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006B1 - 무인 연무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연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006B1
KR102272006B1 KR1020200174005A KR20200174005A KR102272006B1 KR 102272006 B1 KR102272006 B1 KR 102272006B1 KR 1020200174005 A KR1020200174005 A KR 1020200174005A KR 20200174005 A KR20200174005 A KR 20200174005A KR 102272006 B1 KR102272006 B1 KR 10227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
pipe
liquid
pressur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박진현
성기수
Original Assignee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1020200174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75Nozzle arrangements in gas stre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연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배공간이 형성된 비닐 하우스 등지에 설치되어 재배공간 내에 연무액을 미립되게 연무하여 재배공간 및 재배공간 내에 재배되는 작물의 생육에 요하는 수분이나, 영양분, 또는 약제를 미립되게 연무하는 무인 연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인 연무장치{An unmanned system for Generating Moist}
본 발명은 무인 연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배공간이 형성된 비닐 하우스 등지에 설치되어 재배공간 내에 연무액을 미립되게 연무하여 재배공간 및 재배공간 내에 재배되는 작물의 생육에 요하는 수분이나, 영양분, 또는 약제를 미립되게 연무하는 무인 연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작물에 약제를 살포하는 과정은, 경운기 또는 트랙터에 동력 분무기를 장착하고, 이 동력 분무기의 분출구에 긴 호스를 통해 분사 노즐부를 연결하여, 작업자가 긴 호스를 당기면서 분사 노즐부를 통해 토출되는 약제를 작물에 살포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이러한 약제 살포형태는 약제가 유입된 긴 호스를 당겨야 함에 따라 2 내지 3인의 보조 작업자가 요구되므로 고령화되는 농촌의 실정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아니하고, 분사 노즐부에서 살포된 농약을 작업자가 흡입할 수 있어서, 건강상 및 안전상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한편, 특허등록 제927792호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출원 2009-0012006호 등에서는, 하우스 내에 연무공들이 형성된 연무관을 배치하고 이 연무관으로 약제를 분사하는 약제 분무장치들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약제 분무장치의 보급에 의해 작업자가 직접 하우스 내로 진입하여 분사 노즐부를 통해 작물에 약제를 살포함에 따른 제반적인 문제점이 해소되었다.
(특허 문헌 1) KR 10-098675 B1 (특허 문헌 2) KR 20-0469289 Y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닐 하우스 작물에 연무를 요하는 각 지점에 설치되어, 저수된 연무액을 공기 중에 미립되게 연무하여 작물의 안정적인 생육을 도모하는 것으로, 특히 저수된 연무액이 자중에 의해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공급되어서, 저수탱크의 내압을 상승하여 저수된 안정적인 공급을 도모하고 균일한 밀도로 액상이 연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저수탱크와 내압 사이의 설정 차압상태를 형성하여서, 향상된 안정성을 갖고, 특히 저수구에 의해 향상된 내구성과 함께 안정된 기능성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무인 연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연무장치는,
터널형의 연무관로가 형성된 연무기 본체와;
상기 연무관로의 전방에 배치되며, 급수구와 급기구와 연통하는 연무헤드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무노즐을 갖는 연무노즐부와;
상기 연무관로 내에 외부공기를 강제 급기하여 연무노즐부에 의해 연무되는 연무입자들을 연무관로의 전방으로 확산하는 확산팬과;
상기 연무기 본체에 고정되어 연무액을 급수받아 정량 저수하며, 급수관을 통해 각 연무노즐과 연통되어 저수된 연무액을 급수관을 통해 연무노즐에 각각 공급하는 연무액 공급조; 및
상기 연무노즐과 급기관을 통해 연통되어 급기관을 따라 각 연무노즐에 압축공기를 급기하여, 급기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연무노즐의 내압과 급수관 사이의 압력편차에 의해 급수되는 연무액을 고압 연무하는 압축공기 공급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무액 공급조는 연무노즐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되어, 연무액 공급조에 저수된 연무액은 연무노즐과의 높이 편차에 의한 낙하압력과, 연무노즐을 통해 급기되는 압출공기의 감압에 따른 압력편차에 의해 연무노즐에 보다 안정되게 급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무액 공급조와 압축공기 공급기 사이에는 보조 급기관이 연통되게 배치되어, 상기 연무액 공급조의 내부압력은 보조 급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대기압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연무액 공급조에 저수된 연무액은 급수관을 통해 각 연무노즐에 안정되게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무액 공급조에는 저수공간 내에 저수된 연무액을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가 승강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가압 플레이트는 거상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서, 상기 거상 스프링에 탄성 거상된 가압 플레이트는 보조 급기관을 통해 연무액 공급조 내에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저수공간을 따라 하강하면서 저수된 연무액을 가압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 테이블과; 상기 고정 테이블의 상부에 수평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연무기 본체가 고정되는 회전 테이블을 포함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테이블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는 정역모터가 탑재되고, 상기 정역모터의 회전축과 회전 테이블의 회전축 사이에는 연결기어가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 테이블, 및 회전 테이블에 안착된 연무기 본체는 정역으로 회전하는 정역모터의 정역구동에 의해 좌우로 수평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연무노즐과, 급수관을 통해 연무노즐에 급수되어 재배공간에 미립되게 연무되는 연무액이 저수된 연무액 공급조를 상하 높이 편차를 형성하고, 또 상기 연무액 공급조에 급기 가압구조를 마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무노즐과 연무액 공급조 사이에 별도의 급수수단을 마련하지 아니하고도, 연무액 공급조에 저수된 연무액이 연무노즐에 안정되게 공급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무액 공급조 내에 거상 스프링에 지지된 가압 플레이트를 배치하여 급기 가압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저수된 연무액이 연무액 공급조 내에서 유동하는 현상이 억제되고, 저수된 연무액은 가압 플레이트와 압축공기의 압축에 의해 급수관을 통해 안정되게 각 연무노즐에 공급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무액 입자들을 송풍을 통해 확산함에 있어, 연무관로 내에 독특한 가변 확산구조를 형성하여서, 가변 조절되는 확산팬의 속도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흡기된 외부공기가 배출되어서, 연무된 연무액 입자들이 다양한 형태로 재배공간 내에 골고루 연무가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연무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연무장치를 구성하는 연무노즐을 통한 연무액의 연무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연무장치에 있어, 연무액 공급조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연무장치를 통한 연무액의 연무상태를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에서 "A"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연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연무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연무장치를 구성하는 연무노즐을 통한 연무액의 연무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연무장치에 있어, 연무액 공급조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연무장치를 통한 연무액의 연무상태를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에서 "A"부분의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인 연무장치(1)는, 작물의 재배공간이 형성된 비닐 하우스 등지에 배치되어, 상기 재배공간 내에 연무액을 미립되게 연무하여서, 재배공간 내에 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습도와 온도를 유지하거나, 재배공간 내에 생육하는 작물에 연무된 연무액을 미립되게 살포하는 전용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연무액은 재배공간이나 재배공간 내에 생육하는 작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물이나, 상기 물에 영양제나, 약제를 혼입한 조성액을 포함한다.
상기 무인 연무장치(1)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무를 요하는 연무지점에 설치되며, 터널형의 연무관로(11)가 형성된 연무기 본체(10)와; 상기 연무관로(11)의 전방에 배치되며, 급수구(21b)와 급기구(21c)와 연통하는 연무헤드(21a)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무노즐(21)을 갖는 연무노즐부(20)와; 상기 연무관로(11) 내에 외부공기를 강제 급기하여 연무노즐부(20)에 의해 연무되는 연무입자들을 연무관로(11)의 전방으로 확산하는 확산팬(30)과; 상기 연무기 본체(10)에 고정되어 연무액을 급수받아 정량 저수하며, 급수관(41)을 통해 각 연무노즐(21)과 연통되어 저수된 연무액을 급수관(41)을 통해 연무노즐(21)에 각각 공급하는 연무액 공급조(40); 및 상기 연무노즐(21)과 급기관(51)을 통해 연통되어 급기관(51)을 따라 각 연무노즐(21)에 압축공기를 급기하여, 급기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연무노즐(21)의 내압과 급수관(41) 사이의 압력편차에 의해 급수되는 연무액을 고압 연무하는 압축공기 공급기(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무액 공급조(40)에 공급되는 대용량의 연무액을 저수하여, 급수펌프(61)를 통해 저수된 연무액을 연무액 공급조(40)에 급수하는 대용량의 저수탱크를 연무기 본체(10)와 이격되게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무노즐부(20)와 확산팬(30)과 연무액 공급조(40)가 탑재된 연무기 본체(10)를 설정높이로 지지하며, 상기 연무기 본체(10)를 수평 회전되도록 하는 지지대(70)를 부가하여서, 재배공간 내에 다양한 각도로 연무액을 미립되게 연무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70)는, 고정 테이블(71)과; 상기 고정 테이블(71)의 상부에 수평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연무기 본체(10)가 고정되는 회전 테이블(7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테이블(71)에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는 정역모터(73)가 탑재되고, 상기 정역모터(73)의 회전축과 회전 테이블(72) 의 회전축(72a) 사이에는 연결기어(74)가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 테이블(72), 및 회전 테이블(72)에 안착된 연무기 본체(10)는 정역으로 회전하는 정역모터(73)의 정역구동에 의해 좌우로 수평 회전하여서 재배공간 내에 다양한 각도로 연무액을 연무한다.
그리고, 상기 연무노즐(21)은 도 3과 같이 급기관(51)을 통해 급기되어 연무헤드(21a)를 통해 배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감압상태를 형성하는 감압실(21d)이 형성되어, 연무액 공급조(40)에 저수된 연무액은 감압상태를 형성한 감압실(21d) 내로 유입되어 압축공기와 혼입된 다음, 압축공기와 함께 연무헤드(21a)를 통해 미립하여 연무되며, 이러한 연무노즐(21)은 범용의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무관로(11)의 전방에 정렬대(22)에 고정된 복수의 연무노즐(21)을 배치하여, 압축공기 공급기(50)를 통해 급기되는 압축공기와, 연무액 공급조(40)에 저수된 연무액들은 각 연무노즐(21)에 분배하여 공급되어서, 연무액의 미립된 연무를 도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무기 본체(10)에 고정되는 연무액 공급조(40)를 연무노즐(21)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하여서, 상기 연무액 공급조(40)에 저수된 연무액은 연무노즐(21)과의 높이 편차에 의한 낙하압력과, 연무노즐(21)을 통해 급기되는 압출공기의 감압에 따른 압력편차에 의해 연무노즐(21)에 보다 안정되게 급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급수관(41)에 별도의 급수펌프 등의 급수수단을 마련하지 아니하고도, 각 연무노즐(21)에 저수된 연무액이 안정되게 급수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무액 공급조(40)와 압축공기 공급기(50) 사이에는 보조 급기관(52)을 연통되게 배치하여, 상기 밀폐된 연무액 공급조(40)의 내부압력이 보조 급기관(52)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대기압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하여서, 연무액 공급조(50)에 저수된 연무액은 급수관(41)을 통해 각 연무노즐(21)에 보다 안정되게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무액이 저수된 연무액 공급조(40)의 저수공간 내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저수공간 내에 저수된 연무액을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42)를 배치하고, 상기 가압 플레이트(42)의 상층부에 보조 급기관(52)과 연통하는 가압공간을 형성하여서, 보조 급기관(52)을 통해 가압공간 내에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 플레이트(42)는 하강하면서, 저수공간 내에 저수된 연무액을 균일하게 압축하여서 저수공간 내에 저수된 연무액이 급수관(41)을 통해 각 연무노즐(21)에 안정되게 공급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42)를 상향 탄지하는 거상 스프링(43)을 더 배치하여 가압 플레이트(42)는 거상 스프링(43)에 의해 탄력적으로 거상된 상태를 유지하고, 가압공간 내에 압축공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서서히 하강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연무액이 저수된 연무액 공급조(40)에 보조 급기관(52)을 통해 압축공기를 급기하여 연무액 공급조(40) 내에 내압을 상승하여, 연무액 공급조(40) 내에 저수된 연무액의 급수압력을 증가하도록 구성하면, 별도의 급수수단을 마련하지 아니하고도 각 연무노즐(21)에 저수된 연무액을 안정되게 급수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연무액 공급조(40)의 최상부는 가압 플레이트(42)의 외경 보다 내경이 크도록 제작되고, 최상부 하부는 내경이 가압 플레이트(42)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구성되어서, 가압 플레이트(42)의 외경면에 내경면이 내접하여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저수탱크(60)에 저수된 연무액을 연무액 공급조(40)에 급수 보충 과정에서는 가압 플레이트(42)는 연무액 공급조(40)의 최상부에 위치하여 저수공간 내로 연무액이 유입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연무액 공급조(40)에 저수된 연무액을 급수관(41)을 통해 배출하는 연무하는 과정에서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서서히 하강하면서 저수된 연무액을 급수관(41)을 통해 안정되게 가압하여 배출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무인 연무장치(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확산팬(30)에 의해 연무관로(11) 내에 급기되어 연무노즐(21)을 통해 미립되게 연무되는 연무액 입자들을 재배공간 내에 확산함에 있어, 상기 확산팬(30)을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의 급기압에 따라 외부공기를 배출형태를 개량하여 상기 각 연무노즐(21)을 통해 연무되는 연무액의 송출거리와 송풍반경을 유기적으로 조절하여서, 연무를 요하는 재배공간의 각 지점에 연무액의 미립된 연무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무관로(11) 내에는 나선의 와류 형성날(12)을 형성하여 상기 확산팬(30)을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는 와류 형성날(12)을 통해 나선의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연무노즐(21)을 통해 연무된 액상 입자들을 보다 멀고 넓게 확산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선의 와류 형성날(12)은 나선의 와이어를 나선 구조로 권취한 범용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하여, 제작에 따른 편리성과 설치에 따른 간편성을 확보하면서 연무관로(11)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는 외부공기가 나선의 와류를 형성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무관로(11) 내에 확산팬(30)을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의 급기량에 따라 송풍반경과 송풍거리를 유기적으로 조절되는 가변형 송풍 가이드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송풍 가이드 구조는, 터널형 연무관로(11) 내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진퇴레일(13)과; 상기 진퇴레일(13)에 진퇴구조로 배치되는 송풍 가이드(14)와; 상기 진퇴레일(13)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송풍 가이드(14)를 후방으로 탄지하는 제 1 지지 스프링(15); 및 상기 진퇴레일(13)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송풍 가이드(14)를 전방으로 탄지하는 제 2 스프링(16)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풍 가이드(14)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14a)을 형성하고 상기 각 통기공(14a)에는 탄성패드(14b)를 배치하여서, 상기 탄성패드(14b)는 확산팬(30)을 통해 급기되는 공기압에 의해 통기공(14a)을 탄력적으로 개폐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지지 스프링(15)과 제 2 지지 스프링(16)에 양방향으로 탄지된 송풍 가이드(14)는 확산팬(30)을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의 급기압에 의해 연무관로(11) 내에서 진퇴하면서, 후방에서 급기되는 외부공기의 이송경로를 가변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상기 확산팬(30)은 연무액의 연무과정에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회전속도가 증감되어 연무관로(11)를 따라 급기되는 외부공기의 급기량을 조절하고, 상기 제 1 지지 스프링(15)과 제 2 지지 스프링(16)에 의해 양방향으로 탄지된 송풍 가이드(14)는 연무관로(11) 내에 급기되는 급기압에 의해 연무관로(11)를 따라 진퇴하면서 연무관로(11) 내에 급기되는 외부공기의 배출형태를 가변하여서, 연무노즐(21)들을 통해 연무되는 연무액 입자들이 재배공간 내에 고르게 확산하여 작물에 연무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 상기 송풍 가이드(14)에 형성된 탄성패드(14b)는 급기되는 외부공기의 급기압에 따라 통기공(14a)들을 탄력적으로 개폐하여서 연무관로(11) 내에 과압 발생을 예방하고, 결과적으로 연무관로(11) 내에는 과압 발생없이 외부공기의 급기 및 배출이 이룩된다.
특히, 상기 배출되는 공기는 송풍 가이드(14)와, 와류 형성날(12)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연무노즐(21)들이 배치된 연무관로(11)의 전방으로 배출되면서, 도 5와 같이 연무노즐(21)에서 연무된 연무액 입자를 다양한 형태로 재배공간 내에 확산 연무한다.
1. 무인 연무장치
10. 연무기 본체 11. 연무관로
12. 와류 형성날 13. 진퇴레일
14. 송풍 가이드 14a. 통기공
14b. 탄성패드 15. 제 1 지지 스프링
16. 제 2 지지 스프링
20. 연무노즐부 21. 연무노즐
21a. 연무헤드 21b. 급수구
21c. 급기구 21d. 감압실
22. 정렬대
30. 확산팬
40. 연무액 공급조 41. 급수관
42. 가압 플레이트 43. 거상 스프링
50. 압축공기 공급기 51. 급기관
52. 보조 급기관
60. 저수탱크 61. 급수펌프
62. 연결관
70. 지지대 71. 고정 테이블
72. 회전 테이블 72a. 회전축
73. 정역모터 74. 연결기어

Claims (4)

  1. 터널형의 연무관로가 형성된 연무기 본체와;
    상기 연무관로의 전방에 배치되며, 급수구와 급기구와 연통하는 연무헤드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무노즐을 갖는 연무노즐부와;
    상기 연무관로 내에 외부공기를 강제 급기하여 연무노즐부에 의해 연무되는 연무입자들을 연무관로의 전방으로 확산하는 확산팬과;
    상기 연무기 본체에 고정되어 연무액을 급수받아 정량 저수하며, 급수관을 통해 각 연무노즐과 연통되어 저수된 연무액을 급수관을 통해 연무노즐에 각각 공급하는 연무액 공급조; 및
    상기 연무노즐과 급기관을 통해 연통되어 급기관을 따라 각 연무노즐에 압축공기를 급기하여, 급기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연무노즐의 내압과 급수관 사이의 압력편차에 의해 급수되는 연무액을 고압 연무하는 압축공기 공급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무액 공급조는 연무노즐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되어, 연무액 공급조에 저수된 연무액은 연무노즐과의 높이 편차에 의한 낙하압력과, 연무노즐을 통해 급기되는 압출공기의 감압에 따른 압력편차에 의해 연무노즐에 보다 안정되게 급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연무관로 내에 확산팬을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의 급기량에 따라 송풍반경과 송풍거리를 유기적으로 조절되는 가변형 송풍 가이드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송풍 가이드 구조는, 터널형 연무관로 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진퇴레일과; 상기 진퇴레일에 진퇴구조로 배치되는 송풍 가이드와; 상기 진퇴레일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송풍 가이드를 후방으로 탄지하는 제 1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진퇴레일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송풍 가이드를 전방으로 탄지하는 제 2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지지 스프링과 제 2 지지 스프링에 양방향으로 탄지된 송풍 가이드가 확산팬을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의 급기압에 의해 연무관로 내에서 진퇴하면서, 후방에서 급기되는 외부공기의 이송경로를 가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풍 가이드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각 통기공에는 탄성패드를 배치하여서, 상기 탄성패드는 확산팬을 통해 급기되는 공기압에 의해 통기공을 탄력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연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무액 공급조와 압축공기 공급기 사이에는 보조 급기관이 연통되게 배치되어, 상기 연무액 공급조의 내부압력은 보조 급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연무액 공급조에 저수된 연무액은 급수관을 통해 각 연무노즐에 안정되게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연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무액 공급조에는 저수공간 내에 저수된 연무액을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가 승강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가압 플레이트는 거상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서, 상기 거상 스프링에 탄성 거상된 가압 플레이트는 보조 급기관을 통해 연무액 공급조 내에 주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저수공간을 따라 하강하면서 저수된 연무액을 가압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연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 테이블과; 상기 고정 테이블의 상부에 수평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연무기 본체가 고정되는 회전 테이블을 포함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테이블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는 정역모터가 탑재되고, 상기 정역모터의 회전축과 회전 테이블의 회전축 사이에는 연결기어가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 테이블, 및 회전 테이블에 안착된 연무기 본체는 정역으로 회전하는 정역모터의 정역구동에 의해 좌우로 수평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연무장치.
KR1020200174005A 2020-12-14 2020-12-14 무인 연무장치 KR102272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005A KR102272006B1 (ko) 2020-12-14 2020-12-14 무인 연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005A KR102272006B1 (ko) 2020-12-14 2020-12-14 무인 연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006B1 true KR102272006B1 (ko) 2021-07-01

Family

ID=7686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005A KR102272006B1 (ko) 2020-12-14 2020-12-14 무인 연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00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567A (ko) * 1994-07-20 1996-02-23 정석종 약제 살포탱크
KR970000102U (ko) * 1995-06-02 1997-01-21 정석종 입제 및 분제 농약살포기
KR100691350B1 (ko) * 2005-11-10 2007-03-12 김진홍 차량용 분무소독장치
KR100986750B1 (ko) 2009-09-17 2010-10-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t 슬러리 기포탑 반응기의 반응열 제거용 순환형 냉각장치
KR20130007122A (ko) * 2011-06-29 2013-01-18 문용수 약제 분무장치
KR200469289Y1 (ko) 2011-05-26 2013-10-14 이근복 이동형 약제 연무장치
KR101587381B1 (ko) * 2015-05-21 2016-01-20 이용재 중력 이용식 나노 포그 약액 분무기
KR101618456B1 (ko) * 2014-11-21 2016-05-04 주식회사 티엠시 이동형 연무 방제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567A (ko) * 1994-07-20 1996-02-23 정석종 약제 살포탱크
KR970000102U (ko) * 1995-06-02 1997-01-21 정석종 입제 및 분제 농약살포기
KR100691350B1 (ko) * 2005-11-10 2007-03-12 김진홍 차량용 분무소독장치
KR100986750B1 (ko) 2009-09-17 2010-10-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t 슬러리 기포탑 반응기의 반응열 제거용 순환형 냉각장치
KR200469289Y1 (ko) 2011-05-26 2013-10-14 이근복 이동형 약제 연무장치
KR20130007122A (ko) * 2011-06-29 2013-01-18 문용수 약제 분무장치
KR101618456B1 (ko) * 2014-11-21 2016-05-04 주식회사 티엠시 이동형 연무 방제 장치
KR101587381B1 (ko) * 2015-05-21 2016-01-20 이용재 중력 이용식 나노 포그 약액 분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93357A1 (en) Aeroponic atomizer for horticulture
US20180368346A1 (en) Fogponic plant growth system
US10492387B1 (en) Aeroponic recycling system
US20120111961A1 (en) Grove sprayer
KR20190121545A (ko) 약제의 살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행식 약제살포기
KR20150140091A (ko) 광범위 약제 분사기
CN105165776A (zh) 温室自走式自动喷雾机
KR102272006B1 (ko) 무인 연무장치
KR20180105493A (ko) 광범위 확산용 노즐 승강식 약제살포기
CN211322746U (zh) 一种自动控制的多组分农药兼水雾喷洒设备
KR102029714B1 (ko) 비닐 하우스용 무인 방제장치
KR20170004078U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CA2892131A1 (en) Fogponic plant growth system
KR101929013B1 (ko) 탁상형 약액 분무장치
CN105494041B (zh) 一种节能型移动式水肥一体化喷灌系统
KR101984300B1 (ko) 약액분무장치
CN214801918U (zh) 一种园林护养专用的喷雾器
KR20230114089A (ko) 방제장치용 노즐어셈블리
KR102089670B1 (ko) 멀티형 영농 살포기
KR100452127B1 (ko) 농작물용 연무장치
CN218977502U (zh) 一种具有温度调节功能的葡萄种植大棚
CN220294951U (zh) 一种自吸喷嘴
KR102141171B1 (ko) 탑재형 광범위 약제살포기용 분사기
CN220756280U (zh) 一种农业喷灌装置
CN208807438U (zh) 搭载在林果茶园电动双轨运输机上的风送式电动喷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