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263B1 - 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263B1
KR102272263B1 KR1020190019120A KR20190019120A KR102272263B1 KR 102272263 B1 KR102272263 B1 KR 102272263B1 KR 1020190019120 A KR1020190019120 A KR 1020190019120A KR 20190019120 A KR20190019120 A KR 20190019120A KR 102272263 B1 KR102272263 B1 KR 102272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unit
storage tank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1016A (ko
Inventor
이윤희
Original Assignee
이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희 filed Critical 이윤희
Priority to KR1020190019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26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28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humid 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생화가 지지되며 상기 생화로 물을 제공하는 물공급몸체를 갖는 화환의 물공급장치는 긴 관 형상을 갖고 공기가 연통되는 연통로를 갖는 연통부, 연통로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및 연통부를 냉각시키는 복수의 열전소자로 이루어지는 냉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공급장치{Wat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환이나 화분 등의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행사장 같은 공공의 장소에서 전시되는 화환이나 거리의 미화를 위하여 길가에 배치된 화분 등의 꽃과 관상 식물은 주기적으로 물급해 주어야 한다. 이를 관리하기 위하여 관리인은 꽃과 관상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몸체에 물이 충분히 있는 지 확인한 후 물을 옮겨와서 물공급몸체에 일일이 물을 공급한다.
그러나 화환이나 화분이 다수인 경우 또는 관리인의 관리가 소홀해지는 경우 등 화환의 꽃과 화분에 물이 공급되지 않아 꽃과 관상 식물이 시드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그래서 화환이나 화분이 해당 장소에 배치된 이후 관리가 소홀한 상태에서도 물공급몸체에 물이 부족한지 부족하지 않은 지 확인할 수 있으며, 물을 옮겨오지 않고도 물공급몸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환이나 화분의 물공급몸체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생화가 지지되며 상기 생화로 물을 제공하는 물공급몸체를 갖는 화환의 물공급장치는, 긴 관 형상을 갖고 공기가 연통되는 연통로를 갖는 연통부; 상기 연통로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연통부를 냉각시키는 복수의 열전소자로 이루어지는 냉각부를 포함한다. 냉각부에 의해 연통부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공기 중의 습도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되며 이 응축수가 물공급몸체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몸체의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센서, 상기 화환의 주변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온도 및 습도에 따른 상기 물공급몸체의 물소모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수분센서로부터 상기 물공급몸체의 수분부족으로 판단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냉각부와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화환 주변의 온도와 습도에 따른 물소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냉각부의 냉각온도와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면 물공급몸체에 물이 부족한 지를 파악하고 화환 주변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물공급몸체의 물증발속도를 파악하여 적어도 물공급몸체의 물증발속도보다 많은 응축수가 생성되도록 냉각부의 냉각온도와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와 연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연통부에서 생성된 응축수을 저장하는 물저장조; 상기 물저장조의 물을 상기 물공급몸체로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 및 상기 물공급부를 따른 물이동을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물저장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와 상기 물저장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분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가 상기 물공급몸체의 수분부족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개방시간만큼 개방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며,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물저장조의 부족수위에 대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냉각부와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면 물공급몸체에 수분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물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물공급몸체에 공급하고, 물저장조의 물수위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송풍팬과 냉각부를 제어하여 응축수를 생성하여 물저장조를 채울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화환 주변의 온도와 습도에 따른 물소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저장조의 안정공급수위에 이르는 목표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목표시간에 상기 물저장조의 수위가 상기 안정공급수위가 되도록 상기 냉각부의 냉각온도와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제어하면 짧은 주기로 물공급장치를 가동하지 않아도 되며 기설정된 주기로 물공급장치를 가동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물공급부와 연결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 물저장조와 상기 물공급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복수의 물공급부는 상기 물저장조의 하단으로부터 관 형상을 갖고 연장형성되며, 수지재질의 상기 물공급몸체에 꽂히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면 물공급몸체와 물공급장치가 화환과 화분에 안정되게 고정 설치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통부는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냉각핀을 더 가지면 공기의 냉각효율이 상승되며 응축수의 생성효율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부에 의해 연통부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공기 중의 습도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되며 이 응축수가 물공급몸체로 공급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공급몸체에 물이 부족한 지를 파악하고 화환 주변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물공급몸체의 물증발속도를 파악하여 적어도 물공급몸체의 물증발속도보다 많은 응축수가 생성되도록 냉각부의 냉각온도와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물공급몸체에 공급하고, 물저장조의 물수위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송풍팬과 냉각부를 제어하여 응축수를 생성하여 물저장조를 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환 주변의 온도와 습도에 따른 물소모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시간에 대한 산출된 물저장조의 안정공급수위가 되도록 냉각부의 냉각온도와 송풍팬의 속도를 제어하면 짧은 주기로 물공급장치를 가동하지 않아도 되며 기설정된 주기로 물공급장치를 가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우징, 고정부, 복수의 물공급부는 물공급몸체에 꽂히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면 물공급몸체와 물공급장치가 화환과 화분에 안정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통부의 냉각핀으로 인해 공기의 냉각효율이 상승되며 응축수의 생성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물공급장치의 측면 예시도.
도 3과 4는 연통부와 냉각부의 예시도.
도 5는 물공급장치의 변형 예시도.
도 6은 변형된 실시 예의 물공급장치 분해도.
도 7은 도 6의 물공급부의 상세도.
도 8은 물공급장치의 제어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공급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화환(3)이나 화분은 물공급몸체(2)를 가지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물공급몸체(2)는 화환(3)이나 화분에 지지되어 꽃이나 관상 식물 등의 식물이 꽂아지거나 얹어지거나 심어지게 되며 사용자에 의해 머금은 물을 꽃이나 관상 식물 등의 식물로 공급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공급장치(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물공급장치(1)의 측면 예시도이고, 도 3은 연통부(10)와 냉각부(30)의 예시도이며, 도 4는 물공급장치(1)의 변형 예시도이고, 도 5는 물공급장치(1)의 제어블록도이다. 물공급장치(1)는 연통부(10), 송풍팬(20), 냉각부(30), 센서부(40), 물저장조(50), 물공급부(60), 밸브(70), 하우징(80), 고정부(81), 전원공급부(82)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연통부(10)는 긴 관 형상을 갖는다. 연통부(10)는 공기가 연통되는 연통로가 형성된다. 연통부(10)는 연통본체(100), 냉각핀(110) 및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연통본체(100)는 긴 관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을 가진다. 냉각핀(110)은 연통본체(100)의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냉각핀(110)은 연통본체(100)의 중공을 지나가는 공기가 최대로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은 어느 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결합부(120)는 후술할 물저장조(50)의 암나사산의 연통부결합부(510)에 결합되도록 숫나사산을 갖는다. 결합부(120)는 연통본체(100) 일단의 말단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120)와 연통부결합부(510)는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결합, 끼임결합, 물림결합 등의 결합으로 결합되어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20)은 연통로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송풍팬(20)은 송풍날개(200), 날개지지대(210), 날개커버(220) 및 송풍모터(230)을 포함한다. 송풍날개(200)는 회전되어 공기를 유동시킨다. 날개지지대(210)는 송풍날개(200)를 연통부(100)에 지지하도록 한다. 날개지지대(210)는 송풍날개(200)에 형성된 회전축공에 삽입되는 회전축을 갖고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날개커버(220)는 연통본체(100)에 지지되며 얇은 철사같은 형상을 갖고 송풍날개(200)를 둘러싼다. 송풍모터(230)는 송풍날개(2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을 갖고 송풍날개(20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송풍모터(230)는 후술할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송풍날개(2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냉각부(30)는 연통부(10)를 냉각시키는 복수의 열전소자로 이루어진다. 냉각부(30)의 열전소자는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각종 효과를 이용한 소자의 총칭이다. 회로의 안정화와 열, 전력, 빛 검출 등에 사용하는 서미스터, 온도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제베크 효과를 이용한 소자, 냉동기나 항온조제작에 사용되는 펠티에 소자 등이 있다. 여기서, 펠티에 효과는 2종류의 금속 끝을 접속시켜, 여기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전류 방향에 따라 한쪽 단자는 흡열하고, 다른 쪽 단자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2종류의 금속 대신 전기전도 방식이 다른 비스무트·텔루륨 등 반도체를 사용하면, 효율성 높은 흡열·발열 작용을 하는 펠티에 소자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전류 방향에 따라 흡열/발열의 전환이 가능하고, 전류량에 따라 흡열/발열량이 조절되므로, 용량이 적은 냉동기 또는 상온 부근의 정밀한 항온조(恒溫槽) 제작에 응용한다. 펠티에 소자는 펠티에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N형과 P형의 반도체를 한 번씩 사용하여 발열과 흡열 반응을 일으킨다. 냉각부(30)의 열전소자는 상기와 같이 발열부와 흡열부를 모두 가지고 형성될 수도 있으며 흡열부만을 가지고 형성될 수도 있다. 냉각부(30)의 열전소자는 연통부(10) 중공의 배면측 즉, 외측에 부착되어 연통부(10)를 냉각시킨다.
센서부(40)는 수분센서(400), 온도센서(410), 습도센서(420) 및 수위센서(430)를 포함한다. 수분센서(400)는 물공급몸체(2)에 꽃이나 관상 식물 등의 식물이 연결된 영역의 하방이나 인근에 배치되어 꽃이나 관상 식물 등의 식물로 공급 가능한 물공급몸체(2)의 수분량을 감지한다. 그러므로, 수분센서(400)는 물공급몸체(2)의 하부측이 아닌 꽃이나 관상 식물 등의 식물이 연결된 영역에 배치되어 꽃이나 관상 식물 등의 식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지 없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센서(410)와 습도센서(420)는 화환(3)의 주변 온도와 습도를 감지한다. 온도센서(410)와 습도센서(420)는 화환(3)에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호한(30)이 배치된 건물에 지지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온도센서(410)와 습도센서(420)는 햇볕을 피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위센서(430)는 후술할 물저장조(50)에 배치되어 물저장조의 수위를 감지한다.
물저장조(50)는 연통부(10)와 연통되게 결합되어 연통부(10)에서 생성된 응축수을 저장한다. 물저장조(50)는 물탱크(500), 연통부결합부(510) 및 배기부(520)를 갖는다. 물탱크(500)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일측에는 연통부결합부(510)가 형성되어 연통부(10)의 결합부(120)이 결합되도록 한다. 연통부결합부(510)는 물탱크(500)의 일측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물탱크(50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연장되며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연통부결합부(510)는 결합부(120)와의 결합형태에 따라 형성 가능하다. 배기부(520)는 물탱크(500)의 상측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배기부(520)는 물탱크(500)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관상을 가지며 공기의 입출을 단속하도록 하는 배기밸브(521)를 가진다. 배기밸브(521)는 후술할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개폐를 한다.
물공급부(60)는 물저장조(50)의 물을 물공급몸체(2)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부 역할을 한다. 물공급부(60)는 물공급몸체(2)의 복수의 위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물공급부(60)는 휘어지는 재질의 물배관라인으로 형성되어 물공급몸체(2)의 어느 위치로든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공급부(60)는 물저장조(50)의 하단으로부터 관 형상을 갖고 연장형성되며, 수지재질의 물공급몸체(2)에 꽂히도록 하는 죽창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밸브(70)는 물공급부(60)를 따른 물이동을 단속한다. 밸브(70)는 후술할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개폐를 한다.
하우징(80)은 물공급몸체(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물공급부(60)와 연결된다. 하우징(80)은 물공급몸체(2)와 물저장조(50) 또는 연통부(10)를 고정시키며 지지한다. 하우징(80)은 물공급몸체(2)가 안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부와 중간부는 꽃이나 식물이 연결되도록 얇은 막대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하부는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는 물이 담기는 그릇 형상을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81)는 물저장조(50)와 물공급몸체(2)를 고정시킨다. 고정부(81)는 물저장조(50)의 하측에 마련되어 물공급몸체(2)에 꽂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81)는 띠형상으로 마련되어 물공급몸체(2)를 조이면서 고정시키게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고정되기도 하면 쉽게 탈착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82)는 전기를 필요로하는 송풍모터(230), 냉각부(30)의 열전소자, 센서부(40), 밸브(70) 및 제어부(9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8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분배할 수도 있으며, 충전지나 배터리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부(90)는 온도 및 습도에 따른 물공급몸체(2)의 물소모정보를 저장하며, 수분센서(400)로부터 물공급몸체(2)의 수분부족으로 판단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냉각부(30)와 송풍팬(20)을 제어하고, 온도센서(410)와 습도센서(420)로부터 수신된 화환 주변의 온도와 습도에 따른 물소모정보에 기초하여 냉각부(30)의 냉각온도와 송풍팬(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제어부(90)는 수분센서(400)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가 물공급몸체(2)의 수분부족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개방시간만큼 개방하도록 밸브(70)를 제어하며, 수위센서(430)로부터 수신되는 물저장조(50)의 부족수위에 대한 감지신호에 따라 냉각부(30)와 송풍팬(20)을 제어한다.
제어부(90)는 온도센서(410)와 습도센서(420)로부터 수신된 화환(30) 주변의 온도와 습도에 따른 물소모정보에 기초하여 물저장조(50)의 안정공급수위에 이르는 목표시간을 산출하며, 목표시간에 물저장조(50)의 수위가 안정공급수위가 되도록 냉각부(30)의 냉각온도와 송풍팬(20)의 속도를 제어한다. 물소모정보는 온도와 습도에 따라 물이 증발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물소모정보에 따라 물공급몸체(2)에서 물이 증발되는 량을 산출하고 응축수의 생성량을 산출하여 목표시간을 산출하면 이에 따라 냉각부(30)의 냉각온도와 송풍팬(20)의 속도를 산출하여 응축수를 생성한다.
도 3과 4는 연통부(300, 320)와 냉각부(310, 330)의 예시도이다.
도 3(a)와 (b) 연통부(300)의 연통본체(301) 외측이 원기둥 형상이며 중공으로 관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부(310)의 열전소자는 연통본체(301)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으며, 연통본체(301)의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냉각핀(302)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4(a)와 (b) 연통부(320)의 연통본체(321) 외측이 사각기둥 형상이며, 길이방향으로 관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부(330)의 열전소자는 연통본체(321)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으며, 연통본체(321)의 내측으로 냉각핀(322)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냉각핀(322)의 형상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가면서 물결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핀(322)에 공기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도 5는 물공급장치(1)의 변형 예시도이다.
도 5(a) 연통부(10)가 물저장조(50)에 연결되어 있으며, 물저장조(50)가 물공급몸체(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물공급부(61, 62, 63)가 복수로 마련되며, 물공급몸체(2)의 상부 측면 3곳의 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물공급부(61, 62, 63)의 중간 상에는 물이동을 단속하는 밸브(71, 72, 73)가 설치되어 있다.
도 5(b) 물공급부(61, 62, 63)의 말단이 죽창 형상으로 마련되어 물공급몸체(2)에 꽂혀져 있다. 물저장조(50)의 하측 또는 후방측에는 고정부(81)가 마련되어 물공급몸체(2)에 꽂혀서 물저장조(50)가 물공급몸체(2)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도 6은 변형된 실시 예의 물공급장치(1) 분해도이다.
송풍기(720)가 연결된 연통부(710)의 하단영역에는 물저장조(750)의 연통부결합부(752)에 결합되는 결합부(713)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부결합부(752)와 결합부(713)는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 되어 있지만, 물림결합, 끼임결합 등의 원터치결합으로 결합과 해제가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물저장조(750)는 상단에 연통부결합부(7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의 일측에 함몰되어 형성된 배터리수용부를 가질 수 있다. 물저장조(750)의 측면에는 물공급부(760)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복수 개의 물공급공(753)이 형성된다.
하우징(780)의 하단영역은 물공급몸체(2)의 하단부분을 수용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며, 물공급부(760)와 결합되어 물저장조(750)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800)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공(781)이 복수 개 형성된다. 연결부(800)는 연결공(781)에 삽입되며 물공급공(753)에도 삽입된다. 연결부(800)는 물공급부(760)에 연결되어 물저장조(750)의 물을 하우징(780)에 수용된 물공급몸체(2)로 공급한다.
도 7은 물공급부(760)와 연결부(800)의 상세도이다.
물공급부(760)는 물저장조(750)의 측벽에 형성된 물공급공(753)에 배치된다. 물공급부(760)는 물공급본체(761), 물개폐부(762), 탄성부재(763), 연결부결합공(764) 및 물개폐공(765)를 갖는다. 물공급본체(761)는 물저장조(750)의 측벽에 일체로 물저장조(75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으며, 물저장조(750)의 측벽에 결합될 수도 있다. 물공급본체(761)의 외측은 원기둥형상을 가지며, 물개폐부(762)와 탄성부재(763)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진다. 물개폐부(762)는 일측이 원뿔형상을 가지고, 타측은 물저장조(750)의 내측으로부터 물저장조(750)의 측벽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763)가 지지된다. 물개폐부(762)는 원뿔형상의 축선에 대한 외측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함몰형성된 물이동슬롯(762-1)이 형성된다. 연결부(800)에 의해 물개폐부(76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물이동슬롯(762-1)을 따라 물저장조(750)의 물이 이동된다.
탄성부재(763)는 일측이 물공급본체(761)에 지지되며, 타측이 물개폐부(762)에 지지되며 물개폐부(762)가 연결부결합공(764)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한다. 연결부결합공(764)은 축선을 따라 연결부(800)의 숫나사산이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된 연결공으로 형성된다. 물개폐공(765)은 물개폐부(762)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물개폐부(762)의 일측형상이 원뿔형상이므로 물개폐공(765)은 이에 대응한 원뿔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연결부(800)는 연결본체(801), 연결결합부(802), 연결공(803), 오링(804) 및 개폐지지부(805)를 갖는다. 연결본체(801)는 볼트 형상을 갖는다. 연결본체(801)는 연결결합부(802)와 머리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연결결합부(802)는 숫나사산으로 형성된다. 연결공(803)은 연결본체(801)의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물이 이동되도록 연통된다. 오링(804)은 연결본체(801)의 머리부분에 배치되어 연결결합부(802)가 연결부결합공(764)에 결합되는 경우 연결본체(801)의 머리부분과 하우징(780) 사이에서 압착되어 물저장조(750)의 물이 새어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개폐지지부(805)는 연결부(800)는 머리부분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공(803)의 적어도 하나 이상 대향하게 연결되어 물개폐부(762)가 연결공(803)을 막지 않도록 하며, 판면에 다수의 연통공(805-1)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물저장조(750)의 물이 하우징(780)에 배치된 물공급몸체(2)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실시 예외에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상기의 물공급장치에 추가하여 통신부를 가질 수 있다. 물공급장치는 사용자에게 물공급에 대한 상태를 알릴 수 있다. 통신부를 통하여 물공급장치의 전원을 공급하여야 한다는 등의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장치로 알릴 수도 있다.
열전소자는 흡열부가 되기도 하고 발열부가 되기도 하므로 화환 주변의 온도가 기설정된 화환의 생장온도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즉, 추운 경우 냉각부가 온열부가 되어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고 더운 경우는 냉각부로 동작이 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연통부(10)와 물저장조(50)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터치로 결합 및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물공급부(760)와 연결부(800)도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이 또한 원터치로 결합 및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수단에 의해 구형 가능하다.
상기의 물공급장치(1)로 인하여, 냉각부(30)에 의해 연통부(10)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공기 중의 습도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되며 이 응축수가 물공급몸체(2)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물공급몸체(2)에 물이 부족한 지를 파악하고 화환(3) 주변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물공급몸체(2)의 물증발속도를 파악하여 적어도 물공급몸체의 물증발속도보다 많은 응축수가 생성되도록 냉각부(30)의 냉각온도와 송풍팬(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물저장조(50)에 저장된 물을 물공급몸체(2)에 공급하고, 물저장조(50)의 물수위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송풍팬(20)과 냉각부(30)를 제어하여 응축수를 생성하여 물저장조(50)를 수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화환(30) 주변의 온도와 습도에 따른 물소모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시간에 대한 산출된 물저장조(50)의 안정공급수위가 되도록 냉각부(30)의 냉각온도와 송풍팬(20)의 속도를 제어하면 짧은 주기로 물공급장치(1)를 가동하지 않아도 되며 기설정된 주기로 가동할 수 있다. 하우징(80), 고정부(81), 복수의 물공급부(61, 62, 63)는 물공급몸체(2)에 꽂히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면 물공급몸체(2)와 물공급장치(1)가 화환(3)과 화분에 안정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연통부(10)의 냉각핀(110)으로 인해 공기의 냉각효율이 상승되며 응축수의 생성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1 : 물공급장치 2 : 물공급몸체
3: 화환 10 : 연통부
20 : 송풍팬 30 : 냉각부
40 : 센서부 50 : 물저장조
60 : 물공급부 70 : 밸브
80 : 하우징 81 : 고정부
82 : 전원공급부 90 : 제어부
100 : 연통본체 110 : 냉각핀
120 : 결합부 200 : 송풍날개
210 : 날개지지대 220 : 날개커버
230 : 송풍모터 400 : 수분센서
410 : 온도센서 420 : 습도센서
430 : 수위센서 500 : 물탱크
510 : 연통부결합부 520 : 배기공
521 : 배기밸브

Claims (8)

  1. 생화가 지지되며 상기 생화로 물을 제공하는 물공급몸체를 갖는 화환의 물공급장치에 있어서,
    긴 관 형상을 갖고 공기가 연통되는 연통로를 갖는 연통부;
    상기 연통로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연통부를 냉각시키는 복수의 열전소자로 이루어지는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통부와 연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연통부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물저장조와,
    상기 물저장조의 물을 상기 물공급몸체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물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물공급부와 결합되어 상기 물저장조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하는 연결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공이 측벽에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공에 일부분이 나사결합되는 연결결합부와 상기 연결합부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지지되는 머리부분을 갖는 연결본체와, 상기 연결본체에 타측단부에 형성되며, 판면에 다수의 연통공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개폐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연결부에 나사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결합공과 상기 연결부결합공와 연통되게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연결부결합공의 경계면에 형성된 물개폐공을 갖는 물공급본체와,
    상기 개폐지지부에 단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며, 외측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함몰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물이동슬롯을 갖는 물개폐부와,
    상기 물개폐부가 상기 개폐지지부에 탄성지지되도록 상기 물개폐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몸체의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센서, 상기 화환의 주변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온도 및 습도에 따른 상기 물공급몸체의 물소모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수분센서로부터 상기 물공급몸체의 수분부족으로 판단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냉각부와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화환 주변의 온도와 습도에 따른 물소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냉각부의 냉각온도와 상기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를 따른 물이동을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물저장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와 상기 물저장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분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가 상기 물공급몸체의 수분부족으로 판단되면, 기설정된 개방시간만큼 개방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며,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물저장조의 부족수위에 대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냉각부와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화환 주변의 온도와 습도에 따른 물소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저장조의 안정공급수위에 이르는 목표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목표시간에 상기 물저장조의 수위가 상기 안정공급수위가 되도록 상기 냉각부의 냉각온도와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공급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물공급부와 연결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공급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조와 상기 물공급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공급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물저장조의 하단으로부터 관 형상을 갖고 연장형성되며, 수지재질의 상기 물공급몸체에 꽂히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공급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냉각핀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공급장치.
KR1020190019120A 2019-02-19 2019-02-19 물공급장치 KR102272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120A KR102272263B1 (ko) 2019-02-19 2019-02-19 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120A KR102272263B1 (ko) 2019-02-19 2019-02-19 물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016A KR20200101016A (ko) 2020-08-27
KR102272263B1 true KR102272263B1 (ko) 2021-07-05

Family

ID=7223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120A KR102272263B1 (ko) 2019-02-19 2019-02-19 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2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676B1 (ko) * 2020-10-15 2022-08-23 한국기계연구원 휴대용 물 포집장치
KR102623588B1 (ko) 2023-03-14 2024-01-10 주식회사 다온이엔지 내진에 강인한 배전반 시스템
CN116671496B (zh) * 2023-07-19 2023-12-08 山东兴润园林生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桃林下金蝉养殖的土壤湿度调控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629Y1 (ko) * 2004-08-30 2004-11-26 조윤상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수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9004B2 (ja) * 1993-07-02 2002-09-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KR101398536B1 (ko) * 2012-05-09 2014-05-27 안영후 자동급수 화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629Y1 (ko) * 2004-08-30 2004-11-26 조윤상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수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016A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263B1 (ko) 물공급장치
US5634342A (en) Electronic household plant watering device
US10716266B2 (en) Agricultural house
US9455572B2 (en) Voltage prioritization of solar loads
US20080245308A1 (en) Heated poultry fountain
JP2004129621A (ja) 植物自動育成装置
KR20120038814A (ko) 육묘 식물용 사계절 자동 생육장치
US83364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a poultry watering device
CA2591372C (en) Combination water dispenser with heating mechanism
EP1663324A1 (en) Device
US20190223328A1 (en) Using a Foam Panel in Water-Based Cooling
KR20180090502A (ko) 서랍형 수경재배실을 구비한 냉장고
KR20170025051A (ko) 화분 자동 급수 장치
KR102568975B1 (ko) 수분 분사 기능을 갖는 식물 재배 장치
KR101938390B1 (ko) 식물용 온도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딸기 관부 온도제어장치
KR20180086862A (ko) 식물 관리장치
CN109588165A (zh) 一种苗圃大棚的调温系统及其控制方法
CN212057608U (zh) 一种空调扇
KR102199993B1 (ko) 인덕션 원리를 이용한 히트파이프 냉난방 겸용 온풍기
WO2018044686A1 (en) Using a foam panel in water-based cooling
KR20230033299A (ko) 냉난방 순환형 송풍 시스템
CN212160461U (zh) 温控系统
JP2879950B2 (ja) 植物栽培用給水器
KR101165920B1 (ko) 폐 가스용기를 이용한 하우스용 전기보일러
KR20050071762A (ko) 온실용 열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