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447B1 -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447B1
KR102268447B1 KR1020210019164A KR20210019164A KR102268447B1 KR 102268447 B1 KR102268447 B1 KR 102268447B1 KR 1020210019164 A KR1020210019164 A KR 1020210019164A KR 20210019164 A KR20210019164 A KR 20210019164A KR 102268447 B1 KR102268447 B1 KR 102268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uide
moisture
hydrogen
flo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준
Original Assignee
권오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준 filed Critical 권오준
Priority to KR102021001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25B15/085Removing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제거용 필터를 갖춘 보디 안에 수소 가스에서 분리한 수분량에 따라 부레 방식으로 동작하는 부유체를 장착함으로써, 수분량이 많아짐에 따라 부유체가 자동으로 상승하여 수분을 배출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수소발생기의 수분 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수분 제거용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수소 가스에서 제거된 수분량이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소 가스의 온도가 높아 겨울에도 보디 안의 수분이 얼지 않아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전기분해한 수소 가스의 압력이 높지 않더라도 필터를 통해 수분을 제거할 수 있어 수분 제거 효과를 높이면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수소발생기의 수분 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WATER DRAINAGE DEVICE FOR WATER SEPARATING FILTER OF HYDROGEN GENERATOR}
본 발명은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소발생기에서 발생한 수소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용 필터 안에 부레 방식으로 집수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수분제거 필터의 보디 안에 일정량의 수분이 모이면 부유체(부레)가 위로 움직이면서 자동으로 수분을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원으로도 사용되는 수소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여 얻는다. 이처럼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얻을 때는 수소와 산소에 수분이 함께 함유되어 있어,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수소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수분이 제거된 수소를 이용하게 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29914호
수소 발생 장치, 수소 발생 시스템 및 발전기 냉각용 수소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전 시에 수소이온이 수소 가스로 변환되는 음극과, 통전 시에 물이 수소이온, 산소 가스, 전하로 변환되는 양극과, 음극 및 양극 사이에 위치되고, 양극에서 발생된 수소 가스를 음극으로 전달하는 이온교환막과, 음극이 내장되도록 이온교환막 일면에 형성된 음극실과, 양극이 내장되도록 이온교환막 타면에 형성된 양극실과, 전하를 음극에 전달하거나, 전하를 양극으로부터 전달받도록 음극실 및 양극실 각각에 내장된 전류분배판을 포함하며, 물(순수)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수소 가스를 생성하게 되므로, 수소 발생 장치(전해 셀)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수소 발생 장치의 교체 및 정비가 손쉽고, 전단압력조절기 및 후단압력조절기를 통해 적정량의 수소 가스를 발전기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쓰리웨이 밸브에 의해서 수소 가스가 적정치를 초과해 누출될 가능성이 있을 때, 수소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므로, 수소 가스 점화에 의한 폭발 사고가 방지되는, 수소 발생 장치, 수소 발생 시스템 및 발전기 냉각용 수소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07811호
차량용 산소-수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산소-수소 혼합가스 발생장치는 복수의 전극판을 구비하고 전해액을 전기 분해하여 산소-수소 혼합가스를 발생하는 전해조, 차량의 제동신호를 감지하는 제동감지부, 상기 차량의 가속신호를 감지하는 가속감지부, 상기 제동감지부 및 상기 가속감지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전해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부, 전해액을 저장하고 상기 전해조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수조, 상기 전해조에서 만들어진 혼합가스의 수분과 전해질을 제거하는 수분제거필터, 및 상기 수분제거필터에서 걸러진 혼합가스가 엔진에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역화방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가속, 감속, 공회전 상태를 구분하여 상기 전해조의 혼합가스 발생량을 제어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750308호
대용량 수소 산소 혼합가스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공급 전원에 의한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 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부; 상기 가스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수소 산소 혼합가스를 모아주는 가스 집조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대용량 수소 산소 혼합가스 발생 시스템은 전기분해를 하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목적으로 전원 공급부(Power Supply Parts)와, 전기분해를 통해 가스를 직접 발생시키는 가스발생부(Gas Generator Parts)와, 각 Cell에서 발생한 가스를 모아주는 가스집조부와, 전원공급을 받아 가스를 발생시키고 가열되는 전해질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구비하며, 상기 Cell은 전해조를 의미한다.
이처럼 기존의 수소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수소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분을 제거하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 [도 1]과 같은 버블러(10)를 예로 들 수 있다. 버블러(10)는, 수분이 함유된 수소 가스를 물속에서 분사가 되게 하여 수분이 분리되게 하여 분리된 수소가스를 모아서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버블러와 같은 수분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수소 자동차와 같이 버블러가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해야 하는 수소발생 장치에서는 겨울철에 버블러 안에 있는 수분이나 물이 얼어버릴 우려가 있다.
(2) 또한, 버블러 안에는 수소에서 분리한 물이 집수됨에 따라 수위가 올라가게 되어 주기적으로 물을 배수시켜줘야 하나, 주기적으로 배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3) 만일, 이렇게 집수된 물을 배수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수분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 수소가 공급되어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장비에 큰 충격을 줄 수 있을 뿐만아니라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4) 또한, 수소발생기에서 생성한 수소 가스의 압력은 강하지 않음으로, 자동으로 수소 가스에서 분리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수분 제거 장치를 제작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29914호 (공개일: 2020.11.18)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07811호 (공개일: 2017.09.26) 한국등록특허 제10-1750308호 (등록일: 2017.06.19)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수분제거용 필터를 갖춘 보디 안에 수소가스에서 분리한 수분량에 따라 부레 방식으로 동작하는 부유체를 장착함으로써, 수분량이 많아짐에 따라 부유체가 자동으로 상승하여 수분을 배출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수분제거용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수소가스에서 제거된 수분량이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소가스의 온도가 높아 겨울에도 보디 안의 수분이 얼지 않아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처럼 수분제거용 필터를 이용함에 따라, 전기분해한 수소 가스의 압력이 높지 않더라도 필터를 통해 수분을 제거할 수 있어 수분 제거 효과를 높이면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는, 내부에 수분제거용 필터(F)를 갖춘 보디(B)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디(B)가 장착되었을 때 하부에 모인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배수 구멍(H)에 설치가 되되, 상기 보디(B) 안에서 바깥으로 돌출하게 강제로 설치되는 가이드(100); 수분량에 따라 상기 보디(B) 안내를 받아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가이드(100)를 막거나 개방하는 부유체(200); 및 상기 보디(B) 밖에서 상기 가이드(100)에 체결되어 고정하는 고정 너트(300)가 포함되되; 상기 가이드(100)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보디(B) 내부의 하부에 모인 수분을 배출하게 하는 유로(110);, 상기 유로(110) 입구에 형성된 턱에 걸리게 장착되어 상기 부유체(200)가 밀착할 수 있게 설치되는 O 링(120), 및 상기 가이드(100) 외주에 장착되어 상기 배수 구멍(H) 내면에 밀착하여 수분 누수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링(13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부유체(200)는, 상기 보디(B)를 따라 움직일 때 한쪽 끝이 상기 유로(110)에 끼워져서 안내하는 안내 돌기(210); 및 상기 부유체(200)와 안내 돌기(210)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100)의 입구 부분을 감싸면서 끼워져서 수분 배출을 차단하게 하는 자리(22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유체(200)는, 속이 비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부유체(200)는, 필터(F)와 마주하는 면이 상기 보디(B)의 폭 단면과 같은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가장자리에는 여러 개의 수분 홈(230)이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버블러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겨울철에 수소가스에서 수소를 분리하려고 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수분배출장치가 얼어서 동작하지 않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2) 수소가스에서 분리한 수분이 소량으로, 수소가스의 배출 압력으로 동작하지 않고 분리된 수분량에 따라 부유체가 뜨면서 수분을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자동으로 수분을 배출할 수 있어 수분배출장치를 별도로 관리하지 않더라도 수분 배출이 쉽고 편리하게 배출된다.
(3) 전기분해로 뜨거운 상태의 수소가스가 수분제거 필터를 통과하게 되므로, 수소가스에서 전해진 열기로 보디 내부가 데워지게 되어 겨울에도 수분제거 필터용 보디 내부가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부력을 이용하여 수분 배수가 이루어지므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쉽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쉽다.
[도 1]은 수소발생기에서 발생한 수소가스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버블러의 원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배출장치가 수분제거 필터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하여 일부를 전단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전단면한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 장치에 수분이 모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 장치에 모인 수분을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에는, [도 2] 내지 [도 7]과 같이, 내부에 수분제거용 필터(F)를 갖춘 보디(B)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이드(100)와 부유체(200) 그리고 고정 너트(30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부유체(200)는 수분제거용 필터(F)를 통과함에 따라 수소가스에서 분리된 수분이 집수됨에 따라 위로 상승하여 막았던 유로를 개방하여 집수된 수분이 보디(B) 밖으로 배출되게 구성함으로써, 수소발생기에서 생성한 수소가스에서 분리된 수분이 얼지 않게 하면서도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보디
보디(B)는,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술할 구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보디(B)에는, [도 2]와 같이, 수소발생기에서 발생한 수소가스가 지나가게 하고, 이처럼 수소가스가 지나가는 동안에 수소가스에 함유된 수분이 걸러져서 밑으로 떨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보디(B)에는 수분제거용 필터(F)가 장착되는데, 상기 수분제거용 필터(F)는 건식으로 수소가스가 관통해서 지나가게 하여 수소가스에 함유된 수분을 걸러주는 필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에어 필터로도 잘 알려진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이루어진 보디(B)에는, [도 2]와 같이, 수분 제거를 위해 보디(B)를 장착했을 때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수 구멍(H)이 관통 형성된다. 이는, 상기 수분제거용 필터(F)를 통해 여과된 수분이 중력을 받아 아래로 떨어지게 되므로, 이렇게 떨어져서 모인 수분이 이 배수 구멍(H)에 설치되는 가이드(100)를 통해 보디(B) 밖으로 쉽게 배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나. 가이드
가이드(100)는, [도 2]와 같이, 상술한 배수 구멍(H)에 장착되어 보디(B)에 집수된 수분을 보디(B)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안내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100)는 누수되지 않도록 보디(B)에 장착되고, 후술할 부유체(200)의 동작으로 집수된 수분을 배수하거나 배수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100)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유로(110), O 링(120), 그리고 차단 링(13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100)에는 보디(B)에서의 이탈 방지를 위한 턱(140)과 후술할 고정 너트(300)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 부분(150)이 더 형성된다.
1. 유로
유로(11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가이드(100) 한쪽을 상기 보디(B) 안에서부터 배수 구멍(H)으로 끼워서 장착할 때, 보디(B) 내부와 외부가 통하도록 가이드(100)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유로(110)는 가이드(100)의 양단을 잇는 가상 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2. O 링
O 링(12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유로(110)의 입구 부분에 형성된 턱에 걸려 이탈하지 않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O 링(120)은 후술할 부유체(200)가 보디(B)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이 O 링(120)에 밀착하게 되면 부유체(200)가 유로(110)를 막아 수분이 보디(B) 밖으로 배출되지 않게 하고, 반대로 부유체(200)가 O 링(120)에서 이탈하게 되면 그 사이로 보디(B) 안에 있는 수분이 유로(110)를 통해 보디(B)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3. 차단 링
차단 링(13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가이드(100)를 보디(B) 안에서 배수 구멍(H)에 끼워서 조립할 때, 이 배수 구멍(H)의 내면과 가이드(100) 사이에 끼여 이들 사이로 수분이 스며 나오거나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링이다. 이에, 상기 차단 링(130)은 적어도 하나를 가이드(100) 외주에 설치하여 수분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설치된다.
4. 턱
턱(14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O 링(120)이 장착되는 외주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턱(140)은 이 O 링(120)이 장착되지 않은 가이드(100) 부분이 보디(B) 안에서 배수 구멍(H)을 통해 보디(B) 안으로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때, 이 턱(140)이 배수 구멍(H)의 가장자리에 걸려 가이드(100)가 보디(B)에서 완전히 빠져나오지 않고 걸린 상태로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5. 나사 부분
나사 부분(15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가이드(100)의 외주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 부분(150)은 보디(B)에 장착되어 그 밖으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함으로써, 이 나사 부분(150)에 후술할 체결 너트(300)를 체결하여 가이드(100)가 보디(B)에 견고하게 고정이 될 수 있게 하고, 또한 체결 너트(300)에서 돌출된 부분에는 튜브나 커넥터 등을 연결하여 보디(B)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미리 정해진 위치로 배수될 수 있게 한다.
다. 부유체
부유체(200)는, [도 2]·[도 3] 및 [도 5]와 같이, 보디(B) 안에 설치되어 그 안에 집수한 수분량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술한 유로(110)를 개폐하는 작용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부유체(200)는, [도 5]와 같이, 내부가 비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유체(200)의 전체 중량을 줄여 적게 집수된 수분에도 쉽게 부유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러한 부유체(200)의 전체 중량은 보디(B) 안에 집수되는 수분량 전체를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유체(200)에는, [도 2]·[도 3] 및 [도 5]와 같이, 안내 돌기(210) 그리고 자리(220)가 포함된다. 또한, 부유체(200) 상부에는 여러 개의 수분 홈(230)이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다.
1. 안내 돌기
안내 돌기(210)는, [도 2]·[도 3] 및 [도 5]와 같이, 보디(B) 안에 집수된 수분에 부유하는 부유체(200)의 하부에서 아래로 향해 돌출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 돌기(210)는 바깥으로 돌출된 끝 부분이 상술한 유로(110)에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길게 돌출 형성함으로써, 보디(B) 안에 있던 수분이 상기 유로(110)를 통해 배출되어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안내 돌기(210)가 이 유로(110)에 끼워지면서 부유체(200)가 가이드(100)에 안정적으로 밀착하여 정해진 위치에서 유로(110)를 차단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안내 돌기(210)는 상기 유로(110)에 끼워져서 부유체(200)를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태로든지 제작할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길이가 긴 원뿔 형태로 제작된 예를 보여준다. 이는, 안내 돌기(210)가 유로(110)에 끼워짐에 따라 부유체(200)가 정해진 가이드(100) 위치에 밀착하면서 수분 배출을 차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2. 자리
자리(220)는, [도 2]·[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상술한 안내 돌기(210)가 시작되는 위치에 부유체(200) 안으로 돌출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자리(220)는 보디(B)에 집수된 수분이 유로(110)로 배출되어 상기 안내 돌기(210)가 유로(110) 안으로 끼워짐에 따라 상기 유로(110)의 입구 부분을 감싸서 수분 배출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상기 자리(220)는 유로(110)의 입구 부분에 밀착함에 따라 상술한 O 링(120)과 밀착하면서 가이드(100)의 끝 부분을 감싸면서 수분 배출을 차단하게 형성된다.
3. 수분 홈
수분 홈(230)은,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안내 돌기(210)가 형성되지 않은 부유체(200)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유체(200)면은 보디(B)의 폭 단면과 같은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부유체(200)가 보디(B) 안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쉽게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수분 홈(230)은 이 부유체(200)면의 가장자리에 같은 간격을 두고 여러 개를 형성함으로써, [도 6] 및 [도 7]과 같이, 수분제거용 필터(F)로 수소가스를 여과함에 따라 분리된 수분이 부유체(200) 위에 떨어져서 이 수분 홈(230)을 통해 부유체(200) 아래로 집수되게 하여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라. 고정 너트
고정 너트(300)는, [도 2]·[도 3] 및 [도 6]과 같이, 보디(B) 밖으로 돌출된 상술한 나사 부분(150)에 체결함으로써, 가이드(100)가 턱(140)과 고정 너트(300) 사이에 보디(B)가 끼게 하여 일체로 고정하게 하기 위한 너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수소발생기에서 발생한 수소가스를 수분제거용 필터로 걸러주는 보디 안에 설치하여, 집수된 수분의 부력을 이용하여 수분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100: 가이드
110: 유로
120: O 링
130: 차단 링
140: 턱
150: 나사 부분
200: 부유체
210: 안내 돌기
220: 자리
230: 수분 홈
300: 고정 너트
B: 보디
F: 수분제거용 필터
H: 배수 구멍

Claims (4)

  1. 내부에 수분제거용 필터(F)를 갖춘 보디(B)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디(B)가 장착되었을 때 하부에 모인 수분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배수 구멍(H)에 설치가 되되, 상기 보디(B) 안에서 바깥으로 돌출하게 강제로 설치되는 가이드(100); 수분량에 따라 상기 보디(B) 안내를 받아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가이드(100)를 막거나 개방하는 부유체(200); 및 상기 보디(B) 밖에서 상기 가이드(100)에 체결되어 고정하는 고정 너트(300)가 포함되되,
    상기 가이드(100)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보디(B) 내부의 하부에 모인 수분을 배출하게 하는 유로(110);, 상기 유로(110) 입구에 형성된 턱에 걸리게 장착되어 상기 부유체(200)가 밀착할 수 있게 설치되는 O 링(120), 및 상기 가이드(100) 외주에 장착되어 상기 배수 구멍(H) 내면에 밀착하여 수분 누수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링(130);이 포함되며,
    상기 부유체(200)는, 필터(F)와 마주하는 면이 상기 보디(B)의 폭 단면과 같은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디(B)를 따라 움직일 때 한쪽 끝이 상기 유로(110)에 끼워져서 안내하는 안내 돌기(210); 상기 부유체(200)와 안내 돌기(210)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100)의 입구 부분을 감싸면서 끼워져서 수분 배출을 차단하게 하는 자리(220); 가장자리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여러 개의 수분 홈(23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부유체(200)는,
    속이 비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
  4. 삭제
KR1020210019164A 2021-02-10 2021-02-10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 KR102268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164A KR102268447B1 (ko) 2021-02-10 2021-02-10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164A KR102268447B1 (ko) 2021-02-10 2021-02-10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447B1 true KR102268447B1 (ko) 2021-06-22

Family

ID=76600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164A KR102268447B1 (ko) 2021-02-10 2021-02-10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44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089A (ko) * 2007-05-08 2008-01-17 민승기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20140076540A (ko) * 2014-05-29 2014-06-20 (주) 테크윈 해수전해 및 연료전지 복합시스템
KR101750308B1 (ko) 2016-12-28 2017-06-26 주식회사 에스엠이노베이션 대용량 수소 산소 혼합가스 발생 시스템
KR20170107811A (ko) 2016-03-16 2017-09-26 주식회사 다음에너지 차량용 산소-수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44923B1 (ko) * 2017-11-15 2018-04-03 이준범 압축공기용 기액분리기
JP2019163523A (ja) * 2018-03-20 2019-09-26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水素ガス製造設備
KR20200129914A (ko) 2019-05-10 2020-11-18 한국전력공사 수소 발생 장치, 수소 발생 시스템 및 발전기 냉각용 수소 공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089A (ko) * 2007-05-08 2008-01-17 민승기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20140076540A (ko) * 2014-05-29 2014-06-20 (주) 테크윈 해수전해 및 연료전지 복합시스템
KR20170107811A (ko) 2016-03-16 2017-09-26 주식회사 다음에너지 차량용 산소-수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50308B1 (ko) 2016-12-28 2017-06-26 주식회사 에스엠이노베이션 대용량 수소 산소 혼합가스 발생 시스템
KR101844923B1 (ko) * 2017-11-15 2018-04-03 이준범 압축공기용 기액분리기
JP2019163523A (ja) * 2018-03-20 2019-09-26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水素ガス製造設備
KR20200129914A (ko) 2019-05-10 2020-11-18 한국전력공사 수소 발생 장치, 수소 발생 시스템 및 발전기 냉각용 수소 공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13405B2 (en) Metal/air battery with recirculating electrolyte
CN108172875A (zh) 尾气排水回收利用系统及包括该系统的燃料电池汽车
JP610006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用イオン交換装置
KR102268447B1 (ko) 수소발생기의 수분제거 필터용 수분배출장치
KR100897117B1 (ko) 자동차용 연료전지 스택의 응축수 배출장치
RU2005139391A (ru) Способ формовки свинцово-кислотных батарей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KR102656624B1 (ko) 수소 발생 장치, 수소 발생 시스템 및 발전기 냉각용 수소 공급 시스템
CN210296521U (zh) 一种集氢气水分离功能的燃料电池端板
CN104393370B (zh) 铝合金空气电池装置
CN207925584U (zh) 尾气排水回收利用系统及包括该系统的燃料电池汽车
CN215667664U (zh) 一种高压脉冲槽及其组成的污泥破壁脱水系统
KR101326509B1 (ko) 연료전지 시스템용 이온필터의 기포 배출 장치
CA3213540A1 (en) Method for treating process fluids, and filter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11296336B2 (en) Water separator for a fuel cell system
US4517261A (en) Hydrogen gas relief valve
CN210607471U (zh) 一种铝空燃料电池系统
CN208104564U (zh) 电解装置
KR19980019523A (ko) 산소압 증대 및 습도 조절 전지장치 (A batery apparatus for increasing pressure of oxygen and regulating humidity)
KR102621109B1 (ko) 해양 부착생물 저감 기능을 갖는 해수전지 시스템용 해수 공급장치
CA1221406A (en) Self-draining heat exchanger arrangement and method
EP0561938A1 (en) Metal/oxygen battery constructions
JPS6217486Y2 (ko)
KR20200119450A (ko) 금속공기전지용 전해질 순환처리장치
CN218203077U (zh) 一种氢气制造装置
CN219716905U (zh) 燃料电池氢气循环系统及其气水分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