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023B1 -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023B1
KR102266023B1 KR1020190098602A KR20190098602A KR102266023B1 KR 102266023 B1 KR102266023 B1 KR 102266023B1 KR 1020190098602 A KR1020190098602 A KR 1020190098602A KR 20190098602 A KR20190098602 A KR 20190098602A KR 102266023 B1 KR102266023 B1 KR 102266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put
information
transaction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373A (ko
Inventor
박은경
Original Assignee
박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경 filed Critical 박은경
Publication of KR20200125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거래 개시 입력의 수신에 따라 운영사 서버와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 단말기 식별자를 적어도 포함하는 이미지코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상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무인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코드의 인식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인,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KIOSK, MANLESS PROCESSING METHOD AND MANLESS PROCESSING SYSTEM ABLE TO PROCESSING PAYMENT USING IMAGE CODE}
본 발명은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로서, 무인 단말기에 표시되는 이미지코드의 인식을 통해 무인 단말기에서 특정된 서비스나 상품에 대해 온라인 처리가 가능토록 하는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목적이나 장소에 무인 단말기가 설치되어 관리자 없이 운영된다. KIOSK 등으로 지칭될 수 있는 무인 단말기는 식권 발매기, 무인 메뉴 발권기, 자판기, 물품 보관함 등일 수 있다.
무인 단말기는 결제수단 인식 모듈을 구비하여 주문자의 상품,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대금을 처리한다. 일반적으로, 무인 단말기는 카드(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 인식 모듈, 지폐 인식 모듈 등을 구비하여 무인 단말기에서 주문한 상품, 상품 또는 서비스(이하 '상품'이라 통칭함)의 제공에 대한 대금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통신과 데이터 처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결제 수단이 생성되고 활용되고 있다. 알리페이, 위챗페이, 카카오페이, 제로페이 등은 선불형 또는 후불형 앱(신용)카드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바코드나 QR코드 등을 이용하여 상품 대금을 처리할 수 있다.
제로페이에서, 결제는 매장 등에 표시된 QR코드를 스마트폰에서 인식하고 결제금액을 이용자가 입력하고 카드사를 통해 인증하고 이를 매장에서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로페이 등은 신용카드를 휴대할 필요가 없이 신용카드와 독립하여 온라인 상에서 결제가 이루어져 다양한 장점을 제공한다.
제로페이 등은 매장에 점원이 존재하고 상품의 대금을 직접 입력하거나 점원에 의해 입력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어 무인 단말기 등에서는 그 적용이 용이치 않다.
또한, QR코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무인 단말기가 카메라를 구비해야 한다. 이는 무인 단말기의 운영비용을 상승시키고 무인 단말기의 설계 변경을 많이 요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무인 단말기에서 이미지코드를 활용하여 상품 대금 처리를 함에 있어 야기되는 여러 불편함이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가 필요하다.
10-1227094(B1), 2013년01월29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QR코드 등과 같은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무인 단말기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동적인 대금 처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무인 단말기에 대한 최소한의 설계 변경으로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무인 단말기를 특정하고 이후 무인 단말기와 연동하여 선택되는 상품에 대한 대금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코드를 활용하여 무인 단말기의 상품 특성이나 상품 구성을 반영하여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결제 방식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일 양상에 따른 무인 처리 방법은 무인 단말기가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거래 개시 입력의 수신에 따라 무인 단말기가 운영사 서버와 세션을 연결하는 단계, 무인 단말기가 단말기 식별자를 적어도 포함하는 이미지코드를 표시하는 단계 및 무인 단말기가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상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무인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코드의 인식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이다.
상기한 무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코드는 QR코드이고, 거래 개시 입력은 일반거래 개시 입력이거나 단일상품거래 개시 입력이거나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이거나 쿠폰거래 개시 입력이거나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개시 입력이다.
상기한 무인 처리 방법에 있어서, 무인 단말기가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일반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고, 무인 단말기가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상품을 처리하는 단계는, 거래요청 정보의 수신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품선택 입력 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된 입력 버튼을 통해 상품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전송하고 수신된 승인 결과에 따라 선택된 상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무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거래요청 정보는 거래한도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품선택 입력 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거래한도 이내의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선택 입력 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한다.
상기한 무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코드는 단말기 식별자 및 단일상품정보를 포함하고, 무인 단말기가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단일상품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고, 무인 단말기가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상품을 처리하는 단계는, 운영사 서버로부터 이미지코드에서 인식된 단일상품정보에 대한 승인결과 정보의 수신에 따라 승인결과 정보에 의해 선택되는 단일상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무인 처리 방법에 있어서, 무인 단말기가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고, 무인 처리 방법은, 이미지코드를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선택 가능한 복수의 상품선택 입력 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된 입력 버튼을 통해 상품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표시되는 이미지코드는 단말기 식별자 및 선택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며, 무인 단말기가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상품을 처리하는 단계는, 운영사 서버로부터 이미지코드에서 인식된 선택 상품의 정보에 대한 승인결과 정보의 수신에 따라 승인결과 정보를 통해 선택 상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무인 처리 방법에 있어서, 무인 단말기가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쿠폰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고, 무인 단말기가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상품을 처리하는 단계는, 운영사 서버로부터 인식된 쿠폰에 따라 생성되는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결과 정보의 수신에 따라 선택가능상품 정보에 대응하여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상품선택 입력 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된 입력 버튼을 통해 상품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 상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무인 처리 방법에 있어서, 무인 단말기가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상품을 처리하는 단계 이전에, 휴대형 단말이 하나 이상의 쿠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휴대형 단말이 표시된 하나 이상의 쿠폰 정보 중 하나의 쿠폰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휴대형 단말이 선택 입력에 따라 대응하는 쿠폰 정보 및 이미지코드 인식 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 및 휴대형 단말이 이미지코드 인식 프레임에서 인식한 이미지코드의 단말기 식별자와 쿠폰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쿠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승인결과 정보는 승인 요청의 처리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이다.
상기한 무인 처리 방법에 있어서, 무인 단말기가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고, 무인 단말기가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상품을 처리하는 단계는, 승인결과 정보의 수신에 따라 승인결과 정보에 포함된 상품금액 이하의 상품들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들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된 입력 버튼을 통해 상품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품선택 입력에 따른 선택상품의 금액이 승인결과 정보의 상품금액과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선택상품의 금액과 승인결과 정보의 상품금액이 동일한 경우 선택상품을 토출구로 배출하고 선택상품의 금액과 승인결과 정보의 상품금액이 다른 경우 승인결과 정보에 대해 취소 요청을 운영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무인 처리 방법에 있어서, 무인 단말기가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상품을 처리하는 단계 이전에, 운영사 서버가 결제 서버 또는 쿠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단말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선택 상품을 처리할 무인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양상에 따른 무인 단말기는 복수의 입력 버튼 중 하나의 입력 버튼으로부터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버튼 인터페이스 및 각각의 입력 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기 위해 각각의 입력 버튼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소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상품을 처리하는 상품처리 제어모듈 및 이용자로부터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고 거래 개시 입력의 수신에 따라 운영사 서버와 세션을 연결하고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상품을 처리하도록 상품처리 제어모듈을 제어하는 결제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무인 단말기에 표시된 이미지코드의 인식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이다.
상기한 무인 단말기에 있어서, 결제 제어모듈은, 구비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거래 개시 입력 중 하나의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고, 일반거래 개시 입력의 수신시에, 운영사 서버로부터 거래한도를 포함하는 거래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거래한도 이내의 상품선택 입력 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상품처리 제어모듈로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고,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된 입력 버튼을 통해 상품선택 입력을 나타내는 선택 입력 데이터를 상품처리 제어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선택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여 선택된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운영사 서버로 전송하고 수신된 승인 결과에 따라 선택된 상품을 처리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품처리 제어모듈로 출력하며,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의 수신시에, 선택 가능한 복수의 상품선택 입력 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상품처리 제어모듈로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고,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된 입력 버튼을 통해 상품선택 입력을 나타내는 선택 입력 데이터를 상품처리 제어모듈로부터 수신하고, 단말기 식별자 및 선택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선택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코드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이미지코드에서 인식된 선택 상품의 정보에 대한 승인결과 정보를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승인결과 정보에 따라 선택 상품을 처리하는 제어 데이터를 상품처리 제어모듈로 출력한다.
상기한 무인 단말기에 있어서, 결제 제어모듈은, 구비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거래 개시 입력 중 하나의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고,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시에, 운영사 서버로부터 승인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승인결과 정보에 포함된 상품금액 이하의 상품들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들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상품처리 제어모듈로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고,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된 입력 버튼을 통해 상품선택 입력을 나타내는 선택 입력 데이터를 상품처리 제어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선택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선택상품의 금액이 승인결과 정보의 상품금액과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선택상품의 금액과 승인결과 정보의 상품금액이 동일한 경우 선택상품을 토출구로 배출하고 선택상품의 금액과 승인결과 정보의 상품금액이 다른 경우 승인결과 정보에 대해 취소 요청을 운영사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양상에 따른 무인 처리 시스템은 상기한 복수의 무인 단말기 및 복수의 무인 단말기에 세션 연결 가능한 운영사 서버를 포함하고, 운영사 서버는 결제 서버 또는 쿠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단말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선택 상품을 처리할 무인 단말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무인 단말기로 선택 상품 처리에 이용될 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한다.
상기한 무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운영사 서버에 연결되는 쿠폰 서버를 더 포함하고, 쿠폰 서버는, 휴대형 단말의 선택된 쿠폰의 쿠폰식별 정보와 쿠폰과 함께 표시되는 이미지코드 인식 프레임에서 인식된 이미지코드의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휴대형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적어도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사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는 QR코드 등과 같은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무인 단말기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동적인 대금 처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는 기존의 무인 단말기에 대한 최소한의 설계 변경으로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무인 단말기를 특정하고 이후 무인 단말기와 연동하여 선택되는 상품에 대한 대금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는 이미지코드를 활용하여 무인 단말기의 상품 특성이나 상품 구성을 반영하여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결제 방식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인 무인 단말기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무인 단말기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반거래 개시 입력에 따라 상품의 선택과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단일상품거래 개시 입력에 따라 상품의 선택과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에 따라 상품의 선택과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개시 입력에 따라 상품의 선택과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쿠폰거래 개시 입력에 따라 쿠폰에 대응하는 상품의 선택과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휴대형 단말에서 표시되는 특정 쿠폰에 이미지코드를 인식하고 단말기 식별자를 결합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무인 처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무인 단말기(100), 운영사 서버(200), 결제 서버(300), 쿠폰 서버(500) 및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400)을 포함한다. 설계 예에 따라 무인 처리 시스템은 포함된 특정 장치(결제 서버(300)나 운영사 서버(200) 등)를 생략할 수 있거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서버(300)와 쿠폰 서버(500)는 통합되어 단일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을 통해 무인 처리 시스템을 간단히 살펴보면, 무인 단말기(100)는 관리자, 점원 등이 없이 이용자에 의한 입력이나 요청으로 선택한 물품, 서비스 등의 상품을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기이다.
무인 단말기(100)는 결제 수단을 구비하여 결제 수단을 통해 상품 제공에 대한 대금을 자동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무인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75)를 구비하고 디스플레이(175)에 이미지코드를 표시하며 이미지코드를 통해 무인 단말기(100)를 적어도 특정하고 무인 단말기에서 선택되는 상품을 결제 처리하고 선택된 상품을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는, 무인 단말기(100)는 인쇄된 이미지코드를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케이스 표면에 부착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미지코드(image code)는 예를 들어 QR(Quick Response)코드 또는 바코드이거나 그 외 약속된 포맷에 따라 표시되어 이미지에서 데이터(텍스트 데이터 등)를 추출할 수 있는 임의의 코드일 수 있다.
키오스크(KIOSK)로 인식되거나 지칭될 수 있는 무인 단말기(100)는 식권 발매기, 무인 메뉴 발권기, 자판기, 물품 보관함, 무인 매점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인 단말기(100)는 관리자 등이 없이 이용자에 의해 직접 대금을 결제하고 그에 따른 상품을 제공 받을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무인 단말기(100)는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결제나 쿠폰 처리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무인 단말기(100)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운영사 서버(200)는 무인 단말기(100)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운영사 서버(200)는 복수의 무인 단말기(100)에 무선통신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운영사 서버(200)는 LTE, CDMA, GSM 등의 무선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인 단말기(100) 각각과 데이터를 연결된 세션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운영사 서버(200)는 무인 단말기(100)들과 세션 연결이 가능하고 연결된 세션의 무인 단말기(100)들 중 외부의 서버(결제 서버(300), 쿠폰 서버(500) 등)로부터 수신되는 정보(거래요청 정보나 승인결과 정보 등)에 대응하는 무인 단말기(10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설계 예에 따라, 운영사 서버(200)는 세션 연결된 무인 단말기(100)로부터 승인 요청을 수신하고 결제 서버(300)와 연동하여 승인 결과를 무인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코드를 이용한 대금 처리와 관련하여 운영사 서버(200)에서 이루어지는 제어 흐름은 도 4 내지 도 8을 통해 좀 더 살펴보도록 한다.
결제 서버(300)는 결제 승인을 처리할 수 있는 서버이다. 결제 서버(300)는 신용카드사에서 운영하는 서버이거나 온라인 페이사(예를 들어, 알리페이, 위챗페이, 카카오페이, 제로페이 등)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결제 서버(300)는 이미지코드를 인식한 휴대형 단말(400)로부터 승인 요청이나 거래요청을 수신하고 승인 요청이나 거래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구성하고 무인 단말기(100)의 식별자를 적어도 포함하는 승인결과 정보나 거래요청 정보를 운영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 서버(300)는 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을 처리하고 승인결과 정보를 휴대형 단말(400)과 단말기 식별자의 무인 단말기(100)를 관리하는 운영사 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결제 서버(300)는 거래요청에 따라 이용자의 잔고(신용 또는 충전 잔고)를 확인하고 운영사 서버(200)로 거래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운영사 서버(200)로 전송되는 정보는 적어도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한다. 승인결과 정보나 거래요청 정보는 그 외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결제 서버(300)는 운영사 서버(200)로부터 승인결과 정보(를 생성한 승인)에 대해 취소 요청을 수신하고 승인 처리된 거래를 취소 처리할 수 있다.
쿠폰 서버(500)는 쿠폰을 발행하고 발행된 쿠폰을 연결되는(된) 운영사 서버(200)와 연계하여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이다. 쿠폰 서버(500)는 이미지코드를 인식한 휴대형 단말(400)로부터 단말기 식별자 및 쿠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수신하고 쿠폰 식별정보에 따라 승인 처리하여 승인결과 정보를 운영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쿠폰 서버(500)에 대해서 도 8을 통해 좀 더 살펴보도록 한다.
휴대형 단말(400)은 이용자가 사용하는 휴대형의 단말이다. 휴대형 단말(40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또는 전용 단말 등일 수 있다. 휴대형 단말(400)은 카메라, 비휘발성 메모리, 앱 프로세서 및 무선통신 유닛 등을 구비한다. 휴대형 단말(400)은 비휘발성 메모리의 앱(예를 들어, 카드사의 앱, 페이사의 앱, 쿠폰앱 등)을 이용자 입력에 따라 구동하고 카메라를 통해 무인 단말기(100)에 표시된 이미지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400)은 결제앱(예를 들어, 카드사의 앱, 페이사의 앱) 등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이미지코드에서 단말기 식별자, 나아가 무인 단말기(100)에서 제공하거나 선택한 상품의 상품금액을 추출하고 추출된 무인 단말기(100)의 식별자 및/또는 상품금액을 포함하는 상품정보와 함께 이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이나 거래요청을 이용자 입력에 따라 결제 서버(300)로 전송하고 결제 서버(300)로부터 요청에 따른 결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설계 예에 따라, 휴대형 단말(400)은 무인 단말기(100)를 통해 배출될(제공될) 상품의 상품금액을 휴대형 단말(400)에 구비된 입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버튼, 터치 패널 등)를 통해 수신하고 입력된 상품금액(의 상품정보) 및 무인 단말기(100)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이용자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결제 서버(300)로 전송하고 승인 요청에 따른 결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400)은 쿠폰앱 등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코드에서 단말기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말기의 식별자 및 쿠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쿠폰 서버(500)로 전송하고 그 승인결과 메시지를 쿠폰 서버(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미지코드를 이용한 대금 처리와 관련하여 결제 서버(300)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제어 흐름은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좀 더 살펴보고 쿠폰 서버(500)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제어 흐름은 도 8을 통해 좀 더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예시적인 무인 단말기(100)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무인 단말기(100)의 예시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의 예는 무인 단말기(100)가 식권 발매기, 무인 메뉴 발권기, 자판기, 무인 매점 등의 예(구체적으로는 자판기)인 경우를 나타낸다. 무인 단말기(100)는 이 외에도 다른 용도의 키오스크일 수 있고 그 용도에 적합한 외형이나 내부 구조를 가진다.
도 2와 3을 통해 무인 단말기(100)를 살펴보면, 무인 단말기(100)는 이용자가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 버튼(110)을 구비한다. 입력 버튼(110)은 푸쉬 버튼, 터치 버튼 등일 수 있다. 각각의 메뉴, 제품, 음료 등에는 대응하는 입력 버튼(110)을 구비하고 입력 버튼(110)에 대한 이용자의 입력으로 특정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각 입력 버튼(110)은 특정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무인 단말기(100)는 입력 버튼(110)의 내부나 인접한 위치에 특정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소자(120)를 구비한다. 각 입력 버튼(110)에는 단일의 대응하는 발광소자(120)를 가지거나 복수의(예를 들어 2개의) 대응하는 발광소자(120)를 가질 수 있다. 발광소자(120)는 특정색상을 발광하는 다이오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120)는 청색, 적색, 녹색 등의 LED 일 수 있다.
각 입력 버튼(110)별로 단일의 발광소자(120)를 무인 단말기(100)가 구비하는 경우 단일의 발광소자(120)는 결제수단 등을 통한 요청, 인증이나 처리 이후에 상품의 선택 가능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발광한다.
각 입력 버튼(110)별로 복수의 발광소자(120)를 무인 단말기(100)가 구비하는 경우 하나의 특정 색상의 발광소자(120)는 결제수단을 통한 처리 전의 대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발광하고 다른 색상의 발광소자(120)는 결제수단 등을 통한 요청, 인증 또는 처리 이후에 선택 가능한 상품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발광한다. 이와 같이, 발광소자의 개수나 사용 예에 따라 발광색상, 발광시점 등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자판기 등의 무인 단말기(100)는 토출구(130)를 구비한다. 토출구(130)는 선택된 상품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용자는 토출구(130)를 통해 결제 처리된 선택 상품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무인 단말기(100)는 결제 제어모듈(170)을 구비하고 결제 제어모듈(170)의 제어를 통해 이용자가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상품에 대한 대금이나 쿠폰을 처리한다.
도 3은 무인 단말기(100) 내부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데, 무인 단말기(100)는 내부에 상품처리 제어모듈(150)과 결제 제어모듈(170)을 포함한다.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승인이나 쿠폰 처리에 따라 선택된 상품을 처리하는 상품처리 제어모듈(150)은 입력-버튼 인터페이스(151), 발광소자 인터페이스(153), 선택상품 출력제어 인터페이스(155) 및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을 포함한다. 상품처리 제어모듈(150)은 PCB 보드 상에 칩셋과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버튼 인터페이스(151)는 복수의 입력 버튼(110)에 연결되어 복수의 입력 버튼(110) 중 임의의 입력 버튼(110)의 눌림에 따른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버튼 인터페이스(151)는 복수의 입력 버튼(110)에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 라인으로 연결되거나 다수의 신호 라인에 연결되어 특정 상품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입력-버튼 인터페이스(151)는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으로 특정 상품의 선택을 나타내는 입력 상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버튼 인터페이스(151)는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의 GPIO, ADC 포트, I2C, UART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상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발광소자 인터페이스(153)는 무인 단말기(100)의 복수의 입력 버튼(110)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소자(12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발광소자 인터페이스(153)는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데이터)에 따라 각 입력 버튼(110)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소자(120) 또는 현재 상품의 제공(선택)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11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120)로 지정된 특정 색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발광소자 인터페이스(153)는 발광소자(120)의 다이오드 타입 등에 따라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제어 신호로 출력한다.
선택상품 출력제어 인터페이스(155)는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토출구(130)로의 출력(배출)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선택상품 출력제어 인터페이스(155)는 무인 단말기(100) 내에서 선택 상품의 토출구(130)로의 배출(이동, 출력 등)에 이용되는 모터, 선택 상품의 배출 홈의 제어 기구 및 회로 등 알려진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토출구(130)로 이동시킨다.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상품처리 제어모듈(150) 내의 블록들을 제어한다.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결제 제어모듈(170)을 통한 대금 처리로 선택된 상품을 처리할 수 있다.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하나 이상의 실행 유닛(Execution Unit)을 구비하고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 내 또는 외부에 구비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실행 유닛을 통해 제어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실행하여 상품처리 제어모듈(150)을 제어한다.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프로그램 명령어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 CPU, MPU, 중앙 처리 장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등일 수 있다.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과 지정된 내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과 결제 제어 유닛(179)은 I2C, UART, USB 등의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발광소자(120)를 제어하거나 선택된 상품을 토출구(130)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로부터 선택 가능한 범위의 상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120)를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선택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발광소자 인터페이스(153)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선택 가능한 상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120)를 온시킨다.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수신된 선택 제어 데이터에 따라 현재 선택 가능한 상품에 대응하는 발광소자(120)를 지정된 특정 색으로 켜지도록 제어하고 내부 설정된 타이머에 따라 지정된 시간 동안(예를 들어, 10초 등)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 대기할 수 있다.
선택 제어 데이터는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상품의 식별자, 거래한도 금액(예를 들어, 거래한도), 또는 모든 상품 선택가능 표시자 등을 포함하여, 선택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발광소자 인터페이스(153)를 통해 선택 가능한 상품의 입력 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상품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발광소자(120)를 온시키거나 거래한도 금액 이하의 상품금액을 가지는 상품의 발광소자(120)를 온시키거나 모든 상품에 대응하는 모든 발광소자(120)를 온시킬수 있다.
또한,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로부터 복수의 발광소자(120)를 오프시키거나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발광소자 인터페이스(153)로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입력-버튼 인터페이스(151)로부터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된 입력 버튼 중 하나의 입력 버튼으로부터 특정 상품의 선택을 나타내는 입력 상태 신호를 수신하고 선택된 상품에 대응하는 선택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로 출력한다.
또한,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로부터 선택된 상품에 대한 출력(토출)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입력 상태 신호의 수신에 따라 인식한 선택상품 식별자에 따라 선택상품 출력제어 인터페이스(155)를 제어하여 해당 상품을 토출구(130)로 배출한다. 또는,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입력 상태 신호의 수신에 따라 선택상품 출력제어 인터페이스(155)를 제어하여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로부터의 제어 데이터의 수신 없이 선택된 상품을 토출구(130)로 배출할 수도 있다.
선택된 상품이나 선택될 상품에 대해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제어모듈(170)은 카드인식기(171), 현금인식기(172), 입력 인터페이스(173), 디스플레이(175),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77) 및 결제 제어 유닛(179)을 포함한다.
결제 제어모듈(170)은 카드, 현금 등을 이용하여 선택된 상품의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결제 제어모듈(170)은 적어도 결제 서버(300)나 쿠폰 서버(500) 등의 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거래의 개시 입력을 이용자로부터 수신하고 이용자로부터의 거래 개시 입력의 수신에 따라 운영사 서버(200)와 세션을 연결하고 운영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상품을 처리하도록 상품처리 제어모듈(150)을 제어한다. 운영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무인 단말기(100)에 표시된 이미지코드의 인식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이다.
결제 제어모듈(17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카드인식기(171)는 상품 결제에 이용될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을 인식한다. 카드인식기(171)는 IC칩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홈, RF 카드 또는 스마트폰 등의 NFC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RF 리더기 등을 구비하고 인식 홈에 삽입된 카드 또는 RF 리더기에 가까이 터치된 카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현금인식기(172)는 선택된 상품의 대금으로 이용될 현금을 인식한다. 현금인식기(172)는 화폐 삽입홈을 구비하여 삽입홈을 통해 삽입된 종이 화폐의 권종을 인식하고 화폐 인식 여부와 인식된 권종을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73)는 이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73)는 결제와 관련된 이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입력 인터페이스(173)는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입력 버튼 등을 구비하여 결제와 관련된 각종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이나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175)에 바람직하게 결합된다.
입력 인터페이스(173)는, 선택되거나 선택될 상품에 대해 현금거래 개시, 신용카드거래 개시, 멤버십 로그온 방식(ID, PW 입력방식)의 포인트등 선불거래, 이미지코드를 이용한 하나 이상의 온라인거래 개시 등의 대금 처리 유형에 따른 각종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현금거래, 신용카드거래, 멤버십 로그온 거래 및 이미지코드를 이용한 하나 이상의 온라인거래 등의 개시 입력은 별도의 입력 버튼으로부터 수신되거나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등에서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한 선택으로 수신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73)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대응하는 온라인거래는 서버를 통해(예를 들어, 결제 서버(300)나 쿠폰 서버(500)를 통해) 상품 선택과 대금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온라인거래 개시는 예를 들어, 일반거래(이하 도 4 참조) 개시이거나 단일상품거래(이하 도 5 참조) 개시이거나 상품선택 우선거래(이하 도 6 참조) 개시이거나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이하 도 7 참조) 개시이거나 쿠폰거래(이하 도 8 참조) 개시일 수 있다. 일반거래 개시 입력, 단일상품거래 개시 입력,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개시 입력 및/또는 쿠폰거래 개시 입력은 입력 인터페이스(173)의 할당된 각각의 버튼으로부터 수신되거나 디스플레이(175)에 표시된 서로 다른 각각의 이미지 아이콘에 대한 선택(터치 스크린 등)으로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무인 단말기(100)는 일반거래, 단일상품거래, 상품선택 우선거래,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및 쿠폰거래 중 하나 이상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거래 중 입력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선택된 거래를 일련의 과정을 통해 처리하여 상품의 선택과 선택된 상품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 단말기(100)는 일반거래와 쿠폰거래, 일반거래와 상품선택 우선거래, 일반거래와 상품선택 우선거래 및 쿠폰거래, 단일상품거래와 상품선택 우선거래 및 쿠폰거래,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와 쿠폰거래,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와 단일상품거래,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와 상품선택 우선거래 등 다양한 조합의 복수의 거래를 각각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거래 방식에 따라 선택된 거래 방식의 처리 흐름을 통해 특정 상품을 선택하고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73)는 무인 단말기(100)에서 제공 가능한 거래들 중 하나의 거래 개시 입력을 이용자를 통해 수신하고 선택된 거래에 정의된 제어 흐름을 통해 특정 상품을 선택하고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175)는 각종 데이터나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75)는 LCD, LED, TFT LCD 등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각종 데이터나 정보를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77)는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77)는 LTE, CDMA, GSM, 5G 등의 이동통신 표준을 적용한 이동통신용 무선 칩셋, 무선안테나 등을 구비하여 무선안테나를 통해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된 무선신호에서 무선통신 패킷을 추출하여 결제 제어 유닛(179)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77)는 결제 제어 유닛(179)으로부터 수신된 무선통신용 패킷( 데이터)을 이동통신 표준에 따라 지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신호로 송출한다.
결제 제어 유닛(179)은 결제 제어모듈(170) 내의 블록들을 제어한다. 결제 제어 유닛(179)은 상품처리 제어모듈(150)을 통해 선택되거나 선택될 상품에 대한 결제를 적어도 처리한다.
결제 제어 유닛(179)은 하나 이상의 실행 유닛(Execution Unit)을 구비하고 결제 제어 유닛(179) 내 또는 외부에 구비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실행 유닛을 통해 제어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실행하여 상품처리 제어모듈(150)을 제어한다.
결제 제어 유닛(179)은 프로그램 명령어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 CPU, MPU, 중앙 처리 장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등일 수 있다.
결제 제어 유닛(179)은 상품처리 제어모듈(150)(의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과 지정된 내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과 결제 제어 유닛(179)은 I2C, UART, USB 등의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결제 제어 유닛(179)에서 이루어지는 주요한 제어를 살펴보면, 결제 제어 유닛(179)은 입력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특정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결제 제어 유닛(179)은 현금거래 개시 입력, 신용카드거래 개시 입력, 온라인거래 개시 입력(일반거래 개시 입력, 단일상품거래 개시 입력,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또는 쿠폰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한다.
현금거래 입력을 수신한 결제 제어 유닛(179)은 현금인식기(172)를 제어하여 종이 화폐 등을 인식하고 이후 선택된 상품에 대한 대금 처리를 현금 처리로 수행한다. 신용카드거래 입력을 수신한 결제 제어 유닛(179)은 카드인식기(171)를 제어하여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등을 통해 선택된 상품에 대한 대금 처리를 수행한다. 현금결제나 신용카드 결제 등은 무인 단말기(100)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온라인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한 결제 제어 유닛(179)은 무인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이미지코드를 이용자의 휴대형 단말(400)에 의해 인식하도록 유도한다.
결제 제어 유닛(179)은 디스플레이(175)에 단말기 식별자를 적어도 포함하는 이미지코드(예를 들어, QR코드)를 표시하거나 무인 단말기(100)에 부착된 이미지코드를 인쇄한 스티커(도면 미표시), 표시하는 발광소자(도면 미표시) 및/또는 디스플레이(175)를 통해 이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단말기 식별자는 무인 단말기(100)를 운영사 서버(200)에서 특정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예를 들어, MAC 주소, IP 주소, 시리얼 번호, 기타 숫자와 문자의 조합 또는 세션 ID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형 단말(400)은 표시되거나 부착된 이미지코드를 구비된 카메라 등을 통해 인식 가능하다.
또한, 결제 제어 유닛(179)(의 결제 제어모듈(170))은 온라인거래 개시 입력(일반거래 개시 입력, 단일상품거래 개시 입력,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또는 쿠폰거래 개시 입력)의 수신에 따라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77)를 통해 운영사 서버(200)와 세션을 연결한다. 결제 제어 유닛(179)(의 결제 제어모듈(170))은 복수의 상품 중 선택 가능한 상품을 특정할 수 있는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운영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 선택가능상품 정보는 예를 들어,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상품의 식별자, 거래한도 금액, 또는 모든상품 선택가능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제어 유닛(179)(의 결제 제어모듈(170))은 수신된 정보와 온라인거래 개시 입력의 타입에 따라 선택되거나 선택된 상품을 상품처리 제어모듈(150)을 제어하여 처리할 수 있다.
결제 제어모듈(170)에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제어 흐름은 도 4 내지 도 8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상품처리 제어모듈(150)과 결제 제어모듈(170)이 분리된 구성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설계 예에 따라 상품처리 제어모듈(150)과 결제 제어모듈(170)이 하나로 구성되고 그에 따라 변경되는 구성요소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일반거래 개시 입력에 따라 상품의 선택과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는 일반거래 개시 입력을 이용자로부터 수신(① 참조)한다.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제공 가능한 일반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추가로 단일상품거래 개시 입력,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개시 입력 또는 쿠폰거래 개시 입력을 다른 시각에 수신하여 해당 거래를 더 처리(도 5 내지 도 8 참조)할 수 있다.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는 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는 복수의 거래 유형 중 일반거래 개시를 위한 입력을 입력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이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일반거래는 상품의 선 선택 이후에 선택된 상품에 대해 결제 서버(300)를 통한 결제 승인을 처리하는 거래를 나타낸다.
일반거래 개시 입력의 수신에 따라,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는 운영사 서버(200)와 세션을 연결(②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77)를 통해 운영사 서버(200)로 세션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 운영사 서버(200)는 세션 연결 요청에 따라 신규의 세션을 구성하고 현재 활성화되어 연결되어 있는 세션 리스트에 연결 요청한 무인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세션 정보를 추가하고 세션 연결 응답을 무인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세션 정보는 적어도 무인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자(나아가 세션 ID)를 포함하고 나아가 거래 타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래 타입은 일반거래 타입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운영사 서버(200)는 세션 연결 요청에 따라 무인 단말기(100)와 세션 연결을 설정한다.
활성화된 세션 리스트의 세션 정보에 저장되는 단말기 식별자는 무인 단말기(100)의 MAC 주소, IP 주소, 시리얼 번호, 기타 숫자와 문자의 조합 또는 세션 ID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단말기 식별자를 통해 운영사 서버(200)는 특정 무인 단말기(100)를 식별할 수 있다.
세션 리스트의 임의의 세션은 무인 단말기(100)로부터 각종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1분 등)까지 유지되고 이후 세션 리스트에서 제거될 수 있다.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 또는 케이스)는 이미지코드를 표시(③ 참조)한다. 이미지코드는 휴대형 단말(400)이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미지코드는 무인 단말기(100)의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거나 디스플레이(175)에 동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미지코드는 미리 구성되어 결제 제어 유닛(179) 등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 식별자로부터 결제 제어 유닛(179)에 의해 이미지코드를 구성하고 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단말기 식별자로 상품 선택 등이나 결제가 이루어질 무인 단말기(100)를 운영사 서버(200) 등에서 식별할 수 있다.
일반거래 개시 입력을 누른 이용자는 휴대형 단말(400)의 카메라를 통해 표시된 이미지코드를 특정 어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하여 인식(④ 참조)한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400)의 결제앱 등은 사각형의 프레임내에 이미지코드를 위치시켜 이미지코드를 인식하고 약속된 포맷에 따라 이미지코드 내의 단말기 식별자 등을 추출할 수 있다.
결제앱 등을 수행하는 휴대형 단말(400)은 결제 서버(300)로 무인 단말기(100)의 임의의 상품 처리(선택, 구매 등)를 위한 거래요청을 전송(⑤ 참조)한다. 이 거래요청은 이하에서 살펴볼 바와 같이 휴대형 단말(400)에 의해 특정된 무인 단말기(100)에서의 상품 선택 및 처리를 위한 요청을 나타낸다. 거래 요청은 적어도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고 이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이용자 ID, 패스워드,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예를 들어, 휴대전화번호, 맥주소 등) 등 이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결제 서버(300)는 이용자 정보 등의 이용자 ID에 대응하는 계좌 정보 등의 계좌잔액, 신용한도, 적립금액 및/또는 충전금액을 이용하여 거래요청에 대응한 거래요청 정보를 구성(⑥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결제 서버(300)는 무인 단말기(100)에서 선택 가능한 상품의 범위를 특정할 수 있는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포함하고 휴대형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거래요청 정보를 구성한다. 거래요청 정보는 이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결제 서버(300)는 신용한도, 적립금액 또는 충전금액이 무인 단말기(100)나 운영사 서버(200)와 약정된 최대 금액 이상인 경우 모든 상품 선택가능 표시자(운영사 서버(200) 등과 약속된 포맷에 따른 플래그나 데이터, 또는 상한금액 등)를 포함하는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구성한다. 결제 서버(300)는 신용한도, 적립금액 또는 충전금액이 약정된 최대 금액 미만인 경우 신용한도, 적립금액 또는 충전금액을 거래한도 금액으로 구성하고 거래한도 금액을 포함하는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구성한다. 대안으로, 결제 서버(300)는 신용한도, 적립금액 또는 충전금액을 거래한도 금액으로 구성하고 거래한도 금액을 포함하는 선택가능상품 정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결제 서버(300)는 신용한도, 적립금액 또는 충전금액과 약정된 최대 금액과의 비교 없이 모든 상품 선택가능 표시자를 포함하는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거래요청 정보가 구성됨에 따라 거래요청 정보를 운영사 서버(200)로 전송(⑦ 참조)한다.
운영사 서버(200)는 결제 서버(300)로부터 거래요청 정보를 수신(⑦ 참조)하고 거래요청 정보의 단말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세션 연결된 여러 무인 단말기(100) 중 수신된 거래요청 정보를 처리할 무인 단말기(100)를 결정(⑧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운영사 서버(200)는 거래요청 정보에서 단말기 식별자를 추출하고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세션 리스트에서 추출된 단말기 식별자와 동일한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세션 정보를 검색하여 승인결과 정보를 처리할 무인 단말기(100)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거래요청 정보를 처리할 무인 단말기(100)가 결정됨에 따라, 운영사 서버(200)는 거래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결정된 무인 단말기(100)로 연결된 세션을 통해 전송(⑨ 참조)한다.
결정된 무인 단말기(100)가 수신하는 거래요청 정보는 해당 무인 단말기(100)의 처리 가능한 여러 상품 중 선택 가능한 상품을 특정할 수 있는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포함하고 단말기 식별자는 생략될 수 있다. 수신하는 거래요청 정보는 이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이용자 정보는 검색된 세션 정보에 매칭시켜 운영사 서버(20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후, 무인 단말기(100)는 수신된 정보(거래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상품을 처리(도 4의 ⑩ 내지 ⑮ 참조)한다.
거래요청 정보를 수신한 무인 단말기(100)는 복수의 상품 중에서 선택가능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입력 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⑩ 참조)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운영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거래요청 정보는 무인 단말기(100)에 표시된 이미지코드의 인식에 따라 생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77)를 통해 거래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추출한다. 선택가능상품 정보는 거래한도 금액 또는 모든상품 선택가능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복수의 발광소자 중 선택가능상품 정보로부터 선택 가능한 상품에 대응하는 발광소자를 통해 지정된 색상을 적어도 표시하도록 하는 선택 제어 데이터를 상품처리 제어모듈(150)로 전송한다.
선택가능상품 정보가 거래한도 금액을 포함하는 경우 선택 제어 데이터는 거래한도 금액 또는 거래한도 금액 이하의 상품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가능상품 정보가 모든상품 선택가능 표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선택 제어 데이터는 모든 상품을 지정된 색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플래그, 명령, 데이터, 제어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처리 제어모듈(150)(의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선택 제어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선택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의 발광소자(120)를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발광소자 인터페이스(153)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무인 단말기(100)는 선택가능상품 정보가 모든상품 선택가능 표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모든 상품의 입력 버튼들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고 선택가능상품 정보가 거래한도 금액을 포함하는 경우 거래한도 금액 이하의 상품의 입력 버튼들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한다.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선택 제어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내부 타이머를 설정(초기화)하고 설정된 타이머 기간(예를 들어, 10초 등) 내에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한 범위의 상품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이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됨에 따라, 이용자는 선택을 희망하는 상품의 입력 버튼을 누를 수 있고, 무인 단말기(100)는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⑪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된 입력 버튼의 눌림에 따른 입력 상태 신호를 입력-버튼 인터페이스(151)를 통해 수신하고 눌려진 입력 버튼(의 선택 상품)에 대응하는 선택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로 출력한다.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는 선택 입력 데이터에 따라 선택된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사 서버(200)로 전송(⑫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선택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 결제 제어 유닛(179)은 선택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품의 식별자 및/또는 상품의 금액을 포함하는 선택된 상품정보를 구성한다. 선택된 상품정보는 적어도 선택된 상품에 대한 처리대금을 운영사 서버(200)에 의해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결제 제어 유닛(179)은 선택된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운영사 서버(200)와 약속된 포맷에 따라 구성하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77)를 통해 운영사 서버(200)로 출력한다. 운영사 서버(200)로 전송되는 승인 요청은 적어도 선택된 상품정보를 포함하고 나아가 단말기 식별자 및/또는 이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승인 요청을 수신한 운영사 서버(200)는 승인 요청의 선택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승인 금액 및 이용자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구성하여 결제 서버(300)로 전송(⑫ 참조)한다. 운영사 서버(200)는 연결된 세션을 따라 이용자 정보를 특정하거나 무인 단말기(100)로부터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결제 서버(300)는 승인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승인 요청의 이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이용자의 승인 금액에 대해 승인 처리하고 승인결과를 구성(⑬ 참조)한다.
결제 서버(300)는 승인결과 메시지를 이미지코드를 인식한 휴대형 단말(400)로 전송하고 또한 승인 결과를 운영사 서버(200)로 전송(⑭ 참조)한다.
또한, 운영사 서버(200)는 결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승인 결과에 따라 승인 요청이 이루어진(⑫ 참조) 무인 단말기(100)로 승인 결과를 전송(⑭ 참조)한다.
승인 결과를 수신한 무인 단말기(100)는 승인 결과에 따라 선택 상품을 처리(⑮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승인 결과가 승인을 나타내는 경우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선택된 상품정보에 대응한 선택 상품을 처리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품처리 제어모듈(150)로 출력한다. 제어 데이터는 선택 상품을 토출 구(130)로 출력(토출)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일 수 있다.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결제 제어 유닛(179)으로부터 선택된 상품에 대한 출력(토출)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에 따라 선택된 상품을 토출구(130)로 배출할 수 있다.
승인 결과가 승인 거절을 나타내는 경우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디스플레이(175) 등을 통해 승인 거절을 나타내는 메시지나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무인 단말기(100)와 그 시스템은 카메라의 구비 없이 휴대형 단말(400)을 이용하여 이미지코드에 의한 임의 상품의 선택과 결제 처리가 가능토록 한다.
도 5는 단일상품거래 개시 입력에 따라 상품의 선택과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그 주요한 내용을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기기 사이의 데이터 흐름 위주로 살펴보도록 한다. 특히, 도 5의 제어 흐름은 도 4와 대부분 유사하므로 도 4와 차이가 나는 내용을 위주로 살펴보도록 하고 생략되는 부분은 도 4의 대응하는 내용을 통해 당업자가 자명하게 그 구성, 기능, 작용을 이해할 수 있다.
도 5의 단일상품거래의 제어 흐름은 무인 단말기(100)에서 동일한 상품이나 동일한 금액을 가지는 상품을 제공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 가능하다.
먼저,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는 단일상품거래 개시 입력을 이용자로부터 수신(① 참조)한다.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제공 가능한 단일상품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추가로 일반거래 개시 입력,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개시 입력 또는 쿠폰거래 개시 입력을 다른 시점에 더 수신하여 해당 거래를 처리(도 4, 도 6, 도 7 및 도 8 참조)할 수 있다. 단일상품거래는 무인 단말기(100)가 단일 상품을 제공하거나 단일 금액으로 상품을 제공하는 경우의 거래를 나타낸다.
단일상품거래 개시 입력의 수신에 따라,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는 운영사 서버(200)와 세션을 연결(② 참조)한다.
운영사 서버(200)는 세션 연결 요청에 따라 신규의 세션을 구성하고 현재 활성화되어 연결되어 있는 세션 리스트에 연결 요청한 무인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세션 정보를 추가하고 세션 연결 응답을 무인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세션 정보는 적어도 무인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자(나아가 세션 ID)를 포함하고 나아가 거래 타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래 타입은 단일상품거래 타입으로 설정된다.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 또는 케이스)는 이미지코드를 표시(③ 참조)한다. 이미지코드는 단말기 식별자 및 단일상품정보를 포함한다. 단일상품정보는 단일 상품의 식별자나 단일 상품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상품정보는 적어도 승인 금액을 특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단일상품거래 개시 입력을 누른 이용자는 표시된 이미지코드를 휴대형 단말(400)의 카메라를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앱)으로 인식(④ 참조)한다.
결제앱 등을 수행하는 휴대형 단말(400)은 결제 서버(300)로 무인 단말기(100)의 임의의 상품 처리(선택, 구매 등)를 위한 승인 요청을 전송(⑤ 참조)한다. 이 승인 요청은 휴대형 단말(400)에 의해 특정된 무인 단말기(100)에서 선택 가능한 상품에 대한 승인 요청을 나타낸다. 승인 요청은 적어도 단말기 식별자와 단일상품정보를 포함하고 이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서버(300)는 이용자 정보 등의 이용자 ID에 대응하는 이용자의 신용한도, 적립금액 및/또는 충전금액을 이용하여 승인 요청에 대응한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⑥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결제 서버(300)는 이용자 ID에 대응하는 계좌 정보 등의 계좌잔액, 신용한도, 적립금액 및/또는 충전금액과 승인 요청의 단일상품정보의 상품금액을 비교하고 신용한도, 적립금액 및/또는 충전금액이 상품금액 이상인 경우 승인을 나타내는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하고 신용한도, 적립금액 및/또는 충전금액이 상품금액 미만인 승인거절을 나타내는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한다. 승인결과 정보는 승인 요청의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고 단일상품정보 및/또는 이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인결과 정보가 구성됨에 따라 결제 서버(300)는 승인결과 정보를 운영사 서버(200)로 전송(⑦ 참조)한다. 또한, 결제 서버(300)는 승인 인증이나 승인 거절을 나타내고 승인 금액,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승인결과 메시지를 휴대형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운영사 서버(200)는 결제 서버(300)로부터 승인결과 정보를 수신(⑦ 참조)하고 승인결과 정보의 단말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세션 연결된 여러 무인 단말기(100) 중 수신된 승인결과 정보를 처리할 무인 단말기(100)를 결정(⑧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운영사 서버(200)는 승인결과 정보에서 단말기 식별자를 추출하고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세션 리스트에서 추출된 단말기 식별자와 동일한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세션 정보를 검색하여 승인결과 정보를 처리할 무인 단말기(100)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승인결과 정보를 처리할 무인 단말기(100)가 결정됨에 따라, 운영사 서버(200)는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하여 결정된 무인 단말기(100)로 연결된 세션을 통해 전송(⑨ 참조)한다.
운영사 서버(200)가 전송하는 승인결과 정보는 해당 무인 단말기(100)의 선택가능상품 정보(단일상품정보, 예를 들어, 단일상품 식별자, 상품금액)를 포함하고 단말기 식별자는 생략될 수 있다. 승인결과 정보는 이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이용자 정보는 검색된 세션 정보에 매칭시켜 운영사 서버(20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후, 무인 단말기(100)는 운영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승인결과 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상품을 처리(⑩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승인결과 정보를 수신한 결제 제어 유닛(179)(의 결제 제어모듈(170))은 복수의 발광소자 중 선택가능상품 정보로부터 단일 상품 또는 단일 금액에 대응하는 상품의 대응하는 발광소자를 통해 지정된 색상을 적어도 표시하도록 하는 선택 제어 데이터를 상품처리 제어모듈(150)로 전송한다. 선택가능상품 정보는 무인 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코드의 인식에 기초하여(따라)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상품처리 제어모듈(150)(의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선택 제어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선택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의 발광소자(120)를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발광소자 인터페이스(153)로 출력한다.
선택 가능한 범위의 상품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이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됨에 따라, 이용자는 선택을 희망하는 상품의 입력 버튼을 누를 수 있고,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된 입력 버튼의 눌림에 따른 입력 상태 신호를 입력-버튼 인터페이스(151)를 통해 수신하고 눌려진 입력 버튼(의 선택 상품)에 대응하는 선택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로 출력하고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에 따라 또는 바로 선택 상품을 토출구(130)를 통해 배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단일 상품이나 단일 금액을 제공하는 무인 단말기(100)에서 이미지코드를 활용하여 편리하게 상품의 특정과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6은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에 따라 상품의 선택과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주요한 내용을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기기 사이의 데이터 흐름 위주로 살펴보도록 한다. 특히, 도 6의 제어 흐름은 도 4 등과 대부분 유사하므로 도 4 등과 차이가 나는 내용을 위주로 살펴보도록 하고 생략되는 부분은 도 4 등의 대응하는 내용을 통해 당업자가 자명하게 그 구성, 기능, 작용을 이해할 수 있다.
도 6의 상품선택 우선거래의 제어 흐름은 상품을 우선 선택하고 이후에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먼저,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는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을 이용자로부터 수신(① 참조)한다.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제공 가능한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추가로 일반거래 개시 입력, 단일상품거래 개시 입력,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개시 입력 또는 쿠폰거래 개시 입력을 다른 시각에 더 수신하여 해당 거래를 처리(도 4, 도 5, 도 7 및 도 8 참조)할 수 있다.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서버를 통해 그 처리가 이루어지는 복수의 거래 유형 중 상품선택 우선거래의 개시 입력을 입력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수신한다. 상품선택 우선거래는 다양한 상품들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상품에 대해 결제 서버(300)를 통해 결제 승인과 그에 따라 처리하는 거래를 나타낸다.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의 수신에 따라,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는 상품선택 입력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②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무인 단말기(100) 내에서 선택 가능한 모든 상품들의 모든 입력 버튼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통해 지정된 색상을 적어도 표시하도록 하는 선택 제어 데이터를 상품처리 제어모듈(150)로 출력(전송)한다.
상품처리 제어모듈(150)(의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선택 제어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선택 가능한 모든 상품의 발광소자(120)를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발광소자 인터페이스(153)로 출력한다.
입력 버튼이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됨에 따라, 이용자는 선택을 희망하는 상품의 입력 버튼을 누를 수 있고, 무인 단말기(100)는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③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된 입력 버튼의 눌림에 따른 입력 상태 신호를 입력-버튼 인터페이스(151)를 통해 수신하고 눌려진 입력 버튼(의 선택 상품)에 대응하는 선택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로 출력하고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이를 수신한다.
결제 제어모듈(170)은 선택 입력 데이터에 따라 선택된 상품의 식별자나 상품금액을 특정할 수 있다.
이후,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는 운영사 서버(200)와 세션을 연결(④ 참조)한다.
운영사 서버(200)는 세션 연결 요청에 따라 신규의 세션을 구성하고 현재 활성화되어 연결되어 있는 세션 리스트에 연결 요청한 무인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세션 정보를 추가한다. 세션 정보는 적어도 무인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자(나아가 세션 ID)를 포함하고 나아가 거래 타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래 타입은 상품선택 우선거래 타입으로 설정된다.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 또는 케이스)는 이미지코드를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표시(⑤ 참조)한다. 이미지코드는 단말기 식별자와 선택 상품정보를 포함한다. 선택 상품정보는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데이터로부터 결정되고 선택상품 식별자 및/또는 선택상품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을 누른 이용자는 표시된 이미지코드를 휴대형 단말(400)의 카메라를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앱)에 의해 인식(⑥ 참조)한다.
결제앱 등을 수행하는 휴대형 단말(400)은 결제 서버(300)로 무인 단말기(100)의 선택된 상품에 대한 승인 요청을 전송(⑦ 참조)한다. 이 승인 요청은 휴대형 단말(400)에 의해 특정된 무인 단말기(100)에서 선택된 상품에 대한 승인 요청을 나타낸다. 승인 요청은 적어도 단말기 식별자와 선택 상품정보를 포함하고 이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서버(300)는 이용자 정보 등의 이용자 ID에 대응하는 이용자의 신용한도, 적립금액 및/또는 충전금액을 이용하여 승인 요청에 대응한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⑧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결제 서버(300)는 이용자 ID에 대응하는 계좌 정보 등의 계좌잔액, 신용한도, 적립금액 및/또는 충전금액과 승인 요청의 선택 상품정보의 선택상품 금액을 비교하고 신용한도, 적립금액 및/또는 충전금액이 선택상품 금액 이상인 경우 승인을 나타내는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하고 신용한도, 적립금액 및/또는 충전금액이 선택상품 금액 미만인 승인거절을 나타내는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한다. 승인결과 정보는 승인 요청의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고 선택 상품 정보 및/또는 이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인결과 정보가 구성됨에 따라 결제 서버(300)는 승인결과 정보를 운영사 서버(200)로 전송(⑨ 참조)한다. 또한, 결제 서버(300)는 승인 인증이나 승인 거절을 나타내고 승인 금액,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승인결과 메시지를 휴대형 단말(400)로 전송(⑩ 참조)할 수 있다.
운영사 서버(200)는 결제 서버(300)로부터 승인결과 정보를 수신(⑨ 참조)하고 승인결과 정보의 단말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세션 연결된 여러 무인 단말기(100) 중 수신된 승인결과 정보를 처리할 무인 단말기(100)를 결정(⑪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운영사 서버(200)는 승인결과 정보에서 단말기 식별자를 추출하고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세션 리스트에서 추출된 단말기 식별자와 동일한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세션 정보를 검색하여 승인결과 정보를 처리할 무인 단말기(100)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승인결과 정보를 처리할 무인 단말기(100)가 결정됨에 따라, 운영사 서버(200)는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하여 결정된 무인 단말기(100)로 연결된 세션을 통해 전송(⑫ 참조)한다.
운영사 서버(200)가 전송하는 승인결과 정보는 해당 무인 단말기(100)의 선택가능상품 정보(예를 들어, 선택상품 식별자, 선택상품 금액)를 포함하고 단말기 식별자는 생략될 수 있다. 승인결과 정보는 이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이용자 정보는 검색된 세션 정보에 매칭시켜 운영사 서버(20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후, 무인 단말기(100)는 운영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승인결과 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상품을 처리(⑬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승인결과 정보를 수신한 결제 제어 유닛(179)(의 결제 제어모듈(170))은 승인결과 정보의 선택상품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상품선택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상품(앞선 ③ 참조)을 토출구(130)로 배출하도록 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품처리 제어모듈(150)(상품처리 제어 유닛(157))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승인결과 정보는 이미지코드에서 인식된 선택 상품정보에 대한 승인결과를 나타낸다.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결제 제어 유닛(179)으로부터 선택된 상품에 대한 출력(토출)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에 따라 선택된 상품을 토출구(130)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용자는 희망하는 상품을 선 선택하고 이후 이미지코드를 통해 선택된 상품에 대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은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개시 입력에 따라 상품의 선택과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주요한 내용을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기기 사이의 데이터 흐름 위주로 살펴보도록 한다. 특히, 도 7의 제어 흐름은 도 4 내지 도 6 등과 대부분 유사하므로 도 4 내지 도 6 등과 차이가 나는 내용을 위주로 살펴보도록 하고 생략되는 부분은 도 4 등의 대응하는 내용을 통해 당업자가 자명하게 그 구성, 기능, 작용을 이해할 수 있다.
도 7의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의 제어 흐름은 휴대형 단말(400)을 통해 상품금액을 선 입력하고 선 입력된 상품금액에 대해 결제승인 처리에 따라 무인 단말기(100)의 상품이 처리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먼저,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는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개시 입력을 이용자로부터 수신(① 참조)한다.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제공 가능한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추가로 일반거래 개시 입력, 단일상품거래 개시 입력,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 또는 쿠폰거래 개시 입력을 다른 시각에 더 수신하여 해당 거래를 처리(도 4, 도 5, 도 6 및 도 8 참조)할 수 있다.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서버를 통해 그 처리가 이루어지는 복수의 거래 유형 중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의 개시 입력을 입력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수신한다.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는 무인 단말기(100)에서 선택할 상품의 상품금액을 이용자에 의해 먼저 지정하고 지정된 상품금액에 대해 결제 서버(300)를 통한 결제 승인과 결제 승인에 따라 상품금액에 상응하는(대응하는) 상품을 처리하는 거래를 나타낸다.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입력의 수신에 따라,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는 운영사 서버(200)와 세션을 연결(② 참조)한다.
운영사 서버(200)는 세션 연결 요청에 따라 신규의 세션을 구성하고 현재 활성화되어 연결되어 있는 세션 리스트에 연결 요청한 무인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세션 정보를 추가하고 세션 연결 응답을 무인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세션 정보는 적어도 무인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자(나아가 세션 ID)를 포함하고 나아가 거래 타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래 타입은 상품금액 선지정거래 타입으로 설정된다.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 또는 케이스)는 이미지코드를 표시(③ 참조)한다. 이미지코드는 단말기 식별자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개시 입력을 누른 이용자는 표시된 이미지코드를 휴대형 단말(400)의 카메라를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앱)으로 인식(④ 참조)한다.
또한, 휴대형 단말(400)은 구비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자에 의해 선택될 상품의 상품금액 입력을 수신(⑤ 참조)한다. 입력되는 상품금액은 무인 단말기(100)에서 선택될 상품의 가격(대금)을 나타낼 수 있다.
결제앱 등을 수행하는 휴대형 단말(400)은 결제 서버(300)로 입력된 상품금액에 대응하는 상품의 무인 단말기(100)에서의 처리(선택, 구매 등)를 위한 승인 요청을 전송(⑥ 참조)한다. 이 승인 요청은 휴대형 단말(400)에 의해 특정된 무인 단말기(100)에서 선택 가능한 상품들(의 상품금액들) 중 지정된(입력된) 상품금액에 대한 승인 요청을 나타낸다. 승인 요청은 적어도 단말기 식별자와 상품정보를 포함하고 이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이용자 ID, 패스워드, 휴대형 단말(400)의 식별자(예를 들어, 휴대전화번호, 맥주소 등) 등 이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품정보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품금액을 나타내거나 포함한다.
결제 서버(300)는 이용자 정보 등의 이용자 ID에 대응하는 이용자의 신용한도, 적립금액 및/또는 충전금액을 이용하여 승인 요청에 대응한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⑦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결제 서버(300)는 이용자 ID에 대응하는 계좌 정보 등의 계좌잔액, 신용한도, 적립금액 및/또는 충전금액과 승인 요청의 상품정보의 상품금액을 비교하고 신용한도, 적립금액 및/또는 충전금액이 상품금액 이상인 경우 승인을 나타내는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하고 신용한도, 적립금액 및/또는 충전금액이 상품금액 미만인 승인거절을 나타내는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한다.
승인결과 정보는 승인 요청의 단말기 식별자, 상품금액(승인금액)을 포함하는 상품정보 및 승인결과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이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인결과 식별정보는 승인 인정 또는 승인 거절을 나타내는 플래그(데이터), 승인 번호(승인 고유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승인결과 정보가 구성됨에 따라 결제 서버(300)는 승인결과 정보를 운영사 서버(200)로 전송(⑧ 참조)한다. 또한, 결제 서버(300)는 승인 인증이나 승인 거절을 나타내고 승인 금액,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승인결과 메시지를 휴대형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운영사 서버(200)는 결제 서버(300)로부터 승인결과 정보를 수신(⑧ 참조)하고 승인결과 정보의 단말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세션 연결된 여러 무인 단말기(100) 중 수신된 승인결과 정보를 처리할 무인 단말기(100)를 결정(⑨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운영사 서버(200)는 승인결과 정보에서 단말기 식별자를 추출하고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세션 리스트에서 추출된 단말기 식별자와 동일한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세션 정보를 검색하여 승인결과 정보를 처리할 무인 단말기(100)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승인결과 정보를 처리할 무인 단말기(100)가 결정됨에 따라, 운영사 서버(200)는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하여 결정된 무인 단말기(100)로 연결된 세션을 통해 전송(⑩ 참조)한다.
운영사 서버(200)가 전송하는 승인결과 정보는 해당 무인 단말기(100)의 선택가능상품 정보(예를 들어, 상품금액(승인금액))를 포함하고 단말기 식별자는 생략될 수 있다. 승인결과 정보는 이용자 정보와 함께 승인결과 식별정보(예를 들어, 승인번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이용자 정보나 승인결과 식별정보는 검색된 세션 정보에 매칭시켜 운영사 서버(2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후, 무인 단말기(100)는 운영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승인결과 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상품을 처리(⑪ 내지 ⑮ 참조)한다.
승인결과 정보를 수신한 무인 단말기(100)는 무인 단말기(100)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상품 중에서 선택가능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입력 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⑪ 참조)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운영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승인결과 정보는 무인 단말기(100)에 표시된 이미지코드의 인식에 따라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77)를 통해 승인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추출한다. 선택가능상품 정보는 상품금액(승인금액)을 포함한다.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복수의 발광소자 중 선택가능상품 정보의 상품금액 이하의 상품들에 대응하는 발광소자들을 통해 지정된 색상을 적어도 표시하도록 하는 선택 제어 데이터를 상품처리 제어모듈(150)로 전송한다. 상품처리 제어모듈(150)로 전송되는 선택 제어 데이터는 승인된 (선택가능상품 정보의) 상품금액을 포함하거나 승인된 상품금액 이하의 상품들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처리 제어모듈(150)(의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선택 제어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선택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의 발광소자(120)를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발광소자 인터페이스(153)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선택 제어 데이터의 상품들의 식별자들에 대응하는 발광소자(120)들을 발광소자 인터페이스(153)를 통해 제어하여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한다. 또는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선택 제어 데이터의 상품금액 이하의 상품들에 대응하는 발광소자(120)들을 발광소자 인터페이스(153)를 통해 제어하여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무인 단말기(100)는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입력에 따라 입력된 상품금액 이하의 상품의 입력 버튼(110)들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한다. 무인 단말기(100)는 상품금액과 동일한 대금(가격)을 가지는 상품뿐 아니라 미만의 상품금액을 가지는 상품들의 입력 버튼(110)들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선택 제어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내부 타이머를 설정(초기화)하고 설정된 타이머 기간(예를 들어, 10초 등) 내에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선택 상품금액 이하의 상품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110)이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됨에 따라, 이용자는 선택을 희망하는 상품의 입력 버튼(110)을 누를 수 있고, 무인 단말기(100)는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⑫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된 입력 버튼(110)의 눌림에 따른 입력 상태 신호를 입력-버튼 인터페이스(151)를 통해 수신하고 눌려진 입력 버튼(110)(의 선택 상품)에 대응하는 선택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로 출력한다.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는 선택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선택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선택상품의 금액이 휴대형 단말(400)을 통해 입력된 상품금액과 동일한지를 판단(⑬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선택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 결제 제어 유닛(179)은 선택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여 선택된 선택상품의 금액을 결정하고 결정된 선택상품 금액이 수신된 승인결과 정보의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품금액(승인금액)과 동일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두 금액이 동일한 경우, 무인 단말기(100)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품을 처리(⑮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두 금액이 동일한 경우 결제 제어 유닛(179)(의 결제 제어모듈(170))은 상품선택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상품(앞선 ⑫ 참조)을 토출구(130)로 배출하도록 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품처리 제어모듈(150)(상품처리 제어 유닛(157))로 출력한다.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결제 제어 유닛(179)으로부터 선택된 상품에 대한 출력(토출)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에 따라 선택된 상품을 토출구(130)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용자는 상품금액을 선 지정하고 이후 상품금액과 동일한 상품을 선택하여 무인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두 금액이 다른 경우, 무인 단말기(100)는 취소 요청을 구성하여 운영사 서버(200)로 전송(⑭ 참조)한다.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취소 요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운영사 서버(200)로 전송 가능하다. 취소 요청은 연결된 세션을 통해 이루어지고 취소 요청은 단말기 식별자, 이용자 정보 및/또는 승인결과 식별정보의 승인 번호를 포함하거나 이를 운영사 서버(200)로 하여금 추출하거나 인식 가능하도록 한다. 취소 요청은 수신된 승인결과 정보에 대해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승인결과 정보를 생성한 결제 승인(결제 서버(300)에서의 승인)에 대한 취소 요청을 나타낸다.
취소 요청의 수신에 따라, 운영사 서버(200)는 취소 요청을 구성하여 결제 서버(300)로 전송(⑭ 참조)한다. 운영사 서버(200)는 무인 단말기(100)로부터 취소 요청의 수신에 따라 결제 서버(300)로부터 수신된(⑧ 참조) 승인 번호를 적어도 포함하고 나아가 이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는 취소 요청을 구성한다. 승인 번호 및/또는 이용자 정보는 무인 단말기(100)의 취소 요청에서 추출되거나 승인결과 정보의 결제 서버(300)로부터 수신시에 무인 단말기(100)의 세션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세션 정보)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취소 요청의 수신에 따라, 결제 서버(300)는 취소 요청의 승인 번호에 대응하는 승인을 취소하고 취소 결과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미지코드를 인식한 휴대형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흐름은 통해, 상품 선택을 위한 승인 처리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무인 단말기(100)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승인 처리된 금액과 다른 금액의 상품을 선택한 경우 동적으로 그 승인을 취소 가능하다.
도 8은 쿠폰거래 개시 입력에 따라 쿠폰에 대응하는 상품의 선택과 결제 처리가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 도 1 내지 도 4 등을 통해 그 주요한 내용을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기기 사이의 데이터 흐름 위주로 살펴보도록 한다. 특히, 도 8의 제어 흐름은 도 4 등과 대부분 유사하므로 도 4 등과 차이가 나는 내용을 위주로 살펴보도록 하고 생략되는 부분은 도 4 등의 대응하는 내용을 통해 당업자가 자명하게 그 구성, 기능, 작용을 이해할 수 있다.
도 8의 쿠폰거래의 제어 흐름은 무인 단말기(100)에서 쿠폰에 대응하는 상품을 제공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 가능하다.
먼저,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는 쿠폰거래 개시 입력을 이용자로부터 수신(① 참조)한다.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제공 가능한 쿠폰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추가로 일반거래 개시 입력, 상품선택 우선거래 개시 입력, 상품금액 선지정 거래 개시 입력 또는 단일상품거래 개시 입력을 다른 시각에 별도로 수신하여 해당 거래의 처리 흐름(도 4 내지 도 7 참조)에 따라 상품 처리할 수 있다. 쿠폰거래는 무인 단말기(100)가 쿠폰 인식에 따라 대응하는 상품을 제공하는 경우의 거래를 나타낸다.
쿠폰거래 개시 입력의 수신에 따라,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는 운영사 서버(200)와 세션을 연결(② 참조)한다.
운영사 서버(200)는 세션 연결 요청에 따라 신규의 세션을 구성하고 현재 활성화되어 연결되어 있는 세션 리스트에 연결 요청한 무인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세션 정보를 추가하고 세션 연결 응답을 무인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세션 정보는 적어도 무인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자(나아가 세션 ID)를 포함하고 나아가 거래 타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래 타입은 쿠폰거래 타입으로 설정된다.
무인 단말기(100)(결제 제어모듈(170) 또는 케이스)는 이미지코드를 표시(③ 참조)한다. 이미지코드는 단말기 식별자를 적어도 포함한다.
쿠폰거래 개시 입력을 누른 이용자는 표시된 이미지코드를 휴대형 단말(400)의 카메라를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앱)을 사용하여 인식(④ 참조)한다.
이미지코드의 인식 이전에, 휴대형 단말(400)은 쿠폰앱을 통해 사용할 쿠폰을 특정하고 이미지코드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9는 휴대형 단말에서 표시되는 특정 쿠폰에 이미지코드를 인식하고 단말기 식별자를 결합시키는 예를 도시한 도면인데,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휴대형 단말(400)(의 쿠폰앱)은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쿠폰 정보를 표시(도 9의 (a) 참조)한다.
휴대형 단말(400)(의 쿠폰앱)은 구비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하나의 쿠폰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쿠폰 정보와 함께 이미지코드 인식 프레임을 표시(도 9의 (b) 참조)한다.
휴대형 단말(400)(의 쿠폰앱)은 사각형(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이미지코드 인식 프레임에서 이미지코드를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인식(④ 참조)하고 인식된 이미지코드의 단말기 식별자와 선택된 쿠폰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구성하여 쿠폰 서버(500)로 전송(⑤ 참조)한다.
쿠폰앱은 선택된 쿠폰 정보에서 쿠폰식별 정보를 구성할 수 있고 쿠폰식별 정보는 쿠폰 타입, 쿠폰 식별자(예를 들어, 쿠폰 번호 등)를 포함하고 나아가 지정 한도금액, 잔존 금액 또는 상품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정 한도금액, 잔존 금액 또는 상품 식별자 등은 쿠폰 서버(500)에서 쿠폰 식별자에 의한 검색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쿠폰 타입은 예를 들어, 한도금액이 지정된 1회권, 총액이 지정된 정액권, 특정 상품이 지정된 상품지정권 등일 수 있다. 1회권은 1회의 사용으로 소멸되고, 정액권은 총액 내에서 계속 사용할 수 있고 상품지정권은 특정 지정된 상품만 선택할 수 있다.
쿠폰 서버(500)는 쿠폰식별 정보의 쿠폰 식별자를 이용하여 쿠폰을 인증하고 쿠폰 타입에 따라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⑥ 참조)한다.
쿠폰이 인증된 경우에, 쿠폰 서버(500)는 쿠폰 타입이 한도 지정된 1회권이 경우 한도금액을 거래한도 금액으로 구성하고 거래한도 금액을 포함하는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구성한다.
쿠폰 서버(500)는 쿠폰 타입이 정액권인 경우 총액 또는 잔존금액이 운영사 서버(200)와 약정된 최대 금액 이상인 경우 모든상품 선택가능 표시자를 포함하는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구성하고 총액 또는 잔존금액이 약정된 최대 금액 미만인 경우 총액 또는 잔존금액을 거래한도 금액으로 구성하여 이를 포함하는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구성한다.
쿠폰 서버(500)는 쿠폰 타입이 상품지정권인 경우 상품 식별자를 포함하는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구성한다.
쿠폰 서버(500)는 선택가능상품 정보와 휴대형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사 서버(200)로 전송(⑦ 참조)한다. 또한, 쿠폰 서버(500)는 쿠폰 인증에 따른 승인결과 메시지를 구성하여 휴대형 단말(400)로 전송(⑧ 참조)할 수 있다. 쿠폰 서버(500)는 상품지정권 또는 1회 지정권 등의 쿠폰에 대한 승인결과 정보를 전송한 경우 해당 상품지정권이나 1회 지정권 쿠폰을 이후 무효화시킬 수 있고 정액권 등은 운영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상품 선택 결과에 따라 차감할 수 있다.
운영사 서버(200)는 쿠폰 서버(300)로부터 승인결과 정보를 수신(⑦ 참조)하고 승인결과 정보의 단말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세션 연결된 여러 무인 단말기(100) 중 수신된 승인결과 정보를 처리할 무인 단말기(100)를 결정(⑨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운영사 서버(200)는 승인결과 정보에서 단말기 식별자를 추출하고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세션 리스트에서 추출된 단말기 식별자와 동일한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세션 정보를 검색하여 승인결과 정보를 처리할 무인 단말기(100)를 결정할 수 있다.
쿠폰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승인결과 정보를 처리할 무인 단말기(100)가 결정됨에 따라, 운영사 서버(200)는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하여 결정된 무인 단말기(100)로 연결된 세션을 통해 전송(⑩ 참조)한다.
운영사 서버(200)가 전송하는 승인결과 정보는 해당 무인 단말기(100)의 선택가능상품 정보(상품 식별자, 한도금액, 모든상품 선택가능 표시자 등)를 포함하고 단말기 식별자는 생략될 수 있다.
휴대형 단말(400)에 의한 승인 요청의 처리에 따라 생성되는 승인결과 정보를 수신한 무인 단말기(100)는 선택되는 상품을 처리(⑪ 내지 ⑬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승인결과 정보를 수신한 무인 단말기(100)는 복수의 상품 중에서 선택가능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입력 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⑩ 참조)한다. 운영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승인결과 정보는 무인 단말기(100)에 표시된 이미지코드의 인식에 따라 생성된다.
결제 제어모듈(170)(의 결제 제어 유닛(179))은 선택가능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의 발광소자를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선택 제어 데이터, 거래한도 금액내의 상품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의 발광소자를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선택 제어 데이터 또는 모든상품 선택가능 표시자에 따른 모든 상품에 대응하는 모든 입력 버튼의 발광소자를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선택 제어 데이터를 상품처리 제어모듈(150)로 전송한다.
상품처리 제어모듈(150)(의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선택 제어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선택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의 발광소자(120)를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발광소자 인터페이스(153)로 출력한다.
선택 가능한 범위의 상품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이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됨에 따라, 이용자는 선택을 희망하는 상품의 입력 버튼을 누를 수 있고, 무인 단말기(100)는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⑫ 참조)한다.
이후 무인 단말기(100)는 선택된 상품을 처리(⑬ 참조)한다.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결제 제어 유닛(179)으로부터 선택된 상품에 대한 출력(토출)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선택된 상품을 토출구(130)로 배출할 수 있다. 또는, 상품처리 제어 유닛(157)은 상품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선택 입력 데이터를 결제 제어 유닛(179)으로 전송한 후 제어 데이터의 수신 없이 직접 선택된 상품을 토출구(130)로 배출할 수 있다.
이후, 무인 단말기(100)는 쿠폰 승인에 따라 배출된 선택상품 정보(상품금액 등)를 운영사 서버(200)로 전송하고 운영사 서버(200)는 쿠폰 서버(500)와 연동하여 쿠폰의 잔존금액이나 총액을 차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흐름을 통해, 이미지코드를 활용하여 무인 단말기(100)를 특정하고 특정된 무인 단말기(100)에서 선택된 쿠폰을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의 도 4 내지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단말기(100)는 휴대형 단말(400)과 이미지코드를 활용하여 동적으로 무인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상품을 운영자나 점원 없이 선택하고 대금 처리가 가능토록 한다. 무인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의 거래 유형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거래 유형에 특화된 처리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무인 단말기
110 : 입력 버튼
120 : 발광소자
130 : 토출구
150 : 상품처리 제어모듈
151 : 입력-버튼 인터페이스 153 : 발광소자 인터페이스
155 : 선택상품 출력제어 인터페이스 157 : 상품처리 제어 유닛
170 : 결제 제어모듈
171 : 카드인식기 172 : 현금인식기
173 : 입력 인터페이스 175 : 디스플레이
177 :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179 : 결제 제어 유닛
200 : 운영사 서버
300 : 결제 서버
400 : 휴대형 단말
500 : 쿠폰 서버

Claims (15)

  1. 자판기가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거래 개시 입력의 수신에 따라 자판기가 운영사 서버와 세션을 연결하고 자판기에 저장된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이미지코드를 표시하는 단계로서, 자판기가 저장된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이미지코드의 표시와 함께 운영사 서버로 세션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활성화된 세션 리스트에 연결 요청한 자판기에 대응하고 자판기의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규의 세션 정보를 추가하는 운영사 서버로부터 세션 연결 응답을 수신하는, 세션을 연결하고 이미지코드를 표시하는 단계;
    자판기가 운영사 서버와 연결된 세션을 통해 자판기의 복수의 상품 중 선택 가능한 상품들을 특정할 수 있는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요청 정보를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자판기가 수신된 상기 선택가능상품 정보의 선택 가능한 상품들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들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로서, 자판기의 결제 제어모듈이 복수의 발광소자 중 선택 가능한 상품들에 대응하는 발광소자들의 제어를 통해 상기 입력 버튼들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선택 제어 데이터를 자판기의 상품처리 제어모듈로 전송하는, 표시하는 단계;
    자판기가 상기 선택 가능한 상품들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들을 통한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자판기의 상품처리 제어모듈이 상기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된 입력 버튼의 눌림에 따른 입력 상태 신호를 결제 제어모듈로 출력하는, 수신하는 단계;
    자판기가 상품 선택 입력에 따라 선택된 상품의 금액을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운영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자판기가 상기 승인 요청의 상품의 금액에 대한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승인 결과에 따라 선택된 상품을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요청 정보의 전송에 이용되는 세션은 상기 이미지코드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자를 통해 결정되는,
    무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코드는 QR코드이고,
    상기 거래 개시 입력은 일반거래 개시 입력인,
    무인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설정되는 제2 시간동안 상기 선택 가능한 상품들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들을 통한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세션 리스트의 세션은 지정된 제1 시간동안 상기 활성화된 세션 리스트에서 유지되고 제1 시간의 경과후 상기 활성화된 세션 리스트에서 제거되며,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짧고,
    상기 선택가능상품 정보는 표시된 이미지코드를 인식한 휴대형 단말 이용자의 계좌잔액, 신용한도, 적립금액 또는 충전금액과 상기 자판기의 약정된 최대 금액의 비교에 따른 거래한도 금액 또는 모든상품 선택가능 표시자를 포함하는,
    무인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요청 정보를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운영사 서버가 표시된 이미지코드를 인식한 휴대형 단말 이용자의 계좌잔액, 신용한도, 적립금액 또는 충전금액과 상기 이미지코드를 표시한 상기 자판기의 약정된 최대 금액의 비교에 따른 거래한도 금액 또는 모든상품 선택가능 표시자를 포함하는 선택가능상품 정보 및 표시된 이미지코드에서 인식된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거래요청 정보를 결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운영사 서버가 결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거래요청 정보에서 단말기 식별자를 추출하고 활성화된 세션 리스트에서 추출된 단말기 식별자와 동일한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세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세션 정보의 세션을 통해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요청 정보를 상기 자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처리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상품을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자판기가 쿠폰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쿠폰거래 개시 입력의 수신에 따라 상기 자판기가 운영사 서버와 세션을 연결하고 자판기에 저장된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이미지코드를 표시하는 단계로서, 자판기가 저장된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이미지코드의 표시와 함께 운영사 서버로 세션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활성화된 세션 리스트에 연결 요청한 자판기에 대응하고 자판기의 단말기 식별자와 쿠폰거래 타입으로 설정되는 거래 타입을 포함하는 신규의 세션 정보를 추가하는 운영사 서버로부터 세션 연결 응답을 수신하는, 세션을 연결하고 이미지코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자판기가 운영사 서버로부터 인식된 쿠폰에 따라 생성되는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결과 정보의 수신에 따라 선택가능상품 정보에 대응하여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상품선택 입력 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자판기가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된 입력 버튼을 통해 상품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판기가 상기 상품선택 입력에 따른 선택 상품을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선택 입력 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휴대형 단말이 하나 이상의 쿠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휴대형 단말이 표시된 하나 이상의 쿠폰 정보 중 하나의 쿠폰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휴대형 단말이 선택 입력에 따라 대응하는 쿠폰 정보 및 이미지코드 인식 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 및
    휴대형 단말이 이미지코드 인식 프레임에서 인식한 이미지코드의 단말기 식별자와 쿠폰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쿠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승인결과 정보는 상기 승인 요청의 처리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인,
    무인 처리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자판기로서,
    복수의 입력 버튼 중 하나의 입력 버튼으로부터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버튼 인터페이스 및 각각의 입력 버튼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기 위해 각각의 입력 버튼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발광소자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소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상품을 처리하는 상품처리 제어모듈; 및
    이용자로부터 거래 개시 입력을 수신하고 거래 개시 입력의 수신에 따라 운영사 서버로 세션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활성화된 세션 리스트에 연결 요청한 자판기에 대응하고 자판기의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규의 세션 정보를 추가하는 운영사 서버로부터 세션 연결 응답의 수신에 따라 운영사 서버와 세션을 연결하고 연결된 세션을 통해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고 자판기의 토출구를 통해 제공 가능한 복수의 상품 중 선택 가능한 상품들을 특정할 수 있는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품을 처리하도록 상품처리 제어모듈을 제어하는 결제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제 제어모듈은,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 중 상기 선택가능상품 정보의 선택 가능한 상품들에 대응하는 발광소자들의 제어를 통해 선택 가능한 상품들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들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선택 제어 데이터를 상기 상품처리 제어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된 입력 버튼의 눌림에 따른 입력 상태 신호를 상기 상품처리 제어모듈로부터 수신하여 이용자로부터의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품 선택 입력에 따라 선택된 상품의 금액을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운영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승인 요청의 상품의 금액에 대한 운영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승인 결과에 따라 상기 상품처리 제어모듈을 제어하여 선택된 상품을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며,
    상기 거래요청 정보의 전송에 이용되는 세션은 상기 자판기에 표시된 이미지코드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자를 통해 결정되는,
    자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제어모듈은 설정되는 제2 시간동안 상기 선택 가능한 상품들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들을 통한 상품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세션 리스트의 세션은 지정된 제1 시간동안 상기 활성화된 세션 리스트에서 유지되고 제1 시간의 경과후 상기 활성화된 세션 리스트에서 제거되며,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짧고,
    상기 선택가능상품 정보는 표시된 이미지코드를 인식한 휴대형 단말 이용자의 계좌잔액, 신용한도, 적립금액 또는 충전금액과 상기 자판기의 약정된 최대 금액의 비교에 따른 거래한도 금액 또는 모든상품 선택가능 표시자를 포함하는,
    자판기.
  13. 삭제
  14. 제11항의 복수의 자판기; 및
    복수의 자판기에 세션 연결 가능한 운영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사 서버는 표시된 이미지코드를 인식한 휴대형 단말 이용자의 계좌잔액, 신용한도, 적립금액 또는 충전금액과 상기 이미지코드를 표시한 자판기의 약정된 최대 금액의 비교에 따른 거래한도 금액 또는 모든상품 선택가능 표시자를 포함하는 선택가능상품 정보 및 표시된 이미지코드에서 인식된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거래요청 정보를 결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결제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거래요청 정보에서 단말기 식별자를 추출하고 활성화된 세션 리스트에서 추출된 단말기 식별자와 동일한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세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세션 정보의 세션을 통해 선택가능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무인 처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사 서버에 연결되는 쿠폰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쿠폰 서버는, 휴대형 단말의 선택된 쿠폰의 쿠폰식별 정보와 쿠폰과 함께 표시되는 이미지코드 인식 프레임에서 인식된 이미지코드의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승인 요청을 휴대형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적어도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승인결과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운영사 서버로 전송하는,
    무인 처리 시스템.
KR1020190098602A 2019-04-26 2019-08-13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 KR102266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999 2019-04-26
KR20190048999 2019-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373A KR20200125373A (ko) 2020-11-04
KR102266023B1 true KR102266023B1 (ko) 2021-06-17

Family

ID=7357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602A KR102266023B1 (ko) 2019-04-26 2019-08-13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0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3957B1 (ko) * 1998-04-22 2000-12-15 이종인 판매 관리 시스템에서의 카드 결제방법
KR101919916B1 (ko) * 2017-08-24 2018-11-19 주식회사 페이오티 스마트 결제를 위한 사용자단말기, 무인판매기, 결제서버 및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기 결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094B1 (ko) 2012-05-23 2013-01-29 (주)해피닷컴 선불전자결제수단 활성화 처리 시스템
KR20140007707A (ko) * 2012-07-10 2014-01-20 이민우 Qr 코드 스캔을 이용한 스마트 간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669594B1 (ko) * 2014-10-01 2016-10-27 주식회사 다날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하여 페이먼트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서비스 단말기, 제1 서버 및 제2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각각의 제어방법
KR101837676B1 (ko) * 2017-07-31 2018-03-12 주식회사 인큐테크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자판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3957B1 (ko) * 1998-04-22 2000-12-15 이종인 판매 관리 시스템에서의 카드 결제방법
KR101919916B1 (ko) * 2017-08-24 2018-11-19 주식회사 페이오티 스마트 결제를 위한 사용자단말기, 무인판매기, 결제서버 및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기 결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373A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9124B2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obile commerce transactions using active posters and contactless identity modules
US20170221043A1 (en) Transaction facilit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CN105917372B (zh) 燃油分销环境中提供改进的用户体验的系统与方法
TWI610256B (zh) 在非接觸式銷售據點終端機的行動錢包偵測技術
CN105701656A (zh) 一种基于nfc功能的高尔夫球童车租用支付方法
JP2018512638A (ja) 異なる通貨を使用した金融取引のためのモバイルデバイス及び方法
CN103250170A (zh) 电子交易方法和系统
KR102266023B1 (ko) 이미지코드를 이용하여 대금 처리가 가능한 무인 처리 방법, 무인 처리 시스템 및 무인 단말기
KR20190033899A (ko) 멀티 카드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102136729B1 (ko) 전자쿠폰 시스템 및 전자쿠폰 처리 방법
KR20160017015A (ko) 결제프로그램을 이용한 무선 결제 방법
KR20120011347A (ko) 매장 그룹 별 주문 값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KR20170019761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552865B1 (ko) 결제 에이전트 구동 방법
TWM566367U (zh) Trading device and trading system
KR20120007916A (ko)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멤버쉽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US20170193518A1 (en) Electronic Card Appl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100617B1 (ko) 소비 연동 리워드 관리 시스템
TWI668648B (zh) 多卡合一的通用可重複加載卡片
JP2016118844A (ja) 情報提供方法、サーバ装置、サーバプログラム、店舗端末、及び店舗端末プログラム
KR20170079049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90002400A (ko)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이용한 무선 결제 방법
JP2002251653A (ja) キャッシュレス自動販売機システム
KR20200037766A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
KR20200146033A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