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406B1 - 밸브실 탱크 - Google Patents

밸브실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406B1
KR102269406B1 KR1020210008055A KR20210008055A KR102269406B1 KR 102269406 B1 KR102269406 B1 KR 102269406B1 KR 1020210008055 A KR1020210008055 A KR 1020210008055A KR 20210008055 A KR20210008055 A KR 20210008055A KR 102269406 B1 KR102269406 B1 KR 102269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frame
installation
valve chamber
base member
manho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와이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와이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와이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08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B65D90/105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for undergroun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58Gates or closures having closure members sliding in the plane of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66Oper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54Gates or closures
    • B65D2590/66Operating devices therefor
    • B65D2590/668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실 탱크는 밸브실의 저면을 형성하기 위한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천정부와, 상기 천정부에 형성되는 맨홀뚜껑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는 강도보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맨홀뚜껑설치부는 상기 천정부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부재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설치프레임과, 상기 제 1 설치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설치프레임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설치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2 설치프레임은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맨홀뚜껑의 기울기와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밸브실과 맨홀뚜겅의 설치 작업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맨홀뚜껑의 기울기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밸브실에 고정되지 않아, 밸브실의 설치 기울기와 맨홀뚜겅의 설치 기울기가 달라질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밸브실의 부식과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사용 수명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고, 밸브실 탱크의 전체적인 지지강도가 현저히 증대되어, 지진 등의 경우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브실 탱크{VALVE TANK}
본 발명은 밸브실 탱크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뚜껑의 기울기와 높이를 조절하면서도, 밸브실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탱크의 지지강도가 현저히 증대되도록 구성되는 밸브실 탱크에 관한 발명이다.
지중에 매설되는 상하수도관이나, 가스관, 통신케이블 매설관과 같은 각종 지중 매설관은 임의의 구간마다 그들 매설관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 구성되는 매설관의 사이에는 압력계나 밸브와 같은 배관설치물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관설치물들이 설치되는 영역에는 밸브실이 설치되어, 상기 배관설치물들이 상기 밸브실 내부에 수용 배치되고, 소정의 기간마다 유지보수와 점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밸브실에는 유지보수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맨홀뚜껑이 설치되어, 상기 맨홀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밸브실 내로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밸브실은 지중에 매립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상기 맨홀뚜껑이 설치되는데, 상기 맨홀뚜겅의 상면은 지면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다.
상기 밸브실은 제조공장으로부터 설치 현장까지 차량을 통해 운반된 상태에서, 크레인과 와이어케이블을 이용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지중으로 이동되어 지중에 매설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설치 과정에 의해 밸브실이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맨홀뚜껑을 배치시키는 경우, 맨홀뚜껑과 지면의 기울기와 높이가 다소 일치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상기 밸브실의 배치 기울기 또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 지중을 굴착 또는 매립해야 하는 작업이 요구되는데, 상기 밸브실이 지중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밸브실에 설치되는 맨홀뚜껑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명들이 다수 공개된 상태이지만,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용접 등에 의해 밸브실에 고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설치 현장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설치 조건들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공개된 맨홀뚜껑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들의 경우, 볼트와 너트의 결합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 현장에서의 조절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밸브실 내부로 유수가 침입하는 경우, 밸브실의 부식에 의해 사용 수명이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작업 수행 시 작업자의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에 의해 맨홀뚜껑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밸브실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맨홀뚜겅의 기울기와 함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밸브실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맨홀뚜껑의 기울기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밸브실에 고정되지 않아, 밸브실의 설치 기울기와 맨홀뚜껑의 설치 기울기가 달라질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밸브실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브실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밸브실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브실 탱크의 지지강도가 현저히 증대되어 지진 등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밸브실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실 탱크는 밸브실의 저면을 형성하기 위한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천정부와, 상기 천정부에 형성되는 맨홀뚜껑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는 강도보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맨홀뚜껑설치부는 상기 천정부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부재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설치프레임과, 상기 제 1 설치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설치프레임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설치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2 설치프레임은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외면에는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 1 회전축이 한 쌍 설치되어,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 1 회전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의 외면에는 외부를 향하여 돌출 설치되는 제 2 회전축이 한 쌍 설치되어, 상기 제 2 설치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 2 회전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축과 제 2 회전축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에는 상기 제 1 회전축이 삽입되기 위한 제 1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설치프레임에는 상기 제 2 회전축에 삽입되기 위한 제 2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회전축 또는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에서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제 1 회전축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설치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설치개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제 1 회전축을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회전축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축에는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에는 상기 제 2 회전축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설치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 2 설치개구는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제 2 회전축을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회전축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회전축에는 상기 제 2 설치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면부와 측벽부와 천정부에 의해 육면체 형상의 탱크를 형성하며,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상기 저면부와 측벽부 및 천정부의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면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저면부에서 지면을 대면하는 면에는 상면이 없는 육면체 형상의 집수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재는 상기 저면부의 네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재의 높이는 상기 저면부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재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회전축이 삽입되기 위한 제 1 오목부와 제 2 회전축이 삽입되기 위한 제 2 오목부의 상단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설치프레임과 제 2 설치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의 표면에는 격자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맨홀뚜껑의 기울기와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밸브실과 맨홀뚜겅의 설치 작업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맨홀뚜껑의 기울기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밸브실에 고정되지 않아, 밸브실의 설치 기울기와 맨홀뚜겅의 설치 기울기가 달라질 경우에도 설치 현장에서 즉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밸브실의 부식과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사용 수명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실 탱크의 전체적인 지지강도가 현저히 증대되어, 지진 등의 경우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실 탱크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밸브실 탱크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밸브실 탱크에 설치되는 맨홀뚜껑설치부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상기 맨홀뚜껑설치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맨홀뚜껑설치부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 은 도 3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7 은 도 3 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8 은 상기 맨홀뚜껑설치부의 또 다른 사시도이며,
도 9 는 상기 맨홀뚜껑설치부의 또 다른 사시도이며,
도 10 은 상기 맨홀뚜껑설치부의 또 다른 사시도이며,
도 11 은 상기 맨홀뚜껑설치부의 제 1 높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 는 상기 맨홀뚜껑설치부의 제 2 높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 은 상기 밸브실 탱크에 설치되는 집수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뚜껑설치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너트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실 탱크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밸브실 탱크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밸브실 탱크에 설치되는 맨홀뚜껑설치부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상기 맨홀뚜껑설치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맨홀뚜껑설치부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 은 도 3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7 은 도 3 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8 은 상기 맨홀뚜껑설치부의 또 다른 사시도이며, 도 9 는 상기 맨홀뚜껑설치부의 또 다른 사시도이며, 도 10 은 상기 맨홀뚜껑설치부의 또 다른 사시도이며, 도 11 은 상기 맨홀뚜껑설치부의 제 1 높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 는 상기 맨홀뚜껑설치부의 제 2 높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 은 상기 밸브실 탱크에 설치되는 집수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뚜껑설치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너트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실 탱크는 밸브실의 저면을 형성하기 위한 저면부(10)와, 상기 저면부(10)로부터 상방으로 기립 형성되는 측벽부(20)와, 상기 측벽부(2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천정부(30)와, 상기 천정부(30)에 형성되는 맨홀뚜껑설치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20)의 외면에는 강도보강부재(40)가 형성되고, 상기 맨홀뚜껑설치부(50)는 상기 천정부(30)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부재(52)와, 상기 베이스부재(52)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부재(52)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설치프레임(55)과,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설치프레임(58)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은 상기 베이스부재(52)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2 설치프레임(58)은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실 탱크는 상하수도관이나, 가스관, 통신케이블 매설관과 같은 각종 지중 매설관에 설치되는 압력계나 밸브와 같은 배관설치물들을 수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지중에 소정의 깊이 매설된다.
상기 밸브실 탱크는 통상적으로 금속재로써 형성되며, 측부에는 각종 배관을 상기 밸브실 탱크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22)과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관(24)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실 탱크는 탱크의 저면을 형성하기 위한 저면부(10)와, 상기 저면부(10)로부터 상방으로 기립 형성되는 측벽부(20)와, 상기 측벽부(2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천정부(30)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측벽부(20)의 외면에는 탱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보강부재(40)가 형성된다.
도 1 과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강도보강부재(40)가 상기 저면부(10)와 측벽부(20) 및 천정부(30)의 외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강도보강부재(40)가 전체 탱크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탱크의 전체 외면이 상기 강도보강부재(40)에 의해 감싸짐으로써, 외부 압력에 대한 지지강도가 현저히 상승되어 지진 발생의 경우에도 탱크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천정부(30)에는 맨홀뚜껑을 설치하기 위한 맨홀뚜껑설치부(50)가 형성된다.
도 3 과 4 에 도시되는, 상기 맨홀뚜껑설치부(50)는 상기 천정부(30)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부재(52)와, 제 1 설치프레임(55)과 제 2 설치프레임(58)을 포함한다.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베이스부재(52)는 전체적으로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재(52)의 하단부는 상기 천정부(30) 표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부재(52)에는 상기 제 1 회전축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설치개구(521)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설치개구(521)는 상기 베이스부재(52)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설치개구(521)는 상기 베이스부재(52)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긴 장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설치개구(521)가 상기 베이스부재(52)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일정 깊이 긴 오목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설치개구(521)의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52)의 상단부에서 위를 향하여 개방된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설치개구(521)에는 제 1 회전축(522)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재(52)의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설치개구(521)는 상기 베이스부재(52)의 양 측부에 한쌍 설치되며, 이때 한 쌍의 상기 제 1 설치개구(521)들은 서로 대면되도록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한 쌍의 상기 제 1 설치개구(521)들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회전축(522) 역시 사이 각이 180도가 될 수 있다.
도 4 와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회전축(522)은 상기 제 1 회전축(522)을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523, 5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축(522)은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재(5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고정부재(523)는 상기 제 1 회전축(522)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두(頭)부를 갖는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두부에 해당되는 고정부재(523)가 상기 제 1 회전축(522)과는 별개로 구성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부재(523, 524)들이 너트로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회전축(522)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부재(523)가 일체 형성된 상기 제 1 회전축(522)을 상기 베이스부재(52)의 제 1 설치개구(521)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24)를 결합하여 상기 제 1 회전축(522)을 상기 베이스부재(52)에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설치개구(521)가 상기 베이스부재(52)의 측부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 1 회전축(522)은 그 설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52) 상부에는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 역시 중공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그 직경은 상기 베이스부재(52)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의 양 측부에서 하부에는 상기 제 1 회전축(522)이 삽입되기 위한 제 1 오목부(55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의 상기 제 1 오목부(554) 내에 상기 제 1 회전축(522)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이 상기 제 1 회전축(522) 상에 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8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이 상기 제 1 회전축(522)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부재(52)에 대해 상대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전축(522)에는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525)가 결합되어,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이 상기 베이스부재(52)에 대해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베이스부재(52) 상에서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을 회전시켜 소정의 원하는 기울기 상태가 되면, 상기 고정너트(525)를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52)에 대한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4 와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에는 제 2 회전축(552)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설치개구(551)가 형성되되, 상기 제 2 설치개구(551) 역시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설치개구(551) 역시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긴 장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설치개구(551)가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일정 깊이 긴 오목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2 설치개구(551)의 상단부가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의 상단부에서 위를 향하여 개방된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설치개구(551)는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의 양 측부에 한쌍 설치되며, 이때 한 쌍의 상기 제 2 설치개구(551)들은 서로 대면되도록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제 2 설치개구(551)들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 2 회전축(552) 역시 사이 각이 180도가 될 수 있다.
그리하여, 결과적으로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제 1 회전축(522)과 상기 제 2 설치프레임(58)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제 2 회전축(552)은 서로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4 와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회전축(552) 역시 상기 제 2 회전축(552)을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553, 5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축(552) 역시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고정부재(553)는 상기 제 2 회전축(552)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두부를 갖는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두부에 해당되는 고정부재(553)가 상기 제 2 회전축(552)과는 별개로 구성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부재(553, 556)들이 너트로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회전축(552)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부재(553)가 일체 형성된 상기 제 2 회전축(552)을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의 제 2 설치개구(551)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56)를 결합하여 상기 제 2 회전축(552)을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에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설치개구(551)가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의 측부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 2 회전축(552)은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 상부에는 상기 제 2 설치프레임(58)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설치프레임(58)은 중공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원통부(582)와 상기 원통부(58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플렌지부(584)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부(582)의 직경은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상기 원통부(582)의 양 측부에서 하부에는 상기 제 2 회전축(552)이 삽입되기 위한 제 2 오목부(58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부(582)의 상기 제 2 오목부(585) 내에 상기 제 2 회전축(552)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 2 설치프레임(58)이 상기 제 2 회전축(552) 상에 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9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설치프레임(58)이 상기 제 2 회전축(552)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에 대해 상대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회전축(552)에는 상기 제 2 설치프레임(58)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557)가 결합되어, 상기 제 2 설치프레임(58)이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에 대해 상대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 상에서 상기 제 2 설치프레임(58)을 회전시켜 소정의 원하는 기울기 상태가 되면, 상기 고정너트(557)를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에 대한 상기 제 2 설치프레임(58)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도 10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회전축(522)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제 2 회전축(522)을 중심으로 상기 제 2 설치프레임(58)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설치프레임(58)의 플렌지부(584) 내부에 맨홀뚜껑을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맨홀뚜껑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4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뚜껑설치부의 분해사시도에서는, 상기 제 1 회전축(522)이 삽입되기 위한 제 1 오목부(554)와 제 2 회전축(552)이 삽입되기 위한 제 2 오목부(585)의 상단부에 절개부(5542, 5852)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1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너트(525, 557)에서 제 1 설치프레임(55)과 제 2 설치프레임(58)을 대면하는 면에는 격자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너트(525, 557) 결합 시 상기 고정너트에 형성되는 격자 형태 오목부들에서 단면의 모서리 부분들이, 상기 절개부95542, 5852) 부분의 모서리 부분과 접촉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고정력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과 제 2 설치프레임(58)의 기울기 각도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1 과 1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52)에서 제 1 회전축(522)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에서 상기 제 2 회전축(552)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플렌지부(584) 내부에 배치되는 맨홀뚜껑(미도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11 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52)에서 제 1 회전축(522)을 가장 낮은 위치로 고정하고,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에서 상기 제 2 회전축(552)의 높이를 가장 낮은 위치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플렌지부(584) 내부에 배치되는 맨홀뚜껑의 높이를 H1 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도 12 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52)에서 제 1 회전축(522)을 가장 높은 위치로 고정하고, 상기 제 1 설치프레임(55)에서 상기 제 2 회전축(552)의 높이를 가장 높은 위치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플렌지부(584) 내부에 배치되는 맨홀뚜껑의 높이를 H2 로 할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최종적으로 설치되는 맨홀뚜껑의 높이를 H1 으로부터 H2 에 이르기까지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실 탱크의 저면부(10)에서 지면을 대면하는 면에는 집수부재(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1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집수부재(12)는 사각 형상의 상기 저면부(10)에서 네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재(12)는 상면이 없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 측부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집수부재(12)가 상기 저면부의 저면에서 네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밸브실 탱크가 외부의 진동에 의해서나 설치 현장 상황에 의해 다소 기울어져 배치되는 경우에도, 네 개의 집수부재(12)들 중 어느 하나로 물이 유동될 수 있다.
그리하여, 밸브실 탱크 내부로 유동된 물이 상기 네 개의 집수부재(12)들 중어느 하나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밸브실 탱크 내로 유입된 물이 신속히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밸브실 내에 설치되는 각종 구성들의 부식을 방지하고, 유지보수 작업 시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재(12)의 높이(h4)는 상기 저면부(10)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재(40)의 높이(h3)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실 탱크가 설치 현장 바닥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네 개의 집수부재(12)들과 상기 저면부(10)에 형성되는 강도보강부재(40)들에 의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재(12)의 배수부(122)를 통해 유출되는 물이 상기 저면부(10)에 형성되는 강도보강부재(40)들 사이의 공간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된 "포함된다" 또는 "구성된다" 의 용어는 해당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외 다른 구성 요소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저면부
12: 집수부재
20: 측벽부
30: 천정부
40: 강도보강부재
50: 맨홀설치부
52:베이스부재
55: 제 1 설치프레임
58: 제 2 설치프레임

Claims (20)

  1. 밸브실의 저면을 형성하기 위한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천정부와;
    상기 천정부에 형성되는 맨홀뚜껑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는 강도보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맨홀뚜껑설치부는 상기 천정부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부재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설치프레임과;
    상기 제 1 설치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설치프레임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2 설치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2 설치프레임은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외면에는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 1 회전축이 한 쌍 설치되어,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 1 회전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의 외면에는 외부를 향하여 돌출 설치되는 제 2 회전축이 한 쌍 설치되어, 상기 제 2 설치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 2 회전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회전축과 제 2 회전축은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되, 서로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회전축이 삽입되기 위한 제 1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치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2 회전축에 삽입되기 위한 제 2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 또는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에서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제 1 회전축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설치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 1 설치개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제 1 회전축을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에는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에는 상기 제 2 회전축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설치개구가 형성되되,
    상기 제 2 설치개구는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제 2 회전축을 상기 제 1 설치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축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축에는 상기 제 2 설치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와 측벽부와 천정부에 의해 육면체 형상의 탱크를 형성하며,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상기 저면부와 측벽부 및 천정부의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저면부에서 지면을 대면하는 면에는 상면이 없는 육면체 형상의 집수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재는 상기 저면부의 네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재의 높이는 상기 저면부에 배치되는 강도보강부재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이 삽입되기 위한 제 1 오목부와 제 2 회전축이 삽입되기 위한 제 2 오목부의 상단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설치프레임과 제 2 설치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의 표면에는 격자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탱크.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10008055A 2021-01-20 2021-01-20 밸브실 탱크 KR102269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055A KR102269406B1 (ko) 2021-01-20 2021-01-20 밸브실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055A KR102269406B1 (ko) 2021-01-20 2021-01-20 밸브실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406B1 true KR102269406B1 (ko) 2021-07-01

Family

ID=7685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055A KR102269406B1 (ko) 2021-01-20 2021-01-20 밸브실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4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435Y1 (ko) * 2004-12-31 2005-03-14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다단식 맨홀
KR200410189Y1 (ko) * 2005-12-08 2006-03-07 강호정 맨홀 장치
KR20090101066A (ko) * 2008-12-02 2009-09-24 주식회사 코오롱 설치각도 가변형 조립식 맨홀
KR20100130289A (ko) * 2009-06-03 2010-12-13 김상태 노면보호맨홀
KR101491450B1 (ko) * 2014-02-19 2015-02-10 (주) 뉴티브 높이조절용 맨홀뚜껑
KR20180138044A (ko) *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지와이 밸브실 탱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435Y1 (ko) * 2004-12-31 2005-03-14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다단식 맨홀
KR200410189Y1 (ko) * 2005-12-08 2006-03-07 강호정 맨홀 장치
KR20090101066A (ko) * 2008-12-02 2009-09-24 주식회사 코오롱 설치각도 가변형 조립식 맨홀
KR20100130289A (ko) * 2009-06-03 2010-12-13 김상태 노면보호맨홀
KR101491450B1 (ko) * 2014-02-19 2015-02-10 (주) 뉴티브 높이조절용 맨홀뚜껑
KR20180138044A (ko) * 2017-06-20 2018-12-28 주식회사 지와이 밸브실 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2782B2 (en) Cable routing in wastewater lift station
KR20150017281A (ko) 맨홀프레임의 경사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밸브실
EP1806456B1 (en) Floor drain
US80749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a utility pole
KR102269406B1 (ko) 밸브실 탱크
KR102075623B1 (ko) 높낮이의 조절 및 자동 가스 배기용 맨홀
US10700502B2 (en) Wall penetration panel
JP2009281477A (ja) 配管パイプ支持用のレベルバンド
KR20110133208A (ko) 배수장치를 구비한 방수형 맨홀
US20230235524A1 (en) Strut connector
KR20210008629A (ko)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맨홀구조체
US5111000A (en) Enclosure for semi-buried electrical distribution apparatus
KR20160100435A (ko) 정합식 맨홀
CN110924445B (zh) 一种市政建设用可防堵的窨井装置
KR101017424B1 (ko) 밸브실용 맨홀장치
KR101842945B1 (ko) 전력구 집수정의 균압조절 장치
KR101706861B1 (ko) 맨홀 블록
KR102460306B1 (ko) 지하 매설 점검구 뚜껑의 높이조절장치
KR100320687B1 (ko) 이중뚜껑을갖는안전맨홀
KR102189909B1 (ko) 맨홀덮개 높이조절장치
KR200487481Y1 (ko) 상수도용 원형 보호실
KR101857722B1 (ko) 암거 보강장치
KR100872377B1 (ko) 상하수관 맨홀의 침하확인을 위한 안전진단시설
KR102189619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맨홀 장치
KR200261919Y1 (ko) 도로의 원형 하수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