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696B1 - Assembly puzzle mats with excellent connection performance - Google Patents

Assembly puzzle mats with excellent connection perform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696B1
KR102270696B1 KR1020190064251A KR20190064251A KR102270696B1 KR 102270696 B1 KR102270696 B1 KR 102270696B1 KR 1020190064251 A KR1020190064251 A KR 1020190064251A KR 20190064251 A KR20190064251 A KR 20190064251A KR 102270696 B1 KR102270696 B1 KR 102270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mat
sides
receiv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7605A (en
Inventor
문병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에이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에이치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에이치티
Priority to KR1020190064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696B1/en
Publication of KR2020013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6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후, 시공매트 조립 시, 조립부의 연결성을 높여 연결을 공고히 할 수 있고, 결합되는 부분 및 모서리부분에 발생되는 미세한 틈을 최소화하여 수분 및 미세입자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는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는, 사각 판상으로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의 일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윙부,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윙부가 수용될 수 있는 홈 형태로 마련되는 윙수용부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개체의 상기 윙부 및 윙수용부가 맞물리는 형태로 복수개가 판상으로 용이하게 조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는, 조립 시, 연결성을 높여 조립 시공 시, 매트간의 체결을 공고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매트의 조립 시, 모서리부분에 발생되는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매트의 조립 시, 체결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조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mat having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nd more particularly, after assembling, when assembling a construction mat,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y increasing the connectivity of the assembly part, and to minimize the minute gaps generated in the joined part and the corner part It relates to a mat that can prevent the input of moisture and fine particles.
The prefabricated mat having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provid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 w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four sides of the body portion, respective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the wing portion is accommodated It comprises a wing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that can be, an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wing portion and the wing receiving portion of different entities are easily assembled in a plate shape in a meshing shape.
The prefabricated mat having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olidifying the fastening between mats during assembly by increasing connectivity during assembly, and prevents the formation of gaps in the corners when assembling the ma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and when assembling the ma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at can be assembled so that the fastening par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Description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Assembly puzzle mats with excellent connection performance}Assembly puzzle mats with excellent connection performance

본 발명은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후, 시공매트 조립 시, 조립부의 연결성을 높여 연결을 공고히 할 수 있고, 결합되는 부분 및 모서리부분에 발생되는 미세한 틈을 최소화하여 수분 및 미세입자의 투입을 방지할 수 있는 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mat having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nd more particularly, after assembling, when assembling a construction mat,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y increasing the connectivity of the assembly part, and to minimize the minute gaps generated in the joined part and the corner part It relates to a mat that can prevent the input of moisture and fine particles.

최근에는 집에 영유아 및 노약자가 있을 때, 조립식 매트를 반영구적으로 시공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Recently, when there are infants and the elderly at home, the case of using prefabricated mats semi-permanently is increasing.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립식 매트는 조립 시공 시, 이탈이 되지 않도록 체결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서로간의 결합면에 미세한 틈이 발생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반영구적으로 시공하는 형태로 매트를 설치하여 사용할 때, 바닥면에 수분을 흘리는 경우가 발생되거나 먼지가 매트 사이에 침투한 경우에는 이를 청소하기 어려워 바닥면의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the generally used prefabricated ma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art to be fastened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not to be separated during assembly and construction, and has a structure that inevitably generates minute gaps on the bonding surface between each other. When the mat is installed and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contamination problem of the floor surface because moisture is spilled on the floor surface or when dust has penetrated between the mats.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퍼즐 매트’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03169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regard, looking at the prior art, a 'puzzle ma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6-0003169, but this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solve the above problem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6-0003169호 (2016.09.21)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16-0003169 (2016.09.2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매트의 조립 시, 연결성을 높여 조립 시공 시, 매트간의 체결을 공고히 할 수 있는 조립식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mat that can solidify the fastening between the mats during assembly construction by increasing connectivity when assembling the mat. .

매트의 조립 시, 모서리부분에 발생되는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mat that can prevent gaps from being formed in the corners when assembling the mat.

또한, 본 발명은, 매트의 조립 시, 체결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조립될 수 있는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t that can be assembled so that, when assembling the mat, the fastening portio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here a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는, 사각 판상으로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의 일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윙부,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윙부가 수용될 수 있는 홈 형태로 마련되는 윙수용부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개체의 상기 윙부 및 윙수용부가 맞물리는 형태로 복수개가 판상으로 용이하게 조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fabricated mat having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provid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 w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four sides of the body portion, respective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the wing portion is accommodated It comprises a wing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that can be, an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wing portion and the wing receiving portion of different entities are easily assembled in a plate shape in a meshing form.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는, 조립 시, 연결성을 높여 조립 시공 시, 매트간의 체결을 공고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fabricated mat having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coupling between the mats during assembly by increasing the connectivity during assembly.

또한, 매트의 조립 시, 모서리부분에 발생되는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ma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gap generated in the corner portion is formed.

또한, 매트의 조립 시, 체결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조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ma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ssembled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의 전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의 좌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의 후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d)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의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의 마찰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의 모서리부분을 강조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의 모서리부분을 강조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끼리 결합된 상태의 모서리부분을 강조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끼리 결합되기 전 상태의 모서리부분을 강조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끼리 결합된 상태의 모서리부분을 강조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c)는 종래의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끼리 결합된 상태의 모서리부분을 강조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를 조립 시공한 상태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의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된 결합돌기부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매트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매트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plan view of a prefabricated mat having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bottom view of the prefabricated mat excellent fast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shows a front side view of the prefabricated mat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b) shows a left side view of the prefabricated mat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c) shows a rear side view of the prefabricated mat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d) shows a right side view of the prefabricated mat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friction part of a prefabricated mat having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plan view emphasiz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mat excellent fast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shows a side view emphasiz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mat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b) shows a side view emphasizing the corners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fabricated mats with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 shows a plan view emphasizing the corners of the prefabricated mats having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y are combined.
Figure 7 (b) shows a plan view emphasiz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assembled mats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ure 7 (c) shows a plan view emphasizing the corners of the state in which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mats excellent in fastening properties are combined.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mat excellent in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9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mat having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10 shows an example of a coupling protrusion composed of various embodiments of a prefabricated mat having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a) is a plan view of a side m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mat having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b) is a side view of a side m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mat having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Specific details including the problems to be solv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and effect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to be described below.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판상으로 마련되는 바디부(100), 상기 바디부(100)의 네 개의 변의 일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윙부(200), 상기 바디부(100)의 네 개의 변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윙부(200)가 수용될 수 있는 홈 형태로 마련되는 윙수용부(300)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개체의 상기 윙부(200) 및 윙수용부(300)가 맞물리는 형태로 복수개가 판상으로 용이하게 조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fabricated mat having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2 , the body part 100 provid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one side of four sides of the body part 100 are formed to protrude, respectively The wing part 200, each of which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100, and includes a wing accommodating part 300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in which the wing part 200 can be accommodated, and of different entiti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g part 200 and the wing receiving part 300 are easily assembled in a plate shape in a form in which they are engaged.

먼저, 상기 바디부(100)는, 사각 판상으로 마련된다.First, the body part 10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상기 바디부(100)는, 매트의 몸체가 되는 부분으로, 지면에 평행하게 너비가 형성되고,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형성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body part 100 is a part that becomes the body of the mat, the width is formed parallel to the ground,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can form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물론, 상기 바디부(100)는, 통상의 매트와 같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탄력이 형성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Of cours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body part 100, like a conventional mat,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absorb vibration and shock and can form elasticity.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매트는, 복수개를 나란히 연결하여 조립 가능하게 형성되는 매트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디부(100)는, 복수개가 나란히 배열되어 바닥을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되되, 서로 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The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figuration of a mat that is formed to be assembl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m side by side, and the body part 100 is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side by side to form a floor, and assembly with each other is easy. in the form possible.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100)는, 도 3의 (a)~(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부(110) 및 상부바디부(120)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body part 100 is composed of a main body part 110 and an upper body part 120 as shown in (a) to (d) of FIG. 3 .

먼저, 상기 메인바디부(110)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매트의 실질적인 높이를 형성할 수 있는 몸체로 마련된다.First, the main body part 1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provided as a body capable of forming a substantial height of the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메인바디부(110)는, 흡음, 흡진, 탄성 등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part 110 may be configur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is a material capable of exhibiting characteristics such as sound absorption, absorption, and elasticity.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바디부(110)는, PU(Poly Urethane)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ain body part 110 is preferably made of a PU (Poly Urethane) material.

또한, 상기 메인바디부(110)는, 하기의 윙부(200) 및 윙수용부(300)가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마련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art 110, the following wing part 200 and the wing receiving part 300 are provided in pluralit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바디부(110)는, 형성되는 네 개의 변에 각각 윙부(200) 및 윙수용부(300)가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part 110 is provided with a wing part 200 and a wing receiving part 300 on each of the four sides to be formed.

하기의 윙부(200) 및 윙수용부(300)는 매트간의 조립 시, 실질적인 체결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메인바디부(110)에 상기 윙부(200) 및 윙수용부(300)가 형성됨으로 인해, 조립 시, 체결이 실시되는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following wing part 200 and wing accommodating part 300 are parts where a substantial fastening is formed when assembling between the mats, and the wing part 200 and the wing accommodating part 300 are formed in the main body part 110. Due to this, during assembly,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astening is performe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는, 상기 메인바디부(110)가 하기의 상부바디부(120)의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으로,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언급한다.This is because the main body part 110 is located below the upper body part 120,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또한, 상기 메인바디부(110)는, 마찰부(111)이 더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art 11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riction part 111 .

상기 마찰부(111)는, 상기 메인바디부(11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friction part 11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10, and is configured to prevent slipping by increasing friction with the floor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부(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부(110)의 하부면에 복수개 형성되어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게 마련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 a plurality of the friction parts 111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10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ith the floor surface.

상기 마찰부(111)는, 바닥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형태의 구조 및 소재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 friction part 111 may be configur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and material capable of increasing friction while supporting the floor surfac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부(111)는, 복수개의 돌기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friction part 111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다음으로, 상기 상부바디부(120)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부(110)의 상부에 형성된다.Next, the upper body part 1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formed on the main body part 110 .

상기 상부바디부(120)는, 상기 메인바디부(110)의 상부면에 판상으로 형성되고, 내마모성, 방수 등의 성능이 보유하고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body part 1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10,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performance such as abrasion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바디부(120)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body part 120 may be made of a 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 material.

또한, 상기 상부바디부(120)는, 외부에 노출되는 면에 해당하므로 심미감을 창출할 수 있는 형태의 디자인이나 패턴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body part 120 corresponds to a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a design or pattern of a shape that can create an aesthetic feeling can be formed.

또한, 상기 바디부(100)는, 복수개의 매트를 조립 시,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틈새를 최소화하기 위한 밀착부(140)가 더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0, when assembling a plurality of mats, the contact portion 140 for minimizing the gap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밀착부(140)는, 상기 매트를 조립 시,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모서리가 마주하는 부분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수분 및 미세먼지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When assembling the mat, as shown in (c) of FIG. 7, the contact part 140 minimizes the gap between the corners facing each other to prevent penetration of moisture and fine dust. configuration for it.

이에 따라, 상기 상부바디부(120)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되어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s long as it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upper body part 120 to minimize the gap, it may be configured in any shape.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모서리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 the close contact portion 140 is provid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portion where the four corner portions are locat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부(140)는, 도 6의 (a) 및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바디부(120)의 모서리부분의 수직면에 형성되는 부분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부에 돌출 형성되되,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close contact portion 140, as shown in FIGS. 6 (a) and 7 (a), the middle portion of the portion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120 I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lower part as a reference,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이는, 서로 다른 개체의 매트들을 조립했을 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치는 모서리부분에 의해, 탄력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밀착부(140)가 서로 마주치며 압력을 가해 압착되는 형태로 형체가 변형되어 상기 모서리부분에 발생되는 틈을 메꾸는 형태로 구성하기 위함이다.This is, when mats of different entities are assembled, as shown in (b) of FIG. 6 , the contact portions 140 elastically formed by the corners facing each other face each other and are compressed by applying pressure. The shape of the furnace is deformed to form a shape that fills the gap generated in the corner portion.

이를 위해, 상기 밀착부(14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o this end, as shown in (a) of FIG. 6 ,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ntact part 140 has an inclined surfac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becomes wider as it goes downward.

이로 인해, 매트를 조립했을 시, 도 6의 (b) 및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보다 견고한 밀착이 가능해지고, 상기 밀착부(140)가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상기 밀착부(140)가 점차적으로 상방으로 부피가 형성되는 형태로 변형되며, 상기 모서리부분의 틈새를 메꿔줄 수 있다.For this reason, when assembling the mat, as shown in FIGS. 6 (b) and 7 (b), stronger adhesion is possible preferentially from the bottom, and the adhesion part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elastically deformable contact portion 140 is gradually deformed to form a volume upward by the pressure applied to it, and may fill the gap in the corner portion.

또한, 상기 밀착부(140)의 최하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부분을 중심축으로 형성되는 원호를 형성하고, 상기 바디부(100)의 네 개의 변에 해당하는 부분의 일지점(K)과 상기 원호의 외주면에 접점을 형성 후, 상기 원호 및 접점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한 형태의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호의 반지름(r)은 0.5~1.5mm인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부분의 일지점(K)과 모서리부분의 간격(L)은 3~5mm인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 the lowermost end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140 forms a circular arc formed with a corner portion as a central axis, and a point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four sides of the body portion 100 . After forming a contact poin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K) and the arc, it is preferable to form a cross-sectional area in a shape including the arc and the area where the contact point is formed, and the radius (r) of the arc is 0.5 to 1.5 mm. It is advantageous that the interval (L) between the one point (K) of the part and the corner part is configured in a shape of 3 to 5 mm.

이때, 상기 원호의 반지름이 0.5mm 미만으로 형성되고, 상기 간격(L)이 3mm 미만으로 형성되면, 매트를 조립했을 시, 모서리부분의 틈새가 완전히 메꿔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원호의 반지름이 1.5mm를 초과하여 형성되고, 상기 간격(L)이 5mm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마주하는 모서리부분에 과도한 부피가 형성되어, 상기 매트의 조립 시, 오히려 네 개의 변끼리 마주하는 부분에 틈새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f the radius of the arc is formed to be less than 0.5mm, and the gap (L) is formed to be less than 3mm, when the mat is assembled, the gap at the corner may not be completely filled, and the radius of the arc is 1.5 It is formed in excess of mm, and when the gap (L) is formed in excess of 5 mm, an excessive volume is formed in the corners facing each other, and when assembling the mat, a gap is formed in the portion facing the four side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바디부(100)는, 외주면을 따라 탄력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무패킹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art 100 may further include a rubber packing part (not shown) formed to be elastically coup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고무패킹부(미도시)는, 상기 바디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둘러질 수 있는 형태의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rubber packing part (not shown) is provided in a band shape that can be surroun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nd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attached and detached.

상기 고무패킹부(미도시)가 더 마련되는 이유는, 매트 조립 시, 상기 바디부(100)의 밀착력을 보다 높이고, 습기 및 미세입자의 침투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that the rubber packing part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is to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body part 100 more effectively and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penetration of moisture and fine particles when assembling the mat.

다음으로, 상기 윙부(200)는, 상기 바디부(100)의 네 개의 변의 일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Next, the wing portion 200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portion 100,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상기 윙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윙부(210) 내지 제 5 윙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to 3 , the wing par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wing part 210 to a fifth wing part 250 .

먼저, 상기 제 1 윙부(210)는,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전측변의 일측에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된다.First, the first wing part 210 is provided in a shape tha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front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윙부(21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전측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first wing part 210 is provided in a form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ront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as shown in (a) of FIG. 3 .

매트의 결합 시, 상기 제 1 윙부(210)는, 다른 개체에 형성되는 제 3 윙수용부(330)에 수용될 수 있게 마련된다.When the mat is coupled, the first wing unit 210 is provided to be accommodated in the third wing receiving unit 330 formed in another entity.

다음으로, 상기 제 2 윙부(220)는,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좌측변의 타측에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된다.Next, the second wing part 220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of the left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윙부(22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좌측변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B , the second wing part 220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of the left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매트의 결합 시, 상기 제 2 윙부(220)는, 다른 개체에 형성되는 제 4 윙수용부(340)에 수용될 수 있게 마련된다.When the mat is coupled, the second wing unit 220 is provided to be accommodated in the fourth wing receiving unit 340 formed in another entity.

다음으로, 상기 제 3 윙부(230)는,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후측변의 일측에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된다.Next, the third wing part 230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rear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 3 윙부(230)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후측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third wing part 230 is provided in a form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rear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as shown in (c) of FIG. 3 .

매트의 결합 시, 상기 제 3 윙부(230)는, 다른 개체에 형성되는 제 1 윙수용부(310)에 수용될 수 있게 마련된다.When the mat is coupled, the third wing unit 230 is provided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wing receiving unit 310 formed in another entity.

다음으로, 상기 제 4 윙부(240)는,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우측변의 타측에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된다.Next, the fourth wing part 240 is provided in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right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 4 윙부(240)는,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좌측변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d), the fourth wing part 240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of the left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매트의 결합 시, 상기 제 4 윙부(240)는, 다른 개체에 형성되는 제 2 윙수용부(320)에 수용될 수 있게 마련된다.When the mat is coupled, the fourth wing unit 240 is provided to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wing receiving unit 320 formed in another entity.

다음으로, 상기 제 5 윙부(250)는, 상기 제 3 윙부(230) 및 제 4 윙부(240)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모서리형태로 마련된다.Next, the fifth wing part 250 is a portion in which the ends of the third wing part 230 and the fourth wing part 2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s provided in a corner shape.

구체적으로, 상기 제 5 윙부(250)는, 상기 제 3 윙부(230) 및 제 4 윙부(240)가 이어지는 모서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하기의 제 5 윙수용부(350)에 수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fifth wing part 250 i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edge where the third wing part 230 and the fourth wing part 240 are connected, and is accommodated in the fifth wing receiving part 350 below. is composed

이때, 상기 제 5 윙부(250)는, 상기 제 3 윙부(230) 및 제 4 윙부(24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ifth wing part 250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third wing part 230 and the fourth wing part 240 .

이는, 제조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상기 제 5 윙부(250)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fifth wing unit 250 while improving manufacturing convenience.

다음으로, 상기 윙수용부(300)는, 상기 바디부(100)의 네 개의 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윙부(200)가 수용될 수 있는 홈 형태로 마련된다.Next, the wing receiving part 300 is formed i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100,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in which the wing part 200 can be accommodated.

구체적으로, 상기 윙수용부는, 제 1 윙수용부(310) 내지 제 5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wing receiving par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wing receiving part 310 to a fifth receiving part.

먼저, 상기 제 1 윙수용부(310)는,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전측변의 타측에 수용홈 형태로 마련된다.First, the first wing receiving part 3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groove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윙수용부(31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전측변의 타측에 수용홈 형태로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first wing receiving part 3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groove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as shown in FIG. 3A .

매트의 결합 시, 상기 제 1 윙수용부(310)는, 다른 개체에 형성되는 제 3 윙부(230)를 수용할 수 있는 홈 형태로 마련된다.When the mat is coupled, the first wing receiving part 3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that can accommodate the third wing part 230 formed in another entity.

다음으로, 상기 제 2 윙수용부(320)는,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좌측변의 일측에 수용홈 형태로 마련된다.Next, the second wing receiving part 3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groove on one side of the left side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윙수용부(32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좌측변의 일측에 수용홈 형태로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second wing receiving portion 3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groove on one side of the left side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portion, as shown in (b) of FIG. 3 .

매트의 결합 시, 상기 제 2 윙수용부(320)는, 다른 개체에 형성되는 제 4 윙부(240)를 수용할 수 있는 홈 형태로 마련된다.When the mat is coupled, the second wing accommodating part 3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that can accommodate the fourth wing part 240 formed in another entity.

다음으로, 상기 제 3 윙수용부(330)는,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후측변의 타측에 수용홈 형태로 마련된다.Next, the third wing receiving part 3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groove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 3 윙수용부(330)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후측변의 타측에 수용홈 형태로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third wing receiving portion 3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groove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portion, as shown in (c) of FIG. 3 .

매트의 결합 시, 상기 제 3 윙수용부(330)는, 다른 개체에 형성되는 제 1 윙부(210)를 수용할 수 있는 홈 형태로 마련된다.When the mat is coupled, the third wing receiving part 3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that can accommodate the first wing part 210 formed in another entity.

다음으로, 상기 제 4 윙수용부(340)는,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우측변의 일측에 수용홈 형태로 마련된다.Next, the fourth wing receiving portion 34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groove on one side of the right side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 4 윙수용부(340)는,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우측변의 일측에 수용홈 형태로 마련된다.Specifically, the fourth wing receiving portion 34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groove on one side of the right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ortion, as shown in (d) of FIG. 3 .

매트의 결합 시, 상기 제 4 윙수용부(340)는, 다른 개체에 형성되는 제 2 윙부(220)를 수용할 수 있는 홈 형태로 마련된다.When the mat is coupled, the fourth wing accommodating part 34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second wing part 220 formed in another entity.

다음으로, 상기 제 5 윙수용부(350)는, 상기 제 1 윙부(210) 및 제 2 윙부(220)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제 5 윙부(250)가 수용될 수 있는 형태의 수용홈 형태로 마련된다.Next, the fifth wing receiving portion 350 is formed in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first w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wing portion 220, the fifth wing portion 250 of a form that can be accommodated.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eiving groove.

다른 개체의 매트와 조립 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윙부(210) 내지 제 5 윙부(250)와 제 1 윙수용부(310) 내지 제 5 윙수용부(350)의 결합에 의해, 매트의 체결성이 높아질 수 있다.When assembling with the mat of another entity, 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first wing part 210 to the fifth wing part 250 and the first wing receiving part 310 to the fifth wing receiving part 350 ), the fastening property of the mat can be increased.

특히, 상기 제 5 윙부(250)가 상기 제 5 윙수용부(350)와 결합됨으로 인해, 매트들간의 체결성(연결성)이 높아질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fifth wing part 250 is coupled to the fifth wing receiving part 350 , fastening properties (connectivity) between mats may be increased.

또한, 다른 개체의 매트와 조립 시, 상기 윙부(200)는, 다른 개체의 매트에 형성되는 상기 윙수용부(300)와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윙부(200)는, 상기 메인바디부(110)에 형성되므로 다른 매트와 결합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기 윙부(200) 및 상기 윙수용부(300)는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when assembling with the mat of another entity, the wing unit 200 may be combined with the wing receiving unit 300 formed on the mat of another entity, in this case, the wing unit 200 is the main body unit. Since it is formed at 110, as shown in FIG. 9 after combining with another mat, the combined wing part 200 and the wing receiving part 300 are configured not to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이로 인해, 결합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면의 틈새로 이물질 및 수분이 침투하여도 상기 윙부(200) 및 윙수용부(300)의 전체 길이가가 네 변의 전체 길이와 유사한 정도로 형성되므로 이물질 및 수분이 바닥까지 직접적으로 침투되기는 매우 어렵게 구성된다.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upling gap, and as shown in FIG. 8 , even if foreign substances and moisture penetrate into the gap of the coupling surface, the total length of the wing part 200 and the wing receiving part 300 is equal to four sides. Since it is formed to a degree similar to the entire length, it is very difficult for foreign substances and moisture to penetrate directly to the floor.

이때, 상기 윙부(200)는, 하기의 윙수용부(300)에 결합된 후, 이탈이 용이하지 않도록 결합돌기부(201)이 더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ng part 2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201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after being coupled to the following wing receiving part 300 .

다양한 실시예로, 상기 결합돌기부(201)는, 도 10의 (a)~(d)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coupling protrusion 201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shown in FIGS. 10 (a) to (d).

물론, 상기 윙수용부(300)에는 상기 결합돌기부(201)과 대응되는 홈 형태로 마련되는 결합수용부(301)이 더 마련된다.Of course, the wing receiving part 3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upling receiving part 301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201 .

이에 따라, 상기 윙부(200) 및 윙수용부(300) 결합 시, 상기 결합돌기부(201)과 결합수용부(301)의 체결에 의해, 조립 이후에, 매트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ing part 200 and the wing accommodating part 300 are coupled, the mat is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after assembling by the fastening of the coupling protrusion 201 and the coupling accommodating part 301 .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트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이드매트가 더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ide mat.

상기 사이드매트는, 문틀의 바닥면에 매트 설치를 위한 시공이 보다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다.The side mat is a part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ma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oor fram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트는, 상기 메인바디부(110) 및 상부바디부(120)의 접합 시, 진공압축을 통한 접합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시공을 위한 부분 절단 시, 접합면에 이격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접합불량, 변색 등의 결함이 발생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since the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a bonding method through vacuum compression when the main body part 110 and the upper body part 120 are bonded, when cutting parts for construction, bonding Separation may occur on the surface, resulting in defects such as poor bonding and discoloration.

이에 따라, 문틀의 바닥면에 시공되는 매트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1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바디부,(500) 사이드윙부(510), 사이드윙수용부(520) 및 절취부(530)를 포함하는 사이드 매트가 더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t constru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oor frame is a side body part, 500 side wing part 510, side as shown in FIGS. 11 (a) to 11 (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mat including a wing receiving portion 520 and a cutout 530 may be further provided.

먼저, 상기 사이드바디부(500)는, 판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바디부(100)의 길이방향 너비는 동일하고, 길이방향에 수직 너비는 1/2로 마련된다.First, the side body part 50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the lengthwise width of the body part 100 is the same, and the vertical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1/2.

상기 사이드바디부(500)는, 상기 바디부(10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에 수직한 너비가 통상의 문틀 너비에 비해 다소 넓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side body part 500 may b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body part 100 , and may have a width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slightly wider than that of a normal door frame.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너비는 상기 바디부(100)의 길이방향 너비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수직한 너비는 상기 바디부(100)의 길이방향의 수직 너비의 1/2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More preferably, as shown in (a) of Figure 11, the longitudinal width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body portion 100, the width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body portion 100 It is advantageous to be formed in 1/2 the size of the vertical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다음으로, 상기 사이드윙부(510)는, 상기 사이드바디부(500)의 길이방향이 형성되는 일측변에 상기 윙수용부(200)와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된다.Next, the side wing part 510 is provid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wing receiving part 200 on one side along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body part 500 is formed.

다음으로, 상기 사이드윙수용부(510)는, 상기 사이드바디부(500)의 길이방향이 형성되는 일측변에 상기 윙부(300)와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된다.Next, the side wing receiving part 510 is provid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wing part 300 on one side along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body part 500 is formed.

상기 사이드윙부(510) 및 사이드윙수용부(520)는 매트의 결합 시, 결합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윙부(200) 및 윙수용부(300)와 대응되는 형태 및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wing part 510 and the side wing accommodating part 520 are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an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wing part 200 and the wing accommodating part 300 in order to increase the ease of coupling when the mat is coupled. .

다음으로, 상기 절취부(530)는, 상기 사이드바디부(500)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되어 절취가 용이한 형태의 홈이 복수개 마련된다.Next, the cut-out portion 5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in the form of easy cut-out provide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body portion 500 .

상기 절취부(530)는, 상기 사이드바디부(500)의 절취를 용이하게 하고, 절취 시, 결합면이 이격(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cut-out portion 530 is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cut-off of the side body portion 500, and to easily prevent the coupling surface from being spaced apart (separated) when cut.

이에 따라, 상기 절취부(530)는, 상기 사이드바디부(500)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홈 형태로 마련되되, 다양한 문틀의 너비에 대응될 수 있는 복수개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cut-out portion 5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on one or mor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body portion 500, and is preferably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corresponding to various widths of the door frame. Do.

구체적으로, 상기 절취부(530)는, 3~5개가 나란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3 to 5 of the cutouts 530 are formed side by side.

이를 통해, 시공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절취부(530)의 절취를 통해 시공되는 장소의 문틀 너비에 맞춰 절취 및 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construction worker can selectively cut and construct the cut-out portion 530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door frame of the place to be constructed.

이때, 상기 절취부(530)는, 제조과정에서 강한 압착을 가한 부분으로, 상기 절취부(530)를 따라 절단 시, 2겹으로 형성되는 상기 사이드바디부(500)가 이격되는 결함 등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ut-out portion 530 is a portion to which strong compression is appli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when cutting along the cut-out portion 530, the side body portion 500 formed in two layers is spaced apart to prevent defects, etc. can do.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바디부
110 : 메인바디부
111 : 마찰부
120 : 상부바디부
140 : 밀착부
200 : 윙부
201 : 결합돌기부
210 : 제 1 윙부
220 : 제 2 윙부
230 : 제 3 윙부
240 : 제 4 윙부
250 : 제 5 윙부
300 : 윙수용부
301 : 결합수용부
310 : 제 1 윙수용부
320 : 제 2 윙수용부
330 : 제 3 윙수용부
340 : 제 4 윙수용부
350 : 제 5 윙수용부
500 : 사이드바디부
510 : 사이드윙부
520 : 사이드윙수용부
530 : 절취부
100: body part
110: main body part
111: friction part
120: upper body part
140: adhesion part
200: wing
201: coupling protrusion
210: first wing unit
220: second wing unit
230: third wing unit
240: fourth wing unit
250: fifth wing unit
300: wing receiving part
301: coupling receiving part
310: first wing receiving part
320: second wing receiving part
330: third wing receiving unit
340: fourth wing receiving unit
350: fifth wing receiving part
500: side body part
510: side wing part
520: side wing receiving part
530: cutout

Claims (5)

사각 판상으로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윙부;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윙부가 수용될 수 있는 홈 형태로 마련되는 윙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윙부 및 윙수용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교차 형성되며,
서로 다른 개체의 상기 윙부 및 윙수용부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 전면을 따라 빈틈없이 맞물려지는 형태로 복수개가 판상으로 용이하게 조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
Body portion provided in a square plate shape;
Wing portions protruding from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portion;
It includes; a wing receiving portion formed o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in which the wing portion can be accommodated;
The wing portion and the wing receiving portion are continuously cross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prefabricated mat with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g portion and the wing receiving portion of different entities are easily assembled in a plate shape in a form in which the wing portion and the wing receiving portion are tightly engaged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윙부는,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전측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윙부;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좌측변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윙부;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후측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3 윙부; 및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우측변의 타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4 윙부; 및
상기 제 3 윙부 및 제 4 윙부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모서리형태로 마련되는 제 5 윙부;를 포함하고,
상기 윙수용부는,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전측변의 타측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 1 윙수용부;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좌측변의 일측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 2 윙수용부;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후측변의 타측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 3 윙수용부;
상기 바디부의 네 개의 변 중 우측변의 일측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 4 윙수용부; 및
상기 제 1 윙부 및 제 2 윙부 사이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제 5 윙부가 수용될 수 있는 형태의 수용홈이 마련되는 제 5 윙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g part,
a first w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ront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ortion;
a second wing part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left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a third w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rear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and
a fourth wing part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right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and
and a fifth wing part in which the ends of the third wing part and the fourth wing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provided in the form of a corner;
The wing receiving unit,
a first wing receiving part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a second wing receiving portion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side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portion;
a third wing receiving portion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side among the four sides of the body portion;
a fourth wing receiving part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a right side of the four sides of the body part; and
Doedoe formed in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first wing portion and the second wing portion, a fifth wing receiving portion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groove in the form in which the fifth wing portion can be accommodated; m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며, 네 개의 변에 상기 윙부 및 상기 윙수용부가 마련된 메인바디부; 및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부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바디부는,
네 개의 모서리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복수개의 매트를 결합 시, 모서리부분의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마련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art,
a main body portion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and provided with the wing portion and the wing receiving portion on four sides; and
It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ncludes an upper body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The upper body part,
Prefabricated with excellent fastening proper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truding portion at which the four corners are located, and is provided to prevent gaps in the corners from forming when a plurality of mats are combined. ma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모서리부분의 수직면에 형성되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부에 돌출 형성되되,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dhesion part,
A prefabricated mat with excellent fastening properties, which is formed to protrude at the lower part based on the middle part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corner part,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판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 너비는 동일하고, 길이방향에 수직 너비는 1/2로 마련되는 사이드바디부;
상기 사이드바디부의 길이방향이 형성되는 일측변에 결합되는 상기 윙수용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사이드윙부;
상기 사이드바디부의 길이방향이 형성되는 일측변에 결합되는 상기 윙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사이드윙수용부; 및
상기 사이드바디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되어 절취가 용이한 형태의 홈이 복수개 마련되는 절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취부의 절취를 통해, 문틀에 해당되는 바닥면에 매트 시공을 위한 재단이 용이하게 실시되는 사이드매트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성이 우수한 조립식 매트.
The method of claim 1,
a side body portion provided in a plate shape, wherein the body portion has the sam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1/2;
a side wing portion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ing receiving portion coupled to one side along which the side body po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ide wing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ing portion coupled to one side along which the side body po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d a cut-out portion provide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body portion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asily cut-out grooves;
Prefabricated mat excellent in fastening property,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the cutout of the cutout, a side mat that is easily cut for mat construction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door frame.
KR1020190064251A 2019-05-31 2019-05-31 Assembly puzzle mats with excellent connection performance KR102270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251A KR102270696B1 (en) 2019-05-31 2019-05-31 Assembly puzzle mats with excellent connection perform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251A KR102270696B1 (en) 2019-05-31 2019-05-31 Assembly puzzle mats with excellent connection perform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605A KR20200137605A (en) 2020-12-09
KR102270696B1 true KR102270696B1 (en) 2021-06-29

Family

ID=7378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251A KR102270696B1 (en) 2019-05-31 2019-05-31 Assembly puzzle mats with excellent connection perform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69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221Y1 (en) 2004-09-23 2005-01-10 조재영 Mat of built in sections type
KR101677575B1 (en) * 2016-02-22 2016-11-18 (주)케이제이이노베이션 Self-assembly ma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222Y1 (en) * 1987-10-23 1991-04-04 이준령 Prefabricating mat
CA2911050C (en) 2013-05-03 2021-08-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for monitoring temperature of electrical conductor
KR200480636Y1 (en) * 2014-01-21 2016-06-17 (주)생활낙원 Assembling-type mat
KR102168339B1 (en) * 2018-11-28 2020-10-22 주식회사 국가대표 element mat for assembly and assembled mat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221Y1 (en) 2004-09-23 2005-01-10 조재영 Mat of built in sections type
KR101677575B1 (en) * 2016-02-22 2016-11-18 (주)케이제이이노베이션 Self-assembly ma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2019년 5월 4일, 인터넷: < URL: https://poohoz.blog.me/22152973894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605A (en)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083B1 (en) Sectional floorings
KR102203240B1 (en) Assembly puzzle mats
US10612249B2 (en)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floor covering formed from such floor pane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floor panels
KR102559702B1 (en) Floor panels for forming floor coverings
CN105324544B (en) Building panelling with mechanical locking system
RU2609270C2 (en) Floor panel
KR100762943B1 (en) Sectional floorings with coupling membe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2153358B1 (en) Mat unit and mat assembly
JP2004501300A (en) Floor finish
KR20190041433A (en) element mat for assembly and assembled mat having the same
KR20110057137A (en) Floor panel with a plastic backing
KR102270696B1 (en) Assembly puzzle mats with excellent connection performance
CA2936588A1 (en) Sole with double cushioning
EP1373657A1 (en) Floor with floating support
JP6689066B2 (en) Foundation packing
KR102344024B1 (en) Assembling type mat with air circulation pattern
KR101923692B1 (en) Self-assembly mat
KR20210136007A (en) Panel and floor covering comprising same
KR20210134647A (en) panel for flooring
KR102413042B1 (en) Element Mat for Assembly
JP6688060B2 (en) Foundation packing
KR100572338B1 (en) Prefab flooring
JP5585386B2 (en) Building materials
KR200352544Y1 (en) A floor plywood
JPH1037439A (en) Construction structure of floor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