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518B1 -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518B1
KR102271518B1 KR1020200172594A KR20200172594A KR102271518B1 KR 102271518 B1 KR102271518 B1 KR 102271518B1 KR 1020200172594 A KR1020200172594 A KR 1020200172594A KR 20200172594 A KR20200172594 A KR 20200172594A KR 102271518 B1 KR102271518 B1 KR 102271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receiving
fold line
drinking wat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스
Priority to KR102020017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 B65D5/10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one of the self-locking flaps having a tongue engaging into an opening of an opposite flap
    • B65D5/1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one of the self-locking flaps having a tongue engaging into an opening of an opposite flap the opening being a sl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6Linings or internal coatings, e.g. pre-formed trays provided with a blow- or thermoform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햄버거 테이크 아웃 또는 매장내에서 햄버거를 전달할 때, 접철된 상태를 펼쳐 햄버거, 감자튀김 및 음료수 용기가 각각의 구획된 위치에 수용되어 좌 우 모서리에 놓이는 음료수가 넘치거나 내용물이 흐트러지 않아 사용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상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접착날개(110)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날개(110)의 일측에서 상기 접착날개(11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1 측면 접이선(120)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 접이선(120)을 기준으로 상기 접착날개(11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측면(100)과 상기 제 1 측면(1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1 저면(200)과 상기 제 1 저면(200)의 대향 위치인 상기 제 1 측면(100)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 1 파지공(310)이 형성되는 제 1 파지면(320)이 구비되는 제 1 상부날개(300)와 상기 제 1 측면(100)에서 상기 제 1 측면 접이선(12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측면 접이선(410)과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측면(100)의 대향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측면(400)과 상기 제 2 측면(4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2 저면(500)과 상기 제 2 측면(400)에서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3 측면 접이선(610)과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측면(400)의 대향 위치에 배치되는 제 3 측면(600)과 상기 제 3 측면(6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3 저면(700)과 상기 제 3 저면(700)의 대향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600)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 2 파지공(810)이 형성되는 제 1 파지면(820)이 구비되는 제 2 상부날개(800)와 상기 제 3 측면(600)에서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4 측면 접이선(910)과 상기 제 4 측면 접이선(9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4 측면(900); 및 상기 제 4 측면(9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4 저면(930);을 포함하는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 PACKING PAPER FOR HAMBURGER WITH RETAINING GROUND }
본 발명은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햄버거 테이크 아웃 또는 매장내에서 햄버거를 전달할 때, 접철된 상태를 펼쳐 햄버거, 감자튀김 및 음료수 용기가 각각의 구획된 위치에 수용되어 좌 우 모서리에 놓이는 음료수가 넘치거나 내용물이 흐트러지 않아 사용 및 이동이 편리한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햄버거는 빠르게 제공되고 선호도가 높아 널리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즉석식품류는 해당식품의 부피나 넓이 등 그 형태에 알맞은 적정 형태로서 포장박스를 별도 제작하여 해당 식품류를 수납 포장한 후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식품용 포장박스는 일회 용기가 대중화되고, 식품을 휴대하는 문화가 대중화되면서, 치킨, 도넛, 감자튀김, 음료수 등과 같이 구매하여 테이크아웃 하거나 또는 음식점 등에서 일회용으로 판매 및 배달하기 위하여 종이 판지를 접은 형태의 종이박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식품용 포장박스는 덮개부, 바닥면부 등을 접이선을 기준으로 접어주어서 박스형상으로 만들어주고, 그내부에 치킨, 도넛 등과 같은 식품을 안치한 상태에서 포장 및 배달을 하였다.
그리고, 식품용 포장박스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종이 판지를 사용하여 보관되는 식품이 효과적으로 보관되도록 하는 구조로, 보관되는 식품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고 독성이 없는 재질의 종이 판지를 일반적으로 사용는 실정이다.
한편, 햄버거, 치킨, 도넛 또는 음료수등 같이 배달되는 주요 음식물들은 무, 피클, 소스 및 음료수, 케첩 등의 다양한 보조 음식물 등과 판매 및 배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흔히, 햄버거 매장 등에서 햄버거 등을 구입하면, 전술한 종이박스 도는 종이 봉투에 담거나 비닐봉지에 담아 운반하게 되는데, 구입한 식품들을 종류별로 구분하지 않고 담기 때문에 내용물들이 서로 섞이게 되거나 음료수 또는 피클 등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액체가 흘러내리고, 이러한 액체가 햄버거 또는 감자튀김에 흘러들거나, 햄버거가 뭉그러지어 손상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2 인용 세트 메뉴의 경우 음료수 용기가 2개 포장상자에 수용되어야 하는데 음료수의 무게 배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포장 박스가 넘어져서 음료수 및 수용물이 넘치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햄버거 테이크 아웃 또는 매장내에서 햄버거를 전달할 때, 접철된 상태를 펼쳐 햄버거, 감자튀김 및 음료수 용기가 각각의 구획된 위치에 수용되어 좌 우 모서리에 놓이는 음료수가 넘치거나 내용물이 흐트러지 않아 사용 및 이동이 편리한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접착날개(110)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날개(110)의 일측에서 상기 접착날개(11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1 측면 접이선(120)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 접이선(120)을 기준으로 상기 접착날개(11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측면(100)과 상기 제 1 측면(1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1 저면(200)과 상기 제 1 저면(200)의 대향 위치인 상기 제 1 측면(100)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 1 파지공(310)이 형성되는 제 1 파지면(320)이 구비되는 제 1 상부날개(300)로 포장 상자 내부를 구획 분할하도록하여 내용물이 각각 분리되어 서로 섞이지 않는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3 저면(700)의 대향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600)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 2 파지공(810)이 형성되는 제 1 파지면(820)이 구비되는 제 2 상부날개(800)로 파지가 편리한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1 측면(100)과 상기 제 2 측면(400)이 서로 만나는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 높이의 중간 위치에는 접혀져서 음료수을 수용하도록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600)과 상기 제 4 측면(900)이 접히는 위치에는 제 2 음료수수용칼선(96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 1 저면(200)은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의 하단에서 상기 제 1 저면(200)의 테두리까지 가상의 사선을 이루는 제 1 보조 접이선(211)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 3 저면(700)은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의 하단에서 상기 제 3 저면(700)의 테두리까지 가상의 사선을 이루는 제 2 보조 접이선(711)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접착날개(110)가 접착되는 경우 상기 제 1 보조 접이선(211)과 상기 제 2 보조 접이선(711)이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저면 보강력이 증대되는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는 먼저, 상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접착날개(110)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날개(110)의 일측에서 상기 접착날개(11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1 측면 접이선(120)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 접이선(120)을 기준으로 상기 접착날개(11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측면(1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측면(1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1 저면(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저면(200)의 대향 위치인 상기 제 1 측면(100)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 1 파지공(310)이 형성되는 제 1 파지면(320)이 구비되는 제 1 상부날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제 1 측면(100)에서 상기 제 1 측면 접이선(12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측면 접이선(410)과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측면(100)의 대향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측면(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측면(4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2 저면(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측면(400)에서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3 측면 접이선(610)과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측면(400)의 대향 위치에 배치되는 제 3 측면(6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측면(6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3 저면(7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저면(700)의 대향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600)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 2 파지공(810)이 형성되는 제 1 파지면(820)이 구비되는 제 2 상부날개(8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측면(600)에서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4 측면 접이선(910)과 상기 제 4 측면 접이선(9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4 측면(900); 및 상기 제 4 측면(9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4 저면(9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측면(100)과 상기 제 2 측면(400)이 서로 만나는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 높이의 중간 위치에는 접혀져서 음료수을 수용하도록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600)과 상기 제 4 측면(900)이 접히는 위치에는 제 2 음료수수용칼선(96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 1 저면(200)은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의 하단에서 상기 제 1 저면(200)의 테두리까지 가상의 사선을 이루는 제 1 보조 접이선(211)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 3 저면(700)은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의 하단에서 상기 제 3 저면(700)의 테두리까지 가상의 사선을 이루는 제 2 보조 접이선(711)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접착날개(110)가 접착되는 경우 상기 제 1 보조 접이선(211)과 상기 제 2 보조 접이선(711)이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저면(200), 상기 제 2 저면(500), 상기 제 3 저면(700) 및 상기 제 4 저면(930)은 바닥면을 이루는 기저면과 상기 기저면의 이면인 수용물 방향에 수용면으로 구비되되 상기 수용면은 방수코팅층으로 구비되고 상기 기저면의 표면에는 마찰돌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100)은 상기 제 1 측면 접이선(120) 방향에서 상부 테두리 보다 낮은 높이로 제 1 음료수수용공간(111)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면(100)과 마주보는 상기 제 2 측면(400)에는 상기 제 1 음료수수용공간(111)와 대응되게 상기 제 2 측면(400)의 상부 보다 낮게 테두리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측면(600)은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 방향에서 상부 테두리 보다 낮은 높이로 제 2 음료수수용공간(620)가 구비되고 상기 제 3 측면(600)과 마주보는 상기 4 측면(900)에는 상기 제 2 음료수수용공간(620)와 대응되게 상기 제 4 측면(900)의 상부 보다 낮게 테두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음료수수용공간(111)는 상기 제 1 측면(100)의 우측 상부 테두리에서 지면 방향으로 제 11 수용접이선(123)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측면(400)의 좌측 상부 테두리에서 지면 방향으로 제 12 수용접이선(124)이 구비되며, 상기 제 11 수용접이선(123)에서 상기 제 12 수용접이선(124) 사이에는 지면과 나란하게 제 1 수용칼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음료수수용공간(620)는 상기 제 3 측면(100)의 우측 상부 테두리에서 지면 방향으로 제 21 수용접이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 4 측면(900)의 좌측 상부 테두리에서 지면 방향으로 제 22 수용접이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 21 수용접이선에서 상기 제 22 수용접이선 사이에는 지면과 나란하게 제 2 수용칼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저면(200)과 상기 제 2 저면(500)이 서로 접촉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 1 측면(100) 및 상기 제 2 측면(400)의 하부 모서리에서 외측 또는 저면 방향으로 진행하며 소정의 공간부가 점차 넓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3 저면(700)과 상기 제 4 저면(930)이 서로 접촉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 3 측면(600) 및 상기 제 4 측면(900)의 하부 모서리에서 외측 또는 저면 방향으로 진행하며 소정의 공간부가 점차 넓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상부날개(300) 및 상기 제 2 상부날개(800)는 상기 제 1 측면(100) 및 상기 제 3 측면(600)의 상부 테두리에서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상부날개(300) 및 상기 제 2 상부날개(800)의 상부 테두리의 양 모서리는 만곡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저면(200), 상기 제 2 저면(500), 상기 제 3 저면(700) 및 상기 제 4 저면(930)은 수용물이 수용되는 안쪽 방향으로 마찰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측면(100)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날개(110)과 평행한 방향을 갖는 상기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의 하부 종단에서 상기 제 2 측면(400)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이 수용부 방향으로 접혀져서 형성되는 음료수 구획 이 상기 제 1 측면(100) 방향은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면(400)에는 더 넓게 형성되도록 구비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측면(600)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과 평행한 방향을 갖는 상기 제 2 음료수수용칼선(960)의 하부 종단에서 상기 제 4 측면(900)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제 2 음료수수용칼선(960)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2 음료수수용칼선(960)이 수용부 방향으로 접혀져서 형성되는 음료수 구획 구분선이 상기 제 3 측면(600) 방향은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 4 측면(900)에는 더 넓게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에 본 발명은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를 제공하여,
첫째, 햄버거 테이크 아웃 또는 매장내에서 햄버거를 전달할 때, 접철된 상태를 펼쳐 햄버거, 감자튀김 및 음료수 용기가 각각의 구획된 위치에 수용되어 좌 우 모서리에 놓이는 음료수가 넘치거나 내용물이 흐트러지 않아 사용 및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둘째, 상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접착날개(110)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날개(110)의 일측에서 상기 접착날개(11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1 측면 접이선(120)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 접이선(120)을 기준으로 상기 접착날개(11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측면(100)과 상기 제 1 측면(1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1 저면(200)과 상기 제 1 저면(200)의 대향 위치인 상기 제 1 측면(100)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 1 파지공(310)이 형성되는 제 1 파지면(320)이 구비되는 제 1 상부날개(300)로 포장 상자 내부를 구획 분할하도록하여 내용물이 각각 분리되어 서로 섞이지 않는다.
셋째, 상기 제 3 저면(700)의 대향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600)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 2 파지공(810)이 형성되는 제 1 파지면(820)이 구비되는 제 2 상부날개(800)로 파지가 편리하다.
넷째, 상기 제 1 측면(100)과 상기 제 2 측면(400)이 서로 만나는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 높이의 중간 위치에는 접혀져서 음료수을 수용하도록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600)과 상기 제 4 측면(900)이 접히는 위치에는 제 2 음료수수용칼선(96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 1 저면(200)은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의 하단에서 상기 제 1 저면(200)의 테두리까지 가상의 사선을 이루는 제 1 보조 접이선(211)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 3 저면(700)은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의 하단에서 상기 제 3 저면(700)의 테두리까지 가상의 사선을 이루는 제 2 보조 접이선(711)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접착날개(110)가 접착되는 경우 상기 제 1 보조 접이선(211)과 상기 제 2 보조 접이선(711)이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저면 보강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2 내지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3D도면이다.
도 8 및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3D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며, 도 2 내지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3D도면이고, 도 8 및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3D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는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접착날개(110)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날개(110)의 일측에서 상기 접착날개(11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1 측면 접이선(120)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 접이선(120)을 기준으로 상기 접착날개(110)의 대향 위치에 제 1 측면(100)구비된다.
여기에, 상기 제 1 측면(1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1 저면(200)과 상기 제 1 저면(200)의 대향 위치인 상기 제 1 측면(100)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 1 파지공(310)이 형성되는 제 1 파지면(320)이 구비되는 제 1 상부날개(300)와 상기 제 1 측면(100)에서 상기 제 1 측면 접이선(12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측면 접이선(410)과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측면(100)의 대향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측면(400)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측면(4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2 저면(500)과 상기 제 2 측면(400)에서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3 측면 접이선(610)과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측면(400)의 대향 위치에 배치되는 제 3 측면(600)과 상기 제 3 측면(6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3 저면(700)과 상기 제 3 저면(700)의 대향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600)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 2 파지공(810)이 형성되는 제 1 파지면(820)이 구비되는 제 2 상부날개(800)와 상기 제 3 측면(600)에서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4 측면 접이선(910)과 상기 제 4 측면 접이선(9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4 측면(900) 및 상기 제 4 측면(9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4 저면(930);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측면(100)과 상기 제 2 측면(400)이 서로 만나는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 높이의 중간 위치에는 접혀져서 음료수을 수용하도록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600)과 상기 제 4 측면(900)이 접히는 위치에는 제 2 음료수수용칼선(9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저면(200)은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의 하단에서 상기 제 1 저면(200)의 테두리까지 가상의 사선을 이루는 제 1 보조 접이선(211)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 3 저면(700)은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의 하단에서 상기 제 3 저면(700)의 테두리까지 가상의 사선을 이루는 제 2 보조 접이선(711)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접착날개(110)가 접착되는 경우 상기 제 1 보조 접이선(211)과 상기 제 2 보조 접이선(711)이 서로 교차 결합되어 결합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저면(200), 상기 제 2 저면(500), 상기 제 3 저면(700) 및 상기 제 4 저면(930)은 바닥면을 이루는 기저면과 상기 기저면의 이면인 수용물 방향에 수용면으로 구비되되 상기 수용면은 방수코팅층으로 구비되고 상기 기저면의 표면에는 마찰돌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100)은 상기 제 1 측면 접이선(120) 방향에서 상부 테두리 보다 낮은 높이로 제 1 음료수수용공간(111)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면(100)과 마주보는 상기 제 2 측면(400)에는 상기 제 1 음료수수용공간(111)와 대응되게 상기 제 2 측면(400)의 상부 보다 낮게 테두리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측면(600)은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 방향에서 상부 테두리 보다 낮은 높이로 제 2 음료수수용공간(620)가 구비되고 상기 제 3 측면(600)과 마주보는 상기 4 측면(900)에는 상기 제 2 음료수수용공간(620)와 대응되게 상기 제 4 측면(900)의 상부 보다 낮게 테두리가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음료수수용공간(111)는 상기 제 1 측면(100)의 우측 상부 테두리에서 지면 방향으로 제 11 수용접이선(123)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측면(400)의 좌측 상부 테두리에서 지면 방향으로 제 12 수용접이선(124)이 구비되며, 상기 제 11 수용접이선(123)에서 상기 제 12 수용접이선(124) 사이에는 지면과 나란하게 제 1 수용칼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음료수수용공간(620)는 상기 제 3 측면(100)의 우측 상부 테두리에서 지면 방향으로 제 21 수용접이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 4 측면(900)의 좌측 상부 테두리에서 지면 방향으로 제 22 수용접이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 21 수용접이선에서 상기 제 22 수용접이선 사이에는 지면과 나란하게 제 2 수용칼선이 구비되어 접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저면(200)과 상기 제 2 저면(500)이 서로 접촉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 1 측면(100) 및 상기 제 2 측면(400)의 하부 모서리에서 외측 또는 저면 방향으로 진행하며 소정의 공간부가 점차 넓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3 저면(700)과 상기 제 4 저면(930)이 서로 접촉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 3 측면(600) 및 상기 제 4 측면(900)의 하부 모서리에서 외측 또는 저면 방향으로 진행하며 소정의 공간부가 점차 넓어지도록 구비어 사용 편의성을 높이다.
이때, 상기 제 1 상부날개(300) 및 상기 제 2 상부날개(800)는, 상기 제 1 측면(100) 및 상기 제 3 측면(600)의 상부 테두리에서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상부날개(300) 및 상기 제 2 상부날개(800)의 상부 테두리의 양 모서리는 만곡지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저면(200), 상기 제 2 저면(500), 상기 제 3 저면(700) 및 상기 제 4 저면(930)은 수용물이 수용되는 안쪽 방향으로 마찰돌기가 더 구비되어 지지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측면(100)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날개(110)과 평행한 방향을 갖는 상기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의 하부 종단에서 상기 제 2 측면(400)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이 수용부 방향으로 접혀져서 형성되는 음료수 구획 이 상기 제 1 측면(100) 방향은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면(400)에는 더 넓게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3 측면(600)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과 평행한 방향을 갖는 상기 제 2 음료수수용칼선(960)의 하부 종단에서 상기 제 4 측면(900)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제 2 음료수수용칼선(960)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2 음료수수용칼선(960)이 수용부 방향으로 접혀져서 형성되는 음료수 구획 구분선이 상기 제 3 측면(600) 방향은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 4 측면(900)에는 더 넓게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어 사용자의 간단한 손끝 가압 또는 터지 만으로 내측으로 접혀지기가 쉽도록 구성되며, 음료수 용기가 상부에서 하부로 용이하게 내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된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를 통하면, 햄버거 테이크 아웃 또는 매장내에서 햄버거를 전달할 때, 접철된 상태를 펼쳐 햄버거, 감자튀김 및 음료수 용기가 각각의 구획된 위치에 수용되어 좌 우 모서리에 놓이는 음료수가 넘치거나 내용물이 흐트러지 않아 사용 및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상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접착날개(110)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날개(110)의 일측에서 상기 접착날개(11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1 측면 접이선(120)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 접이선(120)을 기준으로 상기 접착날개(11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측면(100)과 상기 제 1 측면(1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1 저면(200)과 상기 제 1 저면(200)의 대향 위치인 상기 제 1 측면(100)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 1 파지공(310)이 형성되는 제 1 파지면(320)이 구비되는 제 1 상부날개(300)로 포장 상자 내부를 구획 분할하도록하여 내용물이 각각 분리되어 서로 섞이지 않으며, 상기 제 3 저면(700)의 대향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600)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 2 파지공(810)이 형성되는 제 1 파지면(820)이 구비되는 제 2 상부날개(800)로 파지가 편리하며, 상기 제 1 측면(100)과 상기 제 2 측면(400)이 서로 만나는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 높이의 중간 위치에는 접혀져서 음료수를 수용하도록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600)과 상기 제 4 측면(900)이 접히는 위치에는 제 2 음료수수용칼선(96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 1 저면(200)은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의 하단에서 상기 제 1 저면(200)의 테두리까지 가상의 사선을 이루는 제 1 보조 접이선(211)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 3 저면(700)은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의 하단에서 상기 제 3 저면(700)의 테두리까지 가상의 사선을 이루는 제 2 보조 접이선(711)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접착날개(110)가 접착되는 경우 상기 제 1 보조 접이선(211)과 상기 제 2 보조 접이선(711)이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저면 보강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제 1 측면
110 ... 접착날개
120 ... 제 1 측면 접이선
123 ... 제 11 수용접이선
124 ... 제 12 수용접이선
200 ... 제 1 저면
300 ... 제 1 상부날개
400 ... 제 2 측면
410 ... 제 2 측면 접이선
500 ... 제 2 저면
600 ... 제 3 측면
610 ... 제 3 측면 접이선
700 ... 제 3 저면
800 ... 제 2 상부날개
900 ... 제 4 측면
910 ... 제 4 측면 접이선
930 ... 제 4 저면

Claims (7)

  1. 상하 길이 진행 방향으로 접착날개(110)가 구비되고 상기 접착날개(110)의 일측에서 상기 접착날개(11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제 1 측면 접이선(120)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 접이선(120)을 기준으로 상기 접착날개(11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측면(100);
    상기 제 1 측면(1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1 저면(200);
    상기 제 1 저면(200)의 대향 위치인 상기 제 1 측면(100)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 1 파지공(310)이 형성되는 제 1 파지면(320)이 구비되는 제 1 상부날개(300);
    상기 제 1 측면(100)에서 상기 제 1 측면 접이선(12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측면 접이선(410)과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측면(100)의 대향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측면(400);
    상기 제 2 측면(4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2 저면(500);
    상기 제 2 측면(400)에서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3 측면 접이선(610)과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측면(400)의 대향 위치에 배치되는 제 3 측면(600);
    상기 제 3 측면(6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3 저면(700);
    상기 제 3 저면(700)의 대향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600)의 상부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부에 제 2 파지공(810)이 형성되는 제 1 파지면(820)이 구비되는 제 2 상부날개(800);
    상기 제 3 측면(600)에서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의 대향 위치에 구비되는 제 4 측면 접이선(910)과 상기 제 4 측면 접이선(9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4 측면(900); 및
    상기 제 4 측면(90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 4 저면(930);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측면(100)과 상기 제 2 측면(400)이 서로 만나는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 높이의 중간 위치에는 접혀져서 음료수을 수용하도록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인 상기 제 3 측면(600)과 상기 제 4 측면(900)이 접히는 위치에는 제 2 음료수수용칼선(96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 1 저면(200)은 상기 제 2 측면 접이선(410)의 하단에서 상기 제 1 저면(200)의 테두리까지 가상의 사선을 이루는 제 1 보조 접이선(211)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 3 저면(700)은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의 하단에서 상기 제 3 저면(700)의 테두리까지 가상의 사선을 이루는 제 2 보조 접이선(711)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접착날개(110)가 접착되는 경우 상기 제 1 보조 접이선(211)과 상기 제 2 보조 접이선(711)이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저면(200), 상기 제 2 저면(500), 상기 제 3 저면(700) 및 상기 제 4 저면(930)은 바닥면을 이루는 기저면과 상기 기저면의 이면인 수용물 방향에 수용면으로 구비되되 상기 수용면은 방수코팅층으로 구비되고 상기 기저면의 표면에는 마찰돌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100)은 상기 제 1 측면 접이선(120) 방향에서 상부 테두리 보다 낮은 높이로 제 1 음료수수용공간(111)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측면(100)과 마주보는 상기 제 2 측면(400)에는 상기 제 1 음료수수용공간(111)와 대응되게 상기 제 2 측면(400)의 상부 보다 낮게 테두리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측면(600)은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 방향에서 상부 테두리 보다 낮은 높이로 제 2 음료수수용공간(620)가 구비되고 상기 제 3 측면(600)과 마주보는 상기 4 측면(900)에는 상기 제 2 음료수수용공간(620)와 대응되게 상기 제 4 측면(900)의 상부 보다 낮게 테두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음료수수용공간(111)은 상기 제 1 측면(100)의 우측 상부 테두리에서 지면 방향으로 제 11 수용접이선(123)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측면(400)의 좌측 상부 테두리에서 지면 방향으로 제 12 수용접이선(124)이 구비되며, 상기 제 11 수용접이선(123)에서 상기 제 12 수용접이선(124) 사이에는 지면과 나란하게 제 1 수용칼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음료수수용공간(620)는 상기 제 3 측면(100)의 우측 상부 테두리에서 지면 방향으로 제 21 수용접이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 4 측면(900)의 좌측 상부 테두리에서 지면 방향으로 제 22 수용접이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 21 수용접이선에서 상기 제 22 수용접이선 사이에는 지면과 나란하게 제 2 수용칼선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저면(200)과 상기 제 2 저면(500)이 서로 접촉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 1 측면(100) 및 상기 제 2 측면(400)의 하부 모서리에서 외측 또는 저면 방향으로 진행하며 소정의 공간부가 점차 넓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3 저면(700)과 상기 제 4 저면(930)이 서로 접촉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제 3 측면(600) 및 상기 제 4 측면(900)의 하부 모서리에서 외측 또는 저면 방향으로 진행하며 소정의 공간부가 점차 넓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상부날개(300) 및 상기 제 2 상부날개(800)는 상기 제 1 측면(100) 및 상기 제 3 측면(600)의 상부 테두리에서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상부날개(300) 및 상기 제 2 상부날개(800)의 상부 테두리의 양 모서리는 만곡지게 구비되며,
    상기 제 1 저면(200), 상기 제 2 저면(500), 상기 제 3 저면(700) 및 상기 제 4 저면(930)은 수용물이 수용되는 안쪽 방향으로 마찰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측면(100)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날개(110)과 평행한 방향을 갖는 상기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의 하부 종단에서 상기 제 2 측면(400)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1 음료수수용칼선(950)이 수용부 방향으로 접혀져서 형성되는 음료수 구획 이 상기 제 1 측면(100) 방향은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면(400)에는 더 넓게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3 측면(600)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측면 접이선(610)과 평행한 방향을 갖는 상기 제 2 음료수수용칼선(960)의 하부 종단에서 상기 제 4 측면(900)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제 2 음료수수용칼선(960)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2 음료수수용칼선(960)이 수용부 방향으로 접혀져서 형성되는 음료수 구획 구분선이 상기 제 3 측면(600) 방향은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 4 측면(900)에는 더 넓게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72594A 2020-12-10 2020-12-10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KR102271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594A KR102271518B1 (ko) 2020-12-10 2020-12-10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594A KR102271518B1 (ko) 2020-12-10 2020-12-10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518B1 true KR102271518B1 (ko) 2021-07-01

Family

ID=7686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594A KR102271518B1 (ko) 2020-12-10 2020-12-10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5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546U (ko) * 1993-12-07 1995-07-22 가전제품용 포장 상자
KR200315787Y1 (ko) * 2003-03-25 2003-06-12 우제현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KR20080004312U (ko) * 2007-03-29 2008-10-02 이건석 제품용기 포장상자
US20190016500A1 (en) * 2017-07-17 2019-01-1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With Locking Featur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546U (ko) * 1993-12-07 1995-07-22 가전제품용 포장 상자
KR200315787Y1 (ko) * 2003-03-25 2003-06-12 우제현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
KR20080004312U (ko) * 2007-03-29 2008-10-02 이건석 제품용기 포장상자
US20190016500A1 (en) * 2017-07-17 2019-01-1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With Locking Fea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7771B2 (en) Beverage and food carrier and dispensing systems therefor
US7273162B2 (en) Fry and food scoop with condiment cells
US6360944B1 (en) Food container with a foldable condiment holder
US8955738B2 (en) Food scoop with top closure
KR20030032974A (ko) 음료 및 음식 운반기
US6471119B2 (en) Food scoop with condiment holder
US10118751B2 (en) Oversize beverage carrier box
US8056145B2 (en) Food holder
US5850911A (en) Bag with integral cup holders
US20060042989A1 (en) Food and beverage tray
MXPA06002839A (es) Portador y metodo.
US7232055B1 (en) Folding serving tray
KR102522604B1 (ko) 상하가 분리되는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US9809373B2 (en) Food container with integral condiment cup
KR102271518B1 (ko) 저면이 보강된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KR200471304Y1 (ko) 음식물 포장 캐리어
US20200223589A1 (en) Multi-Compartment Snack Storage and Dispensing Appliance
US4832188A (en) Flexible film package for carry-out meal items
KR102268899B1 (ko) 내부구획이 분리되는 햄버거 딜리버리 포장상자
US3565244A (en) Foldable container
KR102246562B1 (ko) 좌우가 분리되는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US20120020588A1 (en) Insert for a bag
GB2434789A (en) Carrier bag with transparent section
US11912483B1 (en) Multi-functional catering container
CA2590929A1 (en) Carrier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