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162B1 - 흡입기 - Google Patents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162B1
KR102268162B1 KR1020167003430A KR20167003430A KR102268162B1 KR 102268162 B1 KR102268162 B1 KR 102268162B1 KR 1020167003430 A KR1020167003430 A KR 1020167003430A KR 20167003430 A KR20167003430 A KR 20167003430A KR 102268162 B1 KR102268162 B1 KR 102268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haler
reservoir
outlet
closed
val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5131A (ko
Inventor
마틴 오트
제페 파우스티안
소렌 다이링 젠센
Original Assignee
리이타 홀딩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0592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6816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리이타 홀딩스 엘티디. filed Critical 리이타 홀딩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60055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A61K9/0075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for inhalation via a dry powder inhaler [DPI], e.g. comprising micronized drug mixed with lactose carrier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3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dispensing more than one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3Mouthpieces therefor retrac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86Inhalation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6Hindering inhalation before activation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할로테라피를 위한 흡입기는 축 방향으로 사용자의 입으로 삽입을 위한 근위 단부 및 상기 근위 단부에 대향하는 원위 단부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흡입기는 유입구, 상기 근위 단부에 배치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로 연장되는 공기 통로, 그리고 방출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공기 통로에 연통되는 저장소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소는 미분화된 소금과 같은 분산 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기는 상기 유출구를 포함하는 근위부 및 상기 근위부에 부착되는 원위부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근위부는 '열린' 위치 및 '닫힌' 위치 사이에서 상기 원위부에 대해 상기 축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상기 흡입기는 유입구 밸브 부재, 유출구 밸브 부재 및 저장소 밸브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 유출구 및 저장소 밸브 부재들은 상기 근위부가 상기 '열린' 위치로부터 상기 '닫힌' 위치로 옮겨질 때에 상기 유입구, 상기 유출구 및 상기 방출 오리피스를 동시에 폐쇄하고, 동시에 상기 유입구를 개방시키며, 상기 유출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근위부가 상기 '닫힌' 위치로부터 상기 '열린' 위치로 옮겨질 때에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의 양을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방출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공기 통로로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흡입기{INHALER}
본 발명은 축 방향으로 사용자의 입으로 삽입을 위한 근위 단부 및 상기 근위 단부에 대향하는 원위 단부를 갖는 흡입기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흡입기는 유입구, 상기 근위 단부에 배치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로 연장되는 공기 통로, 그리고 방출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공기 통로에 연통되는 저장소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소는 분산 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호흡하여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을 흡입하며, 여기서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은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형성하도록 공기 스트림 내에 분산된다. 특정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할로테라피(halotherapy)를 위한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할로테라피는 호흡기 병태들의 증상들과 불편을 완화시키기 위한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치료이다. 핵심적인 요소로서, 할로테라피는 통상적으로 공기 중에 분산된 미분화된 소금의 에어로졸로서 사용자에 의한 소금 입자들의 흡입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치료가 실질적인 합병증들이 없이 적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최종 소비자/소비자 시장에 판매되기에 적합하지만, 이와 같은 치료의 광범위한 이용은 "계속 진행되는" 할로테라피의 사용하기 용이한 투여를 위해 이용 가능한 저렴한 패키지들의 부족으로 여전히 방해받고 있다. 또한, 최종 소비자/소비자 시장에서 제품의 승인은 통상적으로 디자인과 외양에 매우 민감하다. 흡입기의 경우, 시장에 의해 요구되는 이와 같은 제약은 쉽고 별개의 방식으로 투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인 구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출원 공개 공보 제2007/0062526호, 미국 특허출원 공개 공보 제2013/0125888호, 미국 특허 제5,161,524호 및 미국 특허 제5,699,789호에 개시된 흡입기들과 같이 의약품들의 투여를 위한 많은 흡입기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모든 이러한 흡입기들은 대개는 정확한 약품 주입을 위해 설계되고, 생산하기에 복잡하고 비싸며, 사용하기에 번거롭다. 또한, 공공장소에서의 투여가 요망될 수 있는 바와 같은 별도의 사용이 통상적으로 쉽게 가능하지 않다. 이에 따라, 쉽고 별도로 사용되며, 최종 소비자/소비자 시장에 대한 상업화에 적합한 저가의 흡입기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흡입기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과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흡입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흡입기는 축 방향으로 사용자의 입으로 삽입을 위한 근위 단부 및 상기 근위 단부에 대향하는 원위 단부를 가지고, 여기서 상기 흡입기는 유입구, 상기 근위 단부에 배치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로 연장되는 공기 통로, 그리고 방출 오리피스(release orifice)를 통해 상기 공기 통로에 연통되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소는 분산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기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근위부(proximal part) 및 상기 근위부에 부착되는 원위부(distal part)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근위부는 '열린(OPEN)' 위치 및 '닫힌(CLOSED)' 위치 사이에서 상기 윈위부에 대해 상기 축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여기서 상기 흡입기는 유입구 밸브 부재(valve member), 유출구 밸브 부재 및 저장소 밸브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 유출구 및 저장소 밸브 부재들은, 상기 근위부가 상기 '열린' 위치로부터 상기 '닫힌' 위치로 옮겨질 때에 상기 유입구, 상기 유출구 및 상기 방출 오리피스를 폐쇄하고, 상기 근위부가 상기 '닫힌' 위치로부터 상기 '열린' 위치로 옮겨질 때에 상기 유출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유입구를 개방시키며,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의 양을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방출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공기 통로로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분산 가능한 물질(dispersible substance)'이라는 용어는 에어로졸을 형성하도록 공기 중에 입자들로서 적어도 분산 가능한 물질은 언급하는 것이다. 상기 에어로졸은 분산된 상(phase)인 상기 입자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분산된 상은 본 발명의 경우에서는 공기인 연속적인 기체 상 내에 현탁된다. 상기 입자들은 고체 입자들 또는 액적들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기는 상기 근위부가 상기 원위부로부터 전개될 때에 상기 '열린' 위치에 있다. 상기 전개된 위치에서, 상기 근위부 및 상기 원위부는 서로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기는 상기 근위부가 상기 원위부를 향해 수축될 때에 상기 '닫힌' 위치에 있다. 상기 수축된 위치에서, 상기 근위부 및 상기 원위부는 함께 이동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위부는 상기 원위부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즉, 상기 근위부는 상기 축 방향을 따른 선형 활주 운동에 의해 전개되고 수축된다.
상기 흡입기는 사용자에 의해 한 손으로 지지되는 형상이 되고 치수가 조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기는 사용자의 손바닥의 오목한 곳에 알맞은 크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는 상기 원위부 주위를 쥐고 엄지손가락을 상기 근위부 상에 두어 상기 흡입기를 지지한다. 상기 사용자는 이제 상기 근위부를 상기 원위부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축 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근위부를 전개시킬 수 있다. 앞서 나타낸 방식으로 지지할 때, 이러한 운동은 통상적으로 엄지손가락을 상기 원위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근위부에 대해 누름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근위부가 전개되면,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가 개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흡입기를 통한 상기 공기 통로가 깨끗해진다. 동시에, 상당한 분산 가능한 물질이 상기 공기 통로로 전달된다. 상기 엄지손가락의 간단한 운동에 의해, 상기 흡입기는 이에 따라 상기 공기 통로가 차단되지 않고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의 양이 흡입을 위해 상기 공기 통로 내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열린' 위치로 전환된다. 상기 흡입기는 이제 작동된 상태에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유출구를 갖는 상기 흡입기의 근위 단부를 입에 대고 숨을 들이 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공기 스트림은 상기 공기 통로 내에 사용 가능하게 만들어진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의 양을 동반하고 분산시키며, 에어로졸이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에 대한 흡입 투여를 위해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방출된다. 흡입을 종료한 후, 상기 근위 부분은 상기 축 방향을 따른 간단한 활주 운동에 의해 상기 원위부 내로 쉽게 수축되며, 이에 따라 상기 근위부가 상기 '닫힌' 위치로 옮겨진다. 앞서 나타낸 방식으로 지지될 때, 이러한 운동은 예를 들면, 상기 근위부에 엄지손가락을 놓는 간단한 운동에 의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닫힌' 위치에서, 외부에 대해 모든 개구들이 닫히며,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주머니나 가방에 들어갈 때에 상기 공기 통로, 상기 저장소, 투여 메커니즘(dosing mechanism) 및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흡입기의 내부가 습기, 먼지 및/또는 때의 침입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보호된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기가 한 손으로의 동작에서 별도의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간단한 운동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소는 상기 근위부 내에 배치된다. 사용 시에, 상기 윈위부는 상기 원위부가 이동하는 동안에 통상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손에 지지되고 고정된다. 상기 저장소들을 상기 근위부 내에 배치함에 의해, 상기 저장소들은, 예를 들면 상기 근위부를 전개시킬 때에 상기 흡입기의 동작의 결과로서 자동적으로 흔들린다.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이 이에 따라 흔들리며, 그 결과로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방출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공기 통로까지의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의 전달/이송이 향상된다. 이는 특히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이 그렇지 않으면 함께 막는 경향이 있을 수 있는 고체 입자들의 분말일 때에 유리한 점이 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막힘이 상기 저장소 내에 저장된 물질이 상기 공기 통로로 적절하게 이송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사용자의 허파 내의 의도하는 표적 영역들에 적합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 내의 적절한 분산을 방해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 모두가 상기 근위부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흡입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는 상기 근위부의 주변 하우징 벽 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들은 상기 축 방향으로 멀어지게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마주하고, 상기 유입구 밸브 부재는 상기 근위부가 상기 '닫힌'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개구들을 덮는 상기 원위부의 주변 하우징 벽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 개구들을 상기 '닫힌' 위치에서 주변 벽으로 둘러쌈에 의해, 이송이나 저장 동안에 상기 유입구의 개선된 보호가 구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품의 위생이 개선된다. 상기 축 방향으로 멀어지게 외측 방사상으로 마주하는 상기 유입구 개구들을 갖는 측방으로의 위치는 상기 공기 스트림의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의미한다. 이는 유입되는 공기 스트림으로부터 고체 또는 액체 미립자 오염물들을 수집하는 충돌 디플렉터(deflector)/배플(baffle)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향의 변화들은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의 분산을 향상시키는 난류를 생성한다. 그 결과, 이러한 실시예는 에어로졸 형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출구는 축 방향으로 배향된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 밸브 부재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stem)을 통해 상기 원위부에 부착되는 플러그(plug)이며, 상기 플러그는 상기 근위부가 상기 '닫힌'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유출구를 차단한다. 상기 유출구 밸브를 상기 축 방향으로 바라볼 경우에 상기 흡입기의 근위부에 위치시키는 것은 상기 흡입기의 용이한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흡입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위부는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근위부에서 상기 유출구 밸브 부재로부터 상기 원위부까지 연장되는 중심축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중심축은 상기 축 방향을 따른 운동을 위해 선형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에 의해 상기 근위부에 연결된다. 상기 중심축은 구조를 위한 "근간(backbone)"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구조가 단단해지고, 상기 근위부 및 상기 원위부 사이의 선형 활주 연결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심축은 상기 유출구 밸브 부재 및 측부 가지들 상에 상기 저장소 밸브 부재들을 지닌다. 이에 따라 상기 유출구 및 저장소 밸브들의 동시 동작을 위해 간단하고 튼튼한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유출구 밸브는 상기 유출구를 통한 공기/에어로졸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유출구와 협력하는 상기 유출구 밸브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저장소 밸브는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공기 통로까지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의 전달/이송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방출 오리피스와 협력하는 상기 저장소 밸브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위부에 대한 상기 근위부의 진행/편위(excursion)를 제한하는 기계적 엔드 스톱(end stop)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스톱은 상기 근위부 상의 고정 요소(retaining element)와 협력하는 상기 원위부의 중심축의 측부 가지들에 의해 제공된다.
유리하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위부 및 상기 근위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래치(latch), 스프링을 갖는 캐치(spring-loaded catch), 상기 흡입기가 '닫힌' 수축된 위치에서 상기 근위부를 고정하도록 딤플(dimple)/그루브와 협력하는 주변에 위치하는 돌출부/림(rim)과 같은 상기 '닫힌' 위치에서 서로를 결속하기 위해 협력하는 잠금 수단들을 가진다.
또한 상기 흡입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출 오리피스는 상기 축 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저장소 밸브 부재는 상기 축 방향으로 진행되는 페그(peg)이며, 상기 페그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을 통해 상기 원위부에 고정되고, 여기서 상기 페그는 상기 근위부가 상기 '닫힌'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방출 오리피스를 차단한다. 이에 따라 단일 선형 운동에 의해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 밸브들과 함께 동시에 동작될 수 있는 저장소 밸브를 위한 간단한 설계가 구현된다. 또한, 사용 시에 상기 흡입기의 통상적인 동작이 상부 방향을 향하는 상기 근위부에서 상기 유출구를 지지하는 점에 유의한다. 즉, 상기 근위 단부가 중력에 대해 상기 원위부 보다 높이 위치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근위부 내에 저장소를 배치하는 것은 아래를 향하는(중력에 대해) 상기 방출 오리피스들을 의미한다. 이는 특히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이 중력에 대해 볼 경우에 통상적으로 아래로 흐르고, 이에 따라 상기 저장소의 바닥에 축적되는 고체 분말일 때에 이점이 된다.
또한, 상기 흡입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페그는 제1 밀폐 구역, 투여 부피를 한정하는 리세스 구역 및 제2 밀폐 구역을 갖는 투여 바늘(dosing need)로 형성되며, 상기 근위부가 상기 '닫힌'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밀폐 구역에서 상기 방출 오리피스가 차단되고 상기 리세스 구역이 상기 저장소와 연통되며, 상기 근위부가 상기 '열린'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2 밀폐 구역에서 상기 방출 오리피스가 차단되고 상기 리세스 구역이 상기 공기 통로에 연통된다. 상기 저장소 밸브 부재는 상기 '열린' 위치 및 상기 '닫힌' 위치 모두에서 상기 방출 오리피스를 밀폐하도록 형상이 결정되고 치수가 조절된다. 상기 저장소 밸브 부재는 투여 부피를 한정하는 투여 리세스(dosing recess)를 더 구비하여 제공된다. 상기 투여 부피는 상기 근위부가 수축될 때에 상기 저장소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근위부가 전개될 때에 상기 공기 통로 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투여 부피는 상기 근위부가 상기 '닫힌' 위치로부터 상기 '열린' 위치로 이동될 때에 상기 저장소의 내부로부터 상기 방출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공기 통로까지 이동한다. 이러한 진행 동안, 상기 투여 부피는 모두가 아니라 상기 저장소의 내부 또는 상기 공기 통로에만 연통되며, 이에 따라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의 정해진 양을 공기의 스트림 내의 분산을 위하여 상기 공기 통로로 이송하는 동안 오염이 방지되도록 주변 환경으로부터 밀폐되는 상기 저장소 내에 분산 가능한 물질의 저장을 유지하는 이송 락(transfer lock)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흡입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위부는 다른 방출 오리피스를 갖는 다른 저장소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저장소는 다른 분산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원위부는 다른 저장소 밸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저장소 밸브 부재는 상기 근위부가 상기 '열린' 위치로부터 상기 '닫힌' 위치로 옮겨질 때에 상기 다른 방출 오리피스를 폐쇄하고, 상기 근위부가 상기 '닫힌' 위치로부터 상기 '열린' 위치로 옮겨질 때에 상기 다른 분산 가능한 물질의 양을 상기 다른 저장소로부터 상기 다른 방출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공기 통로로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추가적인 저장소를 제공함에 의해, 수많은 이점들이 구현된다. 먼저, 두 장소들에서 별도의 전달 메커니즘들로부터 상기 공기 스트림 내로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을 제공함에 의해 향상된 에어로졸 형성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점은 각기 상기 공기 통로 내의 다른 위치로부터 분산 가능한 물질의 양을 동반하는 두 공기 스트림들의 대향 스트림을 생성함에 의해 보다 향상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통로의 제1 가지는 상기 유입구의 제1 개구로부터 제1 저장소와 연통되는 공통 혼합 챔버까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공티 통로의 제2 가지는 상기 유입구의 제2 개구로부터 제2 저장소와 연통되는 상기 공통 혼합 챔버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통로는 이에 따라 상기 두 가지들로부터의 공기 스트림들이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이 상기 두 저장소들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공통 혼합 챔버 내의 대향하는 흐름으로 서로 만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대향하는 흐름의 공기 스트림은 난류를 향상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 내에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의 혼합과 분산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도달되기 이전에 에어로졸 형성을 향상시킨다.
유리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기는 네 부품들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 부품들은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들과 같은 성형된 물질이 된다.
유리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소 내의 분산 가능한 물질과 상기 다른 저장소 내의 다른 분산 가능한 물질은 동일하다. 향상된 에어로졸 형성의 상술한 이점들 이외에도, 동일한 분산 가능한 물질을 갖는 두 개의 별도의 저장소들을 제공함에 의해 상기 흡입기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 저장소들의 하나 또는 관련 분산 기구들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도 다른 저장소로부터 여전히 전달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소 내의 분산 가능한 물질과 상기 다른 저장소 내의 다른 분산 가능한 물질은 상이하다. 이는 다른 분산 가능한 물질들이 결합되어 투여될 때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저장소들 내의 상기 다른 분산 가능한 물질들의 혼합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거나, 예를 들어 투여 이전에 함께 저장될 때에 두 가지 다른 분산 가능한 물질들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화학 반응들로 인하여, 또는 혼합물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다른 분산 가능한 물질들의 경향으로 인하여 가능하지 않는 경우에 이점이 된다. 별도의 저장소들 내에 다른 물질들을 저장하고, 상기 공기 스트림 내에 이들을 혼합하여, 하나의 결합된 에어로졸로 상기 다른 물질들의 결합된 투여가 가능하게 되고 및/또는 결합 치료를 위한 상기 흡입기 패키지의 수명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다른 분산 가능한 물질들의 조절된 혼합 비율로 개선된/조절된 혼합이 이루어진다.
유리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은 고체 입자들의 분말이다.
또한 상기 흡입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은 할로테라피(halotherapy)를 위해 적합한 소금, 바람직하게는 미분화된 소금, 가장 바람직하게는 미분화된 염화나트륨(NaCl)이다. 미분화된 염화나트륨은 할로테라피를 위해 적합한 알려진 활성 물질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흡입기는 모두 본질적으로 어느 곳에서나 저비용이고 사용하기 쉬운 패키지로 흡입을 위해 직접 사용 가능하며, 보호된 이송 가능한 패키지 내에 상기 미분화된 소금을 저장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흡입기는 이에 따라 특히 최종 수요자/소비자 시장에서 흡입 투여/할로테라피를 위한 미분화된 소금의 소매 유통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상기 흡입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은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범위 내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고체 입자들의 분말이다. 약 1㎛-5㎛의 입자 크기가 폐의 폐포에 도달되기 위해 표적화되는 반면, 5㎛ 이상의 입자 크기들은 통상적으로 기도의 상부들을 표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은 휘발성 액체이다. 상기 휘발성 액체는, 예를 들면, 표면으로부터 상기 휘발성 액체의 증발을 가능하게 하는 섬유상 매트릭스 내 또는 흡착성 물질 내의 모세관힘들에 의해 상기 저장소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은, 예를 들면 상기 휘발성 액체의 증기들을 상기 공기 통로에 도달시키고,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형성하도록 공기 내에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근위부가 전개될 때에 상기 저장소 밸브 부재들을 완전히 수축시킴에 의해 상기 방출 오리피스를 단지 차단 해제시켜 이송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휘발성 액체는 정유(essential oil)이다.
복수의 저장소들을 갖는 흡입기에 대하여, 분산 가능한 물질 및 다른 분산 가능한 물질이 모두 휘발성 액체인 점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액체 형태로 다른 분산 가능한 물질과 결합될 때에 습기를 흡수하기 쉬운 분말의 덩어리로 인한 바와 같이 공기 내에 서로 적절하게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들을 결합하지 않도록 주의가 요구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참부 도면들에서
도 1은 '닫힌' 위치(도 1a) 및 '열린' 위치(도 1b)에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의 상단면도이고,
도 2는 '닫힌' 위치(도 2a) 및 '열린' 위치(도 2b)에 있는 도 1의 흡입기의 측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흡입기의 분해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고체 분말의 흡입을 위한 흡입기(inhaler)(1)를 나타낸다. 상기 흡입기(1)는 근위부(proximal part)(2)와 원위부(distal part)(3)를 가진다. 상기 근위부(2)는 축 방향(파선 A)을 따라 상기 원위부(3)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근위부(2)가 수축되는 '닫힌(CLOSED)' 위치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근위부(2)가 전개되는 '열린(OPEN)'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근위부(2)는 방사형으로 외측으로 중심 축(A)에 마주하고 멀어지는 측부 상에 위치하는 두 유입구들(4)을 갖는 하우징 부분(20), 상기 흡입기의 근위 단부(P)에 위치하는 유출구(5), 그리고 상기 유입구(4)로부터 상기 유출구(5)까지 연장되는 공기 통로(10, 11, 12, 13)를 가진다. 상기 근위부(2)는 저장소들(8, 9)로부터 각각의 방출 오리피스들(release orifices)(6, 7)을 통해 상기 공기 통로 내의 공통 혼합 챔버(11) 내로 전송될 수 있는 분산 가능한 물질을 내부에 갖는 두 저장소들(8, 9)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출 오리피스들(6, 7)은 상기 저장소들(8, 9)을 한정하는 분리벽, 특히 상기 흡입기(1)의 원위 단부(D)를 향해 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이의 부분을 내에 배치된다. 상기 혼합 챔버(11)외에,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유입구(4)를 상기 혼합 챔버(11)와 연결하는 업스트림 부분(upstream section)(10) 및 상기 축 방향(A)을 따라 상기 혼합 챔버(11)를 상기 유출구(5)와 연결하는 다운스트림 채널(downstream channel)(12, 13)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입을 상기 유출구에 대고 숨을 들이쉬어 흡입한다. 상기 사용자의 흡입에 의해 구동되어, 공기가 상기 유입구(4)에서 흡입기(1)로 들어가고, 상기 유입구(4)로부터 업스트림 부분(10)을 거쳐 상기 혼합 챔버(11)로 흐르며, 상기 혼합 챔버(11)에서,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의 양이 상기 공기 스트림에 첨가되고, 상기 혼합 챔버 내에 유래/발생되는 난류로 인해 에어로졸을 형성하도록 상기 공기 스트림 내로 분산되고 혼합된다. 상기 에어로졸은 또한 상기 혼합 챔버(11)로부터 상기 다운스트림 채널 부분들(12, 13)을 통해 상기 유출구(5)로 상기 공기 스트림의 방향을 따르며, 그로부터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고 최종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폐에 도달한다.
상기 원위부(3)는 상기 근위부(2)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하우징 부분(30)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원위부(3)의 하우징 부분(30)은 상기 근위부(2)가 수축될 때에 상기 유입구들(4)을 덮고, 상기 근위부(2)가 전개될 때에 상기 유입구들(4)을 덮지 않는 주변 벽 부분들(14)을 가진다. 상기 벽 부분들(14)은 상기 공기 통로(10) 내로의 공기의 흡입을 차단하거나 차단하지 않도록 상기 유입구들(4)과 협력하는 유입구 밸브 부재들(valve members)을 형성한다. 상기 원위부(3)는 상기 흡입기(1)의 원위 단부(D)로부터 근위 단부(P)까지 연장되는 중심축(3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원위 단부(D)에서, 상기 중심축(31)은 적절한 부착 수단(32)에 의해, 예를 들면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글루잉(gluing)에 의하거나, 스냅 피트(snap fit) 체결에 의해 상기 하우징 부분(30)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근위 단부(P)에서, 상기 중심축(31)의 밸브 스템(valve stem) 부분은 유출구 밸브 부재(15)를 지닌다. 상기 유출구 밸브 부재(15)는 상기 근위부(2)가 상기 흡입기(1)의 원위부(3) 내로 수축될 때에 내부로부터 상기 유출구(5)의 개구 내로 끼워 넣어지는 약간 원추형의 형상을 갖는 플러그(plug)이며, 이에 따라, 상기 유출구(5)를 차단한다. 상기 중심축(31)은 측부 가지들(side branches)(33, 34)의 외측 단부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 부분들의 연장부 내에 페그들(pegs)로 형성되는 저장소 밸브 부재들(16, 17)을 갖는 측부 가지들(33, 34)을 더 지닌다. 상기 페그들은 상기 '열린' 위치 및 상기 '닫힌' 위치 모두에서 상기 방출 오리피스들(6, 7)을 밀폐하도록 형상이 정해지고 치수가 조절된다. 상기 페그들은 각기 투여 부피를 한정하는 투여 리세스들(dosing recesses)(18, 19)을 더 구비하여 제공된다. 상기 투여 부피(18)는 상기 근위부(2)가 상기 '닫힌'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저장소(8)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근위부(2)가 상기 '열린'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혼합 챔버(11) 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투여 부피(19)는 상기 근위부가 상기 '닫힌' 위치로부터 상기 '열린' 위치로 전개될 때에 상기 저장소(9)의 내부로부터 상기 오리피스(7)를 통해 상기 혼합 챔버(11)로 이동한다. 상기 진행 동안에, 상기 투여 부피들(18, 19)은 이들 모두는 아닌 상기 각각의 저장소들(8, 9)의 내부 또는 상기 혼합 챔버(11)에만 연통되며, 이에 따라 공기의 스트림 내의 분산을 위해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의 정해진 양을 상기 혼합 챔버(11)로 이송하는 동안에 오염이 방지되도록 주변 환경으로부터 밀폐되는 상기 저장소들(8, 9) 내에 분산 가능한 물질의 저장을 유지하는 이송 락(transfer lock)이 제공된다. 상기 유입되는 공기 스트림은 습기가 있는 액적들을 함유할 수 있다. 분산되는 분말 형상의 물질이 덩어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투여 부피를 형성하는 리세스가 상기 유입되는 공기 스트림으로부터 멀어지게 마주한다. 이에 따라, 상기 투여 부피 내의 액정의 침적의 위험과 이에 따른 덩어리짐의 위험이 크게 감소된다.
상기 근위부(2) 및 상기 원위부(3)는 상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31)의 원위 및 근위 부분들을 수용하는 베어링들(24, 25)을 갖는 선형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다른 미끄럼 베어링들이 상기 방출 오리피스들(6, 7) 내에 축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상기 페그 형상의 저장소 밸브 부재들(16, 17)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측부 가지들(33, 34)의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부분들은 전개 동안에 상기 근위부(2)의 진행을 제한하는 진행 스톱(travel stop)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 방식들의 일부 또는 모두에 의해, 특히 조립을 포함하여 저비용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간단한 구조로 상기 흡입기의 단단하고 튼튼한 설계가 이루어진다.
도 2는 상기 '닫힌' 위치(도 2a) 및 상기 '열린' 위치(도 2b)에 있는 도 1의 흡입기의 측면 사시도이다. 상기 흡입기(1)는 상기 원위부(3) 주위를 파지하고, 상기 근위부(2) 상에 엄지손가락을 두어 손바닥 내에 사용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는 경향이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근위부(2)는 그 외측 표면상에 마찰/파지 수단들(friction/gripping means)(29)을 구비한다. 이들 마찰/파지 수단들(29)에 상기 엄지손가락을 누름으로써, 상기 사용자는 상기 원위부(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근위부(2)를 밀어 상기 근위부(2)를 전개시킬 수 있다. 적합한 마찰/파지 수단(29)은, 예를 들면 딤플들(dimples), 돌출부들, 상기 근위부의 하우징 부분의 외측 표면에 적용되는 마찰 물질, 오목한 자국들(indentations), 리플들(ripples) 또는 이들의 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근위부(2)가 전개될 때, 측부 상의 상기 유입구(4)가 드러나며, 상기 유출구(5)가 열리고, 이에 따라 상기 공기 통로(10, 11, 12, 13)가 깨끗해진다. 상기 '닫힌' 위치에서, 외부에 대한 모든 개구들(4, 5)이 닫히며,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주머니가 가방 속에 이송될 때에 먼지나 때의 침입으로부터 상기 흡입기(1)의 내부가 보호된다. 엄지손가락의 간단한 운동에 의해, 상기 흡입기(1)는 유입구(4) 및 유출구(5)가 동시에 개방되었고, 동시에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의 양이 상기 공기 통로 상기 혼합 챔버(11)로 전달되었던 상기 '열린' 위치로 전환된다. 상기 흡입기(1)는 이제 작동된 상태에 있으며, 상기 사용자는 유출구(5)를 갖는 상기 흡입기(1)의 근위 단부(P)를 입에 대고 숨을 들이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공기 스트림은 상기 혼합 챔버(11) 내에 사용 가능한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의 양을 동한하고 분산시키며, 에어로졸이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에 대한 흡입 투여를 위해 상기 유출구(5)를 통해 방출된다. 이와 같은 사용 동안에 통상적인 위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1)의 근위 단부(P)는 상부 방향으로 향할 것이고, 그 결과로 상기 흡입기 내부의 상기 방출 오리피스들(6, 7)은 아래 방향(중력에 대하여)으로 향할 것이며, 이에 따라 분말 상태의 물질의 전달을 향상시키고/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원위부(3)를 유지하고 상기 저장소들(8, 9)을 포함하는 상기 근위부(2)를 미끄러지게 하여, 상기 저장소들(8, 9) 내부의 상기 분말 상태의 물질이 다른 수단들이 없이도 흔들리며, 이에 따라 간단하고 저비용의 구조로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의 전달이 보다 향상된다.
도 3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의 어셈블리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상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는 사출 성형과 같은 성형 기술에 의해 생산되는 네 부품들을 가진다. 상기 원위부(3)는 단일 조각의 하우징 부분, 그리고 일측 단부에 유출구 밸브 부재(15)를 갖고 대향하는 단부에 부착 수단(32)을 갖는 중심축(31)을 포함한다. 상기 중심축(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소 밸브 부재들(16, 17)을 지니는 측부 가지들(33, 34)을 가진다. 상기 중심축(31)은 상기 부착 수단(32)으로 스냅-피트 체결에 의해 외측 하우징 부분(30)의 내부에 부착된다. 상기 근위부(2)는 상부 하프-쉘(half-shell)(20b)의 내부 상에 협력하는 잠금 수단들(fastening means)(보이지 않음)을 결속시키는 하부 하프-쉘(20a) 상의 돌출부들(22)의 스냅 락(snap lock) 체결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두 하프-쉘들(half-shell)(20a, 20b)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중심축(31)은 상기 두 하프-쉘들(20a, 20b) 사이에 끼워진다. 조립되면, 상기 중심축(31)은 대응되는 하프-쉘들(24a/b, 25a/b)로 미끄럼 베어링들에 의해 수용된다. 이에 따라, 저비용이고 큰 부피의 생산을 위해 적합한 간단한 구조가 구현된다. 상기 근위부는 상기 하부 하프-쉘(20a) 내에 제공되는 저장소 측벽들 및 상기 하프-쉘(20b) 내에 제공되는 협력하는 저장소 밀폐 요소들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저장소 측벽들은 밀폐된 저장소들(8, 9)을 제공하도록 상기 두 하프-쉘들(20a, 20b)의 조립에 따라 서로 결속된다. 상기 두 하프-쉘들(20a, 20b)의 조립에 의해 상기 저장소들을 밀폐하기 이전에, 상기 저장소들은 미분화된 소금과 같은 분산 가능한 물질로 채워진다. 상기 밀폐된 저장소들(8, 9)은 상기 축 방향으로 배향된 페그 형상의 저장소 밸브 부재들(16, 17)을 수용하는 방출 오리피스들(6, 7)에 의해서만 관통된다. 상기 저장소 밸브 부재들(16, 17)은 상기 저장소들(8, 9)로부터 상기 공기 통로(10, 11, 12, 13)의 공통 혼합 챔버(11)로 분산 가능한 물질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방출 오리피스들과 협력한다.
1:흡입기
2:근위부
3:원위부
4:유입구
5:유출구
6, 7:방출 오리피스
8, 9:저장소
10, 11, 12, 13:공기 통로
14, 15, 16, 17:밸브 부재
18, 19:투여 부피
20:하우징
22, 23:체결 수단
24, 25:선형 미끄럼 베어링
29:마찰/파지 수단
30:하우징
31:중심축
32:체결 수단
33, 34:측부 가지들
A:축 방향을 따른 중심축
D:원위 단부
P:근위 단부

Claims (10)

  1. 축 방향으로 사용자의 입으로 삽입을 위한 근위 단부(P) 및 상기 근위 단부(P)에 대향하는 원위 단부(D)를 갖는 흡입기(inhaler)(1)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1)는 유입구(4), 상기 근위 단부(P)에 배치되는 유출구(5), 상기 유입구(4)로부터 상기 유출구(5)까지 연장되는 공기 통로(10, 11, 12, 13), 그리고 방출 오리피스(release orifice)(6)를 통해 상기 공기 통로(10, 11, 12, 13)에 연통되는 저장소(8)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소(8)는 분산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기(1)는 상기 유출구(5)를 포함하는 근위부(proximal part)(2) 및 상기 근위부(2)에 부착되는 원위부(distal part)를 가지며, 상기 근위부(2)는 상기 근위부(2)가 상기 원위부(3)로부터 전개되는 '열린(OPEN)' 위치 및 상기 근위부(2)가 상기 원위부(3)를 향해 수축되는 '닫힌(CLOSED)' 위치 사이에서 상기 원위부(3)에 대해 상기 축 방향(A)을 따라 선형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상기 흡입기(1)는 유입구 밸브 부재(14) 및 유출구 밸브 부재(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소(8)는 상기 근위부(2) 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4)는 상기 근위부(2)의 주변 하우징 벽(20) 내에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들을 구비하며,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구들은 상기 축 방향(A)으로부터 멀어지게 외측 방사형으로 마주하고, 상기 유입구 밸브 부재(14)는 상기 근위부(2)가 상기 '닫힌'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개구들을 덮는 상기 원위부(3)의 주변 하우징 벽(3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유출구(5)는 축 방향으로 배향되는 구멍들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 밸브 부재(15)는 상기 원위부(3)에 부착되는 플러그(plug)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근위부(2)가 상기 '닫힌'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유출구(5)를 차단하며;
    상기 방출 오리피스(6)는 상기 축 방향(A)으로 배향되고;
    상기 흡입기(1)는 저장소 밸브 부재(1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소 밸브 부재(16)는 상기 축 방향(A)으로 진행되는 페그(peg)로 형성되고, 상기 페그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stem)을 통해 상기 원위부(3)에 고정되며, 상기 근위부(2)가 상기 '닫힌'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페그가 상기 방출 오리피스(6)를 차단함에 따라,
    상기 유입구 밸브 부재(14), 상기 유출구 밸브 부재(15) 및 상기 저장소 밸브 부재(16)는 상기 근위부(2)가 상기 '열린' 위치로부터 상기 '닫힌' 위치로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원위부(3)를 향해 수축될 때에 상기 유입구(4), 상기 유출구(5) 및 상기 방출 오리피스(6)를 동시에 폐쇄하고, 동시에 상기 유입구(4)를 개방시키고, 상기 유출구(5)를 개방시키며, 상기 근위부(2)가 상기 '닫힌' 위치로부터 상기 '열린' 위치로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원위부(3)를 향해 전개될 때에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의 양을 상기 저장소(8)로부터 상기 방출 오리피스(6)를 통해 상기 공기 통로(10, 11, 12, 13)에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부(3)는 상기 축 방향(A)을 따라 상기 유출구 밸브 부재(15)로부터 상기 근위 단부(P)에서 상기 원위 단부(D)까지 연장되는 중심축(31)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축(31)은 상기 축 방향(A)을 따른 운동을 위해 선형 미끄럼 베어링들(24, 25)에 의해 상기 근위부(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그는 제1 밀폐 구역, 투여 부피(dosing volume)(18, 19)를 한정하는 리세스(recess) 구역, 그리고 제2 밀폐 구역을 갖는 투여 바늘로 형성되며, 상기 근위부(2)가 상기 '닫힌'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밀폐 구역에서 상기 방출 오리피스(6)가 차단되고 상기 리세스 구역이 상기 저장소(8)에 연통되며, 상기 근위부(2)가 상기 '열린'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2 밀폐 구역에서 상기 방출 오리피스(6)가 차단되고 상기 리세스 구역이 상기 공기 통로(11)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위부(2)는 상기 근위부(2) 내에 배열되고, 상기 축 방향(A)으로 배향되는 다른 방출 오리피스(7)를 통해 상기 공기 통로(10, 11, 12, 13)에 연통되는 다른 저장소(9)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저장소(9)는 다른 분산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원위부(3)는 상기 축 방향(A)으로 진행되는 페그로 형성되는 다른 저장소 밸브 부재(17)를 포함하고, 상기 페그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템을 통해 상기 원위부(3)에 고정되며, 상기 페그는 상기 근위부(2)가 상기 '닫힌'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방출 오리피스(6)를 차단하고, 상기 다른 저장소 밸브 부재(17)는 상기 근위부(2)가 상기 '열린' 위치로부터 상기 '닫힌' 위치로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원위부(3)를 향해 수축될 때에 상기 유입구(4), 상기 유출구(5) 및 상기 다른 방출 오리피스(7)를 동시에 폐쇄하고, 상기 근위부(2)가 상기 '닫힌' 위치로부터 상기 '열린' 위치로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원위부(3)를 향해 전개될 때에 상기 유입구(4) 및 상기 유출구(5)를 동시에 개방하며, 상기 다른 분산 가능한 물질의 양을 상기 다른 저장소(9)로부터 상기 다른 방출 오리피스(7)를 통해 상기 공기 통로(11)에 전달하도록 상기 유입구 밸브 부재(14) 및 상기 유출구 밸브 부재(15)와 함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은 할로테라피(halotherapy)를 위한 소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은 할로테라피를 위한 미분화된 소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은 미분화된 염화나트륨(Na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은 1㎛ 내지 10㎛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고체 입자들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가능한 물질은 1㎛ 내지 5㎛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고체 입자들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31)은 상기 유출구 밸브 부재(15) 및 측부 가지들 상에 상기 저장소 밸브 부재들(16, 17)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KR1020167003430A 2013-07-12 2014-07-10 흡입기 KR102268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1370395 2013-07-12
DK201370395A DK177788B1 (en) 2013-07-12 2013-07-12 Inhaler
PCT/EP2014/064799 WO2015004227A1 (en) 2013-07-12 2014-07-10 Inha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131A KR20160055131A (ko) 2016-05-17
KR102268162B1 true KR102268162B1 (ko) 2021-06-23

Family

ID=5105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430A KR102268162B1 (ko) 2013-07-12 2014-07-10 흡입기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10583261B2 (ko)
EP (1) EP3019225B1 (ko)
JP (1) JP6739332B2 (ko)
KR (1) KR102268162B1 (ko)
CN (1) CN105492056B (ko)
BR (1) BR112016000605B1 (ko)
CA (1) CA2917940C (ko)
CY (1) CY1123081T1 (ko)
DK (2) DK177788B1 (ko)
ES (1) ES2680154T3 (ko)
HU (1) HUE038547T2 (ko)
LT (1) LT3019225T (ko)
MX (1) MX2016000411A (ko)
NO (1) NO3019225T3 (ko)
PL (1) PL3019225T3 (ko)
PT (1) PT3019225T (ko)
RU (1) RU2676006C2 (ko)
TR (1) TR201803891T4 (ko)
WO (1) WO2015004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5646B4 (de) * 2014-01-30 2016-05-12 Klaus-Dieter Beller Pulverinhalator und Pulverinhalationsset
DE102014005647B4 (de) * 2014-01-30 2016-05-12 Klaus-Dieter Beller Pulverinhalator und Pulverinhalatorset
CA169756S (en) 2016-02-08 2017-09-0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cigarette
GB201605105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apparatus
GB201605100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2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Mechanical connector for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1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JP6976970B2 (ja) * 2016-07-07 2021-12-08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ニコチン吸入器システム
WO2018015712A1 (en) 2016-07-22 2018-01-25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Case for a vapour provision device
WO2020102455A1 (en) * 2018-11-13 2020-05-22 Infinity Salt Air Machine, Llc Portable halotherapy device for aerosolizing salt
MX2023006505A (es) * 2020-12-11 2023-06-21 Philip Morris Products Sa Sistema inhalador con perforacion desplazada.
KR20230119122A (ko) * 2020-12-11 2023-08-1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단일 평면 천공 요소를 갖는 흡입기 시스템
IL303416A (en) * 2020-12-11 2023-08-01 Philip Morris Products Sa Inhaler item holder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WO2024046582A1 (en) * 2022-09-02 2024-03-07 Liita Care Aps Pharmaceutical dry powder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ing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2161A1 (en) * 2004-08-27 2013-04-18 Alfred Von Schuckmann Inhaler For Powdered, Particularly Medical Substanc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72917A (en) 1985-07-30 1990-08-21 Paul Kenneth Rand 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aments to patients
AU650953B2 (en) * 1991-03-21 1994-07-07 Novartis Ag Inhaler
US5161524A (en) 1991-08-02 1992-11-10 Glaxo Inc. Dosage inhalator with air flow velocity regulating means
GB9124468D0 (en) 1991-11-18 1992-01-08 Smithkline Beecham Plc Novel device
US5699789A (en) 1996-03-11 1997-12-23 Hendricks; Mark R. Dry powder inhaler
JPH09322938A (ja) 1996-06-06 1997-12-16 Unisia Jecs Corp 吸入式投薬器
US5881720A (en) * 1997-04-29 1999-03-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delivering halotherapy
AU7290800A (en) * 1999-09-17 2001-04-24 Orion Corporation Moisture protected powder inhaler
WO2003061744A1 (en) * 2002-01-25 2003-07-31 Glaxo Group Limited Medicament dispenser
DE102007053590A1 (de) * 2007-11-09 2009-05-14 Astra Zeneca Ab Handgerät zum Inhalieren von Substanzen
US8123082B2 (en) 2008-01-22 2012-02-28 McNeil-AB Hand-held dispensing device
IT1401071B1 (it) * 2010-08-02 2013-07-12 Tecno Sun S R L Dispositivo per l'erogazione di sale medicale micronizzato
CH705799A1 (it) * 2011-11-24 2013-05-31 Luso Pharma Sagl Testa di erogazione multi-dose con otturatore a membrana elastica. originale: Testa di erogazione multi-dose perfezionat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2161A1 (en) * 2004-08-27 2013-04-18 Alfred Von Schuckmann Inhaler For Powdered, Particularly Medical Subst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83261B2 (en) 2020-03-10
DK3019225T5 (en) 2018-04-23
RU2676006C2 (ru) 2018-12-25
MX2016000411A (es) 2017-04-27
CA2917940A1 (en) 2015-01-15
KR20160055131A (ko) 2016-05-17
LT3019225T (lt) 2018-06-11
JP6739332B2 (ja) 2020-08-12
DK177788B1 (en) 2014-07-07
BR112016000605A2 (ko) 2017-07-25
DK3019225T3 (en) 2018-04-09
PT3019225T (pt) 2018-03-26
US20160151589A1 (en) 2016-06-02
HUE038547T2 (hu) 2018-10-29
RU2016104357A (ru) 2017-08-17
CA2917940C (en) 2021-08-31
PL3019225T3 (pl) 2018-07-31
TR201803891T4 (tr) 2019-02-21
CN105492056B (zh) 2019-06-18
JP2016539677A (ja) 2016-12-22
CN105492056A (zh) 2016-04-13
WO2015004227A1 (en) 2015-01-15
EP3019225A1 (en) 2016-05-18
BR112016000605B1 (pt) 2021-12-21
EP3019225B1 (en) 2017-12-20
CY1123081T1 (el) 2020-11-25
ES2680154T3 (es) 2018-09-04
NO3019225T3 (ko) 2018-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8162B1 (ko) 흡입기
US20190247607A1 (en) Inhalator
RU2393883C1 (ru) Простой ингалятор
KR0177265B1 (ko) 건분말 흡입기
ES2375870T3 (es) Atomizador.
US7556035B2 (en) Unit dose dry powder inhaler
JP2011524210A5 (ko)
US20170106154A1 (en) Dry powder inhaler
HU216770B (hu) Inhalálókészülék por alakú gyógyszerkészítmények adagolására
HU209475B (en) Device for the administration of powdered medicinal substances
EP2595684A1 (en) Inhaler
CN104114213A (zh) 通过吸入向病人施用粉末状药物的装置
CA2623658A1 (en) Inhaler device for moisture sensitive drugs and method of operating an inhal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