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608B1 -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of umbrella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of umbrell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608B1
KR102265608B1 KR1020180135822A KR20180135822A KR102265608B1 KR 102265608 B1 KR102265608 B1 KR 102265608B1 KR 1020180135822 A KR1020180135822 A KR 1020180135822A KR 20180135822 A KR20180135822 A KR 20180135822A KR 102265608 B1 KR102265608 B1 KR 102265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ainwater
brush
removal device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2828A (en
Inventor
김병학
Original Assignee
김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학 filed Critical 김병학
Publication of KR2020004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8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6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025/003Accessories not covered by groups A45B25/24 - A45B25/3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날개의 하단에 다수개의 브러쉬를 형성하고, 우산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브러쉬가 밀착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우산 상부면의 빗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plurality of brushes at the lower end of the radially symmetrically arranged wings, and rotating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brush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a short time It relates to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capable of removing rainwa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Description

우산 빗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of umbrella}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of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날개의 하단에 다수개의 브러쉬를 형성하고, 우산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브러쉬가 밀착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우산 상부면의 빗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plurality of brushes at the lower end of the radially symmetrically arranged wings, and rotating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brush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a short time It relates to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capable of removing rainwa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일반적으로 비오는 날에 사용되는 우산은 그 우산 천에 물기가 묻어 있게 되는 까닭에 실내에 들어설 경우에는 상기 우산 천에 묻어 있는 물기를 최대한 제거시킴으로써 물기로 인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In general, since the umbrella used on a rainy day has moisture on the umbrella fabric, when entering the room, the moisture on the umbrella fabric is removed as much as possible to prevent indoor contamination due to moisture.

종래에는 우산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출입구에서 우산을 흔들어 우산 천에 묻어 있는 물기를 털어 내거나, 출입문에 별도로 비치된 우산꽂이에 꽂아 놓거나 하였다.Conventionally, as a method for removing water from the umbrella, shaking the umbrella at the entrance to shake off the moisture on the umbrella cloth, or putting it in an umbrella stand provided separately at the door.

그러나 우산을 흔들어 우산 천에 묻어있는 물기를 털어 내는 방법으로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고 떨어진 물방울이 옆으로 튀어 사람이나 물품이 젖게 되거나 바닥에 떨어져 실내를 오염시키게 되었으며, 출입문에 별도로 비치된 우산꽂이에 꽂아 놓는 방법은 우산을 실내로 가지고 가지 않게 되어 실내의 오염이 없게 되는 반면에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되는 까닭에 분실되거나 바뀌게 되거나 그러한 심리적 불안감을 주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However,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the water by shaking the umbrella to shake off the moisture on the umbrella cloth, and the falling water droplets splashed sideways, making people or articles wet or falling on the floor to contaminate the interior. The method of putting an umbrella in an umbrella stand does not take the umbrella indoors, so there is no contamination of the interior, but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being lost or changed because it is used by several people, or giving such psychological anxiety.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근래에는 출입문에 비닐봉지만을 별도로 비치시키거나, 또는 비닐봉지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기기를 비치시켜 출입자가 상기 비닐봉지를 사용하여 비에 젖은 우산을 포장되게 함으로써 실내에 들어설 경우에도 우산에 물기가 실내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problem, in recent years, only a plastic bag is provided on the door or a device that automatically supplies a plastic bag is provided so that the visitor uses the plastic bag to wrap an umbrella wet in the rain, so that even when entering the room A technology to prevent moisture from falling on the umbrella indoors has been proposed.

그러나 비닐봉지에 우산의 우산천 부위를 삽입시킨 상태로 실내에 들어서게 되면, 우산에 묻어 있는 물기가 비닐봉지의 하단에 떨어져 고여 있게 되어 출렁거림을 일으키게 되고, 그 고여진 물기에 의해 우산의 중량을 가중시키게 되며, 우산을 뉘이거나 비닐봉지가 터질 경우에는 고여 있던 물이 바닥에 쏟아지게 되어 실내를 오염시키게 되며, 용무를 마친 후 실내에서 나올 경우에는 다시 비닐봉지를 벗겨 그 벗겨진 비닐봉지를 폐기시키는 번거로움이 뒤따르게 되며, 1회용 비닐봉지인 까닭에 많은 비닐봉지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you enter the room with the umbrella cloth part of the umbrella inserted in the plastic bag, the water on the umbrella falls to the bottom of the plastic bag and accumulates, causing a sloshing sound, and the weight of the umbrella is reduced by the stagnant water. When an umbrella is laid down or a plastic bag bursts, the stagnant water spills on the floor and contaminates the room. When you come out of the room after work, remove the plastic bag again and discard the peeled plastic bag. The inconvenience follows, and there were problems such as causing wastage of a lot of plastic bags because they are disposable plastic bags.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장치를 출입구에 별도로 비치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장치의 경우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소요되어 많은 사람이 이용하기에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are cases where a device for removing rainwater from the umbrella is separately provided at the entrance, but in the case of such a device, it takes too long to remove the rainwater from the umbrella, so the efficiency is low for many people to use. there was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은 기존의 빗물 제거 장치는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기 위해 극세사재질 또는 PVA(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알콜) 재질 등과 같은 흡수부재를 통해 우산의 빗물을 흡수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 지속적으로 빗물을 흡수하게 되면 흡수부재의 빗물 흡수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빗물의 제거 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흡수부재를 계속해서 교체해줘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existing rainwater removal device as described above uses a method of absorbing rainwater from the umbrella through an absorbent member such as a microfiber material or a PVA (polyvinyl alcohol) material to remove rainwater from the umbrella. In this case, if the rainwater is continuously absorbed, the rainwater absorption rate of the absorbent member is rapidly reduced, and the rainwater removal efficiency is lower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bsorbent member needs to be continuously replaced.

한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427737호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prior art related to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there is a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No. 20-042773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날개의 하단에 다수개의 브러쉬를 형성하고, 우산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브러쉬가 밀착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우산 상부면의 빗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forming a plurality of brushes at the lower end of the radially symmetrically arranged wings, and rotating the plurality of brushe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in a short ti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capable of removing rainwater.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대칭되게 배치된 날개가 형성된 회전체를 포함하는 제2회전축; 상기 날개의 하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브러쉬; 및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축 및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econd rotational shaft comprising a rotating body extending radially and symmetrically disposed wings are formed; a plurality of brushe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ing; and a second motor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second rotating shaft and the rotating body.

또한, 상기 회전체는, 우산의 꼭지가 삽입되는 장착부; 및 상기 우산의 꼭지가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2모터를 작동시키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tating body, the moun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op of the umbrella; and a detection sensor for operating the second motor by detecting that the spigot of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또한, 상기 브러쉬가 상기 날개의 회전 방향에 맞춰 빗물을 쓸고 나가는 면이 우산 상부면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날개의 하단에 대각 배치되며, 링크구조를 통해 상기 날개의 하단에 유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ush is diagonally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wing so that the surface that sweeps out rainwat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wing faces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and is mounted to enable flow at the lower end of the wing through a lin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사용자가 비를 맞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상부우산; 상기 상부우산과 연결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상부우산을 접거나 펼치는 승강플랜지와 나사 결합된 제1회전축; 및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n upper umbrella that protects the user from being hit by the rain; a first rotating shaft screwed with a lifting flange connected to the upper umbrella to fold or unfold the upper umbrella while ascending or descending; and a first motor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rotating shaft.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우산의 꼭지를 회전체 중앙의 장착부에 삽입하면 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자동으로 브러쉬를 회전시켜 우산 상부면의 빗물을 제거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우산을 수동으로 움직이거나 회전시킬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우산 상부면의 빗물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rainwat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by automatically rotating the brush by driving the motor by detecting it by the sensor when the faucet of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of the rotating body,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remove the umbrella You can quickly remove rainwater from the top of the umbrella automatically without having to move or rotate it.

즉, 집합건물(오피스, 빌딩 등)의 경우 출근시간에 수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시간대에 건물로 들어오기 때문에 빗물제거에 시간이 오래 걸리면 정체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1~2초의 짧은 시간에 빗물을 제거할 수 있어 현관에 진입하는 사람들의 정체를 막을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collective buildings (offices, buildings, etc.), congestion may occur if it takes a long time to remove rainwater because a large number of people enter the building at the same time during work hours. can be removed to prevent the stagnation of people entering the front door.

또한,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날개의 하단에 다수개의 브러쉬가 형성되어 있어 매우 짧은 시간에 우산 상부면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상으로 대칭되도록 4개의 날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날개의 하단에 2개의 브러쉬를 형성함으로써, 회전체를 1회전만 시켜도 4개의 날개 및 날개 하단의 브러쉬가 각각 1회전씩 회전하면서 우산 상부면의 빗물을 쓸어버리게 되어 매우 짧은 시간에 우산 상부면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brushes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adially symmetrically arranged wings, it is possible to remove rainwat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in a very short time. For example, four blades are formed so as to be radially symmetrical, and by forming two brushes at the lower end of each blade, even if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only once, the four blades and the brush at the lower end of the blade rotate by one rotation each. The rainwa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is wiped away, so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rainwat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in a very short time.

또한, 각각의 날개에 브러쉬가 2개씩 형성됨으로써 브러쉬가 우산 상부면의 모든 면적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여 우산 상부면의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wo brushes are formed on each wing, it is possible for the brush to cover all area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rainwat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또한, 브러쉬를 날개의 하단에 대각 방향으로 배치하여 빗물을 우산 상부면의 외측으로 떨어져 나가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러쉬가 날개의 하단에 일자로 배치되는 경우, 브러쉬에 쓸린 빗물의 일부가 우산 상부면의 외측으로 떨어져 나가지 못하고 브러쉬를 따라 우산의 상부면 내측에 머물게 되어 빗물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브러쉬를 날개의 회전 방향에 맞춰 브러쉬의 측면 중 빗물을 쓸고나가게 되는 면이 우산 상부면의 외측을 향하도록 대각 배치함으로써, 브러쉬에 쓸린 빗물이 바로 우산 상부면의 외측으로 떨어져 나가게 되어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rainwater by disposing the brush at the lower end of the wing in a diagonal direction to let the rainwater fall ou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Specifically, when the brush is arr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wing in a straight line, a part of the rainwater swept by the brush does not fall out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and stays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along the brush, so that the removal of rainwater cannot be effectively performed. There is a nu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osing the brush diagonally so that the side on which the rainwater is swept out of the side of the brush faces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wing, the rainwater swept by the brush falls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rainwater can be effectively removed.

또한, 브러쉬는 우산의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링크구조를 통해 날개의 하단에 장착됨과 동시에 브러쉬의 전체 또는 브러쉬의 하단 일부를 연질의 재질로 형성하여, 브러쉬가 우산 상부면의 굴곡에 따라 유연하게 유동함과 동시에 변형되면서 우산 상부면에 완전하게 밀착하게 되어 빗물의 제거효율이 증대된다.In addition, the brush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wing through a link structure so that it can flow flexib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mbrella, and at the same time, the entire brush or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brush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so that the brush is curv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As it flows flexibly and deforms at the same time, it completely adher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increasing the rainwater removal efficiency.

또한, 태풍 등의 영향으로 바람이 강하게 불 때 외측부가 내측부에 관절 결합 형태로 결합되어 외측으로 젖혀짐으로써 바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고, 바람이 약해지면 제1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외측부가 내측부에 고정된 형태로 결합될 경우에는 바람이 강하게 불면 상부우산에 강한 힘이 작용하여 파손될 수가 있는데, 상기와 같이 외측부가 내측부에 관절 형태로 결합되어 젖혀짐으로써 바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상부우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ind blows strongly under the influence of typhoons, the outer part is coupled to the inner part in a jointed form and is bent outward to alleviate the impact caused by the wind, and when the wind is weak,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it is possible to do At this time, when the outer part is coupled to the inner part in a fixed form, when the wind blows strongly, a strong force acts on the upper umbrella and may be damaged. It can be relieved to prevent the upper umbrella from being damaged.

또한, 각각의 날개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우산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umbrellas of various sizes by forming the length of each wing differently.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상부 우산 및 날개를 모두 접는 것이 가능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stored in a state in which the volume is minimized since it is possible to fold both the upper umbrella and the wing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서 상부우산 및 날개가 펼쳐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서 상부우산 및 날개가 접혀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서 제1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서 회전체의 장착부에 우산이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서 회전체 및 날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서 회전체 및 날개의 저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서 고정축,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우산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umbrella and wings are unfolded in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umbrella and the wings are folded i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i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i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blades i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ottom view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blades i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the fixed shaft,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i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mbrella is mounted o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mit switch is installed i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lready known technical parts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the sake of brevity of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서 상부우산 및 날개가 펼쳐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서 상부우산 및 날개가 접혀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서 제1결합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서 회전체의 장착부에 우산이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서 회전체 및 날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서 회전체 및 날개의 저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서 고정축,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우산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upper umbrella and the wings are unfolded i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the upper umbrella and the wings are folded i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upling part i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mounting part of the rotating body i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mbrella inserted, FIG. 5 is a plan view of a rotating body and wings in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view of the rotor and the blades, and 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fixed shaft, the first rotational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i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mbrella is mounted on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 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는 바닥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80)에 수직봉을 세우고 적절한 구조물에 지지대(15)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벽면이나 천정에 별도의 결합수단을 형성한 후, 지지대(15)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by connecting the support 15 to an appropriate structure by erecting a vertical bar on the base member 80 that is movably installed on the floor, After forming a separate coupling means on the wall or ceiling, the support 15 may be connected and installed.

이러한 지지대(15)의 상부에는 상부우산(50)을 접거나 펼치는 역할을 하는 제1모터(10)와 회전체(4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2모터(11)가 형성된다.A first motor 10 serving to fold or unfold the upper umbrella 50 and a second motor 11 serving to rotate the rotating body 40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15 .

제1모터(10)의 하단에는 제1회전부(12)가 형성되며, 제1회전부(12)는 제2모터(11)의 하단에 형성된 제2회전부(13)와 타이밍벨트(14)를 통해 연결되어 제1모터(10)가 작동하여 제1회전부(12)가 회전을 시작하면 타이밍벨트(14)를 통해 연결된 제2회전부(13)도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된다.A first rotating unit 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motor 10 , and the first rotating unit 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motor 11 through the second rotating unit 13 and the timing belt 14 . When the first motor 10 is connected and the first rotating unit 12 starts to rotate, the second rotating unit 13 connected through the timing belt 14 also rotates at the same time.

이러한 제2회전부(13)의 하단에는 제1회전축(20)이 결합되며, 제1회전축(20)의 외경에는 승강플랜지(21)가 나사 결합되어 있어 제1회전축(20)의 회전에 의해 승강플랜지(21)가 상승 또는 하강을 하게 된다.The first rotation shaft 2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otation part 13 , and the lifting flange 21 is screw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0 , so that the first rotation shaft 20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0 . The flange 21 is raised or lowered.

또한, 승강플랜지(21)는 연결수단(22)을 통해 제1결합부(30) 및 상부우산(50)과 결합되며, 이때 승강플랜지(21)가 상승하면 연결수단(22)도 동시에 상승하면서 상부우산(50)은 하강하여 접히게 되고, 승강플랜지(21)가 하강하면 연결수단(22)도 동시에 하강하면서 상부우산(50)은 상승하여 펼쳐지게 되도록 관절 형태로 결합되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결수단(22)은 상하 승강 시 길이변동이 가능하도록 접히고 펼쳐지는 것이 가능한 다단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3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홈(32)에 상부우산(50)이 걸쳐져 있어 제1회전축(20)이 회전할 때 승강플랜지(21)가 같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30)는 지지대(15)에 연결부(25)를 통해 직접 연결되어 고정되며, 이 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ifting flange 21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30 and the upper umbrella 50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22, and at this time, when the lifting flange 21 rises, the connecting means 22 also rises at the same time. The upper umbrella 50 is lowered and folded, and when the elevating flange 21 descends, the connecting means 22 also descends at the same time while the upper umbrella 50 rises and unfolds in an articulated form, which is not shown in the figure. However, the connecting means 22 is formed in a multi-stage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so that the length can be changed when ascending and descending.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grooves 32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30 , and the upper umbrella 50 is spread over the plurality of grooves 32 , so that the first When the rotating shaft 20 rotat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fting flange 21 from rotating together. 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3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pport 15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25 and is fixed, and in addition to this, it is possible to be fixed through various known means.

상기 상부우산(50)은 사용자가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를 사용하고 있을 때 비를 맞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현관 앞에 바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우산에서 빗물을 제거하고 곧바로 건물에 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upper umbrella 50 serves to protect the user from being hit by rain when the user is using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100, and is installed right in front of the entrance so that the user removes rainwater from the umbrella and immediately enters the building. it is possible

이러한 상부우산(50)은 내측부(51) 및 외측부(52)로 구분되고, 내측부(51)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제1결합부(30)를 통해 승강플랜지(21)와 관절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외측부(52)는 내측부(51)와 관절 형태로 결합되어 외측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내측부(51) 및 외측부(52)의 결합 부위에는 제1스프링(53)이 형성된다.The upper umbrella 50 is divided into an inner portion 51 and an outer portion 52, and the inner portion 51 is coupled in a joint form with the lifting flange 21 thr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30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portion 52 is formed to be bent outwardly coupled to the inner portion 51 in a joint form, and a first spring 53 is formed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inner portion 51 and the outer portion 52 .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풍 등의 영향으로 바람이 강하게 불 때 외측부(52)가 내측부(51)에 관절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외측으로 젖혀져 바람에 의한 저항을 완화시키고, 바람이 약해지면 제1스프링(53)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 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외측부(52)가 내측부(51)에 고정된 형태로 결합될 경우에는 바람이 강하게 불면 상부우산(50)에 강한 힘이 작용하여 파손될 수가 있는데 상기와 같이 외측부(52)가 젖혀짐으로써 바람에 의한 저항을 완화시켜 상부우산(5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 when the wind blows strongly under the influence of typhoons, etc., the outer part 52 is coupled to the inner part 51 in the form of a joint, so that it is bent outward to alleviate the resistance caused by the wind, and the wind is weak. When released,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53). At this time, when the outer part 52 is coupled to the inner part 51 in a fixed form, if the wind blows strongly, a strong force acts on the upper umbrella 50 and may be damaged. By alleviating the resistance by the upper umbrella 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20)의 내주면에는 제2회전축(24)이 인입되어 있으며, 제2회전축(24)은 제2모터(11)의 작동에 의해 제1회전축(20)과는 별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 a second rotation shaft 24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0 ,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24 is a first rotation shaft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tor 11 . It is rotated separately from (20).

이러한 제2회전축(24)의 끝단에는 회전체(40)가 형성되며, 회전체(40)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대칭되게 배치된 날개(60)가 형성되고, 날개(60)는 제1결합부(30)의 하단에 형성된 제2결합부(40)와 제2스프링(63)을 통해 연결되어, 제2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날개(60)의 일측에 별도로 고리 등의 고정수단(미도시)을 설치하여, 날개(60)를 접은 후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날개(60)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우산(70)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4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24 , and the rotating body 40 has radially extended and symmetrically arranged wings 60 are formed, and the wing 60 is a first coupling part. It is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art 40 and the second spring 63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30, and maintains the unfolded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spring 63.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ings 60 ) by separately installing a fix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ring on one side, it is possible to fix the wing 60 after folding. In addition, the length of each wing 60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umbrellas 70 of various sizes.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날개(60) 중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2개의 날개(60)의 길이는 서로 같게 하되, 서로 직교하는 날개(60) 끼리는 길이가 다르도록 형성함으로써 크기가 작거나 큰 우산에 두루 적용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회전체(40)에 4개의 날개(6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날개(60) 각각의 길이를 모두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4 to 6 , the lengths of each of the two wings 60 facing each other among the four wings 60 are the same, but the lengths of the wings 60 orthogonal to each other are different. It can be applied to small or large umbrellas by forming a Although the figure shows that the four blades 60 are formed on the rotating body 4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ll the different lengths of the blades 60, respectively.

상기 날개(60)의 하단에는 각각 2개의 브러쉬(62)가 형성되어 우산(70) 상부면의 전면적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브러쉬(62)가 날개(60)의 하단에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빗물을 우산(70) 상부면의 외측으로 떨어져 나가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Two brushes 62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ing 60 to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 and the brush 62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wing 60 in a diago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rainwater by letting the rainwater fall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구체적으로, 브러쉬(62)가 날개(60)의 하단에 일자로 배치되는 경우, 브러쉬(62)에 쓸린 빗물의 일부가 우산(70) 상부면의 외측으로 떨어져 나가지 못하고 브러쉬(62)를 따라 우산(70)의 상부면 내측에 머물게 되어 빗물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60)의 회전 방향에 맞춰 브러쉬(62)의 측면 중 빗물을 쓸고나가게 되는 면이 우산 상부면의 외측을 향하도록 대각 배치함으로써, 브러쉬(62)에 쓸린 빗물이 바로 우산(70) 상부면의 외측으로 떨어져 나가게 되어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brush 62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wing 60 in a straight line, a part of the rainwater swept by the brush 62 does not fall ou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and follows the umbrella along the brush 62 . As it stays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70, the removal of rainwater may not be effectively per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rainwater is swept out of the sides of the brush 62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wing 60. By disposing diagonally so that the outgoing surface faces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rainwater swept away by the brush 62 immediately falls ou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rainwater.

이러한 브러쉬(62)는 우산(70)의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링크구조(61)를 통해 날개(60)의 하단에 장착됨과 동시에 브러쉬(62)의 전체 또는 브러쉬(62)의 하단 일부를 연질의 재질로 형성하여, 브러쉬(62)가 우산(70) 상부면의 굴곡에 따라 유연하게 유동함과 동시에 변형되면서 우산(70) 상부면에 완전하게 밀착하게 되어 빗물의 제거효율이 증대된다.This brush 62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wing 60 through the link structure 61 so as to be able to flow flexib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mbrella 70 , and at the same time the entire brush 62 or the brush 62 . By forming the lower part of a soft material, the brush 62 flows flexibly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and is deformed at the same time to completely adher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thereby increasing the rainwater removal efficiency. is increased

또한, 회전체(40)의 중앙에는 우산꼭지(71)가 삽입되는 장착부(41) 및 감지센서(42)가 형성되어 있어, 장착부(41)에 우산꼭지(71)가 삽입되면 감지센서(42)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보내 자동으로 제2모터(11)를 작동시켜 제2회전축(24) 및 이에 결합된 회전체(40)를 회전시키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enter of the rotating body 40, the mounting part 41 and the detection sensor 42 into which the umbrella spigot 71 is inserted are formed, and when the umbrella spigot 71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41, the detection sensor 42 ) detects this and sends a signal to a control unit (not shown)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second motor 11 to rotate the second rotating shaft 24 and the rotating body 40 coupled thereto.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20)은 지지대(15)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축(23)에 의해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 the first rotating shaft 20 is fixed by the fixed shaft 23 fix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15 .

구체적으로, 고정축(23)은 지지대(15)에 고정나사(26)를 통해 고정된 상태로 지지대(15)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이러한 고정축(23)의 하단 돌출부가 제1회전축(20)의 상단 내측에 걸림으로써 제1회전축(20)이 고정되고, 제1회전축(20) 및 고정축(23)의 내경으로 제2모터(11)의 회전축인 제2회전축(24)이 인입된다.Specifically, the fixing shaft 23 is formed to penetrate the support 15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support 15 through a fixing screw 26 , and the lower protrusion of the fixing shaft 23 is the first rotation shaft 20 . ), the first rotating shaft 20 is fixed by being caught inside the upper end,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24, which is the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motor 11,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rotating shaft 20 and the fixed shaft 23 .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the operation of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부우산(50) 및 날개(60)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어 있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80)에 수직봉을 세우고 적절한 구조물에 지지대(15)를 연결하여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한 후, 상부우산(50)을 펼치기 위해 제1모터(10)를 구동시키면, 제1회전부(12) 및 제1회전부(12)와 타이밍벨트(14)로 연결된 제2회전부(13)가 회전하면서, 제2회전부(13)와 결합된 제1회전축(20)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20)과 나사결합 되어 있는 승강플랜지(21)가 하강하면서 연결수단(22)도 동시에 하강을 하게 되고, 연결수단(22)과 관절형태로 결합된 상부우산(50)이 상승하여 펼쳐지게 된다.As shown in FIG. 10 for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100 in which the upper umbrella 50 and the wings 60 are stored in a folded state, a vertical bar is erected on the base member 80 that is movably installed on the floor and After connecting the support 15 to an appropriate structure and installing it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when the first motor 10 is driven to spread the upper umbrella 50, the first rotating part 12 and the first rotating part 12 and As the second rotation part 13 connected to the timing belt 14 rotates, the first rotation shaft 20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part 13 rotates.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 as the lifting flange 21 screwed with the first rotation shaft 20 descends, the connecting means 22 also descends at the same time, and in the form of a joint with the connecting means 22 . The combined upper umbrella 50 rises and unfolds.

다음으로, 접혀져 있는 날개(60)를 고정시키기 위해 날개(60)에 걸려있는 고정수단(미도시)의 걸림을 수동으로 해제하면 제2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날개(60)가 자동으로 펼쳐지게 된다.Next, when the locking means (not shown) hung on the wing 60 is manually released to fix the folded wing 60 , the wing 60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spring 63 . will unfold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우산꼭지(71)를 장착부(41)에 삽입하면 감지센서(42)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보내 제2모터(11)를 구동시켜 미리 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체(40)를 회전시킨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9 , when the user inserts the umbrella head 71 into the mounting unit 41 , the detection sensor 42 detects it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to drive the second motor 11 . to rotate the rotating body 40 by a preset number of rotations.

회전체(40)의 회전에 의해 날개(60) 및 브러쉬(62)가 회전을 하면서 우산(70)의 상부면에서 빗물을 제거하게 되며, 날개(60)의 회전수는 0.5~2초당 1회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40, the blades 60 and the brush 62 rotate to remove rainwat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blades 60 is 0.5 to 1 rotation per 2 seconds. It is preferable to do

이때, 브러쉬(62)가 우산(70)의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링크구조(61)를 통해 날개(60)의 하단에 장착됨과 동시에 브러쉬(62)의 전체 또는 브러쉬(62)의 하단 일부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브러쉬(62)가 우산(70) 상부면의 굴곡에 따라 유연하게 유동함과 동시에 변형되면서 우산(70) 상부면에 완전하게 밀착되어 빗물의 제거효율이 증대되며, 각각의 날개(60)에 브러쉬(62)가 2개씩 형성됨으로써 브러쉬(62)가 우산(70) 상부면의 모든 면적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여 우산(70) 상부면의 빗물을 빠짐없이 제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ush 62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wing 60 through the link structure 61 so that it can flow flexib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mbrella 70, and at the same time the entire brush 62 or the brush 62.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so that the brush 62 flows flexibly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and is deformed at the same time as it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to increase the rainwater removal efficiency increases, and since two brushes 62 are formed on each wing 60, the brush 62 can cover all area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without omission of rainwa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can be removed

또한, 브러쉬(62)가 날개(60)의 하단에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빗물을 우산(70) 상부면의 외측으로 떨어져 나가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ush 62 is disposed in a diagon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wing 60 to allow rainwater to fall ou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rainwater.

구체적으로, 브러쉬(62)가 날개(60)의 하단에 일자로 배치되는 경우, 브러쉬(62)에 쓸린 빗물의 일부가 우산(70) 상부면의 외측으로 떨어져 나가지 못하고 브러쉬(62)를 따라 우산(70)의 상부면 내측에 머물게 되어 빗물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60)의 회전 방향에 맞춰 브러쉬(62)의 측면 중 빗물을 쓸고나가게 되는 면이 우산(70) 상부면의 외측을 향하도록 대각 배치함으로써, 브러쉬(62)에 쓸린 빗물이 바로 우산(70) 상부면의 외측으로 떨어져 나가게 되어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brush 62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wing 60 in a straight line, a part of the rainwater swept by the brush 62 does not fall ou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and follows the umbrella along the brush 62 . As it stays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70, the removal of rainwater may not be effectively per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rainwater is swept out of the sides of the brush 62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wing 60. By disposing diagonally so that the outgoing surface faces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rainwater swept by the brush 62 is immediately dropped ou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rainwater.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를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하여 사용 중에 태풍 등의 영향으로 바람이 강하게 불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부(52)가 내측부(51)에 관절 형태로 결합되어 외측으로 젖혀짐으로써 바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고, 바람이 약해지면 제1스프링(53)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외측부(52)가 내측부(51)에 고정된 형태로 결합될 경우에는 바람이 강하게 불면 상부우산(50)에 강한 힘이 작용하여 파손될 수가 있는데 상기와 같이 외측부(52)가 내측부(51)에 관절 형태로 결합되어 젖혀짐으로써 바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상부우산(5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building and the wind blows strongly due to the influence of a typhoon during use, the outer part 52 is attached to the inner part 51 as shown in FIG. It is combined in the form of a joint to alleviate the impact caused by the wind by bending it outward, and when the wind is weak,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53 . At this time, when the outer part 52 is coupled to the inner part 51 in a fixed form, a strong force may be applied to the upper umbrella 50 to damage the upper umbrella 50 when the wind blows strongly.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part 52 is the inner part 51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umbrella 50 from being damaged by alleviating the shock caused by the wind by being coupled to the joint in the form of a joint and bending it.

우산 빗물 제거장치(100)의 사용이 끝나고 보관할 때에는 먼저 각각의 날개(60)를 수동으로 접어 고정수단(미도시)을 통해 고정한 후, 제1모터(10)를 구동시키되, 제1회전축(20)이 상부우산(50)을 펼칠 때와 반대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플랜지(21)가 상승하면서 연결수단(22)도 동시에 상승하게 되고, 연결수단(22)과 관절형태로 결합된 상부우산(50)은 반대로 하강하면서 접혀지게 된다.Whe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100 is used and stored, first, each wing 60 is manually folded and fixed through a fixing means (not shown), and then the first motor 10 is driven, the first rotation shaft 20 ) is driven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hen the upper umbrella 50 is unfolded, as shown in FIG. 1 , the elevating flange 21 rises while the connecting means 22 rises at the same time, and the connecting means 22 and the joint The upper umbrella 50 coupled in the form is folded while descending on the contrary.

이에 따라, 상부우산(50) 및 날개(60)를 모두 접어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다.Accordingly, both the upper umbrella 50 and the wings 60 can be folded and stored in a state in which the volume is minimized.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limit switch is installed i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제2결합부(31)의 하단에 리미트 스위치(33)가 형성된다.11, i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mit switch 33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part 31 .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우산(70)을 브러쉬(62)에 밀착시키면, 브러쉬(62)와 링크구조(61)를 통해 결합된 날개(60)가 상단 방향으로 살짝 들려지면서 리미트 스위치(33)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가 제2모터(11)를 구동시켜 미리 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체(40)를 회전시켜 우산(70) 상부면의 빗물을 제거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puts the umbrella 70 in close contact with the brush 62, the wing 60 coupled through the brush 62 and the link structure 61 is slightly lifted in the upper direction to press the limit switch 33. Accordingly, the controller (not shown) drives the second motor 11 to rotate the rotating body 40 by a preset number of rotations to remove rainwa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70 .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우산의 꼭지를 회전체 중앙의 장착부에 삽입하면 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자동으로 브러쉬를 회전시켜 우산 상부면의 빗물을 제거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우산을 수동으로 움직이거나 회전시킬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우산 상부면의 빗물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is by the sensor and drives the motor when the faucet of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of the rotating body to automatically rotate the brush to remove rainwat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remove rainwat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automatically without the need for the user to manually move or rotate the umbrella.

또한,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날개의 하단에 다수개의 브러쉬가 형성되어 있어 매우 짧은 시간에 우산 상부면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상으로 대칭되도록 4개의 날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날개의 하단에 2개의 브러쉬(총 8개의 브러쉬가 형성)를 형성함으로써, 회전체를 1회전만 시켜도 4개의 날개 및 날개 하단의 브러쉬가 각각 1회전씩 회전하면서 우산 상부면의 빗물을 쓸어버리게 되어 매우 짧은 시간에 우산 상부면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brushes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adially symmetrically arranged wings, it is possible to remove rainwat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in a very short time. For example, four blades are formed so as to be radially symmetrical, and by forming two brushes (a total of eight brushes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each blade, even if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once, the four blades and the lower end of the blade are formed. As the brush rotates once each, the rainwa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is wiped away, so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rainwat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in a very short time.

또한, 각각의 날개에 브러쉬가 2개씩 형성됨으로써 브러쉬가 우산 상부면의 모든 면적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여 우산 상부면의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wo brushes are formed on each wing, it is possible for the brush to cover all area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rainwat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또한, 브러쉬를 날개의 하단에 대각 방향으로 배치하여 빗물을 우산 상부면의 외측으로 떨어져 나가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러쉬가 날개의 하단에 일자로 배치되는 경우, 브러쉬에 쓸린 빗물의 일부가 우산 상부면의 외측으로 떨어져 나가지 못하고 브러쉬를 따라 우산의 상부면 내측에 머물게 되어 빗물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브러쉬를 날개의 회전 방향에 맞춰 브러쉬의 측면 중 빗물을 쓸고나가게 되는 면이 우산 상부면의 외측을 향하도록 대각 배치함으로써, 브러쉬에 쓸린 빗물이 바로 우산 상부면의 외측으로 떨어져 나가게 되어 빗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rainwater by disposing the brush at the lower end of the wing in a diagonal direction to let the rainwater fall ou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Specifically, when the brush is arr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wing in a straight line, a part of the rainwater swept by the brush does not fall out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and stays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along the brush, so that the removal of rainwater cannot be effectively performed. There is a nu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osing the brush diagonally so that the side on which the rainwater is swept out of the side of the brush faces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wing, the rainwater swept by the brush falls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rainwater can be effectively removed.

또한, 브러쉬는 우산의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링크구조를 통해 날개의 하단에 장착됨과 동시에 브러쉬의 전체 또는 브러쉬의 하단 일부를 연질의 재질로 형성하여, 브러쉬가 우산 상부면의 굴곡에 따라 유연하게 유동함과 동시에 변형되면서 우산 상부면에 완전하게 밀착하게 되어 빗물의 제거효율이 증대된다.In addition, the brush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wing through a link structure so that it can flow flexib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mbrella, and at the same time, the entire brush or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brush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so that the brush is curv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As it flows flexibly and deforms at the same time, it completely adher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increasing the rainwater removal efficiency.

또한, 태풍 등의 영향으로 바람이 강하게 불 때 외측부가 내측부에 관절 결합 형태로 결합되어 외측으로 젖혀짐으로써 바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고, 바람이 약해지면 제1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외측부가 내측부에 고정된 형태로 결합될 경우에는 바람이 강하게 불면 상부우산에 강한 힘이 작용하여 파손될 수가 있는데, 상기와 같이 외측부가 내측부에 관절 형태로 결합되어 젖혀짐으로써 바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상부우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ind blows strongly under the influence of typhoons, the outer part is coupled to the inner part in a jointed form and is bent outward to alleviate the impact caused by the wind, and when the wind is weak,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it is possible to do At this time, when the outer part is coupled to the inner part in a fixed form, when the wind blows strongly, a strong force acts on the upper umbrella and may be damaged. It can be relieved to prevent the upper umbrella from being damaged.

또한, 각각의 날개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우산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umbrellas of various sizes by forming the length of each wing differently.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상부 우산 및 날개를 모두 접는 것이 가능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stored in a state in which the volume is minimized since it is possible to fold both the upper umbrella and the wings.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the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are to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우산 빗물 제거장치
10 : 제1모터
11 : 제2모터
12 : 제1회전부
13 : 제2회전부
14 : 타이밍벨트
15 : 지지대
20 : 제1회전축
21 : 승강플랜지
22 : 연결수단
23 : 고정축
24 : 제2회전축
25 : 연결부
26 : 고정나사
30 : 제1결합부
31 : 제2결합부
32 : 홈
33 : 리미트 스위치
40 : 회전체
41 : 장착부
42 : 감지센서
50 : 상부우산
51 : 내측부
52 : 외측부
53 : 제1스프링
60 : 날개
61 : 링크구조
62 : 브러쉬
63 : 제2스프링
70 : 우산
71 : 우산꼭지
80 : 베이스 부재
100: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10: first motor
11: second motor
12: first rotation unit
13: second rotation part
14: timing belt
15: support
20: first rotation shaft
21: lifting flange
22: connection means
23: fixed shaft
24: second rotation shaft
25: connection
26: set screw
30: first coupling part
31: second coupling part
32 : home
33: limit switch
40: rotating body
41: mounting part
42: detection sensor
50: upper umbrella
51: inner part
52: outer part
53: first spring
60 : Wings
61: link structure
62 : brush
63: second spring
70: umbrella
71: umbrella head
80: base member

Claims (4)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대칭되게 배치된 날개가 형성된 회전체를 포함하는 제2회전축;
상기 날개의 하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브러쉬; 및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축 및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가 상기 날개의 회전 방향에 맞춰 빗물을 쓸고 나가는 면이 우산 상부면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날개의 하단에 대각 배치되며, 링크구조를 통해 상기 날개의 하단에 유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a second rotating shaft extending radially and including a rotating body having wings disposed symmetrically;
a plurality of brushe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wing; and
A second motor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and rotating the second rotating shaft and the rotating body;
The brush is disposed diagonally at the lower end of the wing so that the surface that sweeps out rainwat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wing faces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wing through a link structure to enable flow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우산의 꼭지가 삽입되는 장착부; 및
상기 우산의 꼭지가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2모터를 작동시키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body is
Mounting part into which the top of the umbrella is inserted; and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comprising a; detection sensor for operating the second motor by detecting that the faucet of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사용자가 비를 맞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상부우산;
상기 상부우산과 연결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상부우산을 접거나 펼치는 승강플랜지와 나사 결합된 제1회전축; 및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an upper umbrella that protects the user from rain;
a first rotation shaft screwed with a lifting flange connected to the upper umbrella to fold or unfold the upper umbrella while ascending or descending; and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the first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rotating shaft.
KR1020180135822A 2018-10-16 2018-11-07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of umbrella KR10226560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151 2018-10-16
KR20180123151 2018-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828A KR20200042828A (en) 2020-04-24
KR102265608B1 true KR102265608B1 (en) 2021-06-16

Family

ID=7046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822A KR102265608B1 (en) 2018-10-16 2018-11-07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of umbrell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60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9088B (en) * 2020-07-16 2022-02-11 五邑大学 Umbrella dry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944Y2 (en) * 1990-02-15 1995-10-11 株式会社石井製作所 Umbrella drainer
JPH07332850A (en) * 1994-06-10 1995-12-22 Masashi Ueda Dewatering device for umbrella
KR101378518B1 (en) * 2012-07-13 2014-03-28 이병우 Apparatus for drying an umbrell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828A (en)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36087A1 (en) Air umbrella device
US6185834B1 (en) Centrifugally rotating type clothes drying hanger structure
CN206553782U (en) A kind of novel clothes hanger
CN104674528B (en) Rainproof clothes-horse system and its working method
AU2013404505A1 (en) Car roof tent
KR200437831Y1 (en) Automotive equipment to remove the snow on the vinyl house
EP2035615B1 (en) Rotary clothes line cover
KR102265608B1 (en)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of umbrella
CN207610465U (en) A kind of simple spinner for umbrella
KR102079204B1 (en) Parasol having pocket section
US6250320B1 (en) Sun cover apparatus
CN110373872A (en) A kind of cotton-wadded quilt high building balcony sunning beating device
KR20010082953A (en) Dryer for Umbrella
US9927141B2 (en) Dry open window (OPW) apparatus
ES2399298T3 (en) Articulated arm canopy
CN113123665A (en) Tent building device
CN209314159U (en) A kind of open air control cabinet rain insensitive device
US10876759B2 (en) Dry open window (DOW) apparatus
WO2008023209A1 (en) Umbrella for protection from sunshine or rain
KR20150002867U (en) Umbrella draining device
CN215737308U (en) Umbrella convenient to erect and place
KR102180100B1 (en) Eco-friendly centrifugal dehydrator
CN213454552U (en) Umbrella quick-drying device
CN112902083A (en) Water collecting lamp pole with 5G base station
GB2414659A (en) Clothes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