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773B1 -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773B1
KR102267773B1 KR1020170052080A KR20170052080A KR102267773B1 KR 102267773 B1 KR102267773 B1 KR 102267773B1 KR 1020170052080 A KR1020170052080 A KR 1020170052080A KR 20170052080 A KR20170052080 A KR 20170052080A KR 102267773 B1 KR102267773 B1 KR 102267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rs
interfering
signal
serving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643A (ko
Inventor
최유진
이흔철
조성윤
배동운
이정원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85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643A/ko
Priority to KR1020210074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2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 H04J11/003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at the receiver
    • H04J11/004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at the receiver using regenerative subtract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2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 H04J11/003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2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 H04J11/003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at the receiver
    • H04J11/004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at the receiver using joint detection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28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 H04L25/03866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using scramb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1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involving interference determination or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은, 수신된 신호로부터, 서빙(serving) 데이터 신호와 서빙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여 감소된 신호(diminished signal)를 생성하고, 상기 감소된 신호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가정된 간섭 DMRS 성분(hypothesized interference DMRS component)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ETEC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서빙 신호 제거(serving signal cancelation)와 함께, 간섭 복조 레퍼런스 신호 검출(interferenc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etection; 간섭 DMRS)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LTE(Long-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원하는 신호(또는 서빙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는 간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간섭 신호는, 서빙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의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장치가 간섭 신호의 모델을 소유하고 있다면, IAD(interference aware detection) 접근법에서, 간섭 신호를 제거하여 서빙 신호의 수신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간섭 신호의 모델을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는,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와 같은 사용자 장치에서, 간섭 복조 레퍼런스 신호(interferenc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를 특성화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장치는, 서빙 신호가 DMRS 기반 전송 모드로 전송되는지 결정하고, 만약 그렇다면 사용자 장치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서빙 DMRS를 제거시킬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사용자 장치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서빙 데이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남아있는 신호는, 네 개의 간섭 DMRS 후보들 각각에 있는 전력 양과 관련하여 분석되고, 신호에 간섭 DMRS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가설 테스트가 수행된다. 신호에 간섭 DMRS가 존재한다면, 간섭 DMRS의 랭크(rank), 간섭 DMRS 계층들 각각의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scrambling identity) 및 포트(port)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서빙 신호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간섭 DMRS를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있게 특성화시킬 수 있는 간섭 DMRS 검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은, 수신된 신호로부터, 서빙(serving) 데이터 신호와 서빙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여 감소된 신호(diminished signal)를 생성하고, 감소된 신호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가정된 간섭 DMRS 성분(hypothesized interference DMRS component)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시스템은, 수신된 신호로부터, 서빙(serving) 데이터 신호와 서빙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여 감소된 신호(diminished signal)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가정된 간섭 DMRS 성분(hypothesized interference DMRS component)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간섭 DMRS 특성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신호 대 잡음비의 함수로서 검출 오차의 그래프들이다.
도 3은 간섭 DMRS를 특성화하고, 간섭 인식 검출을 수행하는 시?메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NAICS(Network assisted interference cancelation and suppression)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 어드밴스드 릴리즈 - 12(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Release-12 (Rel-12))의 선택 사양으로써 채택되었다. NAICS의 이용은, 사용자 장치의 조각 (즉, 셀룰러 기지국에서 사용자 장치의 부분으로의 링크)에 대한, 다운 링크(downlink) (또는 포워드 링크(forward link))에서의 데이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치를 지칭하거나, 사용자 장치의 일부를 지칭하기 위해 셀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에 대한 다운링크 신호(즉, 셀룰러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고, 사용자 장치를 위해 의도된 신호로, 서빙 신호(serving signal)로 지칭한다.)는, 다양한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s (TMs)) 중 임의의 모드로 전송될 수 있고, 그 중 일부(예를 들어, TM2, TM3, TM4, 및 TM6)는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기반 전송 모드일 수 있고, 그 중 다른 일부(예를 들어, TM8, TM9, 및 TM10)는 DMRS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셀룰러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다른 다운링크 신호는, DMRS (본 명세서에서는 간섭 DMRS로 지칭됨)를 송신할 수 있다. DMRS는, 특히 전송 모드가 DMRS를 이용하는 것인 경우 서빙 신호의 DMRS 성분 및 전송 모드가 DMRS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경우 서빙 데이터 신호로 지칭될 수 있는 서빙 신호의 성분 중 어느 하나와, 서빙 신호를 간섭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은, 간섭 DMRS가 서빙 DMRS 또는 서빙 데이터 신호로써, 동일 리소스 요소에서 송신될 수 있기 때문에 발생될 수 있다. 각 리소스 요소(resource element (RE))는, 송신된 (서빙 또는 간섭) 신호를 형성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 중 어느 하나에서, 하나의 심볼에 의해 점유되는 위치일 수 있다.
간섭 인식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간섭 DMRS를 특성화하기 위해, 우선 간섭 DMRS가 간섭(또는 충돌)하는 서빙 신호의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즉, 수신된 신호로부터 간섭 DMRS가 간섭(또는 충돌)하는 서빙 신호의 성분을 제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감소된 신호(diminished signal)로 지칭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간섭 DMRS는, 감소된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있게 특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간섭 DMRS 특성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 (CE))은 단계(105)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110)에서, 간섭 백색화(interference whitening)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115)에서, 검출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120)에서, 디코딩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125)에서,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실패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단계(130)에서, 우세 간섭 신호(dominant interfering signal)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예를 들어, CRS RSRP 측정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CRC가 실패하지 않았거나, 또는 우세 간섭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경우,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종료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 장치는, 서빙 신호가 CRS 기반 전송 모드에서 송신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빙 신호가 CRS 기반 전송 모드에서 송신되는 경우, 단계(140)에서, (단계(115)의 검출 및 단계(120)의 디코딩 중 얻어진) 서빙 데이터 신호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서빙 신호가 CRS 기반 전송 모드에서 송신되지 않는 경우, 서빙 DMRS는, 단계(145)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서빙 데이터 신호는, 단계(140)에서, 검출기/디코더로부터의 하드 또는 소프트 출력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간섭 DMRC와 충돌하는 서빙 신호의 부분이 서빙 신호로부터 제거된 후 (즉, 서빙(serving) 데이터 신호 또는 서빙 DMRS 중 어느 하나의 제거), 오직 간섭 DMRS는, 간섭 DMRS에 의해 영향받은 리소스 요소에 남아있게 될 수 있다. 단계(140)와 단계(145)에서 수행되는 제거는, 예를 들어, 디코딩된 데이터 신호가 에러 (예를 들어, CRC 실패를 초래한 에러)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불완전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섭 DMRS의 특성화는, 효과적인 간섭 인식 검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충분히 양호한 것일 수 있다.
단계(150)에서, 복수의 간섭 DMRS 후보 각각의 전력 (또는 전력 레벨)이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간섭 DMRS 후보 각각은, 서로 다른 포트(즉, 안테나 포트)와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scrambling identity (SCID))의 조합에 대응될 수 있다. 네 개의 후보들은, 제1 내지 제4 간섭 DMRS 후보로 번호가 매겨질 수 있다. 즉, 제1 간섭 DMRS 후보는, 포트 7과 SCID0을 갖는 DMRS일 수 있다. 제2 간섭 DMRS 후보는, 포트 7과 SCID1을 갖는 DMRS일 수 있다. 제3 간섭 DMRS 후보는, 포트 8과 SCID0을 갖는 DMRS일 수 있다. 제4 간섭 DMRS 후보는, 포트 8과 SCID1을 갖는 DMRS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간섭 DMRS 후보들 각각에 대해, DMRS RE 위치에서 수신된 신호는, 대응하는 DMRS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디스크램블(descrambled)될 수 있다. 디스크램블된 DMRS 샘플들은, 채널이 하나의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 (RB)) 내에서 많이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하나의 리소스 블록 내의 모든 DMRS RE 위치에 대해 평균화될 수 있다. 각 DMRS 후보의 전력 추정 P i 는, 각 DMRS 후보에 대해 평균화된 DMRS의 크기 제곱을 취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포트 7 및 포트 8에 대한 DMRS RE에서 RB 당 수신된 신호 전력은, 아래의 식 1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7039675181-pat00001
(식 1)
여기서,
Figure 112017039675181-pat00002
는 포트 7 및 포트 8에 대한 DMRS RE에서 수신된 신호 제거 후에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j은 수신 안테나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다.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다. l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다. N r 은 수신 안테나의 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식 1과 같은 계산은, 리소스 블록 내의 12개의 DMRS 리소스 요소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식 1의 내부 합(inner sum)은, 편의상 12로 나누어질 수 있고, 그 결과 계산된 전력은 리소스 요소 당 전력이 될 수 있다.
채널이 하나의 리소스 블록(RB) 내에서 많이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간섭 DMRS 후보 i에 대한 RB 당 DMRS 전력은, 식 2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7039675181-pat00003
(식 2)
여기서,
Figure 112017039675181-pat00004
Figure 112017039675181-pat00005
는, 인덱스 (k, l)를 갖는 리소스 요소에서, DMRS 계층 i의 스크램블링 시퀀스 및 OCC(orthogonal cover code)일 수 있다. 식 2에서의 내부 합(inner sum)은, 편의상 12로 나누어질 수 있고, 그 결과 계산된 전력은 리소스 요소 당 전력이 될 수 있다. 네 개의 후보가 직교하고, 가능한 DMRS 신호들의 공간을 스팬(span)하기 때문에, 전력
Figure 112017039675181-pat00006
즉, 포트 7 및 포트 8에 대한 DMRS RE에서, RB 당 수신된 신호 전력은, 식 3과 같이 네 개의 DMRS 후보 각각의 전력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Figure 112017039675181-pat00007
(식 3)
단계(155)에서, 가설 테스트는, 가설이 적용된 간섭 DMRS 성분이 신호에 존재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가설이 적용된 간섭 DMRS 성분이 신호에 존재하는 경우, 랭크, 포트 번호, 및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가 무엇인지 결정될 수 있다. 이는, 7가지의 가설을 고려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7가지의 가설은, 제0 내지 제6 가설을 포함할 수 있다. 제0 가설은, 간섭 DMRS가 없다는 것일 수 있다. 제1 가설은, 간섭 DMRS 후보 1 (랭크 1)일 수 있다. 제2 가설은, 간섭 DMRS 후보 2 (랭크 1)일 수 있다. 제3 가설은, 간섭 DMRS 후보 3 (랭크 1)일 수 있다. 제4 가설은, 간섭 DMRS 후보 4 (랭크 1)일 수 있다. 제5 가설은, 간섭 DMRS 후보 1 및 후보 3 (랭크 2)일 수 있다. 제6 가설은 간섭 DMRS 후보 2 및 후보 4 (랭크 2)일 수 있다.
간섭 DMRS의 랭크가 2인 경우, 간섭 DMRS는 두 개의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계층 각각은, 포트 번호와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랭크가 1인 경우, 간섭 DMRS는 단일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테스트는, 두 개의 랭크 2 가설(제5 가설 및 제6 가설) 중 어느 하나가 관측에 맞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이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DMRS 후보는, 예를 들어, 제5 가설 및 제6 가설과 같이 쌍을 이룰 수 있다. 각 DMRS 후보는, 동일 SCID(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를 갖는 다른 후보와 쌍을 이룰 수 있다. 즉, DMRS 후보 1은 DMRS 후보 3과 쌍을 이룰 수 있고, DMRS 후보 2는 DMRS 후보 4와 쌍을 이룰 수 있다.
최대 전력을 갖는 DMRS 후보의 인덱스는, i max 로 표시될 수 있고, i max 와 쌍을 이루는 다른 DMRS 후보의 인덱스는
Figure 112017039675181-pat00008
로 표시될 수 있다. i max
Figure 112017039675181-pat00009
각각은, 식 4 및 식 5 각각과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17039675181-pat00010
(식 4)
Figure 112017039675181-pat00011
(식 5)
그 다음, 시스템은 만약 식 6과 같은 조건이 만족된다면, 간섭 DMRS는 랭크 2임을 선언할 수 있다.
Figure 112017039675181-pat00012
(식 6)
즉, 제1 테스트 비율은, 제1 임계값
Figure 112017039675181-pat00013
를 초과할 수 있다. 제1 테스트 비율은, 전력
Figure 112017039675181-pat00014
에 대한 최대 전력
Figure 112017039675181-pat00015
의 비율과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전력
Figure 112017039675181-pat00016
은, 예를 들어, 계산된 전력이 최대인 DMRS 후보와 쌍을 이룬 (다시 말해서, 동일한 SCID를 갖는) 다른 DMRS 후보에 대해 계산된 전력일 수 있다.
제1 임계값은, 1.0 미만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1 임계값은, 간섭 DMRS가 사실상 랭크 1일 때, 랭크 2가 선언될 가능성이 적당히 작을 정도로, 충분히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임계값은, 0.1 보다 크거나 작고, 1.0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임계값은, 0.5 내지 0.9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단 랭크가 선언되면, 간섭 DMRS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가설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다. 랭크 1이 선언된 경우, 만약 식 7의 조건이 만족된다면, 추가적인 가설 테스트는 간섭 DMRS가 존재한다고 선언할 수 있다.
Figure 112017039675181-pat00017
(식 7)
즉, 제2 테스트 비율은, 제2 임계값
Figure 112017039675181-pat00018
보다 클 수 있다. 제2 테스트 비율은, 최대 전력
Figure 112017039675181-pat00019
에 대한, 전체 전력
Figure 112017039675181-pat00020
및 최대 전력
Figure 112017039675181-pat00021
의 차이의 비율과 같을 수 있다.
제2 임계값은 간섭 신호 대 잡음 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제2 임계 값의 큰 값은, 높은 간섭 신호 대 잡음비에 적절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3dB의 간섭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해, 예를 들어, 제2 임계값은 0.2 내지 0.5의 범위 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랭크 1이 선언되고, 간섭 DMRS가 존재함이 결정된 경우, 최대 전력을 갖는 후보의 SCID 및 포트 번호는, 간섭 DMRS의 단일 계층의 SCID 및 포트 번호로 선언될 수 있다.
랭크 2가 선언된 경우, 만약 식 8의 조건이 만족된다면, 가설 테스트는 DMRS가 존재한다고 선언할 수 있다.
Figure 112017039675181-pat00022
(식 8)
즉, 제3 테스트 비율은, 제3 임계값
Figure 112017039675181-pat00023
보다 클 수 있다. 제3 테스트 비율은, 최대 전력
Figure 112017039675181-pat00024
과 전력
Figure 112017039675181-pat00025
의 합에 대한, 총 전력
Figure 112017039675181-pat00026
및 최대 전력
Figure 112017039675181-pat00027
과 전력
Figure 112017039675181-pat00028
의 합간의 차이에 대한 비율일 수 있다. 여기서, 전력
Figure 112017039675181-pat00029
는, 최대 전력을 갖는 DMRS 후보와 동일한 SCID를 갖는 다른 DMRS 후보의 전력일 수 있다.
랭크 2가 선언되고, 간섭 DMRS가 존재함이 결정된 경우, 최대 전력을 갖는 후보의 SCID와 포트 번호는, 간섭 DMRS의 두 계층 중 어느 하나의 SCID 및 포트 번호로 선언될 수 있다. 또한, 최대 전력을 갖는 후보와 쌍을 이루는 후보의 SCID 및 포트 번호는, 간섭 DMRS의 두 개의 계층 중 다른 하나의 SCID 및 포트 번호로 선언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Figure 112017039675181-pat00030
,
Figure 112017039675181-pat00031
, 및
Figure 112017039675181-pat00032
는, 식 9 내지 식 11에 따라 각각 선택될 수 있다.
Figure 112017039675181-pat00033
(식 9)
Figure 112017039675181-pat00034
(식 10)
Figure 112017039675181-pat00035
(식 11)
여기서,
Figure 112017039675181-pat00036
는, 데시벨 단위(dB)에서, 간섭 신호 대 잡음비일 수 있다.
일단 간섭 DMRS가 존재함이 결정되고, 랭크가 무엇인지, 각 계층의 포트 번호 및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는 무엇인지 결정되면, 단계(160)에서, 다른 간섭 파라메터는 블라인드 검출을 이용하여 검출되거나, (NAICS (network assisted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suppression)의 일부로서의)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될 수 있고, 간섭 인식 검출은 이러한 간섭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가설 테스트는, 비록 이들 중 하나만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신호 대 잡음비의 함수로서 검출 오차의 그래프들이다.
각 그래프의 타이틀에서 식별된 두 개의 전송 모드는, 각각 서빙 전송 모드 및 간섭 전송 모드일 수 있다. SNR로 표시된 수평 축은 서빙 신호 대 잡음비이며, 도 2a 내지 도 2c의 그래프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시뮬레이션에서의 간섭 신호 대 잡음비와 동일할 수 있다. 간섭 신호 대 잡음비는, 또한, INR로도 지칭될 수 있다. 검출 에러는 가설 테스트 에러일 수 있다. 즉, 검출 에러는, 시뮬레이션에서 7개의 가설 중 정확한 가설을 선언하지 않은 에러가 발생된 시간의 비율일 수 있다.
도 3은 간섭 DMRS를 특성화하고, 간섭 인식 검출을 수행하는 시?메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테나(305)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analog front end)(310)에서 증폭되고 다른 방식으로 프로세싱될 수 있고, 그 결과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이 생성되어 프로세싱 회로(315)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방식으로 프로세싱 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주파수 변환 블록, 하나 이상의 필터 및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315)는, 간섭 DMRS를 특성화하고, 간섭 인식 검출을 수행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예를 들어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앞서 기재한 설명에 비추어 보면, 몇몇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와 같은 사용자 장치의 일부에서, 간섭 DMRS를 특성화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서빙 신호가 DMRS 기반 전송 모드에서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서빙 신호가 DMRS 기반 전송 모드에서 전송되었다면, 사용자 장치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서빙 DMRS를 제거할 수 있다. 만약 서빙 신호가 DMRS 기반 전송 모드에서 전송되지 않았다면, 사용자 장치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서빙 데이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나머지 신호는 네 개의 간섭 DMRS 후보 각각에 있는 전력 양과 관련하여 분석될 수 있다. 또한, 간섭 DMRS가 신호에 존재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가설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다. 간섭 DMRS가 신호에 존재한다면, 간섭 DMRS의 랭크, 간섭 DMRS 계층 각각의 포트 번호 및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싱 회로는, 데이터 또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 하드웨어는, 예를 들어,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범용 또는 특수 목적 CPUs(central processing un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GPUs(graphics processing units), 및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프로세싱 회로에서, 각 기능은,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된 하드웨어 (즉, hard-wired) 또는 비일시적인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CPU와 같은, 보다 범용적인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단일 PCB 상에 제조되거나, 또는 몇몇 상호 접속된 PCB들 상에 분산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다른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는, PCB 상에 상호 접속된 두 개의 프로세싱 회로인 FPGA 및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개념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실질적으로", "약" 및 이와 유사한 용어들은, 근사의 용어로 사용되고, 정도(degree)의 용어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측정 또는 계산된 값의 내재되어 있는 편차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와 같은 표현은, 요소들의 전체 리스트를 변경하고, 리스트의 요소들 각각은 변경하지 않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할 때 "할 수 있다"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라는 용어는, 예 또는 설명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수치 범위는, 인용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동일한 수치 정밀도의 모든 하위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 내지 10.0의 범위는, 인용된 최솟값인 1.0과, 인용된 최댓값인 10.0 사이의 모든 서브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솟값은, 1.0과 같거나 크고, 최댓값은 10.0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0 내지 10.0의 범위는, 2.4 내지 7.6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최대 수치 제한은, 임의의 최대 수치 제한에 포함되는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최소 수치 제한은, 임의의 최소 수치 제한에 포함되는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305: 안테나 310: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315: 프로세싱 회로

Claims (20)

  1. 수신된 신호로부터, 서빙(serving) 데이터 신호와 서빙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여 감소된 신호(diminished signal)를 생성하고,
    상기 감소된 신호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가정된 간섭 DMRS 성분(hypothesized interference DMRS component)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랭크(rank)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상기 랭크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감소된 신호의 리소스 블록 내의 네 개의 전력 레벨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각각은, 네 개의 간섭 DMRS 후보 각각에 대한 전력 레벨이고,
    상기 네 개의 간섭 DMRS 후보는, 서로 다른 포트(port) 번호와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scrambling identity)의 조합을 갖고,
    상기 포트 번호는 7과 8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는 0과 1 중 어느 하나인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서빙 데이터 신호와 상기 서빙 DMRS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서빙 신호 성분이 상기 서빙 DMRS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서빙 신호 성분이 상기 서빙 DMRS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서빙 DMRS를 제거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서빙 신호 성분이 상기 서빙 DMRS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서빙 데이터 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서빙 데이터 신호를 제거하는 것은,
    상기 서빙 데이터 신호가 나타나도록, 검출기 또는 디코더로부터 하드 출력(hard output)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서빙 데이터 신호를 제거하는 것은,
    상기 서빙 데이터 신호가 나타나도록, 검출기 또는 디코더로부터 소프트 출력(soft output)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상기 랭크를 결정하는 것은,
    제1 테스트 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제1 테스트 비율이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상기 랭크를 2로 결정하고,
    상기 제1 테스트 비율이 상기 제1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상기 랭크를 1로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테스트 비율은, DMRS 후보와 동일한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를 갖는 다른 DMRS 후보의 전력 레벨에 대한,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중 최대 전력 레벨의 비율이고,
    상기 DMRS 후보는,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중 최대 전력 레벨을 갖는 상기 네 개의 간섭 DMRS 후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다른 DMRS 후보는, 상기 네 개의 간섭 DMRS 후보 중 다른 하나인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랭크가 1로 결정된 경우,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이 상기 수신된 신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제2 테스트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테스트 비율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테스트 비율은,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중 최대 전력 레벨에 대한,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의 총합과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중 최대 전력 레벨의 차이의 비율인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각 계층의 포트 번호 및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상기 각 계층의 포트 번호 및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포트 번호 및 상기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가, 상기 최대 전력 레벨을 갖는 상기 DMRS 후보의 것이 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랭크가 2로 결정된 경우,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이 상기 수신된 신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제3 테스트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제3 테스트 비율이 제3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테스트 비율은,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중 최대 전력 레벨 및 상기 다른 DMRS 후보의 전력 레벨의 합에 대한,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의 총합 및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중 최대 전력 레벨과 상기 다른 DMRS 후보의 전력 레벨의 합간의 차이에 대한 비율이고,
    상기 다른 DMRS 후보는,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중 최대 전력 레벨을 갖는 상기 DMRS 후보와 동일한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를 갖는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각 계층의 포트 번호 및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상기 각 계층의 포트 번호 및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제1 계층의 포트 번호 및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가, 상기 최대 전력 레벨을 갖는 상기 DMRS 후보의 것이 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제2 계층의 포트 번호 및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가, 상기 최대 전력 레벨을 갖는 상기 DMRS 후보와 동일한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를 갖는 상기 다른 DMRS 후보의 것이 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11. 수신된 신호로부터, 서빙(serving) 데이터 신호와 서빙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여 감소된 신호(diminished signal)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가정된 간섭 DMRS 성분(hypothesized interference DMRS component)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랭크(rank)를 결정하고,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상기 랭크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감소된 신호의 리소스 블록 내의 네 개의 전력 레벨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각각은, 네 개의 간섭 DMRS 후보 각각에 대한 전력 레벨이고,
    상기 네 개의 간섭 DMRS 후보는, 서로 다른 포트(port) 번호와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scrambling identity)의 조합을 갖고,
    상기 포트 번호는 7과 8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는 0과 1 중 어느 하나인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서빙 데이터 신호와 상기 서빙 DMRS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서빙 신호 성분이 상기 서빙 DMRS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서빙 신호 성분이 상기 서빙 DMRS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서빙 DMRS를 제거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서빙 신호 성분이 상기 서빙 DMRS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서빙 데이터 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서빙 데이터 신호를 제거하는 것은,
    상기 서빙 데이터 신호가 나타나도록, 검출기 또는 디코더로부터 하드 출력(hard output)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서빙 데이터 신호를 제거하는 것은,
    상기 서빙 데이터 신호가 나타나도록, 검출기 또는 디코더로부터 소프트 출력(soft output)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시스템.
  15. 삭제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상기 랭크를 결정하는 것은,
    제1 테스트 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제1 테스트 비율이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상기 랭크를 2로 결정하고,
    상기 제1 테스트 비율이 상기 제1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상기 랭크를 1로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테스트 비율은, DMRS 후보와 동일한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를 갖는 다른 DMRS 후보의 전력 레벨에 대한,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중 최대 전력 레벨의 비율이고,
    상기 DMRS 후보는,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중 최대 전력 레벨을 갖는 상기 네 개의 간섭 DMRS 후보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다른 DMRS 후보는, 상기 네 개의 간섭 DMRS 후보 중 다른 하나인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랭크가 1로 결정된 경우,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이 상기 수신된 신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제2 테스트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테스트 비율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테스트 비율은,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중 최대 전력 레벨에 대한,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의 총합과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중 최대 전력 레벨의 차이의 비율인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각 계층의 포트 번호 및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고,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의 상기 각 계층의 포트 번호 및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포트 번호 및 상기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가, 상기 최대 전력 레벨을 갖는 상기 DMRS 후보의 것이 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시스템.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랭크가 2로 결정된 경우,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이 상기 수신된 신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제3 테스트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제3 테스트 비율이 제3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정된 간섭 DMRS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테스트 비율은,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중 최대 전력 레벨 및 상기 다른 DMRS 후보의 전력 레벨의 합에 대한,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의 총합 및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중 최대 전력 레벨과 상기 다른 DMRS 후보의 전력 레벨의 합간의 차이에 대한 비율이고,
    상기 다른 DMRS 후보는, 상기 네 개의 전력 레벨 중 최대 전력 레벨을 갖는 상기 DMRS 후보와 동일한 스크램블링 아이덴티티를 갖는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시스템.
  20. 삭제
KR1020170052080A 2017-01-19 2017-04-24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2267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778A KR102564371B1 (ko) 2017-01-19 2021-06-09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48288P 2017-01-19 2017-01-19
US62/448,288 2017-01-19
US15/462,665 2017-03-17
US15/462,665 US10038532B1 (en) 2017-01-19 2017-03-17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etection with serving signal cancell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778A Division KR102564371B1 (ko) 2017-01-19 2021-06-09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643A KR20180085643A (ko) 2018-07-27
KR102267773B1 true KR102267773B1 (ko) 2021-06-22

Family

ID=6284122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080A KR102267773B1 (ko) 2017-01-19 2017-04-24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20200165256A KR20210003064A (ko) 2017-01-19 2020-12-01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0074778A KR102564371B1 (ko) 2017-01-19 2021-06-09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256A KR20210003064A (ko) 2017-01-19 2020-12-01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0074778A KR102564371B1 (ko) 2017-01-19 2021-06-09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038532B1 (ko)
KR (3) KR102267773B1 (ko)
CN (1) CN108337076B (ko)
TW (1) TWI7914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3615B2 (en) * 2018-09-11 2022-11-08 Velodyne Lidar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 electromagnetic signal in a constant interference environment
CN111385074B (zh) * 2018-12-28 2023-10-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参考信号处理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3407A1 (en) * 2013-02-21 2014-08-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Interference Measurement Methods for Advanced Receiver in LTE/LTE-A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5985A1 (en) * 2003-10-31 2005-05-05 Abdulrauf Hafeoz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user interference determination an rejection
CN102273295B (zh) 2008-11-13 2015-01-21 苹果公司 用于v-mimo解调的降低复杂性信道估计和干扰消除的方法和系统
CN101771432B (zh) * 2008-12-26 2013-06-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导频信号与业务信号混合传输时的解调方法及系统
US9136953B2 (en) 2010-08-03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estim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PL2742635T3 (pl) * 2011-08-12 2017-09-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posoby i urządzenia do obsługiwania sygnałów referencyjnych w sieciach komórkowych
TWI583211B (zh) * 2011-08-12 2017-05-1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無線系統中彈性頻寬操作
JP5162699B1 (ja) * 2011-10-04 2013-03-13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集積回路
US9667372B2 (en) 2013-01-25 2017-05-30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2950574A4 (en) 2013-01-25 2016-01-20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32212B1 (ko) 2013-02-28 2019-10-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2018316B1 (ko) * 2013-02-28 2019-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측정을 위한 제어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JP6251292B2 (ja) 2013-03-27 2017-12-2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干渉除去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104105120B (zh) 2013-04-08 2019-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干扰测量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设备
WO2015005609A1 (en) 2013-07-09 2015-01-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hannel state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4469945B (zh) 2013-09-12 2019-01-25 索尼公司 Nct scc的激活控制装置和方法、管理方法、以及基站装置
US10165559B2 (en) 2013-09-13 2018-12-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detection of ePDCCH using DMRS quality measure
WO2015042176A1 (en) 2013-09-17 2015-03-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Device and method of enhancing downlink ue-specific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facilitate inter -cell interference supression
WO2015064976A2 (ko) 2013-10-28 2015-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제거하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080459A1 (ko) 2013-11-27 2015-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제거하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142106A1 (ko) 2014-03-20 2015-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을 제거하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955487B2 (en) 2014-03-28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own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35987B2 (en) * 2014-04-25 2017-08-15 Collision Communications,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a demodulation reference sequence for an intercell interfering signal received from a mobile device in a long term evolution communication system
US10064087B2 (en) 2014-08-08 2018-08-28 Lg Electronics Inc. Interference cancellation reception method
US10028169B2 (en) 2014-08-08 2018-07-17 Lg Electronics Inc. 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9912362B2 (en) 2014-09-10 2018-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88450B2 (en) * 2014-12-16 2018-0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93592B2 (en) * 2016-01-22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etecting and cancell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3407A1 (en) * 2013-02-21 2014-08-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Interference Measurement Methods for Advanced Receiver in LTE/LT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064A (ko) 2021-01-11
US10959236B2 (en) 2021-03-23
KR20210073503A (ko) 2021-06-18
TW201828631A (zh) 2018-08-01
TWI791458B (zh) 2023-02-11
CN108337076A (zh) 2018-07-27
KR102564371B1 (ko) 2023-08-04
US10038532B1 (en) 2018-07-31
US20180205514A1 (en) 2018-07-19
KR20180085643A (ko) 2018-07-27
US20180323929A1 (en) 2018-11-08
CN108337076B (zh)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549B1 (ko) 셀 파일럿 검출을 위한 연속 검출 및 소거
JP5675981B2 (ja) 無線通信のために改善された干渉推定
KR102564371B1 (ko) 간섭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검출 방법 및 시스템
US88915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information via selection of resources used for transmission
KR102460945B1 (ko) Lte 시스템에서 간섭 파라미터의 블라인드 검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07630B1 (ko) 쇼트 코드 충돌로 유도된 거짓 셀들을 없애기 위한 2차 동기 신호(sss) 후처리
US20180083733A1 (en) Receiving Device and Methods Thereof
KR102424951B1 (ko) 데이터 보조 반복적 채널 측정 방법 및 장치
JP2016178677A (ja) セル測定とシステム情報識別とを結合した方法
EP3036846B1 (en) Interference signal control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771377B (zh) 用于检测来自干扰无线电小区的传输的方法和设备
KR101570040B1 (ko)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을 위한 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7041950A1 (en) Viterbi decoding with use of a-priori known bits in lte communications
US9602240B1 (en) Method and system for symbol level interference cancellation at a receiver for multiuser detection
US9214982B2 (en) Activated code channel detection method and device
KR2015002262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 제어 정보 검출 방법 및 장치
TWI600306B (zh) 用於取消射頻信道序列的偏壓之方法及裝置
KR102157063B1 (ko) 간섭 신호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91620B2 (en) P-CPICH scrambling code collision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