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668B1 -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668B1
KR102269668B1 KR1020210029232A KR20210029232A KR102269668B1 KR 102269668 B1 KR102269668 B1 KR 102269668B1 KR 1020210029232 A KR1020210029232 A KR 1020210029232A KR 20210029232 A KR20210029232 A KR 20210029232A KR 102269668 B1 KR102269668 B1 KR 102269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structure
design
unit
basic dat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우성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엔케이안전진단연구원
전우성
김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엔케이안전진단연구원, 전우성, 김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엔케이안전진단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29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chemist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축 구조물의 현장 점검 결과와 상기 현장 점검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안전 진단 기준과 비교한 결과, 상기 직전 진단의 수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새로운 건축 구조물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설계 기본 데이터를 입력하는 고객단말기; 및 상기 고객단말기에 입력되는 상기 설계 기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강도 데이터, 하중 데이터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의 설계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기초 데이터에 따라 상기 건축 구조물의 구성재료와 도면, 견적 비용을 생성하는 설계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Integrated Auto-Design System}
본 발명은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컨설팅 및 건축설계 프로그램으로는 초기 기획단계에서부터 컴퓨터를 적극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설계를 진행시키기 위하여 설계 지원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다.
즉, 설계자가 빠른 시간 안에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도록 준비 작업을 해주는 것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그림(Computer Aided Drawing)의 개념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Comput er Aided Design)의 개념으로 바뀌고 있다.
또한, 캐드환경에서 사용하기 편리하게 모든 과정을 모듈화하여 비전문가 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재료와 건축 구조물 설계와 비용 컨설팅까지 모든 정보가 한 사이트(Site)에서 제공되는 종합컨설팅서비스 기능이 가능한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은, 상기 건축 구조물의 현장 점검 결과와 상기 현장 점검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안전 진단 기준과 비교한 결과, 상기 직전 진단의 수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새로운 건축 구조물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설계 기본 데이터를 입력하는 고객단말기; 및 상기 고객단말기에 입력되는 상기 설계 기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강도 데이터, 하중 데이터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의 설계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기초 데이터에 따라 상기 건축 구조물의 구성재료와 도면, 견적 비용을 생성하는 설계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설계서버는, 상기 고객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입력받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상기 설계 기본 데이터로 문서화 또는 수치화하여 저장하는 요청입력부; 상기 요청입력부에서 저장한 상기 설계 기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강도 데이터, 상기 하중 데이터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의 설계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기초 데이터에 맞추어 상기 건축 구조물의 구성재료를 생성하고, 상기 구성재료에 맞추어 상기 건축 구조물의 구조를 설계하는 구조물 설계부; 상기 구조물 설계부에서 설계한 구조와 상기 건축 구조물의 구성재료에 맞추어 상기 건축 구조물 도면을 3D 또는 2D로 생성하는 도면생성부; 및 상기 구조물 설계부 및 상기 도면생성부에 따라 형성되는 구성재료의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건축 구조물의 형성 기간에 맞추어 발생하는 비용을 산출하고, 최종적인 비용을 합산하여 최종 비용을 생성하는 견적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설계서버는, 상기 건축 구조물 별로 상기 현장 점검 결과를 문서화한 내용 및 상기 현장 점검 결과를 통해 건축 구조물을 기 설정된 기준에 맞추어 수치화한 정보, 기 설정된 안전 진단 기준과 비교한 결과, 상기 직전 진단의 수치와 비교한 결과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설계서버는,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된 해당 건축 구조물의 데이터 및 해당 건축 구조물과 유사한 건축 구조물의 안전진단 결과를 웹사이트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딥러닝하여 상기 해당 건축 구조물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 문제와 안전 문제를 포함하여 발생 가능한 위험 정보를 유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안전진단 예측장치를 이용하여 산악지역이나 산의 허리를 절개하여 시공하는 경우 발생하는 사면의 하단에 삽입고정부, 슬라이딩 연결부 및 슬라이딩 추를 설치하여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상기 슬라이딩 추를 확인하여 토사 슬라이딩을 예측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삽입고정부,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 및 상기 슬라이딩 추는 수용고정모듈에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용고정모듈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고정부,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 및 상기 슬라이딩 추가 내부에 수용되는 계측도구 수용부를 내측 중앙에 안착하여 고정하는 수용고정부; 상기 계측도구 수용부를 폭 방향으로 고정하도록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계측도구 수용부를 높이 방향으로 고정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수용고정부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계측도구 수용부의 하부 쪽으로 진퇴 구동하고, 상기 계측도구 수용부의 하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비된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용고정부는, 상기 수용고정부의 바닥 상단부에 구비된 가이드 홈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이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직진 이송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상기 계측도구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송 조절되는 한 쌍의 수용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고정부는, 회전 작동에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진퇴 구동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회전 조작 시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제1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용이동부는,
상기 제1 회전부의 진퇴 조절에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송되며, 내측에 안착된 원기둥 형상의 상기 계측도구 수용부의 외주면을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고정부는, 전 작동에 따라 높이 방향으로 승강 구동하는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회전 조작 시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은 구성재료와 건축 구조물 설계와 비용 컨설팅까지 모든 정보가 한 사이트(Site)에서 제공되는 종합컨설팅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설계된 건축 구조물과 유사한 건축 구조물의 안전문제 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하여 딥러닝함으로서, 시공 시점에서 안전문제가 발견되지 않더라도 발생할 수 있는 안전문제를 유추하여 구성재료와 설계도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계측장치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안전진단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계측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10)은 현장단말기(200) 및 관리서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단말기(200)는 건축 구조물(100) 또는 산악지역이나 산의 허리를 절개하여 시공하는 경우 발생하는 사면(300)에 대한 현장 점검을 수행하여 현장 점검 결과가 입력될 수 있다.
관리서버(700)는 현장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현장 점검 결과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고, 누적하여 저장된 현장 점검 결과를 사용하여 건축 구조물(100) 또는 산악지역이나 산의 허리를 절개하여 시공하는 경우 발생하는 사면(300)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700)는 점검결과 저장부(720), 점검결과 수치부(740), 점검결과 분석부(760) 및 보고서생성부(780)를 포함할 수 있다.
점검결과 저장부(720)는 현장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현장 점검 결과를 건축 구조물 별로 분류하여 누적할 수 있고, 현장 점검이 수행된 건축 구조물(100)에 대한 현장 점검 결과에 대해 문서화한 내용을 해당 건축 구조물(100)의 데이터에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점검결과 수치부(740)는 점검결과 저장부(720)에 저장되는 현장 점검이 수행된 건축 구조물(100)에 대한 현장 점검 결과를 기 설정된 기준에 맞추어 수치화할 수 있고, 수치화한 결과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점검결과 분석부(760)는 점검결과 수치부(740)에서 수치화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장 점검이 수행된 건축 구조물(100)의 수치를 기 설정된 안전 진단 기준과 비교할 수 있고, 해당 건축 구조물(100)의 직전 진단 수치와 비교하여 건축 구조물(100)의 현재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보고서생성부(780)는 점검결과 분석부(760)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보고서생성부(780)는 점검결과 분석부(760)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 해당 건축 구조물(100)의 직전 진단 수치와 차이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건축 구조물(100)의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보고서생성부(780)는 점검결과 분석부(760)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 해당 건축 구조물(100)의 직전 진단 수치와 차이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건축 구조물(100)의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 생성을 보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제안하는 관리서버(700)는 건축 구조물(100) 별로 현장 점검 결과를 문서화한 내용 및 현장 점검 결과를 통해 건축 구조물(100)을 기 설정된 기준에 맞추어 수치화한 정보, 기 설정된 안전 진단 기준과 비교한 결과, 직전 진단의 수치와 비교한 결과를 제1 데이터베이스(705)에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700)는 제1 데이터베이스(705)에 누적하여 저장된 해당 건축 구조물(100)의 데이터 및 해당 건축 구조물(100)과 유사한 건축 구조물(100)의 안전진단 결과를 웹사이트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딥러닝하여 해당 건축 구조물(100)의 변형 정보와 안전 진단 정보를 유추하여 보고서생성부(780)에 해당 건축 구조물(100)의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 생성에 제공할 수 있다.
현장 점검이 수행된 해당 건축 구조물(100)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유사한 건축 구조물의 안전진단에 관한 정보를 웹사이트 등으로부터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빅데이터를 딥러닝하여 보고서생성부(780)에 제공하여 해당 건축 구조물(100)의 안전진단을 현실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생성한 빅데이터를 딥러닝함에 따라 해당 건축 구조물(100)의 연식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안전문제 또는 변형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건축 구조물(100)의 소유한 클라이언트에게 건축 구조물(100)의 현황을 알려줌으로서, 보강 공사 또는 새로운 건축 구조물의 공사를 제안하고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10)은 작업자가 건축 구조물(100) 또는 사면(300)이 위치한 현장에 가서 현장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현장 점검 결과를 전송할 수 있고(S1000), 관리서버(900)는 현장 점검 결과를 저장하고 누적할 수 있다(S1100).
관리서버(700)는 저장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건축 구조물(100)의 안전진단 결과를 수치화할 수 있고(S1300), 직전 진단 수치와 비교할 수 있다(S1500).
안전진단 결과의 수치가 직전 진단의 수치와 차이점이 존재하는 경우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고(S1750), 차이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안전진단 결과 보고서의 생성을 보류할 수 있다(S1900).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30)은 고객단말기(200') 및 설계서버(9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단말기(200')는 건축 구조물의 현장 점검 결과와 현장 점검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안전 진단 기준과 비교한 결과, 직전 진단의 수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새로운 건축 구조물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설계 기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설계서버(900)는 고객단말기(200')에 입력되는 설계 기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강도 데이터, 하중 데이터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의 설계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기초 데이터에 따라 건축 구조물의 구성재료와 도면, 견적 비용을 생성할 수 있다.
설계서버(900)는 건축 구조물 별로 현장 점검 결과를 문서화한 내용 및 현장 점검 결과를 통해 건축 구조물을 기 설정된 기준에 맞추어 수치화한 정보, 기 설정된 안전 진단 기준과 비교한 결과, 직전 진단의 수치와 비교한 결과를 제2 데이터베이스(905)에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설계서버(900)는 제2 데이터베이스(905)에 누적하여 저장된 해당 건축 구조물의 데이터 및 해당 건축 구조물과 유사한 건축 구조물의 안전진단 결과를 웹사이트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빅데이터를 딥러닝하여 해당 건축 구조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형 문제와 안전 문제를 포함하여 발생 가능한 위험 정보를 유추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제안하는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30)은 설계한 건축 구조물의 구성재료 또는 설계에 따라 시공되는 건축 구조물의 위험 정보를 유추함으로서 구성재로 또는 설계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설계서버(900)는 요청입력부(920), 구조물 설계부(940), 도면생성부(960) 및 견적생성부(980)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입력부(920)는 고객단말기(200')와 통신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설계 기본 데이터로 문서화 또는 수치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조물 설계부(940)는 요청입력부(920)에서 저장한 설계 기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강도 데이터, 하중 데이터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의 설계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조물 설계부(940)는 기초 데이터에 맞추어 건축 구조물의 구성재료를 생성할 수 있고, 구성재료에 맞추어 건축 구조물의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도면생성부(960)는 구조물 설계부(940)에서 설계한 구조와 건축 구조물의 구성재료에 맞추어 건축 구조물 도면을 3D 또는 2D로 생성할 수 있다.
견적생성부(980)는 구조물 설계부(940) 및 도면생성부(960)에 따라 형성되는 구성재료의 비용을 산출할 수 있고, 건축 구조물의 형성 기간에 맞추어 발생하는 비용을 산출할 수 있고, 최종적인 비용을 합산하여 최종 비용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계측장치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안전진단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계측장치(1000)를 이용하여 건축 구조물(B)의 안전진단 방법이 다양한 모양으로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진단 계측장치(1000)를 이용하여 건축 구조물(B)의 구성재료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건축 구조물(B)의 구성재료의 보존상태를 검사하는 간이시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진단 계측장치(1000)를 이용하여 레이저 빔을 건축 구조물(B)을 향하여 주사하고, 주사하여 반사된 빔의 방향과 거리를 이용해 건축 구조물(B)의 외형을 3차원 좌표의 집합으로 나타내어 변위분석을 활용하는 3차원 스캐닝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진단 계측장치(1000)를 이용하여 건축 구조물(B)에 물리적 에너지를 가했을 때 나타나는 응답특성이 재질이나 결함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가시화하고, 가시화된 건축 구조물(B)의 변화를 평가하는 비파괴검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방법 외에도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진단 계측장치(1000)를 이용하여 각종 신호 및 정보처리를 통해 건축 구조물(B)의 특성과 연관성을 파악하고 현 상태와 발생 가능한 문제를 관측 및 예측하는 거동계측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진단 계측장치(1000)를 이용하여 건축 구조물(B)의 기하학적 형상, 재료학적 성질, 주변 환경, 외부 응력이 주어진 상태에서 건축 구조물(B)의 변형 특성을 파악하고, 수동 응력계산법과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해석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진단 계측장치(1000) 중 삽입고정부(310), 슬라이딩 연결부(320) 및 슬라이딩 추(330)를 이용하여 산악지역이나 산의 허리를 절개하여 시공하는 경우 발생하는 사면의 토사 슬라이딩을 예측할 수도 있다.
토사 슬라이딩을 예측하기 위하여 삽입고정부(310), 슬라이딩 연결부(320) 및 슬라이딩 추(330)를 이용하는 경우 사면의 하단에 삽입고정부(310), 슬라이딩 연결부(320) 및 슬라이딩 추(330)를 설치할 수 있고, 슬라이딩 연결부(320)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슬라이딩 추(330)를 확인하여 토사 슬라이딩을 예측할 수 있다.
토사 슬라이딩 예측(300)은 삽입고정부(310), 슬라이딩 연결부(320) 및 슬라이딩 추(330)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삽입고정부(310)는 상단에 슬라이딩 연결부(320)가 삽입 가능한 고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사면에 일정 거리를 가지며 이격되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 연결부(320)는 일단이 삽입고정부(310)의 상단에 형성된 고리를 관통하여 각각 연결될 수 있고, 타단에 슬라이딩 추(33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삽입고정부(310)의 외측면에는 눈금자(미도시)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어 슬라이딩 추(330)의 하강 또는 상승의 비율을 눈금자(미도시)를 이용하여 추측할 수 있다.
작업자는 슬라이딩 추(330)가 하강되면 슬라이딩 추(330)가 원래 상태에서 하강된 상태의 눈금을 비교하여 사면의 붕괴 상태를 알 수 있어 사고 발생 전에 사면의 토사의 슬라이딩 상태를 점검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계측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계측 방법 중 토사 슬라이딩 예측(300)에 사용되는 삽입고정부(310), 슬라이딩 연결부(320) 및 슬라이딩 추(33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고정모듈(40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고정모듈(400)은 원기둥 형상의 계측도구 수용부(401), 수용고정부(410) 및 제1 고정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고정부(410)는 계측도구 수용부(401)를 내측 중앙에 안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부(420)는 계측도구 수용부(401)를 폭 방향으로 고정하도록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부(420)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계측도구 수용부(401)를 높이 방향으로 고정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부(420')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고정부(410)는 계측도구 수용부(401)를 내측 중앙에 안착시켜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계측도구 수용부(401)를 사이에 두고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송 조절되는 한 쌍의 수용이동부(41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부(420)는 수용이동부(412)의 외면에 연결되어 진퇴 구동할 수 있고, 수용이동부(412)의 내면이 계측도구 수용부(401)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부(430)는 수용고정부(410)의 하부를 관통하여 계측도구 수용부(401)의 하부 쪽으로 진퇴 구동할 수 있고, 계측도구 수용부(401)의 하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용이동부(412)는 수용고정부(410)의 바닥 상단부에 구비된 가이드 홈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이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직진 이송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한 쌍의 수용이동부(412)는 수용고정부(410)의 상부에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송되거나 또는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용이동부(412) 각각의 하단부는 수용고정부(410)의 바닥 상단부의 가이드 홈을 따라 구속 연결될 수 있다.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부(420)는 수용고정부(410)의 바닥 상단부를 관통하여 선단부가 수용이동부(412)의 하단부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부(420)는 회전 작동에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진퇴 구동하는 제1 회전부(422) 및 그 후단부에 연결되어 회전 조작 시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 그립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가 제1 그립부(424)를 파지한 상태로 제1 회전부(422)를 회전 조작하게 되면, 제1 회전부(422)는 리드 폭만큼 전, 후 진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전부(422)의 진퇴 조절에 따라 수용이동부(412)는 전, 후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내측에 안착된 원기둥 형상의 계측도구 수용부(401)의 외주면을 강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제2 고정부(430)는 수용고정부(410)의 하부를 관통하여 선단부가 계측도구 수용부(401)의 하부 쪽으로 진퇴하여 계측도구 수용부(401)의 높이 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도록 해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고정부(430)는 그 세부 구성으로서, 회전 작동에 따라 높이 방향으로 승강 구동하는 제2 회전부(432)와 그 후단부에 연결되어 회전 조작 시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 그립부(434)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가 제2 그립부(434)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2 회전부(432)는 회전함에 따라 높이 방향으로 리드 폭만큼 승강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전부(432)의 승강 조절에 따라 계측도구 수용부(401)의 하부를 가압하여 높이 방향으로 위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수용고정부(410)의 상단 높이에 비해 원기둥 형상인 계측도구 수용부(401)의 상부면이 h 높이만큼 더 상향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여기서, h 높이는 ±5mm 범위 이내).
이와 같이, 직경 및 높이와 무관하게 어떠한 원기둥 형상의 계측도구 수용부(401)라도, 상기와 같이 h 높이만큼 상향 배치하여 위치를 고정해 주기 위해서 제2 고정부(430)의 승강 조절이 필요하다.
원기둥 형상의 계측도구 수용부(401)를 고정하는 동작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먼저 수용고정부(410)의 내측 중앙 수용공간으로 원기둥 형상의 계측도구 수용부(401)를 수납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2 고정부(430)의 승강 동작이 구현되며, 원기둥 형상의 계측도구 수용부(401)는 설정된 높이만큼 수용고정부(410)보다 상향 배치하게 될 수 있다. 이때의 상향 배치된 높이는 ±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 설정된 높이로 높이 방향 위치가 고정된 경우,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고정부(420)의 회전을 통한 진퇴 조절에 따라 수용고정부(41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수용이동부(412)는 계측도구 수용부(401)의 외주면으로 밀착 가압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용고정모듈(400)은 한 쌍의 수용이동부(412)의 측면과 제1 고정부(420)의 상단에 위치하는 유동연결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동연결부(600)는 제1 고정연결부(611), 제2 고정연결부(612), 관통기둥(613) 및 연결홈(6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연결부(611)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일단에 위치한 제1 기둥부(611b)를 포함할 수 있고, 타단에 위치하며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기둥부(611b)와 고정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패널(611c)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고정연결부(611)는 내부에 관통기둥(613)이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 관통부(611a)를 형성하는 제1 기둥부(611b) 및 수용고정모듈(400)의 수용이동부(412)의 측면 또는 제1 고정부(420)의 상단에 맞닿아 고정되는 제1 연결패널(611c)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연결부(612)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타단에 위치한 제2 기둥부(612b)를 포함할 수 있고, 일단에 위치하며 사다리꼴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고 제2 기둥부(612b)와 고정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패널(612c)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고정연결부(612)는 내부에 관통기둥(613)이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관통부(612a)를 형성하는 제2 기둥부(612b) 및 수용고정모듈(400)의 수용이동부(412)의 측면 또는 제1 고정부(420)의 상단에 맞닿아 고정되는 제2 연결패널(612c)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둥부(611b)와 제2 기둥부(612b)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관통부(611a)와 제2 관통부(612a)가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나란히 위치한 제1 관통부(611a)와 제2 관통부(612a)를 관통하여 관통기둥(613)이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기둥(613)은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기둥부(611b)와 제2 기둥부(612b)는 관통기둥(613)이 내부로 관통 가능한 너비를 갖는 제1 관통부(611a) 및 제2 관통부(612a)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기둥(613)의 상단에는 제1 기둥부(611b) 및 제2 기둥부(612b)의 외측면 지름과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는 상단돌출부(63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제1 관통부(611a) 및 제2 관통부(612a)로 관통한 관통기둥(613)이 반대측으로 지나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관통기둥(613)의 상단에 마련된 상단돌출부(630)에 의하여 관통기둥(613)은 제1 관통부(611a) 및 제2 관통부(612a)를 관통하여 제1 기둥부(611b)과 제2 기둥부(612b)를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기둥(613)은 원형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관통기둥(613)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연결부(6135)는 상단돌출부(630)의 내측을 관통하며 상단돌출부(630)의 중앙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관통기둥(613)은 제1 탄성부(61322), 중앙부(61313), 제2 탄성부(6133), 외측형성부(6132) 및 내측형성부(61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61322)는 외측형성부(6132)의 하단 내측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외측형성부(6132)의 중앙을 관통하며 위치하는 제2 탄성부(6133)의 외측면을 따라 양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탄성부(61322)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스프링과 같은 장치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수축 및 이완 가능한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탄성부(61322)는 탄성고정부(61321)에 의해 외측형성부(6132)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고정부(61321)는 외측형성부(6132)의 하단 내측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탄성부(61322)의 하단에 고정 연결될 수 있어 제1 탄성부(61322)를 외측형성부(6132)의 하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중앙부(61313)는 외측형성부(6132)의 내부에 제2 탄성부(6133)의 하단탄성부(61332)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탄성부(61322)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중앙부(61313)는 제1 탄성부(61322)의 상단에 위치함과 동시에 제2 탄성부(6133)의 상단탄성부(61332)의 외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제2 탄성부(6133)의 상단탄성부(61332)의 외측면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중앙부(61313)는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수축 및 이완하는 제2 탄성부(6133) 또는 외측형성부(6132)에 의하여 제2 탄성부(6133)의 상단탄성부(61332) 외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중앙부(61313)가 이동함에 따라 제1 탄성부(61322)가 수축 또는 이완할 수 있다.
제2 탄성부(6133)는 외측형성부(6132)의 중앙을 세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동시에 외측형성부(6132)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외측면 양단에 제1 탄성부(61322)가 위치할 수 있는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부(6133)의 하단탄성부(61331) 및 상단탄성부(61332)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하단탄성부(61331) 및 상단탄성부(61332)의 내부는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탄성부(6133)의 하단탄성부(61331)는 외측면이 자바라의 형상과 같이 '>'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수축 및 이완 구동할 수 있고, 제2 탄성부(6133)의 상단탄성부(6133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형성부(6132)의 내측 하단 중앙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2 탄성부(6133)의 하단탄성부(61331)의 양단은 자바라의 형상과 같이 '>'의 형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단탄성부(61331)의 수축 또는 이완 구동을 위하여 내부공간(6132a)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외측형성부(613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형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단은 중앙부(61313)와 제1 탄성부(61322)가 구비되어 있어 막혀있는 반면 상단은 개방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의 개방된 내측면에는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외측형성부(6132)의 개방된 상단은 내측형성부(61352)가 삽입하여 고정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내측형성부(61352)의 외측면은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와 맞물려 회전함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외측형성부(6132)는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1 탄성부(61322) 또는 제2 탄성부(6133)가 수축 및 이완함에 따라 함께 수축 및 이완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형성부(6132)의 재질은 일 실시예를 위하여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재질이라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수축 및 이완하는 장치에 의하여 수축 및 이완 가능한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내측형성부(61352)는 외측형성부(6132)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 가능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고, 중앙에는 상단연결부(6135)가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내부로 상단연결부(6135)가 삽입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단연결부(6135)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관통기둥(613)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될 수 있고, 하단이 관통기둥(613)의 상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연결패널(611c) 또는 제2 연결패널(612c)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원형 홈의 형상을 갖는 연결홈(65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나사 또는 못 등을 이용하여 제1 연결패널(611c) 또는 제2 연결패널(612c)을 수용이동부(412)의 측면 또는 제1 고정부(420)의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연결홈(650)을 이용하여 제1 연결패널(611c) 또는 제2 연결패널(612c)을 수용이동부(412)의 측면 또는 제1 고정부(420)의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 장치로서 상술한 나사 또는 못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나사 또는 못과 같이 반영구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 장치라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유동연결부(600)의 제1 연결패널(611c)과 제2 연결패널(612c)은 수용이동부(412)와 제1 고정부(420)의 이동 또는 흔들림에 의하여 제1 기둥부(611b)와 제2 기둥부(612b)는 내부의 제1 관통부(611a)와 제2 관통부(612a)에 관통되어 위치한 관통기둥(61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유동연결부(600)는 중심의 관통기둥(613)을 중심으로 제1 연결패널(611c)과 제2 연결패널(612c)이 유동적으로 움직이며,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수용이동부(412)와 제1 고정부(420)의 이동 또는 흔들림에 의하여 계측도구 수용부(401)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유동연결부(600)의 또 다른 형상으로는 제1 연결패널(611c)은 제2 연결패널(612c)과 제2 기둥부(612b)를 중앙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패널(611c)이 수용이동부(412) 또는 제1 고정부(420)에 넓게 맞닿아 고정 연결될 수 있어 유동연결부(6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용이동부(412)과 제1 고정부(4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안전진단 계측장치
B: 건축 구조물

Claims (2)

  1. 건축 구조물의 구성재료의 보존 상태를 직간접적으로 검사하여 상기 건축 구조물의 변형을 측정하는 안전진단 계측장치를 포함하는,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축 구조물의 현장 점검 결과와 상기 현장 점검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안전 진단 기준과 비교한 결과, 직전 진단의 수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새로운 건축 구조물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설계 기본 데이터를 입력하는 고객단말기; 및
    상기 고객단말기에 입력되는 상기 설계 기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강도 데이터, 하중 데이터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의 설계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기초 데이터에 따라 상기 건축 구조물의 구성재료와 도면, 견적 비용을 생성하는 설계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설계서버는,
    상기 고객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입력받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상기 설계 기본 데이터로 문서화 또는 수치화하여 저장하는 요청입력부;
    상기 요청입력부에서 저장한 상기 설계 기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강도 데이터, 상기 하중 데이터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의 설계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기초 데이터에 맞추어 상기 건축 구조물의 구성재료를 생성하고, 상기 구성재료에 맞추어 상기 건축 구조물의 구조를 설계하는 구조물 설계부;
    상기 구조물 설계부에서 설계한 구조와 상기 건축 구조물의 구성재료에 맞추어 상기 건축 구조물의 도면을 3D 또는 2D로 생성하는 도면생성부; 및
    상기 구조물 설계부 및 상기 도면생성부에 따라 형성되는 구성재료의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건축 구조물의 형성 기간에 맞추어 발생하는 비용을 산출하고, 최종적인 비용을 합산하여 최종 비용을 생성하는 견적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계서버는,
    상기 건축 구조물 별로 상기 현장 점검 결과를 문서화한 내용 및 상기 현장 점검 결과를 통해 건축 구조물을 기 설정된 기준에 맞추어 수치화한 정보, 기 설정된 안전 진단 기준과 비교한 결과, 상기 직전 진단의 수치와 비교한 결과를 제2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설계서버는,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저장된 해당 건축 구조물의 데이터 및 해당 건축 구조물과 유사한 건축 구조물의 안전진단 결과를 웹사이트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딥러닝하여 상기 해당 건축 구조물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 문제와 안전 문제를 포함하여 발생 가능한 위험 정보를 유추하고,
    상기 안전진단 계측장치를 이용하여 산악지역이나 산의 허리를 절개하여 시공하는 경우 발생하는 사면의 하단에 삽입고정부, 슬라이딩 연결부 및 슬라이딩 추를 설치하여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는 상기 슬라이딩 추를 확인하여 토사 슬라이딩을 예측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고정부,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 및 상기 슬라이딩 추는 수용고정모듈에 수용되어 보관되고,
    상기 수용고정모듈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고정부, 상기 슬라이딩 연결부 및 상기 슬라이딩 추가 내부에 수용되는 계측도구 수용부를 내측 중앙에 안착하여 고정하는 수용고정부;
    상기 계측도구 수용부를 폭 방향으로 고정하도록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계측도구 수용부를 높이 방향으로 고정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수용고정부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계측도구 수용부의 하부 쪽으로 진퇴 구동하고, 상기 계측도구 수용부의 하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비된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고정부는,
    상기 수용고정부의 바닥 상단부에 구비된 가이드 홈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이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직진 이송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상기 계측도구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송 조절되는 한 쌍의 수용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회전 작동에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진퇴 구동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회전 조작 시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제1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이동부는,
    상기 제1 회전부의 진퇴 조절에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이송되며, 내측에 안착된 원기둥 형상의 상기 계측도구 수용부의 외주면을 강하게 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회전 작동에 따라 높이 방향으로 승강 구동하는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회전 조작 시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하는,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
  2. 삭제
KR1020210029232A 2021-03-05 2021-03-05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 KR102269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232A KR102269668B1 (ko) 2021-03-05 2021-03-05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232A KR102269668B1 (ko) 2021-03-05 2021-03-05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668B1 true KR102269668B1 (ko) 2021-06-25

Family

ID=76628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232A KR102269668B1 (ko) 2021-03-05 2021-03-05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6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0883A (ja) * 2014-07-14 2016-02-04 陳山 鵬 構造物や設備の状態監視・診断に用いる自己診断機能付き診断装置システムおよび自己診断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0883A (ja) * 2014-07-14 2016-02-04 陳山 鵬 構造物や設備の状態監視・診断に用いる自己診断機能付き診断装置システムおよび自己診断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ce et al. FiSH: MATLAB tools to turn fault data into seismic‐hazard models
Golabchi et al. An automated biomechanical simulation approach to ergonomic job analysis for workplace design
Hashash et al. Influence of tall buildings on seismic response of shallow underground structures
EP3176361B1 (en) Calculating downhole card in deviated wellbore using parameterized segment calculations
Skarbek et al. RSFit3000: A MATLAB GUI-based program for determining rate and state frictional parameters from experimental data
KR102280827B1 (ko) 안전진단 계측장치
Bichon et al. Efficient global surrogate modeling for reliability-based design optimization
Ferrero et al. Development of a new experimental apparatus for the study of the mechanical behaviour of a rock discontinuity under monotonic and cyclic loads
US20140336954A1 (en) Calculating Fatigue and Fatigue Failure of Structures
Calvi et al. Numerical modelling of variable friction sliding base isolators
O'sullivan et al. Use of DEM and elastic stability analysis to explain the influence of the intermediate principal stress on shear strength
US10648292B2 (en) Cognitive enhanced oil recovery advisor system based on digital rock simulator
KR20170012385A (ko) 승강로의 계측 방법 및 간섭 판정 시스템
KR102290561B1 (ko)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18972B1 (ko) 스케치 도면에 기초한 배관물량 견적 산출 시스템
KR102269668B1 (ko) 통합 자동 설계 시스템
Yang et al. A no-tension elastic–plastic model and optimized back-analysis technique for modeling nonlinear mechanical behavior of rock mass in tunneling
CN104471185A (zh) 用于储层压力数据分析的系统和方法
Saleh et al. Usability evaluation frameworks of mobile application: a mini-systematic literature review
US2018030669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racking of a material and associated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Monforte et al. Large-strain analysis of undrained smooth tube sampling
Strenk Evalu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for estimating seismically induced permanent deformations in slopes
Mu et al. Bayesian Learning–Based Data Analysis of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Rock: Relevance Feature Selection and Prediction Reliability Assessment
Sunny et al. Ranking and Selection of Earthquake Ground‐Motion Models Using the Stochastic Area Metric
Hara et al. Automatic risk assessment integrated with activity segmentation in the order picking process to support health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