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378B1 - Double floor structure in a room - Google Patents
Double floor structure in a ro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6378B1 KR102266378B1 KR1020190162501A KR20190162501A KR102266378B1 KR 102266378 B1 KR102266378 B1 KR 102266378B1 KR 1020190162501 A KR1020190162501 A KR 1020190162501A KR 20190162501 A KR20190162501 A KR 20190162501A KR 102266378 B1 KR102266378 B1 KR 1022663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ck
- accommodating
- attached
- accommodating part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 실내에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가능하고 실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복층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orey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nd easily installed in a building and can utilize an indoor space.
최근 도시형 주거공간이 다양화되어 가고, 종전 대규모 가족단위의 주거공간보다, 직장이나 학교 등에 근접한 소규모 주거형태나 핵가족화에 따른 소수 인원만이 거주하는 생활 형태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화된 도시형 생활 주택예컨대 오피스텔, 원룸 등과 같은 곳은 비교적 좁은 실내 공간을 보유함에 따라, 어떻게 실내 공간을 활용하여 거주자의 생활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가에 대한 많은 논의와 고민이 진행되어 왔다.Recently, urban-type residential spaces have been diversified, and small-scale dwellings close to work or school or living patterns in which only a small number of people live due to the nuclear family are gradually increasing, rather than the previous large-scale family-unit dwelling spaces. As such miniaturized urban living houses, such as officetels and studios, have relatively narrow indoor spaces, there has been much discussion and contemplation on how to utilize the indoor space to promote the living convenience of residents.
이러한 논의 중, 건물 실내 공간에서의 복층형 구조는 1개의 층에 대한 층고를 높여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방식에 해당한다. 통상 복층형 구조는 실내 공간을 상층과 하층으로 구획한다. 하층에는 거주자가 사무를 보거나 생활을 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용하고 상층은 거주자가 휴식 또는 취침을 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곤 한다.Among these discussions, the multi-storey structure in the indoor space of a building corresponds to a method of dividing the indoor space by increasing the height of one floor. In general, a multi-layer structure divides an indoor space into an upper and a lower floor. The lower floor is used as a space for residents to work or live, and the upper floor is often used as a space for residents to rest or sleep.
하지만, 이러한 복층 구조는 상층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하층 바닥면으로 이어져 하층의 실내 공간의 활용 면적을 좁게 만들고, 또한 하층에서 상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도 설치되어야 하므로 활용할 수 있는 하층의 실내 공간은 더욱 더 좁아질 수 밖에 없다. 또한 실내 여러 구조물이 번잡하게 구획되어 실내 공간을 실 면적보다 좁아 보이게 만들며, 깔끔하고 단정한 인상을 주지 못한다.However, in such a multi-storey structure, th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upper floor lea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loor, which makes the usable area of the lower floor narrow, and also stairs to move from the lower floor to the upper floor must be installed. can only get narrower. In addition, various indoor structures are complicatedly partitioned, making the indoor space appear narrower than the actual area, and it does not give a neat and tidy impression.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하층의 실내 공간을 활용하면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simply and easily while utilizing the indoor space of the upper and lower floors.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는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at a relatively low cost.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복층으로의 연결 수단을 수납부 내에 설치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단순화하여 미관상으로도 단정하고 깔끔하며, 상하층 실내 공간 활용 측면에서도 용이한 복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storey structure that is neat and tidy in terms of aesthetics by simplifying the indoor space by installing a connecting means to the multi-story in the storage unit, and is easy in terms of utilization of the upper and lower floors.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하층의 수납부 공간을 실내 공간에 맞게 다양하게 배치하여도 상층의 데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복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storey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deck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by variously disposing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floor according to the indoor space.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층 데크 일 측면에 회동가능한 난간대를 설치하여 거주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복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storey structure that secures the safety of residents by installing a rotatable handrail on one side of the upper deck.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층 테크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데크 연장부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난간대를 설치할 필요없는 복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storey structure that does not need to install a separate handrail by installing a deck extens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 tech.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층 데크 위에 매트리스를 부착하여 상층에서의 거주 편의성을 높이는 복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 mattress on the upper deck to provide a multi-storey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living on the upper floo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은, 실내 바닥면과 이격되어 일 벽면에 부착된 데크와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데크 회동부, 데크의 일부를 지지하는 데크 받침대, 그리고 데크의 일부를 지지하는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ilding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indoor floor and supports and rotates the deck and the deck attached to one wall, the deck support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deck, and a part of the deck It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for supporting the.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은,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와, 제1 수납부 내에 설치되는 계단부, 제1 벽면과 측면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벽면에 건물 실내 바닥면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데크와, 그 일부가 제2 벽면에 부착 결합되고 또 다른 일부가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데크 회동부와, 제1 벽면과 대향하는 제3 벽면에 설치되는 데크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uilding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a first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interior, a staircase part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wall surface at right angles to the first wall surface. A deck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indoor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part of which is attached to and coupled to the second wall, and another part is attached and coupled to the deck to support and rotate the deck, and to face the first wall It may include a deck support that is installed on the third wall.
데크 회동부에 의해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데크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데크의 적어도 일부분이 데크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deck is horizontally horizontal by the rotating deck,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is supported by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uni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deck supporting unit.
또한 제1 수납부는, 제1 수납부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폐되는 개폐부를 구비할 수 있다. 개폐부는 개폐부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는,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ccommodating unit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unit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unit is opened and closed. The opening/clo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by rot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closing unit with the center of the opening/closing unit as an axis. In addition, the opening/closing unit may be opened and closed by mo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closing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또한 데크는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난간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난간대는,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결합되고 난간대를 회전시키는 난간대 회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ck may further include a handrail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eck, and the handrail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eck and may include a handrail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handrai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복층 구조물은,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와, 제1 수납부 내에 설치되는 계단부와, 제1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며, 일 측면이 제1 수납부의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데크와, 일부가 제1 수납부의 상단면에 부착결합되고 일부가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와, 제1 벽면과 대향하는 제3 벽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데크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a first wall surface of an indoor building, a step part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One side of the deck that cl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is attached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eck, and one or more deck pivoting part is attached to the deck to support and rotate the deck And, it may include one or more deck supports installed on the third wall opposite the first wall.
데크 회동부에 의해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데크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며, 제1 수납부의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deck achieves a horizontal s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rotating deck,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is supported by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uni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is supported by the deck supporting unit, the first receiving unit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may be configured to be ope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복층 구조물은,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와, 제1 수납부 내에 설치되는 계단부와, 제1 벽면과 측면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벽면에 설치되는 제2 수납부와, 제2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고 일 측면이 제2 벽면에 부착결합되는 제3 수납부와, 그 일부가 제3 수납부 하단부에 부착결합되고 또 다른 일부는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a first wall surface of an indoor building, a step part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first wall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 A second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the wall, a third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having one side attached to the second wall surface, and a part of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nd another Some may include one or more deck pivots that are attached to the deck to support and rotate the deck.
데크 회동부에 의해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수납부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제2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deck is horizontally horizontal by the pivoting part of the deck,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uni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unit. can
또한 제1 수납부는, 제1 수납부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폐되는 개폐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테크 일 측면에 부착되고, 제3 수납부에 수납되는 매트리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크는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난간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난간대는,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결합되고 난간대를 회전시키는 난간대 회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ccommodating unit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unit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unit is opened and closed, and may further include a mattres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ech and accommodated in the third accommodating unit. In addition, the deck may further include a handrail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eck, and the handrail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eck and may include a handrail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handrai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복층 구조물은,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와, 제1 수납부 내에 설치되는 계단부와, 제1 벽면과 측면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벽면에 설치되는 제2 수납부와, 제2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며, 일 측면이 제2 벽면에 부착결합되며,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제3 수납부와, 제2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는 데크와, 그 일부가 제3 수납부 하단부에 부착결합되고 또 다른 일부가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a first wall surface of an indoor building, a step part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first wall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2 A second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the wall, a third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one side attached to and coupled to the second wall surface, the top surface of which is ope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The deck is installed in the, and a portion of the third receiving portion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and another portion is attached to the deck may include one or more deck pivots to support and rotate the deck.
데크는, 개방된 제3 수납부의 상단면에 대응하도록 데크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데크 연장부를 구비하고, 데크 회동부에 의해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수납부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제2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deck is provided with a deck extens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deck to correspond to the top surface of the open third receiving part, and when the deck is horizontally horizontal by the deck rotat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is first 1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unit.
또한 테크 일 측면에 부착되고, 제3 수납부에 수납되는 매트리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mattress that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ech, and is accommodated in the third receiving unit.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데크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일 벽면에 부착 결합하게 되어 있어, 간편하고 용이하게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으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deck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and attached to one wall,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easily install a multi-storey structure inside a building,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time required.
또한, 이러한 복층 구조물로 인해 복층 아래 실내 공간 활용도 자유로워 지며, 활용가능한 실내가 넓어진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due to such a multi-storey structure, the use of the indoor space under the multi-story is free, and it has the effect that the usable indoor space is widened.
또한, 복층으로서의 연결수단인 계단부가 수납부 안에 설치되어 있어,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미관상으로 단정하고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납부 상단면이 개폐됨으로써 복층으로의 이동에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taircase part, which is a connecting means as a duplex, is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it can give an aesthetically neat and tidy impression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be able to
또한, 하층의 수납부를 실내 공간에 맞추어 다양하게 배치하더라도 상층의 데크를 용이하게 설치함으로써 실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storage unit of the lower floor is arr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indoor spac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indoor space by easily installing the upper deck.
또한, 데크의 일 측면에 난간대를 부착함으로써 복층에서의 생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In addition, by attaching a handrail to one side of the deck,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ensuring safety in living in the duplex.
또한, 데크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데크 연장부를 통해 난간대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난간대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by performing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handrail through the deck extens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deck, it can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installing the handrail.
또한, 필요에 따라서 데크 위에 매트리스를 부착함으로써 복층에서의 생활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In addition, by attaching a mattress on the deck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living in the duplex.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제1 벽면에 제1 수납부가 설치되고, 제2 벽면에 데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도 1의 데크가 수평상태를 이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개폐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도 1의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난간대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도 4의 데크가 수평상태를 이루고, 난간대가 수직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제1 수납부 위에 데크가 설치되고, 데크의 바닥면이 제1 수납부의 상단면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도 6의 데크가 수평상태를 이루고, 제1 수납부의 상단면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제1 수납부, 제2 수납부와 제3 수납부가 설치되고, 데크가 제2 수납부 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도 8의 데크가 수평상태를 이루고, 데크 위에 매트리스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도 8의 데크가 데크 연장부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accommodating part is installed on a first wall surface and a deck is installed on a second wall surface in a building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ck of FIG. 1 is in a horizontal state in an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n opening and closing part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building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at in the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rail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eck of FIG. 1 is included.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ck of FIG. 4 is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handrail is rotated vertically in the multi-storey building ind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ck is installed o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ck closes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in the multi-storey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ck of FIG. 6 is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unit is opened in the multi-storey building ind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are installed, and the deck is installed o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n the building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ck of FIG. 8 is in a horizontal state and a mattress is attached on the deck in the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ck of FIG. 8 is provided with a deck extension in the building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comprise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 1 내지 도 10의 건물 실내 구조는 일반적이고 통상적인 방 구조인 직육면체 형태의 실내 구조를 상정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본 실내 구조로 제한하거나 한정하고 있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ndoor structure of the building of FIGS. 1 to 10 assumes an indoor structur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hich is a general and typical room structur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o this indoor structure.
또한, 제1 벽면 내지 제3 벽면을 직선 또는 점선으로 표현한 것은 도시된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실내 구조로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xpression of the first wall to the third wall surface with a straight line or a dotted line is for easier explanation of the illustrated content,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or limited to such an indoor structure.
또한, 어느 한 벽면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구조물을 설명하는 것은 본 발명의 설명에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그 특정 벽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벽면을 중심으로 얼마든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복층 구조물을 구현할 수도 있음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the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entered on one wall is for the purpose of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wall surface, and the multi-layer structure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enter of the other wall surface. It can be said that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elf-evident fac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may be implemented.
(제1 실시 예)(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내 구조의 제1 벽면(10)에 제1 수납부(10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수납부(100)의 가로 세로 높이 길이는 제한되지 않으며 실내 구조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제1 수납부(100) 내부에는 여러 가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수납공간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납부(100)의 어느 일 부분의 수납공간에는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계단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계단부(110)는 도어가 닫혀 있을 때는 보이지 않으나(도1 에서 점선으로 도시됨),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계단부(110)를 볼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a building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first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 일부는 계단부(110)를 통해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일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 일부에는 개폐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제1 벽면(10)과 측면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벽면(20)에 데크(400)가 설치될 수 있다. 데크(400)는 건물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제1 수납부(100)의 높이보다 높게 이격되어 제2 벽면(20)에 설치될 수 있다. 데크(400)의 장축방향 길이는 데크(400)가 부착되는 제2 벽면(20)의 가로 길이보다 짧을 수 있으며, 단축방향 길이는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으로부터 천정면까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The
데크(400)의 하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420)가 설치될 수 있다. 데크 회동부(420)는 그 일부가 제2 벽면(20)에 견고하게 부착결합되고 또 다른 일부는 데크(400)에 부착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데크 회동부(420)는 데크(400)를 지지하고 회전시킬 수 있다. One or more
제1 수납부(100)가 설치된 제1 벽면과 대향하는 제3 벽면(30)에는 하나 이상의 데크 받침부(410)가 설치될 수 있다. One or mor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데크(400)가 수평상태를 이룬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수납부(100)의 도어가 열린 상태이므로 그 내부에 설치된 계단부(110)를 볼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계단부(110)의 내부 공간은 서랍 형태의 별도의 수납공간을 설치하여 공간활용을 도모할 수도 있다.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의 일부는 개폐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120)는 그 중심을 축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렇게 개방된 상태에서 거주자는 계단부(110)를 통해 상층과 하층을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개폐부(120)에 의해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을 폐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in the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데크(400)는 데크 회동부(420)에 의해 회전되어 수평상태를 이루고 있다. 데크 회동부(420)의 일부는 제2 벽면(20)에 부착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또 다른 일부는 데크(400)에 부착결합되어 데크(400)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데크 회동부(420)는, 실내 바닥면을 기준으로 데크(400)가 수직인 상태와 수평한 상태 사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데크 회동부(420)의 회전력은, 데크 회동부(420) 내에 전기 모터가 설치되어, 전기 모터의 힘으로 데크(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전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스트링 방식 즉 데크 회동부(420)와 데크(400)간에 하나 이상의 줄이 연결되어, 줄을 잡아당기거나 풀어 데크(400)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Also referring to FIG. 2 , the
데크(400)가 데크 회동부(420)에 의해 회전하여 수평상태를 이룰 경우, 데크(400)의 일부분이 데크 받침부(410)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지며, 또 데크(400)의 다른 일부분은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지게 된다. 즉, 데크 받침부(410)와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의 일부가 데크(400)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받침으로써 데크(400) 위로 사람이 생활하거나 사물이 적재되더라도 그 하중에 의해 데크(400)가 더 이상 하방으로 회전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데크(400)의 두께와 재질은 사람 또는 물건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만큼의 두께와 재질을 가져야만 한다. When the
데크 받침부(410)는 도 2에서는 가로 세로 높이 길이가 거의 유사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건물 실내 공간 구조에 따라서는 가로 방향이 긴 레일(rail) 형태의 데크 받침부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데크 받침부(410)의 형상이나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로 구성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데크 받침부(410)는 데크 위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일면이 제3 벽면(30)에 앵커 볼트결합 등을 통해 단단히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개폐부(12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 개폐부(120)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수납장의 상단면의 하단 아래로(또는 상단 위로) 슬라이딩 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120)는,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적어도 그 일부가 복수의 주름판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주름판이 수평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짐으로써 제1 수납장의 상단면을 개폐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 in the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데크(400)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난간대(430)를 포함하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난간대(430)와 난간대 회동부(440)를 제외하고는 도 1의 구성과 동일하다. 난간대(430)는 데크(400)의 장축 방향 일 측면에 난간대 회동부(440)를 통해 연결 부착될 수 있다. 난간대 회동부(440)는 난간대(430)와 데크(400)를 연결 결합시키고 난간대(430)를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4 shows a view including a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도 4의 데크(400)가 수평상태를 이루고, 난간대(430)가 수직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데크(400)가 수평상태를 이룰 때 데크(400)의 일부분이 데크받침부(410)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지게 되며, 또 다른 데크(400)의 일부분이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 진다. 난간대(430)는 난간대 회동부(44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진다. 이러한 난간대(430)는 데크(400) 위에서 사람이 추락하는 경우를 방지하거나 데크(400) 위에서 사물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난간대 회동부(440)의 회전력은, 난간대 회동부(440) 내에 전기모터가 설치되어, 전기모터의 힘으로 난간대(4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전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난간대 회동부(440)는 난간대(430)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하고, 적절한 회전 각도에 해당할 경우 걸림턱이나 고정핀, 스토퍼 등을 이용하여 난간대(430) 회전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제2 실시 예)(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제1 벽면(10)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100) 상단면에 데크(400)가 설치되고, 데크(400)의 바닥면이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의 일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데크(400)가 수직인 상태로 데크(400)의 바닥면이 제1 수납부(100) 상단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형태가 된다. 여기서 데크(400)의 두께는 대략 제1 수납부(100)의 폭(단축방향 길이)의 절반 정도에 해당한다. 데크(400)의 하단부에는 그 일부가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에 견고하게 고정부착결합되고 또 다른 일부가 데크(400)의 하단부에 고정부착되어 데크(400)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420)가 설치될 수 있다. 데크 회동부(420)의 구동 방식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전기 모터 구동 방식과 동일할 수 있으며, 데크 일 측면과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 데크 회동부(420)에 하나 이상의 줄로 연결하여 줄을 당기거나 풀어 데크(400)를 회전시키는 스트링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6 shows a
제1 벽면(10)과 대향하는 제3 벽면(30)에는 하나 이상의 데크 받침부(410)가 설치될 수 있다. 데크 받침부(410)는 실시 예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건물 실내 공간에 따라 그 형상 또는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 6의 하나 이상의 데크 받침부(410) 대신에 제1 수납부(100)와 같은 수납부가 제3 벽면에 설치되어 데크(400)의 일부가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또 데크(400)의 일부가 제3 벽면에 설치된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받쳐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One or more
도 7은 도 6의 데크(400)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루고,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데크(400)가 가로 방향으로 펼쳐져 수평상태를 이루면, 데크(400)의 일부는 데크 받침부(410)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지고, 데크(400)의 또 다른 일부는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지게 된다. 이 경우 수직상태에서의 데크(400)의 바닥면도 회전하게 되어, 데크(400) 바닥면이 커버하고 있었던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이 개방상태가 된다. 이 개방된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은 제1 수납부(100) 내 설치된 계단부(110)와 연결되게 되고, 거주자는 상하층 자유롭게 이 계단부(110)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제3 실시 예)(3rd embodimen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제1 수납부(100)뿐만 아니라 제2 수납부(200)와 제3 수납부(30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내 구조의 제1 벽면(10)에 제1 수납부(10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수납부(100) 내부에는 여러 가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수납공간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납부(100)의 어느 일 부분의 수납공간에는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계단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계단부(110)는 도어가 닫혀 있을 때는 보이지 않지만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계단부(110)를 볼 수 있다(도 9 참조).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not only the first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 일부는 계단부(110)를 통해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일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 일부에는 개폐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제2 벽면(20)에 제2 수납부(200)가 설치되고 그 상단면에 제3 수납부(300)와 데크(400)가 설치된다. 제2 수납부(200)의 높이는 제1 수납부(100)의 높이와 동일하다. 제2 수납부(200)는 제1 수납부(100)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 공간에 여러 가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제3 수납부(300)의 일 측면은 제2 벽면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3 수납부(300)의 폭은 제2 수납부(200)의 폭보다 작다. 제3 수납부(300)는 데크(400) 일 측면 예컨대 상단면에 부착된 매트리스(500)(도 9 참조)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다. 따라서, 제3 수납부(300)의 폭은 매트리스(500)를 수납하기 위한 폭으로 충분하다.The second
제2 수납부(200) 상단면에는 제3 수납부(300)와 동일한 크기로 연이어 데크(400)(수직상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데크(400)가 제3 수납부(300)와 연이어 붙어 설치됨으로써 데크(400)가 수직상태인 경우 데크(400)의 일 측면은 자연스럽게 제3 수납부(300)의 일 측면의 덮개 역할을 하게 된다. 데크(400)의 하단부에는 데크 회동부(420)가 설치될 수 있다. 데크 회동부(420)는 그 일부가 제3 수납부(300)의 하단부에 견고하게 부착결합되고 또 일부는 데크(400)에 부착결합되어 데크(400)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deck 400 (vertical state) of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third receiving
또한 데크(400)의 일 측면에는 난간대(430)가 부착된다. 난간대(430)는 데크(400)의 장축 방향 일 측면에 난간대 회동부(440)를 통해 연결 부착된다. 난간대 회동부(440)는 난간대(430)와 데크(400)를 연결 결합시키고 난간대(430)를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In addition, a
도 9는 도 8의 데크(400)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루고, 데크(400) 위에 매트리스(500)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수납부(100)의 도어가 열린 상태이므로 그 내부에 설치된 계단부(110)를 볼 수 있다. 도 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계단부(110)의 내부 공간은 서랍 형태의 별도의 수납공간을 설치하여 공간활용을 도모할 수도 있다.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의 일부는 개폐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120)는 그 중심을 축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렇게 개방된 상태에서 거주자는 계단부(110)를 통해 상층과 하층을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개폐부(120)에 의해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을 폐쇄할 수 있다. 개폐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120)의 일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을 개폐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데크(400)는 데크 회동부(420)에 의해 회전되어 수평상태를 이루고 있다. 데크 회동부(420)의 일부는 제3 수납부(300)에 부착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또 다른 일부는 데크(400)에 부착결합되어 데크(400)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데크 회동부(420)는, 실내 바닥면을 기준으로 데크(400)가 수직인 상태와 수평인 상태 사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데크 회동부(420)의 회전력은, 데크 회동부(420) 내에 전기모터가 설치되어, 전기모터의 힘으로 데크(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전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스트링 방식 즉 데크 회동부(420)와 데크(400), 제3 수납부(300)간에 하나 이상의 줄이 연결되어, 줄을 잡아당기거나 풀어 데크(400)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Also referring to FIG. 9 , the
도 9를 참조하면, 데크(400)가 데크 회동부(420)에 의해 회전하여 수평상태를 이룰 경우, 데크(400)의 일부 바닥면이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지며, 또한 데크(400)의 다른 일부 바닥면은 제2 수납부(200)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지게 된다. 즉,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과 제2 수납부(200)의 상단면이 데크(400)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면적에 따라 지지력은 상승하게 된다. 특히 데크(400)의 단축방향 폭 길이를 1이라고 한다면 제2 수납부(200)의 단축방향 폭 길이는 0.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과 제2 수납부(200)의 상단면이 데크(400) 바닥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받침으로써 데크(400) 위로 사람이 생활하거나 사물이 적재되더라도 그 하중에 의해 데크(400)가 더 이상 하방으로 회전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데크(400)의 두께와 재질은 사람 또는 물건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만큼의 두께와 재질을 가져야만 한다. 9, when the
도 9를 참조하면, 데크(400)가 데크 회동부(420)에 의해 회전되어 수평상태를 이룰 경우, 데크(400) 상단면에 부착된 매트리스(500)도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매트리스(500)는 데크(400)의 상단면에 고정 또는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데크(400)가 데크 회동부(430)에 의해 회전되어 수직상태를 이룰 경우, 데크(400) 상단면에 부착된 매트리스(500)도 수직상태를 이루게 되고, 매트리스(500)는 제3 수납부(300) 내로 수납되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9, when the
데크(400)의 일 측면에 부착된 난간대(430)는 난간대 회동부(44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진다. 이러한 난간대(430)는 데크(400) 위에서 사람이 추락하는 경우를 방지하거나 데크(400) 위에서 사물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난간대 회동부(440)의 회전력은, 난간대 회동부(440) 내에 전기모터가 설치되어, 전기모터의 힘으로 난간대(4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전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난간대 회동부(440)는 난간대(430)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하고, 적절한 회전 각도에 해당할 경우 걸림턱이나 고정핀, 스토퍼 등을 이용하여 난간대(430) 회전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제4 실시 예)(Example 4)
도 10은 도 8의 데크(400)가 데크 연장부(450)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8의 난간대(430)와 난간대 회동부(440)가 제외되어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도 10의 제1 수납부(100), 계단부(110), 개폐부(120), 제2 수납부(200), 제3 수납부(300), 데크(400), 데크 회동부(420), 매트리스(500)의 구성은 도 8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데크(400)가 수직상태로 있을 경우 제3 수납부(300)의 상단면은 개방 상태로 그 면이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이 제3 수납부(300)의 상단면의 역할 즉 제3 수납부(300)의 상단면을 커버하는 것은 데크(400)의 일 측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 데크 연장부(450)가 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데크 연장부(450)는 데크(400)가 수직상태에서는 제3 수납부(300)의 상단면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고, 데크(400)가 수평상태에서는 데크(400)의 난간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써, 데크(400)에 난간대나 난간대 회동부를 설치할 필요성이 없어지게 된다.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몇 가지 실시 예를 나누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 명세서에 기재된 몇 가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여기에 기재된 실시 예를 조합하여 변형된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으며, 그러한 변형된 실시 예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veral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separately,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everal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will be said that a modified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by combin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such a modified embodiment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Also,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specially in the claims), 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similar referential terms may correspond to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the invention to which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range are applied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ame.
또한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It is not limited.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in accordance with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aid to belong to
10: 제1 벽면 20: 제2 벽면
30: 제3 벽면 100: 제1 수납부
110: 계단부 120: 개폐부
200: 제2 수납부 300: 제3 수납부
400: 데크 410: 데크 받침부 420: 데크 회동부 430: 난간대 440: 난간대 회동부 450: 데크 연장부
500: 매트리스10: first wall 20: second wall
30: third wall 100: first storage unit
110: step part 120: opening and closing part
200: second accommodating part 300: third accommodating part
400: Deck 410: Deck support 420: Deck pivot 430: Handrail 440: Handrail pivot 450: Deck extension
500: mattress
Claims (12)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
상기 제1 수납부 내에 설치되는 계단부;
상기 제1 벽면과 측면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벽면에 건물 실내 바닥면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데크(deck);
일부가 상기 제2 벽면에 부착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상기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 및
상기 제1 벽면과 대향하는 제3 벽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데크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회동부에 의해 상기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데크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복층 구조물.As an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a first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a first wall inside the building;
a step portion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 deck installed on a second wall perpendicular to the first wall surface an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indoor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At least one deck pivot part is attached to the second wall surface and part is attached to the deck to support and rotate the deck; and
Comprising one or more deck support parts installed on a third wall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wall surface,
When the deck achieves a horizontal s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deck pivot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is supported by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ar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is supported by the deck support part. felled,
multi-storey structure.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제1 수납부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개폐부를 구비하는,
복층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ccommodating unit includes an opening/closing unit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end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unit.
multi-storey structure.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부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상기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하여 개폐되는,
복층 구조물.3.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at least a pa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bout the cent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ulti-storey structure.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복층 구조물.3.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opened and closed by moving at least a pa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multi-storey structure.
상기 데크는 상기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난간대를 더 포함하는,
복층 구조물.The method of claim 1,
The deck further comprises a handrail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eck,
multi-storey structure.
상기 난간대는, 상기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난간대를 회전시키는 난간대 회동부를 구비하는,
복층 구조물.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andrail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eck and includes a handrail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handrail,
multi-storey structure.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
상기 제1 수납부 내에 설치되는 계단부;
상기 제1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며, 일 측면이 상기 제1 수납부의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데크(deck);
일부가 상기 제1 수납부의 상단면에 부착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상기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 및
상기 제1 벽면과 대향하는 제3 벽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데크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회동부에 의해 상기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데크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수납부의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복층 구조물.As an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a first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a first wall inside the building;
a step portion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 deck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one side of which cl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One or more deck pivot par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art and part is attached to the deck to support and rotate the deck; and
Comprising one or more deck support parts installed on a third wall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wall surface,
When the deck achieves a horizontal s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deck pivot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is supported by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ar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is supported by the deck support par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art is opened,
multi-storey structure.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
상기 제1 수납부 내 설치되는 계단부;
상기 제1 벽면과 측면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벽면에 설치되는 제2 수납부;
상기 제2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며, 일 측면이 상기 제2 벽면에 부착결합되는 제3 수납부;
상기 제2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는 데크(deck); 및
일부가 상기 제3 수납부 하단부에 부착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상기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회동부에 의해 상기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수납부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는,
복층 구조물.As an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a first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a first wall inside the building;
a step portion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 second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a second wall surface at right angles to the first wall surface;
a third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having one side attached to and coupled to the second wall surface;
a deck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unit; and
Part of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and part is attached to the deck to support and rotate the deck, including one or more deck rotating parts,
When the deck achieves a horizontal s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deck pivoting unit,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uni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is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unit. supported by
multi-storey structure.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제1 수납부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개폐부를 구비하는,
복층 구조물.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accommodating unit includes an opening/closing unit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end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unit.
multi-storey structure.
상기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난간대를 더 포함하는,
복층 구조물.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handrail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eck,
multi-storey structure.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
상기 제1 수납부 내에 설치되는 계단부;
상기 제1 벽면과 측면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벽면에 설치되는 제2 수납부;
상기 제2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며, 일 측면이 상기 제2 벽면에 부착결합되며,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제3 수납부;
상기 제2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는 데크(deck); 및
일부가 상기 제3 수납부 하단부에 부착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상기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는, 개방된 상기 제3 수납부의 상단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데크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데크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크 회동부에 의해 상기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수납부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는,
복층 구조물.As an indoor multi-storey structure,
a first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a first wall inside the building;
a step portion install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 second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a second wall surface at right angles to the first wall surface;
a third accommodating par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one side of which is attached to and coupled to the second wall, and having an open top surface;
a deck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unit; and
Part of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and part is attached to the deck to support and rotate the deck, including one or more deck rotating parts,
The deck is provided with a deck extens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deck to correspond to the top surface of the open third receiving part,
When the deck achieves a horizontal s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deck pivoting unit,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uni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deck is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unit. supported by
multi-storey structure.
상기 테크 일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3 수납부에 수납되는 매트리스를 더 포함하는,
복층 구조물.
1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11,
Attached to one side of the tech, further comprising a mattress accommodated in the third receiving unit,
multi-storey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2501A KR102266378B1 (en) | 2019-12-09 | 2019-12-09 | Double floor structure in a roo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2501A KR102266378B1 (en) | 2019-12-09 | 2019-12-09 | Double floor structure in a roo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6378B1 true KR102266378B1 (en) | 2021-06-16 |
Family
ID=76602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2501A KR102266378B1 (en) | 2019-12-09 | 2019-12-09 | Double floor structure in a roo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6378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2774Y1 (en) * | 2003-04-30 | 2003-08-14 | 김광산 | An upstairs room structure of bedroom |
KR20100000637A (en) * | 2008-06-25 | 2010-01-06 |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 Complex furniture type bed |
KR101870674B1 (en) * | 2016-09-13 | 2018-06-25 | 에코힐링 주식회사 | Bed with independent room for healing |
-
2019
- 2019-12-09 KR KR1020190162501A patent/KR10226637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2774Y1 (en) * | 2003-04-30 | 2003-08-14 | 김광산 | An upstairs room structure of bedroom |
KR20100000637A (en) * | 2008-06-25 | 2010-01-06 |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 Complex furniture type bed |
KR101870674B1 (en) * | 2016-09-13 | 2018-06-25 | 에코힐링 주식회사 | Bed with independent room for healing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비특허문헌4 *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690994B1 (en) | Removable ceiling panel and method of installation | |
US11534004B2 (en) | Bunk bed | |
KR102266378B1 (en) | Double floor structure in a room | |
JP2023051007A (en) | House structure | |
JP4150707B2 (en) | building | |
JP6574123B2 (en) | Storage furniture | |
US20090139166A1 (en) | Arrangement of a store room for residential buildings comprising stacked apartments | |
JP3116441U (en) | Living balcony | |
JP2022073164A (en) | Dwelling house | |
JP6254001B2 (en) | Movable partition | |
KR20070073301A (en) | Flame spread protecting fireproof plate | |
JP4861757B2 (en) | Building with daylight storage structure | |
JP2010163836A (en) | Handrail structure | |
JP3230398U (en) | Housing | |
KR200267694Y1 (en) | Low floor house for double floor structure | |
JP7511340B2 (en) | Private room | |
JP3234989U (en) | Underfloor storage type building structure | |
JP3224111U (en) | A shelter with earthquake resistance and comfort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of a building | |
JP6723699B2 (en) | Two-family house | |
JP2023103521A (en) | Work space under staircase | |
JP2024024641A (en) | Underfloor storage type building structure | |
JPH02282545A (en) | Indoor space doubly utilizing system | |
JP2017150229A (en) | building | |
Al-Atafi | Fast forward | |
JP2008261110A (en) | Indoor portable type private room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