 있지만, 다수의 빨래가 널리는 만큼 상기 다수의 빨래가 건조되면 사용자가 각 거치봉에 거치된 빨래를 위로 들어 올리거나 아래로 잡아당기면서 하나씩 걷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빨래 건조대에서 빨래가 걸리는 부분인 보조대가 홈에서 이탈되어 지면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보조대에 널린 다수 개의 빨래가 지면 또는 바구니 안으로 미끄러져 한 번에 걷어질 수 있도록 하는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를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쪽 말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빨래를 널 수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상단부;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빨래를 널 수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하단부; 및 2개의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가 고정 및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는 빨래가 걸리는 상단 보조대; 상기 보조대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상단 제 1프레임부 및 상단 제 2프레임부;를 제공하고, 상기 상단 제 1프레임부는 상기 상단 보조대가 인입출될 수 있는 홈을 가지는 상단 내부 지지대;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홈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상단 외부 지지대; 및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가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는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 및 상단 내부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단 스프링; 및 상기 상단 스프링의 일단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의 일단부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버튼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는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에 구비된 다수 개의 홈과 같은 개수와 간격을 구비하고, “r” 형태의 홈을 구비한 상단 r 홈부; 및 상기 스토퍼를 수용하는 스토퍼 수용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빨래가 걸리는 하단 보조대; 상기 하단 보조대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하단 제 1프레임부 및 하단 제 2프레임부;를 제공하고, 상기 하단 제 1프레임부는, 상기 하단 보조대가 인입출될 수 있는 홈을 가지는 하단 내부 지지대; 및 상기 내부 지지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홈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하단 외부 지지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 및 하단 내부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단 스프링;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는 상기 하단 내부 지지대에 구비된 다수 개의 홈과 같은 개수와 간격을 구비하고, “r” 형태의 하단 r 홈부를 제공하고, 상기 하단 보조대는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하단 보조대의 중앙에 각각 위치하는 힌지부;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홈에서 이탈되어 지면방향으로 회전하는 보조대를 구비함으로써, 빨래 건조대 아래에 바구니를 위치시킨다면 상기 보조대에 널린 다수 개의 빨래가 바구니 내로 미끄러져 한 번에 걷어지므로 적은 힘으로 빨래를 수거할 수 있고, 수거된 빨래의 운반, 갬 등의 가사노동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스프링 및 버튼부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보조대가 걸려있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외부 지지대가 이동한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보조대가 이탈하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및 스토퍼 수용부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하단 보조대가 걸려있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하단 보조대가 이탈하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스프링 및 버튼부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보조대가 걸려있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외부 지지대가 이동한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보조대가 이탈하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및 스토퍼 수용부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하단 보조대가 걸려있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하단 보조대가 이탈하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쪽 말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빨래를 널 수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상단부(1),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빨래를 널 수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하단부(2), 및 2개의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1) 및 하단부(2)가 고정 및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부(3)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부(1)는 빨래가 걸리는 상단 보조대(11), 상기 상단 보조대(11)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상단 제 1프레임부(12) 및 상단 제 2프레임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제 1프레임부(12)는 상기 상단 보조대(11)가 인입출될 수 있는 홈을 가지는 상단 내부 지지대(121),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홈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상단 외부 지지대(122) 및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가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123)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해보면, 상기 상단부(1)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쪽 말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단부(1)가 펼쳐지면 날개 형상을 하고, 상기 상단부(1)가 펼쳐진 상태에서 빨래가 널린다.
다음으로, 상기 하단부(2)는 상기 힌지축과 지면 사이에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빨래가 널릴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구비된다. 상기 하단부(2)는 상기 상단부(1)보다는 상대적으로 빨래가 널리는 부분이 협소하므로 양말 등 크기가 작은 빨래가 널린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부(3)는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분지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철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2개의 다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리부는 “ㄷ” 형상을 하고, 상기 상단부(1) 및 하단부(2)가 지면에 고정 및 지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단 보조대(11)는 빨래가 널리는 부분으로, 상기 상단부(1)의 크기 내에서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단 제 1프레임부(12)와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13)는 일단이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상단 보조대(11)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단 제 1프레임부(12)와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13)는 상기 힌지축의 양측 말단에 각각 수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 제 1프레임부(12)와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13)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상기 상단 보조대(11)가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단 제 1프레임부(12)는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와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는 상기 상단 보조대(11)가 인입출될 수 있는 홈을 가진다.
상기 홈은 상기 상단 보조대(11)의 개수와 간격을 동일하게 갖는다. 그리고 상기 홈은 지면 방향과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13) 방향으로 천공되고, 여기서 지면 방향은 상기 홈이 지면을 마주보는 방향을 일컫고,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13) 방향은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13)를 마주보는 방향을 일컫는다.
상기 홈에서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13) 방향의 크기는 상기 상단 보조대(11)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고, 상기 홈에서 지면 방향의 크기는 상기 상단 보조대(11)가 이탈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단 외부지지대(122)는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홈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는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고,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 외부지지대(122)는 상기 상단 내부지지대(121) 보다 길이가 길어 소정의 공간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토퍼(123)는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단 보조대(11)가 이탈된 후 상기 상단 제 1프레임부(12)가 지면방향으로 떨어지는 경우, 중력에 의해서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가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123)는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를 고정한다.
상기 스토퍼(123)의 위치, 개수, 크기에 제약 없이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 및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에서 힌지축과 가까이 설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13)는 상기 상단 보조대(11)가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13)는 상기 상단 보조대(11)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부착되므로,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13)와 상기 상단 보조대(11)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빨래 건조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가 상기 홈을 개방시키는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상단 보조대(11)가 중력에 의해서 지면방향으로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13)도 지면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13) 일단에는 손잡이를 구비하므로,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가 상기 홈을 개방시키는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손잡이에 의해서 외력이 적용되면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13)가 외력의 방향으로 회동되고, 부착되어 있는 다수 개의 상기 상단 보조대(11)도 상기 홈을 이탈하면서 외력의 방향으로 회동된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스프링(14), 버튼부(15)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를 보면, 상기 상단부(1)는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 및 상단 내부 지지대(121)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단 스프링(14), 및 상기 상단 스프링(14)의 일단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의 일단부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버튼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 스프링(14)은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 및 상단 내부 지지대(121)의 길이 차이에 의한 소정의 공간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와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버튼부(15)와 접촉한다.
또한,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 및 상단 내부 지지대(121)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상단 스프링(14) 일단이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와 접착될 수 있고, 상기 상단 스프링(14) 타단이 상기 버튼부(15)와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5)는 상기 상단 스프링(14)의 일단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의 일단부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버튼부(15)는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버튼부(15)를 통하여 외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를 외력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빨래 수거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버튼부(15)를 통하여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 스프링(14)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가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를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홈이 개방된다.
반대로, 상기 버튼부(15)에 외력 작용이 해제되면 상기 상단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가 기본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홈이 개방된 상태에서 차폐된 상태로 변경된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보조대(11)가 걸려있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외부 지지대(122)가 이동한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상단 보조대(11)가 이탈하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보면,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 상기 상단 보조대(11), 상단 r 홈부(1221)의 일부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에 포함되는 상단 r 홈부(1221)는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에 구비된 다수 개의 홈과 같은 개수와 간격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 r 홈부(1221)는 상기 상단 제 2 프레임부(13)와 마주보는 방향의 경우 상기 상단 제 1프레임부(12)와 수평하게 천공되고, 지면과 마주보는 방향은 상기 상단 제 1프레임부(12)와 수직하게 천공되어 “r” 형태의 홈을 갖는다.
도 3 내지 도 5를 통해서 상기 상단 보조대(11)가 상기 상단 r 홈부(1221)에 걸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설명해보면, 우선 도 3에서는 상기 상단 보조대(11)는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에 구비된 하나의 홈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 스프링(14)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가 기본 위치에 있고, 상기 상단 보조대(11)는 상기 상단 r 홈부(1221)에 걸려있다.
즉, 상기 상단 보조대(11)는 상기 상단 r 홈부(122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빨래가 널어질 수 있다.
도 4를 보면, 상기 버튼부(15)를 통하여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상단 스프링(14)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가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를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홈이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 보조대(11)는 상기 상단 r 홈부(1221)의 지면 방향으로 천공된 부분에 위치된다.
도 5를 보면, 상기 상단 보조대(11)는 상기 상단 r 홈부(1221)의 지면 방향으로 천공된 부분에 위치되므로, 고정되지 못하고 지면 방향으로 이탈된다.
즉, 널려 있던 빨래가 상기 상단 보조대(11)와 같은 방향으로 떨어지게 되고, 사용자는 한 번에 건조된 빨래를 걷을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23) 및 스토퍼 수용부(1222)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을 보면,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에 포함되는 스토퍼 수용부(1222)는 상기 스토퍼(123)를 수용한다. 상기 스토퍼(123)는 앞서 언급했듯이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121)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 수용부(1222)는 상기 상단 r 홈부(1221)에서 상기 상단 제 1프레임부(12)와 수평하게 천공된 홈과 같은 길이를 갖는데, 이는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122)가 외력에 의해 움직일 경우 상기 스토퍼(123)에 방해받지 않고, 상기 상단 r 홈부(1221)의 길이만큼 충분히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8을 이용하여 상기 하단부(2)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하단 보조대(21)가 걸려있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하단 보조대(21)가 이탈하는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상기 하단부(2)는 빨래가 걸리는 하단 보조대(21), 상기 하단 보조대(21)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하단 제 1프레임부(22) 및 하단 제 2프레임부(23)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제 1프레임부(22)는 상기 하단 보조대(21)가 인입출될 수 있는 홈을 가지는 하단 내부 지지대(221) 및 상기 내부 지지대(221)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홈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하단 외부 지지대(2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단부는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 및 하단 내부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단 스프링(24)을 포함한다.
상기 하단 보조대(21)는 빨래가 널리는 부분으로, 상기 하단부(2)의 크기 내에서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단 제 1프레임부(22)와 상기 하단 제 2프레임부(23)는 양단이 상기 “ㄷ” 형상을 한 2개의 다리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하단부(2)에 빨래가 걸릴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상의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 보조대(21)의 양단이 상기 하단 제 1프레임부(22)와 상기 하단 제 2프레임부(23)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하단부(2)의 크기 내에서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단 제 1프레임부(22)는 상기 하단 내부 지지대(221)와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222)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 내부 지지대(221)는 상기 하단 보조대(21)가 인입출될 수 있는 홈을 가진다.
상기 홈은 상기 하단 보조대(21)의 개수와 간격을 동일하게 갖는다. 그리고 상기 홈은 지면 방향과 상기 하단 제 2프레임부(23) 방향으로 천공되고, 여기서 지면 방향은 상기 홈이 지면을 마주보는 방향을 일컫고, 상기 하단 제 2프레임부(23) 방향은 상기 하단 제 2프레임부(23)를 마주보는 방향을 일컫는다.
상기 홈에서 상기 하단 제 2프레임부(23) 방향의 크기는 상기 하단 보조대(21)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고, 상기 홈에서 지면 방향의 크기는 상기 하단 보조대(21)가 이탈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다.
다음으로, 상기 하단 외부지지대(222)는 상기 하단 내부 지지대(221)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홈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222)는 상기 하단 내부 지지대(221)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고,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 외부지지대(222)는 상기 하단 내부 지지대(221)와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상기 홈을 개방 및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하단 내부지지대(221)보다 길이가 짧다.
다음으로, 상기 하단 제 2프레임부(23)는 상기 하단 보조대(21)가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단 제 2프레임부(23)는 상기 하단 보조대(21)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부착되므로, 상기 하단 제 2프레임부(23)와 상기 하단 보조대(21)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빨래 건조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222)가 슬라이드 되어 상기 홈을 개방시키는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하단 보조대(21)가 중력에 의해서 상기 홈으로부터 지면방향으로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하단 제 2프레임부(23)도 지면방향으로 회동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단 스프링(24)은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222) 및 상기 하단 내부 지지대(221)의 사이에 설치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단 내부 지지대(221)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 일단(222)과 접촉된다.
도 7을 보면, 상기 하단부(2)에서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222)에 외력 작용이 해제되면 상기 하단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222)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홈이 차폐된다.
그리고 도 8을 보면, 상기 하단부(2)에서 빨래 수거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222)에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하단 스프링(24)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222)가 상기 하단 내부 지지대(221)를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홈이 개방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222)에 포함되는 하단 r 홈부(2221)는 상기 하단 내부 지지대(221)에 구비된 다수 개의 홈과 같은 개수와 간격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 r 홈부(2221)는 상기 하단 제 2 프레임부(23)와 마주보는 방향의 경우 상기 하단 제 1프레임부(22)와 수평하게 천공되고, 지면과 마주보는 방향은 상기 하단 제 1프레임부(22)와 수직하게 천공되어 “r” 형태의 홈을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하단 보조대(21)는 빨래 건조대가 완전히 접철되도록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하단 보조대(21)의 중앙에 각각 위치하는 힌지부(211)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도 8과 같이 상기 하단 보조대(21)가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211)에 의하여 상기 하단부(2)가 상기 빨래 건조대의 베이스프레임부(3)와 함께 완전히 접철될 수 있다.
처음에 빨래 건조대를 펼치면 도 8과 같이 상기 하단 보조대(21)가 상기 하단 내부 지지대(221)로부터 이탈되어 있다.
빨래를 걸기 위해서는 도 7과 같이 상기 하단 내부 지지대(221)에 상기 하단 보조대(21)를 수용하고,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222)를 상기 홈을 차폐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하단 보조대(21)가 걸리도록 한다.
빨래를 걷거나 빨래 건조대를 접철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단 보조대(21)가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222)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222)를 상기 홈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하단 보조대(21)가 이탈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홈에서 이탈되어 지면방향으로 회전하는 상단 보조대(11) 및 하단 보조대(12)를 구비함으로써, 빨래 건조대 아래에 바구니를 위치시킨다면 상기 상단 보조대(11) 및 하단 보조대(12)에 널린 다수 개의 빨래가 바구니 내로 미끄러져 한 번에 걷어지므로 적은 힘으로 빨래를 수거할 수 있고, 수거된 빨래의 운반, 갬 등의 가사노동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시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해되거나, 및/ 또는 으로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상단부
11.. 상단 보조대
12.. 상단 제 1프레임부
121.. 상단 내부 지지대
122.. 상단 외부 지지대
123.. 스토퍼
1221.. 상단 r 홈부
1222.. 스토퍼 수용부
13.. 상단 제 2프레임부
14.. 상단 스프링
15.. 버튼부
2.. 하단부
21.. 하단 보조대
211.. 힌지부
22.. 하단 제 1프레임부
221.. 하단 내부 지지대
222.. 하단 외부 지지대
2221.. 하단 r 홈부
23.. 하단 제 2프레임부
24.. 하단 스프링
3.. 베이스프레임부
11.. 상단 보조대
12.. 상단 제 1프레임부
121.. 상단 내부 지지대
122.. 상단 외부 지지대
123.. 스토퍼
1221.. 상단 r 홈부
1222.. 스토퍼 수용부
13.. 상단 제 2프레임부
14.. 상단 스프링
15.. 버튼부
2.. 하단부
21.. 하단 보조대
211.. 힌지부
22.. 하단 제 1프레임부
221.. 하단 내부 지지대
222.. 하단 외부 지지대
2221.. 하단 r 홈부
23.. 하단 제 2프레임부
24.. 하단 스프링
3.. 베이스프레임부
Claims (7)
-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쪽 말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빨래를 널 수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상단부;
상기 힌지축과 지면 사이에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빨래를 널 수 있는 부분을 구비하는 하단부; 및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분지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철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2개의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가 고정 및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는,
빨래가 걸리는 상단 보조대;
일단이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상단 보조대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상단 제 1프레임부 및 상단 제 2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제 1프레임부는,
상기 상단 보조대가 인입출될 수 있는 홈을 가지는 상단 내부 지지대;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홈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상단 외부 지지대; 및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가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는,
상기 상단 보조대가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빨래 건조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가 상기 홈을 개방시키는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가 회동하여 상기 상단 보조대가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빨래가 상기 상단 보조대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수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는,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 및 상단 내부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단 스프링; 및
상기 상단 스프링의 일단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의 일단부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빨래 수거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버튼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상단 스프링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가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를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홈이 개방되고,
상기 버튼부에 외력 작용이 해제되면 상기 상단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홈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외부 지지대는,
상기 상단 내부 지지대에 구비된 다수 개의 홈과 같은 개수와 간격을 구비하고, “r” 형태로 상기 상단 제 2프레임부와 마주보는 방향은 상기 상단 제 1프레임부와 수평하게 천공되고, 지면과 마주보는 방향은 상기 상단 제 1프레임부와 수직하게 천공되어 상기 상단 보조대가 걸리거나 이탈되도록 하는 상단 r 홈부; 및
상기 상단 r 홈부에서 상기 상단 제 1프레임부와 수평하게 천공된 홈과 같은 길이를 갖고, 상기 스토퍼를 수용하는 스토퍼 수용부;를 포함하는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빨래가 걸리는 하단 보조대;
양단이 2개의 다리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하단 보조대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하단 제 1프레임부 및 하단 제 2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제 1프레임부는,
상기 하단 보조대가 인입출될 수 있는 홈을 가지는 하단 내부 지지대; 및
상기 하단 내부 지지대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홈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하단 외부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제 2프레임부는,
상기 하단 보조대가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빨래 건조가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가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홈을 개방시키는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하단 제 2프레임부가 회동하여 상기 하단 보조대가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 빨래가 상기 하단 보조대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수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 및 하단 내부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단 스프링;을 포함하고,
빨래 수거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에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하단 스프링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가 상기 하단 내부 지지대를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홈이 개방되고,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에 외력 작용이 해제되면 상기 하단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홈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외부 지지대는,
상기 하단 내부 지지대에 구비된 다수 개의 홈과 같은 개수와 간격을 구비하고, “r” 형태로 하단 제 2프레임부와 마주보는 방향은 상기 하단 제 1프레임부와 수평하게 천공되고, 지면과 마주보는 방향은 상기 하단 제 1프레임부와 수직하게 천공되어 상기 하단 보조대가 걸리거나 이탈되도록 하는 하단 r 홈부;를 포함하는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보조대는,
상기 빨래 건조대가 완전히 접철되도록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하단 보조대의 중앙에 각각 위치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3510A KR102272694B1 (ko) | 2020-01-10 | 2020-01-10 |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3510A KR102272694B1 (ko) | 2020-01-10 | 2020-01-10 |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2694B1 true KR102272694B1 (ko) | 2021-07-02 |
Family
ID=7689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3510A KR102272694B1 (ko) | 2020-01-10 | 2020-01-10 |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269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6046Y1 (ko) * | 2002-02-23 | 2002-05-18 | 유창호 | 빨래건조대의 보조 걸이대 삽입장치 |
KR20040049701A (ko) * | 2002-12-06 | 2004-06-12 | 강수원 | 빨래건조대의 걸이대의 결합구조 |
KR200411419Y1 (ko) * | 2005-09-05 | 2006-03-14 | 손혜령 | 마른 빨래를 손쉽게 걷을 수 있는 빨래 건조대. |
KR20090089746A (ko) * | 2008-02-19 | 2009-08-24 | 한상관 | 세탁물 널기가 편리한 이동식 건조대 |
KR20140095372A (ko) * | 2013-01-24 | 2014-08-01 | (주)에이치에스엘 | 빨래 건조대 |
KR102013401B1 (ko) | 2017-11-01 | 2019-08-22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접이식 빨래 건조대 |
-
2020
- 2020-01-10 KR KR1020200003510A patent/KR1022726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6046Y1 (ko) * | 2002-02-23 | 2002-05-18 | 유창호 | 빨래건조대의 보조 걸이대 삽입장치 |
KR20040049701A (ko) * | 2002-12-06 | 2004-06-12 | 강수원 | 빨래건조대의 걸이대의 결합구조 |
KR200411419Y1 (ko) * | 2005-09-05 | 2006-03-14 | 손혜령 | 마른 빨래를 손쉽게 걷을 수 있는 빨래 건조대. |
KR20090089746A (ko) * | 2008-02-19 | 2009-08-24 | 한상관 | 세탁물 널기가 편리한 이동식 건조대 |
KR20140095372A (ko) * | 2013-01-24 | 2014-08-01 | (주)에이치에스엘 | 빨래 건조대 |
KR102013401B1 (ko) | 2017-11-01 | 2019-08-22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접이식 빨래 건조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222909A1 (en) | Drying apparatus | |
US3132745A (en) | Devices for hanging out washing | |
KR102272694B1 (ko) | 봉 분리를 이용한 자동 빨래 건조대 | |
KR101639425B1 (ko) | 빨래 건조대 | |
US20120293052A1 (en) | Work top and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laundry hanging device | |
KR102247771B1 (ko) | 세탁물건조대 | |
KR200381878Y1 (ko) | 절첩식 빨래건조대 | |
KR20210101821A (ko) | 건조대 겸용 세탁물바구니 | |
EP1783265A1 (en) | Collapsible airer | |
KR200469090Y1 (ko) | 접이식 빨래건조대 | |
KR101305050B1 (ko) | 분리식 세탁물 건조대 | |
US20170188702A1 (en) | Front loading washer/dryer shelf | |
EP1001071A1 (en) | Clothes drying rack | |
KR20120059137A (ko) | 빨래건조대 | |
KR20170095080A (ko) | 파라솔이 장착된 빨래 건조대 | |
JP4668115B2 (ja) | 物干し具 | |
KR101391581B1 (ko) | 세탁물 널기가 편리한 이동식 건조대 | |
CN214362348U (zh) | 一种晾衣机用卷帘式晒篮结构 | |
WO2020006829A1 (zh) | 一种可固定收折式衣篓 | |
KR20130053294A (ko) | 속옷 가리개를 갖는 접이식 빨래 건조대 | |
KR200449636Y1 (ko) | 빨래 건조대 | |
KR101291733B1 (ko) | 빨래건조대 | |
EP2546404A2 (en) | Laundry dryer | |
JP3075720U (ja) | 折り畳み型物干し具 | |
CN109618681A (zh) | 一种玉米粒晾晒伞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