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913B1 -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913B1
KR102266913B1 KR1020200111511A KR20200111511A KR102266913B1 KR 102266913 B1 KR102266913 B1 KR 102266913B1 KR 1020200111511 A KR1020200111511 A KR 1020200111511A KR 20200111511 A KR20200111511 A KR 20200111511A KR 102266913 B1 KR102266913 B1 KR 102266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sterilization
pad
cover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원주
Original Assignee
용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원주 filed Critical 용원주
Priority to KR102020011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8Combinations of purses and wall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61L2/238Metals or alloys, e.g. oligodynamic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4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5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 D21H17/57Polyureas;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8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having a fibrous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at of other she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수납된 스마트폰의 전면부위에 전면커버에 구비된 살균패드가 접촉하여 살균을 할 수 있도록 한 항균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수납하는 내부케이스 또는 스마트폰이 내측면에 고정된 후면커버; 상기 후면커버의 측부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부위를 덮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부위와 접촉하는 살균패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Smart phone protection case having antibiotic and disinf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수납된 스마트폰의 전면부위에 전면커버에 구비된 살균패드가 접촉하여 살균을 할 수 있도록 한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전면 부위 전체가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터치에 의해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추락, 충격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되므로, 디스플레이 화면까지 덮을 수 있는 지갑형 보호 케이스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일예로 등록특허 제10-1769579호(지갑형 스마트폰 케이스)에서는 "스마트폰의 후방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후판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가 보호되도록 상기 후판부의 테두리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판부를 포함하는 커버부; 상기 후판부에 고정되어 스마트폰을 수납하는 이너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판부를 열어 스마트폰을 노출시킨 다음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사용이 종료되면, 전판부를 회전시켜 스마트폰의 전면부위를 덮게 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스마트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스마트폰은 상기의 커버부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하게 되고, 통화를 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얼굴에 밀착시켜 통화를 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코와 입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접촉하여 세균, 바이러스 감염 등에 매우 취약하다.
즉, 디스플레이 화면을 손으로 터치하면서 사용할 때 손에 묻은 세균, 바이러스 등의 오염물질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묻게 되고, 통화시 디스플레이 화면에 묻은 오염물질이 사용자의 코 또는 입 등을 통해 체내로 유입됨으로써 감염에 쉽게 노출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 등록특허 제10-1769579호
(지갑형 스마트폰 케이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커버의 내측면에 살균패드를 구비하여 전면커버를 닫았을 때 스마트폰의 전면부위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세균, 바이러스 등의 오염물질을 항균 및 살균할 수 있도록 한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수납하는 내부케이스 또는 스마트폰이 내측면에 고정된 후면커버;
상기 후면커버의 측부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부위를 덮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부위와 접촉하는 살균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커버를 닫았을 때 스마트폰의 전면부위에 살균패드가 접촉하여 항균 및 살균작용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세균, 바이러스 등의 오염물질에 감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살균패드가 적용된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살균패드를 구성하는 살균부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살균패드의 단면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전면커버를 덮었을 때 전면커버 내측의 살균패드가 스마트폰의 전면부위에 접촉한 상태를 보인 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살균패드가 적용된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2는 살균패드를 구성하는 살균부의 구조를 보인 도이며, 도3은 살균패드의 단면 구조를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4는 전면커버를 덮었을 때 전면커버 내측의 살균패드가 스마트폰의 전면부위에 접촉한 상태를 보인 도이다.
도1에서와 같이 케이스(100)는 평평한 판 형태로 된 후면커버(120)가 구비되고, 그 일측부에는 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된 평평한 판 형태의 전면커버(110)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후면커버(110)와 전면커버(120)는 가죽, 인조가죽, 천 등의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고, 그 내측에 하드지 또는 플라스틱 판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구성된 형태이고, 연결부(130)는 연질의 재질로만 구성되어 전면커버(110)가 후면커버(120)의 전면부로 회전하여 덮이는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후면커버(110)의 내측면에는 스마트폰(300)을 수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내부케이스(200)가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또다른 형태로는 내부케이스(200) 없이 곧바로 스마트폰(300)의 후면부위가 양면테이프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면커버(1120)의 내측면에는 살균패드(40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살균패드(400)는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거나 또는 가장자리부위가 박음질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살균패드(400)는 그 크기와 위치가 상기 스마트폰(300)의 전면부위 전체 또는 일부분에 해당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살균패드(400)가 스마트폰(300)의 전면부위 전체에 접촉하여 살균을 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스마트폰(300)의 전면부위 일부분 예를 들면, 사용자의 코와 입이 닿는 부위에 접촉할 수 있는 크기와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살균패드(400)는 도2에서와 같이 구리로 된 동사(銅絲)와 PE, PP, PC 등의 합성수지로 된 실에 의해 그물 형태 또는 천 형태로 직조되거나 편직된 살균부(410)가 구비되고, 그 하부면에는 부착부재(430)가 구비되어 전면커버(120)의 내측면에 부착됨으로써 살균력을 갖는 동사 즉, 구리된 실에 의해 스마트폰(300)의 전면부위에 살균이 행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살균부(410)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위사(緯絲)[0044] 가 일정간격마다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경사(經絲)가 일정간격마다 배치되는데, 상기 위사는 동사가 주로 배치되고, 경사는 합성수지재질로 된 실이 주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위사는 동사만 배치되거나 또는 동사와 합성수지재질로 된 실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경사의 경우에는 합성수지재질로 된 실만 배치되거나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실과 동사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동사의 구리성분에 의해 살균력을 유지하면서도 직조가 쉽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동사의 경우에는 나이론실의 외측에 구리 입자를 열압착하거나 또는 분사에 의해 코팅시켜 제조하게 되며, 이때 위사와 경사가 동사로만 배치된다면, 이를 직조할 때 동사의 위사와 경사로 배치된 동사의 구리 입자가 서로 마찰을 일으켜 떨어져 나감으로써 살균력을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며, 또한 제조비용이 증가된다.
그러나, 위사는 동사가 주로 배치되도록 하고, 경사는 합성수지재질의 실이 주로 배치되도록 하여 그물 형태로 직조함으로써 동사간의 마찰이 없게 되어 구리 입자가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방지되는 것이다.
물론, 위사와 경사 모두 동사만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살균부(410)는 그물 형태가 아닌 천 형태로 편직될 수 있다.
아울러 동사가 아닌 합성수지재질로 된 실에 은 입자를 코팅한 은사에 의해 직조 또는 편직함으로써 천 형태로 살균부(410)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은사에 의한 살균부(410)가 직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은사와 합성수지재질로 된 실이 위사와 경사로 배치되거나 또는 위사는 은사만 배치되거나 또는 은사와 합성수지재질로 된 실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경사의 경우에도 합성수지재질로 된 실만 배치되거나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실과 은사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동사 또는 은사는 70 데니어(deni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E 재질로 된 합성수지재질의 실은 100 데니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데니어(denier)는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450m 길이이며, 무게가 005g을 가지도록 하는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동사 또는 은사와 합성수지재질로 된 실에 의해 살균부(410)를 형성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며, 비교적 저렴한 살균패드(400)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도2(a)에서와 같이 상기 살균부(410)와 부착부재(430) 사이에는 스폰지 등으로 된 쿠션부재(420)가 적층될 수 있는데, 평평한 면을 갖는 전면커버(120)의 내측면에 곧바로 살균부(410)가 부착된 경우에는 살균부(410)의 외측면이 스마트폰(300)의 전면부위에 고르게 접촉할 수 없게 되어 살균력이 저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쿠션부재(420)를 1~2mm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하고, 살균부(410)와 부착부재(430) 사이에 적층하여 그 쿠션부재(420)의 쿠선력에 의해 스마트폰(300)의 전면부위에 고르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쿠션부재(420)의 상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살균부(410)와 접착된다.
또한, 도2(b)에서와 같이 살균부(410)와 쿠션부재(420) 사이에 방수부재(44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수부재(440)는 필름,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재로 되어 쿠션부재(420)로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땀이나 물, 빗물 등이 직조된 살균부(410)를 통과하여 쿠션부재(420)로 침투하게 되면, 쿠션부재(420)가 물을 흡수하여 머금고 있게 됨으로써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게 되지만, 방수부재(440)에 의해 습기의 유입이 차단됨으로써 위생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이러한 쿠션부재(420)와 방수부재(440)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살균부(410)의 하부면에 먼저 얇은 폴리우레탄 패드를 접합되며, 이러한 폴리우레탄 패드는 표면이 비교적 거친 종이의 상부면에 액상의 폴리우레탄이 평평하게 도포되어 패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100~140℃의 열을 가함으로써 종이와 폴리우레탄 패드가 임시로 접합되도록 한다.
즉, 폴리우레탄 패드가 열에 의해 거친 표면을 갖는 종이에 의해 임시로 접합되며, 이후 종이가 쉽게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챔버내부에 투입하여 균일한 열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의 폴리우레탄 패드의 상부면에 살균부(410)를 위치시킨 다음 챔버에서 40~60℃의 열을 가하게 되면, 폴리우레탄 패드의 상부면이 살균부(410)의 위사와 위사의 간격, 그리고 경사와 경사의 간격에 형성된 공간으로 파고들면서 안정적으로 접합된다.
접합이 완료되면, 80~90℃ 분위기의 챔버내에서 20~28시간 숙성시킴으로써 폴리우레탄 패드와 살균부(410)가 더욱 견고히 접합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종이를 폴리우레탄 패드의 하부면으로부터 제거한 다음 폴리우레탄 패드의 하부면에 부착부재(430)를 부착시키게 된다.
결국, 이러한 폴리우레탄 패드는 쿠션력과 방수력을 가지게 되므로, 쿠션부재(420)와 방수부재(440)를 대신하여 살균부(410)와 부착부재(430) 사이에 적층되는 것이다.
도4는 상기의 살균패드(400)가 전면커버(120)의 내측면에 부착되거나 고정되어 전면커버(120)가 회전하여 스마트폰(300)의 전면부위를 덮게 되면, 살균패드(400)가 스마트폰(300)의 전면부위에 접촉함으로써 살균이 행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후면커버
120 : 전면커버 200 : 내부케이스
300 : 스마트폰 400 : 살균패드
410 : 살균부 420 : 쿠션부재
430 : 부착부재 440 : 방수부재

Claims (8)

  1. 스마트폰을 수납하는 내부케이스 또는 스마트폰이 내측면에 고정된 후면커버;
    상기 후면커버의 측부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부위를 덮는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부위와 접촉하는 살균패드;로 구성되고,
    상기 살균패드는
    구리로 된 위사(緯絲)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합성수지재질로 된 경사(經絲)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직조되며, 스마트폰의 전면부위와 접촉하는 살균부;
    상기 살균부의 하부면에 적층되는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의 하부면에 적층되어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패드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대응하는 크기 및 위치를 가지고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111511A 2020-09-02 2020-09-02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102266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511A KR102266913B1 (ko) 2020-09-02 2020-09-02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511A KR102266913B1 (ko) 2020-09-02 2020-09-02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913B1 true KR102266913B1 (ko) 2021-06-18

Family

ID=7662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511A KR102266913B1 (ko) 2020-09-02 2020-09-02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9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548B1 (ko) * 2011-08-24 2011-11-17 이명호 실드 케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04970A (ko) * 2014-03-07 2015-09-16 진현국 모바일기기 보호 케이스 부착용 항균 스티커 패드
KR20150119755A (ko) * 2014-04-16 201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항균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2096463B1 (ko) * 2019-09-27 2020-05-27 용원주 퍼프 살균용 패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548B1 (ko) * 2011-08-24 2011-11-17 이명호 실드 케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04970A (ko) * 2014-03-07 2015-09-16 진현국 모바일기기 보호 케이스 부착용 항균 스티커 패드
KR20150119755A (ko) * 2014-04-16 201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항균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102096463B1 (ko) * 2019-09-27 2020-05-27 용원주 퍼프 살균용 패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818B1 (ko) 퍼프 살균용 패치
USD790374S1 (en) Wristband with fitness monitoring capsule
KR101041415B1 (ko) 유연성이 개선된 화학방호복용 원단
US20220192889A1 (en) Wound dressing patch
KR101027766B1 (ko) 휴대용 단말기 보호방수용 패키지
ES2270146T3 (es) Funda protectora de objetos delicados.
KR102266913B1 (ko)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US4769856A (en) Anti-static gloves
KR20240021629A (ko)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MXPA05013416A (es) Vendaje adhesivo, elastico, insertado en trama y metodo.
KR101297668B1 (ko) 모바일 기기 보호 커버용 항균 원단
CA2191171A1 (en) Mouse pad
KR102266917B1 (ko)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US9364122B2 (en) Towel
KR102266920B1 (ko) 항균 및 살균기능을 갖는 도어 손잡이 커버
KR20170001213U (ko) 자외선 차단용 마스크
CN211591661U (zh) 一种新型防水耐拉伸化纤面料
JP2006055358A (ja) アイマスク
KR20180126857A (ko) 휴대용 방수팩
CN217834961U (zh) 一种抗菌型防水尼龙面料
US4194248A (en) Protective mitten
CN110406476A (zh) 一种suv改装车后备箱遮盖用篷布
EP0675516A2 (en) Screening of electromagnetic emission into the sheath for cellular mobile telephone
KR200164645Y1 (ko)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스티커
CN217851494U (zh) 一种免清洗围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