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493B1 - Variable axis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vehicle using sensor during celebration - Google Patents

Variable axis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vehicle using sensor during celeb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493B1
KR102267493B1 KR1020200015135A KR20200015135A KR102267493B1 KR 102267493 B1 KR102267493 B1 KR 102267493B1 KR 1020200015135 A KR1020200015135 A KR 1020200015135A KR 20200015135 A KR20200015135 A KR 20200015135A KR 102267493 B1 KR102267493 B1 KR 10226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xle
variable shaft
unit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엠
Priority to KR1020200015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4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4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 G01G19/1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60G2300/026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16Ru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0Stationary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axis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a vehicle using an axial load sensor, which can easily prevent road damage due to random operation of a variable shaft by a vehicle driver and avoid overload detection and easily determines an overload state of a vehicle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an error.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load in real-time to prevent overload and rollover of the vehicle, in advance, and safely protect the vehicle from external impact.

Description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Variable axis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vehicle using sensor during celebration}Variable axis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vehicle using sensor during celebration}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의 가변축 임의 조작으로 인한 도로 파손 및 과적 적발 회피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오차를 대폭 줄인 상태로 차량의 과적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나아가, 실시간 하중 측정이 가능하여 차량의 과적 및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revent road damage and overload detection avoidance caused by the driver's arbitrary manipulation of a variable axis, as well as easily determine the overload state of the vehicle with significantly reduced errors, and furthermore, real-time load It relates to a variable shaft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ing of a vehicle using an axial weight sensor that can measure and prevent overload and rollover of the vehicle in advance, as well as safely protect it from external impact.

일반적으로, 화물차 및 특장차량은 화물을 전용으로 운반하기 위한 차량으로, 화물차량을 이용한 도로부문 수송비 절감을 위해 정부는 가변축의 장착을 허용하고, 관련제도를 도입 및 적용하고 있다.In general, trucks and specially equipped vehicles are vehicles for transporting cargo exclusively, and in order to reduce transportation costs in the road sector using cargo vehicles, the government allows the installation of variable axles and introduces and applies related systems.

가변축이란 중형화물차에 주로 장착 및 사용되는 차축의 한 종류로서, 일반 고정축과는 다르게 상/하 승강조작이 가능한 차축을 의미한다.A variable shaft is a type of axle that is mainly installed and used in medium-sized trucks. It means an axle that can be lifted up/down differently from a general fixed shaft.

현재 도로법에서는 축당 10톤 총중량 40톤으로 적재량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변축으로 인해 차량들이 더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되었다.The current road law permits a load capacity of 10 tons per axle with a gross weight of 40 tons, so the variable axle allows vehicles to load more cargo.

통상 가변축(9)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프트(Lift) 에어벨로우즈(51)와 로드(Load) 에어벨로우즈(52)의 동작에 의해 내려지거나 올려진다.In general, the variable shaft 9 is lowered or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lift air bellows 51 and the load air bellows 52 as shown in FIG. 1 .

그리고, 리프트 에어벨로우즈(51)와 로드 에어벨로우즈(52)는 소정의 공기압 회로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은 동작 제어는 운전자가 직접 제어하는 방식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 air bellows 51 and the load air bellows 52 are configured to operate by a predetermined pneumatic circuit, and such operation control may be performed using a method directly controlled by a driver or an automatic control method.

또한, 이와 같은 화물차의 하중 분산용 가변축은 승하강 운동시에 견고함이 요구됨은 물론, 안정적인 구동이 요구되는 장치이다.In addition, the variable shaft for distributing the load of such a truck is a device that requires not only rigidity during elevating and lowering movements, but also stable driving.

이러한 가변축과 관련하여 최근에는 화물의 중량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가변축을 용접하는 차량의 가변축 용접 장치 및 그 용접 방법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96933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96933호에서는 가변축을 용접하기 위한 장치와 그 용접방법만이 제시되었을 뿐 차량의 과적판단방법 및 가변축의 작동과 관련된 내용은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다.In relation to such a variable shaft, a variable shaft welding device for a vehicle and a welding method thereof for welding a variable shaft installed in a vehicle for the purpose of distributing the weight of cargo have been recently proposed a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96933. ,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96933, only an apparatus for welding a variable shaft and a welding method thereof are presented, but a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overload and operation of the variable shaft are not presented at all.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96933호Domestic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96933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의 가변축 임의 조작으로 인한 도로 파손 및 과적 적발 회피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오차를 대폭 줄인 상태로 차량의 과적상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나아가, 실시간 하중 측정이 가능하여 차량의 과적 및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revent road damage and overload detection avoidance caused by the driver's arbitrary manipulation of a variable axis, as well as easily determine the overload state of the vehicle with significantly reduced errors, and furthermore, real-time loa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shaft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a vehicle using an axial weight sensor that can measure and prevent overload and rollover of the vehicle in advance, as well as safely protect from external imp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차축에 장착된 축하중 센서에 의해 상기 차축의 축하중을 측정하는 축하중 측정단계와; 차량의 가변축의 승강상태를 가변축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하는 가변축상태 검출단계와; 상기 축하중 센서에 의해 측정된 축하중 값을 기초로 과적성태를 판단하는 과적판단단계와; 상기 과적판단단계에 의해 과적으로 판단되고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가변축이 상승상태인 경우 상기 가변축의 승강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가변축을 하강시키는 가변축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xial load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axial load of the axle by an axial load sensor mounted on the axle of the vehicle; a variable-axis stat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n elevation state of a variable shaft of the vehicle by a variable-shaft state detection unit; an overload determination step of judging an overload condition based on the axial weight value measured by the axial weight sensor; and a variable shaft control step of lowering the variable shaft by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e unit of the variable shaft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overload determination step and the variable shaft is in an elevated state by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It provides a variable shaft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a vehicle using an axle weight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여기서,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단계에서는 상기 가변축의 에어서스펜션의 공압을 측정하는 공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축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Here, in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step, a variable shaft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a vehicle using an axle weight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shaft state is detected by using a pneumatic sensor measuring the air pressure of the air suspension of the variable shaft.

그리고, 상기 과적판단단계는 상기 가변축 제어단계에서 상기 가변축이 하강된 경우 상기 축하중 센서 대신에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의 검출값에 의해 과적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n the overload determination step, when the variable shaft is lowered in the variable shaft control step,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overload state by the detection value of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instead of the shaft weight sensor.

나아가, 상기 가변축 제어단계는 상기 과적판단단계가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의 검출값을 기초로 과적 기준 미만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가변축의 승강구동부를 제어하여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n the variable axis control step, when the overload determination step determines that the load is less than the overload standard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variable axis state detection unit,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lifting drive unit of the variable axis to raise the variable axis.

그리고, 상기 축하중 측정단계의 상기 축하중 센서는 좌우 양단부에 차량의 차축에 각각 용접되는 일측 용접부 및 타측 용접부가 형성되는 금속시트와, 상기 금속시트의 일측 용접부와 타측 용접부 사이에 위치한 중간부 상부면에 형성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상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과,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의 양쪽 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절연층상에 형성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 이외의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을 포함한 상태로 상기 절연층상에 형성되는 보호층으로 구성되는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와;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차량의 차축에 고정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차량의 차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xial load sensor of the axial load measuring step includes a metal sheet having one welded portion and the other welded portion respectively welded to the axle of the vehicle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ends, and an upper middle portion located between one welded portion and the other welded portion of the metal sheet.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a surface, a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in a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 electrod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and the electrode; a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unit comprising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in a state including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other than the linear strain gauge; a cover part fixed to the axle of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part is accommodated insid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cover part to the axle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 주변의 상기 커버부의 상부면과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 주변의 차축 외주면 사이에 패킹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vehicle axle load sensor module par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and a packing part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around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around the vehicle axle load sensor module part;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의 전극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cable passing through the cover part and connected to the electrode of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part; is preferably provided.

더불어,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홈내로 충진되어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보호하는 충진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par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and an inj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and the vehicle is filled into the accommodating groove through the injection hole. It is preferable that a filling part to protect the axial weight sensor module part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충진부는 액상의 우레탄액 또는 액상의 발포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ling part consists of a liquid urethane liquid or a liquid foaming liquid.

아울러,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 각 모서리 주변의 차축 외주면에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커버부의 각 모서리부위를 수직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fixing bolt having an upper portion fix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xle around each corner of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portion and a lower portion vertically penetrating each corn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nut screw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olt.

그리고,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제 1보조고정바와; 상기 커버부의 반대편의 차축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제 2보조고정바와; 상기 제 1보조고정바의 전측과 상기 제 2보조고정바의 전측 및 상기 제 1보조고정바의 후측과 상기 제 2보조고정바의 후측을 각각 연결고정하는 보조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first auxiliary fixing bar closely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 second auxiliary fixing bar close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xle opposite the cover portion; auxiliary fixing members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front side of the first auxiliary fixing bar and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auxiliary fixing bar and the rear side of the first auxiliary fixing bar and the rear side of the second auxiliary fixing bar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a fixing part is provided.

또한, 상기 커버부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의 외주면에 스트레인 앰프가 고정되고, 상기 스트레인 앰프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커버부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보조커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보조고정바는 상기 보조커버부에 밀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strain amplifier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opposite to the cover part, and an auxiliary cover part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opposite to the cover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strain amplifier is accommodated inside; 2 The auxiliary fixing bar is preferably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auxiliary cover portion.

그리고,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는 차량의 차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이 각각 측정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무선송신하는 제 1무선통신부와; 상기 제 1무선통신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1전원공급부와; 상기 제 1무선통신부로 하중 인장값을 수신하는 제 2무선통신부와; 상기 제 2무선통신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2전원공급부와; 상기 제 2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합산하는 연산부와; 차량의 과적여부 및 차량의 전복여부를 알리는 알림부와;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연산부가 연산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기준하중인장값과 비교하여 차량의 과적여부를 상기 알림부가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 및 차량 주행시 상기 제 2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비교하여 주행 중 차량의 전복여부를 상기 알림부가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알림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is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le of the vehicle, respectively,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respectively,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load tension value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easured axle; a first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tensile load value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second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calculation unit for summing the load tensile valu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le received b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notification unit notifying whether the vehicle is overloaded and whether the vehicle is overturne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trols the notification unit so that the notification unit notifies whether the vehicle is overloaded by comparing the load tension valu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le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with the reference load tension value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is stopped and the vehicle is running A notific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notification unit so that the notification unit notifies whether the vehicle is overturned while driving by comparing the tensile valu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le received by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is preferably provided.

본 발명은 과적판단단계를 의해 과적으로 판단되고, 가변축 제어단계의 가변축상태 검출부에 의해 가변축이 상승상태인 경우 가변축 제어부에 의해 가변축이 하강하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의 가변축 임의 조작으로 인한 도로 파손 및 과적 적발 회피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verload is determined by the overload determination step, and when the variable shaft is in the rising state by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in the variable shaft control step, the variable shaft is lowered by the variable shaft control unit,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arbitrarily manipulates the variable shaf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prevent road damage and overload detection.

또한, 과적판단부가 상기 가변축 제어부에 의해 상기 가변축이 하강된 경우 축하중 센서 대신에 가변축의 에어서스펜션의 공압을 측정하는 공압센서로 이루어지는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의 검출값에 통해 차량의 과적상태를 판단하기 때문에 정지상태 및 특히, 주행 중인 차량의 과적상태를 오차를 대폭 줄인 상태로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overload state of the vehicle through the detection value of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consisting of a pneumatic sensor that measures the air pressure of the air suspension of the variable shaft instead of the shaft weight sensor when the variable shaft is lowered by the variable shaft controller by the overload determination unit It has the effect of judging the stop state and, in particular, the overload state of the vehicle in motion, with a significantly reduced error.

나아가, 차량의 차축에 작용하는 하중 인장을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의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을 통해 실시간 하중 측정이 가능하여 차량의 과적 및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내측에 수용하여 차축에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커버부를 통해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real-time load measurement is possible through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of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part for the tension of the load acting on the axle of the vehicle, so that overload and overturning of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s well as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afely protect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part through the cover part fixed by the fixing part to the axle by accommodating the part inside.

도 1 가변축을 승강시키기 위한 리프트 에어벨로우즈와 로드 에어벨로우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가변축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4는 가변축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가 차량의 차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정면도이고,
도 7은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금속시트에 절연층,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 패턴, 전극 및 보호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차축으로부터 커버부와 보조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C - C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3은 차축으로부터 커버부와 보조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D - D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E - E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16은 커버부의 주입구를 통해 커버부의 수용홈내로 충진부가 주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커버부의 주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알림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ft air bellows and a rod air bellows for elevating a variable shaft;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variable shaft for preventing overload of a vehicle using an axial weigh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a variable-axis control unit;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variable shaft;
5 is a combined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part is separated from the axle of the vehicle;
Figure 6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Figure 5,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unit;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of FIG. 7;
9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n insulating layer, a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an electrode, and a protective layer are formed on a metal sheet;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and the auxiliary cover part are separated from the axle;
1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 B of FIG. 10;
1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 - C of FIG. 10;
1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and the auxiliary cover part are coupled from the axle;
14 i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 - D of FIG. 13;
15 i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 - E of FIG. 13;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ling part is injec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over part through the injection hole of the cover part;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let of the cover is closed;
1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state of a notification control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variable shaft for preventing overload of a vehicle using an axial weigh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시스템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축하중 측정단계, 가변축상태 검출단계, 과적판단단계 및 가변축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 the variable shaft control system for vehicle overload prevention using an axle load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xle load measurement step, a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step, an overload determination step and a variable shaft control step. .

도 3은 가변축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state of a variable-axis control unit.

먼저, 상기 축하중 측정단계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차축에 장착된 축하중 센서(8)에 의해 상기 차축의 축하중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축하중 센서(8)는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axial load measuring step is a step of measuring the axial load of the axle by the axial load sensor 8 mounted on the axle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3 , and the axial load sensor 8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다음으로,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단계는 차량의 가변축(도 1의 9)의 승강상태를 가변축상태 검출부(1)에 의해 검출하는 단계이다.Next,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step is a step of detecting the elevation state of the variable shaft ( 9 in FIG. 1 ) of the vehicle by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1 .

여기서,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1)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가변축(9)의 에어서스펜션의 공압관의 공압을 측정하는 공압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가변축(9)의 에어서스펜션의 공압관에는 상기 가변축 제어부(7)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압관을 개폐하는 공압 솔레노이드밸브 등 다양한 종류의 개폐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1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and, for example, may include a pneumatic sensor that measures the air pressure of a pneumatic tube of the air suspension of the variable shaft 9, and the variable shaft 9 ) of the air suspension, various types of opening/closing valves such as a pneumatic solenoid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neumatic pipe under the control of the variable shaft control unit 7 may be provided.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1)를 이룰 수 있는 공압센서가 측정한 공압측정값이 상기 가변축 제어부(7)에 설정된 기준공압값 미만인 경우,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1)를 이룰 수 있는 공압센서는 차량의 가변축(9)이 상승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pneumatic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pneumatic sensor capable of achieving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1 is less than the reference pneumatic value set in the variable shaft control unit 7 , the pneumatic sensor capable of achieving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1 . can be determined that the variable shaft 9 of the vehicle is in an elevated state.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1)를 이룰 수 있는 공압센서가 측정한 공압측정값이 상기 가변축 제어부(7)에 설정된 기준공압값 초과인 경우,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1)를 이룰 수 있는 공압센서는 차량의 가변축(9)이 하강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pneumatic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pneumatic sensor capable of achieving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1 exceeds the reference pneumatic value set in the variable shaft control unit 7, the pneumatic pressure capable of achieving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1 The sensor may determine that the variable shaft 9 of the vehicle is in a descending state.

도 4는 가변축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variable shaft.

다음으로, 상기 과적판단단계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하중 센서(8)로부터 측정된 축하중 값을 기초로 차량의 과적상태를 판단하는 과적판단부(2)를 통해 차량의 과적상태를 판단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4 , the overload determination step determines the overload condi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overload determination unit 2 that determines the overload condi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haft weight value measured from the shaft weight sensor 8 . will judge

다음으로, 상기 가변축 제어단계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과적판단단계의 과적판단부(2)에 의해 과적으로 판단되고,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1)에 의해 상기 가변축(9)이 상승상태인 경우, 가변축 제어부(7)가 전원공급부(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가변축(9)의 승강구동부(5)를 제어하여 상기 가변축(9)을 하강시키는 단계이다.Next, in the variable axis control step, as shown in FIG. 4 , overload is determined by the overload determination unit 2 of the overload determination step, and the variable axis 9 is controlled by the variable axis state detection unit 1 In the case of the rising state, the variable shaft control unit 7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6 and controls the lift driving unit 5 of the variable shaft 9 to lower the variable shaft 9 .

상기 가변축(9)의 승강구동부(5)는 에어탱크의 공압을 이용하여 리프트 에어벨로우즈(도 1의 51) 및 로드 에어밸로우즈(도 1의 52)를 팽창/수축시켜 상기 가변축(9)을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lifting driving part 5 of the variable shaft 9 expands/contracts the lift air bellows (51 in FIG. 1) and the load air bellows (52 in FIG. 1) by using the pneumatic pressure of the air tank to expand/contract the variable shaft ( 9) as elevating, since this is a known matter, a detailed description below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상기 과적판단단계의 상기 과적판단부(2)는 상기 가변축 제어단계의 가변축 제어부(7)에 의해 상기 가변축(9)이 하강된 경우, 상기 축하중 센서(8) 대신에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1)의 검출값에 의해 과적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Next, when the variable shaft 9 is lowered by the variable shaft control unit 7 of the variable shaft control step, the overload determination unit 2 of the overload determination step is performed instead of the axial load sensor 8 . The overload state can be determined by the detection value of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1 .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1)를 이룰 수 있는 공압센서가 측정한 공압측정값이 상기 가변축 제어부(7)에 설정된 기준공압값 미만인 경우, 상기 과적판단부(2)는 차량이 과적 기준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가변축 제어부(7)는 상기 가변축(9)이 상승하도록 승강구동부(5)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pneumatic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pneumatic sensor capable of forming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1 is less than the reference pneumatic value set in the variable shaft control unit 7, the overload determination unit 2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less than the overload standard In addition to the determination, the variable shaft control unit 7 may control the lift drive unit 5 so that the variable shaft 9 rises.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1)를 이룰 수 있는 공압센서가 측정한 공압측정값이 상기 가변축 제어부(7)에 설정된 기준공압값 초과인 경우, 상기 과적판단부(2)는 차량이 과적 기준 초과인 것으로 판단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가변축 제어부(7)는 상기 가변축(9)이 하강하도록 승강구동부(5)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pneumatic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pneumatic sensor capable of forming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1 exceeds the reference pneumatic value set in the variable shaft control unit 7, the overload determination unit 2 determines that the vehicle exceeds the overload standard In addition to being determined to be , the variable shaft control unit 7 may control the lifting drive unit 5 so that the variable shaft 9 descend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과적판단단계에 의해 과적으로 판단되고, 상기 가변축 제어단계의 가변축상태 검출부(1)에 의해 상기 가변축(9)이 상승상태인 경우 상기 가변축 제어부(7)에 의해 상기 가변축(9)이 하강하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의 가변축 (9)임의 조작으로 인한 도로 파손 및 과적 적발 회피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overload is determined by the overload determination step, and the variable shaft 9 is in an elevated state by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1 of the variable shaft control step, the variable shaft control unit ( 7), since the variable shaft 9 is lower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prevent road damage and overload detection due to the driver's arbitrary manipulation of the variable shaft 9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적판단부(2)가 상기 가변축 제어부(7)에 의해 상기 가변축(9)이 하강된 경우 상기 축하중 센서(8) 대신에 상기 가변축(9)의 에어서스펜션의 공압을 측정하는 공압센서로 이루어지는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1)의 검출값에 통해 차량의 과적상태를 판단하기 때문에 정지상태 및 특히, 주행 중인 차량의 과적상태를 오차를 대폭 줄인 상태로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suspension of the variable shaft 9 instead of the axial weight sensor 8 when the variable shaft 9 is lowered by the variable shaft control unit 7 in the overload determination unit 2 Because the overload state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through the detection value of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1, which consists of a pneumatic sensor that measures the air pressure of There are advantages that can be

도 5는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가 차량의 차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정면도이다.5 is a combined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unit is separated from the axle of the vehicle, and FIG. 6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FIG. 5 .

다음으로, 상기 축하중 측정단계의 축하중 센서(8)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 커버부(70) 및 고정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axial load sensor 8 of the axial load measurement step includes a vehicle axial load sensor module unit 60 , a cover unit 70 and a fixing unit 80 . is done by

먼저,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는 차량의 차축(10)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 또는 차량의 차축(10)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가 차량의 차축(10)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unit 6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lower and the other lower side of the axle 10 of the vehicle, or one upper side and the other upper side of the axle 10 of the veh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aking as an example that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unit 60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one side and the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axle 10 of the vehicle.

다음으로, 상기 커버부(70)의 내측에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가 수용된 상태로 차량의 차축(10)의 일측 외주면 하부 및 타측 외주면 하부에 각각 고정된다.Next,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unit 60 is accommodated inside the cover part 70 and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side and the lower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axle 10 of the vehicle, respectively.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80)는 상기 커버부(70)를 차량의 차축(10)에 고정시킨다.Next, the fixing part 80 fixes the cover part 70 to the axle 10 of the vehicle.

도 7은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금속시트에 절연층,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 패턴, 전극 및 보호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unit,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of FIG. 7, and FIG. 9 is an insulating layer, a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an electrode and a protective layer on a metal sheet. It is a perspective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formation process.

다음으로,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는 차량의 차축(10)에 고정되어 상기 차축(10)에 작용하는 하중 인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금속시트(610), 절연층(620),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 전극(640) 및 보호층(6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unit 60 is fixed to the axle 10 of the vehicle to measure the load tension acting on the axle 10, and as shown in FIGS. 7 to 9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etal sheet 610 , an insulating layer 620 , a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630 , an electrode 640 , and a protective layer 650 .

상기 금속시트(610)의 좌우 양단부, 즉,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용접부(611) 및 타측 용접부(612)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metal sheet 610 , that is, one end and the other end, a welding part 611 and a welding part 612 on the other side may be formed.

상기 금속시트(610)의 일측 용접부(611) 및 타측 용접부(612)는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각각 용접고정될 수 있다.One side welding part 611 and the other side welding part 612 of the metal sheet 610 may be welded and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10 , respectively.

이때, 상기 차축(10)에 발생되는 비틀림 하중에 대한 영향이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에 덜 미치도록 상기 일측 용접부(611)의 중앙부 및 상기 타측 용접부(612)의 중앙부는 상기 금속시트(610)가 인장된 상태로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각각 스폿용접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central part of the welding part 611 and the central part of the welding part 612 on the other side are the metal sheet so that the influence on the torsional load generated on the axle 10 is less on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630 . It is preferable to spot-weld eac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xle 10 in a state in which the 610 is tensioned.

그리고, 상기 금속시트(61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특히,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스폿용접되는 상기 금속시트(610)의 부식 등을 방지하여 상기 금속시트(6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금속시트(61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The metal sheet 6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but in particular, it prevents corrosion of the metal sheet 610 that is spot-wel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xle 10, so that the metal sheet 610 has durabil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l sheet 610 is made of a stainless material in order to improve .

그리고, 상기 금속시트(610)의 상부면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스트레인 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을 형성하기 위한 절연층(620, insulating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Also, an insulating layer 620 for forming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6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sheet 610 as shown in FIG. 8 .

상기 절연층(620)은 적어도 상기 금속시트(10)의 중간부를 포함한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620 may be formed on at least an upper surface includ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metal sheet 10 .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은 상기 차축(1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인장되는 상기 금속시트(610)의 스트레인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절연층(620) 상에 상기 금속시트(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630 is for measuring the strain of the metal sheet 610 tensioned by the load applied to the axle 10 , and the metal sheet 10 is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620 . ) may be formed linearly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그리고, 상기 전극(640)은 상기 선형 스트레인 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의 양쪽 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640 may b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630 .

이때,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을 이용하여 상기 차축(10)에 작용하는 하중 인장을 측정할 때 상기 차축(10)의 온도에 따라 측정값이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절연층(620) 상에는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온도보상 그리드패턴(641)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since the measured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axle 10 when measuring the tensile load acting on the axle 10 using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630, the insulating layer 620 It is preferable that a temperature compensation grid pattern 641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of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630 is provided thereon.

상기 온도보상 그리드패턴(641)을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그리드로 형성함으로서, 상기 차축(10)에 작용하는 인장하중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으로 온도보상이 가능하다.By forming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grid pattern 641 as a linear gri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630 , that 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effect of the tensile load acting on the axle 10 is minimized. and effective temperature compensation.

그리고, 상기 온도보상 그리트패턴(641)의 양쪽 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절연층(620) 상에 형성되는 보조전극(64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uxiliary electrodes 642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620 ar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temperature compensation grid pattern 641 .

상기 보호층(650)은 상기 전극(640)과 상기 보조전극(642) 이외의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을 포함한 상태로 상기 절연층(620)상에 형성되어 상기 금속시트(610)가 부식 및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650 is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620 in a state including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630 other than the electrode 640 and the auxiliary electrode 642 to form the metal sheet 610 . corrosion and oxidation can be prevented.

도 10은 차축으로부터 커버부와 보조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C - C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3은 차축으로부터 커버부와 보조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D - D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E - E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and the auxiliary cover part are separated from the axle, FIG. 11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 - B of FIG. 10, and FIG. 12 is the line C - C of FIG. It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and FIG. 1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and the auxiliary cover part are coupled from the axle, FIG. 14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 - D of FIG. 13, and FIG. 15 is E -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

다음으로, 상기 커버부(70)의 상부면에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를 수용하는 수용홈(710)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0 and 11 , a receiving groove 710 for accommodating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unit 6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unit 70 to a predetermined depth.

그리고, 상기 수용홈(710) 주변의 상기 커버부(70)의 상부면과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 주변의 차축(10) 외주면 사이에 고무재질의 오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탄성재질의 패킹부(90)가 구비될 수 있다.An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70 around the receiving groove 71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10 around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60, it can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an O-ring of a rubber material. A packing portion 9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may be provided.

상기 수용홈(710) 주변의 상기 커버부(70)의 상부면에는 상기 패킹부(90)가 안착되는 안착홈(711)이 형성될 수 있다.A seating groove 711 in which the packing part 90 is sea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70 around the receiving groove 710 .

상기 패킹부(90)를 통해 상기 커버부(70)의 수용홈(710)의 내부로 눈,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로 상기 커버부(70)가 도 10 및 도 12 내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수밀결합될 수 있게 된다.The cover part 70 is shown in FIGS. 10 and 12 to in a state in which foreign substances such as snow and rainwater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receiving groove 710 of the cover part 70 through the packing part 90 . As shown in FIG. 15 , it can be watertight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10 .

도 16은 커버부의 주입구를 통해 커버부의 수용홈내로 충진부가 주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커버부의 주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ling part is injec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cover part through the injection hole of the cover part, and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injection hole of the cover part is closed.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70)를 관통하여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의 전극(640)과 연결되는 케이블(100)이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6 and 17 , a cable 100 connected to the electrode 640 of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part 60 through the cover part 70 may be provided.

일예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7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수용홈(710)과 연통되는 관통구(712)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 a through hole 712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groove 710 may be formed at one lower side of the cover part 70 .

상기 관통구(712)에는 연결구(713)의 상부가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을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100)의 외주면이 상기 연결구(713)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케이블(100)의 상부는 상기 연결구(713)를 관통하여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의 전극(640)과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connector 713 may be coupled to the through hole 712 by various methods such as screw coupling, and the cable 1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ble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713 . An upper portion of the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640 of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unit 60 through the connector 713 .

다음으로,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70)의 하부 타측에는 상기 수용홈(710)과 연통되는 주입구(714)가 형성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6 , an injection hole 714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groove 710 may be formed on the other lower side of the cover part 70 .

상기 주입구(714)와 연결되는 주입기를 통해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710)내로 충진되어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를 보호하는 충진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through the injector connected to the injection hole 714, the filling part 200 is filled into the receiving groove 710 to protect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part 60 may be provided.

상기 충진부(200)는 액상의 우레탄액 또는 액상의 발포액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lling part 200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liquid urethane liquid or a liquid foaming liquid.

상기 수용홈(710)내로 충진되어 일정시간 경과후 경화되는 탄성재질의 상기 충진부(200)는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로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을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로의 눈, 빗물 등의 이물질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수밀성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lling part 20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filled into the receiving groove 710 and harden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bsorbs an external shock applied to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part 60 to thereby absorb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part. As well as safely protecting the 6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snow and rainwater into the vehicle shaft weight sensor module unit 60,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watertightness.

또한, 상기 차축(10)에 작용하는 하중 인장에 의해 변형되는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의 변형을 탄성재질의 상기 충진부(200)가 방해할 우려가 없어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가 보다 정밀하게 상기 차축(10)에 작용하는 하중 인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re is no fear that the filling part 20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may interfere with the deformation of the vehicle axle load sensor module unit 60 that is deformed by the tensile load acting on the axle 10 , so the vehicle axle load sensor modul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load tension applied to the axle 10 by the part 60 more precisely.

상기 주입구(714)에는 상기 주입구(714)를 개폐하기 위한 주입마개(715)가 끼움고정,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An injection stopper 71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jection hole 714 may be coupled to the injection hole 714 in various ways, such as fitting and screwing.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80)는 도 10 내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볼트(810)와 너트(8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0 to 15 , the fixing part 8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bolt 810 and a nut 820 .

상기 고정볼트(810)는 스터드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ing bolt 810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stud bolts.

스터드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고정볼트(810)의 상부는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의 각 모서리 주변의 차축(10)의 하부 외주면에 일정깊이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olt 810, which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stud bolts, may be screwed to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10 around each corner of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unit 60 to a predetermined depth.

스터드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고정볼트(810)의 하부는 상기 패킹부(90) 주변의 상기 커버부(70)의 각 모서리부위를 수직관통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olt 810, which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stud bolts, may vertically penetrate each corn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70 around the packing portion 90 .

상기 너트(820)는 스터드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고정볼트(810)의 하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nut 820 may be screw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olt 810, which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stud bolts.

상기 커버부(70)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10)의 외주면, 즉, 상기 차축(10)의 일측 상부 외주면과 타측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차축(10)에 작용하는 하중 인장을 측정하는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의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이 측정한 하중 인장값을 전기적 신호로 증폭하는 스트레인 앰프(61)가 고정구비되는 것이 좋다.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10 opposite to the cover part 70 , that is, on on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other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10 , the vehicle axle weight for measuring the load tension acting on the axle 10 .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ain amplifier 61 amplifying the tensile load value measured by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630 of the sensor module unit 60 into an electrical signal is fixed.

이와 같이 상기 커버부(70)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상기 스트레인 앰프(61)가 구비될 경우, 외부충격으로부터 상기 스트레인 앰프(61)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보조커버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strain amplifier 61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10 opposite to the cover portion 70, the auxiliary cover portion 400 for safely protecting the strain amplifier 61 from external impact.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하부면에는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트레인 앰프(61)를 수용하는 보조수용홈(410)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1 and 12 , an auxiliary receiving groove 410 for accommodating the strain amplifier 6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cover unit 400 to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보조수용홈(410) 주변의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하부면과 상기 스트레인 앰프(61) 주변의 상기 차축(10)의 외주면 사이에 고무재질의 오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탄성재질의 보조패킹부(91)가 구비될 수 있다.An elastic material that can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a rubber O-ring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cover part 400 around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 4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xle 10 around the strain amplifier 61 of the auxiliary packing unit 91 may be provided.

상기 보조수용홈(410) 주변의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하부면에는 상기 보조패킹부(91)가 안착되는 보조안착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An auxiliary seating groove 411 in which the auxiliary packing unit 91 is seate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cover unit 400 around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 410 .

상기 보조패킹부(91)를 통해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보조수용홈(410)의 내부로 눈,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로 상기 보조커버부(400)가 도 10,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70)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수밀결합될 수 있게 된다.The auxiliary cover unit 400 is shown in Fig. 10 in a state in which foreign substances such as snow and rainwater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 410 of the auxiliary cover unit 400 through the auxiliary packing unit 91. , can be watertight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10 opposite to the cover portion 70 as shown in FIGS. 13 and 14 .

상기 보조커버부(400)는 상기 고정부(80)에 의해 상기 커버부(70)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auxiliary cover part 40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10 opposite to the cover part 70 by the fixing part 80 .

상기 고정부(80)의 고정볼트(810)의 하부는 상기 스트레인 앰프(61)의 각 모서리 주변의 상기 차축(10)의 상부 외주면에 일정깊이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olt 810 of the fixing part 80 may be screwed to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10 around each corner of the strain amplifier 61 to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고정부(80)의 고정볼트(810)의 상부는 상기 보조패킹부(91) 주변의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각 모서리부위를 수직관통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fixing bolt 810 of the fixing part 80 may vertically penetrate each corner of the auxiliary cover part 400 around the auxiliary packing part 91 .

상기 고정부(80)의 너트(820)는 상기 고정볼트(810)의 상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nut 820 of the fixing part 80 may be screwed onto the fixing bolt 810 .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상부 일측 또는 상부 타측에는 상기 보조수용홈(410)과 연통되는 보조주입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An auxiliary injection port 412 communicating with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 410 may be formed on one upper side or the other upper side of the auxiliary cover part 400 .

상기 보조주입구(412)와 연결되는 주입기를 통해 상기 보조수용홈(410)내로 상기 스트레인 앰프(61)를 보호하는 상기 충진부(200)를 충진할 수도 있다.The filling part 200 protecting the strain amplifier 61 may be filled into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 410 through an injector connected to the auxiliary injection port 412 .

상기 보조수용홈(410)내로 충진되어 일정시간 경과후 경화되는 탄성재질의 상기 충진부(200)는 상기 스트레인 앰프(61)로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스트레인 앰프(61)를 안전하게 보호함은 물론 상기 스트레인 앰프(61)로의 눈, 빗물 등의 이물질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수밀성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lling part 20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filled into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 410 and harden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bsorbs an external shock applied to the strain amplifier 61 to safely protect the strain amplifier 61.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snow and rainwater, into the strain amplifier 61,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watertightness.

상기 보조주입구(412)에는 상기 보조주입구(412)를 개폐하기 위한 주입마개(413)가 끼움고정,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An injection stopper 4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uxiliary injection port 412 may be coupled to the auxiliary injection port 412 in various ways such as fitting and screwing.

다음으로, 상기 커버부(70)와 상기 보조커버부(400)를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고정시키기 위한 보조고정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Next, an auxiliary fixing part 300 for strongly fixing the cover part 70 and the auxiliary cover part 400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1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보조고정부(300)는 도 10 내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보조고정바(310), 제 2보조고정바(320) 및 보조고정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 to 13 , the auxiliary fixing unit 3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auxiliary fixing bar 310 , a second auxiliary fixing bar 320 , and an auxiliary fixing member 330 . .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의 상부가 상기 커버부(70)의 하부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는 상기 커버부(70)에 체결부재(3)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uxiliary fixing bar 3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70 , the first auxiliary fixing bar 310 is attached to the cover portion 70 by a fastening member 3 . position can be fixed.

체결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체결부재(3)는 상기 고정부(80)의 고정볼트(810) 사이의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의 전측과 상기 커버부(70)의 전측 및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의 후측과 상기 커버부(70)의 후측에 순차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3, which may be made of a fastening bolt, includes the front side of the first auxiliary fixing bar 310 between the fixing bolts 810 of the fixing part 80, the front side of the cover part 70, and the second side of the first auxiliary fixing bar 310 between the fixing bolts 810 of the fixing part 80. The rear side of the first auxiliary fixing bar 310 and the rear side of the cover part 70 may be sequentially screwed.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의 상부 중심부에는 상기 커버부(70)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수용홈(311)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A lower accommodating groove 311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part 70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upper center of the first auxiliary fixing bar 310 .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의 하부가 상기 커버부(70)의 반대편인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는 상기 커버부(70)의 반대편인 상기 차축(10)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auxiliary fixing bar 320 is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xle 10 opposite to the cover portion 70 , the second auxiliary fixing bar 320 is the cover portion 70 . It may be close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posite axle 10 .

또는,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의 하부가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상부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는 상기 보조커버부(400)에 상기 체결부재(3)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Alternatively,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auxiliary fixing bar 3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xiliary cover unit 400 , the second auxiliary fixing bar 320 is attached to the auxiliary cover unit 400 with the fastening member. The position can be fixed by (3).

체결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체결부재(3)는 상기 고정부(80)의 고정볼트(810) 사이의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의 전측과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전측 및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의 후측과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후측에 순차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3, which may be made of a fastening bolt, includes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auxiliary fixing bar 320 between the fixing bolts 810 of the fixing part 80 and the front side of the auxiliary cover part 400 and the The second auxiliary fixing bar 320 may be sequentially screwed to the rear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cover unit 400 .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의 하부 중심부에는 상기 보조커버부(400)의 상부가 수용되는 상부수용홈(321)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lower center of the second auxiliary fixing bar 320 , an upper receiving groove 321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cover unit 400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보조고정부재(330)는 보조고정볼트(331)와 보조너트(332)로 구성되어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와 제 2보조고정바(320)를 연결고정할 수 있다.The auxiliary fixing member 330 may include an auxiliary fixing bolt 331 and an auxiliary nut 332 to connect and fix the first auxiliary fixing bar 310 and the second auxiliary fixing bar 320 .

상기 보조고정볼트(331)는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의 전측과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의 전측 및 상기 제 1보조고정바(310)의 후측과 상기 제 2보조고정바(320)의 후측을 각각 수직관통하는 스터드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uxiliary fixing bolt 331 is a front side of the first auxiliary fixing bar 310, a front side of the second auxiliary fixing bar 320, and a rear side of the first auxiliary fixing bar 310 and the second auxiliary fixing bar. It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stud bolts vertically penetrating the rear side of the 320 .

상기 보조너트(332)는 스터드 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보조고정볼트(33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The auxiliary nut 332 may be screw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uxiliary fixing bolt 331, which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stud bolts, respectively.

도 18은 알림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state of a notification control unit.

다음으로,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무선통신부(20), 제 1전원공급부(30), 제 2무선통신부(40), 제 2전원공급부(50), 연산부(500), 알림부(600) 및 알림제어부(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8 ,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 , the first power supply unit 30 ,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 ,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50 , the calculation unit 500 , and the notification unit 600 . ) and a notification control unit 70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제 1무선통신부(20)는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이 각각 측정한 상기 차축(10)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무선송신할 수 있다.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 may wirelessly transmit load tension valu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le 10 measured by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630 , respectively.

상기 제 1전원공급부(30)는 상기 제 1무선통신부(2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30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 .

상기 제 2무선통신부(40), 제 2전원공급부(50), 알림부(600) 및 제어부(700)는 차량의 운전석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 ,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50 , the notification unit 600 , and the control unit 700 may be provided at various locations, such as a driver's seat of the vehicle.

상기 제 2무선통신부(40)는 상기 제 1무선통신부(20)로부터 하중 인장값을 수신할 수 있다.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 may receive a tensile load value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 .

상기 제 2전원공급부(50)는 상기 제 2무선통신부(4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수 있다.The second power supply unit 50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such as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 .

상기 연산부(500)는 일예로, 상기 알림제어부(700)에 내장되어 상기 제 2무선통신부(40)가 수신한 차축(10)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합산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unit 500 may, for example, be built i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700 and sum the load tension valu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le 10 received b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 .

상기 알림부(600)는 차량의 과적여부 및 차량의 전복여부를 차량 운전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600 may notify a vehicle driver or a manager of whether the vehicle is overloaded and whether the vehicle is overturned.

상기 알림부(20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빛을 발광하는 LED 등의 발광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notification unit 200 may be formed of various type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y one or both of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larm sound such as a siren sound and a light emitting member such as an LED for emitting light.

상기 알림제어부(700)는 상기 알림부(600)가 차량의 과적여부 및 차량의 전복여부를 알릴 수 있도록 상기 알림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700 may control the notification unit 600 so that the notification unit 600 notifies whether the vehicle is overloaded and whether the vehicle is overturned.

일예로, 상기 알림제어부(700)는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연산부(500)가 연산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상기 알림제어부(700)에 설정된 기준하중인장값과 비교하여 차량의 과적여부를 상기 알림부(600)가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700 compares the load tension valu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le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500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is stopped with the reference load tension value set i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700 and compares the vehicle The notification unit 60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notification unit 600 notifies whether or not the user is overloaded.

상기 연산부(500)가 합산한 차축(10)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이 상기 알림제어부(700)에 미리 설정된 기준하중인장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과적판단부(2)는 차량이 과적상태인 것으로 판단함과 더불어 상기 알림부(600)는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 및 빛을 발광하여 차량이 과적상태임을 운전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When the load tension value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le 10 added by the calculation unit 500 exceeds the reference load tension value preset i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700, the overload determination unit 2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overloaded. In addition to determining the state, the notification unit 600 may output an alarm sound such as a siren sound and emit light to notify the driver or manager that the vehicle is in an overloaded state.

상기 연산부(500)가 합산한 차축(10)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이 상기 알림제어부(700)에 미리 설정된 기준하중인장값 이하인 경우, 상기 과적판단부(2)는 차량이 과적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함과 더불어 상기 알림부(60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When the load tension value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le 10 summed by the calculation unit 50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oad tension value preset i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700, the overload determination unit 2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n overloaded state. In addition to determining that it is not, the notification unit 600 may be stopped.

또한, 상기 알림제어부(700)는 차량 주행시 상기 제 2무선통신부(40)가 수신한 차축(10)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비교하여 주행 중 차량의 전복여부를 상기 알림부(600)가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700 compares the load tension value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le 10 received b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 when the vehicle is driving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overturned while driving the notification unit 600 . may control the notification unit 600 to notify.

상기 제 2무선통신부(40)가 수신한 차축(10)의 일측의 하중 인장값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이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알림제어부(700)는 차축(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들뜸현상이 발생되어 차량이 전복될 위험이 다분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림부(600)가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 및 빛을 발광하여 차량의 전복위험을 차량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When the tensile value of one side of the axle 10 received b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 and the tensile value of the load on the other sid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700 causes a lifting phenomenon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axle 10 . It is determined that the risk of overturning of the vehicle is generated and the notification unit 600 outputs an alarm sound such as a siren sound and emits light to inform the vehicle driver of the risk of overturning of the vehicle.

상기 제 2무선통신부(40)가 수신한 차축(10)의 일측의 하중 인장값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알림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알림부(60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When the tensile value of one side of the axle 10 received b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 and the tensile value of the load on the other side are the same, the notification unit 600 is stopped by the control of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700 . can b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차축(10)에 작용하는 하중 인장을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의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630)을 통해 실시간 하중 측정이 가능하여 차량의 과적 및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를 내측에 수용하여 차축(10)에 고정부(80)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커버부(70)를 통해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6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real-time load measurement through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630 of the vehicle axle load sensor module unit 60 for the tension of the load acting on the axle 10 of the vehicle, thereby overloading the vehicle. and the vehicle through the cover part 70 fixed to the axle 10 by the fixing part 80 by accommodating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part 60 inside, as well as to prevent rollover in advan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afely protect the axial load sensor module unit (60).

1; 가변축상태 검출부, 2; 과적판단부,
5; 승강구동부, 7; 가변축 제어부,
8; 축하중 센서.
One; variable axis state detection unit, 2; overload judgment unit,
5; lift drive unit, 7; variable axis control,
8; axial load sensor.

Claims (13)

차량의 차축에 장착된 축하중 센서에 의해 상기 차축의 축하중을 측정하는 축하중 측정단계와;
차량의 가변축의 승강상태를 가변축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하는 가변축상태 검출단계와;
상기 축하중 센서에 의해 측정된 축하중 값을 기초로 과적성태를 판단하는 과적판단단계와;
상기 과적판단단계에 의해 과적으로 판단되고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에 의해 상기 가변축이 상승상태인 경우 상기 가변축의 승강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가변축을 하강시키는 가변축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축하중 측정단계의 상기 축하중 센서는 좌우 양단부에 차량의 차축에 각각 용접되는 일측 용접부 및 타측 용접부가 형성되는 금속시트와, 상기 금속시트의 일측 용접부와 타측 용접부 사이에 위치한 중간부 상부면에 형성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상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과,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의 양쪽 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절연층상에 형성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 이외의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을 포함한 상태로 상기 절연층상에 형성되는 보호층으로 구성되는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와;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차량의 차축에 고정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차량의 차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
an axial load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axial load of the axle by an axial load sensor mounted on the axle of the vehicle;
a variable-axis stat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n elevation state of a variable shaft of the vehicle by a variable-shaft state detection unit;
an overload determination step of judging an overload condition based on the axial weight value measured by the axial weight sensor;
a variable shaft control step of lowering the variable shaft by controlling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of the variable shaft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overload determination step and the variable shaft is in an elevated state by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The axial load sensor of the axial load measurement step includes a metal sheet having one welded part and the other welded part welded to the axle of the vehicle at both ends, respectivel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part located between the welded part and the other welded part of the metal sheet An insulating layer formed, a linear strain gage grid pattern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in a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 electrod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inear strain gage grid pattern; a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unit comprising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in a state including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a cover part fixed to the axle of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part is accommodated inside;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cover part to the axle of th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단계에서는 상기 가변축의 에어서스펜션의 공압을 측정하는 공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축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step, a variable shaft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a vehicle using an axle weight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detecting the variable shaft state using a pneumatic sensor measuring the air pressure of the variable shaft air suspens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과적판단단계는 상기 가변축 제어단계에서 상기 가변축이 하강된 경우 상기 축하중 센서 대신에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의 검출값에 의해 과적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overload determination step, when the variable shaft is lowered in the variable shaft control step, the overloaded state is determined by the detection value of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instead of the shaft weight sensor. Variable axis control method for overload preven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축 제어단계는 상기 과적판단단계가 상기 가변축상태 검출부의 검출값을 기초로 과적 기준 미만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가변축의 승강구동부를 제어하여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variable shaft control step, when the overload determination step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the overload standard based on the detection value of the variable shaft state detection unit, the variable shaft control unit controls the lift drive unit to raise the vehicle. Variable axis control method for preven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 주변의 상기 커버부의 상부면과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 주변의 차축 외주면 사이에 패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part is formed on the cover part,
A variable shaft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a vehicle using an axle load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a packing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around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around the vehicle axle load sensor module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의 전극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variable shaft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a vehicle using an axle load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 cable that passes through the cover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of the vehicle axle load sensor module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홈내로 충진되어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를 보호하는 충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part is formed on the cover part,
An inj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A variable shaft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a vehicle using an axle load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illing part that is filled into the receiving groove through the inlet to protect the vehicle axle load sensor modul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액상의 우레탄액 또는 액상의 발포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lling part is a variable shaft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a vehicle using a shaft weight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liquid urethane liquid or a liquid foaming liqui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 각 모서리 주변의 차축 외주면에 상부가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커버부의 각 모서리부위를 수직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part includes a fixing bolt having an upper portion fix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n axle around each corner of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and a lower portion vertically penetrating each corn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A variable shaft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a vehicle using an axial weight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ut screw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ol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제 1보조고정바와;
상기 커버부의 반대편의 차축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는 제 2보조고정바와;
상기 제 1보조고정바의 전측과 상기 제 2보조고정바의 전측 및 상기 제 1보조고정바의 후측과 상기 제 2보조고정바의 후측을 각각 연결고정하는 보조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조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auxiliary fixing bar close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art;
a second auxiliary fixing bar close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xle opposite the cover portion;
auxiliary fixing members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front side of the first auxiliary fixing bar and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auxiliary fixing bar and the rear side of the first auxiliary fixing bar and the rear side of the second auxiliary fixing bar respectively; A variable shaft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a vehicle using an axial weight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a fixed part is provid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의 외주면에 스트레인 앰프가 고정되고,
상기 스트레인 앰프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커버부의 반대편의 상기 차축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보조커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보조고정바는 상기 보조커버부에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 strain amplifier is fix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xle opposite to the cover part,
an auxiliary cover part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xle opposite to the cover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strain amplifier is accommodated inside; is provided;
The second auxiliary fixing bar is a variable shaft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a vehicle using an axial weight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losely fixed to the auxiliary cover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축하중 센서모듈부는 차량의 차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선형 스트레인게이지 그리드패턴이 각각 측정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무선송신하는 제 1무선통신부와;
상기 제 1무선통신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1전원공급부와;
상기 제 1무선통신부로 하중 인장값을 수신하는 제 2무선통신부와;
상기 제 2무선통신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2전원공급부와;
상기 제 2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합산하는 연산부와;
차량의 과적여부 및 차량의 전복여부를 알리는 알림부와;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연산부가 연산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기준하중인장값과 비교하여 차량의 과적여부를 상기 알림부가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 및 차량 주행시 상기 제 2무선통신부가 수신한 차축의 일측과 타측의 하중 인장값을 비교하여 주행 중 차량의 전복여부를 상기 알림부가 알리도록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알림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하중 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과적방지용 가변축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vehicle axle weight sensor module unit is respectively fix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le of the vehicle,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tensile valu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le measured by the linear strain gauge grid pattern;
a first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tensile load value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second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calculation unit for summing the load tensile valu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le received b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notification unit notifying whether the vehicle is overloaded and whether the vehicle is overturne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trols the notification unit so that the notification unit notifies whether the vehicle is overloaded by comparing the load tension valu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le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with the reference load tension value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is stopped and the vehicle is running A notific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notification unit so that the notification unit informs whether the vehicle is overturned while driving by comparing the tensile values of the loa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xle received by; Variable axis control method for prevention.
삭제delete
KR1020200015135A 2020-02-07 2020-02-07 Variable axis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vehicle using sensor during celebration KR1022674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135A KR102267493B1 (en) 2020-02-07 2020-02-07 Variable axis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vehicle using sensor during celeb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135A KR102267493B1 (en) 2020-02-07 2020-02-07 Variable axis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vehicle using sensor during celeb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493B1 true KR102267493B1 (en) 2021-06-21

Family

ID=7660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135A KR102267493B1 (en) 2020-02-07 2020-02-07 Variable axis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vehicle using sensor during celeb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49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0473A (en) * 2009-07-13 2011-02-03 Nippon Trex Co Ltd Axle elevating device for trailer
KR101596933B1 (en) 2015-07-28 2016-02-23 주식회사 금창산업 Welding apparatus and welding method for lift axle of vehicle
KR20180127822A (en) * 2017-05-22 2018-11-30 주식회사 만도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Overloading of Vehicle
KR20190080183A (en)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지에스엠 Axial load sensor module with axle load
KR102000557B1 (en) * 2018-04-26 2019-07-16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Overload preven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0473A (en) * 2009-07-13 2011-02-03 Nippon Trex Co Ltd Axle elevating device for trailer
KR101596933B1 (en) 2015-07-28 2016-02-23 주식회사 금창산업 Welding apparatus and welding method for lift axle of vehicle
KR20180127822A (en) * 2017-05-22 2018-11-30 주식회사 만도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Overloading of Vehicle
KR20190080183A (en)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지에스엠 Axial load sensor module with axle load
KR102000557B1 (en) * 2018-04-26 2019-07-16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Overload preven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449B1 (en) Sensor module structure for axle-mounted car celebration
KR102048829B1 (en) Axial load sensor module with axle load
US20190011309A1 (en) Trailer weighing system
CA2473965C (en) Tire pressure monitoring method
US6050770A (en) Stabilization system for load handling equipment
US9718660B2 (en) Lifting vehicle with a transverse stability control system
US4677263A (en) Air spring position switch
KR102267491B1 (en) Variable axis control system for vehicle overload prevention using sensors during celebration
KR100575569B1 (en) Overload detection device for high-lift work vehicle
US20140202776A1 (en) Load measuring system
US8431840B2 (en) Support element with weight measurement for lifting platforms
US7142102B2 (en) Weight overload warning system
KR102267493B1 (en) Variable axis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overload of vehicle using sensor during celebration
US10322922B2 (en) Lifting vehicle incorporating a load monitor
WO2017188990A1 (en) Trailer weighing system
CA1298657C (en) Vehicle load monitoring system
KR102140980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sensor module to measure axial load of vehicle
KR101180939B1 (en) A prevention device for overload of truck
JP2711750B2 (en) Forklift truck
US2663562A (en) Truck scale
JP2003035591A (en) Vehicle-mounted weighing device
KR200271231Y1 (en) Weight sensing device for truck
FI119399B (en) weighing apparatus
KR200207584Y1 (en) Safety device for air spring of van
US20230095208A1 (en) Cargo carrier set up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