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528B1 - Charging Apparatus for Micro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Charging Apparatus for Micro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528B1
KR102269528B1 KR1020190142432A KR20190142432A KR102269528B1 KR 102269528 B1 KR102269528 B1 KR 102269528B1 KR 1020190142432 A KR1020190142432 A KR 1020190142432A KR 20190142432 A KR20190142432 A KR 20190142432A KR 102269528 B1 KR102269528 B1 KR 102269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wheel
charging
electric vehicle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4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5979A (en
Inventor
조범동
김봉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190142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528B1/en
Publication of KR20210055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9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5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소형 전기자동차가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고,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초소형 전기자동차에 대해 무선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충전부; 및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초소형 전기자동차의 제1바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의 무선전력수신 코일에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전력전송 코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바퀴에 눌림에 따라 회전하는 제1회전기구, 상기 제1회전기구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전기구에 연결된 제2회전기구, 및 상기 제2회전기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2회전기구에 결합되고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이 결합된 전송기구를 포함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adle on which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is mounted; a wireless charging unit coupled to the cradle and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on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mounted on the cradle; and a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first wheel of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mounted on the cradle,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of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and the accommodating part A first rotation mechanism that rotates according to being pressed by the first wheel accommodated, a second rotation mechanism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to rotate together as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rotates, and a second rotation mechanism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It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coupled to the second rotating mechanism and comprising a transmission mechanism to whic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is coupled.

Description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Charging Apparatus for Micro Electric Vehicle}Charging Apparatus for Micro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for charging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running using electricity.

초소형 전기자동차, 전기 이륜차, 전기 자전거,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등(이하, '초소형 전기자동차'라 함)은 배터리와 모터를 이용하여 운행을 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 운행 후에는 배터리를 충전시켜야만 한다. 일반적인 초소형 전기자동차는 상용 전원에 충전용 어댑터의 전기 플러그를 꽂아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아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Micro electric vehicles,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electric bicycles, personal mobility,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cro electric vehicles') operate using batteries and motors, so the batteries must be charged after driv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A typical micro electric vehicle charges the battery by inserting the electric plug of the charging adapter into the commercial power source and receiving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commercial power source.

최근에는 유선 충전방식의 대안으로 플러그를 꽂지 않고도 충전 가능한 무선충전 방식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선 충전방식은 충전장치에 설치된 무선전력전송 코일과, 초소형 전기자동차에 설치된 무선전력수신 코일 간의 자기유도 또는 자기공명 현상을 이용하여 초소형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다.Rec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wireless charging method that can be charged without plugging in a plug as an alternative to a wired charging method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s a method of charging the battery of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using magnetic induction or magnetic resonance betwee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installed in a charging device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installed in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무선 충전방식은 초소형 전기자동차를 충전위치에 거치하기만 하면 충전동작이 개시되므로 유선 충전방식에 비해서 간편하고 편리하다. 하지만, 무선 충전방식이 완전히 적용이 되기 전까지는 유선 충전방식의 초소형 전기자동차와 무선 충전방식의 초소형 전기자동차가 혼재될 것이기 때문에 유선충전을 위한 충전 인프라와 무선충전을 위한 충전 인프라가 각각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s simpler and more convenient than the wired charging method because the charging operation starts when the micro electric vehicle is placed in the charging position. However, until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s fully applied, the wired charging type micro electric vehicle and the wireless charging type micro electric vehicle will be mixed, so the charging infrastructure for wired charging and the charging infrastructure for wireless charging are required respectively. There is this.

또한,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방식은 무선전력전송 코일과 무선전력수신 코일이 위치가 어긋나거나 큰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등 오정렬된 경우 충전효율과 충전속도가 저하되므로, 무선전력전송 코일과 무선전력수신 코일 간의 정렬이 충분한 충전효율과 충분한 충전속도를 얻기 위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In addition, in general, in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coil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are misaligned, such as misaligned or disposed at a large distance, the charging efficiency and charging speed are lowered, s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coil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The alignment of the liver is an important factor to obtain sufficient charging efficiency and sufficient charging speed.

그러나 초소형 전기자동차가 종류, 배기량, 디자인적인 요소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장치는 무선전력전송 코일과 무선전력수신 코일이 충분한 충전효율과 충분한 충전속도를 얻을 수 있는 정도로 정렬되도록 초소형 전기자동차가 거치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is formed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type, displacement, design element, etc.,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rrange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to such a degree that sufficient charging efficiency and sufficient charging speed are obtain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ount a micro electric vehicle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무선전력전송 코일과 무선전력수신 코일이 충분한 충전효율과 충분한 충전속도를 얻을 수 있는 정도로 정렬되도록 초소형 전기자동차를 거치하는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solves the difficulty of mounting the micro electric vehicle so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are aligned to the extent that sufficient charging efficiency and sufficient charging speed can be obtained. It is to provide a charging device for an ultra-small electric vehicle that can do thi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가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고,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초소형 전기자동차에 대해 무선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충전부; 및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초소형 전기자동차의 제1바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의 무선전력수신 코일에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전력전송 코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바퀴에 눌림에 따라 회전하는 제1회전기구, 상기 제1회전기구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전기구에 연결된 제2회전기구, 및 상기 제2회전기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2회전기구에 결합되고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이 결합된 전송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A charging device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on which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is mounted; a wireless charging unit coupled to the cradle and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on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mounted on the cradle; and a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first wheel of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mounted on the cradle.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of the micro electric vehicle, a first rotating mechanism that rotates according to being pressed by the first wheel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and the first rotating mechanism. A second rotation mechanism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to rotate together as it rotates, and a transmission mechanism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to rotate with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is coupled. have.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기구는 상기 제1회전기구가 상기 제1바퀴에 눌려서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전송기구가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이 결합된 수신기구에 접촉되도록 상기 전송기구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전송기구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가 주행하는 주행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제1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충전홈, 및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길이에 비해 더 짧은 제2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2충전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충전홈은 상기 수신기구가 삽입되는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충전홈에 비해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충전홈에는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수신기구의 길이에 따라 상기 수신기구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In the charging device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otating mechanism rotates together as the first rotating mechanism is rotated by being pressed by the first wheel, and the transmitting mechanism receives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coupled thereto. The transmission mechanism may be raised to contact the mechanism. The transmission mechanism includes a first charging groove formed to have a first length based on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running direction in which the micro electric vehicle travels, and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length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It may include a second charging groove formed to have a second length. The second charging groove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in which a distance spaced apart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is shorter than that of the first charging groove based on an insertion direction in which the receiver device is inserted. The receiver device may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econd charging groov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receiver device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가 주행하는 주행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제1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1수용홈, 및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폭에 비해 더 짧은 제2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2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홈은 상기 제1바퀴가 삽입되는 수용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수용홈에 비해 더 깊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홈에는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바퀴의 폭에 따라 상기 제1바퀴가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구는 상기 제1바퀴가 상기 제1수용홈에 수용된 경우보다 상기 제1바퀴가 상기 제2수용홈에 수용된 경우에 더 큰 회전각도로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기구는 상기 제1회전기구가 상기 제1바퀴에 눌려서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전송기구가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이 결합된 수신기구에 접촉되도록 상기 전송기구를 상승시키되, 상기 제1회전기구가 회전한 회전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전송기구를 상승시키는 거리가 증가하도록 상기 제1회전기구에 연결될 수 있다.In the charging device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groove formed to have a first width with respect to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traveling direction in which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travels, and the width direction. It may include a second accommodating groove formed to have a second width shorter than the first width based on the .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deeper than that of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based on a receiving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wheel is inserted. The first wheel may be se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according to a width of the first wheel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may be arranged to rotate at a larger rotation angle when the first wheel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groove than when the first wheel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groove.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raises the transmission mechanism so that the transmission mechanism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ceiver mechanism to which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is coupled while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rotates as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is pressed by the first wheel and rotates. I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so that a distance for raising the transmission mechanism increases as the rotation angle at which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is rotated increases.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초소형 전기자동차가 거치를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초소형 전기자동차의 중량을 이용하여 무선전력전송코일과 무선전력수신 코일 간의 이격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소형 전기자동차가 거치를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무선전력전송코일과 무선전력수신 코일 간의 정렬이 이루어지므로, 무선전력전송코일과 무선전력수신 코일을 정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reduc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by using the weight of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for mounting.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lignment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coil is mad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icro electric vehicle for mounting, the ease of align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coil can be improved. can

본 발명은 다양한 초소형 전기자동차에 대해 무선전력전송 코일과 무선전력수신 코일을 정렬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다양한 초소형 전기자동차에 대해 충분한 충전효율과 충분한 충전속도로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alig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for various micro electric vehicles, thereby improving the versatility of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with sufficient charging efficiency and sufficient charging speed for various micro electric vehicles. can do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의 개념적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확대도
도 5 내지 도 9는 도 3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는 전송기구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제2회전기구, 전송기구, 및 유연기구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수용부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거치부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harging device for an ultra-small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device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side view of a charging device for an ultra-small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3
5 to 9 are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s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taken along line II of FIG.
10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econd rotating mechanism, a transmission mechanism, and a flexible mechanism in the charging device for an ultra-small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4 are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s of a receiving part in the charging device for an ultra-small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harging device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part of a cradle in the charging device for an ultra-small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harging device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초소형 전기자동차, 전기 이륜차, 전기 자전거, 퍼스널 모빌리티 등과 같이 배터리와 모터를 이용하여 운행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를 충전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1 and 2,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operating using a battery and a motor, such as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n electric bicycle, and personal mobility. ) is used to charge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를 설명하기에 앞서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Before describing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는 전기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것이다.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는 운전자가 탑승하기 위한 본체(110), 상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바퀴(120), 및 상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바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퀴(120)와 상기 제2바퀴(1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본체(110)는 주행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제1바퀴(120)가 앞바퀴에 해당함과 아울러 상기 제2바퀴(130)가 뒷바퀴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바퀴(120)가 뒷바퀴에 해당함과 아울러 상기 제2바퀴(130)가 앞바퀴에 해당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바퀴(120)가 뒷바퀴에 해당함과 아울러 상기 제2바퀴(130)가 앞바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바퀴(120)가 앞바퀴에 해당함과 아울러 상기 제2바퀴(130)가 뒷바퀴에 해당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로부터 상기 제1바퀴(120)가 뒷바퀴에 해당함과 아울러 상기 제2바퀴(130)가 앞바퀴에 해당하는 경우의 적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가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is driven using electricity.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for a driver to ride, a first wheel 120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110 , and a second rotatably coupled body 110 . It may include a wheel 130 . As the first wheel 120 and the second wheel 130 rotate, the main body 110 may travel in a traveling direction. In FIG. 2 , the first wheel 120 corresponds to the front wheel and the second wheel 130 corresponds to the rear whee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wheel 120 corresponds to the rear wheel. The second wheel 130 may correspond to the front wheel. When the first wheel 120 corresponds to the rear wheel and the second wheel 130 corresponds to the front wheel,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may be moun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shown in FIG. 2 . 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basis that the first wheel 120 corresponds to the front wheel and the second wheel 130 corresponds to the rear wheel. From this, the application of the case where the first wheel 120 corresponds to the rear wheel and the second wheel 130 corresponds to the front wheel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는 배터리(140), 무선충전수신 코일(150), 및 수신기구(1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may include a battery 140 , a wireless charging and receiving coil 150 , and a receiver unit 160 .

상기 배터리(140)는 전기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140)에 저장된 전기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주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battery 140 stores electricity. The electricity stored in the battery 140 may be used to drive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

상기 무선충전수신 코일(150)은 무선충전에 이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가 상기 무선충전수신 코일(150)에 전력을 전송하면, 상기 무선충전수신 코일(150)은 수신된 전력으로 상기 배터리(140)를 충전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coil 150 is used for wireless charging. When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power to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coil 150,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coil 150 can charge the battery 140 with the received power. have.

상기 수신기구(160)는 상기 무선충전수신 코일(150)을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무선충전수신 코일(150)은 상기 수신기구(16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신기구(1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신기구(160)는 상기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신기구(160)는 상기 본체(110)의 하부(下部)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본체(110)의 하부 외에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수신기구(160)가 상기 본체(110)의 일부에 해당할 수도 있다.The receiver unit 160 protects the wireless charging and receiving coil 150 . The wireless charging receiving coil 150 may be coupled to the receiver unit 160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receiver unit 160 . The receiver unit 16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 The receiver unit 16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upled to a position other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 The receiver unit 160 may correspond to a part of the main body 110 .

이러한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를 충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거치되는 거치부(2),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에 대해 무선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충전부(3), 및 상기 거치부(2)에 거치된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의 제1바퀴(120)를 수용하는 수용부(4)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charge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2 on which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is mounted, and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It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3 for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and an accommodating unit 4 for accommodating the first wheel 120 of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2 .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거치부(2)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거치되는 것이다.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상기 거치부(2)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에 대한 무선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는 상기 거치부(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진입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거치부(2)에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는 운전자에 의해 상기 진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의 전부가 상기 거치부(2)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거치부(2)에 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의 일부가 상기 거치부(2)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거치부(2)에 거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cradle 2 is for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to be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is mounted on the cradle 2 , wireless charging of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may be performed.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2 by moving in the entry direction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unit 2 . In this case,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may be moved in the entry direction by the driver. The entirety of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2 in a state in which 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unit 2 . Although not shown, a part of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may be mounted on the holder 2 in a state where 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der 2 .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무선충전부(3)는 상기 거치부(2)에 거치된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에 대해 무선충전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무선충전부(3)는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부(3)는 무선전력전송 코일(31), 제1회전기구(32), 제2회전기구(33), 및 전송기구(34)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 the wireless charging unit 3 performs wireless charging for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2 . The wireless charging unit 3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unit 2 . The wireless charging unit 3 may includ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 a first rotation mechanism 32 , a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 and a transmission mechanism 34 .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은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에 전력을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은 전원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은 상기 전송기구(34)에 결합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transmits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coil 150 .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ource (not shown), and may transmit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coil 150 .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may be coupled to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

상기 제1회전기구(32)는 상기 거치부(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상기 진입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수용부(4)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회전기구(32)는 상기 제1바퀴(120)에 눌림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구(32)는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구(32)에는 답판(32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수용부(4)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답판(321)은 상기 제1바퀴(120)에 직접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바퀴(120)에 눌릴 수 있다. 상기 답판(321)이 상기 제1바퀴(120)에 눌림에 따라, 상기 제1회전기구(32)는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구(32)는 상기 거치부(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mechanism 3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2 . In the process in which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is moved in the entry direction and the first wheel 12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 , the first rotating mechanism 32 is the first wheel 120 . It can rotate when pressed.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may rotate about a rotation shaft 32a. A step plate 32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irst wheel 12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 , the step plate 321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wheel 120 , thereby being pressed against the first wheel 120 . . As the step plate 321 is pressed by the first wheel 120 ,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may rotate about the rotation shaft 32a.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may be disposed inside the mounting part 2 .

상기 제2회전기구(33)는 상기 거치부(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회전기구(33)는 상기 제1회전기구(32)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전기구(3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기구(33)와 상기 제1회전기구(32)는 각각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회전기구(33)와 상기 제1회전기구(32)는 상기 회전축(32a)을 구현하는 샤프트(Shaft)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기구(33)와 상기 제1회전기구(32)는 상기 회전축(32a)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기구(33)는 상기 거치부(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2 .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so as to rotate together as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rotates.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and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may rotate about the rotation shaft 32a,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and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are coupled to a shaft implementing the rotation shaft 32a,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to rotate together around the rotation shaft 32a. have.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and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may be arranged to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32a.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may be disposed inside the mounting portion 2 .

상기 전송기구(34)는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을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은 상기 전송기구(3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송기구(3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송기구(34)는 상기 제2회전기구(3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회전기구(33)는 일측이 상기 회전축(32)을 구현하는 샤프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송기구(34)는 상기 제2회전기구(33)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4)에 수용되는 제1바퀴(120)가 상기 제1회전기구(32)를 누름에 따라 상기 제1회전기구(32)가 회전하면, 상기 제2회전기구(33)는 상기 제1회전기구(32)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전송기구(34)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기구(33)에 의해 상승한 상기 전송기구(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2)의 외부로 돌출되어서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의 수신기구(160)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전송기구(34), 상기 제2회전기구(33), 및 상기 제1회전기구(32)는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이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에 전력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에 대한 무선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protect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may be coupled to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 In this case, one side of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may be coupled to a shaft implementing the rotation shaft 32 .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may b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 Accordingly, when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rotates as the first wheel 12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 presses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may raise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while rotating together as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rotates. As shown in FIG. 4 ,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raised by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mounting part 2 to receive the receiver mechanism 160 of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 can be in contact with In this case, when referring to FIG. 4 ,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 and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shaft 32a. can rotate Thereafte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transmits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coil 150 , so that wireless charging of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may be per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상기 거치부(2)에 거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의 중량을 이용하여 상기 전송기구(34)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31)과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 간의 이격거리를 감소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상기 거치부(2)에 거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31)과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 간의 정렬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31)과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을 정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transmission using the weight of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while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2 . By elevating the mechanism 34 , it may be implemented to reduc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coil 150 . Accordingly, in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 Since the alignment between 150) is made, the easiness of the operation of align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coil 150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를 상기 거치부(2)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수용부(4)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회전기구(32)를 누르는 힘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회전기구(32)는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회전기구(33)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송기구(34)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전송기구(34), 상기 제2회전기구(33), 및 상기 제1회전기구(32)는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전송기구(34)가 하강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기구(33)와 상기 전송기구(34)는 상기 거치부(2)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를 상기 거치부(2)로부터 이탈시키는데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상기 거치부(2)에 거치되기 이전에도, 상기 제2회전기구(33)와 상기 전송기구(34)는 상기 거치부(2)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를 상기 거치부(2)에 거치시키는데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31)과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을 정렬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를 상기 거치부(2)에 거치시키는 거치작업과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를 상기 거치부(2)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기구(33)와 상기 전송기구(34)가 상기 거치부(2)의 내부와 상기 거치부(2)의 외부 간에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2)에는 통과공(20, 도 4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공(20)은 상기 거치부(2)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is detached from the cradle 2 ,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is rotated as the first wheel 120 moves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part 4 . The pressing force is reduced. Accordingly,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may lower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by rotating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while rotating about the rotation shaft 32a. In this case, when referring to FIG. 3 ,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 and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rotate clockwise about the rotation shaft 32a. can do. As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descends, as shown in FIG. 3 ,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and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are disposed inside the mounting part 2 , so that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separation from the mounting portion (2). In addition, even before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is mounted on the cradle 2 ,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and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are disposed inside the cradle 2 , so that the I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mounting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on the mounting unit 2 . Therefore,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asiness of align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150, while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mounting operation of mounting the 100 to the cradle 2 and the detachment operation of disengaging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from the cradle 2 can be smoothly performed. In order for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and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to move between the inside of the mounting part 2 and the outside of the mounting part 2, the mounting part 2 has a through hole 20, 4) may be formed. The through hole 2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2 .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무선충전부(3)는 탄성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구(32)가 상기 제1바퀴(120)에 눌려지지 않는 경우, 상기 탄성기구는 상기 제2회전기구(33)와 상기 전송기구(34)가 상기 거치부(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회전기구(32)와 상기 제2회전기구(33)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탄성적으로 당길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전기구(32)가 상기 제1바퀴(120)에 눌림에 따라 상기 제1회전기구(32)와 상기 제2회전기구(33)가 회전하면, 상기 탄성기구는 인장되면서 복원력을 갖출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1회전기구(32)가 상기 제1바퀴(120)에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탄성기구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회전기구(32)와 상기 제2회전기구(33)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당김으로써, 상기 제1회전기구(32)와 상기 제2회전기구(33)를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회전기구(33)와 상기 전송기구(34)는 상기 거치부(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기구는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wireless charging unit 3 may include an elastic mechanism. When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is not pressed by the first wheel 120 , the elastic mechanism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and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are located inside the holder 2 . At least one of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and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may be elastically pulled to be located in the . In this case, when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and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rotate as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is pressed by the first wheel 120 , the elastic mechanism is tensioned and can have resilience. After that, if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is not pressed by the first wheel 120 , the elastic mechanism uses a restoring force between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and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 By pulling at least one,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and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can be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32a. Accordingly,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and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may be located inside the mounting portion (2). The elastic mechanism may be a spring (Spring).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수용부(4)는 상기 제1바퀴(120)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용부(4)는 상기 거치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부(4)는 상기 거치부(2)에 대해 전방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4)와 상기 거치부(2)는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1 to 4 , the accommodating part 4 is for accommodating the first wheel 120 . The receiving part 4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part 2 . Based on the entry direction, the accommodating part 4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art 2 . The accommodating part 4 and the mounting part 2 may be implemented integrally.

상기 수용부(4)는 제1수용홈(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퀴(120)는 상기 제1수용홈(4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수용부(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홈(41)은 상기 수용부(4)의 상면을 개방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바퀴(120)는 상기 제1수용홈(41)을 통해 상기 수용부(4)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수용부(4)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4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 The first wheel 1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may be formed to open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4 . Accordingly, the first wheel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4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part 4 .

상기 수용부(4)의 내부에는 상기 제1회전기구(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구(32)는 상기 제1수용홈(41)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제1수용홈(4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회전기구(32)는 상기 제1바퀴(120)에 눌림에 따라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회전기구(32)는 상기 제2회전기구(33)에 대해 전방 쪽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mechanism 32 may be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part 4 . The first rotating mechanism 32 may be rotatably disposed with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 Accordingly, while the first wheel 1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 the first rotating mechanism 32 rotates the rotating shaft 32a as the first wheel 120 is pressed. can be rotated around the center. Based on the entry direction,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

여기서,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는 종류, 배기량, 디자인적인 요소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신기구(160) 또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된 수신기구(160)에 대해 충분한 충전효율과 충분한 충전속도를 얻을 수 있는 정도로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과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을 정렬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since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type, displacement, design factors, etc., the receiver unit 160 may also be formed in various sizes. In this case, the charging device 1 for an ultra-small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to the extent that sufficient charging efficiency and sufficient charging speed can be obtained for the receiver units 160 formed in various sizes. It may be implemented to alig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150 . Looking at this in detail, it is as follows.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전송기구(34)는 제1충전홈(341) 및 제2충전홈(342)을 포함할 수 있다.1 to 10 ,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may include a first charging groove 341 and a second charging groove 342 .

상기 제1충전홈(341)은 상기 전송기구(34)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충전홈(341)은 상기 전송기구(34)의 일면에서 일정 깊이로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상기 전송기구(34)의 일면은 상기 거치부(2)에 거치된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의 수신기구(160)를 향하는 면(面)이다. 상기 제1충전홈(341)은 상기 전송기구(34)의 일면을 개방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회전기구(31)가 상기 제1바퀴(120)에 눌림에 따라 상기 전송기구(34)가 상승하면, 상기 제1충전홈(341)에는 상기 수신기구(16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충전홈(341)은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제1길이(341L, 도 5에 도시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은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주행하는 주행방향(DD축 방향, 도 3에 도시됨)에 대해 수직한 축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is formed in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may be a groov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one surface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 One surface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is a surface facing the receiver mechanism 160 of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mounted on the cradle 2 .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may be formed to open one surface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 Accordingly, when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rises as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1 is pressed by the first wheel 120 , the receiver mechanism 16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 can be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may be formed to have a first length 341L (shown in FIG. 5 )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may be an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riving direction (DD axis direction, shown in FIG. 3 ) in which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travels.

상기 제2충전홈(342)은 상기 전송기구(34)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2충전홈(342)은 상기 전송기구(34)의 일면에서 일정 깊이로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상기 제2충전홈(342)은 상기 제1충전홈(341)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충전홈(342)과 상기 제1충전홈(341)은 상기 전송기구(34)의 일면을 개방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송기구(34)는 전체적으로 디귿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구(31)가 상기 제1바퀴(120)에 눌림에 따라 상기 전송기구(34)가 상승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충전홈(341)은 상기 제2충전홈(34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충전홈(342)은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제2길이(342L, 도 5에 도시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길이(342L)는 상기 제1길이(341L)에 비해 더 짧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충전홈(342)은 상기 제1충전홈(341)에 비해 더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is formed in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may be a groov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one surface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 Accordingly,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and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may be formed to open one surface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may be formed as a whole in the shape of a digit.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rises as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1 is pressed by the first wheel 120 ,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is the second charging groove ( 34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may be formed to have a second length 342L (shown in FIG. 5 )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The second length 342L may be shorter than the first length 341L. Therefore,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may be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at of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

상기 제2충전홈(342)에는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수신기구(160)의 길이(160L, 도 5에 도시됨)에 따라 상기 수신기구(160)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신기구(160)의 길이(160L)가 상기 제1길이(341L) 이하이면서 상기 제2길이(342L) 초과인 경우, 상기 수신기구(160)는 상기 제2충전홈(342)에 삽입되지 못하고 상기 제1충전홈(341)에만 삽입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신기구(160)의 길이(160L)가 상기 제2길이(342L) 이하인 경우, 상기 수신기구(160)는 상기 제1충전홈(341)과 상기 제2충전홈(342) 모두에 삽입될 수 있다. The receiver unit 160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according to the length (160L, shown in FIG. 5) of the receiver unit 160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can be 5 and 6, the length 160L of the receiver unit 16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length 341L and the second length 342L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the WD arrow direction). If it exceeds, the receiver unit 160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and may be inserted only into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 As shown in FIGS. 5 and 7 , when the length 160L of the receiver unit 16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length 342L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WD arrow), the receiver unit 160 may be inserted into both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and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

한편, 상기 수신기구(160)가 상기 전송기구(34)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충전홈(342)은 상기 제1충전홈(341)에 비해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신기구(160)가 상기 제1충전홈(341)에만 삽입된 경우에 비해 상기 제1충전홈(341)과 상기 제2충전홈(342) 모두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과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 간의 이격거리가 더 짧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된 수신기구(160)에 대해 충분한 충전효율과 충분한 충전속도를 얻을 수 있는 정도로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과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을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구(160)의 크기가 작을수록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과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 간의 이격거리를 감소시켜야 충분한 충전효율과 충분한 충전속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 which the receiver mechanism 160 is inserted into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is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compar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 31) may be arranged at a shorter distance away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hen the receiver unit 160 is inserted into both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and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compared to the case where only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is inserte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oil 31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150 may be implemented to be shorter. Accordingly,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obtaining sufficient charging efficiency and sufficient charging speed for the receiving mechanism 160 formed in various sizes. The power receiving coil 150 may be aligned. Since the siz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150 becomes smaller as the size of the receiver unit 160 is smaller,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15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coil 31 must be reduced to ensure sufficient charging. This is because efficiency and sufficient charging speed can be obtained.

상기 전송기구(34)는 제1지지부재(343) 및 제2지지부재(3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mber 343 and a second support member 344 .

상기 제1지지부재(343)는 상기 제1충전홈(341)에 삽입된 수신기구(16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신기구(160)의 길이(160L)가 상기 제1길이(341L) 이하이면서 상기 제2길이(342L) 초과인 경우, 상기 수신기구(160)는 상기 제2충전홈(342)에 삽입되지 못하고 상기 제1충전홈(341)에만 삽입되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343)에 지지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343 supports the receiver unit 160 inserted into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 When the length 160L of the receiver unit 16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length 341L and greater than the second length 342L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WD arrow), the receiver unit 160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 but only inserted into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to be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343 .

상기 제1지지부재(343)는 제1지지면(3431) 및 제1제한면(34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member 343 may include a first support surface 3431 and a first limiting surface 3432 .

상기 제1지지면(3431)은 상기 제1충전홈(341)에 삽입된 수신기구(160)의 대향면(160a, 도 5에 도시됨)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대향면(160a)은 상기 전송기구(34) 쪽을 향하는 상기 수신기구(160)의 면(面)이다.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신기구(160)의 길이(160L)가 상기 제1길이(341L) 이하이면서 상기 제2길이(342L) 초과인 경우, 상기 제1지지면(3431)은 상기 대향면(160a)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수신기구(160)가 상기 전송기구(34)에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송기구(34)가 상승하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surface 3431 supports the opposite surface 160a (shown in FIG. 5 ) of the receiver unit 160 inserted into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 The opposing surface 160a is a surface of the receiver unit 160 facing toward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 When the length 160L of the receiver unit 16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length 341L and greater than the second length 342L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D arrow direction), the first support surface ( 3431 may limit the degree to which the receiver unit 160 is inserted into the transmission unit 34 by supporting the opposing surface 160a. Accordingly, the distance at which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rises may be limited.

상기 제1제한면(3432)은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충전홈(341)의 양측에 배치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제한면(3432)은 상기 제1충전홈(341)에 삽입된 수신기구(160)가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수신기구(160)가 상기 제1충전홈(341)에 삽입된 상태로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진동, 흔들림 등이 발생함으로 인해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과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 간이 정렬이 어긋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에 대한 무선충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limiting surface 3432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limiting surface 3432 may limit the movable distance of the receiver unit 160 inserted into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i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Accordingly, in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wireless charging is performed with the receiver unit 160 inserted in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the width direction (WD arrow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gree of misalignment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coil 31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150 due to vibration, shaking, etc. occurring based on the . Accordingly,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wireless charging for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

상기 제2지지부재(344)는 상기 제2충전홈(342)에 삽입된 수신기구(16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신기구(160)의 길이(160L)가 상기 제2길이(342L) 이하인 경우, 상기 수신기구(160)는 상기 제2충전홈(342)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344)에 지지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344 supports the receiver unit 160 inserted into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 When the length 160L of the receiver unit 16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length 342L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WD arrow), the receiver unit 160 is disposed in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 It may be inserted and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member 344 .

상기 제2지지부재(344)는 제2지지면(3441) 및 제2제한면(344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member 344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surface 3441 and a second limiting surface 3442 .

상기 제2지지면(3441)은 상기 제2충전홈(342)에 삽입된 수신기구(160)의 대향면(160a)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신기구(160)의 길이(160L)가 상기 제2길이(342L) 이하인 경우, 상기 제2지지면(3441)은 상기 대향면(160a)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수신기구(160)가 상기 전송기구(34)에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송기구(34)가 상승하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surface 3441 supports the opposite surface 160a of the receiver unit 160 inserted into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 When the length 160L of the receiver unit 16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length 342L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WD arrow), the second support surface 3441 is the opposite surface 160a. By supporting it, it is possible to limit the degree to which the receiver unit 160 is inserted into the transmission unit 34 . Accordingly, the distance at which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rises may be limited.

상기 제2제한면(3442)은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충전홈(342)의 양측에 배치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제한면(3442)은 상기 제2충전홈(342)에 삽입된 수신기구(160)가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수신기구(160)가 상기 제2충전홈(3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의 무선충전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limiting surface 3442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i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limiting surface 3442 may limit the movable distance of the receiver unit 160 inserted into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i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harging of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receiver unit 16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 Stability can be improved.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2제한면(3442)과 상기 제1지지면(3431)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제한면(3442)과 상기 제1지지면(3431)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 343a)은, 직각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송기구(34)는 계단 형태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second limiting surface 3442 and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343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included angle 343a between the second limiting surface 3442 and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3431 may be implemented to form a right angle.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may be implemented in a stepped structure.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제한면(3442)과 상기 제1지지면(3431)의 끼인각(343a)은 둔각(Abtuse Angle)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끼인각(343a)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게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제한면(3432)은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1충전홈(341)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제한면(3442)은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2충전홈(342)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included angle 343a between the second limiting surface 3442 and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3431 may be implemented to form an obtuse angle. That is, the included angle 343a may be implemented to be greater than 90 degrees and smaller than 180 degrees. In this case, the first limiting surface 3432 may be inclined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decreases as it extends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second limiting surface 3442 may be inclined so that the size of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decreases as it extends in the insertion direction.

이에 따라,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신기구(160)의 길이(160L)가 상기 제1길이(341L) 이하이면서 상기 제2길이(342L) 초과인 경우, 상기 수신기구(160)는 상기 제1충전홈(34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제한면(3432)이 갖는 경사를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신기구(160)의 길이(160L)가 상기 제2길이(342L) 이하인 경우, 상기 수신기구(160)는 상기 제2충전홈(34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제한면(3442)이 갖는 경사를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length 160L of the receiver unit 16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length 341L and greater than the second length 342L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WD arrow), the receiver mechanism Position 160 may be aligned by being guided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limiting surface 3432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 . In addition, when the length 160L of the receiver unit 16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length 342L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WD arrow), the receiver unit 160 is disposed in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 ), the position may be aligned by being guided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limiting surface 3442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된 수신기구(160)에 대해 충분한 충전효율과 충분한 충전속도를 얻을 수 있는 정도로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과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을 정렬하는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to the extent that sufficient charging efficiency and sufficient charging speed can be obtained for the receiver unit 160 formed in various siz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operation of align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150).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상기 전송기구(34)가 2개의 충전홈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송기구(34)는 3개 이상의 충전홈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방향 쪽에 배치된 충전홈일수록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된 수신기구(160)에 대해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5 to 8,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wo charging groov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three or more charging grooves. In this case, the filling groove dispos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may be formed in a smaller size. Therefore,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versatility of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for the receiver unit 160 formed in various sizes.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2제한면(3442)은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2충전홈(342)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제한면(3432)은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1충전홈(341)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제한면(3442)과 상기 제1제한면(3432)은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제한면(3442)과 상기 제1제한면(3432)은 하나의 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충전홈(342)과 상기 제1충전홈(341)은 깔대기 형태의 구조로 구현된 하나의 충전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면(3431, 도 8에 도시됨)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second limiting surface 3442 may be inclined so that the size of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decreases as it extends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first limiting surface 3432 may be inclined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decreases as it extends in the insertion direction. In this case, the second limiting surface 3442 and the first limiting surface 3432 may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the second limiting surface 3442 and the first limiting surface 3432 may form one inclined surface. Accordingly,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and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may be implemented as one charging groove implemented in a funnel-shaped structure.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surface 3431 (shown in FIG. 8 ) may be omitted.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무선충전부(3)는 유연기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연기구(35)는 상기 제2회전기구(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기구(33)는 상기 유연기구(35)를 기준으로 하여 2개의 부분으로 구현되고, 2개의 부분이 상기 유연기구(35)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유연기구(35)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2회전기구(33)는 상기 전송기구(34)와 상기 수신기구(160)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서 접촉되도록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유연기구(35)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과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에 대한 충전효율과 충전속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연기구(35)는 금속 자바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wireless charging unit 3 may include a flexible mechanism 35 . The flexible mechanism 35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may be implemented with two parts based on the flexible mechanism 35 , and the two parts may be implemented by being coupled through the flexible mechanism 35 . By providing the flexible mechanism 35,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can be bent so that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and the receiver mechanism 160 ar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contacted. Therefore, in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coil 31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150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using the flexible mechanism 35. Wireless charging may be implemented. Accordingly,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charging efficiency and charging speed of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 The flexible mechanism 35 may be formed of a metal bellows or the like.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무선충전부(3)는 미끄럼방지패드(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36)는 상기 전송기구(3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36)는 상기 수신기구(160)를 향하는 상기 전송기구(34)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36)는 상기 전송기구(34)와 상기 수신기구(160)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럼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안정적인 충전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36)는 상기 전송기구(34)의 일면에 비해 더 큰 마찰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끄럼방지패드(36)는 마찰력이 큰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미끄럼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끄럼방지패드(36)는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미끄럼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36)는 상기 전송기구(34)의 일부분에만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미끄럼방지패드(36)는 상기 제1지지면(3431)과 상기 제2지지면(3441)에만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wireless charging unit 3 may include a non-slip pad 36 . The non-slip pad 36 may be coupled to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 The anti-skid pad 36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facing the receiver unit 160 . The non-slip pad 36 may prevent slippage or the like from occurring while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and the receiver mechanism 16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table charging environment. The anti-slip pad 36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frictional force than one surface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 For example, the anti-slip pad 36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arge frictional force, thereby implementing an anti-slip function. For example, the anti-slip pad 36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thereby implementing an anti-slip function. The anti-skid pad 36 may be coupled to only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 For example, the non-slip pad 36 may be coupled only to the first support surface 3431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3441 .

여기서,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는 종류, 배기량, 디자인적인 요소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바퀴(120) 또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바퀴(120)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충분한 충전효율과 충분한 충전속도를 얻을 수 있는 정도로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과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을 정렬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since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type, displacement, design factors, etc., the first wheel 120 may also be formed in various sizes. In this way, even if the first wheel 120 is formed in various sizes,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to the extent that sufficient charging efficiency and sufficient charging speed can be obtained.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150 may be implemented to be aligned. Looking at this in detail, it is as follows.

도 1 내지 도 4, 도 11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수용부(4)는 제1수용홈(41) 및 제2수용홈(42)을 포함할 수 있다.1 to 4 and 11 to 15 , the accommodating part 4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and a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2 .

상기 제1수용홈(41)은 상기 수용부(4)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수용홈(41)은 상기 수용부(4)의 상면에서 일정 깊이로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상기 제1수용홈(41)은 상기 수용부(4)의 상면을 개방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상기 진입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제1수용홈(41)에 도달하면, 상기 제1바퀴(120)는 상기 제1수용홈(4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회전기구(31)를 누를 수 있다. 상기 제1수용홈(41)은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제1폭(41H, 도 11에 도시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is form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 .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may be a groov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4 .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may be formed to open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4 . Accordingly, when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moves in the entry direction and the first wheel 120 reaches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 the first wheel 120 moves in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By being inserted into (41), the first rotating mechanism (31) can be pressed.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may be formed to have a first width 41H (shown in FIG. 11 )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상기 제2수용홈(42)은 상기 수용부(4)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2수용홈(42)은 상기 수용부(4)의 상면에서 일정 깊이로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상기 제2수용홈(42)은 상기 제1수용홈(41)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수용홈(42)과 상기 제1수용홈(41)은 상기 수용부(4)의 상면을 개방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수용부(4)에 삽입되는 수용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수용홈(42)은 상기 제1수용홈(4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홈(42)은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제2폭(42H, 도 11에 도시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폭(42H)은 상기 제1폭(41H)에 비해 더 짧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수용홈(42)은 상기 제1수용홈(41)에 비해 더 짧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2 is form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 .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2 may be a groov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4 .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2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 Accordingly,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2 and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may be formed to open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4 . Based on the receiving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wheel 1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4 ,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2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2 may be formed to have a second width 42H (shown in FIG. 11 )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The second width 42H may be implemented to be shorter than the first width 41H. Accordingly,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2 may be formed to have a shorter width than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상기 제2수용홈(42)에는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바퀴(120)의 폭(120H, 도 11에 도시됨)에 따라 상기 제1바퀴(120)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바퀴(120)의 폭(120H)이 상기 제1폭(41H) 이하이면서 상기 제2폭(42H) 초과인 경우, 상기 제1바퀴(120)는 상기 제2수용홈(42)에 삽입되지 못하고 상기 제1수용홈(41)에만 삽입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바퀴(120)의 폭(120H)이 상기 제2폭(42H) 이하인 경우, 상기 제1바퀴(120)는 상기 제1수용홈(41)과 상기 제2수용홈(42) 모두에 삽입될 수 있다.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2 , the first wheel 120 is selectiv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width (120H, shown in FIG. 11 ) of the first wheel 120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can be inserted into 11 and 12 , the width 120H of the first wheel 12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width 41H and the second width 42H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WD arrow). ), the first wheel 120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2 , but may be inserted only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 11 and 13, when the width 120H of the first wheel 12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width 42H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the WD arrow direction), the first wheel ( 120 may be inserted into both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2 .

한편,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수용부(4)에 삽입되는 수용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수용홈(42)은 상기 제1수용홈(4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제1수용홈(41)에만 수용된 경우에 비해 상기 제1수용홈(41)과 상기 제2수용홈(42) 모두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제1회전기구(32)가 더 큰 회전각도로 회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구(32)의 회전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전송기구(34)를 상승시키는 거리가 증가하므로, 상기 전송기구(34)가 더 높은 높이로 상승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바퀴(120)가 다양한 폭(120H)으로 형성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충분한 충전효율과 충분한 충전속도를 얻을 수 있는 정도로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과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을 정렬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퀴(120)의 폭(120H)이 작을수록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의 크기 또한 작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전송기구(34)를 더 높은 높이로 상승시켜야만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과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 간의 이격거리를 감소시켜서 충분한 충전효율과 충분한 충전속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제2수용홈(42)에 수용된 경우, 상기 수신기구(160)는 상기 제2충전홈(342, 도 7에 도시됨)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제1수용홈(41)에만 수용된 경우, 상기 수신기구(160)는 상기 제1충전홈(341, 도 6에 도시됨)에 삽입될 수 있다.Meanwhile, based on the receiving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wheel 1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4 ,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2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 . Accordingly, when the first wheel 120 is accommodated in both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2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first wheel 120 is accommodated only in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 the first The rotating mechanism 32 may be implemented to rotate at a larger rotation angle. As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32 increases, the distance for raising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increases, so that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can be implemented to rise to a higher height. Therefore, even if the first wheel 120 is formed in various widths 120H,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to such an extent that sufficient charging efficiency and sufficient charging speed can be obtained. (31)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150 may be implemented so as to be aligned. The smaller the width 120H of the first wheel 120 is, the smaller the siz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150 is. Therefor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must be raised to a higher height by the transmitting mechanism 34. This is because, by reduc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15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sufficient charging efficiency and sufficient charging speed can be obtain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wheel 12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2 , the receiver 16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harging groove 342 (shown in FIG. 7 ). For example, when the first wheel 120 is accommodated only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 the receiver unit 16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charging groove 341 (shown in FIG. 6 ).

상기 수용부(4)는 제1수용부재(43) 및 제2수용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4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member 43 and a second accommodating member 44 .

상기 제1수용부재(43)는 상기 제1수용홈(41)에 삽입된 제1바퀴(12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바퀴(120)의 폭(120H)이 상기 제1폭(41H) 이하이면서 상기 제2폭(42H) 초과인 경우, 상기 제1바퀴(120)는 상기 제2수용홈(42)에 삽입되지 못하고 상기 제1수용홈(41)에만 삽입되어서 상기 제1수용부재(43)에 지지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43 supports the first wheel 120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 When the width 120H of the first wheel 120 is less than the first width 41H and greater than the second width 42H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D arrow direction), the first wheel ( 120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2 , but may be inserted only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to be supported by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43 .

상기 제1수용부재(43)는 제1수용면(431) 및 제1정렬면(4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43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surface 431 and a first alignment surface 432 .

상기 제1수용면(431)은 상기 제1수용홈(41)에 삽입된 제1바퀴(120)의 하측에서 상기 제1바퀴(12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바퀴(120)의 폭(120H)이 상기 제1폭(41H) 이하이면서 상기 제2폭(42H) 초과인 경우, 상기 제1수용면(431)은 상기 제1바퀴(1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수용부(4)에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송기구(34)가 상승하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The first receiving surface 431 supports the first wheel 120 under the first wheel 120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 When the width 120H of the first wheel 120 is less than the first width 41H and greater than the second width 42H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D arrow direction), the first receiving surface Reference numeral 431 supports the first wheel 120 to limit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wheel 12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4 . Accordingly, the distance at which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rises may be limited.

상기 제1정렬면(432)은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수용홈(41)의 양측에 배치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정렬면(432)은 상기 제1수용홈(41)에 삽입된 제1바퀴(120)가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제1수용홈(41)에 삽입된 상태로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진동, 흔들림 등이 발생함으로 인해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과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 간이 정렬이 어긋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에 대한 무선충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alignment surface 432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alignment surface 432 may limit a movable distance of the first wheel 120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i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Accordingly, in the charging device 1 for an ultra-small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wireless charg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wheel 1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the width direction (WD arrow direction)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gree of misalignment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coil 150 due to the occurrence of vibration, shaking, etc. Accordingly,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wireless charging for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

상기 제2수용부재(44)는 상기 제2수용홈(42)에 삽입된 제1바퀴(12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바퀴(120)의 폭(120H)이 상기 제2폭(42H) 이하인 경우, 상기 제1바퀴(120)는 상기 제2수용홈(42)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2수용부재(44)에 지지될 수 있다.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44 supports the first wheel 120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2 . When the width 120H of the first wheel 12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width 42H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WD arrow), the first wheel 120 is form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2 ) may be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44 .

상기 제2수용부재(44)는 제2수용면(441) 및 제2정렬면(44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44 may include a second accommodating surface 441 and a second alignment surface 442 .

상기 제2수용면(441)은 상기 제2수용홈(42)에 삽입된 제1바퀴(120)의 하측에서 상기 제1바퀴(12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바퀴(120)의 폭(120H)이 상기 제2폭(42H) 이하인 경우, 상기 제2수용면(441)은 상기 제1바퀴(1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수용부(4)에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송기구(34)가 상승하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The second receiving surface 441 supports the first wheel 120 under the first wheel 120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2 . When the width 120H of the first wheel 120 is less than the second width 42H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WD arrow), the second receiving surface 441 is the first wheel 120 . ), it is possible to limit 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wheel 1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4). Accordingly, the distance at which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rises may be limited.

상기 제2정렬면(442)은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수용홈(42)의 양측에 배치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정렬면(442)은 상기 제2수용홈(42)에 삽입된 제1바퀴(120)가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제2수용홈(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의 무선충전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alignment surface 442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2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alignment surface 442 may limit the movable distance of the first wheel 120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2 i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Therefore,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wireless charging of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wheel 1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2. stability can be improved.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제2정렬면(442)과 상기 제1수용면(431)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정렬면(442)과 상기 제1수용면(431)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 43a)은, 직각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4)는 계단 형태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second alignment surface 442 and the first receiving surface 43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an included angle 43a between the second alignment surface 442 and the first receiving surface 431 may be implemented to form a right angle. In this case, the accommodating part 4 may be implemented in a stepped structure.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2정렬면(442)과 상기 제1수용면(431)의 끼인각(43a)은 둔각(Abtuse Angle)을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끼인각(43a)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게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정렬면(432)은 상기 수용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1수용홈(41)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정렬면(442)은 상기 수용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2수용홈(42)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included angle 43a between the second alignment surface 442 and the first receiving surface 431 may be implemented to form an obtuse angle. That is, the included angle 43a may be implemented to be greater than 90 degrees and smaller than 180 degrees. In this case, the first alignment surface 432 may be inclined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decreases as it extends in the receiving direction. The second alignment surface 442 may be inclined so that the size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2 decreases as it extends in the receiving direction.

이에 따라,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바퀴(120)의 폭(120H)이 상기 제1폭(41H) 이하이면서 상기 제2폭(42H) 초과인 경우, 상기 제1바퀴(120)는 상기 제1수용홈(4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정렬면(432)이 갖는 경사를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방향(W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바퀴(120)의 폭(120H)이 상기 제2폭(42H) 이하인 경우, 상기 제1바퀴(120)는 상기 제2수용홈(4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정렬면(442)이 갖는 경사를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idth 120H of the first wheel 12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width 41H and greater than the second width 42H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WD arrow), the second One wheel 120 is guided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alignment surface 432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so that the position is aligned. can In addition, when the width 120H of the first wheel 12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width 42H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WD arrow), the first wheel 120 is the second receiving groove. Positions may be aligned by being guided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alignment surface 442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at 42 .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제1바퀴(120)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더라도, 충분한 충전효율과 충분한 충전속도를 얻을 수 있는 정도로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31)과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150)을 정렬하는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irst wheel 120 is formed in various size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1 to the extent that sufficient charging efficiency and sufficient charging speed can be obtained. ) and the accuracy of the operation of align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150 can be improved.

도 11 내지 도 14에서는 상기 수용부(4)가 2개의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수용부(4)는 3개 이상의 수용홈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방향 쪽에 배치된 수용홈일수록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다양한 크기의 제1바퀴(120)를 갖는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에 대해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11 to 14 , the accommodating part 4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wo accommodating groov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ccommodating part 4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three or more accommodating grooves. In this case, the receiving groove disposed in the receiving direction may be formed in a smaller size. Therefore,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versatility of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for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having the first wheel 120 of various sizes.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제2정렬면(442)은 상기 수용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2수용홈(42)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정렬면(432)은 상기 수용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1수용홈(41)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정렬면(442)과 상기 제1정렬면(432)은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정렬면(442)과 상기 제1정렬면(432)은 하나의 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수용홈(42)과 상기 제1수용홈(41)은 깔대기 형태의 구조로 구현된 하나의 수용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수용면(431, 도 14에 도시됨)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the second alignment surface 442 may be inclined so that the size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2 decreases as it extends in the receiving direction. The first alignment surface 432 may be inclined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41 decreases as it extends in the receiving direction. In this case, the second alignment surface 442 and the first alignment surface 432 may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the second alignment surface 442 and the first alignment surface 432 may form one inclined surface. Accordingly,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2 and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1 may be implemented as one accommodating groove implemented in a funnel-shaped structure. In this case, the first receiving surface 431 (shown in FIG. 14 ) may be omitted.

도 1, 도 2, 및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거치부(2)는 거치본체(2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2, and 16 , the cradle 2 may include a cradle body 21 .

상기 거치본체(21)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거치되는 것이다.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는 상기 진입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거치본체(21)의 상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거치본체(21)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본체(21)에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갖는 스탠드를 통해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거치본체(21)는 상기 진입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본체(21)의 내부에서 상기 제2회전기구(33)와 상기 전송기구(34)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수용부(4)에 수용되면, 상기 거치본체(21)는 상기 수용부(4)에 수용된 제1바퀴(120)의 후면(後面)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상기 진입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mounting body 21 is to which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is mounted.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is moved in the entry direction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21 ,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the cradle body 21 . In a state in which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body 21 ,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100 may be maintained in a standing state through a stand. The mounting body 21 may be implemented to increase in height as it extends in the entry direction. Accordingly, a space in which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33 and the transmission mechanism 34 can rotate can be secured inside the mounting body 21 . When the first wheel 12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 , the mounting body 21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wheel 12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 , so that the micro electri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hicle 100 from mo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ntry direction.

도 1, 도 2, 및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거치부(2)는 제1가이드기구(22) 및 제2가이드기구(23)를 포함할 수 있다.1, 2, and 16 , the mounting part 2 may include a first guide mechanism 22 and a second guide mechanism 23 .

상기 제1가이드기구(22)는 상기 진입방향으로 이동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를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가이드기구(22)는 상기 제2가이드기구(23)에 대해 후방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가이드기구(23)는 상기 수용부(4)에 대해 후방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상기 진입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바퀴(120)는 상기 제1가이드기구(22)와 상기 제2가이드기구(23)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에 상기 수용부(4)에 수용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mechanism 22 guides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moving in the entry direction. Based on the entry direction, the first guide mechanism 22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guide mechanism 23 . Based on the entry direction, the second guide mechanism 23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art 4 .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in the entry direction, the first wheel 120 passes through the first guide mechanism 22 and the second guide mechanism 23 sequentially. Afterwards, it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4).

상기 제1가이드기구(22)는 제1가이드홈(221) 및 제1가이드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mechanism 22 may include a first guide groove 221 and a first guide surface 222 .

상기 제1가이드홈(221)은 상기 거치본체(21)의 상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상기 진입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바퀴(120)는 상기 제1가이드홈(221)에 삽입되어서 상기 거치본체(21)의 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홈(221)은 상기 진입방향 쪽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으로 크기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groove 221 may be implemented as a groov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21 .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in the entry direction, the first wheel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221 to mov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21 . The first guide groove 221 may be formed to decrease in size i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as it extends toward the entry direction.

상기 제1가이드면(222)은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가이드홈(221)의 양측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가이드홈(221)이 상기 진입방향 쪽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으로 크기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제1가이드면(222)은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6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제1가이드면(222)에 접촉되면, 도 16에 실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퀴(120)는 상기 제1가이드면(222)을 따라 위치가 정렬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거치를 위해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를 상기 진입방향 쪽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제1가이드기구(22)에 의해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으로의 위치가 정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surface 222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guide groove 221 i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Since the first guide groove 221 is formed to decrease in size i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as it extends toward the entry direction, the first guide surface 222 may be form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Accordingly, when the first wheel 12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surface 222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16 , as shown by a solid arrow in FIG. 16 , the first wheel 120 is A position may be guided to be aligned along the first guide surface 222 . Accordingly, in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cro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direction WD by the first guide mechanism 22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toward the entry direction for mounting. axial direction) may be implemented to be aligned.

상기 제2가이드기구(23)는 상기 진입방향으로 이동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100)를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 제2가이드기구(23)는 상기 수용부(4)와 상기 제1가이드기구(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mechanism 23 guides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moving in the entry direction. The second guide mechanism 2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 4 and the first guide mechanism 22 .

상기 제2가이드기구(23)는 제2가이드홈(231) 및 제2가이드면(2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guide mechanism 23 may include a second guide groove 231 and a second guide surface 232 .

상기 제2가이드홈(231)은 상기 거치본체(21)의 상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상기 진입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바퀴(120)는 상기 제2가이드홈(231)에 삽입되어서 상기 거치본체(21)의 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홈(231)은 상기 진입방향 쪽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으로 균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groove 231 may be implemented as a groov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21 .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in the entry direction, the first wheel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231 to mov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21 . The second guide groove 231 may be formed to have a uniform size i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as it extends toward the entry direction.

상기 제2가이드면(232)은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가이드홈(231)의 양측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2가이드면(232)은 상기 폭방향(WD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바퀴(120)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제1바퀴(120)의 위치가 상기 제1가이드기구(22)에 의해 정렬된 이후에 더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바퀴(120)의 위치가 어긋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second guide surface 232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guide groove 231 i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The second guide surface 232 may limit a movable distance of the first wheel 120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WD axis direction). Therefore, in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further movement after the position of the first wheel 120 is aligned by the first guide mechanism 22, the first wheel ( 120) can reduce the degree of misalignment.

도 1, 도 2,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거치부(2)는 거치홈(24) 및 받침부재(2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2, 16, and 17 , the mounting part 2 may include a mounting groove 24 and a supporting member 25 .

상기 거치홈(24)은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갖는 제2바퀴(130)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거치홈(24)은 상기 거치본체(21)의 상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거치홈(24)은 상기 제1가이드홈(221)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바퀴(120)가 상기 수용부(4)에 수용되면, 상기 거치홈(24)에는 상기 제2바퀴(130)가 삽입될 수 있다.The mounting groove 24 is into which the second wheel 130 of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is inserted. The mounting groove 24 may be implemented as a groov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21 . The mounting groove 24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groove 221 . When the first wheel 1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4 , the second wheel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4 .

상기 받침부재(25)는 상기 거치홈(24)에 삽입된 제2바퀴(13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재(25)는 상기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거치홈(24)에 삽입된 제2바퀴(130)에 대해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부재(25)는 상기 제2바퀴(13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100)가 거치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5 supports the second wheel 130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4 . The support member 25 may be disposed at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second wheel 130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4 based on the entry direction. Accordingly, by supporting the second wheel 130 , the support member 25 can prevent the micro electric vehicle 100 from moving backward in the mounted state.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거치부(2)는 상기 거치홈(24)과 상기 받침부재(25) 각각을 복수개씩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제1바퀴(120)와 상기 제2바퀴(130) 간의 이격거리가 상이한 다양한 초소형 전기자동차(100)에 대해 무선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mounting portion 2 may include a plurality of each of the mounting groove 24 and the supporting member 25 . Accordingly,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wireless charging for various miniature electric vehicles 100 having different separation distances between the first wheel 120 and the second wheel 130 . The versatility that can be done can be improved.

도 11 및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거치부(2)는 배수로(26)를 포함할 수 있다.11 and 17 , the mounting part 2 may include a drainage channel 26 .

상기 배수로(26)는 상기 거치본체(21)에 고인 유체를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수로(26)는 상기 거치본체(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1)는 상기 거치본체(21)에 고인 유체로 인해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상기 배수로(26)는 상기 거치본체(21)의 상면에서 상기 거치본체(21)의 바닥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rain channel 26 is for draining the fluid accumulated in the mounting body 21 . The drainage channel 26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body 21 . Accordingly, the charging device 1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risk of an electrical safety accident due to the fluid accumulated in the mounting body 21 . The drainage channel 26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21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21 .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26)는 상기 거치홈(24)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수로(26)는 상기 제2바퀴(130)로부터 흐르는 유체를 배수함으로써, 상기 거치홈(24)에 유체가 고이는 양을 줄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 the drainage channel 26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mounting groove 24 . Accordingly, the drain channel 26 drains the fluid flowing from the second wheel 130 ,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fluid accumulated in the mounting groove 24 .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26)는 상기 수용부(4)가 갖는 수용홈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후로(26)는 상기 제1바퀴(120)로부터 흐르는 유체를 배수함으로써, 상기 수용부(4)에 유체가 고이는 양을 줄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 the drain 26 may b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receiving part 4 . Accordingly, the rear passage 26 drains the fluid flowing from the first wheel 120 ,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fluid accumul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4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 :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2 : 거치부
3 : 무선충전부 4 : 수용부
21 : 거치본체 22 : 제1가이드기구
23 : 제2가이드기구 24 : 거치홈
25 : 받침부재 26 : 배수로
31 : 무선충전전송 코일 32 : 제1회전기구
33 : 제2회전기구 34 : 전송기구
35 : 유연기구 41 : 제1수용홈
42 : 제2수용홈 43 : 제1수용부재
44 : 제2수용부재 341 : 제1충전홈
342 : 제2충전홈 343 : 제1지지부재
344 : 제2지지부재 100 : 초소형 전기자동차
1: Charging device for ultra-small electric vehicle 2: Mounting part
3: wireless charging part 4: receiving part
21: mounting body 22: first guide mechanism
23: second guide mechanism 24: mounting groove
25: support member 26: drainage channel
31: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coil 32: first rotating mechanism
33: second rotation mechanism 34: transmission mechanism
35: flexible mechanism 41: first receiving groove
42: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3: first accommodating member
44: second accommodating member 341: first charging groove
342: second charging groove 343: first support member
344: second support member 100: micro electric vehicle

Claims (11)

초소형 전기자동차가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고,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초소형 전기자동차에 대해 무선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충전부; 및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초소형 전기자동차의 제1바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의 무선전력수신 코일에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전력전송 코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바퀴에 눌림에 따라 회전하는 제1회전기구, 상기 제1회전기구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전기구에 연결된 제2회전기구, 및 상기 제2회전기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2회전기구에 결합되고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이 결합된 전송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기구는 상기 제1회전기구가 상기 제1바퀴에 눌려서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전송기구가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이 결합된 수신기구에 접촉되도록 상기 전송기구를 상승시키고,
상기 전송기구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가 주행하는 주행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제1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충전홈, 및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길이에 비해 더 짧은 제2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2충전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충전홈은 상기 수신기구가 삽입되는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충전홈에 비해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더 짧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충전홈에는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수신기구의 길이에 따라 상기 수신기구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a cradle on which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is mounted;
a wireless charging unit coupled to the cradle and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on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mounted on the cradle; and
and a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first wheel of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mounted on the cradle;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of the micro electric vehicle, a first rotating mechanism that rotates according to being pressed by the first wheel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and the first rotating mechanism. A second rotation mechanism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to rotate together as it rotates, and a transmission mechanism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and to whic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is coupled,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raises the transmission mechanism so that the transmission mechanism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ceiver mechanism to which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is coupled while rotating with the rotation as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is pressed by the first wheel,
The transmission mechanism includes a first charging groove formed to have a first length based on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traveling direction in which the micro electric vehicle travels, and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length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It includes a second charging groove formed to have a second length,
The second charging groove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spaced apart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is shorter than that of the first charging groove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 which the receiver device is inserted,
The charging device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er device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econd charging groov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receiver device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구는 상기 제1충전홈에 삽입된 수신기구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충전홈에 삽입된 수신기구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충전홈에 삽입된 수신기구의 대향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면, 및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충전홈의 양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충전홈에 삽입된 수신기구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제1제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2충전홈에 삽입된 수신기구의 대향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면, 및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충전홈의 양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충전홈에 삽입된 수신기구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제2제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제한면과 상기 제1지지면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제한면과 상기 제1지지면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이 직각 또는 둔각(Abtuse Angle)을 이루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ssion mechanism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receiver device inserted into the first charging groove, and a second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receiver mechanism inserted into the second charging groove,
The first support member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harging groove based on a first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opposite surface of the receiver inserted into the first charging groove, and the width direction, and is in the first charging groove. The inserted receiver device includes a first limiting surface for limiting the movable distance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harging groove with respect to a second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opposite surface of the receiver inserted into the second charging groove, and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be in the second charging groove. and a second limiting surface for limiting a movable distance of the inserted receiver device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limiting surface and the first support surface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second limiting surface and the first support surface is connected to form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A charging device for an ultra-small electric vehic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한면은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1충전홈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제한면은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2충전홈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limiting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charging groove decreases as it extends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second limiting surface is a charging device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size of the second charging groove decreases as it extends in the insertion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구는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충전홈의 양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충전홈에 삽입된 수신기구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제1제한면, 및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충전홈의 양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충전홈에 삽입된 수신기구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제2제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제한면은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1충전홈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제한면은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2충전홈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제한면과 상기 제1제한면은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ssion mechanism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harging groove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a first limiting surface for limiting the distance the receiver device inserted into the first charging groove can move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the width and a second limiting surfac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harging groove based on the direction to limit the distance the receiver device inserted into the second charging groove can move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limiting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charging groove decreases as it extends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second limiting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size of the second charging groove decreases as it extends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charging device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imiting surface and the first limiting surface are inclined at the same angl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제1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1수용홈, 및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폭에 비해 더 짧은 제2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2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홈은 상기 제1바퀴가 삽입되는 수용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수용홈에 비해 더 깊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수용홈에는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바퀴의 폭에 따라 상기 제1바퀴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며,
상기 제1회전기구는 상기 제1바퀴가 상기 제1수용홈에 수용된 경우보다 상기 제1바퀴가 상기 제2수용홈에 수용된 경우에 더 큰 회전각도로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기구는 상기 제1회전기구가 회전한 회전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전송기구를 상승시키는 거리가 증가하도록 상기 제1회전기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groove formed to have a first width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accommodating groove formed to have a second width shorter than the first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and ,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is disposed at a position deeper than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based on the receiving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wheel is inserted,
The first wheel is se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wheel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is arranged to rotate at a larger rotation angle when the first wheel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groove than when the first wheel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groove,
The second rotating mechanism is a charging device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mechanism so that as the rotational angle of the first rotating mechanism increases, the distance at which the transmission mechanism is raised increases.
초소형 전기자동차가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고,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초소형 전기자동차에 대해 무선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충전부; 및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초소형 전기자동차의 제1바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의 무선전력수신 코일에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전력전송 코일,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바퀴에 눌림에 따라 회전하는 제1회전기구, 상기 제1회전기구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전기구에 연결된 제2회전기구, 및 상기 제2회전기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2회전기구에 결합되고 상기 무선전력전송 코일이 결합된 전송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초소형 전기자동차가 주행하는 주행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제1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1수용홈, 및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폭에 비해 더 짧은 제2폭을 갖도록 형성된 제2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홈은 상기 제1바퀴가 삽입되는 수용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수용홈에 비해 더 깊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수용홈에는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바퀴의 폭에 따라 상기 제1바퀴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며,
상기 제1회전기구는 상기 제1바퀴가 상기 제1수용홈에 수용된 경우보다 상기 제1바퀴가 상기 제2수용홈에 수용된 경우에 더 큰 회전각도로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기구는 상기 제1회전기구가 상기 제1바퀴에 눌려서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전송기구가 상기 무선전력수신 코일이 결합된 수신기구에 접촉되도록 상기 전송기구를 상승시키되, 상기 제1회전기구가 회전한 회전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전송기구를 상승시키는 거리가 증가하도록 상기 제1회전기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a cradle on which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is mounted;
a wireless charging unit coupled to the cradle and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harging on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mounted on the cradle; and
and a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first wheel of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mounted on the cradle;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of the miniature electric vehicle, a first rotating mechanism that rotates according to being pressed by the first wheel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and the first rotating mechanism. A second rotation mechanism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to rotate together as it rotates, and a transmission mechanism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and to whic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is coupled,
The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groove formed to have a first width with respect to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running direction in which the micro electric vehicle travels, and a second accommodating groove shorter than the first width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accommodating groove formed to have two widths,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is disposed at a position deeper than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based on the receiving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wheel is inserted,
The first wheel is se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wheel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is arranged to rotate at a larger rotation angle when the first wheel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groove than when the first wheel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groove,
The second rotation mechanism raises the transmission mechanism so that the transmission mechanism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ceiver mechanism to which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coil is coupled, while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rotates together as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is pressed by the first wheel and rotates. A charging device for an ultra-small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so that the distance at which the transmission mechanism is raised increases as the rotation angle at which the first rotation mechanism is rotated increases.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수용홈에 삽입된 제1바퀴를 지지하는 제1수용부재, 및 상기 제2수용홈에 삽입된 제1바퀴를 지지하는 제2수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용부재는 상기 제1수용홈에 삽입된 제1바퀴의 하측에서 상기 제1바퀴를 지지하는 제1수용면, 및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수용홈의 양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수용홈에 삽입된 제1바퀴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제1정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수용부재는 상기 제2수용홈에 삽입된 제1바퀴의 하측에서 상기 제1바퀴를 지지하는 제2수용면, 및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수용홈의 양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수용홈에 삽입된 제1바퀴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제2정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정렬면과 상기 제1수용면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정렬면과 상기 제1수용면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이 직각 또는 둔각(Abtuse Angle)을 이루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first wheel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and a second accommoda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first wheel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based on a first accommodating surface supporting the first wheel under the first wheel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and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The first wheel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includes a first alignment surface for limiting the movable distance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based on a second accommodating surface for supporting the first wheel under the first wheel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and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wheel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includes a second alignment surface for limiting the movable distance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alignment surface and the first receiving surface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included angle between the second alignment surface and the first receiving surface is connected to form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A charging device for an ultra-small electric vehicle.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수용홈의 양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수용홈에 삽입된 제1바퀴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제1정렬면, 및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수용홈의 양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수용홈에 삽입된 제1바퀴가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제2정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정렬면은 상기 수용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1수용홈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정렬면은 상기 수용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제2수용홈의 크기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정렬면과 상기 제1정렬면은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a first alignment surface that limits the distance that the first wheel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can move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the width and a second alignment surfac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based on the direction to limit the distance the first wheel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can move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alignment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siz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decreases as it extends in the receiving direction,
The second alignment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size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decreases as it extends in the receiving direction,
The charging device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lignment surface and the first alignment surface are inclined at the same angl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바퀴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진입방향으로 이동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기구, 및 상기 제1가이드기구와 상기 수용부의 사이에 배치된 제2가이드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기구는 상기 진입방향 쪽으로 연장될수록 상기 진입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으로 크기가 감소하도록 형성된 제1가이드홈, 및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가이드홈의 양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바퀴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기구는 상기 제1가이드홈을 통과한 제1바퀴가 삽입되는 제2가이드홈, 및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가이드홈의 양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바퀴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는 제2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7. The method of claim 1 or 6,
The holding portion includes a first guide mechanism for guiding the micro electric vehicle moving in the entry direction so that the first wheel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a second guide mechanism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mechanism and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first guide mechanism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a first guide groove formed to decrease in size in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ntry direction as it extends toward the entry direction, and on both sides of the first guide groove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Includes a first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first wheel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guide mechanism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guide groove into which the first wheel passing through the first guide groove is inserted, and the second guide groove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guide groove is the second guide groove in the width direction. A charging device for an ultra-small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guide surface that limits the distance that one wheel can move.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바퀴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진입방향으로 이동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를 지지하는 거치본체;
상기 제1바퀴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초소형 전기자동차의 제2바퀴가 삽입되도록 상기 거치본체에 형성된 거치홈;
상기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거치홈에 삽입된 제2바퀴에 대해 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바퀴를 지지하는 받침부재;
상기 전송기구가 상승하여 상기 거치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전송기구가 하강하여 상기 거치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송기구를 통과시키고, 상기 거치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과공; 및
상기 거치본체에 고인 유체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거치본체에 형성된 배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6,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a cradle main body for supporting a micro electric vehicle moving in an entry direction so that the first wheel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 cradle groove formed in the cradle body so that the second wheel of the micro electric vehicl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first wheel is inserted;
a support member disposed at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second wheel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with respect to the entry direction to support the second wheel;
a through hole formed by passing the transmission mechanism so that the transmission mechanism rises and protrudes upward of the holder body or the transmission mechanism descends to be located inside the holder body; and
and a drainage channel formed in the stationary body to drain the fluid accumulated in the stationary body.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부는 상기 전송기구에 결합된 미끄럼방지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방지패드는 상기 수신기구를 향하는 상기 전송기구의 일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7. The method of claim 1 or 6,
The wireless charging unit includes a non-slip pad coupled to the transmission mechanism,
The non-slip pad is a charging device for a miniature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facing the receiver mechanism.
KR1020190142432A 2019-11-08 2019-11-08 Charging Apparatus for Micro Electric Vehicle KR1022695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432A KR102269528B1 (en) 2019-11-08 2019-11-08 Charging Apparatus for Micro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432A KR102269528B1 (en) 2019-11-08 2019-11-08 Charging Apparatus for Micro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979A KR20210055979A (en) 2021-05-18
KR102269528B1 true KR102269528B1 (en) 2021-06-28

Family

ID=7615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432A KR102269528B1 (en) 2019-11-08 2019-11-08 Charging Apparatus for Micro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5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94848A1 (en) * 2020-06-19 2021-12-23 TWIG Power, LLC Charging stand for electric motorcycles
CN114084004B (en) * 2021-12-10 2023-06-09 深圳供电局有限公司 Power equipment monitoring robot
CN114643881B (en) * 2022-02-14 2024-01-02 江西诚安新能源科技有限公司 Wireless charging device of electric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5922A (en) 2011-05-30 2012-12-13 Tokai Rubber Ind Ltd Electric motorcycle and power supply system for electric motorcycle
KR101764648B1 (en) 2016-12-06 2017-08-03 (주)테슬라스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5804B2 (en) * 2009-12-03 2014-06-18 現代自動車株式会社 Primary coil raising type non-contact charging device
GB2488086B (en) * 2010-01-05 2014-11-05 Access Business Group Int Llc Inductive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5922A (en) 2011-05-30 2012-12-13 Tokai Rubber Ind Ltd Electric motorcycle and power supply system for electric motorcycle
KR101764648B1 (en) 2016-12-06 2017-08-03 (주)테슬라스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979A (en)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528B1 (en) Charging Apparatus for Micro Electric Vehicle
CN202918004U (en) Wireless charger
KR101764648B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
KR20160003654U (en) Wireless charging cradle
CN209801004U (en) microcomputer comprehensive protection measurement and control device
CN106182036A (en) A kind of desktop machine people
CN115354645B (en) Rammer compactor for engineering machinery
CN218386958U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mounted mobile phone
CN108643647A (en) A kind of charging unit of vertical circulation stereo garage
CN215666307U (en) Supplementary draw gear of cable for communication construction
CN212649134U (en) Wireless portable power source that laminating nature is good
KR20140034091A (en) Power pick-up module for electric vehicle
CN210363413U (en) Automatic charging device and AGV charging system
CN114592417A (en) Pitch highway maintenance hole groove processing apparatus
CN112828855A (en) Robot walking track device in intelligent manufacturing unit
CN113266189A (en) Carrier, charging device and comb-tooth type stereo garage
CN110843077A (en) Automatic test block jolter for construction
CN219412050U (en) Plane movable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CN216929814U (en) Sliding ring replacing device for micro motor
CN213413494U (en) Robot chassis and robot
CN217379943U (en) Carrier, charging device and comb-tooth type stereo garage
CN211995187U (en) Drive positioning device for charging head structure
CN217347341U (en) Novel travelling wheel mounting structure for kiln
CN215042182U (en) Convenient charging device of electric bicycle
CN219029653U (en) Electric vehicle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