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285B1 - 로버 착륙 장치 및 착륙선 - Google Patents

로버 착륙 장치 및 착륙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285B1
KR102266285B1 KR1020200177133A KR20200177133A KR102266285B1 KR 102266285 B1 KR102266285 B1 KR 102266285B1 KR 1020200177133 A KR1020200177133 A KR 1020200177133A KR 20200177133 A KR20200177133 A KR 20200177133A KR 102266285 B1 KR102266285 B1 KR 102266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ver
fixing
guide plate
landing device
la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혁
최한솔
김영배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7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6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apparatus or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10Artificial satellites; Systems of such satellites; Interplanetary vehicles
    • B64G1/105Space science
    • B64G1/1064Space science specifically adapted for interplanetary, solar or interstellar exploration
    • B64G1/1071Planetary landers intended for the exploration of the surface of planets, moons or co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16Extraterrestrial cars
    • B64G2001/1071

Abstract

본 발명은 로버 착륙 장치 및 착륙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로버 착륙 장치는, 착륙선에 탑재된 로버를 천체 표면으로 착륙시키기 위한 로버 착륙 장치에 있어서, 권취 가능하게 형성되며, 권취된 상태에서 전개 방향의 탄성력을 가지는 로버 가이드판; 권취된 상태의 상기 로버 가이드판이 전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로버 가이드판을 고정하는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 해제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경량으로 이루어지고 구동에 실패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로버 착륙 장치 및 착륙선{Rover landing device and probe}
본 발명은 로버 착륙 장치 및 착륙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으로 이루어지고 고장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로버 착륙 장치 및 착륙선에 관한 것이다.
착륙선은 달이나 행성의 표면에 착륙하여 해당 천체를 탐사한다. 착륙선은 로버를 탑재하여 천체 표면에 착륙한 후 로버를 천체 표면에 착륙시키고, 로버는 천체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천체에 관한 보다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기존의 착륙선에서 로버는 루프탑(roof-top) 탑재 방식 또는 측면(side wall) 탑재 방식에 의해 탑재되었다. 루프탑 탑재 방식의 경우 착륙선 상단에 로버를 탑재하고 천체 표면으로 사다리를 전개하여 로버가 천체 표면으로 착륙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측면 탑재 방식의 경우에는 착륙선의 2단으로 접힌 측면 패널에 로버를 탑재하고 측면 패널을 개방한 후 천체 표면으로 전개하여 측면 패널을 따라 로버가 천체 표면으로 착륙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두 방식은 모두 사다리나 측면 패널을 전개하기 위하여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터와 기구학적인 기계장치들에 의해 착륙선의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착륙선의 천체의 표면에 착륙할 때까지 많은 충격을 받기 때문에 기계장치들이 파손될 수 있고, 따라서 기계장치들이 많은 경우에는 착륙선이나 로버의 구동이 실패할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KR 10-2017-0052878 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량으로 이루어지고 구동에 실패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로버 착륙 장치 및 착륙선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착륙선에 탑재된 로버를 천체 표면으로 착륙시키기 위한 로버 착륙 장치에 있어서, 권취 가능하게 형성되며, 권취된 상태에서 전개 방향의 탄성력을 가지는 로버 가이드판; 권취된 상태의 상기 로버 가이드판이 전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로버 가이드판을 고정하는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로버 착륙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로버 가이드판은, 상기 로버 가이드판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로버 가이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테이프 스프링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스프링부는, 오목한 부분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 테이프 스프링과 제2 테이프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이프 스프링은, 상기 테이프 스프링부의 권취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테이프 스프링보다 큰 래칭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권취된 상태의 상기 로버 가이드판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해제수단은,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와이어와 연결되는 가열 와이어, 및 상기 가열 와이어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고정 와이어가 용융되도록 하는 전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버 가이드판은 태양전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로버 착륙 장치를 포함하는 착륙선이 제공된다.
상기 로버 착륙 장치는, 상기 착륙선에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벽체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로버는, 로버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로버 착륙 장치가 고정된 벽체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본 발명에 의한 착륙선은 상기 로버 고정부재가 상기 로버를 고정하는 상태를 해제하는 로버 고정 해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버 고정부재는, 상기 로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로버 고정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로버 고정 해제수단은,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버 고정 와이어와 연결되는 로버용 가열 와이어, 및 상기 로버용 가열 와이어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로버 고정 와이어가 용융되도록 하는 로버용 전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로버 착륙 장치는 기구학적인 기계장치가 아닌 탄성력에 의해 전개가 가능하기 때문에 착륙선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거의 없고, 기구학적인 기계장치에 의해 착륙선의 무게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와 고정 해제수단에 의해 로버 착륙 장치가 필요한 경우에만 전개되고, 로버 착륙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착륙선 내에서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고정부재와 고정 해제수단 또한 기구학적인 기계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고장 위험이 적고 경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로버 착륙 장치가 권취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로버 착륙 장치가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로버 착륙 장치를 구성하는 테이프 스프링부에 관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로버 착륙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와 고정 해제수단에 관한 설명도,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착륙선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착륙선을 구성하는 로버 고정부재와 로버 고정 해제수단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로버 착륙 장치(10)는 행성이나 위성과 같은 천체를 탐사하기 위한 착륙선(1)에 탑재되는 로버(60)를 천체 표면에 착륙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로버 착륙 장치(10)가 권취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로버 착륙 장치(10)가 전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로버 착륙 장치(10)는, 로버 가이드판(100), 고정부재(200), 고정 해제수단(300)을 포함한다.
로버 가이드판(100)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권취 가능하게 형성되며, 권취된 상태에서 전개 방향의 탄성력을 갖는다. 이에 따라, 로버 가이드판(100)은 권취된 상태에서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해 전개된다.
로버 가이드판(100)은 착륙선(1)이 천체 표면에 착륙하기 전까지는 권취된 상태로 위치하고, 천체 표면에 착륙한 후 천체 표면으로 로버(60)를 착륙시킬 때에는 전개되어 전개된 로버 가이드판(100)을 따라 로버(60)가 천체 표면으로 착륙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재(200)는 권취된 상태의 로버 가이드판(100)이 전개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고정 해제수단(300)은 고정부재(200)가 로버 가이드판(100)을 고정하는 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로버 가이드판(100)은 로버(60)를 천체 표면으로 착륙시키는 경우에만 전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로버 착륙 장치(10)는 기구학적인 기계장치가 아닌 탄성력에 의해 전개가 가능하기 때문에 착륙선(1)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거의 없고, 기구학적인 기계장치에 의해 착륙선(1)의 무게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200)와 고정 해제수단(300)에 의해 로버 착륙 장치(10)가 필요한 경우에만 전개되고, 로버 착륙 장치(10)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착륙선(1) 내에서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로버 가이드판(100)은 테이프 스프링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는 테이프 스프링부(110)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테이프 스프링부(110)는 로버 가이드판(100)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며, 로버 가이드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테이프 스프링부(110)는 횡단면이 볼록한 판 형상의 테이프 스프링을 구비하여 길이방향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안정하고, 볼록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권취되었을 때, 즉 오목한 부분이 가압되어 변형되었을 때 저장되는 스트레인 에너지에 의해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도 권취된 로버 가이드판(100)을 전개시킬 수 있고, 전개된 상태에서 로버 가이드판(100)과 로버(60)의 하중을 지지해 줄 수 있다.
테이프 스프링부(110)가 로버 가이드판(100)의 폭방향 양단부에 배치됨으로써 테이프 스프링부(110)는 로버 가이드판(100)을 원활하게 전개시킬 수 있고, 전개된 상태에서 로버 가이드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테이프 스프링부(110)는 오목한 부분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 테이프 스프링(111)과 제2 테이프 스프링(112)을 구비할 수 있다.
테이프 스프링은 오목한 부분을 가압하는 힘보다 볼록한 부분을 가압하는 힘에 대한 강성이 더 큰데, 제1 테이프 스프링(111)과 제2 테이프 스프링(112)을 오목한 부분이 마주하도록 배치하면 볼록한 부분이 로버 가이드판(100)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로버 가이드판(100)이 양측면 모두에서 가해지는 힘에 대해 큰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스프링의 볼록한 부분을 소정 크기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는 경우 테이프 스프링의 볼록한 부분이 내측을 향하도록 쉽게 권취될 수 있는데, 두 테이프 스프링의 오목한 부분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하면 하나의 테이프 스프링의 볼록한 부분이 소정 크기 이상의 힘으로 가압되더라도 다른 테이프 스프링에 의해 테이프 스프링부(110)가 권취되지 않고 전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로버 가이드판(100)의 권취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하여 로버 가이드판(100)이 전개되었을 때 하부에 위치하는 테이프 스프링은 로버 가이드판(100)을 권취시키는 힘에 대해 큰 강성을 가질 수 있어 주로 로버 가이드판(100)을 전개시키는 역할을 하고, 로버 가이드판(100)의 권취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여 로버 가이드판(100)이 전개되었을 때 상부에 위치하는 테이프 스프링은 전개된 로버 가이드판(100)을 상부에서 누르는 힘에 대해 큰 강성을 가질 수 있어 주로 로버 가이드판(100)이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테이프 스프링(111)과 제2 테이프 스프링(112)은 오목한 부분이 접하도록 접합되며, 접합은 제1 테이프 스프링(111)과 제2 테이프 스프링(112)을 길이방향 여러 개소에서 둘러싸며 묶어주는 끈 부재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접착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테이프 스프링(111)은 테이프 스프링부(110)의 권취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며, 제2 테이프 스프링(112)보다 큰 래칭힘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래칭힘이란 로버 가이드판(100)의 전개된 형상을 유지시키는 힘을 가리킨다.
이러한 제1 테이프 스프링(111)은 로버(60)의 무게에 의해 로버 가이드판(100)의 상면에 가해지는 힘을 효과적으로 지지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테이프 스프링(111)은 제2 테이프 스프링(112)보다 큰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제2 테이프 스프링(112)보다 큰 래칭힘을 발휘할 수 있다.
도 4에는 고정부재(200)와 고정 해제수단(300)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부재(200)는 고정 와이어(21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 와이어(210)는 권취된 상태의 로버 가이드판(100)을 감싸 로버 가이드판(100)의 탄성력에 의해 로버 가이드판(100)이 전개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 와이어(210)는 예를 들어, 녹는점이 낮은 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해제수단(300)은 가열 와이어(330)와 전원(320)을 구비할 수 있다. 가열 와이어(330)는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고정 와이어(210)와 연결된다. 가열 와이어(330)는 예를 들어, 전류가 흐를 때 높은 열이 발생하는 니켈-크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320)은 가열 와이어(330)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류를 공급받은 가열 와이어(330)는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가열 와이어(330)와 고정 와이어(210)의 연결 부분에서 고정 와이어(210)가 용융될 수 있고, 용융된 고정 와이어(210)는 권취된 상태의 로버 가이드(100)을 고정할 수 없게 되어 로버 가이드판(100)이 전개된다. 전원(320)은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해제수단(300)은 전원(320)의 가열 와이어(3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3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200)와 고정 해제수단(300)은 기구학적인 기계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고장 위험이 적고 경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버 가이드판(100)은 태양전지(400)를 구비할 수 있다.
태양전지(400)는 로버 가이드판(100)이 전개된 상태에서 전기를 생산하여 착륙선(1) 또는 로버(60)에 공급할 수 있고, 착륙선(1) 또는 로버(60)에 공급된 전기는 천체 탐사 임무를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로버 가이드판(100)이 태양전지(400)를 구비할 때, 태양전지(400)는 로버(60)가 지나갈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며, 이러한 태양전지(400)의 폭방향 양단부에 테이프 스프링부(110)가 위치할 수 있다.
태양전지(400)는 권취가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로버 가이드판(100)은 폭방향 보강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폭방향 보강부재는 로버 가이드판(100)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막대상의 부재로서 로버 가이드판(100)의 길이방향 상에서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폭방향 보강부재는 로버(60)의 무게에 의해 로버 가이드판(100)의 폭방향 상에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로버(60)가 로버 가이드판(100)을 따라 안정적으로 착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로버 착륙 장치(10)는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 외에도 고정 해제수단(30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로버(60)를 천체 표면에 착륙시켜주어야 하는 때에 고정 해제수단(300)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고정 해제수단(300)의 스위치(31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착륙선(1)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착륙선(1)의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착륙선(1)에 대해 설명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로버 착륙 장치(10)의 설명시 언급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착륙선(1)은 운용에 필요한 각종 장치가 구비된 함체(20), 그리고 상기 함체(20)를 천체의 표면에 지지시키는 지지 프레임부(3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함체(20) 내에는 상기한 로버 착륙 장치(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했던 바와 같이 로버 착륙 장치(10)는 충격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거의 없고 착륙선(1)의 무게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는다. 또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착륙선(1) 내에서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착륙선(1)은 발사 및 비행이 용이하며, 고장 없이 정해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로버 착륙 장치(10)는 착륙선(1)의 함체(20)에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벽체(21)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로버 착륙장치가 고정되는 벽체(21)는 하단의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개방되었을 때 상단부가 천체의 표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체(21)를 개방하는 것으로서 로버 착륙 장치(10)의 전개 준비가 바로 완료될 수 있고, 착륙선(1)의 벽체(21)가 로버(60)의 착륙을 위한 가이드판의 역할을 할 수 있어 로버 착륙 장치(10)의 로버 가이드판(100)을 벽체(21)의 길이만큼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로버 착륙 장치(10)는 벽체(21)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것이, 벽체(21)가 개방된 상태에서 로버 착륙 장치(10)가 천체의 표면 가까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착륙선(1)은 로버 고정부재(40)와 로버 고정 해제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버 고정부재(40)는 로버(60)를 로버 착륙 장치(10)가 고정된 벽체(21)의 내측면에 고정한다. 그리고 로버 고정 해제수단(50)은 로버 고정부재(40)가 로버(60)를 고정하는 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로버 고정 해제수단(50)은 로버 착륙 장치(10)가 전개된 후 동작하여 로버(60)가 로버 착륙 장치(10)를 따라 천체의 표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로버(60)는 로버 착륙 장치(10)가 고정된 벽체(21)에 고정되므로, 고정이 해제된 후 곧바로 로버 착륙 장치(10)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로버(60)는 벽체(21)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벽체(2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로버 착륙 장치(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로버 착륙 장치(10)가 전개될 때 로버(60)가 로버 착륙 장치(10)의 전개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는 로버 고정부재(40)와 로버 고정 해제수단(50)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로버 고정부재(40)는 로버 고정 와이어(41)를 구비할 수 있다. 로버 고정 와이어(41)는 로버(60)를 감싼 상태에서 벽체(21)에 고정됨으로써 로버(60)를 벽체(21)에 고정할 수 있다. 로버 고정 와이어(41)는 예를 들어, 녹는점이 낮은 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버 고정 해제수단(50)은 로버용 가열 와이어(53)와 로버용 전원(52)을 구비할 수 있다. 로버용 가열 와이어(53)는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로버 고정 와이어(41)와 연결된다. 로버용 가열 와이어(53)는 에를 들어, 전류가 흐를 때 높은 열이 발생하는 니켈-크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버용 전원(52)은 로버용 가열 와이어(53)에 전류를 공급한다. 전류를 공급받은 로버용 가열 와이어(53)는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로버용 가열 와이어(53)와 로버 고정 와이어(41)의 연결 부분에서 로버 고정 와이어(41)가 용융될 수 있고, 용융된 로버 고정 와이어(41)는 로버(60)를 고정할 수 없게 되어 로버(60)가 전개된 로버 착륙 장치(10)를 따라 착륙할 수 있게 된다. 로버용 전원(52)은 예를 들어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버 고정 해제수단(50)은 로버용 전원(52)의 로버용 가열 와이어(53)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5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로버 고정부재(40)와 로버 고정 해제수단(50)은 기구학적인 기계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고장 위험이 적고 경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착륙선(1)은 메인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로버 고정 해제수단(50)이 제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로버 착륙 장치(10)의 제어부를 포함하거나 로버 착륙 장치(10)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착륙선(1) 벽체(21)의 개방, 로버 착륙 장치(10)의 전개, 로버(60)의 고정 해제 과정이 차례대로 진행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착륙선
10 : 로버 착륙 장치 20 : 함체
21 : 벽체 30 : 지지 프레임부
40 : 로버 고정부재 41 : 로버 고정 와이어
50 : 로버 고정 해제수단 52 : 로버용 전원
53 : 로버용 가열 와이어
100 : 로버 가이드판 110 : 테이프 스프링부
111 : 제1 테이프 스프링 112 : 제2 테이프 스프링
200 : 고정부재 210 : 고정 와이어
300 : 고정 해제수단 320 : 전원
330 : 가열 와이어 400 : 태양전지

Claims (10)

  1. 착륙선에 탑재된 로버를 천체 표면으로 착륙시키기 위한 로버 착륙 장치에 있어서,
    권취 가능하게 형성되며, 권취된 상태에서 전개 방향의 탄성력을 가지는 로버 가이드판;
    권취된 상태의 상기 로버 가이드판이 전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로버 가이드판을 고정하는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 해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버 가이드판은, 상기 로버 가이드판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로버 가이드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테이프 스프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 착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스프링부는, 오목한 부분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 테이프 스프링과 제2 테이프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 착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프 스프링은, 상기 테이프 스프링부의 권취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테이프 스프링보다 큰 래칭힘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 착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권취된 상태의 상기 로버 가이드판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해제수단은,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와이어와 연결되는 가열 와이어, 및 상기 가열 와이어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고정 와이어가 용융되도록 하는 전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 착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버 가이드판은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버 착륙 장치.
  7. 제1항, 제3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로버 착륙 장치를 포함하는 착륙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버 착륙 장치는, 상기 착륙선에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벽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륙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버는, 로버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로버 착륙 장치가 고정된 벽체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로버 고정부재가 상기 로버를 고정하는 상태를 해제하는 로버 고정 해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륙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버 고정부재는, 상기 로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로버 고정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로버 고정 해제수단은,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버 고정 와이어와 연결되는 로버용 가열 와이어, 및 상기 로버용 가열 와이어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로버 고정 와이어가 용융되도록 하는 로버용 전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륙선.
KR1020200177133A 2020-12-17 2020-12-17 로버 착륙 장치 및 착륙선 KR102266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33A KR102266285B1 (ko) 2020-12-17 2020-12-17 로버 착륙 장치 및 착륙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33A KR102266285B1 (ko) 2020-12-17 2020-12-17 로버 착륙 장치 및 착륙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285B1 true KR102266285B1 (ko) 2021-06-16

Family

ID=7660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133A KR102266285B1 (ko) 2020-12-17 2020-12-17 로버 착륙 장치 및 착륙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2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878A (ko) 2015-11-05 2017-05-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행성 탐사 로봇
JP2020063039A (ja) * 2018-10-18 2020-04-23 タレス テープばね展開可能装置
KR20200122107A (ko) * 2019-04-17 2020-10-2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벨크로가 적용된 와이어 방식의 큐브 위성용 전개 구조물 구속/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878A (ko) 2015-11-05 2017-05-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행성 탐사 로봇
JP2020063039A (ja) * 2018-10-18 2020-04-23 タレス テープばね展開可能装置
KR20200122107A (ko) * 2019-04-17 2020-10-2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벨크로가 적용된 와이어 방식의 큐브 위성용 전개 구조물 구속/분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7247B2 (en) Component deployment system
US9346566B2 (en) Directionally controlled elastically deployable roll-out array
EP3762297B1 (en) Deployable spacecraft body
Seefeldt et al. Gossamer-1: Mission concept and technology for a controlled deployment of gossamer spacecraft
US9611056B1 (en) Directionally controlled elastically deployable roll-out solar array
US20190214737A1 (en) Articulated folding rib reflector for concentrating radiation
US9446864B2 (en) NANOSAT electrothermal deployment system
KR101008047B1 (ko) 태양전지판 전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KR102266285B1 (ko) 로버 착륙 장치 및 착륙선
Iakubivskyi et al. Aspects of nanospacecraft design for main-belt sailing voyage
JP6448293B2 (ja) 構造部材展開システム
EP2743187B1 (en) Spacecraft with at least one deployable panel structure and deployable panel structure
Nohmi Initial orbital performance result of nano-satellite stars-ii
Kempton et al. Phase 1 study for the Phobos l1 operational tether experiment (PHLOTE)
JP2728081B2 (ja) 宇宙構造物の伸展構造
EP4195403A1 (en) Deployable antenna assembly and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an extendable structure
Cocco et al. Mechanisms for CubeSats and SmallSats
Davis et al. Mechanism Design & Flight Build of Furled High Strain Composite Antenna for CubeSats
JP2634162B2 (ja) 自転運動する宇宙ビークルの付属品の自動展開機構
Pittman et al. A modular approach to developing a large deployable reflector
JPS63305100A (ja) フレキシブル太陽電池アレイ
Nohmi et al. Technical verification satellite “STARS” for tethered space robot
Warren Use of extendible boom devices for space shuttle and EVA operations
Callaghan et al. Solar-electric-propulsion cargo vehicles for split/sprint Mars 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