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042B1 - Switch with b contact sensor - Google Patents

Switch with b contact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042B1
KR102267042B1 KR1020200133227A KR20200133227A KR102267042B1 KR 102267042 B1 KR102267042 B1 KR 102267042B1 KR 1020200133227 A KR1020200133227 A KR 1020200133227A KR 20200133227 A KR20200133227 A KR 20200133227A KR 102267042 B1 KR102267042 B1 KR 102267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tact
sensor
tap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2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은덕
Original Assignee
주은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덕 filed Critical 주은덕
Priority to KR1020200133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0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0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2003/0286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having a weak point breaking or uncoupling on abnormal external forc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with a B contact sensor, which comprises: a switch body (110) having a buffering part to perform a protective function from external impact and providing a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a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a tape sensor (120) which is mounted on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is conductive by shock or pressure applied to the switch body (110) to output an operating load detection signal; and a B contact sensor (130) which is mounted on the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and connected to the tape sensor (120) to detect a normal operation of the tape sensor (120) and generate a contact output. In the B contact sensor (130), a B contact control circuit (131) is provided to maintain a contact output in an ON state to perform a switch function when a signal from the tape sensor 120 is input normally, converts a contact output to an OFF state to detect switch abnormality, disconnection of the tape sensor (120), and input voltage abnormality when the signal is abnormally input. Therefore, the functionality and safety of the switch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by being applied to a bumper switch, a mat switch, and an edge switch.

Description

B접점 센서를 가지는 스위치{SWITCH WITH B CONTACT SENSOR}Switch with B contact sensor {SWITCH WITH B CONTACT SENSOR}

본 발명은 B접점 센서를 가지는 스위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 운반차 등의 범퍼, 산업용 안전 매트, 자동화 시스템의 엣지에 설치하여 각종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도록 구비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B접점 센서를 탑재하여 스위치의 비정상 작동을 검출하고 정상적인 기능 수행을 지속하도록 구성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having a B contact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in a switch provided to secure safety from various external shocks by installing it at the edge of a bumper such as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an industrial safety mat, and an automation system It relates to a switch configured to detect an abnormal operation of a switch by mounting a contact sensor and continue to perform a normal function.

일반적으로, AGV, LGV, RGV 등의 무인 운반차나 EMS, Stocker 등 각종 산업용 운반 차량, 및 자동화 시스템에는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범퍼나 안전 매트 등 다양한 형태의 안전수단을 장착한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safety means such as bumpers and safety mats are mounted on unmanned vehicles such as AGVs, LGVs, and RGVs, various industrial transportation vehicles such as EMS and Stocker, and automation systems to prevent various safety accidents that occur during operation. .

이와 같은 무인 운반차나 자동화 시스템에 장착하는 안전수단은 완충 및 복원력이 우수한 우레탄, 고무 등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 외부 접촉 또는 충돌시 완충 기능을 수행하되, 충격 감지를 통해 작동을 제어하여 안전을 확보하도록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를 설치한다. Safety means installed in such unmanned vehicles or automated systems ar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s such as urethane and rubber with excellent buffering and resilience to perform a buffering function in case of external contact or collision, but to ensure safety by controlling operation through impact detection. Install various types of switches.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10 - 1392992 호에는 충돌이 발생될 때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구동부의 작동을 차단시키는 제1,2범퍼스위치를 포함하는 무인반송카트로써, 제1,2범퍼스위치는 카트몸체의 전후방측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쿠션이격단과, 쿠션이격단 사이에 설치되는 테이프 스위치와, 쿠션이격단에 테이프 스위치가 내장되게 설치되는 범퍼를 포함하여 구성한다.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92992 discloses an unmanned transfer cart including first and second bumper switches that absorb shock and block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when a collision occurs. A base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dy, a cushion separating end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base, a tape switch installed between the cushion separating ends, and a bumper installed to have a built-in tape switch in the cushion separating end do.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098576 호에는 경량재료의 베이스플레이트면에 압전센서를 부착할 수 있게 백업플레이트를 부착하고, 베이스플레이트와 대응되는 감응판 사이에는 양면을 접착지지하는 탄성고무를 개재시키며, 감응판의 바깥면에 발포스폰지제 등의 완충재를 접착시키고 이들 전체의 연질의 합성수지계통의 외피재를 스테이플을 사용하여 베이스플레이트 뒷면에 접착고정하는 무인운반차의 범퍼장치를 구성한다. As another example, in Korea Utility Model No. 20 - 0098576, a backup plate is attached so that a piezoelectric sensor can be attached to the base plate surface of a lightweight material, and an elastic rubber that supports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and the corresponding sensitive plate by adhesive. It consists of a bumper device for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that attaches a cushioning material such as foamed spong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nsitive plate, and attaches and fixes the entire soft synthetic resin-based outer skin to the back of the base plate using staples. .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0881838 호에는 바닥과 연접되도록 구비하는 고무재질의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면 사방 가장자리에 접착 고정하는 간격유지밴드와, 간격유지밴드의 내부에 배열하는 다수 개의 테이프 스위치와, 간격유지밴드의 상면에 부착 고정하는 표면판과, 베이스와 표면판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면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방호용 매트 스위치를 구성한다.As anothe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 - 0881838 discloses a rubber bas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loor, a gap maintaining band that is adhesively fixed to all four edg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a plurality of spaces arranged inside the gap maintaining band. A protective mat switch including a tape switch, a surface plate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ap maintaining band, and a guide frame coupled to enable a strong fixation while accommodating the edges of the base and the surface plate is configured.

한국등록특허 제 10 - 1392992 호 (2014.05.08)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92992 (2014.05.08)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098576 호 (1996.02.21)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 - 0098576 (1996.02.21) 한국등록특허 제 10 - 0881838 호 (2009.02.03)Korea Patent No. 10 - 0881838 (2009.02.03)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09 - 0108882 호 (2009.10.19)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 - 2009 - 0108882 (2009.10.19)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범퍼나 안전 매트 등에 적용되는 스위치는 내부에 단순 A접점 방식의 테이프 스위치를 내장하여 외부 충격 등을 감지하도록 구성한다.A switch applied to a bumper or a safety mat to which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is configured to detect an external impact by embedding a simple A-contact type tape switch therein.

통상적인 테이프 스위치는 판상형태의 긴 길이로 구비되는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을 구비하고, 상,하부전극 사이에는 양 전극 사이를 이격 또는 접촉되도록 개재하는 절연패드를 구비하고, 상부전극의 상측에는 절연필름을 삽입하고, 상면 중앙에 누름돌기를 가지는 외피로 마감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A typical tape switch has an upper electrode and a lower electrode having a long plate shape, and an insulating pad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to be spaced apart or in contact between the electrodes, and an insulating pa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electrode. The film is inserted, and it is made in the form of finishing with a skin having a pressing protrusion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이와 같은 테이프 스위치는 범퍼나 안전 매트 등 설치 대상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내부 전선, 전극이 파손될 쉽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종래 기술에서는 외부 제어기를 별도로 설치하여 테이프 스위치의 작동 여부를 파악하도록 구성한다.Since such a tape switch cannot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internal wires and electrodes are easily damage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an installation target such as a bumper or a safety mat, in the prior art, an external controller is separately installed to determine whether the tape switch operates.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스위치는 외부 제어기가 테이프 스위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들여 전류의 흐름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고, 입력신호가 없는 경우에 배선이 단선된 것으로 판단하여, 릴레이 접점을 오프시킴으로써 대응 설비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일련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등 스위치의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switch as in the prior art, the external controller reads the signal input from the tape switch unit to determine whether current flows or not, and when there is no input signal, determines that the wiring is disconnected, and turns off the relay contac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switch is complicated, such as a series of controls that stop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equipment.

따라서, 종래 기술의 스위치는 테이프 스위치의 고장 검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자칫 안전사고의 발생 시 스위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부 제어기의 미작동 시 테이프 스위치의 단선 여부를 직접 확인해야 하는 등 사용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switch of the prior art, the failure of the tape switch cannot be detected quickly, so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switch when a safety accident occurs, and it is difficult to directly check whether the tape switch is disconnected when the external controller does not operate. It has the disadvantage of low usability.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 기능을 수행하도록 완충부를 구비하고 제1설치부(111) 및 제2설치부(112)를 마련하는 스위치 본체(110)와,A switch body 110 having a buffer unit to perform a protective function from external impact and providing a first installation unit 111 and a second installation unit 112;

상기 제1설치부(111)에 장착하고 스위치 본체(110)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압력에 의해 도전되어 동작하중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테이프 센서(120)와,A tape sensor 120 mounted on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conductive by an impact or pressure applied to the switch body 110 to output an operating load detection signal;

상기 제2설치부(112)에 장착하고 상기 테이프 센서(120)와 접속하여 테이프 센서(120)의 정상 작동 유무를 검출하고 접점 출력을 발생하는 B접점 센서(130)를 포함하고,and a B contact sensor 130 mounted on the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and connected to the tape sensor 120 to detect the normal operation of the tape sensor 120 and generate a contact output,

상기 B접점 센서(130)에는, In the B contact sensor 130,

테이프 센서(120)로부터 신호가 정상 입력시 접점 출력을 ON상태를 유지하여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고, 신호가 비정상 입력시 접점 출력을 OFF상태로 변환하여 스위치 이상 및 테이프 센서(120)의 단선 유무, 입력 전압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B접점제어회로(131)를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범퍼 스위치, 매트 스위치, 엣지 스위치에 적용하여 스위치의 기능성 및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When the signal from the tape sensor 120 is input normally, the switch function is performed by maintaining the contact output ON state, and when the signal is input abnormally, the contact output is converted to the OFF state, whether there is a switch error or disconnection of the tape sensor 120, By having a B contact control circuit 131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nput voltag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purpose of remarkably improving the functionality and safety of the switch by applying it to bumper switches, mat switches, and edge switches.

본 발명은 무인 운반차 등의 범퍼나 산업용 안전 매트 등에 설치하여 각종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도록 구비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B접점 센서를 탑재하는 스위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tch equipped with a B contact sensor in a switch provided to secure safety from various external shocks by installing it on a bumper of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etc. or an industrial safety mat.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순 A접점 방식의 테이프 스위치에 비해 별도의 외부 제어기 구성을 배제하고 스위치 이상 및 테이프 센서의 단선 유무, 입력 전압의 이상 유무를 보다 신속하게 검출하여 정상적인 스위치 기능 수행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configuration of a separate external controlle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imple A-contact type tape switch, and detects more quickly whether there is a switch abnormality, disconnection of the tape sensor, or abnormality of the input voltage. There is an advantage to ensure continuity.

아울러, 본 발명은 테이프 센서 또는 B접점 센서의 이중화 구성이 가능하여 일부 구성의 고장 발생 시에도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므로 시스템 전반의 안전 등급을 현저히 향상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markably improving the overall safety rating of the system because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the occurrence of a failure in some components because a double configuration of the tape sensor or the B contact sensor is possibl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 예에 따른 B접점 센서를 가지는 범퍼 스위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이중화 구조를 형성하는 B접점 센서를 가지는 범퍼 스위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 예에 따른 B접점 센서를 가지는 매트 스위치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3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구조를 형성하는 B접점 센서를 가지는 엣지 스위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B접점 센서를 가지는 범퍼 스위치의 B접점제어회로의 회로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1 실시 예에 따른 B접점 센서를 가지는 범퍼 스위치를 무인 운반차에 적용한 상태 예시도.
1 and 2 are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mper switch having a B contac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umper switch having a B contact sensor forming a redundant structur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t switch having a B contact sens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schematic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an edge switch having a B-contact sensor forming a redundant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circuit structure of the B contact control circuit of the bumper switch having the B contac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umper switch having a B contac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이하, 본 발명의 B접점 센서를 가지는 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switch having a B contact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art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be omitt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 예에 따른 B접점 센서를 가지는 범퍼 스위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이중화 구조를 형성하는 B접점 센서를 가지는 범퍼 스위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 예에 따른 B접점 센서를 가지는 매트 스위치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3 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구조를 형성하는 B접점 센서를 가지는 엣지 스위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B접점 센서를 가지는 범퍼 스위치의 B접점제어회로의 회로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1 실시 예에 따른 B접점 센서를 가지는 범퍼 스위치를 무인 운반차에 적용한 상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1 and 2 are schematic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a bumper switch having a B-contac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umper switch having a B-contact sensor forming a redundant structur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t switch having a B-contact sens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dge switch having a B-contact sensor forming a redundant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7 and 8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circuit structure of a B contact control circuit of a bumper switch having a B contac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B contac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ranch show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bumper switch is applied to an unmanned vehicle.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B접점 센서를 가지는 스위치는 무인 운반차의 범퍼나 산업용 안전 매트 등의 자동화 시스템에 설치하여 각종 외부 충격으로부터 차체 혹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구비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B접점 센서를 탑재하여 스위치의 비정상 작동을 신속하게 검출하고 기능 수행의 연속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A switch having a B-contact sensor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installed in an automation system such as a bumper of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or an industrial safety mat to secure the safety of a vehicle body or a worker from various external shocks. Note that it relates to a technology for quickly detecting abnormal operation of a switch and ensuring continuity of function execution by mounting a

이를 위한 본 발명의 B접점 센서를 가지는 스위치는 스위치 본체(110)와, 본체 내부에 탑재하는 테이프 센서(120), 및 B접점 센서(13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For this purpose, the switch having the B contact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witch body 110 , a tape sensor 120 mounted inside the body, and a B contact sensor 130 , and specifically is as follows.

상기 스위치 본체(11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 기능을 수행하도록 완충부를 구비하고 제1설치부(111) 및 제2설치부(112)를 마련한다.The switch body 110 is provided with a buffer to perform a protective function from external impact, and a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a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ar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위치는 범퍼 스위치, 매트 스위치, 엣지 스위치를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스위치로 구성한다.Th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witch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a bumper switch, a mat switch, and an edge switch.

상기 범퍼 스위치는 도 9의 실시 예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무인 운반차 등의 차체 전, 후방 또는 측방에 구비하는 범퍼에 장착하여 외부 충격을 완화하고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스위치이다.The bumper switch is a switch provided to relieve external shock and control operation by being mounted on a bumper provided on the front, rear or side of a vehicle body of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9 .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범퍼 스위치에 적용되는 스위치 본체(110)는 차체의 외부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프레임 및 프레임에 결합하는 완충부로 구성하되, 차체의 외측을 향하는 완충부의 내측에 상기 제1설치부(111) 및 제2설치부(112)를 형성하도록 구비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switch body 110 applied to the bumper switch is composed of a fram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vehicle body, and a buffer unit coupled to the frame, but inside the buffer unit facing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It is provided to form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the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

상기 매트 스위치는 각종 생산 라인의 바닥 또는 시스템의 작업 공간의 바닥 등에 설치하여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이다.The mat switch is a switch installed on the floor of various production lines or on the floor of the work space of the system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control the opera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 스위치에 적용되는 스위치 본체(110)는 매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완충부의 내측 또는 일측에 상기 제1설치부(111) 및 제2설치부(112)를 마련하도록 구성한다.5, the switch body 110 applied to the mat switch is made in a mat shape, and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the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are provided inside or on one side of the buffer part. configure to do

상기 엣지 스위치는 각종 산업 현장의 자동문이나 자동창고 등의 모서리에 장착하여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이다.The edge switch is a switch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s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by mounting at the corners of automatic doors or automatic warehouses of various industrial sites.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엣지 스위치에 적용되는 스위치 본체(110) 역시 모서리의 외측을 향하는 완충부의 내측에 상기 제1설치부(111) 및 제2설치부(112)를 형성하도록 구비한다.5, the switch body 110 applied to the edge switch is also provided to form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the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on the inside of the buffer part facing the outside of the edge. .

상기 테이프 센서(120)는 상기 제1설치부(111)에 장착하고 스위치 본체(110)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압력에 의해 도전되어 동작하중 감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한다.The tape sensor 120 is mounted on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is electrically conducted by an impact or pressure applied to the switch body 110 to output an operating load detection signal.

상기 테이프 센서(120)는 상기 스위치 본체(110)의 형상에 따라서 완충부에 마련되는 상기 제1설치부(111)에 내장하여 외부 충격 또는 압력이 작용 시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B접점 센서(130)에 전송하도록 구성한다.The tape sensor 120 is built in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provided in the buffer uni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witch body 110 to output a detection signal when an external shock or pressure is applied, and the B contact sensor 130 ) to be sent to

상기 테이프 센서(120)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양측 전극 테이프와, 그 사이에 구비하는 절연패드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충격 또는 압력이 작용시 양측 전극이 절연패드를 통과해 접촉하여 도전됨으로서 동작하중을 감지하도록 구성한다.The tape sensor 120 is composed of both electrode tape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n insulating pad provided therebetween, so that when an impact or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both electrodes pass through the insulating pad and become conductive to sense the operating load. make up

상기 테이프 센서(120)는 절연성 PVC 재질의 외피로 피복되어 상기 제1설치부(111) 내에 삽입되고 스위치의 종류별로 상이한 구조를 형성하는 상기 스위치 본체(110)의 형상에 따라서 배치하여 구비한다.The tape sensor 120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witch body 110 which is coated with an insulating PVC outer shell and inserted into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to form a different structure for each type of switch.

상기 B접점 센서(130)는 상기 제2설치부(112)에 장착하고 상기 테이프 센서(120)와 접속하여 테이프 센서(120)의 정상 작동 유무를 검출하고 접점 출력을 발생하도록 구비한다.The B contact sensor 130 is mounted on the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and connected to the tape sensor 120 to detect whether the tape sensor 120 is operating normally and to generate a contact output.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구조에서와 같이, 상기 B접점 센서(130)에는 상기 테이프 센서(120)로부터 신호가 정상 입력시 접점 출력을 ON상태를 유지하여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고, 신호가 비정상 입력시 접점 출력을 OFF상태로 변환하여 스위치 이상 및 테이프 센서(120)의 단선 유무, 입력 전압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B접점제어회로(131)를 구비한다.As in the circuit structure schematically shown in FIG. 7 , the B contact sensor 130 performs a switch function by keeping the contact output ON when a signal from the tape sensor 120 is input normally, and the signal is abnormal. A B contact control circuit 131 is provided that converts the contact output to an OFF state at the time of input and detects a switch abnormality, disconnection of the tape sensor 120, and abnormal input voltage.

상기 B접점제어회로(131)는 상기 테이프 센서(120)의 신호 입력에 따라서 단선 또는 단락을 검출하고 릴레이를 동작하여 접점 출력을 도출하는 회로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인가 전압의 이상이나 테이프 센서(120)의 단선을 검출하고 스위치의 작동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한다.The B contact control circuit 131 forms a circuit structure that detects a disconnection or short circuit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of the tape sensor 120 and operates a relay to derive a contact output. Therefore, it is configured to detect an abnormality in the applied voltage or disconnection of the tape sensor 120 and determine whether the switch is operated or not.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B접점제어회로(131)에는 제어유닛(132)을 포함하여 자동모드, 수동모드 및 리셋모드를 구현하도록 마련하여 스위치가 장착되는 차체 또는 시스템의 동작을 자동 또는 수동 제어하도록 구성한다.As shown in FIG. 8 , the B contact control circuit 131 includes a control unit 132 to implement an automatic mode, a manual mode, and a reset mode to automatically or Configured for manual control.

상기 자동모드는 신호의 비정상 입력시 접점 출력을 발생하고, 비정상 신호가 미입력시 자동으로 접점 출력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회로구조를 형성한다.The automatic mode forms a circuit structure in which a contact output is generated when an abnormal signal is input, and the contact output is automatically returned to an original state when an abnormal signal is not input.

상기 수동모드는 신호의 비정상 입력시 접점 출력을 발생하고, 비정상 신호가 미입력시에도 접점 출력을 유지하는 회로구조를 형성한다.The manual mode forms a circuit structure that generates a contact output when an abnormal signal is input, and maintains a contact output even when an abnormal signal is not input.

상기 리셋모드는 수동모드에서 유지되는 접점 출력을 제거하는 회로구조를 형성한다.The reset mode forms a circuit structure that eliminates the contact output maintained in the passive mode.

한편, 상기 스위치 본체(110)에는 도 3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설치부(111) 및 제2설치부(112) 각각을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센서(120)와 B접점 센서(130)를 복수 세트로 설치하여 이중화하도록 구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switch body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ach of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the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as shown in FIG. 3 or 6, and the tape sensor 120 and the B contact The sensor 130 is configured to be redundant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sets.

즉, 도 7의 (b)에 도시한 회로구조에서와 같이 상기 스위치 본체(110)에 마련되는 일측 제1설치부(111) 및 제2설치부(112)에 장착하는 테이프 센서(120)와 B접점 센서(130)에서는 1번 출력을 형성하고, 타측 제1설치부(111) 및 제2설치부(112)에 장착하는 테이프 센서(120)와 B접점 센서(130)에서 2번 출력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임의의 테이프 센서(120) 또는 B접점 센서(130)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스위치의 기능은 정상적으로 수행 가능한 효과를 도출하도록 구성한다.That is, as in the circuit structure shown in (b) of FIG. 7 , the tape sensor 120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the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provided on the switch body 110 and The B contact sensor 130 forms an output No. 1, and the tape sensor 120 and B contact sensor 130 mounted on the other sid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the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generate output 2 By configuring to form, eve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any tape sensor 120 or B contact sensor 130, the function of the switch is configured to derive an effect that can be performed normally.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B접점 센서를 가지는 스위치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A schematic usage state of a switch having a B-contact sensor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Since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given by way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and it will be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rovi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 따른 B접점 센서를 가지는 스위치는 범퍼 스위치, 매트 스위치, 엣지 스위치를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스위치이다.The switch having the B contac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tch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a bumper switch, a mat switch, and an edge switch.

예컨대, 상기 범퍼 스위치에 입력되는 전압이 정상 인가되거나, 또는 스위치 본체(110)에 장착하는 테이프 센서(120)가 단선이 아닌 정상 상태, 또는 스위치 본체(110)에 외부 충격(동작하중)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 테이프 센서(120)와 접속하는 B접점 센서(130)는 B접점제어회로(131)를 통해 릴레이를 동작하고 접점 출력을 쇼트(ON) 상태로 유지하여 범퍼 스위치의 기능을 정상 수행하도록 작동한다.For example, the voltage input to the bumper switch is normally applied, or the tape sensor 120 mounted on the switch body 110 is not disconnected, but is in a normal state, or an external shock (operating load) occurs in the switch body 110 . If not, the B contact sensor 130 connected to the tape sensor 120 operates the relay through the B contact control circuit 131 and maintains the contact output in a short-circuited (ON) state to function as a bumper switch. Works to perform normally.

반면, 상기 범퍼 스위치에 입력되는 전압이 비인가 또는 전원이 단선이거나, 또는 스위치 본체(110)에 장착하는 테이프 센서(120)가 단선인 상태, 또는 스위치 본체(110)에 외부 충격(동작하중)이 발생한 상태일 경우, 테이프 센서(120)와 접속하는 B접점 센서(130)는 B접점제어회로(131)를 통해 릴레이를 동작하고 접점 출력을 오픈(OFF) 상태로 변환하여 범퍼 스위치의 이상을 검출하고 차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작동한다.On the other hand, the voltage input to the bumper switch is not applied or the power is disconnected, or the tape sensor 120 mounted on the switch body 110 is disconnected, or an external shock (operating load) is applied to the switch body 110 . In the generated state, the B contact sensor 130 connected to the tape sensor 120 operates a relay through the B contact control circuit 131 and converts the contact output to an open (OFF) state to detect an abnormality in the bumper switch. and operate to control the vehicle's motion.

상기와 같은 범퍼 스위치에서 제1설치부(111) 및 제2설치부(112) 각각을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센서(120)와 B접점 센서(130)를 각각 제1세트 및 제2세트로 설치하여 이중화 회로구조로 마련하면, 제1세트 테이프 센서(120)와 B접점 센서(130)는 스위치의 정상 또는 비정상 상태에 따라서 1번 접점 출력을 형성하고, 제2세트 테이프 센서(120)와 B접점 센서(130)는 스위치의 정상 또는 비정상 상태에 따라서 2번 접점 출력을 동시에 형성한다.In the bumper switch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the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tape sensor 120 and the B contact sensor 130 are provided in a first set and a second set, respectively. When installed with a dual circuit structure, the first set tape sensor 120 and the B contact sensor 130 form the first contact output according to the normal or abnormal state of the switch, and the second set tape sensor 120 . and the B contact sensor 130 simultaneously form a No. 2 contact output according to the normal or abnormal state of the switch.

따라서, 상기 범퍼 스위치에서 임의의 테이프 센서(120) 또는 B접점 센서(130)에서 이상이 발생하여 예컨대 1번 접점 출력에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2번 접점 출력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므로 스위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any of the tape sensors 120 or the B contact sensor 130 in the bumper switch, for example, a defect occurs in the 1st contact output, the 2nd contact output operates normally, so that the switch function can be performed normally. can

또한, 상기 B접점제어회로(131)에 구비하는 제어유닛(132)은 자동모드, 수동모드, 리셋모드에 의해 스위치의 이상 검출 이후의 B접점 센서(130)의 작동 상태를 설정하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2 provided in the B contact control circuit 131 is configured to set the operating state of the B contact sensor 130 after detecting an abnormality of the switch by an automatic mode, a manual mode, and a reset mode.

예컨대, 상기 자동모드에서는 스위치에 외부 압력이 작용하여 접점 출력을 오픈(OFF) 상태로 변환한 후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쇼트(ON) 상태로 복귀시키며, 상기 수동모드에서는 스위치에 외부 압력이 작용하여 접점 출력을 오픈(OFF) 상태로 변환한 후 외부 압력이 제거되면 리셋모드가 동작하기 전까지는 접점 출력을 오픈(OFF)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리셋모드를 동작하여 접점 출력을 쇼트(ON) 상태로 복귀시킨다.For example, in the automatic mode,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switch to convert the contact output to an open (OFF) state, and then,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removed, the switch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short (ON) state, and in the manual mode,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switch.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removed after converting the contact output to the open (OFF) state by acting, the contact output is maintained in the open (OFF) state until the reset mode operates, and the contact output is short-circuited by operating the reset mode. ) to return to the state.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B접점 센서를 가지는 스위치는 무인 운반차의 범퍼나, 산업용 안전 매트, 각종 산업 현장의 자동문이나 자동창고 등에 설치하여 각종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도록 구비하는 범퍼 스위치, 매트 스위치, 엣지 스위치에 있어서 테이프 센서(120)와 함께 B접점 센서(130)를 탑재하는 스위치를 제공한다.The switch having the B contact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bumper switch provided to secure safety from various external shocks by installing it on a bumper of an unmanned transport vehicle, an industrial safety mat, an automatic door of various industrial sites, or an automatic warehouse, Provided is a switch in which the B contact sensor 130 is mounted together with the tape sensor 120 in the mat switch and the edge switch.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순 A접점 방식의 테이프 스위치에 비해 별도의 외부 제어기 구성을 배제함은 물론, 스위치 이상 및 테이프 센서의 단선 유무, 입력 전압의 이상 유무를 보다 신속, 정확하게 검출하여 스위치의 기능성 및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를 증대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xcludes a separate external controller configura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imple A-contact type tape switch, but also detects switch abnormalities, disconnection of tape sensors, and abnormal input voltages more quickly and accurately.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its functionality and safety.

또한, 본 발명은 테이프 센서(120) 또는 B접점 센서(130)의 이중화 구성 및 제어유닛(132)에 의한 다양한 출력 설정이 가능하여 스위치의 기능 수행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일부 구성의 고장 발생 시에도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므로 자동화 시스템 전반의 안전 등급을 현저히 향상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dual configuration of the tape sensor 120 or the B contact sensor 130 and various output settings by the control unit 132 to ensure the continuity of the function performance of the switch and even when a malfunction of some components occurs. Since it is possible to respond flexibly, there are effects such as being able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overall safety rating of the automation system and provide a safe working environment.

110: 스위치 본체
111: 제1설치부
112: 제2설치부
120: 테이프 센서
130: B접점 센서
131: B접점제어회로
132: 제어유닛(MCU)
110: switch body
111: first installation part
112: second installation part
120: tape sensor
130: B contact sensor
131: B contact control circuit
132: control unit (MCU)

Claims (4)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 기능을 수행하도록 완충부를 구비하고 제1설치부(111) 및 제2설치부(112)를 마련하는 스위치 본체(110)와,
상기 스위치 본체(110)에 마련된 제1설치부(111)에 장착하고 스위치 본체(110)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압력에 의해 도전되어 동작하중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테이프 센서(120)와,
상기 스위치 본체(110)에 마련된 제2설치부(112)에 장착하고 상기 테이프 센서(120)와 접속하여 테이프 센서(120)의 정상 작동 유무를 검출하고 접점 출력을 발생하는 B접점 센서(130)로 이루어지고, 범퍼 스위치, 매트 스위치, 엣지 스위치를 포함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B접점 센서를 가지는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B접점 센서(130)에는,
테이프 센서(120)로부터 신호가 정상 입력시 접점 출력을 ON상태를 유지하여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고, 신호가 비정상 입력시 접점 출력을 OFF상태로 변환하여 스위치 이상 및 테이프 센서(120)의 단선 유무, 입력 전압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B접점제어회로(131)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본체(110)에는, 상기 제1설치부(111) 및 제2설치부(112) 각각을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센서(120)와 B접점 센서(130)를 복수 세트로 설치하여 이중화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B접점제어회로(131)에는,
신호의 비정상 입력시 접점 출력을 발생하고, 비정상 신호가 미입력시 자동으로 접점 출력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자동모드와,
신호의 비정상 입력시 접점 출력을 발생하고, 비정상 신호가 미입력시에도 접점 출력을 유지하는 수동모드와,
수동모드에서 유지되는 접점 출력을 제거하는 리셋모드를 구현하는 제어유닛(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접점 센서를 가지는 스위치.
A switch body 110 having a buffer unit to perform a protective function from external impact and providing a first installation unit 111 and a second installation unit 112;
A tape sensor 120 mounted on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provided on the switch body 110 and conductive by an impact or pressure applied to the switch body 110 to output an operating load detection signal;
B contact sensor 130 that is mounted on the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provided on the switch body 110 and connected to the tape sensor 120 to detect whether the tape sensor 120 is in normal operation and generate a contact output. In the switch having a B contact sens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umper switch, a mat switch, and an edge switch,
In the B contact sensor 130,
When a signal from the tape sensor 120 is normally input, the switch function is performed by keeping the contact output ON state, and when the signal is input abnormally, the contact output is converted to the OFF state, whether there is a switch error or disconnection of the tape sensor 120, and a B contact control circuit 131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in the input voltage;
In the switch body 110, each of the first installation part 111 and the second installation part 112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tape sensor 120 and the B contact sensor 130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ets. provided for redundancy,
In the B contact control circuit 131,
An automatic mode that generates a contact output when an abnormal signal is input and automatically returns the contact output to the original state when an abnormal signal is not input;
A manual mode that generates a contact output when an abnormal signal is input and maintains a contact output even when an abnormal signal is not input;
A switch having a B contact sensor, comprising a control unit 132 for implementing a reset mode for removing the contact output maintained in the manual m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33227A 2020-10-15 2020-10-15 Switch with b contact sensor KR1022670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27A KR102267042B1 (en) 2020-10-15 2020-10-15 Switch with b contact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27A KR102267042B1 (en) 2020-10-15 2020-10-15 Switch with b contact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042B1 true KR102267042B1 (en) 2021-06-18

Family

ID=7662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227A KR102267042B1 (en) 2020-10-15 2020-10-15 Switch with b contact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04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0980A (en) * 2007-06-12 2008-12-25 Tokyo Sensor:Kk Mat switch and mat switch device
KR100881838B1 (en) 2008-04-14 2009-02-03 주식회사 유피스 Mat switch
KR20090108882A (en) 2008-04-14 2009-10-19 주식회사 유피스 Tape switch
KR101392992B1 (en) 2014-01-07 2014-05-08 주식회사 지아체시스템즈 Automated guided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0980A (en) * 2007-06-12 2008-12-25 Tokyo Sensor:Kk Mat switch and mat switch device
KR100881838B1 (en) 2008-04-14 2009-02-03 주식회사 유피스 Mat switch
KR20090108882A (en) 2008-04-14 2009-10-19 주식회사 유피스 Tape switch
KR101392992B1 (en) 2014-01-07 2014-05-08 주식회사 지아체시스템즈 Automated guide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71744B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charge of battery in energy-saving and environment-friendly vehicle
US5257431A (en) Airplane loading bridge
US20190368658A1 (en) Sensor device
KR102267042B1 (en) Switch with b contact sensor
US20190368950A1 (en) Sensor device
CN111857089A (en) Electrical assembly and method
US11117532B2 (en) Electrical assembly and method
KR101951642B1 (en) Apparatus for redundant drive structure for manned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CN212623739U (en) Platform management system
US117457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n automatically driving vehicle
KR20080056988A (en) Duplex levitation controller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
CN210791049U (en) Multi-degree-of-freedom modular collision detection and protection device for image robot
KR102075531B1 (en) Appatus for detecting overvoltage pos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7060388B2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s and vehicle power supply systems equipped with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s
US8022834B2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CN212808994U (en) Robot and robot chassis system and collision detection mechanism thereof
JP6569812B2 (en) Elevator system
KR102352874B1 (en) Cover for bumper sensor
KR20100044621A (en) Digital relay
CN101379371B (en) Detection device and seat comprising such a device
KR102021108B1 (en) Impact sensing apparatus of bumper
JP3144120B2 (en) Bumper collision detection device
CN217022417U (en) Electrical box
CN117699615A (en) Elevator landing door anti-collision device
WO2022002058A1 (en) Body housing and vehicle hav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