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720B1 -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 Google Patents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720B1
KR102270720B1 KR1020190073996A KR20190073996A KR102270720B1 KR 102270720 B1 KR102270720 B1 KR 102270720B1 KR 1020190073996 A KR1020190073996 A KR 1020190073996A KR 20190073996 A KR20190073996 A KR 20190073996A KR 102270720 B1 KR102270720 B1 KR 102270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food
electric
storage space
ca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248A (ko
Inventor
김기덕
Original Assignee
(주)큐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로솔 filed Critical (주)큐로솔
Priority to KR102019007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720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1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8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 B62B3/1424Electronic displa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6Bumpers;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13Protection covers, e.g. against 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53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56Energy recu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년 스타트 사업자가 저렴한 비용으로 창업을 할 수 있도록 한 푸드 전동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푸드 전동카트의 카트바디 내부에 푸드 조리기기와 발전기 및 실린더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일측에 수납문이 형성된 수납공간부와; 상기 수납공간부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커버와; 상기 수납공간부 상부와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필요시 일측으로 슬라이딩 인입출되도록 설치된 수납식진열대와; 상기 카트바디 일면에 설치되어 기업의 홍보 및 제품을 광고할 수 있도록 된 멀티비젼과; 상기 카트바디를 구륜할 수 있도록 바퀴를 조향하는 핸들 및 핸들 중앙부에 설치되어 유.무선인터넷으로 테이터를 수신하고 푸드 전동카트를 조작할 수 있도록 카트 디스플레이창이 형성된 카트조작패널과; 상기 푸드 전동카트의 수납공간부 저부에 위치하며 충전용배터리와 PCB 및 전기적 설비가 설치되는 보조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푸드 전동카트를 제공하되 푸드 전동카트에 멀티비젼을 설치하여 기업의 홍보 및 제품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 대중에게 찾아가는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청년들이 창업을 용이하게 하고 기업과 연계하여 사업을 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ELECTRIC FOOD CART FOR ADVERTISING MOBILE PROMOTION}
본 발명은 청년 스타트 사업자가 저렴한 비용으로 창업을 할 수 있도록 한 푸드 전동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청년들이 초기사업시 푸드 전동카트를 분양받아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푸드 전동카트 일측면에 멀티비젼을 설치하여 기업홍보 및 제품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청년 스타트 사업자가 초기에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을 하는 추세이고 특히 강대국들은 보호무역주의 하에서 자국산업의 보호를 위해 국제무역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됨으로 관세 부과, 수입 금지, 수입량 할당, 국내 산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의 수단이 실시됨으로 우리나라(대한민국)와 같이 자원이 부족하고 인구밀도가 높은 나라일수록 세계경기가 나빠지면 실업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경기가 나빠지면 자동적으로 청년 실업률이 높아져 약소국의 경우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대한민국도 예외는 아니다.
이와 같이 청년 실업률이 높다는 것은 기업의 경기지표가 낮아지게 됨으로 구직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해마다 청년 실업률은 높아지게 되고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청년들은 창업에 있어서도 경험이 없는 상태인 동시에 경제적인 부담과 업종 선택의 어려움을 겪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청년실업을 줄이고 스스로 사업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푸드 전동카트를 청년들에게 분양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스타트사업을 하는 동시에 청년 스스로가 아이템을 개발하여 사업화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청년들이 보다 더 진취적이고 활동적인 생각을 갖게 함으로 실업률을 줄이는 동시에 기업에서는 스타트 사업하는 청년들과 연계하여 푸드 전동카트를 이용하여 제품광고 또는 기업홍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서로 상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업문화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창안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푸드 전동카트에 관련된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10-1640136호(등록일자 2016년07월11일)의 음료의 냉장운반용 전동카트(이하 "선행기술 1" 이라한다)는 요구르트나 주스 등의 음료를 냉장보관한 상태로 운반할 수 있게 되는 음료의 냉장운반용 전동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선행기술1은 섀시부와 바디부 및 냉장부와 냉장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섀시부는, 전동카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프레임에 현가되어 배터리의 발생 동력으로 구동되는 구동륜과 조향륜을 포함하는 전후좌우 네 개의 차륜과, 배터리의 동력을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파워 트레인과, 조향륜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되 프레임의 후방 측에 조향 제어부가 설치되는 조향시스템과, 구동륜의 감속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리고, 바디부는 섀시부의 프레임에 탑재되며, 상측이 개방되면서 좌/우 어느 일측에는 도어 설치구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또, 냉장부는 섀시부의 프레임에 탑재된 후 바디부가 부착되어 내부에 음료를 수용하게 되며, 상부 도어가 설치되어 상면 개방이 가능하게 되고, 측면에 설치된 측면 도어를 통해 측면 개방이 가능하게 되며, 내부의 냉각을 수행하는 냉매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즉, 상기 선행기술 1은 음료를 냉장 보관 및 냉장 상태에서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음료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기까지 냉장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전동 카트로서 선행기술 1을 청년들이 스타트 사업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7-0001090호(공개일자 2017년03월23일)의 전동 카트(이하 "선행기술 2" 이라한다)는 제1 구동바퀴에 연결된 제1 구동모터; 제2 구동바퀴에 연결된 제2 구동모터; 상기 제1 구동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위한 제1 토글 스위치; 상기 제2 구동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위한 제2 토글 스위치; 그리고 상기 제1 토글 스위치와 상기 제2 토글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구동모터와 상기 제2 구동모터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방향 전환운전이 수행되게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동 카트가 개시 되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전동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물건을 운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선행기술 2는 농산물시장, 산업현장 등에서 물건을 구매한 손님의 자동차까지 운반하는 전동카트로 사용하거나, 산업현장에서 지게차로 하지 못하는 물건을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는 핸들 및 조작보턴, 물건 적재대, 바퀴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단순히 화물 이동용으로 사업용 매대로 사용되는 푸드 전동카트로는 사용할 수 없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920151호(등록일자 2018년11월13일)의 전동카트용 광고장치(이하 "선행기술 3" 이라한다)는 전동카트(400) 루프(410)에 고정설치되며, 외면에는 투명재질의 투광판(120)이 구비되되, 상기 투광판(120)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광고지(P)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루프(410)에 형성된 관통공(420)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에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여 상기 투광판(120) 또는 상기 전동카트(400) 내부에서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표시수단이 구비된 승강체(200); 및 상기 하우징(100)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이동에 의해 승강하는 상기 승강체(2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결속하는 결속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100)은 하부가 개방된 속이 빈 함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관통공(420)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루프(410)에 고정설치되며, 양측에는 각각 상기 승강체(200)가 입출입하는 삽입홈(111)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광고표시몸체(110); 및 상기 광고표시몸체(110)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표시수단이 배치되어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되는 광고정보가 상기 투광판(120)을 통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카트용 광고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 3은 광고효과를 낼 수 있는 전동카트장치에 설치되는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광고장치가 전광판과 같이 구성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문자나 캐릭터를 디스플레이시켜 일측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 형식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전동카트 지붕에 입식으로 설치되는 전광판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주변 사람들에게 시선을 끌 수 있는 정도로 광고 효과를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것은 푸드 전동카트를 이용하여 청년들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스타트 사업화하기 위한 푸드 전동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나 기존에는 이러한 창업 관련 푸드 전동카트가 전무한 관계로 종래의 선행기술은 일부 구성을 갖는 선행기술을 기재하였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0136호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1090호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015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첫째, 세계의 산업경기가 어려운 현실에서 청년 실업자가 증가함에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푸드 전동카트를 분양하여 창의적인 개인 스타트기업을 창출하는 동시에 기업의 홍보 및 제품 광고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청년 스타트 기업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사업의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에 관한 것이다.
둘째, 푸드 전동카트 일면에 멀티비전(TV)을 설치하여 기업의 홍보 및 제품광고를 실시간으로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하여 기업의 홍보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청년사업가와 기업이 같이 상생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에 관한 것이다.
셋째, 푸드 전동카트의 수납공간을 활용하여 푸드 업종에 관계없이 사업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분양 받은 푸드 전동카트를 사업하고자 하는 업종에 알맞도록 다시 리모델링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하여 창업시 발생되는 비용을 최소화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카트를 구륜할 수 있도록 된 바퀴와, 구륜되는 바퀴를 조향할 수 있도록 된 핸들과 카트바디 및 커버로 이루어지는 전동카트에 있어서,
푸드 전동카트의 카트바디 내부에 푸드 조리기기와 발전기 및 실린더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일측에 수납문이 형성된 수납공간부와;
상기 수납공간부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커버와;
상기 수납공간부 상부와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필요시 일측으로 슬라이딩 인입출되도록 설치된 수납식 진열대와;
상기 카트바디 일면에 설치되어 기업의 홍보 및 제품을 광고할 수 있도록 된 멀티비젼과;
상기 전동카트를 구륜할 수 있도록 바퀴를 조향하는 핸들 및 핸들 중앙부에 설치되어 유.무선인터넷으로 테이터를 수신하고 전동카트를 조작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창이 형성된 카트조작패널과
상기 수납공간부 저부에 위치하며 충전용배터리와 PCB, 전기적 설비가 설치되는 보조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바디 전면에는 방향지시등, 스피커, 전조등, 광고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바디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는 사방측면 어느 일면에 접이식 패널이 커버로부터 인입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 중앙에 설치된 카트조작패널은 카트디스플레이 창으로 이루어지며 각 기능 조작이 터치 방식의 조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바디 일면에 설치된 멀티비젼은 전면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강화유리 또는 투명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바디는 핸들 아래쪽에 발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카트바디는 핸들과 발판 사이에 보조받침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바디 상단부에 위치하며 인입출되도록 설치된 수납식 진열대는 끝단부 저면에 하향으로 길이조절 받침다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바디 상단부에 위치하며 인입출되도록 설치된 수납식진열대는 저면에 길이조절 받침다리가 수납되도록 요홈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바디 수납공간부에는 리프트가 설치되어 국화빵 구이기, 즉석식품 조리기, 커피제조기, 꼬치구이기, 붕어빵구이기, 프라이팬, 튀김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푸드 조리기기가 리프트 상부에 설치되어 승하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바디 상단의 수납식 진열대 저면 위치에 착탈되도록 상품진열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는 리프트에 의해 승하강되는 조리기기 또는 상품 진열대를 설치하여 청년 사업자가 원하는 업종에 알맞는 푸드 전동카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푸드 전동카트 일면에 설치된 멀디비젼을 이용하여 기업의 홍보 및 제품을 광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 청년의 실업을 해소하고 기업과 연계하여 청년 스타트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푸드 전동카트를 제공하되 푸드 전동카트에 멀티비젼을 설치하여 기업의 홍보 및 제품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 대중에게 찾아가는 광고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핸들의 조작패널에 디스플레이를 갖는 조작부를 형성함으로 멀티비젼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데이터 업그레이드, 앱을 이용한 푸드 전동카트 위치를 휴대폰 및 컴퓨터와 연결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창업하고자 하는 업종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푸드 전동카트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음료 냉장운반용 전동카트를 나타낸 외형도이며,
도2는 종래의 전동카트로서 주행시 구동모터의 방향 전환운전이 수행되게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나타낸 외형도이며,
도3은 종래의 전동카트의 광고장치를 나타낸 외형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로서 카트바디 일면에 멀티비젼이 설치된 전동카트 외형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5는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로서 수납공간부와 연결된 수납문이 형성된 전동카트 외형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6은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로서 커버를 지붕으로 형성하고 수납식 진열대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이며,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푸드 전동카트의 수납식 진열대에 설치된 받침다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수납식 진열대 저면에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카트바디 내의 수납공간부에 리프트를 설치하고 상부에 푸드 조리기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카트바디 내의 수납공간부 상단부에 상품진열대를 설치하고 수납공간부에 푸드 조리기기를 수납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로서 수납식 진열대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11은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를 조작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며,
도12는 본 발명의 카트바디 일면에 형성된 멀티비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개인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한 푸드 전동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10)는 상품을 진열한 후 일정한 장소에서 판매할 수도 있고 이동하면서 물건을 판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11)는 사업하고자 하는 업종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카트바디(11) 수납공간부(19)에 보관하고 상품진열대(13)와 수납식 진열대(12)에 진열하여 판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화빵 구이기, 즉석식품 조리기, 커피제조기, 꼬치구이기, 붕어빵 구이기, 튀김기, 즉석식품 조리기, 프라이팬, 떡볶이 요리기 중 어느 하나의 푸드 조리기를 선택하여 수납공간부(19)에 보관하고, 사업시 이의 기계를 상품진열대(13)에 올려놓고 기계를 작동할 수 있다.
이때 푸드 조리기기(70)를 사용할 때는 별도로 구비된 발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발전기는 수납공간부(19)등에 보관할 수도 있고 별도 이동수단 등을 이용하여 가지고 다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푸드 전동카트(10)는 이동시 푸드 전동카트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푸드 전동카트(10)의 하부 보조공간부(32)에 설치 충전용배터리(40)을 이용한다.
상기 보조공간부(32)에는 충전용배터리(40), 전기적 회로기판(PCB)(50), 유압기, 기타 전기적 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10)는 청년 사업자가 2가지 스타일로 푸드 조리기기(70)등 설치할 수 있다.
첫째는 푸드 전동카트(10)의 수납공간부(19)에 리프트(60)를 설치한 후 그 상면에 푸드 조리기기(7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푸드 조리기기(70)가 설치되면 사업자는 사용시 카트바디(11)의 뚜껑으로 사용되는 커버(18)를 올려 지붕으로 형성한 다음 카트바디(11) 상부의 수납식 진열대(12)를 일측으로 인출시키면 카트바디(11)의 수납공간부(19)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노출됨으로 내부의 리프트(60)를 승강시키면 푸드 조리기기(70)가 상부로 올려진 상태가 됨으로 사업자가 조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일측으로 인출된 수납식진열대(12)에는 조리된 식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하고, 카트바디(11) 일면에 설치된 멀티비젼(20)에서는 제품홍보 또는 기업홍보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하면서 장사를 하게 된다.
둘째로는 푸드 전동카트(10)의 카트바디(11) 수납공간부(19)에 리프트(60) 없이 푸드 조리기기(70)만을 보관한 후 장사할 때 커버(18)를 올려 지붕으로 형성한 후 수납식 진열대(12)를 일측으로 인출하고 수납공간부(19) 상부에는 별도의 상품진열대(13)가 설치되어 푸드 조리기기(70)를 올려 놓고 조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푸드 조리기기(70)의 전기는 별도 구비된 발전기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10)는 한 곳에 정착하여 장사할 때 또는 이동할 때 카트바디(11) 일측에 형성된 멀티비젼(70)에서 영상이 출력되어 제품광고 또는 기업홍보, 지방자치단체 홍보, 대기오염수치, 오늘에 뉴스, 기타 홍보등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푸드 전동카트(10)를 이용하여 실업자와 청년들의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청년들이 푸드 전동카트(10)를 이용하여 창업시 기업과 연계하여 광고비를 받음으로서 창업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기업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품광고 기업홍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창업자와 기업이 서로 연계하여 상생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10)는 분양시 각 동별 구청별 시청별 개수를 정하여 분양함으로 중복성을 방지하고 멀티비젼(70)에서 영상출력되는 홍보영상 또는 광고영상을 각각 장사하는 장소로 분포되어 있는 푸드 전동카트(10) 전부에 동일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고, 구청 단위로 광고 및 홍보영상물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10)는 지역별로 고르게 분포되고 정착 또는 이동하면서 광고 또는 홍보함으로 가정에서 TV를 보지 않는 층, 신문을 보지 않는 사람, 휴대폰으로 인터넷을 할 줄 모르는 사람들까지 모두 광고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우리나라의 K-pop은 글로벌 시장에서 대중적 인기가 있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상태이므로 한국뿐만 아니라 동남아, 유럽, 북미, 남미, 아프리카에도 K-pop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경우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를 이러한 나라에 제공하여 K-pop의 활동상황, 홍보, 노래의 인기순위, 현재 인기있는 대중가요 등을 멀티비젼으로 영상 홍보하면서 K-pop 관련 제품을 판매할 경우 대단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일 예로 ABC뉴스‘나이트라인’또한 K-Pop 스타들의 탄생 과정에 대해 소개하였는데,‘K-Pop이 가지는 중독성 강한 후크송과 날렵한 안무,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성공 요인’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미주에서 K-Pop이 인기를 끌며 한국의 대중문화를 즐기기 위해 한글을 배우려는 열기가 이어지고 있음을 보도하였다.
또한 한류 전문 사이트 숨피닷컴(www.soompi.com)이 미국 회원 1,5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에 따르면 41%가 K-Pop과 한국 드라마를 즐기면서부터 한국어를 배운다고 답했다. 또한 조사 대상자의 26%는 한국 음식을 맛보게 됐고, 16%는 한국 제품을 구입하는 계기가 됐다고 답하여 K-Pop으로 인해 한국 대중문화의 선호가 한국 생활문화의 선호로 이어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례로 볼 때 푸드 전동카트을 이용한 창업자와 K-pop회사와 연결하면 청년 창업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로서 카트바디 일면에 멀티비젼이 설치된 전동카트 외형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5는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로서 수납공간부와 연결된 수납문이 형성된 전동카트 외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도4 및 도5는 푸드 전동카트(10)의 외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체적인 형상 모양이 곡선형으로 부드럽게 형성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안정감 있고 편안한 심미감을 갖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10)는 상부에 커버(18)와 카트바디(11), 푸드 전동카트를 구륜하는 바퀴(16), 바퀴를 조향하는 핸들(17), 기업의 광고 및 홍보를 할수 있도록 설치된 멀티비젼(20), 리프트(60) 설치 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19)로 구성된다.
또한 핸들(17)이 설치된 카트바디(11)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올라서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발판(11)이 절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발판(27) 상부에는 별도의 보조 받침대(28)가 절첩되도록 설치되어 필요시 운전자 개인 휴대폰(스마트폰) 또는 가벼운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비젼(20)이 설치된 반측에는 수납문(29)이 설치되어 수납공간부(19)에 보관된 물품을 보관 및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카트바디(11) 전면에는 복수의 스피커(25)와 전조등(22), 좌우측방향지시등(23,24)이 설치된다.
스피커(25)는 통상적인 스피커로서 멀티비젼(20)의 영상 음성을 크게 하고자 할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판매자가 상품 판매를 위한 판촉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멀티비전은 기기 자체에 스피커가 설치되어 자체에서 음성이 들리나 시장, 버스정류장, 행사장 등에서는 외부소음에 의해 멀티비젼 자체의 스피커 음성으로는 작게 들릴 수 있으므로 카트 바디 전면에 설치된 스피커와 연결하여 영상음성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비젼은 야외에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보호커버를 투명 강화유리 또는 투명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트 바디(11) 전면에는 광고란(26)이 형성되어 회사로고 또는 제품광고 문구를 인쇄한 스티커나 LED 광고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할 수 있다.
상기 광고란(26)에 기재하는 것은 회사로고 및 제품광고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케릭터, 홍보문구, 지방자치단체 홍보 문구 등을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홍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10)의 핸들(17)은 일측에 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주행시 돌발 상황이 발생되면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10)는 카트조작패널(80) 양측에 핸들(17)이 구비되어 운전자가 양손으로 잡고 조향하면서 운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는 핸들을 조작하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 구륜되는 바퀴(17)를 조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4 및 도6에 도시되지 아니 하였으나. 푸드 전동카트를 운행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버튼등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예를 들면 좌우방향지시등(23,24)과 전조등(22)을 점등하기 위한 스위치, 이동시 주변사람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클락숀 등의 일반적인 조작 버튼과 구륜에 필요한 배선과 내부 조향장치 등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6은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로서 커버를 지붕으로 형성하고 수납식 진열대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이며,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푸드 전동카트의 수납식진열대에 설치된 받침다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수납식진열대 저면에 요홈부(12a)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 바디(11) 뚜껑인 커버(18)가 상하로 승하강되도록 하여 장사를 하면서 판매를 할때 커버(18)를 상부로 올려 지붕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커버는 카트바디(11)로부터 승강시키는 구동체는 유압실린더, 에어실린더, 모터에 의한 기어구동식 중어느 하나를 선택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를 올리기 위한 구동체로서 유압기를 이용한 실린더를 설치한 것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유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실린더는 카트바디(11) 좌우 전후 코너 내측에 설치되어 실린더 로드(31)가 신장되면서 커버(18)를 올려 지붕으로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30)에 의해 신장되는 실린더로드(31)는 1단 또는 2단, 3단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카트바디와 지붕의 높이조절은 필요에 따라서 푸드 전동카트 제작시 창업자의 업종선택과 창업자의 요구에 의해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커버를 올리기 위한 구동체인 실린더(30)는 통상적인 실린더를 용도에 맞게 시중 제품을 이용하여 적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공간부(19) 상단과 커버(18) 사이에 위치하는 수납식진열대(12) 인입출이 부드럽고 용이하도록 수납부 상단 카트바디(11)측에 가이드레일(12b)을 설치하여 수납식진열대사 부드럽게 인입출되도록한 것이다.
상기 수납식 진열대를 인입출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2b)은 가이드홈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레일을 설치하여 인입출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식진열대는 끝단 저면에 받침다리(14)를 절첩식으로 설치여 상품을 진열하기 위해 인출된 수납식 진열대(12)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납식진열대(12) 끝단 저면에 설치되는 받침다리(14)는 접힌상태에서 인입출되면 인입출시 가이드레일(12b)에 방해 받지 않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식진열대는 저면에 요홈부(12a)를 형성하여 절첩된 받침다리(14)가 요홈부(12a)에 끼워지도록 하여 인입출시 방해 받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수납식 진열대 저면에 접힌 상태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 인입출시 카트 바디 상단부의 인입출 공간부를 필요 이상으로 넓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상기 받침다리(14)는 주변환경의 지반에 따라서 높낮이의 차이가 발생됨으로 2단으로 설치하여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15)가 설치된다.
상기 길이조절부(15)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돌출될 수 있도록 된 보턴방식 또는 나사 결합방식 등으로 이루어져 받침다리(1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지붕 역할을 하는 동시에 햇빛을 가릴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커버 4면 중 2면 또는 1면에 인입출되는 접이식 패널(18a)를 설치하여 비나 햇빛을 가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트 바디(11) 일면에 설치되는 멀티비젼 일측에는 USB 또는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접속부(21)가 형성되어 광고 또는 홍보 영상물을 USB를 접속시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데이터 케이블을 접속시켜 PC 또는 휴대폰과 연결하여 영상물이 상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1)는 비바람에 노출되지 않도록 덮개가 형성되어 접속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도7은 본 발 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카트바디(11) 뚜껑인 커버(18)를 지붕으로 사용시 구동체에 의해 구동되는 실린더 등을 사용하지 않고 카트바디(11) 외면 전후좌후 양측에 봉 끼움부(33)를 설치하여 지지봉(34)으로 커버(18)를 들어올려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봉과 대응되는 커버(18) 저면에는 지지봉(34)이 끼워지도록 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18)는 푸드 전동카트(10)를 밤에 사용시 점등하기 위한 전구를 매다는 고리가 형성되나 이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관계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카트바디 내의 수납공간부에 리프트를 설치하고 상부에 푸드 조리기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푸드 전동카트(10)를 사용시 수납공간부(19)에 리프트(60)를 설치한 후 리프트(60 ) 상단에 푸드 조리기기(70)를 설치한다.
상기 수납공간부(19)에 수납 설치되는 리프트(60)는 상단에 푸드 조리기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접었을 때는 수납공간부(19) 상단에서 인입출되도록 설치되는 수납식 진열대(12)와 이격되도록 하여 방해되지 않도록한다.
따라서 푸드 전동카트(10)를 사용시에는 커버(18)를 올려 지붕이 되도록한 후 수납공간부 상단에 위치한 수납식 진열대(12)일 일측으로 인출시키면 수납공간부 상부가 개방상태가 됨으로 리프트(60)를 올리면 푸드 조리기기(70)가 카트바디 상당을 노출됨으로 사용자가 푸드 조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공간부(19) 바닥저부에는 별도의 보조공간부(32)가 형성되어 충전용 배터리(40) PCB(50), 전기적 설비기기, 전선 등이 설치 및 배선되도록 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카트바디 내의 수납공간부 상단부에 상품진열대를 설치하고 수납공간부에 푸드 조리기기를 수납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로서, 수납 공간부(19) 상단에 상품진열대(13)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수납식진열대(12)가 위치하며 상기 수납식 진열대 상부에는 커버(18)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도9는 푸드 조리기기를 리프트로 승하강 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용시 커버를 올려 지붕으로 형성하고 수납식공간부는 일측으로 인출시킨 다음 상품진열대(13)에 푸드 조리기기(70)을 올려놓고 조리를 할 수 있도록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푸드 조리기기(70)는 국화빵구이기, 즉석식품 조리기, 커피제조기, 꼬치구이기, 붕어빵구이기, 튀김기, 즉석식품 조리기, 프라이팬, 떡볶이 조리기 등을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를 푸드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상품판매용진열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진열대에 상품을 진열여 판매할수도 있다.
즉, 도9에 도시된 푸드 전동카드(10)에 있어서 사용시 상부 커버(18)를 올려 지붕으로 형성한 후 수납식진열대(12)를 인출시키면 상품진열대사 노출됨으로 물건을 상품진열대(13)와 일측으로 인출되어 받침다리(14)에 의해 지지된 수납식 진열대(12) 위에 상품을 진열하여 판매할 수 있다.
이때 수납공간부(19)에는 푸드 조리기기(70)가 수납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을 수납공간부에 보관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로서 수납식 진열대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카트바디(11) 상단부의 수납식진열대(12) 일측으로 인출하여 진열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수납식진열대(12)는 수납공간부(19)의 상단 내벽에 가이드레일(12b)이 설치되어 인입출되도록 하고 가이드레일(12b) 외면 양측 전후부에는 실린더가 내부에 설치되어 커버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수납식진열대(12)가 인입출시 실린더(30)로부터 방해받지 않는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11 은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를 조작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서, 푸드 전동카트(10)의 핸들(17) 중앙부에는 카트조작패널(80)이 형성되고 이의 카트조작패널(80)은 전원을 넣으면 카트디스플레이창(81)이 활성화되어 나타나면서 터치로 조작할 수 있도록 메뉴얼이 나타난다.
상기 푸드 전동카트(10)는 운행 또는 작동시 저부의 보조공간부(32)에 설치된 충전용배터리(40)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카트바디(11) 하부의 보조공간부(32)에 설치된 PCB(50)의 CPU(중앙처리장치와 카트조작패널(80)의 회로부와 연결되어 카트디스플레이창(81)에 표시된 메뉴얼 표시부를 터치하면 그 신호가 CPU로 입력된 후 이의 신호를 해당 저장시스템으로 출력하여 기기가 동작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11은 푸드 전동카트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은 충전용 배터리(40)에서 공급하고 충전용 배터리(40)는 충전기에 외부전원을 연결하거나 또는 발전기 전원으로 부터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전기는 카트바디의 수납공간부(19)에 보관할 수도 있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발전기는 카트바디(11)에 별도 설치된 콘센트에 연결하고 이의 콘센트의 전원은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용배터리(40)를 충전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고 푸드 조리기기의 전원공급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카트조작패널(80)에 설치된 조작부는 충전용배터리(40)및 CPU(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카트조작패널(80)에는 별도의 회로기판이 설치되어 카트 디스플레이창(81)에 나타난 메뉴 표시창을 터치함으로서 명령된 신호를 CPU에 보내고 다시 CPU는 수신된 신호를 명령어로 출력하여 해당기기를 작동하게 된다.
상기 CPU는 푸드 전동카트(10) 동작 구성부 즉, 제어부, 모터, 광고물, 홍보용 멀티비젼(20), 좌측 방향지시등(23), 우측방향지시등(24), 전조등(22)과 스피커(25)와 연결되어 동작을 수행토록한다.
본 발명에서 전기적 및 회로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회로 구동 방식을 적용한 것이다.
따라서 전조등(22), 죄측방향지시등(23), 우측방향지시등(24)의 전원 퓨즈등은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구륜되기 위한 전원 및 회로 또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2은 본 발명의 카트바디 일면에 형성된 멀티비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의 멀티비젼에서 상영되는 영상은 운영서버(82)에서 광고 디자인어가 제작한 광고를 광고 템플릿에서 생성한 후 이의 데이터를 통합 DB로 보내지고 통합 DB에서는 광고 템플릿인 배포모듈을 거쳐 광고 템플릿에서 다운로드 하고 광고의 내용에 적합하도록 생성 및 편집한다.
상기 운영서버(81)을 거쳐 편집된 광고 및 홍보내용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업로드 되며. 각 지역에서 장사하는 푸드 전동카트(10)의 광고디스플레이 S/W를 통하여 카트 디스플레이창의 조작에 의해 광고 및 홍보용 멀티비젼에 보내져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푸드 전동카트를 운영하는 사업자 또는 소비자 개인은 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하여 개인 휴대폰(스마트폰) 및 PC에서 다운받아 소정의 절차를 거쳐 활성화 시킬 수 있게 됨으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없이 조회 및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업자 및 소비자는 각 분포된 푸드 전동카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이 앱을 통하여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푸드 전동카트를 검색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서로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객은 통상의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스마트폰을 다운로드 받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비젼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USB 또는 데이터 케이블을 통한 제3의 영상공급장치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3의 영상공급장치는 휴대폰, PC 등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카트조작패널의 회로기판상에는 통상의 휴대폰기능과 같이 유무선 인터넷과 연결되도록 하여 어플리케이션(앱)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함으로 푸드 전동카트 사업자는 운영체 또는 운영서버에서 제공된 어플레케이션을 통하여 각 분포된 푸드 전동카트의 위치를 파악 및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원의 용량은 사용되는 전력소비를 측정하여 이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용배터리와 발전기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카트는 수송용이 아니므로 전진 주행시에는 최고속도 8㎞/h를 넘지 않으며, 후진시에는 3㎞/h이하의 속도로 주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는 필요시 범퍼와 블랙박스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10)는 창업자가 소자본으로 소규모의 사업을 시작하여 사업의 경험을 늘려주고 사업 마인드를 갖도록 함으로서 차후 본격적인 사업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 지방자치단체, 공익사업체 등에서 관할 행정부처와 긴밀한 협조를 통하여 일자리를 갖지 못하고 실업자로 전락한 청년들을 모집 심사하여 사전에 교육한 후 푸드 전동카트를 분양하여 사업화하도록 함으로 어느 한 개인 이 여러 대를 분양받아 이를 다시 분양하여 판매금 일부를 취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는 유 무선인터넷 망을 통하여 위치파악 및 기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인터넷을 통아여 핸드폰(스마트폰)과 연결되도록 함으로 물건을 사는 사람이 바코드를 이용하여 물건값을 지불토록 하거나 또는 제로페이와 같은 전자화페나,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지불토록 함으로 매출에 따른 세금문제를 명확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지역 동 단위 구청 단위로 고르게 분포되어 장사함으로 노약자, 여성 등이 비상시에 푸드 전동카트에 도움을 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 112 또는 119, 911등에 신속히 연락하여 도움을 줄수 있는 관계망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카트조작패널의 카트디스플레이창의 조작부는 사업자의 스마트폰(휴대폰)과 유선 또는 무선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푸드 전동카트를 이용한 사업자가 스마트폰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시 어플리케이션은 소정 포맷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맷은 회원 즉 창업자의 ID,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는 회원 로그포맷과, 분양 받은 푸드 전동카트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푸드 전동카 시리얼 입력포맷을 포함한다.
즉, 창업자가 푸드 전동카트를 분양받기 위해서는 기업, 지자체 등의 분양주체로부터 선정된 후 사업자가 확정됨으로 창업자의 회원관리번호와 푸드 전동카트의 고유번호(시리얼번호)가 이미 부여된 상태이므로 사업자는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단운 받아 회원가입과 푸드 전동카트 시리얼번호를 입력하면 어플리케이션으로 관리 및 정보를 교환활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업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푸드 전동카트의 위치정보, 신용카드 또는 제로페이와 같은 전자화페 등을 결제수단으로 사용함으로 구매정보, 푸드 전동카트 위치정보, 푸드 전동카트의 고장신고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푸드 전동카트는 청년사업자의 프드 전동카트를 어플
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기기을 통해 인터넷망을 거쳐 관리서버로 정보를 제공함으로 사업에 미숙한 청년 창업자에게 사업에 정보를 제공함으로 경험미숙으로 오는 문제점을 최소활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푸드 전동카트를 이용하여 푸드 조리기기를 설치 또는 상품을 진열대를 설치하여 청년 사업자가 원하는 업종에 알맞는 푸드 전동카트로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푸드 전동카트 일면에 설치된 멀티비젼을 이용하여 기업의 홍보 및 제품을 광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 청년 사업가와 기업이 함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년실업을 줄이고 스스로 사업화하여 창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청년 스스로가 아이템을 개발하여 사업화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청년들이 보다 더 진취적이고 활동적인 생각을 갖게 함으로 실업률을 줄이는 동시에 기업에서는 창업하는 청년들과 연계하여 푸드 전동카트를 이용하여 제품광고 또는 기업홍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서로 상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업문화를 창출할 수 있도록하는 특징이 있다.
10:푸드 전동카트 11:카트바디
12:수납식진열대 13:상품진열대
14:받침다리 15:길이조절부
16:바퀴 ` 17:핸들
18:커버 19:수납공간부
20:멀티비젼 21:접속부
22:전조등 23:좌측방향지시등
24:우측방향지시등 25:스피커
26:광고란 27:발판
28:보조받침대 29:수납문
30:실린더 31:실린더로드
32:보조공간부 33:봉끼움부
34:지지봉 40:충전용배터리
50:PCB 60:리프트
70:푸드 조리기기 80:카트조작패널
81:카트디스플레이창 82:운영서버

Claims (13)

  1. 카트를 구륜할 수 있도록 된 바퀴와, 구륜되는 바퀴를 조향할 수 있도록 된 핸들과 카트바디, 커버 및 수납 공간부로 이루어는 전동카트에 있어서,
    푸드 전동카트(10)의 카트바디(11) 내부에 푸드 조리기기(70)와 발전기 및 실린더(3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일측에 수납문(29)이 형성된 수납 공간부(19)와;
    상기 수납공간부(19)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30)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커버(18)와;
    상기 수납공간부(19) 상부와 커버(18) 사이에 설치되며, 필요시 일측으로 슬라이딩 인입출되도록 설치된 수납식 진열대(12)와;
    상기 카트바디(11) 일면에 설치되어 기업의 홍보 및 제품을 광고할 수 있도록 된 멀티비젼(20)과;
    상기 푸드 전동카트(10)의 카트바디(11)를 구륜할 수 있도록 바퀴(16)를 조향하는 핸들(17) 및 핸들(17) 중앙부에 설치되어 유무선인터넷으로 테이터를 수신하고 푸드 전동카트(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카트 디스플레이창(81)이 형성된 카트 조작패널(80)과
    상기 푸드 전동카트(10)의 수납공간부(19) 저부에 위치하며 충전용배터리(40)와 PCB(50) 및 전기적 설비가 설치되는 보조 공간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카트바디(11) 상단부에 위치하며, 카트바디(11)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2b)에 의해 인입출되도록 설치된 수납식 진열대(12)는 끝 단부 저면에 하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15)가 설치된 조절 받침다리(14)가 설치되며, 저면에 길이조절 받침다리(14)가 수납되도록 요홈부(12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드 전동카트(10)의 카트바디(11) 전면에는 좌우측방향지시등(23,24), 스피커(25), 전조등(22), 광고란(26)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바디(11)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18)는 사방측면 중 어느 1면 또는 2면에 접이식 패널(18a)이 커버(18)로부터 인입출되도록 설치되어 비 막음과 햇빛가리개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드 전동카트(10)의 핸들(17) 중앙에 설치된 카트조작패널(80)은 카트디스플레이 창(81)으로 이루어지며 각 기능 조작이 터치 방식의 조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드 전동카트(10)의 카트바디(11) 일면에 설치된 멀티비젼(20)은 전면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강화유리 또는 투명강화플라스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드 전동카트(10)의 카트바디(11)는 핸들(17) 아래쪽에 발판(27)이 형성되고, 핸들(17)과 발판(27) 사이에 보조받침대(2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바디(11) 수납공간부(19)에는 리프트(60)가 설치되어 푸드 조리기기(70)가 리프트(60) 상부에 설치되어 승하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바디(11)는 수납식 진열대(12) 저면 위치에 착탈되도록 상품진열대(1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조작패널(80)과 카트바디(11) 일측에 설치된 멀티비젼(20)은 데이터를 받기 위해 유무선 인터넷이 연결되어 푸드 전동카트(10)의 위치정보, 매출정보, 고장정보와 광고 및 홍보 영상자료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바디(11) 일측에 설치된 멀티비전(20)은 일측에 접속부(21)가 구비되어 광고 또는 홍보 자료를 USB 및 데이터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드 전동카트(10)는 발전기가 구비되어 충전용 배터를 충전 또는 푸드 조리기기(8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바디 양측 전후부 외면에 봉 끼움부(33)가 설치되어 지지봉(34)으로 커버(18)를 올려 지붕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KR1020190073996A 2019-06-21 2019-06-21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KR102270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996A KR102270720B1 (ko) 2019-06-21 2019-06-21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996A KR102270720B1 (ko) 2019-06-21 2019-06-21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248A KR20200145248A (ko) 2020-12-30
KR102270720B1 true KR102270720B1 (ko) 2021-06-30

Family

ID=7408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996A KR102270720B1 (ko) 2019-06-21 2019-06-21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7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4710B2 (en) * 2017-03-21 2018-11-13 Imam Abdulrahman Bin Faisal University Mobile kiosk with shad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5486A (ko) * 1995-11-20 1997-06-24 박헌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가구
KR20060009456A (ko) * 2004-07-23 2006-02-01 이준석 가판용 카트
DE102007010937A1 (de) * 2007-03-07 2008-09-11 Melchert, Franz Adolf Zimmermädchenwagen mit verschließbaren Fächern bzw. verschließbarem Ablageboden
KR101624318B1 (ko) * 2014-04-21 2016-05-27 김주영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동형 식품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0136B1 (ko) * 2014-11-27 2016-07-18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음료의 냉장운반용 전동카트
KR101726259B1 (ko) * 2015-03-26 2017-04-13 박상호 진열공간 확장형 푸드트럭
KR20170001090U (ko) 2015-09-15 2017-03-23 김문석 전동 카트
KR101920151B1 (ko) 2017-04-25 2018-11-19 방석찬 전동카트용 광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4710B2 (en) * 2017-03-21 2018-11-13 Imam Abdulrahman Bin Faisal University Mobile kiosk with shad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248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77841A1 (en) High product density interactive rotating kiosk with virtual tracking animation user interface and integrated intelligent lighting controller
CN101520816A (zh) 桌台伴侣及其信息系统
US10442335B1 (en) Mobile display and marketing apparatus
CN204965593U (zh) 一种具有电子显示屏的售卖机
CA2632350C (en) Shopping cart with display or advertising area
CN205827512U (zh) 一种智能自动售货机
KR102270720B1 (ko) 이동식 홍보용 푸드 전동카트
EP1576486A2 (en) Electronic shopping information system
WO2015124948A1 (en) A digital advertising unit
CN203870718U (zh) 一种以光伏发电为供电源数控可视智能售货机
WO2013061924A1 (ja) 商品格納装置
CN104240094B (zh) 展示装置、系统及显示信息的方法
KR101728131B1 (ko) 광고 기능을 갖는 이동식 전자동 진열장치
KR20180002660U (ko) 판매용 자전거
CN203260126U (zh) 带迎宾功能的3d触控产品查询订购一体机
KR200440825Y1 (ko) 광고 및 정보용 미디어 플레이어를 구비한 카트
KR101390360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쇼케이스를 위한 온라인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DE102013022644B3 (de) Verfahren zum Austausch von Zustandsdaten einer mobilen Servicevorrichtung
KR101406242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쇼케이스 관리 시스템
KR102156963B1 (ko)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광고매체
CN207249813U (zh) 一种具有led屏幕的珠宝自动售卖机
CN207045207U (zh) 一种智能冰淇淋车
CN211632584U (zh) 一种商品宣传展柜
CN107960801A (zh) 一种多功能纸展示架
CN215219819U (zh) 多功能快闪置取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