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952B1 - IoT 데이터 의미 변환을 위해 이름 규칙을 이용하는 IoT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IoT 데이터 의미 변환을 위해 이름 규칙을 이용하는 IoT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952B1
KR102271952B1 KR1020180024537A KR20180024537A KR102271952B1 KR 102271952 B1 KR102271952 B1 KR 102271952B1 KR 1020180024537 A KR1020180024537 A KR 1020180024537A KR 20180024537 A KR20180024537 A KR 20180024537A KR 102271952 B1 KR102271952 B1 KR 10227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name
iot device
service method
r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3743A (ko
Inventor
지영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24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95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28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1Adding application-functional data or data for application control, e.g. addin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IoT 데이터 의미 변환을 위해 이름 규칙을 이용하는 IoT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방법은,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을 조회하고,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에 따라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명세를 작성하며, 작성된 디바이스 명세를 저장하고,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에 의해, 이름 규칙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 명세를 자동으로 작성하고, 저장/관리하며, 활용할 수 있게 되어, IoT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IoT 데이터의 의미 변환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IoT 데이터 의미 변환을 위해 이름 규칙을 이용하는 IoT 서비스 방법{IoT Service Method using Name Rule for IoT Data Translation}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oT 디바이스 데이터를 의미 변환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oT 디바이스는 다양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플랫폼/서버 등에 리소스로 저장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자는 저장된 데이터의 의미가 무엇인지 해석하여 필요한 정보로 변환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IoT 디바이스 명세에 수록되어 있는 메타 정보를 참조하여야 한다.
하지만, IoT 디바이스 명세 마다 메타 정보의 종류와 위치 등이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의 의미 변환 작업은 쉽지 않다. 나아가, IoT 디바이스 명세에 메타 정보가 수록되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이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의미 변환 작업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IoT 데이터의 간편하고 정확한 의미 변환을 위한 방안으로, 이름 규칙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 명세를 자동으로 작성/저장/활용하는 IoT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방법은,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을 조회하는 단계;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에 따라,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명세를 작성하는 단계; 작성된 디바이스 명세를 저장하는 단계;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방법은, 저장된 디바이스 명세를 기초로, IoT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은, IoT 디바이스의 소유자 및 위치 정보에 대한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은, IoT 디바이스의 사양 정보에 대한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은, IoT 디바이스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방법은, 검색된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디바이스 명세를 기초로, 획득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방법은, 해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을 조회하는 단계;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에 따라,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명세를 작성하는 단계; 작성된 디바이스 명세를 저장하는 단계;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 이름 규칙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 명세를 자동으로 작성하고, 저장/관리하며, 활용할 수 있게 되어, IoT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IoT 데이터의 의미 변환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이름 규칙 및 이를 통해 생성한 이름들을 예시한 도면들, 그리고,
도 4는 이름 규칙을 이용한 IoT 센서 디바이스 정보 관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시스템은, IoT 센서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을 이용하여 IoT 센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명세를 자동으로 작성/저장/활용함으로써, IoT 센서 데이터의 간편하고 정확한 의미 변환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 이름 규칙 서버(200), 디바이스 명세 저장소(300) 및 IoT 서비스 제공 서버들(410,420,430)을 포함하여 구축된다.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은 센서를 탑재하고 있으며, 탑재된 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플랫폼/서버에 저장한다.
또한,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은 이름 규칙 서버(200)에 자신의 이름 규칙을 질의하고, 질의 결과로 반환된 이름 규칙에 따라 자신의 이름을 변경한다.
도 2와 도 3에는, 이름 규칙 서버(200)가 보유하고 있는 이름 규칙 및 이를 통해 생성한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의 이름들을 예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2에는 실내에 설치되는 IoT 센서 디바이스들의 이름 규칙과 이름을 예시하였고, 도 3는 실외에 설치되는 IoT 센서 디바이스들의 이름 규칙과 이름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의 이름 규칙은 설치 위치(실내/실외)에 따라 다르게 정의할 수 있다.
또한,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의 이름 규칙에는, 소유자에 대한 정보(기관명), 위치에 대한 정보, 사양에 대한 정보(센서 타입,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
도 2와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의 위치에 대한 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은 설치 위치(실내/실외)에 따라 다르다.
실내에 설치된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의 이름 규칙에는 건물명, 층, 방번호가 포함되고, 실외에 설치된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의 이름 규칙에는 위치명, 위도, 경도가 포함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름 규칙 서버(200)로부터 획득한 이름 규칙에 따라 이름을 변경한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은 자신의 이름을 기초로 디바이스 명세를 작성한다.
이에 따라,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에 의해 작성되는 디바이스 명세에는 이름 규칙을 따라 변경한 이름에 포함된 정보들, 즉, 소유자에 대한 정보(기관명), 위치에 대한 정보(건물명, 층, 방번호, 위치명, 위도, 경도), 사양에 대한 정보(센서 타입, 측정 정보)가 포함된다.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의 이름은 이름 규칙을 따라 생성/변경된 것이므로,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의 이름을 기초로 생성되는 디바이스 명세는, 곧 이름 규칙을 기초로 생성된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다음,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은 작성한 디바이스 명세를 디바이스 명세 저장소(300)에 저장한다. 디바이스 명세 저장소(300)는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은 디바이스 명세를 저장/관리한다.
IoT 서비스 제공 서버들(410,420,430)은 원하는 IoT 센서 디바이스를 찾기 위해, 디바이스 명세 저장소(300)에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 명세들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IoT 서비스 제공 서버들(410,420,430)은 검색한 IoT 센서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디바이스 명세 저장소(300)에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 명세를 참조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해석(의미 변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 IoT 센서 디바이스들(110,120,130,140)이 IoT 디바이스 이름 규칙을 이용하여 자신의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IoT 디바이스 이름 규칙을 이용한 IoT 센서 디바이스 정보 관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IoT 센서 디바이스(110,120,130,140)가 이름 규칙 서버(200)에 조회하여, 자신의 이름 규칙을 획득한다(S510).
자신의 이름을 이름 규칙에 따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S520-Y), IoT 센서 디바이스(110,120,130,140)는 조회된 이름 규칙을 적용하여 자신의 이름을 변경한다(S530).
IoT 센서 디바이스(110,120,130,140)의 소유 정보, 위치 정보, 사양 정보 등이 변경된 경우, 이름 규칙이 변경된 경우에, 위 변경이 수반되어야 한다.
나아가, IoT 센서 디바이스(110,120,130,140)는 변경된 이름을 기초로 자신의 메타 정보를 업데이트하고(S540), 메타 정보가 업데이트된 디바이스 명세를 디바이스 명세 저장소(300)에 저장한다(S550).
지금까지, IoT 데이터 의미 변환을 위해 IoT 디바이스 이름 규칙을 이용하는 IoT 서비스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120,130,140 : IoT 센서 디바이스
200 ; 이름 규칙 서버
300 : 디바이스 명세 저장소
410,420,430 : IoT 서비스 제공 서버

Claims (8)

  1.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을 조회하는 단계;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에 따라, IoT 디바이스의 이름을 변경하는 단계;
    변경된 IoT 디바이스의 이름을 기초로,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명세를 작성하는 단계;
    작성된 디바이스 명세를 저장하는 단계;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저장된 디바이스 명세를 기초로, IoT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은,
    IoT 디바이스의 소유자 및 위치 정보에 대한 규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은,
    IoT 디바이스의 사양 정보에 대한 규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은,
    IoT 디바이스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검색된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디바이스 명세를 기초로, 획득한 데이터를 해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해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방법.
  8.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을 조회하는 단계;
    IoT 디바이스의 이름 규칙에 따라, IoT 디바이스의 이름을 변경하는 단계;
    변경된 IoT 디바이스의 이름을 기초로, IoT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명세를 작성하는 단계;
    작성된 디바이스 명세를 저장하는 단계;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024537A 2018-02-28 2018-02-28 IoT 데이터 의미 변환을 위해 이름 규칙을 이용하는 IoT 서비스 방법 KR102271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537A KR102271952B1 (ko) 2018-02-28 2018-02-28 IoT 데이터 의미 변환을 위해 이름 규칙을 이용하는 IoT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537A KR102271952B1 (ko) 2018-02-28 2018-02-28 IoT 데이터 의미 변환을 위해 이름 규칙을 이용하는 IoT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743A KR20190103743A (ko) 2019-09-05
KR102271952B1 true KR102271952B1 (ko) 2021-07-02

Family

ID=67949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537A KR102271952B1 (ko) 2018-02-28 2018-02-28 IoT 데이터 의미 변환을 위해 이름 규칙을 이용하는 IoT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9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413B1 (ko) * 2015-07-17 2016-01-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IoT 디바이스에 대한 DNS 네이밍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6416B (zh) * 2014-12-16 2018-01-26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智能家居服务规则的综合利用系统及方法
KR20170052151A (ko) * 2015-11-04 2017-05-12 주식회사 케이티 IoT 데이터를 관리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413B1 (ko) * 2015-07-17 2016-01-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IoT 디바이스에 대한 DNS 네이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743A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8261B2 (en) Method, apparatus,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POI alias
KR101105970B1 (ko) 다양한 포맷의 컨텐츠를 관리하는 미디어 미디에이터 시스템 및 방법
RU248658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теграции данных о пункте, предоставленных группой поставщиков
KR101317805B1 (ko) Bim-gis 간 공간 정보 상호 연동 장치 및 상호 연동 방법
CN107885873B (zh) 用于输出信息的方法和装置
CN110019616B (zh) 一种poi现势状态获取方法及其设备、存储介质、服务器
RU2597511C2 (ru) Формирование карт частных мест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атчиков мобильных вычисли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KR101307476B1 (ko)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2633446A1 (en) Identifying physical locations of entities
US20220130004A1 (en) Interface for uncompleted homes planning
CN104158885A (zh) 一种基于位置信息流式加载应用的方法和系统
KR20000024414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생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EP2945081A1 (en) Interpreting user queries based on nearby locations
KR102271952B1 (ko) IoT 데이터 의미 변환을 위해 이름 규칙을 이용하는 IoT 서비스 방법
JP2014520348A (ja) 情報伝達のためのモデル化された物的環境
KR101513347B1 (ko) 공간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135503A (zh) 数据下载的方法、装置及系统
JP2007293768A (ja) ランドマーク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端末装置、統合データベース管理装置及びユーザ個別データベース管理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rygin et al. Multiservice online platform for integrated geospatial data processing
KR20200064355A (ko) 부동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270224B1 (ko) 시설물 속성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
Slawecki et al. Pilot implementation of the US EPA interoperable watershed network
CN115905581A (zh) 资源文本地址匹配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101295898B1 (ko) 질의 언어 기반 실시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102038093B1 (ko) 지점정보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는 검색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