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960B1 -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960B1
KR102269960B1 KR1020190155571A KR20190155571A KR102269960B1 KR 102269960 B1 KR102269960 B1 KR 102269960B1 KR 1020190155571 A KR1020190155571 A KR 1020190155571A KR 20190155571 A KR20190155571 A KR 20190155571A KR 102269960 B1 KR102269960 B1 KR 102269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ver
shopping bag
handle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385A (ko
Inventor
박항아
Original Assignee
박항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항아 filed Critical 박항아
Priority to KR102019015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9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8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8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사각형으로 일측변에는 연결결합지를 연장형성하고, 하측변에는 전방측바닥지를 연장형성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타측변에 일측변이 연결되고, 하측변에는 좌측바닥지를 연장형성한 좌측면부와, 상기 좌측면부의 타측변에 일측변이 연결되고, 상측변에는 상기 전면부의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상측면 및 전방면을 덮는 겉덮개부를 연장형성하고, 하측변에는 후방측바닥지를 연장형성한 후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타측변에 일측변이 연결되고, 하측변에는 우측바닥지를 연장형성한 우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의 상측 중앙에는 수직선상으로 해당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체결장공 및 제2체결장공과, 상기 겉덮개부의 상측부에는 상기 제1체결장공 및 제2체결장공 중 어느 한 체결장공에 체결되는 제1체결편을 형성하여, 상기 제1체결편의 체결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손잡이를 출현하는 상자의 상면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덮을 수 있는 덮개를 구성하고, 상자의 전방면에는 상기 덮개를 고정하는 상, 하로 서로 이격된 2개 체결장홈을 형성하여, 택배 발송시에는 하측 고정홈에 덮개를 고정하여 상기 덮개와 상자 상면의 들뜬 공간을 최소화시켜 찌그러짐을 방지하고, 휴대 시에는 상측 고정홈에 덮개를 고정하여 별도의 쇼핑백 없이도 덮개를 손으로 파지하여 들고 다닐 수 있는 쇼핑백 기능을 겸하면서도, 손잡이 사이에 노출공간을 최소화하여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부 내용물이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는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Packing box which can be used as shopping bag}
본 발명은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자의 상면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덮을 수 있는 덮개를 구성하고, 상자의 전방면에는 상기 덮개를 고정하는 상, 하로 서로 이격된 2개 체결장홈을 형성하여, 택배 발송시에는 하측 고정홈에 덮개를 고정하여 상기 덮개와 상자 상면의 들뜬 공간을 최소화시켜 찌그러짐을 방지하고, 휴대시에는 상측 고정홈에 덮개를 고정하여 별도의 쇼핑백 없이도 덮개를 손으로 파지하여 들고 다닐 수 있는 쇼핑백 기능을 겸하는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포장상자는 유통시 상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시효과를 높임으로써, 소비자에게 해당 상품에 대한 광고효과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와 같은 인식 하에 개시된 형태의 기술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92074호(2002. 10. 1., 이하 '종래기술1'라 함) "운반 겸용 진열용 포장상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상품을 거치하기 위한 사각형 구조의 바닥면과, 이 바닥면을 중심으로 양측에 돌출 구비된 좌/우측면, 그리고 좌/우측면 바깥으로 돌출되며, 상품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낮게 형성된 전/후면으로 구성되어 상품의 유통 및 진열 과정을 간편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1은 사각형태의 박스로 이루어져 손잡이가 없기 때문에 운반이나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판매점의 입장에서는 별도의 쇼핑백을 구비하여 필요로 하는 소비자에게 제공해야 하므로 비치물품이 늘어나는 등에 대한 부담이 생기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포장된 구매물품 외에 쇼핑백과 같은 운반을 위한 물품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안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형태의 기술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314380호(2003. 5. 13., 이하 '종래기술2'라 함) "가방 겸용 포장상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2는 저판부와 제1측벽부, 제1상판부 및 제2상판부로 이루어진 가방벽부재와, 제1결합수단, 제2측벽부 및 내측측벽부로 형성된 상자벽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방벽부재의 제1측벽부에 손잡이부가 구성되어 파지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종래기술2는 상품을 포장한 상태 그대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으나,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제조공정이 늘어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 되며, 원자재에 대한 비용이 늘어나면서 제조원가 또한 높아지므로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상자의 상면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덮을 수 있는 덮개를 구성하고, 상자의 전방면에는 상기 덮개를 고정하는 상, 하로 서로 이격된 2개 체결장홈을 형성하여, 택배 발송시에는 하측 고정홈에 덮개를 고정하여 상기 덮개와 상자 상면의 들뜬 공간을 최소화시켜 찌그러짐을 방지하고, 휴대 시에는 상측 고정홈에 덮개를 고정하여 별도의 쇼핑백 없이도 덮개를 손으로 파지하여 들고 다닐 수 있는 쇼핑백 기능을 겸하면서도, 손잡이 사이에 노출공간을 최소화하여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부 내용물이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는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는 직사각형으로 일측변에는 연결결합지를 연장형성하고, 하측변에는 전방측바닥지를 연장형성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타측변에 일측변이 연결되고, 하측변에는 좌측바닥지를 연장형성한 좌측면부와, 상기 좌측면부의 타측변에 일측변이 연결되고, 상측변에는 상기 전면부의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상측면 및 전방면을 덮는 겉덮개부를 연장형성하고, 하측변에는 후방측바닥지를 연장형성한 후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타측변에 일측변이 연결되고, 하측변에는 우측바닥지를 연장형성한 우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의 상측 중앙에는 수직선상으로 해당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체결장공 및 제2체결장공과, 상기 겉덮개부의 상측부에는 상기 제1체결장공 및 제2체결장공 중 어느 한 체결장공에 체결되는 제1체결편을 형성하여, 상기 제1체결편의 체결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손잡이를 출현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겉덮개부는 3개 구획부로 삼등분되고, 최상측에 위치하는 구획부에는 체결편을 형성하고, 다음 두개의 구획부에는 각각 손잡이공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면부는 그 상측변에 연결되고, 보조손잡이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좌측면부에는 제1속덮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우측면부에는 제2속덮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속덮개부와 제2속덮개부의 체결로 수용공간의 개구를 덮는 속덮개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쇼핑백 겸용 택배 포장상자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자의 상면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덮을 수 있는 덮개를 구성하고, 상자의 전방면에는 상기 덮개를 고정하는 상, 하로 서로 이격된 2개 체결장홈을 형성하여, 택배 발송시에는 하측 고정홈에 덮개를 고정하여 상기 덮개와 상자 상면의 들뜬 공간을 최소화시켜 찌그러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휴대 시에는 상측 고정홈에 덮개를 고정하여 별도의 쇼핑백 없이도 덮개를 손으로 파지하여 들고 다닐 수 있는 쇼핑백 기능을 겸하면서도, 손잡이 사이에 노출공간을 최소화하여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부 내용물이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의 구성을 보인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의 제1실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의 제2실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의 제3실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의 제4실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자의 상면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덮을 수 있는 덮개를 구성하고, 상자의 전방면에는 상기 덮개를 고정하는 상, 하로 서로 이격된 2개 체결장홈을 형성하여, 택배 발송시에는 하측 고정홈에 덮개를 고정하여 상기 덮개와 상자 상면의 들뜬 공간을 최소화시켜 찌그러짐을 방지하고, 휴대시에는 상측 고정홈에 덮개를 고정하여 별도의 쇼핑백 없이도 덮개를 손으로 파지하여 들고 다닐 수 있는 쇼핑백 기능을 겸하는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는 전면부(100), 좌측면부(200), 후면부(300), 우측면부(400)를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전면부(100)는 직사각형으로 포장상자의 전면을 이루는 것으로, 좌, 우방향의 일측변에는 일측 방향을 향해 연결결합지(110)를 연장형성하고, 하측변에는 하측 방향을 향해 전방측바닥지(120)를 연장형성한다.
이때 상기 전면부(100)의 연결결합지(110) 및 전방측바닥지(120)는 직사각형을 이루는 상기 전면부(100)와의 경계에 형성된 제1절곡선(10)을 기준으로 포장상자의 수용공간 측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면부(100)는 그 상측변에 보조손잡이부(130)를 더 연장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손잡이부(130) 역시, 상기 전면부(100)와의 경계에 형성된 절곡선(10)을 기준으로 포장상자의 수용공간 측으로 절곡되고, 중앙에는 제3손잡이공(13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손잡이공(131)은 상기 보조손잡이부(130)에서 선택적으로 출현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보조손잡이부(130)의 중앙에는 제3손잡이공(131)의 형상을 따라 절취선을 형성하여, 상기 절취선을 따라 절단되어 분리되는 제3손잡이편(132)의 이탈로 제3손잡이공(131)을 출현할 수 있고, 또한 제3손잡이공(131)의 형상을 따라 제3손잡이편(132)이 절단 형성되는데, 일부분만 절단되지 않고 상기 보조손잡이부(130)와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제3손잡이편(132) 중 절단되지 않은 부분을 축으로 상기 제3손잡이편(132)을 절곡시켜, 제3손잡이공(131)을 출현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면부(100)의 상측 중앙에는 제1체결장공(101) 및 제2체결장공(102)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1체결장공(101) 및 제2체결장공(102)은 상기 전면부(100)의 상측 중앙에서 수직선상으로 서로 해당 간격을 두고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체결장공(101)은 상기 전면부(100)의 상측 중앙 수직선상 중 제2체결장공(102) 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체결장공(102)은 상기 제1체결장공(101)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체결장공(101) 및 제2체결장공(102)에는 겉덮개부(500)의 제1체결편(511)이 체결되는데,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겉덮개부(500)를 설명하면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100)의 타측변에는 좌측면부(200)의 일측변이 연결되는데, 상기 좌측면부(200)는 포장상자의 좌측면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좌측면부(200)의 그 하측변에는 좌측바닥지(220)를 연장형성하고, 상기 좌측면부(200)의 상측변에는 제2속덮개부(210)를 연장형성한다.
이때 상기 좌측면부(200)의 상, 하방향 길이는 상기 전면부(100)와 상호 조합으로 직육면체의 포장상자를 이루기 위해 상, 하측 제1절곡선(10)을 기준으로 상기 전면부(100)의 상, 하방향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좌측바닥지(220) 및 제2속덮개부(210)도 상기 좌측면부(200)와의 경계에 형성된 제1절곡선(10)을 기준으로 포장상자의 수용공간 측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속덮개부(210)는 그 중앙에 제3체결장공(211)을 형성하고, 상기 제2속덮개부(210)의 일측변 및 타측변 각각에는 경계에 형성된 제2절곡선(20)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절곡되는 날개편(212)들을 연장형성하며, 상기 날개편(212)들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측면부(200)의 타측변에는 후면부(300)의 일측변이 연결되는데, 상기 후면부(300)는 포장상자의 후면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후면부(300)의 그 상측변에는 겉덮개부(500)를 연장형성하고, 상기 후면부(300)의 하측변에는 후방측바닥지(310)를 연장형성한다.
이때 상기 후면부(300)의 상, 하방향 길이는 상기 전면부(100) 및 좌측면부(200)와 상호 조합으로 직육면체의 포장상자를 이루기 위해 상, 하측 제1절곡선(10)을 기준으로 상기 좌측면부(200)의 상, 하방향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겉덮개부(500) 및 후방측바닥지(310)도 상기 후면부(300)와의 경계에 형성된 제1절곡선(10)을 기준으로 포장상자의 수용공간 측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300)의 상측변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겉덮개부(500)는 절곡선(10)을 기준으로 상호 조합으로 포장상자의 전면을 이루는 상기 전면부(100)의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포장상자의 상측면 및 전방면을 덮어 포장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겉덮개부(500)는 상, 하 방향으로 3개의 구획부(510, 520, 530)로 삼등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중 제2, 제3구획부(520,530)의 등분된 폭은 상기 좌측면부(200)에서 연장되는 제2속덮개부(210)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제2, 제3구획부(510, 520, 530)들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제1구획부(510) 중앙에는 제1체결편(511)을 형성하고, 다음 두 개의 제2, 제3구획부(520, 530)에는 각각 제1손잡이공(521) 및 제2손잡이공(53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손잡이공(521) 및 제2손잡이공(531)은 상기 제1, 제2, 제3구획부(510, 520, 530)들 중 서로 맞붙은 2개의 구획부 각각에서 선택적으로 출현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2, 제3구획부(520, 530)에 출현하는 경우 각각의 중앙에는 제1손잡이공(521) 및 제2손잡이공(531) 각각의 형상을 따라 절취선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제2구획부(510, 520)에 출현하는 경우 두 구획부를 잇는 절개선(20)을 사이에 두고 같은 간격을 두고 제1손잡이공(521) 및 제2손잡이공(531) 각각의 형상을 따라 절취선을 형성한다.
상기 절취선을 따라 절단되어 분리되는 제1손잡이편(522) 및 제2손잡이편(532)의 이탈로 제1손잡이공(521) 및 제2손잡이공(531)을 출현할 수 있고, 또한 제1손잡이공(521) 및 제2손잡이공(531)의 형상을 따라 제1손잡이편(522) 및 제2손잡이편(532)이 절단 형성되는데, 일부분만 절단되지 않고 상기 제2구획부(520) 및 제3구획부(530)와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제1손잡이편(522) 및 제2손잡이편(532) 중 절단되지 않은 부분을 축으로 상기 제1손잡이편(522) 및 제2손잡이편(532)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제1손잡이공(521) 및 제2손잡이공(531)을 출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편(511)은 상기 전면부(100)의 제1체결장공(101) 및 제2체결장공(102)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데, 상기 제1체결편(511)은 상기 제1체결장공(101) 및 제2체결장공(102)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구획부(510) 중앙에서 원호 형태로 절개되어 이루어져, 상기 제1구획부(510) 중앙에서 절개된 상기 제1체결편(511)의 원호 부분을 제1체결장공(101) 및 제2체결장공(102)에 삽입시킴에 따라 체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체결편(511)의 원호부분은 제1체결장공(101) 및 제2체결장공(102)을 향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겉덮개부(500)의 제1, 제2, 제3구획부(510, 520, 530) 각각의 경계에는 상기 제1, 제2, 제3구획부(510, 520, 530) 각각이 선택적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제2절곡선(20)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1, 제2, 제3구획부(510, 520, 530)의 경계선상의 제2절곡선(20)을 기준으로 제1, 제2, 제3구획부(510, 520, 530) 중 해당 제1, 제2, 제3구획부(510, 520, 530)의 절곡으로 포장상자 또는 쇼핑백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구획부(520) 및 제3구획부(530)의 폭은 최소 좌측면부 또는 우측면부 폭의 길이 - 10mm 이고, 최대 (좌측면부 또는 우측면부 폭의 길이 + 좌측면부 또는 우측면부 높이(상측 제1절곡선과 하측 제1절곡선을 사이의 높이) - 30mm)/2이다.
따라서 상기 제2구획부(520) 및 제3구획부(530)의 폭은 어느 한 치수에 한정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해당 폭으로 설계하여 손잡이의 높이를 물품 판매자의 기호에 따라 변경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300)의 타측변에는 우측면부(400)의 일측변이 연결되는데, 상기 우측면부(400)는 포장상자의 우측면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우측면부(400)의 그 하측변에는 우측바닥지(420)를 연장형성하고, 상기 우측면부(400)의 상측변에는 제1속덮개부(410)를 연장형성한다.
이때 상기 우측면부(400)의 상, 하방향 길이는 상기 전면부(100), 좌측면부(200), 후면부(300)와 상호 조합으로 직육면체의 포장상자를 이루기 위해 상, 하측 제1절곡선(10)을 기준으로 상기 후면부(300)의 상, 하방향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우측바닥지(420) 및 제1속덮개부(410)도 상기 우측면부(400)와의 경계에 형성된 제1절곡선(10)을 기준으로 포장상자의 수용공간 측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속덮개부(410)는 그 상측에는 제2체결편(411)을 형성하고, 상기 제1속덮개부(410)의 일측변 및 타측변 각각에는 경계에 형성된 제2절곡선(20)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절곡되는 날개편(412)들을 연장형성하며, 상기 날개편(412)들은 필요에 따라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체결편(411)은 상기 좌측면부(200)의 제3체결장공(211)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데, 상기 제2체결편(411)은 상기 제3체결장공(211)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속덮개부(410)의 상측 중앙에서 원호 형태로 절개되어 이루어져, 상기 제1속덮개부(410)의 상측 중앙에서 절개된 상기 제2체결편(411)의 원호 부분을 제2속덮개부(210)의 제3체결장공(211)에 삽입시킴에 따라 체결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백 겸용 택배 포장상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100), 좌측면부(200), 후면부(300), 우측면부(400)를 제1절곡선(10)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포장상자의 내측인 수용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한 후, 상기 전면부(100)의 일측변에 형성된 연결결합지(110)를 상기 우측면부(400)의 타측변에 접착제로 부착하면 서로의 일측변과 타측변으로 연결되어, 내부에는 상측면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한 직육면체의 포장상자를 이룬다.
이때 상기 전면부(100), 좌측면부(200), 후면부(300), 우측면부(400) 각각의 하측변에 연장 형성된 상기 전방측바닥지(120), 좌측바닥지(220), 후방측바닥지(310), 및 우측바닥지(420)를 제1절곡선(10)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포장상자의 내측인 수용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한 후, 서로 상호 조합하면 포장상자의 바닥부(미부호)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포장상자의 수용공간 개구는 상기 좌측면부(200)의 제2속덮개부(210)와 상기 우측면부(400)의 제1속덮개부(410)가 제1절곡선(10)을 기준으로 수용공간 개구를 향해 절곡되어 포개어지면, 상기 제1속덮개부(410)의 제2체결편(411)이 제2속덮개부(210)의 제3체결장공(211)에 삽입 체결되고, 서로 체결된 제1속덮개부(410) 및 제2속덮개부(210) 상면에 상기 전면부(100)의 보조손잡이부(130)가 제1절곡선(10)을 기준으로 수용공간 개구를 향해 절곡되어 포개어지며, 상기 보조손잡이부(130) 상면에 상기 겉덮개부(500)의 제3구획부(530)가 제1절곡선(10)을 기준으로 수용공간 개구를 향해 절곡되어 포개어지면서, 상기 겉덮개부(500) 중 제1구획부(510)과 제2구획부(520)는 전면부(100)의 전방면을 덮으면서 제1구획부(510)의 제1체결편(511)이 제1체결장공(101)에 체결되어, 직육면체의 택배 포장상자를 이룬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백 겸용 택배 포장상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측면부(200) 및 우측면부(400) 상측에는 각각 선택적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제3절곡선(21)을 형성하는데, 상기 한 쌍의 제3절곡선(21)은 상기 좌측면부(200) 및 우측면부(400) 상측에서 사선으로 서로 대칭을 이룬다.
상기 제3절곡선(2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략해서 제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속덮개부(410)과 제2속덮개부(210)은 좌측면부(200) 및 우측면부(400)과 동일한 폭을 갖게되며, 이 경우 날개편(212, 412)도 같이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면부(100), 좌측면부(200), 후면부(300), 우측면부(400)의 상측부에는 선택적으로 절곡하는 제4절곡선(22)을 연장 형성하여, 상기 전면부(100), 좌측면부(200), 후면부(300), 우측면부(400)의 상측부를 상기 제4절곡선(22)을 기준으로 포장상자의 개구를 향해 절곡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의 개구를 협소하게 할 필요가 있을 시, 상기 좌측면부(200) 및 우측면부(400) 각각의 상측에 형성된 제3절곡선(21)을 기준으로 절곡하면서, 상기 제4절곡선(22)을 기준으로 포장상자의 개구를 향해 상기 전면부(100), 좌측면부(200), 후면부(300), 우측면부(400)의 상측부를 절곡하면 수용공간의 개구가 협소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쇼핑백 겸용 택배 포장상자는 상기 전면부의 상측 중앙에는 수직선상으로 해당 간격을 두고 제1체결장공 및 제2체결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겉덮개부의 상측부에는 상기 제1체결장공 및 제2체결장공 중 어느 한 체결장공에 체결되는 제1체결편을 형성하여, 상기 제1체결편의 체결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손잡이를 출현하도록 해, 상기 덮개와 상자 상면의 들뜬 공간을 최소화시켜 찌그러짐을 방지하고, 휴대 시에는 상측 고정홈에 덮개를 고정하여 별도의 쇼핑백 없이도 덮개를 손으로 파지하여 들고 다닐 수 있는 쇼핑백 기능을 겸하면서도, 손잡이 사이에 노출공간을 최소화하여 수용공간에 수용된 내부 내용물이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는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절곡선 100: 전면부
101: 제1체결장공 102: 제2체결장공
110: 연결결합지 120: 전방측바닥지
130: 보조손잡이부 131: 제3손잡이공
132: 제3손잡이편 200: 좌측면부
210: 제2속덮개부 211: 제3체결장공
212: 날개편 220: 좌측바닥지
300: 후면부 310: 후방측바닥지
400: 우측면부 410: 제1속덮개부
411: 제2체결편 412: 날개편
420: 우측바닥지 500: 겉덮개부
510: 제1구획부 511: 제1체결편
520: 제2구획부 521: 제1손잡이공
522: 제1손잡이편 530: 제3구획부
531: 제2손잡이공 532: 제2손잡이편

Claims (4)

  1. 직사각형으로 일측변에는 연결결합지를 연장형성하고, 하측변에는 전방측바닥지를 연장형성한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타측변에 일측변이 연결되고, 하측변에는 좌측바닥지를 연장형성한 좌측면부;
    상기 좌측면부의 타측변에 일측변이 연결되고, 상측변에는 상기 전면부의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상측면 및 전방면을 덮는 겉덮개부를 연장형성하고, 하측변에는 후방측바닥지를 연장형성한 후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타측변에 일측변이 연결되고, 하측변에는 우측바닥지를 연장형성한 우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의 상측 중앙에는 수직선상으로 해당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체결장공 및 제2체결장공과;
    상기 겉덮개부의 상측부에는 상기 제1체결장공 및 제2체결장공 중 어느 한 체결장공에 체결되는 제1체결편을 형성하여, 상기 제1체결편의 체결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손잡이를 출현하는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겉덮개부는
    3개 구획부로 삼등분되고, 최상측에 위치하는 구획부에는 체결편을 형성하고, 다음 두개의 구획부에는 각각 손잡이공을 형성한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그 상측변에 연결되고, 보조손잡이를 형성한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부에는 제1속덮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우측면부에는 제2속덮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속덮개부와 제2속덮개부의 체결로 수용공간의 개구를 덮는 속덮개를 이루는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KR1020190155571A 2019-11-28 2019-11-28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KR102269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571A KR102269960B1 (ko) 2019-11-28 2019-11-28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571A KR102269960B1 (ko) 2019-11-28 2019-11-28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385A KR20210066385A (ko) 2021-06-07
KR102269960B1 true KR102269960B1 (ko) 2021-06-28

Family

ID=7637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571A KR102269960B1 (ko) 2019-11-28 2019-11-28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9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5836A (ja) 1996-07-30 2000-11-28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箱状単位品のパッケージのための運搬容器
KR200389484Y1 (ko) 2005-04-27 2005-07-14 (주) 대림칼라 포장박스
US20090101699A1 (en) 2007-10-18 2009-04-23 Rodney Allen Goudreau Bag-in-box contain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200445296Y1 (ko) 2008-09-22 2009-07-16 태양당인쇄(주) 서랍형 포장박스
US20120228173A1 (en) 2011-03-09 2012-09-13 Myron Bostian Slender Wine Bottle Carrying Box
WO2016178967A1 (en) 2015-05-01 2016-11-10 Abbvie Inc. Container assembly for shipping a produc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475Y1 (ko) * 2008-12-12 2010-12-17 (주)아모레퍼시픽 접이식 손잡이를 갖는 화장품 포장용 상자
KR20100114360A (ko) * 2009-04-15 2010-10-25 (주)조은포장 가공식품 포장용 상자
KR101126340B1 (ko) * 2010-05-13 2012-03-22 (주)거성문화 상부적층이 용이한 포장용 종이박스
KR101976451B1 (ko) * 2017-08-03 2019-05-09 김동호 접기가 용이한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5836A (ja) 1996-07-30 2000-11-28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箱状単位品のパッケージのための運搬容器
KR200389484Y1 (ko) 2005-04-27 2005-07-14 (주) 대림칼라 포장박스
US20090101699A1 (en) 2007-10-18 2009-04-23 Rodney Allen Goudreau Bag-in-box contain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200445296Y1 (ko) 2008-09-22 2009-07-16 태양당인쇄(주) 서랍형 포장박스
US20120228173A1 (en) 2011-03-09 2012-09-13 Myron Bostian Slender Wine Bottle Carrying Box
WO2016178967A1 (en) 2015-05-01 2016-11-10 Abbvie Inc. Container assembly for shipping a produc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385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8040B2 (en) Blanks and methods for forming a shelf-ready display container
US9546014B2 (en) Adjustable container
KR200492642Y1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CN106232487A (zh) 用于储存产品的包装件
KR20210007772A (ko) 친환경 노테이핑 택배포장박스
KR102269960B1 (ko) 쇼핑백 겸용 포장상자
US9120593B2 (en) Box with integrated collapsible dividers
JP2013010525A (ja) 商品包装体
JP6090677B1 (ja) 弁当箱
KR101735937B1 (ko) 포장용 박스
KR102286540B1 (ko) 이중 잠금 구조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 박스
EP2560889B1 (en) Box with built-in bag.
US10974862B2 (en) Folding box made of cardboard
JP2017019547A (ja) 2ピース包装箱
KR101802702B1 (ko) 상품 고정용 적층 포장체
KR101558300B1 (ko) 포장용 박스
KR102075650B1 (ko) 배송용 포장 상자
CN208217209U (zh) 一种环保易包装运输的展示盒
JP4518840B2 (ja) 陳列ケース兼用ダンボール箱
KR102472419B1 (ko) 친환경 박스 구조체
KR102312848B1 (ko) 테이프 없이 포장가능한 포장상자
US11993433B2 (en) Shipping and dispensing container
TWM500747U (zh) 限位緩衝裝置
US2935355A (en) Carrying handle for containers
JP6085280B2 (ja) トレー用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