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403B1 -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403B1
KR102269403B1 KR1020200019241A KR20200019241A KR102269403B1 KR 102269403 B1 KR102269403 B1 KR 102269403B1 KR 1020200019241 A KR1020200019241 A KR 1020200019241A KR 20200019241 A KR20200019241 A KR 20200019241A KR 102269403 B1 KR102269403 B1 KR 102269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optical lens
unit
camera modu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한
Original Assignee
에스더블류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더블류텍(주) filed Critical 에스더블류텍(주)
Priority to KR1020200019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5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impa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는, 광학렌즈를 둘러싸는 카메라모듈을 고정하는 고정부와, 고정부 상부에 위치하며 광학렌즈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와, 흡입부에 설치되어 흡입부가 광학렌즈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와, 흡입부에 설치되어 광학렌즈가 카메라모듈로부터 이탈될 때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흡입부, 완충부, 측정부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Lens-out Load Test Device}
본 발명은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모듈에 삽입된 광학렌즈가 이탈될 때의 하중을 측정하는 탈거력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전자기기에는 촬영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모듈이 구비되며, 모바일 전자기기가 점차 소형화 또는 박형화됨에 따라 카메라모듈의 크기 역시 소형화 또는 박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카메라모듈은 그 특성 상 출고되기 전에 광학렌즈와 관련하여 다양한 검사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모듈은 광학렌즈의 파손 또는 물리적 손상을 판단하기 위한 외관검사, 광학렌즈의 광학 특성을 판단하기 위한 광학검사, 광학렌즈의 표면 코팅 등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코팅검사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모듈에 삽입된 광학렌즈는 자연적으로 또는 충격에 의해 강제적으로 카메라모듈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테스트용으로 제작된 카메라모듈은 광학렌즈가 제대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탈거력검사가 수행된다. 탈거력검사는, 테스트용으로 제작된 카메라모듈에 삽입된 광학렌즈를 다시 빼낼 때의 하중을 측정하면서 광학렌즈가 견고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탈거력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험장치가 없어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탈거력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험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5177호 (2018. 06. 1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카메라모듈에 삽입된 광학렌즈가 이탈될 때의 하중을 측정하는 탈거력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는, 광학렌즈를 둘러싸는 카메라모듈을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광학렌즈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부가 상기 광학렌즈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와, 상기 흡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학렌즈가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이탈될 때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흡입부, 상기 완충부, 상기 측정부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내부에 상기 카메라모듈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광학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덮개를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덮개 사이에 상기 카메라모듈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부는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여 상기 광학렌즈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상기 광학렌즈는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흡입부에 흡착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형성된 유동로에 흡입호스가 연결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가 상기 유동로와 연통되며, 끝단이 상기 광학렌즈에 밀착되는 흡입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광학렌즈의 직경에 대응하여 교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막대와, 상기 가이드막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부와 상기 완충부, 및 상기 측정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는, 상기 가이드막대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봉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봉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더를 견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부가 광학렌즈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카메라모듈로부터 이탈시키면, 측정부가 카메라모듈로부터 광학렌즈가 이탈될 때의 하중을 측정하므로, 탈거력검사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흡입부가 광학렌즈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충부가 흡수하므로, 광학렌즈의 파손 또는 물리적 손상을 방지하면서 탈거력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학렌즈의 직경에 대응하여 흡입부를 교체하며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광학렌즈의 직경에 관계없이 탈거력검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흡입부와, 완충부와, 측정부, 및 구동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는 카메라모듈에 삽입된 광학렌즈가 이탈될 때의 하중을 측정하는 탈거력검사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는 흡입부가 광학렌즈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카메라모듈로부터 이탈시키면, 측정부가 카메라모듈로부터 광학렌즈가 이탈될 때의 하중을 측정하므로, 탈거력검사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흡입부가 광학렌즈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충부가 흡수하므로, 광학렌즈의 파손 또는 물리적 손상을 방지하면서 탈거력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학렌즈의 직경에 대응하여 흡입부를 교체하며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광학렌즈의 직경에 관계없이 탈거력검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흡입부와, 완충부와, 측정부, 및 구동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1)는 고정부(10)와, 흡입부(20)와, 완충부(30)와, 측정부(40), 및 구동부(50)를 포함한다.
고정부(10)는 광학렌즈(도 5의 L 참조)를 둘러싸는 카메라모듈(도 5의 A 참조)을 고정하는 것으로, 여기서, 카메라모듈(A)이라 함은, 광학렌즈(A)의 파손 또는 물리적 손상을 방지하면서 모바일 전자기기에 설치하기 위해 몰드의 내주면에 광학렌즈(A)가 끼워진 형태를 의미하며, 정식 출고용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고 테스트용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고정부(10)는 카메라모듈(A)에 삽입된 광학렌즈(A)를 카메라모듈(A)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카메라모듈(A)을 고정하며, 제1 고정부(11)와 제2 고정부(12)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11)는 통 형상의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덮개(112)를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카메라모듈(A)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때, 공간은 하우징(111)의 중앙에 배치되며, 크기 및 형상이 카메라모듈(A)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하우징(111)의 외형이 사각 통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하우징(111)의 외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덮개(112)는 하우징(111)의 개방된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간을 개폐하며, 광학렌즈(A)가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구(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관통구(112a)는 덮개(112)의 중앙에 배치되어 공간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며, 광학렌즈(A)만 통과할 수 있도록 공간의 직경보다 작되 광학렌즈(A)의 직경과 같거나 광학렌즈(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하우징(111)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덮개(112)에 돌기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덮개(112)가 하우징(111)에 요철(凹凸) 결합하는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하우징(111)과 덮개(112)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112)의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우징(111)의 상면에 돌기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덮개(112)가 하우징(111)에 요철 결합할 수도 있고, 덮개(112)가 하우징(111)에 나사 결합할 수도 있다. 덮개(112)가 하우징(111)에 요철 또는 나사 결합함에 따라 덮개(112)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관통구(112a)를 공간에 용이하게 중첩시킬 수 있다.
제2 고정부(12)는 덮개(112)를 가압하여 하우징(111)과 덮개(112) 사이에 카메라모듈(A)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몸체(121)와, 연결링크(122)와, 가압봉(123), 및 손잡이(124)를 포함한다. 몸체(121)는 함체 또는 통 형상의 부재로, 한 쌍이 각각 제1 고정부(11)의 양측에 배치된다. 즉, 제1 고정부(11)의 양 측에는 각각 몸체(121)가 배치되며, 각각의 몸체(121)는 상단에 연결링크(122)가 힌지 결합된다. 연결링크(122)는 일단이 몸체(121)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제1 고정부(11)를 향하여 자유단 형태로 연장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제1 고정부(11)와 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링크(122)는 일단에 손잡이(124)가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가압봉(123)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손잡이(124)를 조작하면 연결링크(122)가 회동하여 가압봉(123)이 덮개(112)를 가압하거나 덮개(1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원활한 구동을 위해, 손잡이(124)는 일 측이 연결링크(122)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 측이 별도의 링크를 통해 몸체(12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봉(123)은 연결링크(122)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하우징(111) 또는 덮개(112) 또는 카메라모듈(A)의 높이에 대응하여 연결링크(122)의 하부로 연장되는 가압봉(12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가압봉(123)이 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링크(122)에 나사 결합하며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가압봉(123)이 연결링크(12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0)의 상부에는 흡입부(20)와, 완충부(30), 및 측정부(40)가 배치된다.
흡입부(20)는 광학렌즈(A)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고정부(10)(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11))의 직상방에 위치한다. 흡입부(20)는 덮개(112)에 형성된 관통구(112a)를 통과하여 광학렌즈(A)에 흡입력을 제공하며, 광학렌즈(A)는 흡입부(20)가 제공하는 흡입력에 의해 카메라모듈(A)로부터 이탈되어 흡입부(20)에 흡착될 수 있다. 즉, 흡입부(20)는 부압을 발생시켜 광학렌즈(A)를 흡착 고정한다. 흡입부(20)는 본체부(21)와 흡입노즐(22)을 포함한다. 본체부(21)는 후술할 구동부(50)에 결합되어 제1 고정부(11)의 직상방에 위치하며,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로(도 6의 21a 참조)가 형성된다. 유동로(21a)에는 별도의 흡입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흡입호스(211)가 연결되어 본체부(21)는 흡입장치로부터 흡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체부(21)는 하단에 흡입노즐(22)이 결합된다. 흡입노즐(22)은 본체부(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가 유동로(21a)와 연통되며, 끝단이 광학렌즈(A)에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흡입노즐(22)은 광학렌즈(A)의 직경에 대응하여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모듈(A)에 삽입된 광학렌즈(A)의 직경이 큰 경우, 유로(도 6의 22a 참조)가 큰 흡입노즐(22)을 사용하고, 반대로, 카메라모듈(A)에 삽입된 광학렌즈(A)의 직경이 작은 경우, 유로(22a)가 작은 흡입노즐(22)을 사용한다. 이때, 흡입부(20)는 흡입노즐(22)의 직경을 조절하여 흡입 압력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흡입장치에서 실시간으로 흡입 압력을 조절하여 광학렌즈(A)를 흡착하는 힘을 함께 조절할 수 있다. 광학렌즈(A)의 직경이나 두께에 따라서 흡입노즐(22)의 직경과 흡입장치의 흡입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부(20)가 광학렌즈(A)에 접촉할 때 완충부(30)가 동작할 수 있다. 완충부(30)는 흡입부(20)가 광학렌즈(A)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흡입부(20)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광학렌즈(A)는 미세한 충격에도 쉽게 손상 또는 파손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완충부(30)는 일종의 공기완충기로 실린더 내부에 공기가 압축되면서 충격을 완화한다. 완충부(30)는 공기완충기 형태뿐만 아니라 스프링 완충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공기 완충기는 광학렌즈(A)의 직경이나 두께, 재질에 따라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완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완충부(30)에는 압축공기 또는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주입호스(31)가 연결되어,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흡입부(20)의 일 측, 보다 구체적으로, 완충부(30)의 일 측에는 측정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흡입부(20)의 측부에 완충부(30)가 결합되고, 완충부(30)의 측부에 측정부(40)가 결합된다. 측정부(40)는 광학렌즈(A)가 카메라모듈(A)로부터 이탈될 때의 하중을 측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하중센서(load cell)일 수 있다. 측정부(40)는 완충부(30)와 연결된 로드부에 강제(强製) 프레임이 연결되고, 강제 프레임 주위에 비틀림 또는 변형을 전기 저항으로 변환하는 변형 게이지가 장착된 형태로, 로드부에 하중이 가해지면 응력(凝力)에 비례한 변형이 발생하고, 그 변형에 대응하여 변형 게이지의 전기 저항이 변화하므로 전류량이 변화하는 것을 디지털의 전기 신호로 바꾸어 하중을 직접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A)은 고정부(10)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흡입부(20)가 카메라모듈(A)에 삽입되어 있는 광학렌즈(A)에 밀착하여 흡입력을 제공할 때 구동부(50)가 흡입부(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응력이 점차 증가하다 극한 응력 이후에 광학렌즈(A)가 카메라모듈(A)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측정부(40)는 광학렌즈(A)가 이탈되기 직전의 극한 응력을 측정하며, 측정된 값은 후술할 케이스(60)에 장착된 인디게이터(61)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측정부(40)는 외팔보 형태의 로드셀 구조로 하중의 측정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입부(20)가 광학렌즈(A)에 접촉할 때 추가적인 완충 역할을 하게 된다.
구동부(50)는 흡입부(20), 완충부(30), 측정부(40)를 수직 방향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으로, 측정부(4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50)가 흡입부(20), 완충부(30), 측정부(40)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측정부(40)가 광학렌즈(A)가 카메라모듈(A)로부터 이탈될 때의 하중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막대(51)와, 슬라이더(52)와, 구동모터(53), 및 스크류봉(54)을 포함한다. 가이드막대(51)는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적어도 하나가 케이스(60)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2개의 가이드막대(51)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가이드막대(51)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가이드막대(51)에는 슬라이더(52)가 결합된다. 슬라이더(52)는 흡입부(20)와 완충부(30), 및 측정부(4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가이드막대(5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막대(51)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슬라이더(52)가 측정부(40)의 하부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슬라이더(52)의 결합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52)의 일 면에는 주입호스(31)의 타단이 연결되는 공급장치(32)가 결합될 수 있으며, 공급장치(32)에는 완충부(30)에 공급되는 압축공기 또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압력계(33)가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더(52)는 구동모터(53)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53)는 슬라이더(52)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스크류봉(5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슬라이더(52)를 견인할 수 있다. 스크류봉(54)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상의 부재로, 가이드막대(5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53)는 내주면에 스크류봉(5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크류봉(54)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더(52)를 견인할 수 있다.
케이스(60)는 일 측이 개방된 함체로, 내부에 고정부(10), 흡입부(20), 완충부(30), 측정부(40), 및 구동부(50)를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60)는 외부로 노출되는 일 면에 전술한 인디게이터(61)와, 각 구성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터치스크린(62), 및 흡입부(20)의 동작을 제어하고 흡입력을 조절하는 센서부(63)가 설치되며, 개방된 일 측에 에어리어 센서(area sensor, 64)가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60)의 개방된 일 측에 에어리어 센서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과 같은 물체가 케이스(60) 내부로 진입하였을 때 알람 등이 출력되거나 각 구성의 동작이 중단되어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60)의 개방된 일 측에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버튼, 각 구성을 초기 상태로 복원시키는 리셋 버튼, 비상 시 각 구성의 동작을 일괄적으로 중단시키는 비상 버튼으로 구성된 조작부(65)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1)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1)는 흡입부(20)가 광학렌즈(A)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카메라모듈(A)로부터 이탈시키면, 측정부(40)가 카메라모듈(A)로부터 광학렌즈(A)가 이탈될 때의 하중을 측정하므로, 탈거력검사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흡입부(20)가 광학렌즈(A)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충부(30)가 흡수하므로, 광학렌즈(A)의 파손 또는 물리적 손상을 방지하면서 탈거력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학렌즈(A)의 직경에 대응하여 흡입부(20)를 교체하며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광학렌즈(A)의 직경에 관계없이 탈거력검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고정부가 카메라모듈을 고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탈거력검사가 진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하우징(111)의 상부를 덮는 덮개(112)를 하우징(111)으로부터 분리하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카메라모듈(A)을 삽입할 수 있다. 공간은 크기 및 형상이 카메라모듈(A)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카메라모듈(A)은 공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공간에 카메라모듈(A)이 삽입되면, 덮개(112)로 하우징(111)의 상부를 덮는다. 하우징(111)은 상면에 돌기가 돌출되고, 덮개(112)에는 돌기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므로, 덮개(112)의 수평 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면서 카메라모듈(A)에 삽입된 광학렌즈(A)와 관통구(112a)를 서로 중첩시킬 수 있다. 광학렌즈(A)와 관통구(112a)가 서로 중첩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12)를 이용하여 덮개(112)를 가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124)를 조작하면, 연결링크(122)가 몸체(121)로부터 회동하여 가압봉(123)이 덮개(112)를 가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가압봉(123)이 덮개(112)를 가압하여 하우징(111)과 덮개(112) 사이에 카메라모듈(A)이 고정되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53)가 스크류봉(54)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더(52)를 견인할 수 있다. 슬라이더(52)가 가이드막대(51)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52)에 연결된 측정부(40)와, 완충부(30), 및 흡입부(20)가 일체로 하방으로 이동하며, 이로 인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노즐(22)이 광학렌즈(A)에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완충부(30)는 흡입노즐(22)이 광학렌즈(A)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여 광학렌즈(A)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흡입노즐(22)이 광학렌즈(A)에 밀착되면, 흡입장치가 구동되어 흡입호스(211), 본체부(21)의 유동로(21a), 흡입노즐(22)의 유로(22a)를 통해 광학렌즈(A)에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구동모터(53)가 스크류봉(54)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더(52)를 다시 견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A)은 하우징(111)과 덮개(112) 사이에 고정되어 있고, 흡입부(20)가 광학렌즈(A)에 밀착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상태에서 슬라이더(52)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응력이 점차 증가하다가 극한 응력 이후에 광학렌즈(A)가 카메라모듈(A)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측정부(40)는 광학렌즈(A)가 이탈되기 직전의 극한 응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렌즈(A)의 직경에 대응하여 흡입노즐(22)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모듈(A)에 삽입된 광학렌즈(A)의 직경이 큰 경우,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22a)가 큰 흡입노즐(22)로 교체하여 흡입력을 크게 하고, 광학렌즈(A)의 직경이 작은 경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22a)가 작은 흡입노즐(22)로 교체하여 흡입력을 작게 할 수 있다. 광학렌즈(A)의 직경에 대응하여 흡입노즐(22)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탈거력검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
10: 고정부 11: 제1 고정부
111: 하우징 112: 덮개
112a: 관통구 12: 제2 고정부
121: 몸체 122: 연결링크
123: 가압봉 124: 손잡이
20: 흡입부 21: 본체부
21a: 유동로 211: 흡입호스
22: 흡입노즐 22a: 유로
30: 완충부 31: 주입호스
32: 공급장치 33: 압력계
40: 측정부 50: 구동부
51: 가이드막대 52: 슬라이더
53: 구동모터 54: 스크류봉
60: 케이스 61: 인디게이터
62: 터치스크린 63: 센서부
64: 에어리어 센서 65: 조작부
A: 카메라모듈 L: 광학렌즈

Claims (6)

  1. 광학렌즈를 둘러싸는 카메라모듈을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광학렌즈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부가 상기 광학렌즈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
    상기 흡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학렌즈가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이탈될 때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흡입부, 상기 완충부, 상기 측정부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내부에 상기 카메라모듈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광학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덮개를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덮개 사이에 상기 카메라모듈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흡입부는 상기 관통구를 통과하여 상기 광학렌즈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상기 광학렌즈는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흡입부에 흡착되는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형성된 유동로에 흡입호스가 연결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가 상기 유동로와 연통되며, 끝단이 상기 광학렌즈에 밀착되는 흡입노즐을 포함하는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광학렌즈의 직경에 대응하여 교체 가능한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
  5. 광학렌즈를 둘러싸는 카메라모듈을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광학렌즈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부가 상기 광학렌즈에 접촉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
    상기 흡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학렌즈가 상기 카메라모듈로부터 이탈될 때의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흡입부, 상기 완충부, 상기 측정부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막대와,
    상기 가이드막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부와 상기 완충부, 및 상기 측정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막대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봉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봉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더를 견인하는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
KR1020200019241A 2020-02-17 2020-02-17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 KR102269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41A KR102269403B1 (ko) 2020-02-17 2020-02-17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41A KR102269403B1 (ko) 2020-02-17 2020-02-17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403B1 true KR102269403B1 (ko) 2021-06-28

Family

ID=7660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241A KR102269403B1 (ko) 2020-02-17 2020-02-17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4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2782A (ja) * 2008-10-02 2010-04-15 Nec Electronics Corp 吸着装置および吸着方法
KR20180065177A (ko) 2016-12-07 2018-06-18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렌즈유닛 검사 시스템
US20180321502A1 (en) * 2017-05-02 2018-11-08 New Smart Technology Co.,Ltd. Assemb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2782A (ja) * 2008-10-02 2010-04-15 Nec Electronics Corp 吸着装置および吸着方法
KR20180065177A (ko) 2016-12-07 2018-06-18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렌즈유닛 검사 시스템
US20180321502A1 (en) * 2017-05-02 2018-11-08 New Smart Technology Co.,Ltd. Assemb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2615B (zh) 具有可切換背隙控制之結合強度測試器
WO2018137227A1 (zh) 按压测试装置、系统及方法
KR20140035923A (ko) 광 파이버 융착 접속기
KR102269403B1 (ko) 렌즈 탈거력 시험장치
CN212872713U (zh) Tws耳机充电盒的自动化测试系统
CN114839062A (zh) 一种光纤拉力测试仪
KR101407951B1 (ko) 모터 구동기 스프링팩 압축힘 및 압축거리 측정 시험 장치
CN110849736A (zh) 一种压力测试工装及其使用方法
CN116964428A (zh) 用于自动化样品测试的系统、方法和设备
CN201066316Y (zh) 一种活塞环张力的测量装置
CN108000108A (zh) 侧键fpc压合设备
KR102023544B1 (ko) 가스통의 가스 잔량 체크장치
JP2012052938A (ja) 材料試験機の軸心調整装置
CN211262461U (zh) 一种称重传感器性能测试装置
CN211317962U (zh) 一种铅笔硬度计
CN213516009U (zh) 光功率计
CN212008678U (zh) 一种开关变压器测试台
US20100107565A1 (en) Clip Pressure Monitoring using Piezometer
CN218956263U (zh) 刚度测试仪
KR101743922B1 (ko) 이어잭 어셈블리 검사장치
KR20180020780A (ko) 휴대용 소음 계측 장치 및 방법
CN113466050A (zh) 一种用于传感器壳体的水压试验装置
US11892432B2 (en) Multifunctional rock mechanics tester
KR102034128B1 (ko) 테이블형 프레스 장치
CN219201834U (zh) 一种电子线路测试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