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638B1 -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638B1
KR102267638B1 KR1020190023807A KR20190023807A KR102267638B1 KR 102267638 B1 KR102267638 B1 KR 102267638B1 KR 1020190023807 A KR1020190023807 A KR 1020190023807A KR 20190023807 A KR20190023807 A KR 20190023807A KR 102267638 B1 KR102267638 B1 KR 102267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gas
temperature tank
low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5115A (ko
Inventor
하태형
Original Assignee
하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형 filed Critical 하태형
Priority to KR102019002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63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5Check-valves or non-retur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5Fluid distribution for refueling vehicle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34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placed above the ground
    • F17C2270/0139Fuel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업무 종료후 기화기의 후단에 설치된 제2밸브를 잠그면 기화기의 전단에 설치된 제1밸브와 기화기 후단에 설치된 제2밸브의 사이에 위치한 가스가 역류하여 저온탱크의 압력이 상승되어 안전변의 작동에 의해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업무 종료후 기화기의 후단에 설치된 제2밸브(V2)를 잠그면 기화기의 전단에 설치된 제1밸브와 기화기 후단에 설치된 제2밸브의 사이에 위치한 가스가 역류하여 저온탱크의 압력이 상승되어 안전변의 작동에 의해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Structure preventing pressure rise in low temperature tank due to residual gas}
본 발명은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업무 종료후 기화기의 후단에 설치된 밸브를 잠그면 기화기의 전단에 설치된 밸브와 기화기 후단에 설치된 밸브의 사이에 위치한 가스가 역류하여 저온탱크의 압력이 상승되어 안전변의 작동에 의해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와 같은 초저온 액화가스는 약 90% 정도가 메탄이며, 기타 에탄, 프로판, n-부탄, iso-부탄, 질소 등이 일부 포함된 탄화수소계 혼합물질을 말하며, 생산지에 따라 그 성분 및 물리화학적 특성도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이 메탄이기 때문에 -160℃ 부근에서 액화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LNG는 천연가스(NG, Natural Gas)산지에서 이산화탄소, 물, 황화물 등 제반 불순물이 제거된 후, 대량 수송, 저장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압축, 팽창 및 열교환을 거쳐 -162℃(대기압 기준)에서 액화되어 선박으로 수송, LNG 생산 기지에 저장되고 있다.
이러한 LNG는 -160℃의 초저온 액체이므로, LNG 저장용 탱크의 단열을 충분히 하지 않으면, 외부의 열유입으로 인하여 액체상태의 LNG가 지속적으로 기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저온 액체연료 저장탱크 내부에 충전된 액체연료를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 외부 열을 차단하는 단열 방식으로는, 탱크의 내외벽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을 주입하거나, 퍼라이트(Perlite) 진공단열, 그리고 다층진공단열(Multi-layer vacuum insulation, Super insulation, 이하 '수퍼단열'이라 함)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들 중 액체수소(-253℃)와 같이 기화온도가 극저온에 달하는 초저온 유체의 저장에는 현재 수퍼 단열방식으로 불리는 2중 진공단열이 적용되고 있다. 이 단열 방식은 내부탱크와 외부탱크 사이에 복사열 차단을 위한 마일러(Mylar,Polyethylene tetra phthalate)로 불리는 얇은 은박지 30∼50장을 권취 적층시켜 내부 진공을 1×10-5Torr 이상의 고진공으로 유지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 의한 열전도도 값은 약 3.7×10-5W/mK으로 폴리우레탄폼단열 방식(k=2.4×10-2W/mK)의 약 1/1000로서 탱크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일일 기화율을 5% 이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승용차나 대형 버스 연료로 사용되는 액체수소(LH2)용 저장탱크와 액화천연가스(LNG)용 저장탱크의 경우 연료의 기화율을 최소화시켜 저장탱크내 연료를 보다 장기간 보존시키기 위해서는 더 효과적인 단열방법이 요구된다. 이는 차량을 가동하지 않을 경우를 고려했을 때 연료의 기화량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연료의 사용 효율 및 차량 연비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에는 버스, 대형 컨테이너 트럭 등의 연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고속도로 등에 차량용 LNG충전소가 신설되고 있고, 이에 LNG 저장을 위한 탱크의 보급량이 매년 증가 추세에 있지만, LNG와 같은 천연가스의 저장을 위한 대형탱크 및 중소형 탱크의 성능 개선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LNG와 같은 초저온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의 단열 효과를 증대시켜 보다 오랫동안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고, 안전하게 액화가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고효율의 초저온 액체(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초저온 단열 저장 탱크의 내부 압력은 사용 용도에 따라 대략 1Mpa 내지 3Mpa 정도로 설정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탱크(100)에 저장된 가스가 이송라인을 통해 제1밸브(V1)을 거쳐 기화기(200)로 인가되고, 상기 기화기(200)로 인가된 가스는 분기되어 분기밸브를 거쳐 제2밸브(V2)를 거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가스는 업무 종료 후 제2밸브(V2)를 잠그면, 제1밸브(V1)와 제2밸브(V2) 사이에 기화된 상태로 잔재되어 있는 가스가 이송라인(300)을 통해 역류되어 저온탱크(100)로 이동된다.
상기 저온탱크(100)로 역류된 가스에 의해 저온탱크(100) 내부의 압력은 상승하고, 상승된 압력에 의해 안전변(110)이 열리면서 저온탱크 내부의 가스가 분출되어 가스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저온탱크(100)로 가스가 거품 형태로 형성되어 역류되면서 액화로 진행되는 가스가 적어 저온탱크(100)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작용에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안전변(110)에 의해 가스가 분출되어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3537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업무 종료후 기화기의 후단에 설치된 제2밸브를 잠그면 기화기의 전단에 설치된 제1밸브와 기화기 후단에 설치된 제2밸브의 사이에 위치한 가스가 역류하여 저온탱크의 압력이 상승되어 안전변의 작동에 의해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류가스가 저온탱크로 공급이 용이하도록 이송라인에서 저온탱크와 연결되는 부분에 차단밸브를 설치하여 기화된 가스가 저온탱크로만 공급되어 가스가 액체와 섞일 수 있도록 하여 기화된 가스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가 액체상태로 저장되어 과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내부의 압력을 줄이는 안전변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하부 바닥면에는 이송라인과 연결되어지는 공급라인이 설치되어 있으며, 측벽 상부로는 상기 이송라인 상에 위치하고 있는 제2밸브를 차단시키면, 제1밸브와 제2밸브 사이의 분기라인과 기화기에 위치한 가스가 이송라인을 통해 역류되어지는 상기 가스가 저온탱크로 공급되도록 하되, 기화상태의 상기 가스가 액체상태로 변화되어질 수 있게 상기 저온탱크에 담긴 액체로 공급이 가능하도록 배출구쪽이 하부 바닥면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턴라인으로 이루어진 저온탱크와;
상기 저온탱크의 하부 바닥면과 도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스 공급라인과 측벽 상부로 설치되어 리턴라인이 분기 연결되어지고, 상기 저온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기화시키기 위하여 이송라인 상에 기화기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기화기에서 공급되는 기체 상태의 가스를 분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분기밸브를 포함하는 분기라인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기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 상태의 가스를 최종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2밸브 및 상기 제2밸브를 열면 저온탱크에 저장된 액체가 공급을 통해 기화기로 액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1밸브를 포함하는 이송라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송라인의 상부에서 분기 형성된 리턴라인(32)을 지나친 상부에 상기 이송라인(30)으로부터 역류되는 가스가 저온탱크(10)로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단밸브(50')가 설치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라인(30)으로부터 분기 형성되어진 공급라인(31) 상의 차단밸브(50)에 의해 상기 리턴라인(32)을 통해 가스가 이동하여서 상기 저온탱크(10)에 담긴 액체로 공급되어지게 하여 기화상태가 아닌 액체 상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상기 저온탱크(10) 내부 압력 상승으로 안전변(11)이 작동하여 발생하는 가스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업무 종료 후 기화기의 후단에 설치된 제2밸브를 잠그면 기화기의 전단에 설치된 제1밸브와 기화기 후단에 설치된 제2밸브의 사이에 위치한 가스가 역류하여 저온탱크의 압력이 상승되어 안전변의 작동에 의해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류가스가 저온탱크로 공급이 용이하도록 이송라인에서 저온탱크와 연결되는 부분에 차단밸브를 설치하여 기화된 가스가 저온탱크로만 공급되어 가스가 액체와 섞일 수 있도록 하여 기화된 가스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저온탱크와 이송라인이 연결되어 가스가 공급되는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업무 종료 후 기화기(20)의 후단에 설치된 제2밸브(V2)를 잠그면 기화기(20)의 전단에 설치된 제1밸브(V1)와 기화기(20)의 후단에 설치된 제2밸브(V2)의 사이에 위치한 가스가 역류하여 저온탱크(10)의 압력이 상승되어 안전변(11)의 작동에 의해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잔류가스가 저온탱크(10)로 공급이 용이하도록 이송라인(30)에서 저온탱크(10)와 연결되는 부분에 차단밸브(50, 50')를 설치하여 기화된 가스가 저온탱크(10)로만 공급되어 가스가 액체와 섞일 수 있도록 하여 기화된 가스의 손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는 가스가 액체상태로 저장되어 과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내부의 압력을 줄이는 안전변(11)이 설치된 저온탱크(10)와, 저온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기화시키기 위하여 이송라인(30) 상에 설치되는 기화기(20)와, 저온탱크(10)와 기화기(20)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라인(30)과, 기화기(20)의 전단의 이송라인(30)에 설치되는 제1밸브(V1)와, 기화기(20)에서 공급되는 기체 상태의 가스를 분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분기라인에 복수로 설치되는 분기밸브(40)와, 분기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 상태의 가스를 최종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2밸브(V2)와, 상기 저온탱크(10)와 이송라인(30) 사이에 리턴라인(32)이 설치되어 제2밸브(V2)의 차단시 역류되는 기체 상태의 가스가 저온탱크(10)로 공급되도록 하여 가스가 -196℃의 액체에 녹아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저온탱크(10)에 저장된 액체를 공급라인과 이송라인을 통해 기화기로 공급하기 위하여 제1밸브(V1), 분기밸브(40) 및 제2밸브(V2)를 열면, 저온탱크(10)에 저장된 액체는 공급라인(31)과 이송라인(30)을 통해 제1밸브(V1)를 거쳐 기화기(20)로 공급된다.
상기 기화기(20)로 공급되는 액체는 기체 상태의 가스로 기화되고, 상기 기화된 가스는 분기라인을 통해 분기되어 복수의 분기밸브(40)를 거쳐 제2밸브(V2)로 공급된다. 상기 제2밸브(V2)를 거쳐 가스가 공급되어 최종적으로 가스를 이용하는 차량 등에 공급된다.
상기 기화기(20)에서 기화된 가스의 공급을 중단하기 위하여 제2밸브(V2)를 오프(Off)시키면 제1밸브(V1)와 제2밸브(V2)에 잔류된 가스가 이송라인을 통해 역류되고, 역류된 가스는 리턴라인(32)을 통해 저온탱크(10)로 공급되므로 가스가 액체에 녹아들어 저온탱크(10) 내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저온탱크(10)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저온탱크(10)에 설치된 안전변(11)이 작동하지 않아 기화된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가스의 손실을 최대한 막을 수 있다.
즉, 제2밸브(V2)의 오프에 의해 제1밸브(V1)와 제2밸브(V2) 사이에 위치한 가스가 이송라인(30)을 통해 리턴라인(32)으로 역류 될 시에 저온탱크(10)에 설치된 리턴라인(32)은 영하 196℃의 액체에 담긴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리턴라인(32)으로 이동되는 기화된 액체가 리턴라인(32)의 낮은 온도에 의해 이동되면서 액화상태가 진행되어 저온탱크(10)에 담긴 액체에 만나는 상태에서는 기화상태가 아닌 액체 상태로 변화되기 때문에 저온탱크(10)의 내부 압력이 상승되지 않고, 그로인하여 안전변(11)이 작동하지 않게 되어 가스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는 도 2에 한정하여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도 3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는 가스가 액체상태로 저장되어 과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내부의 압력을 줄이는 안전변(11)이 설치된 저온탱크(10)와, 저온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기화시키기 위하여 이송라인(30) 상에 설치되는 기화기(20)와, 저온탱크(10)와 기화기(20)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라인(30)과, 기화기(20)의 전단의 이송라인(30)에 설치되는 제1밸브(V1)와, 기화기(20)에서 공급되는 기체 상태의 가스를 분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분기라인에 복수로 설치되는 분기밸브(40)와, 분기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 상태의 가스를 최종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2밸브(V2)와, 상기 저온탱크(10)와 이송라인(30) 사이에 리턴라인(32)이 설치되어 제2밸브(V2)의 차단시 역류되는 기체 상태의 가스가 저온탱크(10)로 공급되도록 하여 가스가 -196℃의 액체에 녹아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라인(30)에는 이송라인(30)으로 역류되어지는 가스가 저온탱크(10)로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단밸브(50')가 이송라인(30)상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차단밸브(50')는 상기 이송라인(30)에서 분기형성되어진 리턴라인(3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송라인(30)에서 분기되어서 저온탱크(10)의 저면으로 연결되어진 공급라인(31)상에도 상기 이송라인(30)으로 역류되는 가스가 리턴라인(32)을 통해서만 저온탱크(10)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단밸브(50)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밸브(50, 50')는 제2밸브(V2)의 온 또는 오프시 이와 연동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밸브(V1)와 제2밸브(V2) 사이인 기화기(20)와 분기라인(40a)에 잔류된 가스가 저온탱크(10)로의 공급이 용이하도록 상기 리턴라인(32)에 회수수단(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수수단(60)은 기체 상태의 가스를 이송라인(30)을 통해 리턴라인(32)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모터와 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은 리턴라인(32)에 직접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기체 상태의 가스를 리턴라인(32)을 통해 저온탱크(10)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수수단(60)의 팬은 리턴라인(32)에 직접 설치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바람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별도의 에어라인을 통해 가스가 리턴라인(32)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수수단(60)은 제2밸브(V2)가 오프되면, 이와 연동되게 이루어져 구동되거나 또는 제2밸브(V2)가 오프되면 약 20초 후에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팬에 의해 가스가 리턴라인(32)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저온탱크(10)에 저장된 액체를 공급라인과 이송라인을 통해 기화기로 공급하기 위하여 제1밸브(V1), 분기밸브(40) 및 제2밸브(V2)를 열면, 저온탱크(10)에 저장된 액체는 공급라인(31)과 이송라인(30)을 통해 제1밸브(V1)를 거쳐 기화기(20)로 공급된다.
상기 기화기(20)로 공급되는 액체는 기체 상태의 가스로 기화되고, 상기 기화된 가스는 분기라인을 통해 분기되어 복수의 분기밸브(40)를 거쳐 제2밸브(V2)로 공급된다. 상기 제2밸브(V2)를 거쳐 가스가 공급되어 최종적으로 가스를 이용하는 차량 등에 공급된다.
상기 기화기(20)에서 기화된 가스의 공급을 중단하기 위하여 제2밸브(V2)를 오프(Off)시키면 제1밸브(V1)와 제2밸브(V2)에 잔류된 가스가 이송라인을 통해 역류되고, 역류된 가스는 리턴라인(32)을 통해 저온탱크(10)로 공급되므로 가스가 액체에 녹아들어 저온탱크(10) 내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저온탱크(10)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저온탱크(10)에 설치된 안전변(11)이 작동하지 않아 기화된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가스의 손실을 최대한 막을 수 있다.
즉, 제2밸브(V2)의 오프에 의해 제1밸브(V1)와 제2밸브(V2) 사이에 위치한 가스가 이송라인(30)을 통해 리턴라인으로 역류 될 시에 저온탱크(10)에 설치된 리턴라인(32)은 영하 196℃의 액체에 담겨진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리턴라인(32)으로 이동되는 기화된 액체가 리턴라인(32)의 낮은 온도에 의해 이동되면서 액화상태가 진행되어 저온탱크(10)에 담긴 액체에 만나는 상태에서는 기화상태가 아닌 액체 상태로 변화되어 있기 때문에 저온탱크(10)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지 않아 안전변(11)이 작동하지 않게 되어 가스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밸브(V2)가 오프되면 공급라인(31)에 설치된 차단밸브(50)와 이송라인(30)에 설치된 차단밸브(50')가 연동되어 오프(닫힌 상태)가 되어 역류되는 가스가 저온탱크(10)와 다른 저온탱크(10)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리턴라인(32)을 통해 저온탱크(10)로 공급되므로 저온탱크(10)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회수수단(60)에 의해 리턴라인(32)으로 역류되는 가스가 이동라인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영하의 온도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잔류된 가스의 액화진행에 따른 결빙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수수단(60)에 의해 가스를 리턴라인(32) 만을 통해 가스가 저온탱크(10)로 공급되도록 하므로 저온탱크(10)의 압력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스가 안전변(11)을 통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업무 종료 후 기화기(20)의 후단에 설치된 제2밸브(V2)를 잠그면 기화기의 전단에 설치된 제1밸브(V1)와 기화기 후단에 설치된 제2밸브(V2)의 사이에 위치한 가스가 역류하여 저온탱크(10)의 압력이 상승되어 안전변(11)의 작동에 의해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류가스가 저온탱크(10)로 공급이 용이하도록 이송라인(30)에서 저온탱크(10)와 연결되는 부분에 차단밸브(50, 50')를 설치하여 기화된 가스가 저온탱크(10)로만 공급되어 가스가 액체와 섞일 수 있도록 하여 기화된 가스의 손실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저온탱크 11: 안전변
20: 기화기 30: 이송라인
31: 공급라인 32: 리턴라인
40: 분기밸브 50, 50': 차단밸브
60: 회수수단 V1: 제1밸브
V2: 제2밸브

Claims (4)

  1. 가스가 액체상태로 저장되어 과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내부의 압력을 줄이는 안전변(11)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하부 바닥면에는 이송라인(30)과 연결되어지는 공급라인(31)이 설치되어 있으며, 측벽 상부로는 상기 이송라인(30)상에 위치하고 있는 제2밸브(V2)를 차단시키면, 제1밸브(V1)와 제2밸브(V2) 사이인 분기라인과 기화기에 위치한 가스가 이송라인(30)을 통해 역류되는 상기 가스가 저온탱크로 공급되도록 하되, 기화상태의 상기 가스가 액체상태로 변화되어질 수 있게 상기 저온탱크(10)에 담긴 액체로 공급이 가능하도록 배출구쪽이 하부 바닥면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턴라인(32)으로 이루어진 저온탱크(10)와;
    상기 저온탱크의 하부 바닥면과 도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스 공급라인(31)과 측벽 상부로 설치되어 리턴라인(32)이 분기 연결되어지고, 상기 저온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기화시키기 위하여 이송라인 상에 기화기(20)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기화기(20)에서 공급되는 기체 상태의 가스를 분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분기밸브(40)를 포함하는 분기라인(40a)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기밸브(40)를 통해 공급되는 기체 상태의 가스를 최종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2밸브(V2) 및 상기 제2밸브(V2)를 열면 저온탱크(10)에 저장된 액체가 공급을 통해 기화기(20)로 액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1밸브(V1)를 포함하는 이송라인(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30)의 상부에서 분기 형성된 리턴라인(32)을 지나친 상부에 상기 이송라인(30)으로부터 역류되는 가스가 저온탱크(10)로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단밸브(50')가 설치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라인(30)으로부터 분기 형성되어진 공급라인(31) 상의 차단밸브(50)에 의해 상기 리턴라인(32)을 통해 가스가 이동하여서 상기 저온탱크(10)에 담긴 액체로 공급되어지게 하여 기화상태가 아닌 액체 상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상기 저온탱크(10) 내부 압력 상승으로 안전변(11)이 작동하여 발생하는 가스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
  3. 삭제
  4. 삭제
KR1020190023807A 2019-02-28 2019-02-28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 KR102267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807A KR102267638B1 (ko) 2019-02-28 2019-02-28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807A KR102267638B1 (ko) 2019-02-28 2019-02-28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115A KR20200105115A (ko) 2020-09-07
KR102267638B1 true KR102267638B1 (ko) 2021-06-18

Family

ID=7247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807A KR102267638B1 (ko) 2019-02-28 2019-02-28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6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967B1 (ko) 2007-03-20 2008-02-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가스 추진수단을 갖는 lng 운반선의 lng저장탱크의 압력상승 저감장치 및 방법
KR101640765B1 (ko) * 2013-06-26 2016-07-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21072B1 (ko) * 2013-09-13 2018-01-22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저손실 극저온 유체 공급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991A (ja) * 1998-01-29 1999-08-0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液化ガス気化器昇圧防止装置
KR101335379B1 (ko) 2011-10-20 2013-12-02 서울가스이엔지(주) 초저온 액체 저장용 탱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967B1 (ko) 2007-03-20 2008-02-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가스 추진수단을 갖는 lng 운반선의 lng저장탱크의 압력상승 저감장치 및 방법
KR101640765B1 (ko) * 2013-06-26 2016-07-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21072B1 (ko) * 2013-09-13 2018-01-22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저손실 극저온 유체 공급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115A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84952B1 (en) Cryogenic fluid dispensing system having a chilling reservoir
US7478975B2 (en) Apparatus for cryogenic fluids having floating liquefaction unit and floating regasification unit connected by shuttle vessel, and cryogenic fluid methods
ES2453487T3 (es) Procedimiento para producir, transportar, descargar, almacenar y distribuir gas natural a un mercado
US5415001A (en) Liquefied natural gas transfer
KR101258926B1 (ko) 선박
CN103930355B (zh) 水合物颗粒的储存、运输、解离溶剂其利用该容器的水合物颗粒的储存、运输、解离方法
JP2005513383A (ja) 低温流体の加温と貯蔵のための方法と装置
KR102189715B1 (ko) 연료공급시스템
CA3058444A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storing and dispensing liquefied hydrogen
KR20010049264A (ko) 액화 가스를 저장 또는 수송하기 위한 냉각 탱크의 보존방법 및 그 장치
US9746132B2 (en) Self-saturating liquefied natural gas delivery system utilizing hydraulic pressure
KR101941314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US202003707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iquefied natural gas
KR102267638B1 (ko) 잔류가스로 인한 저온탱크의 압력 상승방지구조
JP6519194B2 (ja) Lng車のボイルオフガス放出防止制御方法
KR101584566B1 (ko) Lng 저장탱크의 가스 필링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1587A (ko) 초저온 단열 저장 탱크
KR102261772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US20190032854A1 (en) Liquiefying a gaseous medium
US20070175903A1 (en) Liquid hydrogen storage tank with reduced tanking losses
ES2941710T3 (es) Método y aparato para almacenar gas licuado en un recipiente y extraer gas evaporado de este
JP2012122496A (ja) 車両のガス燃料供給装置
KR101411481B1 (ko) 이산화탄소 냉각 시스템 및 냉각 방법
KR20160068179A (ko) 재액화시스템
KR102606577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