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330B1 -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330B1
KR102266330B1 KR1020200009146A KR20200009146A KR102266330B1 KR 102266330 B1 KR102266330 B1 KR 102266330B1 KR 1020200009146 A KR1020200009146 A KR 1020200009146A KR 20200009146 A KR20200009146 A KR 20200009146A KR 102266330 B1 KR102266330 B1 KR 102266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ulated shooting
camera
accommodation space
beam projecto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규
옹재환
Original Assignee
(주)지우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우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지우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200009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2Photo-electric hit-detect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6Acoustic hit-indicating systems, i.e. detecting of shock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 양측 단부 각각에 형성되는 개방구 사이로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부에 마련되어 사전 설정된 지점에 총기의 조준 목표가 되는 타깃을 포함하는 모의 사격 관련 영상을 투사하는 빔프로젝터;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총기 격발에 따라 상기 모의 사격 관련 영상에 표시되는 탄착점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총기 발사음을 포함하는 모의 사격 관련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수용 공간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모의 사격에 임하는 사용자 자세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 및 상기 수용 공간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상기 빔프로젝터, 스피커, 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moving type intergrated system for simulation shooting}
본 발명은 모의 사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휴대가 용이함으로써 장소 및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모의 사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군부대의 훈련 및 일반인의 레저 목적으로 사격이 실시되고 있다.
이때, 일부 사격장에서는 실탄을 사격하기도 한다.
그러나 총기에서 발사되는 실탄의 위력은 상당하므로 부주의한 경우 치명적인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군부대의 모의 훈련 등에서 공포탄이 이용되기도 한다.
공포탄은, 실탄에서 탄두만을 제거한 것으로, 탄창에 삽입된 상태에서 총기에 장전되며, 총기의 트리거 작동이 이루어질 때 총기의 공이가 뇌관을 타격함에 따라 장약 폭발이 이루어짐으로써 실탄 사격과 동일한 소음과 반동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모의 훈련 등에서 공포탄을 이용함으로써 실감을 더할 수 있다.
그러나 공포탄은 실탄과 마찬가지로 장약의 폭발력이 상당하므로 최소한의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거나 하면 인명 피해가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포탄은 외부로 유출되거나 하면 범행 등에 이용될 수 있어 실탄과 동일한 관리 운용 절차를 따라야만 했으므로 이용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트리거 작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총기를 이용한 모의 사격이 실시되고 있다.
레이저빔은 특별한 인명 피해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별다른 관리 운용 절차가 불필요하므로 누구라도 손쉽게 사격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총기 등을 이용하는 모의 사격장에는 빔프로젝터 및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모의 사격 시스템이 갖춰져 이를 통해 실감나는 영상 및 음향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 모의 사격 시스템은 특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었던바, 모의 사격 시스템이 갖춰진 장소, 다시 말해 모의 사격장을 방문하지 않고서는 모의 사격을 실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해당 장소는 고정 설치된 모의 사격 시스템으로 인하여 다른 용도로의 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휴대가 용이함으로써 장소 및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모의 사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40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가 용이함으로써 장소 및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모의 사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은,
길이 방향 양측 단부 각각에 형성되는 개방구 사이로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부에 마련되어 사전 설정된 지점에 총기의 조준 목표가 되는 타깃을 포함하는 모의 사격 관련 영상을 투사하는 빔프로젝터;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총기 격발에 따라 상기 모의 사격 관련 영상에 표시되는 탄착점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총기 발사음을 포함하는 모의 사격 관련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수용 공간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모의 사격에 임하는 사용자 자세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 및 상기 수용 공간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상기 빔프로젝터, 스피커, 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외측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마련되어 파지 부위를 제공하는 손잡이; 외측 어느 일면에 마련되어 지면과 접촉함에 따라 회전하는 바퀴; 및 상기 개방구 각각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개방을 차단하는 덮개;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 공간은, 슬라이딩 레일에 의해 전후방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전방 및 후방 랙을 구비하여, 상기 전방 랙에 상기 빔프로젝터 및 제1카메라가 안착되고, 상기 후방 랙에 상기 제어장치가 안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 및 후방 랙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는 잠금구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 랙은 상기 빔프로젝터가 안착되는 전방 안착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 랙은 상기 제어장치가 안착되는 후방 안착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 안착플레이트는 상기 빔프로젝터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 안착플레이트는 상기 제어장치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는 상기 수용 공간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스피커를 통한 모의 사격 관련 음향 출력을 조절하는 앰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은, 케이스의 수용 공간 전방부 및 후방부 내에 빔프로젝터, 스피커, 제1카메라, 제2카메라 및 제어장치가 분류 수용되는바, 총기와 함께 케이스를 소지하고 이동함으로써 장소 및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모의 사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은, 케이스에 손잡이 및 바퀴가 구비되는바, 손잡이 파지 및 바퀴 회전에 의해 케이스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은, 랙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바, 랙에 안착되는 빔프로제터, 제1카메라 및 제어장치가 케이스 외부로 인출되므로 작동중의 열방출이 용이하여 과열로 인한 빔프로제터, 제1카메라 및 제어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에서 랙의 슬라이딩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에서 랙에 마련되는 안착플레이트를 통한 기기 고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에서 밀폐된 상태의 케이스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에서 케이스의 이동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에 앰프가 더 포함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A)은, 케이스(10); 빔프로젝터(20); 제1카메라(30); 스피커(40); 제2카메라(50); 및 제어장치(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10)는, 길이 방향 양측 단부 각각에 형성되는 개방구(11) 사이로 수용 공간(12)이 마련된다.
따라서, 수용 공간(12)의 전방부 및 후방부로 나뉘어 빔프로젝터(20), 제1카메라(30), 스피커(40), 제2카메라(50) 및 제어장치(60)의 분류 수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케이스(10)는 외측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손잡이(13)를 구비함으로써 손잡이(13)에 의해 파지가 용이하다.
그리고 케이스(10)는 외측 어느 일면에 바퀴(14)를 구비함으로써 바퀴(14) 회전에 의해 이동이 용이하다.
그리고 케이스(10)는 개방구(11) 각각의 전방에 결합되는 착탈식 덮개(15)를 구비함으로써 덮개(15) 결합에 의해 수용 공간(12)의 개방이 차단된다.
한편, 수용 공간(12)은 슬라이딩 레일(16a)에 의해 전후방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전방 및 후방 랙(16)을 구비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랙(16), 더욱 구체적으로 전방 랙(16)에 빔프로젝터(20) 및 제1카메라(30)를 안착시키고, 다른 하나의 랙(16), 더욱 구체적으로 후방 랙(16)에 제어장치(60)를 안착시킴으로써 전방 랙(16) 및 후방 랙(16)의 슬라이딩에 의해 빔프로젝터(20), 제1카메라(30) 및 제어장치(60)가 케이스(10)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전방 및 후방 랙(16)은 잠금구(16b)를 구비함으로써 잠금구(16b)를 잠금에 따라 슬라이딩 레일(16a)의 슬라이딩이 단속된다.
여기서, 잠금구(16b)는 슬라이딩 레일(16a)의 슬라이딩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전방 및 후방 랙(16)의 전면을 관통하여 케이스(10)에 체결되는 캡티브 볼트일 수 있다.
그리고 전방 및 후방 랙(16)은 안착플레이트(16c)를 구비함으로써 각 랙(16)의 안착플레이트(16c), 더욱 구체적으로 전방 랙(16)에 구비되는 전방 안착플레이트(16c)에 빔프로젝터(20)를 안착시키고 후방 랙(16)에 구비되는 후방 안착플레이트(16c)에 제어장치(60)를 안착시킴에 따라 빔프로젝터(20) 및 제어장치(60)의 안착 위치가 일정해진다.
이때, 전방 및 후방 안착플레이트(16c)는 고정구(16d)를 구비함으로써 고정구(16d)의 결합에 의해 빔프로젝터(20) 및 제어장치(60)의 유동이 방지된다.
여기서, 고정구(16d)는 빔프로젝터(20) 및 제어장치(60)를 전방 안착플레이트(16c) 및 후방 안착플레이트(16c)에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안착플레이트(16c)를 관통하여 빔프로젝터(20) 및 제어장치(60)에 체결되는 캡티브 볼트일 수 있다.
그리고 전방 및 후방 안착플레이트(16c)는 전방 및 후방 랙(16)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예컨대 전방 안착플레이트(16c)의 회동에 의해 이에 안착되는 빔프로젝터(20)의 영상 투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빔프로젝터(20)는 수용 공간(12)의 전방부에 마련되어 사전 설정된 지점에 총기의 조준 목표가 되는 타깃을 포함하는 모의 사격 관련 영상을 투사한다.
따라서, 모의 사격 관련 영상에 의해 모의 사격의 실감이 더해진다.
이때, 모의 사격 관련 영상은 벽면 등에 투사되어도 무방하나, 가급적 스크린에 투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의 사격 관련 영상이 스크린에 투사됨으로써 보다 선명한 영상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빔프로젝터(20)는 수용 공간(12)의 전방부에 구비되는 전방 랙(16)에 안착됨으로써 전방 랙(16)의 슬라이딩에 의해 케이스(10) 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빔프로젝터(20)는 모의 사격 관련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1카메라(30)는 수용 공간(12)의 전방부에 마련되어 총기 격발에 따라 모의 사격 관련 영상에 표시되는 탄착점을 촬영한다.
따라서, 제1카메라(30)가 촬영한 영상을 통해 탄착점의 위치 확인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카메라(30)는 빔프로젝터(20)와 함께 전방 랙(16)에 안착됨으로써 전방 랙(16)의 슬라이딩에 의해 케이스(10) 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제1카메라(30)는 총기 격발에 따라 모의 사격 관련 영상에 표시되는 탄착점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제1카메라(30)는 거치대(도면부호 미표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카메라(30)가 거치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카메라(30)의 회동에 의해 촬영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피커(40)는 수용 공간(12)의 전방부, 더욱 구체적으로 빔프로젝터(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총기 발사음을 포함하는 모의 사격 관련 음향을 출력한다.
따라서, 모의 사격 관련 음향에 의해 모의 사격의 실감이 더해진다.
한편, 스피커(40)는 모의 사격 관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2카메라(50)는 수용 공간(12)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모의 사격에 임하는 사용자 자세를 촬영한다.
따라서, 제2카메라(50)가 촬영한 영상을 통해 사용자 자세 정확도 확인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2카메라(50)는 사격에 임하는 사용자 자세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제2카메라(50)는 거치대(도면부호 미표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카메라(50)가 거치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2카메라(50)의 회동에 의해 촬영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60)는 수용 공간(12)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빔프로젝터(20), 스피커(40), 제1카메라(30) 및 제2카메라(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장치(60)는 모의 사격을 위한 총기, 예컨대 트리거 작동에 따라 레어지빔을 조사하는 총기와 연결되어 총기로부터 생성되는 신호, 예컨대 격발 신호 등을 획득함으로써 총기 작동과 연계하여 빔프로젝터(20), 스피커(40), 제1카메라(30) 및 제2카메라(50)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어장치(60)는 수용 공간(12)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후방 랙(16)에 안착됨으로써 후방 랙(16)의 슬라이딩에 의해 케이스(10) 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제어장치(60)는 빔프로젝터(20), 스피커(40), 제1카메라(30), 제2카메라(50)의 작동을 진행하고 관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어어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노트북일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12)의 후방부, 더욱 구체적으로 제2카메라(50)와 제어장치(60)의 사이에 마련되어 스피커(40)를 통한 모의 사격 관련 음향 출력을 조절하는 앰프(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앰프(70) 작동에 의해 스피커(40)를 통한 모의 사격 관련 음향 전달이 원활해진다.
한편, 앰프(70)는 스피커(40)를 통한 모의 사격 관련 음향 출력에 관한 사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한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A)을 이용한 모의 사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빔프로젝터(20)는 케이스(10) 내의 수용 공간(12) 전방부에 마련되어 타깃을 포함하는 모의 사격 관련 영상을 투사한다.
따라서, 모의 사격에 임하는 사용자가 모의 사격 관련 영상, 특히 타깃을 겨누어 총기를 발사할 수 있다.
이때, 빔프로젝터(20)에 의해 투사되는 모의 사격 관련 영상이 왜곡되거나 하면 총기 조준이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케이스(10)의 수용 공간(12) 후방부에는 빔프로젝터(20), 스피커(40), 제1카메라(30) 및 제2카메라(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60)가 마련되는바, 제어장치(60)를 통해 빔프로젝터(20)에 의해 투사되는 모의 사격 관련 영상을 조절함에 따라 모의 사격 관련 영상의 왜곡이 최소화되므로 총기 조준이 원활할 수 있다.
여기서, 빔프로젝터(20)가 장시간 작동하게 되면 과열로 인한 손상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빔프로젝터(20)는 수용 공간(12)의 전방부에 구비되는 전방 랙(16)에 안착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방 랙(16)의 슬라이딩에 의해 케이스(10) 외부로 인출되므로 작동중에 열방출이 원활할 수 있어 과열로 인한 손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스피커(40)는 케이스(10) 내의 수용 공간(12) 전방부에 마련되어 총기 발사음을 포함하는 모의 사격 관련 음향을 출력한다.
따라서, 총기 격발시 스피커(40)를 통해 총기 발사음이 출력됨으로써 모의 사격의 실감이 더해진다.
이때, 모의 사격 관련 음향의 전달이 미미, 예컨대 볼륨이 작거나 하면 실감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케이스(10)의 수용 공간(12) 후방부에 마련되어 스피커(40)를 통한 모의 사격 관련 음향 출력을 조절하는 앰프(7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앰프(70)에 의해 스피커(40)를 통한 모의 사격 관련 음향의 전달이 원활하므로 모의 사격 관련 음향에 의해 실감이 더해진다.
한편, 타깃은 모의 사격에 임하는 사용자로부터 비교적 원거리에 위치하고, 총기 격발시 레이저빔은 타깃을 향해 순간적으로 조사되므로 명중 여부의 판단이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케이스(10)의 수용 공간(12) 전방부에 마련되는 제1카메라(30)는 총기 격발에 따라 모의 사격 관련 영상에 표시되는 탄착점을 촬영하는바, 제1카메라(30)의 영상을 통해 명중 여부의 확인이 이루어진다.
이때, 명중 여부의 확인은 제어장치(6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장치(60)는 제1카메라(30)가 촬영한 탄착점의 위치와 타깃의 영역을 대비하여 탄착점이 타깃 영역 이내이면 명중으로 판단하여 표시하므로 이를 통해 명중 여부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케이스(10)의 수용 공간(12) 후방부에 마련되는 제2카메라(50)는 모의 사격에 임하는 사용자 자세를 촬영하는바, 제2카메라(50)의 영상을 통해 사용자 자세 정확도 확인이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 자세 정확도 확인은 제어장치(6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장치(60)는 제2카메라(50)가 촬영한 사용자 자세를 사전 설정된 기준 자세와 대비하여 사용자 자세와 기준 자세가 일치하면 정확한 자세로 판단하여 표시하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 자세 정확도 확인이 이루어진다.
다만, 제어장치(60)가 장시간 작동하게 되면 과열로 인한 손상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어장치(60)는 수용 공간(12)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후방 랙(16)에 안착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방 랙(16)의 슬라이딩에 의해 케이스(10) 외부로 인출되므로 작동중에 열방출이 원활할 수 있어 과열로 인한 손상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케이스(10)는, 외측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마련되는 손잡이(13) 및 외측의 어느 일면에 마련되는 바퀴(14)를 포함하는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3) 파지 및 바퀴(14) 회전에 의해 케이스(10)의 이동이 용이하므로 장소 및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모의 사격을 실시할 수 있다.
다만, 케이스(10) 이동 중에 빔프로젝터(20), 스피커(40), 제1카메라(30), 제2카메라(50) 및 제어장치(60)가 이탈하면 차후 모의 사격의 진행이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케이스(10)는, 양측 개방구(11) 전방에 결합되는 착탈식 덮개(15)를 구비하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5) 결합에 의해 수용 공간(12)의 개방이 차단됨에 따라 빔프로젝터(20), 스피커(40), 제1카메라(30), 제2카메라(50) 및 제어장치(60)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케이스(10)의 이동 이후 모의 사격의 진행이 원활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케이스(10)의 수용 공간(12) 전방부 및 후방부에 마련되는 전방 및 후방 랙(16)은, 슬라이딩 레일(16a)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는 잠금구(16b)를 구비하는바, 잠금구(16b)를 잠금으로써 케이스(10) 이동 과정에서 전방 및 후방 랙(16)의 슬라이딩이 방지되므로 전방 및 후방 랙(16)의 슬라이딩으로 인한 빔프로젝터(20) 및 제어장치(60)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방 랙(16)에 마련되는 전방 안착플레이트(16c) 및 후방 랙(16)에 마련되는 후방 안착플레이트(16c)는 고정구(16d)를 구비하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16d)를 결합함으로써 전방 안착플레이트(16c)에 안착되는 빔프로젝터(20) 및 후방 안착플레이트(16c)에 안착되는 제어장치(60)가 고정되므로 케이스(10) 이동 과정에서의 유동으로 인한 빔프로젝터(20) 및 제어장치(60)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케이스 11 : 개방구
12 : 수용 공간 13 : 손잡이
14 : 바퀴 15 : 덮개
16 : 랙 16a : 슬라이딩 레일
16b: 잠금구 16c : 안착플레이트
16d : 고정구 20 : 빔프로젝터
30 : 제1카메라 40 : 스피커
50 : 제2카메라 60 : 제어장치
70 : 앰프 A : 통합 시스템

Claims (7)

  1. 길이 방향 양측 단부 각각에 형성되는 개방구 사이로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부에 마련되어 사전 설정된 지점에 총기의 조준 목표가 되는 타깃을 포함하는 모의 사격 관련 영상을 투사하는 빔프로젝터;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총기 격발에 따라 상기 모의 사격 관련 영상에 표시되는 탄착점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총기 발사음을 포함하는 모의 사격 관련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수용 공간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모의 사격에 임하는 사용자 자세를 촬영하는 제2카메라; 및
    상기 수용 공간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상기 빔프로젝터, 스피커, 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슬라이딩 레일에 의해 전후방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전방 및 후방 랙을 구비하여, 상기 전방 랙에 상기 빔프로젝터 및 제1카메라가 안착되고, 상기 후방 랙에 상기 제어장치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외측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마련되어 파지 부위를 제공하는 손잡이; 외측 어느 일면에 마련되어 지면과 접촉함에 따라 회전하는 바퀴; 및 상기 개방구 각각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개방을 차단하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랙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슬라이딩을 단속하는 잠금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랙은 상기 빔프로젝터가 안착되는 전방 안착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 랙은 상기 제어장치가 안착되는 후방 안착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안착플레이트는 상기 빔프로젝터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 안착플레이트는 상기 제어장치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스피커를 통한 모의 사격 관련 음향 출력을 조절하는 앰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
KR1020200009146A 2020-01-23 2020-01-23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 KR102266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146A KR102266330B1 (ko) 2020-01-23 2020-01-23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146A KR102266330B1 (ko) 2020-01-23 2020-01-23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330B1 true KR102266330B1 (ko) 2021-06-18

Family

ID=7662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146A KR102266330B1 (ko) 2020-01-23 2020-01-23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3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700A (ja) * 1997-06-16 1999-01-12 Babcock Hitachi Kk 射撃訓練装置
JP2002090092A (ja) * 2000-09-12 2002-03-27 Mitsubishi Heavy Ind Ltd 映像型訓練装置、及び、映像型訓練方法
KR101594023B1 (ko) 2015-09-02 2016-02-15 (주)벤포트 레이저 광 사격 시스템
KR20160028034A (ko) * 2014-09-02 2016-03-11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프로젝터 설치용 이동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700A (ja) * 1997-06-16 1999-01-12 Babcock Hitachi Kk 射撃訓練装置
JP2002090092A (ja) * 2000-09-12 2002-03-27 Mitsubishi Heavy Ind Ltd 映像型訓練装置、及び、映像型訓練方法
KR20160028034A (ko) * 2014-09-02 2016-03-11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프로젝터 설치용 이동식 테이블
KR101594023B1 (ko) 2015-09-02 2016-02-15 (주)벤포트 레이저 광 사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0876B1 (en) Photographic firearm apparatus and method
US7168198B2 (en) Gun with user notification
US20140334058A1 (en) Automated and remotely operated stun gun with integrated camera and laser sight
MX2013010196A (es) Arma de fuego, sistema de punteria de la misma, metodo para operar el arma de fuego y metodo para reducir la probabilidad de perder un blanco.
US9488437B1 (en) Firearm mounted video camera system
KR102266330B1 (ko) 모의 사격용 이동식 통합 시스템
KR20090061108A (ko) 모의 훈련용 레이저 발사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5265A (ko) 공간활용을 최적화시킨 방탄 스크린장치.
CN107948624B (zh) 一种便携式影像模拟训练系统及方法
JP2006207977A (ja) 射撃訓練システム
CA2162665C (en) Method of monitoring coalignment of a sighting or surveillance sensor suite
US20180010882A1 (en) Lateral firearm camera
US20070287132A1 (en) System and method of simulating firing of immobilization weapons
US20090227372A1 (en) Aim Assisting Apparatus
KR101343393B1 (ko) 모의사격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모의사격훈련시스템
KR970070940A (ko) 광선을 이용한 사격훈련방법 및 장치
WO2019052621A2 (en) PERSONAL INTELLIGENT GUN DEVICE (PSG DEVICE) AND ACCESSORIES FOR CIVIL AND NON-CIVIL USE
WO2002046822A1 (en) A device for viewing objects at a distance from a user of the device
KR101831564B1 (ko) 양방향 탄 자동교전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50066950A1 (en) Paintgun sight
US11933570B1 (en) Weapon slide cover
US11913744B2 (en) Gun attachment
KR102175178B1 (ko) 듀얼샷 모듈
KR101977234B1 (ko) 어안렌즈 카메라를 이용한 일체형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US11852429B1 (en) Weapon magazine re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