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029B1 -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029B1
KR102270029B1 KR1020180019620A KR20180019620A KR102270029B1 KR 102270029 B1 KR102270029 B1 KR 102270029B1 KR 1020180019620 A KR1020180019620 A KR 1020180019620A KR 20180019620 A KR20180019620 A KR 20180019620A KR 102270029 B1 KR102270029 B1 KR 10227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mage
control line
area
imple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768A (ko
Inventor
구형근
Original Assignee
구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형근 filed Critical 구형근
Priority to KR102018001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0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대상 객체의 제1 및 제2 상태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 영상과, 상기 제1 및 제2 영상 각각의 픽셀별 위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제어 라인을 화면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위치 조정되는 상기 제어 라인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 획득 및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제어 라인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을 제1 화면과 제2 화면으로 분할하는 화면 분할부; 상기 제1 화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화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을 결정하는 영상 조정부; 및 상기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1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은 상기 제2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tatus comparison image}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한 화면상에서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직접 오가며 대상 객체의 상태 변화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하는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특정 객체(예를 들어, 지역, 장소, 건물, 사람, 신체 부위, 물건 등)의 상태 변화를 영상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경우, 서로 상이한 상태 값을 가지는 2개의 영상을 나란히 디스플레이하도록 하였다.
국내 공개특허 10-2013-0015422을 참고하면, 한 화면에 비교 영상 및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비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제1 영역의 일 측에 비교 영상의 촬영 정보가 포함된 제1 GUI 및 촬영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제2 영역의 일 측에 촬영 영상의 촬영 정보가 포함된 제2 GUI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비교 영상과 촬영 영상의 촬영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종래의 비교 영상 제공 방법은 두 개의 영상을 두 개의 화면을 통해 동시 제공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어, 대상 객체의 상태 변화를 보다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안내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 10-2013-0015422(공개일자 2013년02월14일)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대상 객체의 제1 상태의 영상에 제2 상태의 영상을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화면상에서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직접 오가며 대상 객체의 상태 변화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하는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어 라인을 제공하고, 제어 라인에 따라 제2 상태의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이 수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대상 객체의 제1 및 제2 상태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 영상과, 상기 제1 및 제2 영상 각각의 픽셀별 위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제어 라인을 화면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위치 조정되는 상기 제어 라인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 획득 및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제어 라인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을 제1 화면과 제2 화면으로 분할하는 화면 분할부; 상기 제1 화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화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을 결정하는 영상 조정부; 및 상기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1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은 상기 제2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 라인은 상기 화면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화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화면상에서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조정되는 박스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 분할부는 상기 제어 라인이 상기 화면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 라인의 위쪽을 제1 화면으로, 아래쪽을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어 라인이 상기 화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 라인의 왼쪽을 제1 화면으로, 오른쪽을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어 라인이 박스 형태로 구현된 경우에는, 박스 외측을 제1 화면으로, 박스 내측을 제2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조정부는 상기 제1 화면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영상의 픽셀별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1 화면 영역에 속하는 픽셀들로 구성되는 상기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획득하고, 상기 제2 화면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영상의 픽셀별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2 화면 영역에 속하는 픽셀들로 구성되는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상 객체는 지역, 장소, 건물, 사람, 신체 부위, 물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제어 라인의 위치가 조정되면, 상기 제어 라인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영상 화면을 제1 화면과 제2 화면으로 분할하는 화면 분할 단계; 상기 제1 화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정하고, 상기 제2 화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을 조정하는 영상 조정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1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은 상기 제2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 비교 화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영상 조정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영상의 픽셀별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1 화면 영역에 속하는 픽셀들로 구성되는 상기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화면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영상의 픽셀별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2 화면 영역에 속하는 픽셀들로 구성되는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라인은 상기 화면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화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화면상에서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조정되는 박스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 분할 단계는 상기 제어 라인이 상기 화면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 라인의 위쪽을 제1 화면으로, 아래쪽을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어 라인이 상기 화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 라인의 왼쪽을 제1 화면으로, 오른쪽을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어 라인이 박스 형태로 구현된 경우에는, 박스 외측을 제1 화면으로, 박스 내측을 제2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은 대상 객체의 제1 상태의 영상에 제2 상태의 영상을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화면상에서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직접 오가며 대상 객체의 상태 변화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어 라인을 제공하고, 제어 라인에 따라 제2 상태의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이 수시 조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보다 잘 반영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상 객체의 상태 변화를 보다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라인의 구현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비교 화면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비교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10)는 저장부(11), 인터페이스 제공부(12), 화면 분할부(13), 영상 조정부(14), 및 영상 디스플레이부(15) 등을 포함하여, 대상 객체의 제1 상태의 영상에 제2 상태의 영상을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11)는 대상 객체의 제1 및 제2 상태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 영상과, 제1 및 제2 영상 각각의 픽셀별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대상 객체는 지역, 장소, 건물, 사람, 물건 중 어느 하나이고, 제1 및 제2 상태는 과거 및 현재 상태, 현재 및 미래 상태, 또는 변경 전 및 변경 후 상태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12)는 사용자에 의해 위치 조작되는 제어 라인(C)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제어 라인(C)의 위치가 조정될 때마다, 제어 라인(C)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 조정부(14)에 통보한다.
본 발명의 제어 라인(C)은 도 2에서와 같이 화면 전체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바) 형태로 구현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크기 및 위치 조정된 박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박스 내부 또는 경계면을 터치 및 드롭(touch & drop)하여 박스 위치를 조정하거나, 박스 내부 또는 경계면을 터치 및 드래그(ouch & drag)하여 박스 위치를 조정하거나, 새로운 영역을 터치 및 드래그하여 위치 및 크기가 변화된 새로운 제어 라인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공부(12)는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서 대상 객체 및 영상의 종류 등을 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H), 제어 라인의 위치를 초기화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R), 제어 라인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미도시) 등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화면 분할부(13)는 제어 라인(C)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의 전체 영역을 제1 화면(screen1)과 제2 화면(screen2)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제어 라인(C)이 화면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막대 형태인 경우에는 제어 라인(C)의 위쪽을 제1 화면으로, 아래쪽을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제어 라인(C)이 화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막대 형태인 경우에는 제어 라인(C)의 왼쪽을 제1 화면으로, 오른쪽을 제2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 라인(C)이 박스 형태로 구현된 경우에는, 박스 외측을 제1 화면으로, 박스 내측을 제2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을 것이다.
영상 조정부(14)는 제1 화면(screen1)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하고, 제2 화면(screen2)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을 결정한다.
영상 디스플레이부(15)는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화면(screen1)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은 제2 화면(screen2)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되, 제어 라인(C)에 의해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이 수시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비교 화면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 라인(C)의 왼쪽에 위치한 제1 화면을 통해서는 A 지역의 제1 상태(예를 들어,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영상을, 제어 라인(C)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2 화면을 통해서는 A 지역의 제2 상태(예를 들어, 미래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지역의 변경 전후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2개의 영상을 한 화면을 통해 단순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제1 영상을 제2 영상으로 오버레이하는 방식으로 특정 지역의 변경 전후 상태를 안내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비교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제어 라인(C)이 화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 한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에 의해 특정 객체의 상태 비교 화면 제공이 요청되면(S1),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는 제어 라인(C)을 초기 위치에 위치시킨 후, 제어 라인(C)을 기준으로 전체 화면을 2개 화면으로 분할한다. 즉, 제어 라인(C)의 왼쪽을 제1 화면으로, 오른쪽은 제2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한다(S2).
그리고 제1 화면의 위치 정보[(X1,Y1), (X1,Y2), (X2,Y1), (X2,Y2)]와 제1 화면의 위치 정보[(X2,Y1), (X2,Y2), (X3,Y1), (X3,Y2)]를 획득한다(S3).
그리고 제1 화면의 위치 정보[(X1,Y1), (X1,Y2), (X2,Y1), (X2,Y2)]와 제1 영상의 픽셀별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1 화면 영역에 속하는 픽셀들로 구성되는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X1,Y1), (X1,Y2), (X2,Y1), (X2,Y2)]을 획득하고, 또한 제2 화면의 위치 정보[(X2,Y1), (X2,Y2), (X3,Y1), (X3,Y2)]와 제2 영상의 픽셀별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2 화면 영역에 속하는 픽셀들로 구성되는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X2,Y1), (X2,Y2), (X3,Y1), (X3,Y2)]을 획득한다(S4).
그리고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 화면을 통해,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을 제2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즉, 제1 영상의 일부가 제2 영상에 의해 오버레이된 듯 한 느낌을 주는 상태 비교 화면을 생성 및 제공하도록 한다(S5).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어 라인(C)이 위치 조정되면(S6), 단계 S2로 재진입한 후 상기의 과정을 다시 수행함으로써, 위치 조정되는 제어 라인(C)에 따라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이 수시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상태 비교 화면 제공 방법이 일반적인 2차원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수행되는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필요한 경우 VR, AR 방식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도 수행될 수도 있음을 물론 당연할 것이다. 즉, 상태 비교 화면을 VR 방식 또는 AR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되,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제1 상태의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제2 상태의 영상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 당연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대상 객체의 제1 및 제2 상태를 나타내며, 동일한 화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제1 및 제2 영상이 저장된 저장부;
    사용자에 의해 위치 조정될 수 있는 제어 라인을 화면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고, 상기 제어 라인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 획득 및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제어 라인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화면의 전체 영역을 제1 화면과 제2 화면으로 분할하는 화면 분할부;
    상기 제1 화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내 일부 영역을 추출하여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화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영상내 일부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을 결정하는 영상 조정부; 및
    상기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1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은 상기 제2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기 제어 라인의 위치 조정 궤적에 따라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제1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에 반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되며,
    상기 제1 및 제2 화면은 2차원 디스플레이 방식 뿐 아니라 VR 방식 또는 AR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라인은 상기 화면상에서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조정되는 박스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화면 분할부는 상기 제어 라인이 박스 형태로 구현된 경우에는, 박스 외측을 제1 화면으로, 박스 내측을 제2영역으로 분할하며,
    상기 영상 조정부는 상기 제1 화면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영상의 픽셀별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1 화면 영역에 속하는 픽셀들로 구성되는 상기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획득하고, 상기 제2 화면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영상의 픽셀별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2 화면 영역에 속하는 픽셀들로 구성되는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라인은
    상기 화면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화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할부는
    상기 제어 라인이 상기 화면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 라인의 위쪽을 제1 화면으로, 아래쪽을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어 라인이 상기 화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 라인의 왼쪽을 제1 화면으로, 오른쪽을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객체는
    지역, 장소, 건물, 사람, 신체 부위, 물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6. 동일한 화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제1 및 제2 영상을 영상 오버레이 방식으로 비교 표시하는 상태 비교 화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제어 라인의 위치가 조정되면, 상기 제어 라인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영상 화면을 제1 화면과 제2 화면으로 분할하는 화면 분할 단계;
    상기 제1 화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내 일부 영역을 추출하여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화면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영상내 일부 영역을 추출하여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을 결정하는 영상 조정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1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은 상기 제2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함으로써, 상기 제어 라인의 위치 조정 궤적에 따라 상기 제2 영상이 상기 제1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화면은 2차원 디스플레이 방식 뿐 아니라 VR 방식 또는 AR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라인은 상기 화면상에서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조정되는 박스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화면 분할 단계는 상기 제어 라인이 박스 형태로 구현된 경우에는, 박스 외측을 제1 화면으로, 박스 내측을 제2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영상 조정 단계는 상기 제1 화면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1 영상의 픽셀별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1 화면 영역에 속하는 픽셀들로 구성되는 상기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획득하고, 상기 제2 화면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영상의 픽셀별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제2 화면 영역에 속하는 픽셀들로 구성되는 제2 영상의 오버레이 영역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비교 화면 제공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라인은
    상기 화면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화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거나, 상기 화면상에서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조정되는 박스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비교 화면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할 단계는
    상기 제어 라인이 상기 화면을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 라인의 위쪽을 제1 화면으로, 아래쪽을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어 라인이 상기 화면을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위치 조정되는 막대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 라인의 왼쪽을 제1 화면으로, 오른쪽을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비교 화면 제공 방법.
KR1020180019620A 2018-02-20 2018-02-20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7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620A KR102270029B1 (ko) 2018-02-20 2018-02-20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620A KR102270029B1 (ko) 2018-02-20 2018-02-20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768A KR20190099768A (ko) 2019-08-28
KR102270029B1 true KR102270029B1 (ko) 2021-06-28

Family

ID=6777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620A KR102270029B1 (ko) 2018-02-20 2018-02-20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0357B2 (en) * 2018-11-07 2023-12-12 Autel Robot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ual-light image integration, and unmanned aerial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688B1 (ko) * 1995-09-08 1999-08-02 모리시타 요이찌 복수화면영상신호 표시장치
JP2006172021A (ja) * 2004-12-14 2006-06-2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659B1 (ko) * 2008-02-29 2015-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KR101839473B1 (ko) 2011-08-03 201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교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촬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3688B1 (ko) * 1995-09-08 1999-08-02 모리시타 요이찌 복수화면영상신호 표시장치
JP2006172021A (ja) * 2004-12-14 2006-06-2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www.youtube.com/watch?v=MWdcRSdv5KI(2015.09.25. 공개)*
https://www.youtube.com/watch?v=nQdRvnd-PJ0(2017.04.27. 공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0357B2 (en) * 2018-11-07 2023-12-12 Autel Robot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ual-light image integration, and unmanned aerial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768A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72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340934B1 (ko) 배경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US91411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US2019021379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lating to generation of virtual viewpoint image,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007110B2 (en) Projector system employing depth perception to detect speaker position and gestures
US2021006422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9012431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RU2658790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программа управления отображением
CN115134649B (zh) 用于在视频内容内呈现交互式元素的方法和系统
US20150304568A1 (en) Field display system, field display method, and field display program
CN113082696A (zh) 显示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130162518A1 (en) Interactive Video System
KR102640281B1 (ko) 감시 카메라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감시 시스템
KR102270029B1 (ko)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4238983A (zh)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201603219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317522A1 (en) Appearance present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2182866B1 (ko) 상태 비교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57846B1 (ko) 입체 모델 생성 장치 및 그 영상 표시 방법
KR101188871B1 (ko) 저시력인을 위한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JP2006140822A (ja) 画像表示装置
KR101369611B1 (ko)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JP6269692B2 (ja) 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CA2762977A1 (en) Interactive video system
KR20130127840A (ko)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155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612

Effective date: 20210406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