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221B1 - 막대형(Bar Type) 누액감지센서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막대형(Bar Type) 누액감지센서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221B1
KR102268221B1 KR1020210051548A KR20210051548A KR102268221B1 KR 102268221 B1 KR102268221 B1 KR 102268221B1 KR 1020210051548 A KR1020210051548 A KR 1020210051548A KR 20210051548 A KR20210051548 A KR 20210051548A KR 102268221 B1 KR102268221 B1 KR 102268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detection
support plate
detection sensor
substrate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한테크
Priority to KR1020210051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6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by means of cables or similar elongated devices, e.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해조립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막대형(Bar Type) 누액감지센서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단부에 지지부재(9)를 구비한 지지판(8), 도전박막(17)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16), 그 기판(16)의 양단부에서 도전박막(17)이 맞물려 있는 커넥터(12), 몰딩(14)을 통해 커넥터(12)를 내부에 고정하고 상기 지지부재(9)에 끼움결합되는 박스형상 구조체, 상기 기판(16)을 덮는 유입구(6)와 통풍구(7)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커버(3), 그 보호커버(3)와 지지판(8)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4)와 클립(5), 상기 박스형상 구조체를 지지부재(9)에 끼움결합으로 고정시키는 스타트커버(1)와 엔드커버(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판(16)을 수용하고 있는 상기 지지판(8)의 상부에 보호커버(3)를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4)와 클립(5)으로 지지판(8)과 보호커버(3)를 밀착고정시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상적으로 흔히 접하는 클립 등의 부품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누액감지센서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누액감지센서의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오염물 제거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센서의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막대형(Bar Type) 누액감지센서 및 그 설치방법{Bar Type Leak Detection Unit and its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막대형(Bar Type) 누액감지센서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액감지센서의 구조를 분해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학약품 저장조가 설치된 지면이나 배수로 또는 집수정 등에 설치가 용이하고, 리셋과정 없이 이물질에 의한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설치장소 주변의 청소작업 후에도 감지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상태로 재사용이 가능한 막대형 누액감지센서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유해한 화학약품이 누출되는 경우, 그 누액이 토양, 지하수 등으로 침투하여 주변의 자연환경을 오염시킬 뿐 아니라 인체에도 치명적인 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화학약품의 취급은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며, 특히 유해한 화학약품의 저장조 주변에는 그 화학약품의 외부누출을 감지하는 시스템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현재 누액감지센서는 다양한 종류의 기술이 존재하고 있는데, 우선 전기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정전용량 방식, 저항방식(리니어 방식), 임피던스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이 알려져 있고, 누액감지센서의 구조에 따라 케이블형, 필름형, 모듈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기술 가운데 감지센서의 구조에 따라 분류되는 누액센서들은 그 구조적 특징이 각각의 설치위치와 시공방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기술개발의 방향은 시공 및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해 센서 자체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기존센서의 구조적 특징에 부합하는 최적의 시공기술을 찾는 방식에 초점을 맞춰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허 제10-2141930호(선행특허 1)에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누설되는 물, 유해화학용액 및 유기용액 등을 감지하는 누액센서의 상부에 보호커버를 부가하여 외력에 의해 그 누액센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여기에는 보호커버의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고정부 사이의 공간에는 보호커버 몸체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키면서 하측부위가 개방되도록 구성하여 지면으로 누설된 용액이 보호커버 몸체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유입공이 형성되며, 커버몸체의 상면형상을 확대렌즈부가 구성되도록 제작하여 보호커버를 제거하지 않고도 누액센서의 오염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기술사항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선행특허 1은 감지센서의 오염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누액센서의 오염물 제거를 위해서는 보호커버의 고정부재를 바닥면으로부터 분리하고, 오염물 제거작업 후에는 다시 센서와 보호커버를 고정부재로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센서의 오염물 제거작업이 번거롭고, 투명재질의 보호커버와 볼록렌즈 형상의 외관으로 인한 제조비용의 상승을 동반하며, 더욱이 누액감지장치를 좁은 공간에 설치할 경우에는 물청소작업 등을 위해 바닥면의 고정부재의 분리에 많은 시간과 공수를 투입해야만 하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또한, 특허 제10-1830026호(선행특허 2)에는 벽체(측벽)에서 흘러내리는 검출대상 유체물질을 검출할 수 있으면서 유해물질의 검출에 사용된 누액감지 센서의 검지부와 도전부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플랙시블 막대형 누액감지센서가 나타나 있다. 위 선행특허 2는 측벽에서 흘러내리는 검출대상 유체가 모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유체의 유입을 전기적으로 감지하는 검지부 및 그 검지부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면서 검출대상 액체가 검지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반응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위 선행특허 2는 검지부와 도전부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누액센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체에 별도의 고정부를 만들어야 하고, 누액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브라켓도 함께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시공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해질 수밖에 없고, 더욱이 반응부가 검출대상 물질에 용해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반응부의 사용수명이 제한적이며, 센서의 분리작업이 어려워 오염물 제거작업에도 많은 시간을 투입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선행특허문헌 1) 특허 제10-2141930호 (선행특허문헌 2) 특허 제10-1830026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누액감지센서를 분해조립이 용이한 막대형(Bar Type)으로 제작하고, 청소 후 리셋과정 없이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옥외에 설치된 화학약품 저장조의 바닥면이나 집수정 등에 안정된 자세로 설치가 용이하고, 이물질에 의한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저장조 주변에 대한 물청소 작업 후에도 감지성능이 유지되는 상태로 재사용이 가능한 막대형(Bar Type) 누액감지센서 및 그 설치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액감지센서는 누액감지대상 물질의 저장조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위치하여 누액감지신호를 케이블(10)을 통해 누액경보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양단부에 지지부재(9)를 구비한 지지판(8), 도전박막(17)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16), 그 기판(16)의 양단부에서 도전박막(17)이 맞물려 있는 커넥터(12), 몰딩(14)을 통해 커넥터(12)를 내부에 고정하고 상기 지지부재(9)에 끼움결합되는 박스형상 구조체, 상기 기판(16)을 덮는 유입구(6)와 통풍구(7)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커버(3), 그 보호커버(3)와 지지판(8)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4)와 클립(5), 상기 박스형상 구조체를 지지부재(9)에 끼움결합으로 고정시키는 스타트커버(1)와 엔드커버(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판(16)을 수용하고 있는 상기 지지판(8)의 상부에 보호커버(3)를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4)와 클립(5)으로 지지판(8)과 보호커버(3)를 밀착·고정시켜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누액감지센서는 스타트커버(1) 내의 커넥터(12)에는 케이블(10)이 연결되고, 엔드커버(2) 내의 커넥터(12)에는 전자소자(13)가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액감지센서와 케이블(10)로 연결되는 누액경보장치의 특성에 맞춰 엔드커버(2) 내의 전자소자(13)를 커패시터 또는 저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커넥터(12)의 이면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누액감지센서는 기판(16) 양단의 박스형상 구조체가 받침판(15)과 고정부재(11)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되, 그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커넥터(12)는 도전박막(17)과 맞물리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을 몰딩 처리하여 방수기능을 갖도록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누액감지센서를 설치하는 방법은 기판(16)을 수용하고 있는 지지판(8)의 상부에 보호커버(3)를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4)와 클립(5)으로 상기 지지판(8)과 보호커버(3)를 밀착·고정시켜 조립된 누액감지센서가 저장조의 바닥면에 고정되지 않고 지지판(8)의 하면이 바닥면에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누액감지센서를 설치하는 방법은 저장조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수로 또는 집수정 근처의 바닥면과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액감지센서의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수분이나 먼지 등의 오염물질 제거작업이 편리해지고, 좁은 공간에서도 시공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학약품 저장조가 설치된 바닥면의 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누액감지센서를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상적으로 흔히 접하는 클립(5) 등의 부품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누액감지센서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문성과 경험이 부족한 사람도 쉽게 누액감지센서의 분해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 및 오염물 제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염물에 의한 센서의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누액감지센서가 설치된 현장사진으로 (a)는 케이블형, (b)는 필름형, (c)는 포인트센서의 시공사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누액감지센서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전체 외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감지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누액감지센서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막대형 누액감지센서 및 그 설치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어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도면은 본 발명의 설명내용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크기와는 다를 수 있다는 점도 밝혀둔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누액감지센서가 설치된 현장사진으로, (a)는 케이블형 (b)는 필름형 센서의 시공사례이고, (c)는 포인트센서의 시공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서 보듯, 케이블형과 필름형은 화학약품 저장조의 둘레를 포위하도록 설치되어 화학약품의 누액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케이블형이나 필름형 누액센서는 저장조 등의 설비주변을 포위하도록 시공함으로써 모든 방향에서 누액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화학약품의 보관소나 저장조의 바닥면 환경이 열악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케이블형이나 필름형 센서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작업과 안전커버 등의 추가설비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시공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고, 이들 누액센서의 감지원리상 오염물에 의한 경보오류의 발생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더욱이 이들 센서는 1회용 소모품이기 때문에 1회의 누액감지 후에는 새로운 케이블이나 필름으로 교체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유지관리비용을 증가시킨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한편, 포인트센서는 누액이 감지되면, 곧바로 경광등이나 부저를 통해 경보가 가능하고, 누액상황 대처가 끝나면 간단히 물로 세척한 후 리셋버튼을 통해 초기화하여 바로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현실적으로 누액감지범위가 좁은 영역으로 한정되어 다수의 감지센서를 설치할 수밖에 없고, 바닥면 상태에 따른 노이즈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센서자체의 높은 저항과 잔류 세척수 등의 영향으로 오작동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으며, 바닥면과의 좁은 접촉면적으로 인해 야생동물에 의해서도 설치위치가 변동될 수 있는 정도로 안정성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센서들이 갖는 문제점에 착안한 것으로, 화학약품의 보관소나 저장조의 열악한 바닥면 환경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누액감지의 범위를 일정부분 확장할 수 있으면서 물청소 후에도 리셋절차 없이 수분을 닦아내는 것만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센서구조를 제안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누액감지센서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의 전체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의 누액감지센서는 지지부재(9)를 구비한 지지판(8)의 양단부에 누액경보기와 연결되는 케이블(10)이 인출되는 스타트커버(1)와 전자소자(13)가 부착된 커넥터(12)를 내장하고 있는 엔드커버(2)가 결합되고, 스타트커버(1)와 엔드커버(2) 사이에는 고정부재(4)와 클립(5)으로 고정되는 보호커버(3)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보호커버(3)의 측면에는 누액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6)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물청소 후의 원활한 수분증발이 가능하도록 통풍구(7)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8)의 하면은 저장조가 설치된 지면과 안정된 자세로 접촉될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상면도 도전박막(17)이 형성된 기판(16)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평면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기판(16)은 접착제를 통해 지지판(8)에 고정할 것도 전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으나, 물청소 등과 같은 오염물 제거작업의 편의를 위해서는 지지판(8)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막대형 누액감지센서의 길이는 고정된 규격이 아니라 화학약품의 저장조 크기나 저장조가 설치된 장소의 설비환경에 대응하여 적절한 길이로 제작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한편, 스타트커버(1)에는 누액경보장치(미도시)와 연결하는 케이블(10)을 인출할 수 있는 커넥터 구조물이 내장되어 있고, 엔드커버(2)에는 감지대상물질에 따라 몰딩에 의해 방수처리된 커넥터 구조물이 내장되어 있다. 특히, 엔드커버(2)에 내장된 커넥터에는 커패시터 또는 저항과 같은 전자소자가 연결되어 있는데, 그러한 전자소자는 누액감지센서와 케이블(10)로 연결되는 누액경보장치의 제어부(마이컴)의 특성에 맞춰 정전용량(또는 임피던스) 방식이면 커패시터를 연결하고, 저항방식(리니어 방식)이면 저항소자를 연결하도록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앞서 언급한 도2의 누액감지센서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듯, 본 발명의 누액감지센서는 지지부재(9)가 구비된 지지판(8), 도전박막(17)이 형성된 기판(16), 기판(16)의 양단부에서 도전박막(17)과 맞물려 있는 커넥터(12), 양단부의 커넥터(12)를 고정하는 박스(Box)형상의 구조체, 그 박스형상의 구조체를 고정하기 위한 스타트커버(1)와 엔드커버(2), 그리고 기판(16)을 덮는 보호커버(3)와 지지판(8)과 보호커버(3)을 밀착·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4)와 클립(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발명의 누액감지센서는 케이블(10)을 통해 외부에 설치된 누액경보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 각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센서의 최하부에는 양단에 지지부재(9)가 결합된 지지판(8)가 있고, 그 지지판(3)의 상면에는 도전박막(17)이 형성된 기판(16)이 위치한다. 그 기판(16)의 한쪽 단부에는 케이블(10)이 연결된 커넥터(12)가 도전박막(17)에 맞물려 있고, 다른쪽 단부에는 전자소자(13)를 구비한 커넥터(12)가 도전박막(17)에 맞물려 있다. 이때 이들 양단부의 커넥터(12)는 도전박막(17)에 맞물리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몰딩(14)을 통해 방수처리되며, 그러한 몰딩(14)은 받침판(15)과 고정부재(11)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박스(Box) 형상의 구조체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여기에서 기판(16)과 결합된 양단부의 박스형상 구조체는 지지판(8)의 상면에 구비된 두 쌍의 지지부재(9) 사이에 각각 끼움 결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16)의 상부에는 보호커버(3)를 올려놓고, 그 보호커버(3) 위에는 다시 적절한 간격으로 체결부재(4)를 위치시킨 다음, 클립(5)을 이용하여 체결부재(4)와 지지판(8)을 밀착시켜 결합한다. 마지막으로는 스타트커버(1)와 엔드커버(2)를 기판(16) 양단부의 박스형상 구조체에 끼움 결합시키면, 본 발명의 막대형 누액감지센서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만, 스타트커버(1)와 엔드커버(2)를 기판(16) 양단부의 박스형상 구조체에 끼움 결합하는 횟수가 반복되어 견고한 결합이 불가능한 상황에 대비하여 예비적으로 나사결합도 가능하도록 지지부재(9)와 양쪽 커버(1, 2)에 나사 홀(Hole)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누액감지센서에 의하면, 각 구성요소가 접착제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시중에 널리 유통되고 있는 통상의 클립(5)을 이용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특별한 도구 없이도 수작업으로 클립(5)과 스타트커버(1) 및 엔드커버(2)만 제거하면 누구나 쉽게 분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접착제나 나사 등의 소요자재가 줄어들어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고, 물청소 등의 오염물 제거작업에 드는 시간과 공수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도 단순하기 때문에 쉽게 분해할 수 있고 물청소 등의 오염물 제거작업을 마친 후 건조시킨 상태에서 다시 조립하면,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센서의 유지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 누액감지센서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데, 이는 단순한 예시일 뿐, 도 4와 같이 방호벽 내부에 설치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조가 설치된 바닥면의 구조에 따라 액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수로 또는 집수정 부근에 설치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액감지센서는 관련규정에 따라 유해성 화학물질 취급시설의 바닥면 둘레를 기준으로 실내는 10m, 실외는 20m마다 1개 이상의 센서를 설치해야 하고, 누출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15분 이내에 관할 지자체나 경찰서, 소방서 등에 신고하도록 의무화되어 있으며, 그러한 의무사항을 3회 위반시 영업허가를 취소하는 등의 벌칙규정에 의해 강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해 화학물질을 이용하거나 취급하는 산업현장이나 연구실 등에서는 누액감지센서를 설치할 수밖에 없는데, 사용하는 화학물질들이 점성이 강하지 않는 이상, 누출되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게 되고, 평지에선 주변에 넓게 펼쳐지는 방식으로 확산하게 된다. 따라서 화학물질이 누출될 경우 비교적 쉽고 빠르게 그 누액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포인트)를 선정하여 누액감지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도 4는 화학약품 저장조를 둘러싸는 방호벽의 내부에 본 발명의 누액감지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저장조의 바닥면이 평평하다면 배관의 이음부나 밸브가 설치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누액감지센서의 설치장소를 선정하고, 저장조의 바닥면에 집수정 등을 향해 유도로나 경사(구배)가 형성되어 있다면, 집수정 근처의 바닥면으로 누액감지센서의 설치장소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누액감지센서는 저장조의 바닥면에 스터드 등의 취부장치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바닥면에 올려놓는 방식의 면접촉 구조이기 때문에 누액경보장치와의 연결케이블(10) 길이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적합한 설치위치를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실제 현장에서는 저장탱크나 배관설비가 무수히 많기 때문에 관련 규정에 근거하여 각각의 탱크나 배관마다 누액감지센서와 연결케이블을 설치하게 되면, 외관상으로 복잡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누액감지센서의 설치위치는 연결케이블로 인한 외관의 훼손을 최대한 억제하는 방향으로 그 선정기준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누액감지센서의 설치방법에 의하면,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이 포인트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생동물로 인해 예상치 못한 센서의 위치변동을 방지할 수 있어 누액감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센서에 비해 누액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누액감지센서의 설치위치를 결정하는데 자유도가 높다는 장점을 살려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 : 스타트 커버 2 : 엔드커버 3 : 보호커버
4 : 체결부재 5 : 클립 6 : 유입구
7 : 통풍구 8 : 지지판 9 : 지지부재
10 : 케이블 11 : 고정부재 12 : 커넥터
13 : 전자소자 14 : 몰딩 15 : 받침판
16 : 기판 17 : 도전박막

Claims (7)

  1. 누액감지대상 물질의 저장조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위치하여 누액감지신호를 케이블(10)을 통해 누액경보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누액감지센서에 있어서,
    양단부에 지지부재(9)를 구비한 지지판(8);
    도전박막(17)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16);
    상기 기판(16)의 양단부에서 상기 도전박막(17)을 맞물고 있는 커넥터(12);
    몰딩(14)을 통해 상기 커넥터(12)를 내부에 고정하고 상기 지지부재(9)에 끼움결합되는 박스형상 구조체;
    상기 기판(16)을 덮는 유입구(6)와 통풍구(7)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커버(3);
    상기 보호커버(3)와 지지판(8)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4)와 클립(5);
    상기 박스형상 구조체를 지지부재(9)에 끼움결합으로 고정시키는 스타트커버(1)와 엔드커버(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판(16)을 수용하고 있는 상기 지지판(8)의 상부에 상기 보호커버(3)를 위치시킨 후 상기 체결부재(4)와 클립(5)으로 상기 지지판(8)과 보호커버(3)를 밀착 고정시켜 조립한 것이 특징인 막대형 누액감지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커버(1) 내의 커넥터(12)에는 상기 케이블(10)이 연결되고, 상기 엔드커버(2) 내의 커넥터(12)에는 전자소자(13)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막대형 누액감지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소자(13)는 누액경보장치의 특성에 따라 커패시터 또는 저항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누액감지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상 구조체는 받침판(15)과 고정부재(11)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커넥터(12)는 도전박막(17)과 맞물리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을 몰딩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대형 누액감지센서
  5. 누액감지대상 물질의 저장조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위치하여 누액감지신호를 케이블(10)을 통해 누액경보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누액감지센서를 설치방법에 있어서,
    양단부에 지지부재(9)를 구비한 지지판(8);
    도전박막(17)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16);
    상기 기판(16)의 양단부에서 상기 도전박막(17)을 맞물려 있는 커넥터(12);
    몰딩(14)을 통해 상기 커넥터(12)를 내부에 고정하고 상기 지지부재(9)에 끼움결합되는 박스형상 구조체;
    상기 기판(16)을 덮는 유입구(6)와 통풍구(7)가 형성되어 있는 보호커버(3);
    상기 보호커버(3)와 지지판(8)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4)와 클립(5);
    상기 박스형상 구조체를 지지부재(9)에 끼움결합으로 고정시키는 스타트커버(1)와 엔드커버(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판(16)을 수용하고 있는 상기 지지판(8)의 상부에 상기 보호커버(3)를 위치시킨 후 상기 체결부재(4)와 클립(5)으로 상기 지지판(8)과 보호커버(3)를 밀착고정시켜 조립한 막대형 누액감지센서의 지지판(8)의 하면이 저장조의 바닥면에 고정되지 않고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한 것이 특징인 누액감지센서의 설치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커버(1) 내의 커넥터(12)에는 상기 케이블(10)이 연결되고, 상기 엔드커버(2) 내의 커넥터(12)에는 전자소자(13)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막대형 누액감지센서의 설치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감지센서는 바닥면에 고정되지 않고 배수로 또는 집수정 근처의 바닥면에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한 것이 특징인 막대형 누액감지센서의 설치방법
KR1020210051548A 2021-04-21 2021-04-21 막대형(Bar Type) 누액감지센서 및 그 설치방법 KR102268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548A KR102268221B1 (ko) 2021-04-21 2021-04-21 막대형(Bar Type) 누액감지센서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548A KR102268221B1 (ko) 2021-04-21 2021-04-21 막대형(Bar Type) 누액감지센서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221B1 true KR102268221B1 (ko) 2021-06-23

Family

ID=7659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548A KR102268221B1 (ko) 2021-04-21 2021-04-21 막대형(Bar Type) 누액감지센서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2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026B1 (ko) 2017-01-13 2018-02-19 이재희 플렉시블 막대형 누액 감지 센서
KR20190109917A (ko) *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에프티에스에스 옥외용 누액 감지 센서
KR20200091276A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씨티에이 비접촉식 누액 센서
KR102141930B1 (ko) 2019-12-24 2020-08-06 성백명 누액감지센서용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026B1 (ko) 2017-01-13 2018-02-19 이재희 플렉시블 막대형 누액 감지 센서
KR20190109917A (ko) *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에프티에스에스 옥외용 누액 감지 센서
KR20200091276A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씨티에이 비접촉식 누액 센서
KR102141930B1 (ko) 2019-12-24 2020-08-06 성백명 누액감지센서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5370C (en) Sensor for detecting leakage of a liquid
US8994812B2 (e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the liquid level in a container, in particular for a removable container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and associated lens and method
KR20110007501A (ko) 누유 감지 장치
KR101830005B1 (ko) 누액 감지 센서
US7784341B2 (en) Liquid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for containers
CA3160051A1 (en) Water heater with an integrated leak detection system
KR102268221B1 (ko) 막대형(Bar Type) 누액감지센서 및 그 설치방법
US7907059B1 (en) Sewage pipe alarm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101932518B1 (ko) 리크감지센서용 케이스
KR101830026B1 (ko) 플렉시블 막대형 누액 감지 센서
KR101806762B1 (ko) 벽면취부형 누액 감지 센서
US20020109674A1 (en) Trackball units
KR20190014428A (ko) 광원을 이용한 리크센서
KR20210057742A (ko) 루프 멤브레인 무결성을 유지하는 습기 검출 및 인디케이터 시스템 및 사용 방법
KR20180019893A (ko) 발열구조를 갖는 리크감지센서용 케이스
JPH0470572B2 (ko)
CN208314966U (zh) 一种便于固定且具有报警功能的天然气泄漏测感仪
JP2011043020A (ja) 水位報知器
US202101319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ontaining liquid leaks
KR20210083759A (ko) 배관 역류 감지 장치
JP4379598B2 (ja) 防水型視覚センサ
WO2024089926A1 (ja) 水位計、水位計収納部材および水位計の設置構造
CN213812708U (zh) 液体压力收集反馈装置
CN210441976U (zh) 电子秤的防护结构
CN216483759U (zh) 漏液检测装置及体外诊断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