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711B1 - 접이식 행거 - Google Patents

접이식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711B1
KR102269711B1 KR1020200188079A KR20200188079A KR102269711B1 KR 102269711 B1 KR102269711 B1 KR 102269711B1 KR 1020200188079 A KR1020200188079 A KR 1020200188079A KR 20200188079 A KR20200188079 A KR 20200188079A KR 102269711 B1 KR102269711 B1 KR 102269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vertical
vertical members
present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세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스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스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스나인
Priority to KR102020018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64Standing garment supporting racks; Garment 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2Wardrobes with extensible garment-hold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부재;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수평부재; 각각의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 상기 복수의 수평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평부재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는 연결부에 연결되는 기어박스부;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재의 하부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다리부; 상기 기어박스부 내에서 서로 기어 결합하는 2개의 기어다리부; 상기 2개의 기어다리부 각각의 기어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기어박스부 하부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부와 상기 기어박스부 하부덮개 내부에 상기 2개의 기어다리부의 기어부가 내장되고 상기 기어부로부터 상기 기어박스부와 상기 기어박스부 하부덮개 외부로 슬라이딩홈을 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2개의 기어다리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앞면 또는 뒷면의 어느 한쪽으로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접이식 행거를 접는 경우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행거{Foldable garment rack}
본 발명은 접이식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기어 연결되는 2개의 다리부가 접이식 행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접이식 행거를 접는 경우에는 기어 연결되는 2개의 다리부가 손쉽게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행거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손쉽게 접어서 옮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좁은 공간에서 접이식 행거의 배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접이식 행거를 접는 것이 여전히 번거롭고 이를 옮기는 것도 여전히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2233호는 세탁물 건조대의 접이식 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다리의 절첩을 위한 회동구조가 접이식 다리를 이루는 다리 몸체와 접이부재 외에 별도의 부재의 개입 없이 각 부재간 맞춤결합을 통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2개의 다리의 절첩이 각각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양손이 모두 필요하거나 한손으로 하나씩 절첩해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1149호는 옷걸이용 행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이 가능한 행거 받침대의 다리부분이 절첩되도록 몸체부의 몸체의 회전홈 내부에서 하단측으로 연결부와 이동부가 회전하여 절첩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4개의 다리의 절첩이 각각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양손이 모두 필요하거나 한손으로 하나씩 절첩해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788호는 행거용 지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지주 받침구에 사방으로 받침다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하여 결합되도록 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4개의 다리가 각각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어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32573호는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옷걸이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스토퍼의 단순 힌지 회전동작만으로 구성요소들의 길이 가변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수직지지대 및 연장바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여 길이 가변동작이 가능할 뿐이고 행거의 전체적인 부피를 작게 변화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2233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1149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788호 등록특허공보 제10-1332573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좁은 공간에서 접이식 행거의 배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좁은 공간에서 접이식 행거의 배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킬수 있도록 하면서 기어다리부와 다리부에 의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접이식 행거를 손쉽게 접어서 운반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접이식 행거를 손쉽게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이식 행거의 부품을 단순화하여 조립을 간편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이식 행거의 부품을 단순화하여 생산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목적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접이식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부재;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수평부재; 각각의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 상기 복수의 수평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평부재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는 연결부에 연결되는 기어박스부;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재의 하부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다리부; 상기 기어박스부 내에서 서로 기어 결합하는 2개의 기어다리부; 상기 2개의 기어다리부 각각의 기어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기어박스부 하부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부와 상기 기어박스부 하부덮개 내부에 상기 2개의 기어다리부의 기어부가 내장되고 상기 기어부로부터 상기 기어박스부와 상기 기어박스부 하부덮개 외부로 슬라이딩홈을 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2개의 기어다리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앞면 또는 뒷면의 어느 한쪽으로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접이식 행거를 접는 경우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스토퍼의 내측 하부에 스토퍼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단턱에 오링이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스토퍼의 상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직부재는 연결부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사용자가 좁은 공간에서 접이식 행거의 배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키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사용자가 좁은 공간에서 접이식 행거의 배치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기어다리부와 다리부에 의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접이식 행거를 손쉽게 접어서 운반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접이식 행거를 손쉽게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접이식 행거의 부품을 단순화하여 조립이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접이식 행거의 부품을 단순화하여 생산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상기 효과로만 제한하지 아니하고, 위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외부 사시도에서 기어다리부를 접은 경우를 도시한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기어다리부를 펼친 경우와 접은 경우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기어다리부를 펼친 경우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기어박스부의 상부사시도와 하부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기어다리부를 접은 경우에 기어박스부 하부덮개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상하 이동 가능한 수평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a), 도 8(b)는 본 발명의 상하 이동 가능한 수평부재와 이와 결합하는 수직부재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9(a), 도 9(b)는 본 발명의 상하 이동 가능한 수평부재와 스토퍼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인 일실시예인 접이식 행거의 접는 동작시 수직부재의 움직임 방향을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인 접이식 행거를 사용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a), 도 15(b)는 본 발명인 접이식 행거를 완전히 접은 경우 부피가 최소화된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제한하지는 아니하고, 실시예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아니한 다른 구성 및 작용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경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행거는 복수의 수직부재(411-416), 복수의 수평부재(511-513, 521-525, 531, 532),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와 복수의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311-316, 321-324, 331-340), 복수의 다리부(131, 132, 133, 134),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 121, 12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411-416)는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평부재(511-513, 521-525, 531, 532)는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411-416)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411-416)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연결부(311-316, 321-324, 331-340)는 각각의 상기 수직부재(411-416)와 상기 수평부재(511-513, 521-525, 531, 532)를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411-416)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수직부재(411, 416)의 하부에는 연결부(311, 316)에 의해서 기어박스부(210, 230)가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다리부(131, 132, 133, 134)는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411-416) 중에서 가장 바깥쪽의 수직부재(411, 416)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부재(412-415)의 하부의 연결부(312-315)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다리부(131, 132, 133, 134)는 서로 인접하는 경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앞면 또는 뒷면의 어느 한쪽으로만 돌출되도록 하여 단독으로는 안정적인 지지가 어렵지만 서로 인접하는 경우 서로 앞면 또는 뒷면의 무게 중심을 번갈아 지탱하여 안정적인 지지를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는 상기 기어박스부(210) 내에서 서로 기어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고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본 발명의 접이식 행거는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수직부재(411, 416)의 하부에 각각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 및 2개의 기어다리부(121, 12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외부 사시도에서 기어다리부를 접은 경우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행거는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수직부재(411, 416)의 하부에 각각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 및 2개의 기어다리부(121, 122)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 121, 122)는 기어부의 회전에 의하여 접힌 상태이다. 상기 접힌 상태의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는 수평부재(511)와 평행하게 배열되고, 수직부재(411)에서 수직부재(412)를 향하도록 배열되어 본 발명의 접이식 행거를 운반 또는 보관을 위하여 접는 경우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기어다리부를 펼친 경우와 접은 경우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어다리부(111, 112)를 펼친 경우는 상기 기어다리부(111, 112)가 수평부재(511)와 수직하게 배열되어 본 발명의 접이식 행거의 앞면과 뒷면을 향하여 돌출되고, 본 발명의 기어다리부(111, 112)를 접은 경우는 상기 기어다리부(111, 112)가 수평부재(511)와 평행하게 배열되어 본 발명의 접이식 행거의 앞면과 뒷면을 향하여 돌출하지 않게 되어 운반 또는 보관을 위하여 접는 경우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는 기어박스부(210)와 기어박스부 하부덮개(220)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어박스부(210)와 상기 기어박스부 하부덮개(220) 외부로 슬라이딩홈(211)을 통하여 연장되어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기어다리부를 펼친 경우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는 기어부(113, 114)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서로 기어 결합되고, 기어박스부 하부덮개(220)에는 하부돌기부(222-225)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113, 114)의 회전 중심 관통홀이 하부돌기부(222, 223)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하부돌기부(222-225)를 통하여 기어박스부 하부덮개(220)는 상부의 기어박스부(210)와 나사 결합하게 된다.
상부의 연결부(311)에 고정된 상기 기어박스부(210)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박스부 하부덮개(220)와의 사이에 슬라이딩홈(211)이 마련되도록 하고, 서로 기어 결합된 상기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는 상기 슬라이딩홈(211)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 중 어느 하나만 회전시키더라도 나머지 다른 하나도 기어 결합에 의하여 함께 회전되므로 접는 동작이 아주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기어박스부의 상부사시도와 하부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 기어박스부(210)는 그 상부로는 연결부(311)가 고정 결합되고, 그 하부에는 상부돌기부(212-215)가 형성되어 기어박스부 하부덮개(220)에 형성된 하부돌기부(222-225)와 나사 결합하게 된다.
특히, 상부돌기부(212, 213)와 하부돌기부(222, 223)는 기어부(113, 114)의 회전 중심 관통홀이 결합되어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 중 어느 하나만 회전시키더라도 나머지 다른 하나도 기어 결합에 의하여 함께 회전되므로 접는 동작이 아주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기어다리부를 접은 경우에 기어박스부 하부덮개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다.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를 접은 경우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는데,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는 기어부(113, 114)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서로 기어 결합되고, 기어박스부 하부덮개(220)에는 하부돌기부(222-225)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113, 114)의 회전 중심 관통홀이 하부돌기부(222, 223)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하부돌기부(222-225)를 통하여 기어박스부 하부덮개(220)는 상부의 기어박스부(210)와 나사 결합하게 된다.
서로 기어 결합된 상기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2개의 기어다리부(111, 112) 중 어느 하나만 회전시키더라도 나머지 다른 하나도 기어 결합에 의하여 함께 회전되므로 접는 동작이 아주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상하 이동가능한 수평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수평부재(531)는 수직부재(412, 413)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수직부재(412, 413)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부(321, 322)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531)는 연결부(321, 3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재(412, 413)의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321, 322)는 그 하부에서 스토퍼(325)가 지지하게 된다.
도 8(a), 도 8(b)는 본 발명의 상하 이동 가능한 수평부재와 이와 결합하는 수직부재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부재(531)는 연결부(321, 3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재(412, 413)의 상부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수직부재(412, 413)에 설치된 스토퍼(325)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수평부재(53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21, 322)의 관통공을 통하여 결합되는 상기 수직부재(412,413)는 상기 연결부(321, 322)의 관통공 내에서 회전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접이식 행거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부(321, 322)는 상기 스토퍼(235)와 분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스토퍼(235)의 상부로 이동이 자유로운 뿐만 아니라, 상기 스토퍼(235)는 상기 수직부재(412,413)에 밀착되어 상기 수직부재(412,413)와 함께 회전되더라도 상기 연결부(321, 322)는 상기 수직부재(412,413)의 회전에 전혀 방해가 되지 않는다.
도 9(a), 도 9(b)는 본 발명의 상하 이동 가능한 수평부재와 스토퍼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부재(531)는 연결부(321, 3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재(412, 413)의 상부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스토퍼(325)도 상기 수직부재(412, 413)의 상부로 이동시키면 그 하부에 오링(351, 352)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오링(351, 352)이 노출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수직부재(412, 413)를 따라서 상기 오링(351, 352)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스토퍼(325)를 상기 오링(351, 352)의 위치까지 다시 내려서 상기 스토퍼(325)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스토퍼 단턱(326)에 상기 오링(351, 352)이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스토퍼의 상하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531)는 연결부(321, 322)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로 다시 이동시키면 상기 스토퍼(325)의 위치에서 멈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인 일실시예인 접이식 행거의 접는 동작시 수직부재의 움직임 방향을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행거를 운반 또는 보관을 위하여 접는 경우, 수직부재(411)는 앞면으로 회전하여 접히고, 수직부재(416)는 뒷면으로 회전하여 접히며, 수직부재(412, 414)는 뒷면으로 후퇴하며 접히고 수직부재(413, 415)는 앞면으로 전진하며 접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접이식 행거를 완전히 접는 경우 기어다리부(111)와 다리부(131)가 서로를 향하여 돌출되고, 다리부(132, 133)가 서로를 향하여 돌출되며, 기어다리부(121)와 다리부(134)가 서로를 향하여 돌출되므로 접이식 행거의 전체 부피가 최소화되어 보관 및 운반시 사용자가 편리하게 다룰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접히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인 접이식 행거를 사용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행거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ㄱ’ 형태, ‘ㄴ’ 형태, ‘ㄷ’ 형태, ‘ㄹ’ 형태 등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정하여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기어다리부(111, 121)와 다리부(131-134)는 본 발명의 접이식 행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다리부(131-134)도 회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그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5(a), 도 15(b)는 본 발명인 접이식 행거를 완전히 접은 경우 부피가 최소화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5(a), 도 1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행거를 완전히 접는 경우 기어다리부(111)와 다리부(131)가 서로를 향하여 돌출되고, 다리부(132, 133)가 서로를 향하여 돌출되며, 기어다리부(121)와 다리부(134)가 서로를 향하여 돌출되므로 접이식 행거의 전체 부피가 최소화되어 보관 및 운반시 사용자가 편리하게 다룰 수 있게 된다.
111, 112, 121, 122: 기어다리부
113, 114: 기어부
131, 132, 133, 134: 다리부
210, 230: 기어박스부
211: 슬라이딩홈
212-215: 상부돌기부
220: 기어박스부 하부덮개
222-225: 하부돌기부
311-316, 321-324, 331-340: 연결부
325: 스토퍼
326: 스토퍼 단턱
351, 352: 오링
411-416: 수직부재
511-513, 521-525, 531, 532: 수평부재

Claims (3)

  1. 접이식 행거에 있어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부재;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수평부재;
    각각의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
    상기 복수의 수평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평부재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는 연결부에 연결되는 기어박스부;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직부재의 하부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다리부;
    상기 기어박스부 내에서 서로 기어 결합하는 2개의 기어다리부;
    상기 2개의 기어다리부 각각의 기어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기어박스부 하부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부와 상기 기어박스부 하부덮개 내부에 상기 2개의 기어다리부의 기어부가 내장되고 상기 기어부로부터 상기 기어박스부와 상기 기어박스부 하부덮개 외부로 슬라이딩홈을 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2개의 기어다리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2개의 기어다리부 중 어느 하나만 회전시키더라도 나머지 다른 하나도 기어 결합에 의하여 함께 회전되고,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앞면 또는 뒷면의 어느 한쪽으로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접이식 행거를 접는 경우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스토퍼의 내측 하부에 스토퍼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단턱에 오링이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스토퍼의 상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행거.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수직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직부재는 연결부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행거.
KR1020200188079A 2020-12-30 2020-12-30 접이식 행거 KR102269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079A KR102269711B1 (ko) 2020-12-30 2020-12-30 접이식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079A KR102269711B1 (ko) 2020-12-30 2020-12-30 접이식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711B1 true KR102269711B1 (ko) 2021-06-28

Family

ID=7660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079A KR102269711B1 (ko) 2020-12-30 2020-12-30 접이식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71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33921Y (zh) * 2003-04-08 2004-08-18 常州天美日用品有限公司 屏风式晾物架
KR100834064B1 (ko) * 2007-11-21 2008-06-02 (주)삼우정공 접이식 받침대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대
KR20100002233U (ko) 2008-08-22 2010-03-04 (주)자몽나라 세탁물 건조대의 접이식 다리
KR20100084798A (ko) * 2009-01-19 2010-07-28 이종민 각도 조절 및 힌지 고정수단에 의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101332573B1 (ko) 2013-08-02 2013-11-25 주식회사 맘스오피스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옷걸이용 행거
KR20160001149U (ko) 2014-09-30 2016-04-07 강병수 옷걸이용 행거 받침대
KR200487788Y1 (ko) 2017-02-17 2018-11-02 주식회사 피에스산업 행거용 지주받침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33921Y (zh) * 2003-04-08 2004-08-18 常州天美日用品有限公司 屏风式晾物架
KR100834064B1 (ko) * 2007-11-21 2008-06-02 (주)삼우정공 접이식 받침대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대
KR20100002233U (ko) 2008-08-22 2010-03-04 (주)자몽나라 세탁물 건조대의 접이식 다리
KR20100084798A (ko) * 2009-01-19 2010-07-28 이종민 각도 조절 및 힌지 고정수단에 의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101332573B1 (ko) 2013-08-02 2013-11-25 주식회사 맘스오피스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옷걸이용 행거
KR20160001149U (ko) 2014-09-30 2016-04-07 강병수 옷걸이용 행거 받침대
KR200487788Y1 (ko) 2017-02-17 2018-11-02 주식회사 피에스산업 행거용 지주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534845A (ja) 折畳式テーブルスツールセット
US11685418B2 (en) Rotational joint and product for children having the same
US10138652B2 (en) Foldable tent rack
RU2008128181A (ru) Предмет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й мебели
KR102269711B1 (ko) 접이식 행거
CN105697950A (zh) 电视机
US5890263A (en) Split lockable hinge for a baby bed
CN209152517U (zh) 带有折叠框架的折叠桌及其折叠框架
CN210130549U (zh) 折叠层架及其联动锁紧结构
CN212591295U (zh) 一种婴儿床
CN212437896U (zh) 一种折叠组合柜
CN203818922U (zh) 一种脚轮以及桌子
KR200465910Y1 (ko) 폴딩 변각 구조를 갖는 서포팅 유닛
CN213188983U (zh) 一种结构简单的折叠屏风
CN217524270U (zh) 一种具有支撑座的单元柜及组合柜
KR100395475B1 (ko)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CN211324030U (zh) 一种多功能儿童床
CN209450182U (zh) 一种折叠床柜
CN220987993U (zh) 一种可调节桌子
CN219699755U (zh) 一种镜柜
CN219613355U (zh) 一种书柜
CN211819001U (zh) 开关门和自助售货机
US139419A (en) Improvement in desks and book-cases
CN219374154U (zh) 一种柜子
CN215873842U (zh) 一种建筑设计用可调式工作桌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