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686B1 -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 - Google Patents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686B1
KR102268686B1 KR1020200181370A KR20200181370A KR102268686B1 KR 102268686 B1 KR102268686 B1 KR 102268686B1 KR 1020200181370 A KR1020200181370 A KR 1020200181370A KR 20200181370 A KR20200181370 A KR 20200181370A KR 102268686 B1 KR102268686 B1 KR 102268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jewelry
bar
displa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영
Original Assignee
엄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영 filed Critical 엄재영
Priority to KR1020200181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4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e.g. magazine, being pivotally moun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2Auxiliary equipment, e.g. for lighting cigars, opening bott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Abstract

액세서리가 포장된 케이스를 내장하는 진열장;을 포함하는,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ACCESSORY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매자가 선택한 쥬얼리를 구매자에게 매칭한 이미지를 출력하여 구매자가 쥬얼리를 착용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액세서리를 무인 판매하는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원하는 물품에 대하여 그에 상응하는 대가의 동전, 지폐 또는 이를 대신하는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여 결재하면 자동으로 상품을 제공하는 기계를 말한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무인판매방식으로 상품을 판매하기 때문에 인력을 절감하게 하며 언제 어디서든지 상품을 판매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상품을 표시하는 견본품을 투시창 내부에 진열하여 판매되는 상품을 소비자들이 인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귀걸이, 반지, 팬던트 등과 같은 쥬얼리 제품의 구매는 구매자가 직접 쥬얼리 전문점 또는 금은방 등을 방문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무인판매기를 통하여 쥬얼리를 구매하더라도 실질적으로 구매자가 착용할 수 없기 때문에, 착용 후 구매자와 어울리지 않는 등의 이유로 이용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액세서리를 상품으로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을 설치하되, 실내 벽체의 뒷 공간에 설치한 액세서리 매장 공간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진열된 상품에 흔들림 효과를 연출하도록 구비되는 연출부를 포함하는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구매가 완료된 상품을 배출구 측에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현된 배출 모듈을 포함하는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체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구매자가 선택한 쥬얼리를 구매자에게 매칭한 이미지를 출력하여 구매자가 쥬얼리를 착용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어 실제 장신구를 착용한 상태와 괴리감 없는 가상 착용 상태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은, 액세서리가 포장된 케이스를 내장하는 진열장;을 포함한다.
한편, 결제가 완료된 액세서리가 포장된 케이스를 사용자가 인출할 수 있도록 관통되어 마련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로 결제가 완료된 액세서리가 포장된 케이스를 배달하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진열장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진열장에 구비되어 액세서리가 포장된 케이스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출부는, 한 쌍 구비되고, 각각 설치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진열장의 상측에 설치 고정되며, 각각 종방향으로 복수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된 판 부재를 한 쌍 포함하고, 한 쌍의 판 부재가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며, 외주연을 따라 돌기부를 형성하는 제1 레그; 한 쌍 구비되고, 종방향으로 복수의 제2 관통 홀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판 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관통 홀 및 상기 제2 관통 홀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봉을 통해 상기 체결봉을 회전 축으로 하여 상기 제1 레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레그; 상기 제1 레그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돌기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의 하단에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직육면체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면에 액세서리가 포장된 케이스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고, 상측면에 안착된 액세서리가 포장된 케이스를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 고리를 포함하는 진열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진열 바아는, 일단부가 상기 진열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푸시 손잡이와 연결되어, 상기 푸시 손잡이의 당김 또는 밈 동작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레그는, 상기 진열 바아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체결봉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1 레그에 대하여 회동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레그에 상기 제2 레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레그를 감싸도록 상기 제1 레그의 돌기부에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제2 레그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동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진열장의 저면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이동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진열장의 저면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 상기 설치 브라켓에 설치되고, 승하강공간을 형성하는 보조 브라켓; 상기 보조 브라켓에 설치되고, 일측에 구비된 스프링을 통해 하방으로 탄성력을 가지며,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 상기 승하강공간에 걸쳐지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수직부가 상기 승하강공간을 따라 승강하고, 상기 단부에 접촉부를 형성하는 탄성 바아; 상기 탄성 바아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진열장으로 이동성을 제공하고, 회전에 따라 가압되는 경우, 상기 탄성 바아를 상승시키는 휠 부재; 및 상기 설치 브라켓에 상기 보조 브라켓과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공간의 천장 부분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스위치에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경우, 전원부의 전원 공급 차단을 위한 센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수평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액세서리를 손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보조 벽체를 포함하여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의 설치를 위한 설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을 보조 벽체의 안쪽에 내장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고장이나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연출부를 포함하여 액세서리라는 상품 특징에 맞추어 구매자가 직접 액세서리를 착용하고 움직이는 듯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이는 구매자의 합리적인 구매를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모듈을 포함하여, 구매자가 배출구에 손을 집어넣지 않아도 상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체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가 구매자를 촬영하고, 구매자가 선택한 쥬얼리와 매칭하여 구매자가 쥬얼리를 착용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어 쥬얼리를 구매하는 구매자에게 보다 탁월한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과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매장 공간 구조체의 설계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매장 공간 구조체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진열 바아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은 도 10에 도시된 제1 레그, 제2 레그 및 가이드 부재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모듈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매장 공간 구조체의 설계 도면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매장 공간 구조체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매장 공간 구조체(1)는 복수의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을 설치하여 액세서리의 무인 판매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매장 공간 구조체(1)는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벽체(10) 및 실내 공간 내에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의 설치 공간(11)을 형성하는 보조 벽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벽체(20)는 실내 공간에 형성되어 메인 벽체(10)와의 사이에 설치 공간(1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실내 공간은 보조 벽체(20)에 의해 메인 홀 및 설치 공간(11)으로 나뉠 수 있다. 이때, 고객은 메인 홀에만 머무를 수 있고 설치 공간(11)에는 진입할 수 없도록 보조 벽체(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 홀에는 테이블부(60)가 설치될 수 있다. 테이블부(60)는 액세서리 등의 판매용품이 진열될 수 있다.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은 액세서리를 무인으로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로, 설치 공간(11)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8를 참조하면, 보조 벽체(20)는 디스플레이 홀(21)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홀(21)은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에서 판매하는 액세서리가 진열되는 진열장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은 진열장이 디스플레이 홀(21)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설치 공간(11)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은 설치 공간(11)에 진입하지 못하더라도 메인 홀에서 디스플레이 홀(21)을 통해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에 진열된 상품의 확인이 가능할 것이다.
보조 벽체(20)는 디스플레이 홀(21)의 하단부에 배출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배출 홀은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의 상품 배출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은 설치 공간(11)에 진입하지 못하더라도 메인 홀에서 배출 홀을 통해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으로부터 구매한 상품을 인출할 수 있다.
보조 벽체(20)는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의 조작을 위한 키오스크 모듈(50)을 설치할 수 있다. 키오스크 모듈(50)은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과 연동될 수 있으며, 진열된 상품의 구매 시스템이 탑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매장 공간 구조체(1)는 보조 벽체(20)를 포함하여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의 설치를 위한 설치 공간(11)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을 보조 벽체(20)의 안쪽에 내장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고장이나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은 귀걸이 등의 액세서리를 무인으로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도 7 및 도 14에 도시된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은 진열장(110), 본체(120) 및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열장(110)은 판매할 상품(P)을 내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판매할 상품(P)은 액세서리로, 예컨대, 귀걸이 등의 액세서리가 포장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20)는 구매자가 진열장(110)에 내장된 상품(P)을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인터페이스, 상품(P)의 값을 결제하는 결제시스템, 진열장(110)에 내장된 상품(P)을 사용자가 인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160)에 배달하는 바스켓 및 인터페이스의 신호와 결제시스템의 신호를 받아서 바스켓이 상품(P)을 배달하도록 동작을 지령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체(120)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키오스크 모듈(50)로 대체될 수 있다.
도어(130)는 진열장(110)을 개폐할 수 있으며, 특히, 진열장(110)에 내장된 상품(P)의 상태, 수량 등을 구매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은 액세서리 상품(P)을 무인 자동 판매할 수 있도록 하여 구매자 및 판매자 모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은 도 9에 도시된 진열장(110), 본체(120) 및 도어(130)의 구성에 더하여 진열장(110)에 구비되어 상품(P)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연출부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출부(140)는 제1 레그(141), 제2 레그(142), 가이드 부재(144) 및 진열 바아(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그(141)는 한 쌍 구비될 수 있으며, 설치 플레이트(143)를 통해 진열장(110)의 상측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제1 레그(141)는 종방향으로 복수의 제1 관통 홀(141a)이 형성된 판 부재를 한 쌍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판 부재가 설치 플레이트(143)의 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레그(141)는 외주연을 따라 돌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레그(142)는 한 쌍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레그(14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레그(142)는 종방향으로 복수의 제2 관통 홀(142a)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그(142)는 제1 레그(141)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판 부재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관통 홀(141a) 및 제2 관통 홀(142a)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봉(146)을 통해 제1 레그(14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레그(142)는 체결봉(146)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4)는 제1 레그(141)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돌기부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4)는 제1 레그(141)에 삽입 설치된 제2 레그(142)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레그(142)의 전면 및 후면이 제1 레그(141)와 맞닿도록 삽입될 수 있으며, 가이드 부재(144)는 제2 레그(142)의 좌우 측면을 감싸도록 제1 레그(141)에 설치될 수 있다.
진열 바아(145)는 한 쌍의 제2 레그(142)의 하단에 한 쌍의 제2 레그(142)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레그(142)는 하단부에 진열 바아(145)의 삽입 설치를 위한 설치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진열 바아(145)는 직육면체의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측면에 상품(P)의 안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진열 바아(145)는 상측면에 안착된 상품(P)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 고리(145a)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P)은 진열 바아(145)의 상측면에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 고리(145a)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진열 바아(145)의 일단부는 진열장(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푸시 손잡이와 연결될 수 있다. 진열 바아(145)는 푸시 손잡이를 통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진열 바아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구매자에 의해 푸시 손잡이가 당기거나 밀어지는 경우, 진열 바아(145)로 당기거나 밀어지는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제2 레그(142)는 체결봉(146)을 축으로 하여 제1 레그(141)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레그(142)의 회동 각도는 가이드 부재(144)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은 도 10에 도시된 제1 레그, 제2 레그 및 가이드 부재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144)는 제1 레그(141)에 제2 레그(142)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레그(142)를 감싸도록 제1 레그(141)의 돌기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부재(144)는 내측에 회동 공간(144a)을 형성하여 제2 레그(142)가 회동 공간(144a) 내에서만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출부(140)는 진열장(110)의 내부에 상품(P)의 진열 공간을 제공하고, 구매자가 상품(P)을 좌우방향으로 흔들어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액세서리라는 상품(P) 특징에 맞추어 구매자가 직접 액세서리를 착용하고 움직이는 듯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이는 구매자의 합리적인 구매를 도울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은 도 9에 도시된 진열장(110), 본체(120) 및 도어(130)의 구성 및 도 10에 도시된 연출부(140)의 구성에 더하여 배출구(160)에 구비되어 구매자가 배출구(160)를 통해 본체(120) 내부로 손을 집어넣지 않아도 상품(P)을 보다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배출 모듈(60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모듈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배출 모듈(600)은 하우징(610), 회동부(620) 및 안착부(65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배출구(160)에 시소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되어 반동을 이용하여 상품(P)을 들어올릴 수 있다.
즉, 회동부(620)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결제가 완료된 상품(P)은 바스켓을 통해 안착부(650)로 배달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구매자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된 회동부(620)가 눌려 하강하는 경우, 안착부(650)가 상승함으로써 상품(P)이 배출구(160)와 대향하여 세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구매자는 손쉽게 상품(P)을 꺼낼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배출 모듈(600)은 하우징(610), 회동부(620) 및 안착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10)은 배출구(160)와 인접하도록 본체(120)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610)은 전면 패널(611), 후면 패널(612), 측면 패널(613) 및 바닥 패널(61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611) 및 후면 패널(612)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측면 패널(613)은 전면 패널(611) 및 후면 패널(612)의 양측면을 폐쇄하도록 배치되고, 바닥 패널(614)은 전면 패널(611), 후면 패널(612) 및 측면 패널(613)의 바닥면을 폐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 패널(611)은 본체(120)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본체(120)에서 배출구(16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 패널(611) 및 후면 패널(612)은 각각 상부에서 하부까지 개구되어 형성되는 전면 개구부 및 후면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후면 패널(612)은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61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612a)는 하우징(610)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회동부(62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함이다.
회동부(620)는 하우징(6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것처럼 일측 단부는 본체(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잇다.
구체적으로는, 회동부(620)는 회동 바아(621) 및 회동축(6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축(622)은 측면 패널(61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회동 바아(621)는 회동축(622)에 측면 패널(613)과 나란히 설치되어, 양 끝단이 각각 전면 패널(611) 및 후면 패널(612)에 형성되는 전면 개구부 및 후면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 바아(621)의 일측은 전면 패널(611)에 형성되는 전면 개구부를 통해 본체(1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회동 바아(621)는 일측이 구매자에 의해 눌러져 전면 개구부를 따라 하강하는 경우, 회동축(622)에 의해 시소처럼 동작하여 타측이 후면 개구부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또한, 회동 바아(621)는 일측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회동축(622)에 의해 시소처럼 동작하여 타측이 후면 개구부를 따라 하강하게 되는데, 스토퍼(612a)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이때, 스토퍼(612a)는 회동 바아(621)가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바닥 패널(614)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적절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부(650)는 회동부(620)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스켓으로부터 배달되는 상품(P)의 안착 공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안착부(650)는 회동 바아(621)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바닥 패널(614)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여 바스켓으로부터 배달되는 상품(P)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650)는 회동 바아(621)의 일측이 가압되는 경우, 상승하여 배출구(160)를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배출 모듈(600)은 단속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속부(650)는 회동 바아(621)의 일측이 본체(120)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다.
단속부(650)는 설치 블록(651a, 651b) 및 단속 바아(652)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 블록(651a, 651b)은 바닥 패널(614)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바닥 패널(614)은 회동하는 회동 바아(621)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개구부를 형성하는데, 설치 블록(651a, 651b)은 이러한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 마련될 수 있다.
단속 바아(652)는 한 쌍의 설치 블록(651a, 651b)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단속 바아(652)는 일측이 제1 설치 블록(651a, 651b)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측이 회동을 통해 제2 설치 블록(651a)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단속 바아(652)는 한 쌍의 설치 블록(651a, 651b)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바닥 패널(614)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막아 회동 바아(621)의 이동 경로를 폐쇄할 수 있다. 즉, 회동 바아(621)가 세워져 일측이 본체(120)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단속 바아(652)가 한 쌍의 설치 블록(651a, 651b)을 연결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 판매기(100)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거나, 자동 판매를 일시 중단하는 경우, 이러한 단속부(650)를 통해 회동 바아(621)가 본체(120) 내부로 들어간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은 저면에 마련되는 이동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모듈은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의 저면 각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는데, 휠 부재를 포함하여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진열장(11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동 모듈(800)은 설치 브라켓(810), 보조 브라켓(820), 탄성 바아(830), 휠 부재(840) 및 수평 감지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 브라켓(810)은 진열장(110)의 저면 각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 브라켓(820)은 설치 브라켓(810)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 브라켓(820)은 후술하는 탄성 바아(830)의 승하강공간(821)을 형성할 수 있다.
탄성 바아(830)는 보조 브라켓(820)에 휠 부재(840)를 연결할 수 있다.
탄성 바아(830)는 일측에 구비된 스프링(831)을 통해 하방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보조 브라켓(820)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 바아(830)는 수직부 및 수직부의 하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수직부의 상단에 스프링(83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수직부의 단부에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단턱이 승하강공간(821)에 걸쳐진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바아(830)는 단턱의 표면에 접촉부(832)를 구비할 수 있다. 접촉부(832)는 탄성 바아(830)가 승하강공간(821)을 따라 승강하는 경우, 승하강공간(821)의 천장 부분에 마련되는 스위치에 접촉하게 된다.
탄성 바아(830)는 하단이 가압되는 경우 승하강공간(821)에 삽입되도록 상승하고, 하단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스프링(831)의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공간(821)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강하되, 단턱에 의해 보조 브라켓(82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휠 부재(840)는 탄성 바아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휠 부재(840)는 진열장(110)으로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휠 부재(840)가 이동함에 따라 지면의 요철 등에 가압되는 경우, 탄성 바아(830)가 상승할 것이다.
수평 감지부(850)는 설치 브라켓(810)에 보조 브라켓(820)과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수평 감지부(850)는 승하강공간(821)의 천장 부분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위치에 접촉부(832)가 접촉되는 경우 센서 데이터를 발생시켜 전원부(900)로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부(900)는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의 동작 전원을 인가하고, 또 이를 제어하는 수단일 수 있으며, 수평 감지부(850)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로의 동작 전원 인가를 제한할 수 있다. 이는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의 이동 중에 전원을 자동 차단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과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0)은 진열장(110), 본체(120) 및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열장(110), 본체(120) 및 도어(130)는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전면부에 위치한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구매자를 촬영할 수 있고, 구매자가 선택한 해당 번호의 쥬얼리와 매칭하여 쥬얼리를 착용한 구매자의 착용샷을 기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70)가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구매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하르 유사 특징(Haar-like features) 분석법이 적용되 었으며, 얼굴 인식을 위한 하르 유사 특징(Haar-like features) 분석법은 이미 널리 알려진 얼굴 인식 기술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의 다양한 특징을 추출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특징으로는 피부톤, 얼굴 면적, 이목구비, 주름, 앞머리의 유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추출된 사용자의 얼굴 특징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가장 어울리는 색상, 패턴 등을 찾아 해당 색상이나 패턴 등이 적용된 쥬얼리를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톤을 웜톤과 쿨톤으로 구분하게 될 경우, 웜톤의 사용자에게는 따뜻하고 부드러운 색상의 쥬얼리를 추천하고, 쿨톤의 사용자에게는 밝고 시원한 색상의 쥬얼리를 추천해줄 수 있다.
또한, 얼굴 면적이 작은 사용 자에게는 줄무늬 또는 체크 패턴의 쥬얼리를 추천해줄 수 있으며, 이목구비가 크고 또렷한 사용자에게는 패턴이 거의 없는 쥬얼리를 추천해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나이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얼굴의 주름 여부를 통해 사용자의 연령대를 파악하여, 연령대에 맞는 쥬얼리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부(170)를 사용함으로서 여러 개의 쥬얼리를 한번에 볼 수 있고, 여러 개의 쥬얼리를 보다 신속하게 가상 착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자에게 가상 착용 편의를 제공하게 되면, 실제 구매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70)는 구매자의 실제 얼굴의 크기와 쥬얼리의 실제 크기에 맞추어 매칭한 착용샷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디스플레이부(170)로부터 표준 거리 이상으로 멀어진 채로 촬영하는 경우 구매자의 얼굴과 목의 길이에 맞추어 선택된 쥬얼리의 길이를 축소시켜 착용샷을 제공할 수 있고, 구매자가 표준 거리 이하로 가까워진 채로 촬영하는 경우 구매자의 얼굴과 목의 길이에 맞추어 선택된 쥬얼리의 길이를 확대시켜 착용샷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쥬얼리는 그 크기에 의하여서도 구매 결정이 내려지게 되는데, 구매자의 인식된 얼굴의 크기나 거리와 관계없이 쥬얼리를 매칭하는 경우, 쥬얼리의 실제 크기와 다르게 매칭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구매자의 구매의욕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70)의 경우는 인식되는 구매자의 얼굴과 쥬얼리의 크기를 맞추어 매칭해줌으로 인하여 착용샷을 확인하는 구매자에게 보다 정확한 착용샷을 제공할 수 있고, 구매의욕을 상승시킬 수 있다.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이 초과한 후, 구매자에게 착용샷에 해당하는 쥬얼리에 대해 결제를 진행할 것인지에 관한 여부를 확인하는 문구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구매자가 구매를 원하는 경우, 결제 화면으로 넘어가 결제를 진행할 수 있고, 결제가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쥬얼리를 직접 수령할 것인지 택배를 이용하여 자택에서 수령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70)는 태블릿 PC나 단말기 같은 휴대가 가능하며 전면에 카메라와 같이 촬영이 가능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고, 구매자의 얼굴을 촬영 및 인식하여 쥬얼리를 착용한 가상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액세서리 매장 공간
10: 메인 벽체
11: 설치 공간
20: 보조 벽체
21: 디스플레이 홀
100: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
50: 키오스크 모듈
60: 테이블부

Claims (2)

  1. 액세서리가 포장된 케이스를 내장하는 진열장;을 포함하고,
    상기 진열장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구매자를 촬영하고, 상기 구매자가 선택한 쥬얼리와 매칭하여 상기 쥬얼리를 착용한 상기 구매자의 착용샷을 기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결제가 완료된 액세서리가 포장된 케이스를 사용자가 인출할 수 있도록 관통되어 마련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로 결제가 완료된 액세서리가 포장된 케이스를 배달하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진열장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진열장에 구비되어 액세서리가 포장된 케이스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출부는,
    한 쌍 구비되고, 각각 설치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진열장의 상측에 설치 고정되며, 각각 종방향으로 복수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된 판 부재를 한 쌍 포함하고, 한 쌍의 판 부재가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며, 외주연을 따라 돌기부를 형성하는 제1 레그;
    한 쌍 구비되고, 종방향으로 복수의 제2 관통 홀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판 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관통 홀 및 상기 제2 관통 홀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봉을 통해 상기 체결봉을 회전 축으로 하여 상기 제1 레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레그;
    상기 제1 레그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돌기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의 하단에 상기 한 쌍의 제2 레그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직육면체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면에 액세서리가 포장된 케이스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고, 상측면에 안착된 액세서리가 포장된 케이스를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 고리를 포함하는 진열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진열 바아는,
    일단부가 상기 진열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푸시 손잡이와 연결되어, 상기 푸시 손잡이의 당김 또는 밈 동작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레그는,
    상기 진열 바아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체결봉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1 레그에 대하여 회동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레그에 상기 제2 레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레그를 감싸도록 상기 제1 레그의 돌기부에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제2 레그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동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진열장의 저면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이동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진열장의 저면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
    상기 설치 브라켓에 설치되고, 승하강공간을 형성하는 보조 브라켓;
    상기 보조 브라켓에 설치되고, 일측에 구비된 스프링을 통해 하방으로 탄성력을 가지며,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 상기 승하강공간에 걸쳐지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수직부가 상기 승하강공간을 따라 승강하고, 상기 단부에 접촉부를 형성하는 탄성 바아;
    상기 탄성 바아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진열장으로 이동성을 제공하고, 회전에 따라 가압되는 경우, 상기 탄성 바아를 상승시키는 휠 부재; 및
    상기 설치 브라켓에 상기 보조 브라켓과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공간의 천장 부분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스위치에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경우, 전원부의 전원 공급 차단을 위한 센서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수평 감지부;를 포함하는,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
  2. 삭제
KR1020200181370A 2020-12-22 2020-12-22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 KR10226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370A KR102268686B1 (ko) 2020-12-22 2020-12-22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370A KR102268686B1 (ko) 2020-12-22 2020-12-22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686B1 true KR102268686B1 (ko) 2021-06-22

Family

ID=7660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370A KR102268686B1 (ko) 2020-12-22 2020-12-22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6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91971A1 (en) * 2004-04-30 2005-11-02 uWink, Inc Interactive vending machine
KR20150091966A (ko) * 2014-09-15 2015-08-12 박대진 포장 제품의 자판기
US20180174125A1 (en) * 2016-12-21 2018-06-21 Bezalel's Jewelry Inc. Interactive jewelry vending machine
EP3731165A1 (en) * 2019-04-23 2020-10-28 Bulgari S.p.A. Jewelry ve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91971A1 (en) * 2004-04-30 2005-11-02 uWink, Inc Interactive vending machine
KR20150091966A (ko) * 2014-09-15 2015-08-12 박대진 포장 제품의 자판기
US20180174125A1 (en) * 2016-12-21 2018-06-21 Bezalel's Jewelry Inc. Interactive jewelry vending machine
EP3731165A1 (en) * 2019-04-23 2020-10-28 Bulgari S.p.A. Jewelry vend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3430B2 (en) Interactive and 3-D multi-senor touch selection interface for an automated retail store, vending machine, digital sign, or retail display
US10176469B2 (en) Interactive jewelry vending machine
US8082061B2 (en) Vending machines with lighting interactivity and item-based lighting systems for retail display and automated retail stores
US20130117137A1 (en) Consumer operated kiosk for sampling beauty produc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2017529641A (ja) 自動販売機
KR102097796B1 (ko) 자동판매기를 이용한 광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US6879961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isplaying wares and services including a mannequin and interactive display panel
CN107978072A (zh) 广告自动售货机
CN108685401A (zh) 一种多功能珠宝展示柜及其控制电路
CN107093129A (zh) 一种家具自助选购的智能终端
WO2009032772A2 (en) High product density interactive rotating kiosk with virtual tracking animation user interface
CN107657769A (zh) 无人便利店内使用的售货系统
KR102268686B1 (ko) 쥬얼리 무인판매 시스템
US20140330682A1 (en) Vending Machine for Selling Mobile Phone Accessories
KR102181045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IoT 플랫폼 기반의 광고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위생용품 자동 판매기
WO2013061924A1 (ja) 商品格納装置
KR102268622B1 (ko) 액세서리 밴딩머신
JP2014134906A (ja) 自動販売機
JP6001882B2 (ja) 遊技機システム
CN207220587U (zh) 一种多功能彩票展示柜
CN208596430U (zh) 一种珠宝自助售卖装置
JP2002074481A (ja) 自動販売機
CN110889928A (zh) 一种基于物联网的自动售卖装置
CN112967443B (zh) 一种智能感应零售终端
CN205486492U (zh) 一种新型自助奶茶贩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