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508B1 - 악취가스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악취가스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508B1
KR102269508B1 KR1020190162569A KR20190162569A KR102269508B1 KR 102269508 B1 KR102269508 B1 KR 102269508B1 KR 1020190162569 A KR1020190162569 A KR 1020190162569A KR 20190162569 A KR20190162569 A KR 20190162569A KR 102269508 B1 KR102269508 B1 KR 102269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lodorous gas
heating tube
odo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2345A (ko
Inventor
이운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핫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핫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핫맥스
Priority to KR102019016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5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되, 길이방향 양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가열관; 상기 가열관의 외측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악취가스가 나선형으로 유동하도록 악취가스의 유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를 이용하면, 악취가스를 가열관 표면에 접촉시켜 가열 및 연소시킴으로써 악취를 제거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악취가스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고, 악취가스와 가열관의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악취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악취가스 연소장치 {Burning Device for Offensive Odor Gas}
본 발명은 악취가스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취가스를 가열관 표면에 접촉시켜 가열 및 연소시킴으로써 악취가스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고, 악취가스와 가열관의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악취제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악취가스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경오염(環境汚染, environmental pollution)은 인간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대기, 수질, 토양 오염 및 소음, 진동 등으로 자연환경이나 생활환경을 손상시키는 현상으로 공장, 사업장 등의 생산활동, 자동차, 기차, 항공기, 선박 등의 수송활동, 냉난방, 취사, 여가선용 등 일상생활을 포함한 각종 인간활동에 의해 유발되는 인위적인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소음, 진동, 지반침하, 악취 등의 발생으로 자연환경이나 생활환경을 손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사람의 생활 및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특히, 산업혁명 이후에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인간활동이 주어진 환경공간의 고유한 자정능력(自淨能力)을 초과할 경우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환경오염 중에 대기중에 기체로 유포되어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惡臭除去, offensive odor treatment)는 악취물질의 발생원에서의 감소나 제거 또는 발생 후의 처리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악취제거는 발생원에서의 대책, 직접연소법, 촉매산화법, 흡착법, 미생물탈취법(바이오필터법), 응축법, 오존산화법, 마스킹 등이 있다. 악취의 발생원을 없애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개방되어 있는 발생시설을 밀폐식으로 바꾼다든지 악취물질의 사용이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은 근본적인 방법이 된다. 그러나 이 방법을 모든 발생원에 적용할 수는 없고 가능한 한 장치를 개조하거나 작업조건의 개선에 의하여 발생이나 배출을 억제하는 것이 발생원에서의 대책이다.
악취제거의 방법 중 직접연소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악취를 발생시키는 악취물질은 황이나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물질이 많고 대부분 가연성이기 때문에 적당한 온도에서 연소시키면 이산화탄소와 물, 기타 무취성가스로 된다. 이러한 직접연소법의 연소온도는 물질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680∼760℃의 범위이며, 접촉시간은 0.3∼0.5초면 충분하다.
그러나, 온도나 접촉시간이 불충분하면 제거효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부분산화의 결과로 생기는 각종 알데히드나 케톤, 기타 불포화산이 생겨 냄새가 더나는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악취가스 연소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악취가스 연소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 유해가스 유입관(6)이 설치되고 버너(1a)가 설치된 소각로(1)와, 상기 소각로(1)에 입/출구가 연결되고 입구로에 유입댐퍼(2a)와 흡기팬(2b)이 설치된 정화가스 순환관(2)과, 상기 정화가스 순환관(2)에서 분기되어 분기부에 배출댐퍼(3a)가 설치된 정화가스 배출관(3)과, 상기 정화가스 순환관(2)의 출구로에 설치된 열교환기(4)와, 입구가 상기 열교환기(4)에 설치되고 출구가 상기 소각로(1)에 연결되고 흡기팬(5a)이 설치된 신선외기 유입관(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악취가스 연소장치는 유해가스 유입관으로 유입된 악취가스를 소각로의 내부에 설치된 버너로 가열시켜 악취가스를 소각 정화하도록 구성되는데, 가연성을 갖는 악취가스가 고열의 소각로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폭발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소각로의 온도와 압력을 기준치 이하로 낮추면 악취가스가 폭발할 우려가 없으나, 이와 같은 경우 악취가스 제거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악취가스 연소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소각실의 내부에 유입되는 악취가스 중 버너의 불꽃과 접촉되지 아니하는 악취가스가 완전소각되지 못하는바, 악취가스 소각과정이 완료된 이후에도 일정량의 악취가스가 잔존하게 되고 불완전 소각으로 인해 더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185941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악취가스를 가열관 표면에 접촉시켜 가열 및 연소시킴으로써 악취가스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고, 악취가스와 가열관의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악취제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악취가스 연소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되, 길이방향 양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가열관; 상기 가열관의 외측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악취가스가 나선형으로 유동하도록 악취가스의 유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판은 외측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유입구 측에 위치한 부위의 피치보다 상기 배출구 측에 위치한 부위의 피치가 크게 제작되되, 상기 가이드판의 피치는 상기 배출구와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열관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악취가스를 700℃ 이상으로 가열하는 전기히터로 적용된다.
상기 가열관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판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나선홈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는 복수 개의 돌출벽체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벽체는 상기 악취가스의 유동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열된다.
상기 가열관의 외측면에는 반구 형상의 돌출부가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는 악취가스 출입을 차단하는 입구개폐도어 및 출구개폐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측과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측에 길이방향 양단이 연결된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의 내부유로를 개폐시키는 바이패스도어와, 상기 바이패스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측에 위치하는 악취가스를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악취가스의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악취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악취센서에 기준치 이상의 악취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입구개폐도어와 출구개폐도어는 자동으로 폐쇄되고, 상기 바이패스도어는 자동으로 개방되며, 상기 송풍팬은 자동으로 가동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를 이용하면, 악취가스를 가열관 표면에 접촉시켜 가열 및 연소시킴으로써 악취를 제거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악취가스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고, 악취가스와 가열관의 접촉시간을 증대시켜 악취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악취가스 연소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 제2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 제3 실시예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 제4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 제5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는 악취가스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악취를 유발하는 입자를 연소시킴으로써 악취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악취가스를 불꽃으로 직접 연소하는 것이 아니라 악취가스를 고온의 가열관(200)에 접촉시킴으로써 악취를 유발하는 입자를 연소시켜 제거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되 길이방향 양측에 유입구(110)와 배출구(12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가열관(200)과, 상기 가열관(200)의 외측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장착되어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악취가스가 나선형으로 유동하도록 악취가스의 유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원통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길이방향이 수평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입구(110)와 배출구(120)가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양측 상부에 형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유입구(110)와 배출구(120)의 형성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가열관(200)은 장시간 악취가스와 접촉되더라도 부식되거나 손상되지 아니하되 악취가스를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기준치 이상의 열전도율을 갖는 금속으로 제작된다. 이때 악취가스의 유동방향을 가이드나는 가이드판(300) 역시 가열관(200)의 열을 전달받아 악취가스로 전달할 수 있도록 금속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관(200)은 악취가스를 화염으로 직접 연소하는 것이 아니라 악취가스를 7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악취 입자를 연소시키는 전기히터로 적용되는데, 악취가스의 악취 입자를 7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연소시킬 수 있다면 상기 가열관(200)은 어떠한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를 이용하면,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는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후 가열관(20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고온으로 가열되고, 상기 악취가스에 포함되어 있던 악취 유발 입자는 완전히 연소되어 악취가 사라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악취가스는 가열관(200)과의 접촉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고온으로 가열되는바, 상기 가열관(200)과 하우징(100)의 길이를 증가시킬수록 악취제거 효율이 높아진다. 그러나 상기 가열관(200)과 하우징(100)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악취가스 연소장치의 전체 크기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악취가스 연소장치의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는 하우징(100)과 가열관(200)의 길이를 매우 길게 제작하지 아니하더라도 악취가스와 가열관(200)의 접촉시간을 최대한 길게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판(300)이 가열관(200)의 외측면을 나선형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구성되어 악취가스을 나선형으로 유동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300)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면, 유입구(11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악취가스는 가열관(200)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유동하는바, 악취가스와 가열관(200)의 접촉시간이 최대한 길게 확보되고 이에 따라 악취제거 효과가 현저히 향상된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300)의 피치가 작을수록 악취가스와 가열관(200)의 접촉시간이 증가하지만, 상기 가이드판(300)의 피치가 너무 작으면 가열관(200)을 나선형으로 타고 흐르는 악취가스 유량이 적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판(300)의 피치는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악취가스의 유량이나 압력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구(11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악취가스는 가열관(200)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부피가 점차적으로 팽창하므로, 가이드판(300)의 피치 중 유입구(110) 측에 위치한 부위의 피치(P1)와 배출구(120) 측에 위치한 부위의 피치(P2)가 동일한 경우, 가열관(200)을 나선형으로 타고 유동하던 악취가스는 배출구(120)에 가까워질수록 압축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공간 중 배출구(120) 측의 악취가스 밀도가 높아지면 악취가스가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판(300)은, 상기 유입구(110) 측에 위치한 부위의 피치(P1)보다 상기 배출구(120) 측에 위치한 부위의 피치(P2)가 크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후방측의 피치(P2)가 크게 제작되면, 악취가스가 가열관(200)에 의해 가열되어 팽창되더라도 밀도가 높아지지 아니하는바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악취가스는 가열관(200)을 타고 나선형으로 흐를수록 점진적으로 부피가 팽창하므로, 상기 가이드판(300)의 피치 역시 상기 배출구(120)와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입구(11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악취가스가 모두 가이드판(300)을 따라 나선형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판(300)은 외측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판(300)의 외측단이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접하면, 악취가스가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유동하지 못하고 전량 나선형으로 유동하므로, 악취가스와 가열관(200)의 접촉시간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 제2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악취가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빠르게 가열시키기 위해서는 가열관(200)의 표면적을 넓게 제작하여야 하는데, 상기 가열관(200)의 외경을 크게 제작하면 하우징(100) 역시 내경이 커져야 하므로, 악취가스 연소장치의 전체 규격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는 가열관(200)의 외경을 증가시키지 아니하더라도 가열관(200)의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관(200)의 외측면에 가이드판(300)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나선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관(200)의 외측면에 나선홈(210)이 형성되면 가열관(200)의 외경이나 하우징(100)의 내경을 증가시키지 아니하더라도 가열관(200)의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가열관(200)과 악취가스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악취가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관(200)의 외측면에 2열의 나선홈(210)이 형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나선홈(210)은 1열 또는 3열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선홈(210)의 폭이나 깊이 역시 가열관(200)의 규격이나 악취가스의 종류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 제3 실시예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악취가스가 가이드판(300)을 따라 나선형으로 유동하면 상기 악취가스의 유동에 원심력이 발생되므로, 상기 악취가스는 하우징(100)의 내벽에 밀집된다. 이와 같이 악취가스가 하우징(100)의 내벽에 밀집되면 가열관(20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악취가스의 유량이 적어지므로 악취가스 가열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는 가이드판(300)을 따라 나선형으로 유동하는 악취가스가 하우징(100)의 내벽에 밀집되지 아니하고 가열관(200)의 외측면에 다량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악취가스의 유동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돌출벽체(13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벽체(13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에 복수 개의 형성되는바, 하우징(100)의 내벽으로 밀집되어 유동하던 악취가스는 돌출벽체(130)에 부딪혀 와류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악취가스는 가열관(200)의 외벽에만 밀집되는 것이 아니라 가열관(200)의 외측면에도 다량 접촉되므로, 상기 악취가스가 보다 빠르게 가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벽체(130)가 가열관(200)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면, 악취가스가 돌출벽체(130)에 직각으로 충돌하므로 악취가스의 유동성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벽체(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악취가스의 유동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돌출벽체(130)가 경사지게 배열되면, 악취가스가 돌출벽에 비스듬히 충돌하므로 유동성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악취가스의 유동방향을 가열관(200)의 외측면으로 자연스럽게 변경시킴으로써 악취가스와 가열관(200)의 접촉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 제4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는 가열관(200)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관(200)의 외측면에 나선홈(210)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관(200)의 외측면에 반구 형상의 돌출부(220)가 다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열관(200)의 외측면에 반구 형상의 돌출부(220)가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가열관(200)의 표면적이 넓어지므로, 악취가스 연소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220)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돌출부(220)의 형상은 가열관(200)의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대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 제5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는 가열관(200)과 하우징(100)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아니하더라도 악취가스와 가열관(200)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악취가스가 나선형으로 유동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그러나 악취가스가 가열관(200)의 외측면을 타고 나선형으로 유동하더라도 악취가스에 포함된 악취 입자가 완전하게 연소되지 못하여,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 악취가 잔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는 악취가스가 가열관(20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가열관(200)을 타고 유동하였을 때 악취가 잔존하는 경우, 상기 악취가스를 다시 한번 연소할 수 있도록 즉, 상기 악취가스를 다시 한번 가열관(200)과 접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악취가스 연소장치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유입구(110)가 형성된 측과 상기 배출구(120)가 형성된 측에 길이방향 양단이 연결된 바이패스관(400)과, 상기 바이패스관(400)의 내부유로를 개폐시키는 바이패스도어(410)와, 상기 바이패스관(400)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배출구(120)가 형성된 측에 위치하는 악취가스를 상기 바이패스관(400)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유입구(110)가 형성된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팬(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110)와 배출구(120)에는 악취가스 출입을 차단하는 입구개폐도어(112) 및 출구개폐도어(122)가 구비된다.
다라서 배출구(120) 측으로 유동된 악취가스에 악취가 잔존하는 경우, 사용자는 입구개폐도어(112)와 출구개폐도어(122)를 닫고 바이패스도어(410)를 개방시킨 후 송풍팬(420)을 가동하여, 배출구(120) 측에 위치하던 악취가스를 유입구(110) 측으로 회송시킴으로써, 악취가스가 다시 한번 가열관(200)을 타고 나선형으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악취가스가 2회에 걸쳐 가열관(200)을 타고 나선형으로 유동하면, 악취가스에 포함되어 있던 악취 입자가 완전하게 연소되는바, 악취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입구개폐도어(112)와 출구개폐도어(122)와 바이패스도어(410)의 개폐 및 송풍팬(420)의 가동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배출구(120) 측으로 배출되는 악취가스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악취가스의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악취센서(미도시)를 배출구(120)에 설치하여, 상기 악취센서에 기준치 이상의 악취가 감지되었을 때 입구개폐도어(112)와 출구개폐도어(122)와 바이패스도어(410)가 자동으로 개폐되고, 송풍팬(420)이 자동으로 가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유입구
112 : 입구개폐도어 120 : 배출구
122 : 출구개폐도어 130 : 돌출벽체
200 : 가열관 210 : 나선홈
220 : 돌출부 300 : 가이드판
400 : 바이패스관 410 : 바이패스도어
420 : 송풍팬

Claims (10)

  1.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되, 길이방향 양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가열관;
    상기 가열관의 외측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장착되되 외측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악취가스가 나선형으로 유동하도록 악취가스의 유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판;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형성되되, 상기 악취가스의 유동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돌출벽체;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 장착되어 악취가스 출입을 차단하는 입구개폐도어 및 출구개폐도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측과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측에 길이방향 양단이 연결된 바이패스관;
    상기 바이패스관의 내부유로를 개폐시키는 바이패스도어;
    상기 바이패스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측에 위치하는 악취가스를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팬;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악취가스의 악취농도를 측정하는 악취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유입구 측에 위치한 부위의 피치보다 상기 배출구 측에 위치한 부위의 피치가 크게 제작되되, 상기 가이드판의 피치는 상기 배출구와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악취센서에 기준치 이상의 악취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입구개폐도어와 출구개폐도어는 자동으로 폐쇄되고, 상기 바이패스도어는 자동으로 개방되며, 상기 송풍팬은 자동으로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연소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관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악취가스를 700℃ 이상으로 가열하는 전기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연소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관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판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나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연소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관의 외측면에는 반구 형상의 돌출부가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스 연소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62569A 2019-12-09 2019-12-09 악취가스 연소장치 KR102269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569A KR102269508B1 (ko) 2019-12-09 2019-12-09 악취가스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569A KR102269508B1 (ko) 2019-12-09 2019-12-09 악취가스 연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345A KR20210072345A (ko) 2021-06-17
KR102269508B1 true KR102269508B1 (ko) 2021-06-25

Family

ID=7660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569A KR102269508B1 (ko) 2019-12-09 2019-12-09 악취가스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837B1 (ko) * 2021-09-07 2023-08-24 강원철 연소장치를 갖는 폐비닐 용융 압출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975B1 (ko) * 2007-04-11 2008-02-20 현대건설주식회사 피폭방지 축열식 연소로
KR101553295B1 (ko) * 2015-04-10 2015-09-15 김원중 원통형 교반 발효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079B1 (ko) * 2012-10-29 2014-09-02 조승범 열교환용 나선형 전열관
KR20160131636A (ko) * 2015-05-08 2016-11-16 이동주 우회관로가 구비된 탈취장치
KR101859418B1 (ko) 2017-09-12 2018-06-27 주식회사 골든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냄새 소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975B1 (ko) * 2007-04-11 2008-02-20 현대건설주식회사 피폭방지 축열식 연소로
KR101553295B1 (ko) * 2015-04-10 2015-09-15 김원중 원통형 교반 발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345A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508B1 (ko) 악취가스 연소장치
AU744063B2 (en) Incinerator for removing noxious substances
JP2009052845A (ja) 排ガス処理装置及びボイラシステム
KR101645171B1 (ko) 반도체 및 VOCs 배출공정에서 발생되는 난분해성 유해폐가스 처리 시스템
JP2002522734A (ja) 可燃性材料の部分酸化を利用した排気放出物低減方法および装置
KR102355094B1 (ko) 고효율 살균형 대기 미세먼지 제거장치
JP2005106370A (ja) 排ガス再循環設備
JP4306617B2 (ja) 管状火炎バーナ
KR100726788B1 (ko) 폐기물 소각 및 폐기물 건조시스템의 악취 및 매연제거장치
KR100462525B1 (ko)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JP5016240B2 (ja) 排ガス処理装置及び排ガス処理方法
JPH024106A (ja) 脱臭焼却炉
KR100665553B1 (ko) 악취가스 연소장치
KR200416425Y1 (ko) 악취가스 연소장치
KR100491021B1 (ko) 다기능 소각기
KR102211685B1 (ko) 미세 오염 입자 배출 저감 가능한 연소형 난로 및 그에 사용되는 미세 오염 입자 제거 모듈
JP2019066048A (ja) 燃焼装置
KR20080063580A (ko) 폐기물의 에너지 변환 장치의 연소로
KR102077820B1 (ko) 연소효율이 향상된 수소 소각로
ES2630160A1 (es) Purificador natural de humos
KR200280836Y1 (ko) 고온 수증기 분해 연소기를 이용한 고형화 쓰레기 소각로
PL435251A1 (pl) Urządzenie dopalające gazy odlotowe ze spalania biopaliw stałych oraz sposób dopalania gazów odlotowych
KR100544058B1 (ko) 소각장치
KR20010091644A (ko) 개질연소식 분체상 가연폐기물 연속소각장치 및 이를이용한 보일러
KR200141339Y1 (ko) 폐열 순환식 가축분뇨 악취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