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835B1 - 가스 보일러 연통 구조 - Google Patents

가스 보일러 연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835B1
KR102270835B1 KR1020190150317A KR20190150317A KR102270835B1 KR 102270835 B1 KR102270835 B1 KR 102270835B1 KR 1020190150317 A KR1020190150317 A KR 1020190150317A KR 20190150317 A KR20190150317 A KR 20190150317A KR 102270835 B1 KR102270835 B1 KR 102270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take pipe
exhaust
elbow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2286A (ko
KR102270835B9 (ko
Inventor
이혜정
이종태
이일행
황기웅
Original Assignee
피피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피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피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0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8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835B1/ko
Publication of KR10227083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83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1Joints; Connections between stack and branch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4Sea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30Specific materials
    • F23J2213/302Specific materials 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보일러에 연결되는 연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단부의 하부 외주면에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구비되는 제1흡기관(110); 전단부가 제1흡기관(11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동심축 상에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제1흡기관(110)을 통하여 유입된 외기를 가스 보일러로 공급하는 배출구(121)가 후단부 일측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2흡기관(120); 제2흡기관(120)의 후단부에서 동심축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2흡기관(120)과 일체를 이루고, 배기가스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제2배기관(220); 제1흡기관(110)과 제2흡기관(1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이중관 구조를 이루며, 전단부는 제1흡기관(110)의 전단부에 상향 편심되도록 결합되고, 후단부는 제2배기관(22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어 후방으로 갈수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배기가스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제1배기관(210); 전단부가 제2배기관(220)의 후단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배기가스의 유로를 90도 변환시키는 "ㄱ" 형태의 관체인 제1엘보우관(310); 및, 제1엘보우관(310)의 후단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가스 보일러의 배기가스 배출구와 결합되는 소켓관(4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가스 보일러 연통 구조{Gas Boiler Pipe Structure}
본 발명은 가스 보일러(특히 콘덴싱 가스 보일러)의 연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설치 환경에 맞추어 적절히 회전하거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설치 장소에 제약을 최소화하고, 이중관 구조 내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배관 설비는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데, 식수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사용된 물은 하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실내를 따뜻하게 하거나, 시원하게 하는 일도 배관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배관들은 온도, 압력, 관내 이송물체의 성질 등에 따라 배관의 재질이 강관, 합성수지관, 주철관, 콘 크리트관, 동관 등으로 그 종류가 달리 선택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사용목적이 다양하고, 기후 변화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에너지 및 기타 물량을 공급하기 쉽고, 수송도중 물량의 손실이 거의 없으며, 수송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가운데 가스보일러에 설치되는 배기시스템은 가스 보일러에서 생성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배기통, 연통 등 일련의 설비들의 집합체를 지칭하며, 이중관 구조의 파이프, 엘보우, 커텍터, 캡(cap)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부분 스테인리스로 제작되어지고 있다.
여기서 배기시스템에서 완전연소 시에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이산화탄소, 질소, 및 수증기로 구성되어 있으나, 불완전연소가 이루어질 경우 무색·무취의 일산화탄소(CO)도 함께 배출되며, 일산화탄소 중독은 두통, 운동마비, 의식장애 및 심한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배기시스템은 기밀성 유지가 중요한데, 종래의 스테인리스로 제작된 배기시스템의 연통 구조는 각각의 관체 연결 부위에 내열 실리콘이나 석고 붕대를 감는 마감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설치 현장에 따라 각 관체의 길이를 달리 제작하여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설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실질적인 기밀 유지가 어려워지는 문제점과 함께, 금속재의 관체는 장시간 사용시 부식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구멍이 발생하여 배기가스 누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 제10-2010-0070079호
등록고안 제20-0436657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종래의 금속재 연통의 부식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 환경에 따른 제약을 극복하여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이중관 구조 내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가스 보일러 연통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가스 보일러에 연결되는 연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단부의 하부 외주면에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구비되는 제1흡기관(110); 전단부가 상기 제1흡기관(11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동심축 상에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제1흡기관(110)을 통하여 유입된 외기를 보일러로 공급하는 배출구(121)가 후단부 일측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2흡기관(120); 상기 제2흡기관(120)의 후단부에서 동심축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흡기관(120)과 일체를 이루고, 배기가스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제2배기관(220); 상기 제1흡기관(110)과 상기 제2흡기관(1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이중관 구조를 이루며, 전단부는 상기 제1흡기관(110)의 전단부에 상향 편심되도록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2배기관(22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어 후방으로 갈수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배기가스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제1배기관(210); 전단부가 상기 제2배기관(220)의 후단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배기가스의 유로를 90도 변환시키는 "ㄱ" 형태의 관체인 제1엘보우관(310); 및, 상기 제1엘보우관(310)의 후단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가스 보일러의 배기가스 배출구와 결합되는 소켓관(4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흡기관(120)을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121) 방향을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2흡기관(120)과 상기 제1엘보우관(310) 사이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제2흡기관(120)과 상기 소켓관(410) 사이의 수직 거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종래의 금속재 연통의 부식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설치 환경에 따라 적절히 연통의 일부 구성을 회전시키거나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로 가변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설치 환경에 따라 제2흡기관 및 제2배기관(220)을 회전하여 배출구(121) 방향을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제2흡기관(120)과 제1엘보우관(310) 사이의 수평 거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제1엘보우관(310)에 끼워진 소켓관(41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제1엘보우관(310)과 소켓관(410) 사이의 수직 거리도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다.
셋째, 이중관 구조 내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엔드캡을 통하여 외부로 흘러 내리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제1배기관(210)의 내부로는 배기가스가 통과하고, 제1배기관의 외측 공간인 제1흡기관(110)과 제2흡기관(120)의 내부로는 외기가 통과하는 이중관 구조로 제작됨으로써 배기가스와 외기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제1배기관(210) 내측면에 응결수가 발생하는데, 제1배기관(210)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어 이러한 응결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제1배기관(210)을 따라 제2배기관(220)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제1엘보우관(310)과 소켓관(410)을 통과하여 가스 보일러 내부로 들어가 중화처리된 후 하수구로 배출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 구조를 부분 확대도와 함께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가스 보일러에 연결되는 연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너지 소비효율등급제가 도입되면서 배기가스 온도가 낮아진 콘덴싱 가스 보일러에 사용할 경우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제1흡기관(110), 제2흡기관(120), 제1배기관(210), 제2배기관(220), 제1엘보우관(310) 및 소켓관(410)을 포함한다.
제1흡기관(110)은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단부의 하부 외주면에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구비된 관체 구조이다.
제2흡기관(120)은 전단부가 제1흡기관(11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동심축 상에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제1흡기관(110)을 통하여 유입된 외기를 가스 보일러로 공급하는 배출구(121)가 후단부 일측 외주면으로 돌출된 관체 구조이다.
제2배기관(220)은 제2흡기관(120)의 후단부에서 동심축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2흡기관(120)과 일체를 이루고, 배기가스의 통로 역할을 한다.
제1배기관(210)은 제1흡기관(110)과 제2흡기관(1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이중관 구조를 이루는데, 제1배기관(210)의 전단부는 제1흡기관(110)의 전단부에 상향 편심되도록 결합되고, 제1배기관(210)의 후단부는 제2배기관(22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어 후방으로 갈수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배기가스의 통로 역할을 한다.
즉, 제2배기관(220)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제1배기관(21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중관 구조로 인하여 제1배기관(210)의 내부로는 배기가스가 통과하고, 제1배기관의 외측 공간인 제1흡기관(110)과 제2흡기관(120)의 내부로는 외기가 통과하는데, 배기가스와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제1배기관(210) 내측면에 응결수가 발생하는데, 제1배기관(210)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어 이러한 응결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제1배기관(210)을 따라 제2배기관(220)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제1엘보우관(310)과 소켓관(410)을 통과하여 가스 보일러 내부로 들어간다.
가스 보일러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는 중화제가 들어있는 트랩으로 들어가서 중화 처리된 후 가스 보일러 하부로 연결된 배관을 통하여 하수구로 배출된다.
제1엘보우관(310)은 배기가스의 유로를 90도 변환시키는 "ㄱ" 형태의 관체 구조로서, 제1엘보우관(310)의 전단부가 제2배기관(220)의 후단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소켓관(410)은 제1엘보우관(310)의 후단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는데, 가스 보일러의 배기가스 배출구와 결합된다.
따라서, 설치 환경에 따라 제2흡기관 및 제2배기관(220)을 회전하여 배출구(121) 방향을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제2흡기관(120)과 제1엘보우관(310) 사이의 수평 거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제1엘보우관(310)에 끼워진 소켓관(41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제1엘보우관(310)과 소켓관(410) 사이의 수직 거리도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다.
엔드캡(510)은 제1배기관(21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경사베인(511)이 구비되며, 배기가스의 최종 출구 역할을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도1과는 달리 제1배기관(210)과 엔드캡(510) 사이에 제2엘보우관(320) 및 제3엘보우관(330)이 추가되는 구조이다.
제2엘보우관(320)은 배기가스의 유로를 90도 변환시키는 "ㄴ" 형태의 관체 구조로서, 제1배기관(21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된다.
제3엘보우관(330)는 배기가스의 유로를 90도 변환시키는 "ㄱ" 형태의 관체 구조로서, 제2엘보우관(32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된다.
엔드캡은 제3엘보우관(33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에 대한 사시도인데,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단면 구조와 함께 이탈방지 구조와 회전 가이드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제2배기관(220)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외경이 확장된 제2배기관이탈방지턱(221)이 구비되는데, 제1엘보우관이탈방지링(630)이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제1엘보우관(310)의 전단부 내주면에 장착되어 제1엘보우관(310)과 함께 거동하고, 제2배기관(220)이 제1엘보우관(310) 전단부에서 빠져나오다가 제2배기관이탈방지턱(221)과 맞닿으면 멈추게 되어 제2배기관(2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엘보우관(310)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외경이 확장된 제1엘보우관이탈방지턱(311)이 구비되고, 소켓관이탈방지링(640)이 소켓관(410)의 전단부 내부면에 장착되어 소켓관(410)과 함께 거동하고, 제1엘보우관(310)이 소켓관(410)의 전단부에서 빠져나오다가 제1엘보우관이탈방지턱(311)과 맞닿을 경우 제1엘보우관(31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회전가이드링(610)은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제1흡기관(110)의 후단부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장착되고, 제2흡기관(120)의 전단부 내주면에 삽입되도록 연결되는데,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가이드링(61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가이드홈(611)이 구비된다.
가이드핀(620)은 제2흡기관(120)의 전단부를 통과하여 말단부가 회전가이드링(610)의 회전가이드홈(611)에 수용되도록 체결(장착)되는데, 회전가이드링(6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흡기관(120)과 제2배기관(2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회전가이드홈(611)이 허용하는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흡기관(110), 제2흡기관(120), 제1배기관(210), 제2배기관(220), 제1엘보우관(310), 제2엘보우관(320), 제3엘보우관(330), 소켓관(410), 및 엔드캡(510)은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장기 사용시에도 부식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각 관체의 연결부위에는 기밀성 유지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오링(O-ring)과 같은 실링부재가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10:제1흡기관
111:유입구
120:제2흡기관
121:배출구
210:제1배기관
220:제2배기관
221:제2배기관이탈방지턱
310:제1엘보우관
311:제1엘보우관이탈방지턱
320:제2엘보우관
330:제3엘보우관
410:소켓관
510:엔드캡
511:경사베인
610:회전가이드링
611:회전가이드홈
620:가이드핀
630:제1엘보우관이탈방지링
640:소켓관이탈방지링

Claims (6)

  1. 가스 보일러에 연결되는 연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단부의 하부 외주면에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구비되는 제1흡기관(110);
    전단부가 상기 제1흡기관(11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동심축 상에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상기 제1흡기관(110)을 통하여 유입된 외기를 가스 보일러로 공급하는 배출구(121)가 후단부 일측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2흡기관(120);
    상기 제2흡기관(120)의 후단부에서 동심축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흡기관(120)과 일체를 이루고, 배기가스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제2배기관(220);
    상기 제1흡기관(110)과 상기 제2흡기관(1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이중관 구조를 이루며, 전단부는 상기 제1흡기관(110)의 전단부에 상향 편심되도록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2배기관(22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어 후방으로 갈수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배기가스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제1배기관(210);
    전단부가 상기 제2배기관(220)의 후단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배기가스의 유로를 90도 변환시키는 "ㄱ" 형태의 관체인 제1엘보우관(310);
    상기 제1엘보우관(310)의 후단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가스 보일러의 배기가스 배출구와 결합되는 소켓관(410);
    상기 제1배기관(21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며, 배기가스의 유로를 90도 변환시키는 "ㄴ" 형태의 관체인 제2엘보우관(320);
    상기 제2엘보우관(32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며, 배기가스의 유로를 90도 변환시키는 "ㄱ" 형태의 관체인 제3엘보우관(330); 및,
    상기 제3엘보우관(33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경사베인(511)이 구비되며, 배기가스의 최종 출구가 되는 엔드캡(510);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흡기관(120) 및 상기 제2배기관(220)을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121) 방향을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2흡기관(120)과 상기 제1엘보우관(310) 사이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소켓관(410)과 상기 제2흡기관(120) 사이의 수직 거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연통 구조..
  2. 가스 보일러에 연결되는 연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단부의 하부 외주면에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구비되는 제1흡기관(110);
    전단부가 상기 제1흡기관(11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동심축 상에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상기 제1흡기관(110)을 통하여 유입된 외기를 가스 보일러로 공급하는 배출구(121)가 후단부 일측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2흡기관(120);
    상기 제2흡기관(120)의 후단부에서 동심축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흡기관(120)과 일체를 이루고, 배기가스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제2배기관(220);
    상기 제1흡기관(110)과 상기 제2흡기관(1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이중관 구조를 이루며, 전단부는 상기 제1흡기관(110)의 전단부에 상향 편심되도록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2배기관(22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어 후방으로 갈수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배기가스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제1배기관(210);
    전단부가 상기 제2배기관(220)의 후단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배기가스의 유로를 90도 변환시키는 "ㄱ" 형태의 관체인 제1엘보우관(310); 및,
    상기 제1엘보우관(310)의 후단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가스 보일러의 배기가스 배출구와 결합되는 소켓관(410);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흡기관(120) 및 상기 제2배기관(220)을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121) 방향을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2흡기관(120)과 상기 제1엘보우관(310) 사이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소켓관(410)과 상기 제2흡기관(120) 사이의 수직 거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2배기관(220)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외경이 확장된 제2배기관이탈방지턱(221);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엘보우관(310)의 전단부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엘보우관(310)과 함께 거동하며, 상기 제2배기관이탈방지턱(221)과 맞닿을 경우 상기 제2배기관(2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엘보우관이탈방지링(630);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엘보우관(310)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외경이 확장된 제1엘보우관이탈방지턱(311);이 구비되고,
    상기 소켓관(410)의 전단부 내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소켓관(410)과 함께 거동하며, 상기 제1엘보우관이탈방지턱(311)과 맞닿을 경우 상기 제1엘보우관(3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소켓관이탈방지링(6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연통 구조.
  3. 가스 보일러에 연결되는 연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단부의 하부 외주면에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구비되는 제1흡기관(110);
    전단부가 상기 제1흡기관(11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동심축 상에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상기 제1흡기관(110)을 통하여 유입된 외기를 가스 보일러로 공급하는 배출구(121)가 후단부 일측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2흡기관(120);
    상기 제2흡기관(120)의 후단부에서 동심축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흡기관(120)과 일체를 이루고, 배기가스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제2배기관(220);
    상기 제1흡기관(110)과 상기 제2흡기관(1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이중관 구조를 이루며, 전단부는 상기 제1흡기관(110)의 전단부에 상향 편심되도록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2배기관(22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어 후방으로 갈수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배기가스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제1배기관(210);
    전단부가 상기 제2배기관(220)의 후단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배기가스의 유로를 90도 변환시키는 "ㄱ" 형태의 관체인 제1엘보우관(310);
    상기 제1엘보우관(310)의 후단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가스 보일러의 배기가스 배출구와 결합되는 소켓관(410);
    상기 제1흡기관(110)의 후단부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2흡기관(120)의 전단부 내주면에 삽입되도록 연결되며, 원주 방향으로 회전가이드홈(611)이 구비된 회전가이드링(610); 및,
    상기 제2흡기관(120)의 전단부에 체결되어 말단부가 상기 회전가이드홈(611)에 수용되면서 상기 회전가이드링(61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620);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흡기관(120) 및 상기 제2배기관(220)을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121) 방향을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2흡기관(120)과 상기 제1엘보우관(310) 사이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소켓관(410)과 상기 제2흡기관(120) 사이의 수직 거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연통 구조.
  4. 가스 보일러에 연결되는 연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단부의 하부 외주면에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구비되는 제1흡기관(110);
    전단부가 상기 제1흡기관(110)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동심축 상에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상기 제1흡기관(110)을 통하여 유입된 외기를 가스 보일러로 공급하는 배출구(121)가 후단부 일측 외주면으로 돌출된 제2흡기관(120);
    상기 제2흡기관(120)의 후단부에서 동심축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흡기관(120)과 일체를 이루고, 배기가스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제2배기관(220);
    상기 제1흡기관(110)과 상기 제2흡기관(1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이중관 구조를 이루며, 전단부는 상기 제1흡기관(110)의 전단부에 상향 편심되도록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2배기관(22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어 후방으로 갈수로 하향 경사를 이루면서 배기가스의 통로 역할을 하는 제1배기관(210);
    전단부가 상기 제2배기관(220)의 후단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배기가스의 유로를 90도 변환시키는 "ㄱ" 형태의 관체인 제1엘보우관(310); 및,
    상기 제1엘보우관(310)의 후단부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며, 가스 보일러의 배기가스 배출구와 결합되는 소켓관(410);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흡기관(120) 및 상기 제2배기관(220)을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121) 방향을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2흡기관(120)과 상기 제1엘보우관(310) 사이의 수평 거리 및 상기 소켓관(410)과 상기 제2흡기관(120) 사이의 수직 거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1흡기관(110), 상기 제2흡기관(120), 상기 제1배기관(210), 상기 제2배기관(220), 상기 제1엘보우관(310), 및 상기 소켓관(410)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연통 구조.
  5.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제1배기관(21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경사베인(511)이 구비되며, 배기가스의 최종 출구가 되는 엔드캡(51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연통 구조.
  6.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제1배기관(21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며, 배기가스의 유로를 90도 변환시키는 "ㄴ" 형태의 관체인 제2엘보우관(320);
    상기 제2엘보우관(32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며, 배기가스의 유로를 90도 변환시키는 "ㄱ" 형태의 관체인 제3엘보우관(330); 및,
    상기 제3엘보우관(330)의 전단부에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결합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경사베인(511)이 구비되며, 배기가스의 최종 출구가 되는 엔드캡(51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보일러 연통 구조.
KR1020190150317A 2019-11-21 2019-11-21 가스 보일러 연통 구조 KR102270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317A KR102270835B1 (ko) 2019-11-21 2019-11-21 가스 보일러 연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317A KR102270835B1 (ko) 2019-11-21 2019-11-21 가스 보일러 연통 구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286A KR20210062286A (ko) 2021-05-31
KR102270835B1 true KR102270835B1 (ko) 2021-06-29
KR102270835B9 KR102270835B9 (ko) 2022-09-30

Family

ID=7615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317A KR102270835B1 (ko) 2019-11-21 2019-11-21 가스 보일러 연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607B1 (ko) 2023-07-19 2024-01-31 공필주 원터치 체결식 분리형 연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8767B2 (ja) * 2006-09-26 2011-05-25 大阪瓦斯株式会社 伸縮式排気管
KR101910795B1 (ko) * 2016-10-04 2018-10-23 주식회사 빅스코 보일러의 급배기관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683U (ko) * 1996-08-21 1998-05-25 배순훈 보일러의 역풍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8767B2 (ja) * 2006-09-26 2011-05-25 大阪瓦斯株式会社 伸縮式排気管
KR101910795B1 (ko) * 2016-10-04 2018-10-23 주식회사 빅스코 보일러의 급배기관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607B1 (ko) 2023-07-19 2024-01-31 공필주 원터치 체결식 분리형 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286A (ko) 2021-05-31
KR102270835B9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4640B2 (en) Turbine sealing system
KR102270835B1 (ko) 가스 보일러 연통 구조
EP2459910A1 (en) Non-return valve
FI86098C (fi) Luftventil foer sanitetsanordningar speciellt foer att monteras vid sanitetsarmatur.
ES2264049T3 (es) Valvula de tubo de escape.
JP2007082662A (ja) 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接続用の継手
CN105737179A (zh) 锅炉增寿装置
JPS61252427A (ja) 煙突用方向変換帽
EP1136757A3 (en) Horizontal balanced flue
KR101563579B1 (ko) 보일러의 이중 연도
CN205560799U (zh) 锅炉增寿装置
KR100856860B1 (ko) 보일러의 역풍방지용 급배기관
JP5490665B2 (ja) 潜熱回収型給湯機
GB2415033A (en) A flue turret elbow with a channel guiding condensation to a reservoir in a collector
CN207229343U (zh) 耐高温抽气泵
CN110081453B (zh) 锅炉气体循环装置
KR200288860Y1 (ko) 감압용 이음관
KR200302161Y1 (ko) 감압용 스테인레스 이음관
DK200201375A (da) Anlæg til forbrænding af affaldsolie
CN217236111U (zh) 一种水封结构及全预混燃气采暖热水炉
RU2001103576A (ru) Газоот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газотурбинной установки
WO2022215565A1 (ja) 複合燃焼装置及び接続アダプタ
RU19111U1 (ru) Шаровой кран
KR200219176Y1 (ko) 보일러 연도용 역풍유입방지 캡
KR200184762Y1 (ko) 연소기의 급·배기관용 급·배기통 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