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504B1 -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504B1
KR102271504B1 KR1020200162694A KR20200162694A KR102271504B1 KR 102271504 B1 KR102271504 B1 KR 102271504B1 KR 1020200162694 A KR1020200162694 A KR 1020200162694A KR 20200162694 A KR20200162694 A KR 20200162694A KR 102271504 B1 KR102271504 B1 KR 102271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ater quality
threshold
hear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호
최연규
박규성
윤인준
홍성문
지은정
송승일
김권석
민만기
김영재
박지수
Original Assignee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measuring frequency, phase shift or propagation time of electromagnetic or other waves, e.g. using ultrasonic flowmeters
    • G01F1/66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measuring frequency, phase shift or propagation time of electromagnetic or other waves, e.g. using ultrasonic flowmeters by detecting noise and sounds generated by the flowing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rket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을 계측하는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은 상수관망의 수량을 측정하여 수량 정보를 생성하는 수량 센서부; 상수관망의 수질을 측정하여 수질 정보를 생성하는 수질 센서부;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로부터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수량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수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관리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Low power water quality and quantity measurement system for water distribution networks}
본 발명은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을 계측하는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수관망은 필수적인 도시 기반 시설이며, 이에 따라 상수관망의 효율적인 관리와 운영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오랜 역사 속에서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는 중이다.
최근에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술 등을 이용한 상수관망의 해석과 이에 따른 지능형 상수관망 관리에 관련된 기술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지능형 상수관망 관리와 관련된 대표적인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5488호(발명의 명칭: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각종 센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상수관망 내의 다양한 정보들을 취합하여 관리자에게 실시간 제공하는 수준에 아직 머물러 있다. 다시 말해, 각종 센서들을 통해 수압이나 유량 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면 이의 취합을 통해 관리자 등이 문제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있어, 높은 수준의 지능형 상수관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 한국환경공단에서는 상수관망의 체계적 정비와 IT기술 접목한 최적관리시스템 구축으로 누수율 줄이고 유수율 높이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전력으로 효율적으로 상수관망의 수질 및 수량을 계측할 수 있으며, IoT 기술과 융복합된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및 그 상수관망 저전력 계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을 계측하는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은 상수관망의 수량을 측정하여 수량 정보를 생성하는 수량 센서부; 상수관망의 수질을 측정하여 수질 정보를 생성하는 수질 센서부;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로부터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수량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수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관리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에 의하면, 저전력으로 효율적으로 상수관망의 수질 및 수량을 계측할 수 있으며, IoT 기술과 융복합된 기술로서 관리자가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상수관망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이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의 개략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청음 정보 및 수질 정보의 예시적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기 전도도 정보, 탁도 정보 및 잔류 염소 정보의 예시적인 그래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을 계측하는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은 상수관망의 수량을 측정하여 수량 정보를 생성하는 수량 센서부; 상수관망의 수질을 측정하여 수질 정보를 생성하는 수질 센서부;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로부터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수량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수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관리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수량 센서부는 상수관망의 청음 정보를 생성하는 청음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와 상기 수질 정보의 상관 관계로부터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기 설정된 청음 임계치 초과인지 여부 및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지 여부에 따라 구별되는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에 이상이 없음을 알리는 제1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는 제2-1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2-1 관리 정보 산출 후 획득한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기 수질 센서부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는 제2-2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3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수질 센서부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는 제3-1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3-1 관리 정보 산출 후 획득한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는 제3-2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4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는 제4-1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4-1 관리 정보 산출 후 획득한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수관망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4-2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수질 센서부는 상수관망의 전기 전도도 정보를 생성하는 전기 전도도 센서, 탁도 정보를 생성하는 탁도 센서 및 잔류 염소 정보를 생성하는 잔류 염소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와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상관 관계로부터 보수 스케쥴에 대한 정보인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가 기 설정된 보수 임계치에 도달하는 예상 시점을 산출하여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기 설정된 청음 임계치 초과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수 임계치를 다르게 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보수 임계치를 제1 임계치로 설정하고,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기 보수 임계치를 제1 임계치보다 큰 제2 임계치로 설정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수 임계치를 다르게 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보수 임계치를 제1 임계치로 설정하고,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기 보수 임계치를 제1 임계치보다 큰 제2 임계치로 설정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 상기 보수 임계치는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초기 세팅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 상기 청음 임계치는 상기 청음 정보의 초기 세팅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저전력 계측 방법은 상기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을 계측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이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의 개략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청음 정보 및 수질 정보의 예시적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기 전도도 정보, 탁도 정보 및 잔류 염소 정보의 예시적인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10)은 상수관망(A) 상에 흐르는 상수의 수질 및 수량을 계측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현재, 상수관망(A)에 대한 수질 및 수량 계측은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나, 효율적 운용을 위한 통합 운용 및 상용화 기술이 부재하여 수질 및 수량 정보의 실시간 확보 및 효율적인 관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10)은 상수관망(A)의 수질 및 수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수질 및 수량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10)은 측정한 상수의 수질 및 수량 정보를 통합 관리 센터 등의 외부 장치(S)로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또한 관리자의 단말기(P)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10)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10)은 상수관망(A)의 수량을 측정하여 수량 정보를 생성하는 수량 센서부(100) 및 상수관망(A)의 수질을 측정하여 수질 정보를 생성하는 수질 센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량 센서부(100)는 상수관 내에 존재하는 상수의 수량과 관련된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량 센서부(100)는 상수관망(A)에 설치되어 상수의 유량, 압력 및 소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량 센서부(100)는 상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 상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및 소음(청음)을 측정하는 청음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청음 센서는 상수관망(A)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질 센서부(200)는 상수의 수질과 관련된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질 센서부(200)는 상수의 전기 전도도 정보를 생성하는 전기 전도도 센서(230), 탁도 정보를 생성하는 탁도 센서(240), 잔류 염소 정보를 생성하는 잔류 염소 센서(250),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온도 센서(210) 및 pH 정보를 생성하는 pH 센서(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10)은 상수관망(A)으로부터 상수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해 상수를 샘플링할 수 있는 샘플링 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질 센서부(200)는 상기 샘플링 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수에 대해 수질을 측정하여 수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10)은 상기 수량 센서부(100) 및 상기 수질 센서부(200)로부터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수량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수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량 정보,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관리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S) 및 상기 단말기(P)로 송신하는 통신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수량 정보 및 상기 수질 정보를 수신하는 통합 인디게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수량 정보 및 상기 수질 정보를 획득하여 필요에 따라 정보들을 연산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400)를 통해 상기 수량 정보,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외부 장치(S) 및 상기 단말기(P)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10)은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태양광 발전 모듈(500)은 지상에 설치되어 전력이 필요한 상기 수질 센서부(200), 상기 수량 센서부(100) 및 상기 제어부(300) 등 상기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10)은 관리자로부터 소정의 데이터/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600), 상기 수질 정보, 상기 수량 정보, 상기 관리 정보, 소정의 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800) 및 상기 수질 정보, 상기 수량 정보, 상기 관리 정보, 소정의 데이터/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부(300)가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수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기술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청음 센서가 생성한 상수관망(A)의 청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와 상기 수질 정보의 상관 관계로부터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청음 정보와 상기 수질 정보 간의 관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다양한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청음 정보와 상기 수질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시간축에 따라 변화되는 청음과 수질을 표시한 것이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기 설정된 청음 임계치(X) 초과인지 여부 및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지 여부에 따라 구별되는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인지 여부 및 상기 수질 정보가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 다양한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이하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100) 및 상기 수질 센서부(200)에 이상이 없음을 알리는 제1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300)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이하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100) 및 상기 수질 센서부(200)에 이상이 없음으로 판단하고,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기 청음 정보 및 상기 수질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800)에 저장하거나 상기 외부 장치(S) 및 상기 단말기(P)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100) 및 상기 수질 센서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300)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이하이나,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상기 제1 관리 정보와 다른 상기 제2 관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상수관망(A)의 상수의 수질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어부(300)는 현재 상수 또는 상기 수질 센서부(200)에 비 이상적인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 관리 정보는 현재 상수 또는 상기 수질 센서부(200)에 비 이상적인 상황이 발생한 것임을 의미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버 또는 상기 단말기(P)는 상기 통신부(400)를 통해 상기 제2 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을 수 있으며, 관리자는 현재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100)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는 제2-1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우선적으로 상기 제2-1 관리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제2-1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수량 센서부(100)의 전원을 OFF한 후, 다시 전원을 ON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상황에서 상기 수질 센서부(200)의 전원을 먼저 OFF한 후 ON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수질 센서부(200)는 실시간으로 상기 수질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되, 우선적으로 상기 수량 센서부(100)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여 상기 수량 센서부(100)가 고장이 났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2-1 관리 정보 산출 후 획득한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상기 수질 센서부(200)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는 제2-2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2-1 관리 정보에 의해 상기 수량 센서부(100)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여 다시 상기 청음 정보 및 상기 수질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차선적으로 상기 제2-2 관리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제2-2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수질 센서부(200)의 전원을 OFF한 후, 다시 전원을 ON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2-2 관리 정보를 산출 후 획득한 상기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이하인 경우 상기 수질 센서부(200)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2-3 관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2-1 관리 정보 산출 후 획득한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100)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2-4 관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이하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100) 및 상기 수질 센서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3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300)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이나,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관리 정보 및 상기 제2 관리 정보와 다른 상기 제3 관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인 경우, 상수관망(A)의 상수의 수량, 상수관망(A)의 크랙 발생, 상수관망(A)의 이물질 흡착 등과 같이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어부(300)는 현재 상수 또는 상기 수량 센서부(100)에 비 이상적인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3 관리 정보는 현재 상수 또는 상기 수량 센서부(100)에 비 이상적인 상황이 발생한 것임을 의미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버 또는 상기 단말기(P)는 상기 통신부(400)를 통해 상기 제3 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을 수 있으며, 관리자는 현재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인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이하인 경우, 상기 수질 센서부(200)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는 제3-1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이하인 경우, 우선적으로 상기 제3-1 관리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제3-1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수질 센서부(200)의 전원을 OFF한 후, 다시 전원을 ON할 수 있다.
즉,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인 상황에서 상기 청음 센서의 전원을 먼저 OFF한 후 ON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청음 센서는 실시간으로 상기 청음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되, 우선적으로 상기 수질 센서부(200)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여 상기 청음 센서가 고장이 났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3-1 관리 정보 산출 후 획득한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이하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100)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는 제3-2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3-1 관리 정보에 의해 상기 수질 센서부(200)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여 다시 상기 청음 정보 및 상기 수질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이하인 경우, 차선적으로 상기 제3-2 관리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제3-2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수량 센서부(100)의 전원을 OFF한 후, 다시 전원을 ON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3-2 관리 정보를 산출 후 획득한 상기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이하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100)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3-3 관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3-1 관리 정보 산출 후 획득한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상기 수질 센서부(200)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4-4 관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100) 및 상기 수질 센서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4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300)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이고,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상기 제1 관리 정보 내지 상기 제3 관리 정보와 다른 상기 제4 관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100) 및 상기 수질 센서부(200)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는 제4-1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4-1 관리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수량 센서부(100)와 상기 수질 센서부(200)의 전원을 동시에 OFF한 후 ON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4-1 관리 정보 산출 후 획득한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상수관망(A)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4-2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곧 바로 상기 외부 장치(S) 및/또는 상기 단말기(P)로 이러한 사실을 알리는 것이 아니라, 우선적으로 상기 제4-1 관리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수량 센서부(100)와 상기 수질 센서부(200)의 전원을 동시에 OFF한 후 ON한 후, 다시 획득되는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상기 4-2 관리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통신부(400)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S) 및/또는 상기 단말기(P)로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사실을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 보수가 필요한 시점에 대한 보수 스케쥴 정보를 산출하는 것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수질 센서부(200)는 상수관망(A)의 전기 전도도 정보를 생성하는 전기 전도도 센서(230), 탁도 정보를 생성하는 탁도 센서(240) 및 잔류 염소 정보를 생성하는 잔류 염소 센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와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상관 관계로부터 보수 스케쥴에 대한 정보인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획득한 상기 청음 정보와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상관 관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수량 센서부(100) 및/또는 상기 수질 센서부(200)의 수리/보수가 필요한 예상 시점인 보수 스케쥴에 대한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가 기 설정된 보수 임계치에 도달하는 예상 시점을 산출하여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300)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를 이용하여 각 정보의 변화량을 구할 수 있으며, 변화량을 통해 상기 보수 임계치에 도달하는 예상 시점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의 변화량을 통해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가 상기 보수 임계치에 도달하는 미래의 시점, 상기 탁도 정보의 변화량을 통해 상기 탁도 정보가 상기 보수 임계치에 도달하는 미래의 시점,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변화량을 통해 상기 잔류 염소 정보가 상기 보수 임계치에 도달하는 미래의 시점를 각각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신부(400)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S) 및/또는 상기 단말기(P)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보수 임계치는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에 따라 각각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기 설정된 청음 임계치(X) 초과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수 임계치를 다르게 하는 조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수 임계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미만인 경우 상기 보수 임계치를 제1 임계치(Z1)로 설정하고,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X) 초과인 경우 상기 보수 임계치를 제1 임계치(Z1)보다 큰 제2 임계치(Z2)로 설정하는 조건일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정확한 보수 예상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수 임계치를 다르게 하는 조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수 임계치의 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미만인 경우 상기 보수 임계치를 제1 임계치(Z1)로 설정하고,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 경우 상기 보수 임계치를 제1 임계치(Z1)보다 큰 제2 임계치(Z2)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기 설정된 청음 임계치(X) 초과인지 여부와 동시에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βY) 초과인지 여부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상기 보수 임계치를 설정하는 조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수 임계치는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초기 세팅값(P1)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세팅값(P1)의 의미는, 관리자가 현장에서 상기 수질 센서부(200)의 수리, 보수 또는 재 설치를 한 후, 상기 수질 센서부(200)가 생성하는 정보의 시작값으로, 관리자에 의해 초기 세팅값(P1)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초기 세팅값(P1)에 따라 상기 보수 임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청음 임계치(X)는 상기 청음 정보의 초기 세팅값(P1)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10)은 저전력으로 효율적으로 상수관망(A)의 수질 및 수량을 계측할 수 있으며, IoT 기술과 융복합된 기술로서 관리자가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상수관망(A)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A) 저전력 계측 방법은 앞서 설명한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상수관망(A) 수질 및 수량을 계측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수량 센서부
200: 수질 센서부
300: 제어부
400: 통신부

Claims (22)

  1.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을 계측하는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에 있어서,
    상수관망의 수량을 측정하여 수량 정보를 생성하는 수량 센서부;
    상수관망의 수질을 측정하여 수질 정보를 생성하는 수질 센서부;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로부터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수량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수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관리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량 센서부는,
    상수관망의 청음 정보를 생성하는 청음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와 상기 수질 정보의 상관 관계로부터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기 설정된 청음 임계치 초과인지 여부 및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지 여부에 따라 구별되는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이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이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는 제2-1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에 이상이 없음을 알리는 제1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2-1 관리 정보 산출 후 획득한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이하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기 수질 센서부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는 제2-2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8.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을 계측하는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에 있어서,
    상수관망의 수량을 측정하여 수량 정보를 생성하는 수량 센서부;
    상수관망의 수질을 측정하여 수질 정보를 생성하는 수질 센서부;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로부터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수량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수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관리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량 센서부는,
    상수관망의 청음 정보를 생성하는 청음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와 상기 수질 정보의 상관 관계로부터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기 설정된 청음 임계치 초과인지 여부 및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지 여부에 따라 구별되는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이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3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수질 센서부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는 제3-1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3-1 관리 정보 산출 후 획득한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는 제3-2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4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의 전원을 OFF한 후 ON하는 제4-1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제4-1 관리 정보 산출 후 획득한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초과이며 상기 수질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수관망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4-2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14.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을 계측하는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에 있어서,
    상수관망의 수량을 측정하여 수량 정보를 생성하는 수량 센서부;
    상수관망의 수질을 측정하여 수질 정보를 생성하는 수질 센서부;
    상기 수량 센서부 및 상기 수질 센서부로부터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수량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수질 정보 및 상기 수량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관리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량 센서부는,
    상수관망의 청음 정보를 생성하는 청음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와 상기 수질 정보의 상관 관계로부터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이며,
    상기 수질 센서부는,
    상수관망의 전기 전도도 정보를 생성하는 전기 전도도 센서, 탁도 정보를 생성하는 탁도 센서 및 잔류 염소 정보를 생성하는 잔류 염소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와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상관 관계로부터 보수 스케쥴에 대한 정보인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이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가 기 설정된 보수 임계치에 도달하는 예상 시점을 산출하여 상기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조건이고,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기 설정된 청음 임계치 초과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수 임계치를 다르게 하는 조건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보수 임계치를 제1 임계치로 설정하고,
    상기 청음 정보가 상기 청음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기 보수 임계치를 제1 임계치보다 큰 제2 임계치로 설정하는,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수 임계치를 다르게 하는 조건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변화량이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보수 임계치를 제1 임계치로 설정하고,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변화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수질 변화량 임계치 초과인 경우 상기 보수 임계치를 제1 임계치보다 큰 제2 임계치로 설정하는,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 임계치는,
    상기 전기 전도도 정보, 상기 탁도 정보 및 상기 잔류 염소 정보의 초기 세팅값에 따라 달라지는,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 임계치는,
    상기 청음 정보의 초기 세팅값에 따라 달라지는,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22. 제1항, 제4항, 제7항, 제8항, 제10항 내지 14항,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을 계측하는 상수관망 저전력 계측 방법.
KR1020200162694A 2020-11-27 2020-11-27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KR102271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694A KR102271504B1 (ko) 2020-11-27 2020-11-27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694A KR102271504B1 (ko) 2020-11-27 2020-11-27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504B1 true KR102271504B1 (ko) 2021-07-01

Family

ID=7686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694A KR102271504B1 (ko) 2020-11-27 2020-11-27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5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389B1 (ko) * 2021-11-25 2022-09-27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상수관망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465508B1 (ko) * 2022-01-10 2022-11-11 주식회사 씨노텍 그린에너지를 이용한 상수도 스마트 물 관리용 IoT 기반 저전력 원격감시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207B1 (ko) * 2010-12-14 2012-05-24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상하수도시설 컴팩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41600B1 (ko) * 2013-04-19 2013-12-13 김진택 유량검출기능을 내장한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19416B1 (ko) * 2017-03-28 2018-01-17 손창식 수질측정센서별 자가진단 기능을 탑재한 지능형 수질측정장치 및 수질측정센서 자가진단 방법
KR101899112B1 (ko) * 2017-08-24 2018-09-17 서계숙 Ict기반 상수관망의 실시간 누수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207B1 (ko) * 2010-12-14 2012-05-24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상하수도시설 컴팩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41600B1 (ko) * 2013-04-19 2013-12-13 김진택 유량검출기능을 내장한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19416B1 (ko) * 2017-03-28 2018-01-17 손창식 수질측정센서별 자가진단 기능을 탑재한 지능형 수질측정장치 및 수질측정센서 자가진단 방법
KR101899112B1 (ko) * 2017-08-24 2018-09-17 서계숙 Ict기반 상수관망의 실시간 누수감지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389B1 (ko) * 2021-11-25 2022-09-27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상수관망 수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465508B1 (ko) * 2022-01-10 2022-11-11 주식회사 씨노텍 그린에너지를 이용한 상수도 스마트 물 관리용 IoT 기반 저전력 원격감시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504B1 (ko) 상수관망 수질 및 수량 저전력 계측 시스템
CN117057670A (zh) 基于物联网的物业智能能源管理系统
JP6566525B2 (ja) グリッド周波数応答
US10676901B2 (en) Interactive water monitoring system
US72899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istribution
AU2014256585B2 (en) Monitoring system
US201101531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art energy management by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US20110035063A1 (en) Water Management System
US11649616B2 (en) Fluid delivery system
CN210800732U (zh) 供水管网漏损检测设备及系统
KR101483241B1 (ko) 열역학 유량계를 이용한 펌프성능 진단방법
KR100490292B1 (ko) 웹기반 하수관거 통합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09735B1 (ko) 간이상수도 수질관리를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및통합관리방법
CN108645438A (zh) 基于无线传感网络技术的城市供水监测方法以及监测系统
CN113588601A (zh) 一种泥沙量自动监测仪及在线监测系统
KR102113951B1 (ko) IoT 기반 실시간 무선 수압계 및 이를 포함하는 상수도 관리 시스템
US10648469B2 (en) Remote pump managing device
KR102454300B1 (ko)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운영 유지 보수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운영유지보수 방법
CN115126041A (zh) 一种智能化给水系统及方法
Rakhmania et al. Centralized Post Paid Water Meter Controller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CN111837016A (zh) 燃气切断装置和燃气切断装置用无线装置
CN114877405A (zh) 一种基于传感器融合的二网平衡检测系统
KR20180104367A (ko) 커뮤니티를 위한 수요 반응 서비스 실행 방법 및 수요 반응 서비스 실행 시스템
Joseph et al. Intelligent Water Distribution and Monitoring System
KR101082525B1 (ko) 누전 및 도전 감시기능이 있는 원격검침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