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276B1 - 절제 면역요법 - Google Patents

절제 면역요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276B1
KR102265276B1 KR1020157028277A KR20157028277A KR102265276B1 KR 102265276 B1 KR102265276 B1 KR 102265276B1 KR 1020157028277 A KR1020157028277 A KR 1020157028277A KR 20157028277 A KR20157028277 A KR 20157028277A KR 102265276 B1 KR102265276 B1 KR 102265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tumor
allogeneic
antigen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234A (ko
Inventor
마이클 하르-노이
Original Assignee
이뮤노베이티브 테라피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796,171 external-priority patent/US9320794B2/en
Application filed by 이뮤노베이티브 테라피스, 엘티디. filed Critical 이뮤노베이티브 테라피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50138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6Lymph; Lymph nodes; Thymus; Spleen; Splenocytes; Thym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1Cance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1T-cells, e.g.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 [LAK] or regulatory T cells [Tr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61K39/464499Undefined tumor antigens, e.g. tumor lysate or antigens targeted by cells isolated from tum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6T lymph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88Adjuvants of undefined 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7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sponse, e.g. Th1, Th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31Proteins
    • A61K2039/6043Heat shock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26Universal/off- the- shelf cellular immunotherapy; Allogenic cells or means to avoid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3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z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38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원에서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면역요법, 및 더욱 구체적으로 종양 및 병원체 감염된 조직을 치료하기 위한 면역요법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면역요법은 먼저 Th1 매개된 기전에 의해 거부되도록 디자인된 동종이계 세포로 환자를 프라이밍시킨 후, 종양 또는 병원체 감염된 병변에서 계내 괴사 또는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괴사 또는 아폽토시스는 종양 또는 병원체 감염된 조직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적용되는 방법, 예컨대, 냉동요법, 비가역적 전기천공,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초음파 요법, 에탄올 화학절제, 마이크로파 열 절제, 무선주파수 에너지 또는 그의 조합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이어서, 하나 이상의 용량의 동종이계 세포 (예컨대, Th1 세포)를 프라이밍된 환자의 종양 또는 병원체-감염된 조직 내에 또는 그에 근접한 위치에 전달한다. 본 발명은 종양 또는 병원체에 대한 새로운 전신 (적응) 면역을 발생시키기 위한 면역요법적 전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절제 면역요법 {ABLATIVE IMMUNOTHERAPY}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면역요법, 및 더욱 구체적으로 종양 및 병원체 감염된 조직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학적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만성 감염성 질환 또는 암을 치료하기 위한 면역계의 힘을 이용하는 것이 면역요법의 주요 목표이다. 능동 면역요법 치료법은 면역계를 활성화시켜 종양 또는 병원체-감염된 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식하고, 그를 파괴시키도록 디자인된 방법이다. 200년 이상 동안 능동 면역요법 접근법은 천연두, 광견병, 장티푸스, 콜레라, 흑사병, 홍역, 수두, 볼거리, 회색질척수염, B형 간염 및 파상풍 및 디프테리아 독소를 비롯한, 다수의 감염성 질환을 예방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능동 면역요법 개념은 현재 현존 종양을 치료하거나, 종양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의도로, 그뿐만 아니라, 만성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의도로 치료학적 암 백신을 개발하는 데 적용되고 있다. 다수의 이러한 기법들은 종양 또는 병원체 감염된 세포를 특이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면역 세포를 순환 중 증가된 빈도로 성공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종양 항원에 대하여 반응성인 면역 세포를 생성시킬 수 있는 능력에도 불구하고, 종양 도피 기전은 이러한 면역 반응을 압도할 수 있는 바, 이로써 결국 종양은 진행된다.
암의 능동 면역요법은 다수의 설치류 모델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십년간의 인간에서의 다양한 유형의 면역요법 시험의 임상적으로 실망스러운 결과를 통해 인간에서의 면역계는 같은 질환의 설치류 모델에서의 면역계만큼 잘 인간 암 세포의 위협/위험을 인지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 바이러스 감염에서도 마찬가지다. 선천 면역 반응은 바이러스 복제를 저속화시킬 수 있고, 항바이러스 단백질의 합성을 유발하는 시토카인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적응 면역계는 바이러스 입자를 중화시키고, 감염된 세포를 파괴시킨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면역 공격을 회피할 수 있고, 면역계에 대한 이동 표적을 방해할 수 있는 다수의 대응책을 발생시켰다.
종양 및 바이러스 면역회피 기전을 극복할 수 있는 능동 면역요법을 제공하고, 인간 암 세포 및 바이러스 감염된 세포의 위협/위험을 인지하도록 인간 면역계를 훈련시킴으로써 체내 어느 부위에 위치하든 간에 종양 또는 병원체-감염된 세포를 박멸시킬 수 있는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요구된다.
미국특허공보 제6,277,368호(2001.08.21.)
요약
본 개시내용은 종양 또는 병원체에 대한 전신, 적응 면역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동종이계 세포(allogeneic cell) 요법, 및 종양 또는 병원체 감염된 조직을 세포상 곤란하게 하는 방법의 조합을 사용하여, 그 결과로 종양 특이 항원(들) 또는 병원체 특이 항원(들)을 방출시킨다.
한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대상체에서 종양 또는 병원체에 대한 적응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본 방법은 (1) 암 또는 감염성 질환을 앓는 대상체에게 항-동종이계 Th1 면역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대상체의 면역계에 의해 거부되도록 디자인된,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를 투여하는 단계; (2) 같은 대상체에서 항-동종이계 Th1 면역 기억이 형성될 수 있는 시간 (약 7 내지 14일)을 허용한 후, 종양 또는 감염된 조직 중 적어도 일부가 바람직하게는, 괴사에 의해 사멸되도록 하는 절제 방법으로 (예컨대,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기천공, 냉동절제,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초음파 요법, 에탄올 화학절제, 마이크로파 열 절제, 무선주파수 에너지 또는 그의 조합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접근가능한 종양 병변 또는 병원체-감염된 조직의 계내(in situ) 절제를 수행하는 단계; 이어서, (3) 바람직하게는 절제 단계 후 2-24 hrs 경과하였을 때 제2 분취량의 동일한 동종이계 세포 (프라이밍을 위해 사용된 것과 같은 세포)를 병변내로 주사하여 항원(들)의 흡수 및 이어서, 괴사성 또는 아포프토시스 조직에 반응하는 숙주 항원 제시 세포 (즉, 수지상 세포)의 후속 성숙에 대한 애주번트로서의 역할을 하는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병변으로부터의 성숙한 항원 제시 세포는 림프절로 이동하여 전신 항-종양 또는 항-병원체 면역을 자극시킨다. 또 다른 측면에서, 프라이밍 단계는 생략된다. 종양 또는 병원체 감염된 조직으로부터의 조직을 계내에서 절제하고, 절제 후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를 주사하여 원하는 면역 반응을 일으킨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환자용의 종양 또는 병원체에 대한 백신을 포함한다. 백신은 종양 또는 병원체 및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로부터의 항원성 물질을 포함하는 항원성 조성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항원성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면 거부 반응이 일어나고, 항원에 대한 지연형 과민성 반응이 자극을 받게 되고, 이로써 환자에서 전신 항-종양 또는 항-병원체 면역의 자극에 대한 애주번트로서 작용하게 된다. 백신은 또한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를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환자를 백신화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1) 암 또는 감염성 질환을 앓는 대상체에게 항-동종이계 Th1 면역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대상체의 면역계에 의해 거부되도록 디자인된,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를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 (2) 같은 대상체에서 항-동종이계 Th1 면역 기억이 발생될 수 있는 시간 (약 7 내지 14일)을 허용한 후, 종양 항원 또는 병원체 항원의 공급원 (예컨대, 약독화된 바이러스, 종양 용해물, 열 충격 단백질)을 함유하는, 바람직하게, 같은 개체로부터 감염성 또는 암성 조직의 자가 용해물, 바람직하게 샤페론 단백질을 함유하고,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 (환자를 프라이밍시키는 데 사용된 것과 같은 세포)와 함께 제제화된 그런 용해물을 함유하는 항원성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진피내로 투여하여 거부 반응을 일으키고, 전신 항-종양 또는 항-병원체 면역의 자극에 대한 애주번트로서의 역할을 하는 동종항원에 대한 지연형 과민성 반응을 일으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의 측면에서, 본 방법은 프라이밍 단계 없이 실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은 계내에서 생성된 종양 항원 또는 병원체 항원 및 동종이계 세포를 포함하는 환자에서 종양 또는 병원체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학적 조성물로서, 여기서, 동종이계 세포 및 계내에서 생성된 항원은 면역 반응을 유도하고, 이로써, 환자의 항원 제시 세포의 후속 성숙은 항-종양 또는 항-병원체 면역을 전신으로 자극시키는 것인 치료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종양 항원 또는 병원체 항원은 계내에서 종양 또는 병원체 감염된 조직의 괴사로부터 생성된다. 치료학적 조성물은 또한 동종이계 세포를 함유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밍 조성물 중의, 및 항원성 조성물 중의 동종이계 세포는 약 1 x 108개 내지 약 1 x 1010개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측면에서, 본 설명은 종양 항원 또는 병원체 항원을 포함하는 계내에서 생성된 항원 및 동종이계 세포를 포함하는 환자에서 종양 또는 병원체를 치료하기 위한 백신 조성물로서, 여기서, 계내에서 생성된 항원의 존재하에서 동종이계 세포를 환자에게 주사하면 면역 반응이 일어나고, 이로써, 환자의 항원 제시 세포의 후속 성숙은 항-종양 또는 항-병원체 면역을 전신으로 자극시키는 것인 백신 조성물을 포함한다. 조성물 중 종양 항원은 종양의 계내 괴사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조성물 중 병원체 항원은 병원체 감염된 조직의 계내 괴사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조성물은 또한 동종이계 세포를 함유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밍 조성물 중의, 및 백신 조성물 중의 동종이계 세포는 약 1 x 108개 내지 약 1 x 1010개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측면에서, 본 개시내용 환자를 백신화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1) 암 또는 감염성 질환을 앓는 대상체에게 항-동종이계 Th1 면역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대상체의 면역계에 의해 거부되도록 디자인된,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를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 (2) 같은 대상체에서 항-동종이계 Th1 면역 기억이 발생될 수 있는 시간 (약 7 내지 14일)을 허용한 후, 계내에서 종양 또는 병원체 감염된 조직을 절제하여 종양 항원 또는 병원체 항원을 방출시키는 단계; (3) 동종이계 세포 (환자를 프라이밍시키는 데 사용된 것과 같은 세포)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투여하여 거부 반응을 일으키고, 전신 항-종양 또는 항-병원체 면역의 자극에 대한 애주번트로서의 역할을 하는 동종항원에 대한 지연형 과민성 반응을 일으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 측면에서, 본 방법은 프라이밍 단계 없이 실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개시내용은 환자에서 항-종양 또는 항-병원체 면역을 자극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먼저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를 주입함으로써 환자를 "프라이밍"시켜 Th1 항-동종항원 면역 기억을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동종이계 세포의 주입이 동종이계 세포에 대해 반응하도록 환자의 면역계를 자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간은 환자의 면역계가 항-동종이계 기억을 형성하도록 허용될 때까지 경과할 수 있게 허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환자는 적절한 Th1 면역 기억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동종이계 세포의 부스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 환자는 마우스 뿐만 아니라, 인간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 Th1 반응이란 T-세포 및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시토카인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Th1 반응은, 대개 항체에 의존하는 면역 반응을 활성화시키고, Th1 반응과 길항성인 Th2 반응과 구별되어야 한다.
다음 단계는 환자가 충분한 항-동종이계 Th1 면역 기억을 발생시킨 후, 종양 층 또는 병원체-감염된 조직 내의 세포를 손상 및/또는 사멸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조직 손상 또는 사멸은 세포 성분을 방출시키고, 스캐빈저 세포를 손상 부위로 동원한다. 괴사에 의한 조직 손상 또는 조직 사멸 동안의 세포 성분 방출은 종양 또는 병원체 항원의 계내 생성을 위해 중요하다. 종양 층 또는 병원체 감염된 조직 내의 조직 손상 또는 사멸을 유발하는 다양한 방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사멸은 괴사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는 스캐빈저 세포가 손상 부위로 동원되도록 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조직 사멸 또는 손상은 냉동절제에 의해, 또는 비가역적 전기천공에 의해 이루어진다. 별법으로, 조직은 생체외에서 절제되고, 방출된 성분은 환자 내로 주사된다.
미성숙한 수지상 세포를 비롯한 스캐빈저 세포는 손상된 또는 사멸된 조직으로부터 방출된 항원을 채택할 수 있다. 항원에 대하여 Th1 면역을 프라이밍시키기 위해 수지상 세포 (DC)를 성숙화시키기 위하여 제2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를 병변내로 주사한다. 병변내로라는 것은 주사를 통해 또는 다르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암성 영역 또는 종양 또는 병원체 감염된 조직 내로 직접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환자에게 투여되는 동종이계 세포 모두 같은 공급원으로부터의 것이다. 바람직하게, 동종이계 세포는 조직 절제 후 약 2 내지 약 24시간 사이에 투여된다. 본 방법은 특히 전립샘, 유방, 뼈, 간, 폐, 또는 신장에 상주하는 종양 병변을 가진 환자에서의 특히 고형 또는 전이성 종양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환자가 제2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의 도입시 강한 지연형 과민성 (DTH) 반응을 발생시켜, 환자가 제1 분취에 의해 도입된 동종이계 세포에 대한 Th1 면역에 프라이밍되었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동종이계 세포 거부를 일으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항-동종항원 DTH 반응의 방관자 효과는, 손상된 조직으로부터 항원을 수집하고 프로세싱하면서, DC를 성숙화시키고, 배출 림프절로 이동시키는 "위험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직 손상 도입 및 DTH 거부 반응의 조합이 손상된 조직으로부터 방출된 항원에 대한 Th1 면역을 일으키는 염증성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치료 과정에 의해 유발된 염증의 일반적인 상태는 DC가 손상된 조직에서 항원에 대한 Th1 면역으로 T-세포를 프로그래밍화시켜 종양 또는 병원체-감염된 세포에 대한 전신 적응 면역 반응, 및 종양 및 병원체-매개 면역 회피 기전의 불능화를 매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적응 면역이란, 항원에의 노출 후 B 및 T 세포에 의해 환자의 방어가 매개되고, 그러한 방어는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가/비자가 인식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적응 면역은 환자내 전신 면역이다. 적응 면역은, 비특이성이고, 항원 노출 이전에 존재하는 선천 면역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동종이계 세포 투여 이후의 절제는 원하는 반응을 일으키는 데 충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에 의한 환자 프라이밍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실시양태에서, 종양으로부터의 조직 또는 병원체에 의해 감염된 조직 절제 후,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를 주사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암성 세포 또는 감염된 조직을 가지는 환자를 백신화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동종이계 세포 투여와 함께, 암성 세포 또는 감염된 조직으로부터 계내에서 생성된 항원을 사용하여 환자를 백신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방법은 또한 혈액암 (예컨대,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및 비호지킨 림프종) 또는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예컨대, B형 간염 또는 C형 간염, 헤르페스, HIV) 및 절제하기에는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이환된(affected) 병변이 있는 다른 장애를 앓는 환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방법은 먼저 제1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를 주입함으로써 환자를 "프라이밍"시켜 Th1 항-동종항원 면역 기억을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동종이계 세포의 주입이 동종이계 세포에 대해 반응하도록 환자의 면역계를 자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간은 환자의 면역계가 항-동종이계 기억을 형성하도록 허용될 때까지 경과할 수 있게 허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환자는 적절한 Th1 면역 기억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동종이계 세포의 부스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다음 단계는 본원에 기술된 활성화된 동종이계 세포 이외에도 암성 세포 또는 병원체 감염된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항원에 환자의 면역계를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암성 세포/종양 또는 병원체 감염된 조직의 절제에 의해 계내에서 생성된다. 종양 또는 병원체 감염된 조직의 계내 절제로 환자에서 종양 항원 또는 병원체 항원이 방출된다. 이어지는 병변 부위에의 동종이계 세포의 후속 투여를 통해 환자에서 거부 반응을 일으키고, 항원에 대한 지연형 과민성 반응을 자극시킴으로써 원하는 면역 반응이 일어난다. 절제는 냉동절제, 전기천공, 또는 종양 또는 병원체 감염된 조직의 괴사성 사멸을 일으키는 다른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방법은 프라이밍 단계 후, 환자에게 암성 세포 또는 감염된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항원을 함유하는 자가 용해물을 포함하는 항원성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 즉, 프라이밍 단계에서 사용된 동종이계 세포와 동일한 공급원으로부터의 동종이계 세포를 포함한다. 항원성 조성물 주사는 환자에서 거부 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 항원에 대한 지연형 과민성 반응을 자극시킬 수 있다.
미성숙한 수지상 세포를 비롯한 스캐빈저 세포는 계내 절제로부터, 또는 자가 용해물로부터 생성된 항원을 채택할 수 있다. 동종이계 세포는 항원에 대하여 Th1 면역을 프라이밍시키기 위해 수지상 세포를 성숙화시킬 수 있다. 환자가 프라이밍 단계 동안 제1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에 의해 도입된 동종이계 세포에 대한 Th1 면역에 프라이밍되었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환자가 동종이계 세포의 괴사성 병변 부위에의 도입시 강한 DTH 반응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치료 과정에 의해 유발된 염증의 일반적인 상태는 DC가 절제 부위에서의 항원에 대한 Th1 면역으로 T-세포를 프로그래밍화시켜 종양 또는 병원체-감염된 세포에 대한 전신 적응 면역 반응, 및 종양 및 병원체-매개 면역 회피 기전의 불능화를 일으키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약한 면역원성 또는 비면역원성 종양의 면역원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및 면역 반응을 비방어 면역 반응 (예컨대, Th2 반응)에서 방어 면역 반응 (예컨대, Th1)으로 이탈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질환으로는 예를 들어, 모든 유형의 암, 및 다양한 병원체에 의한 감염으로 유발된 질환 (예컨대, 간염 바이러스, 진균 감염, 예컨대, 아스페르길루스, HIV, 말라리아, 장티푸스, 콜레라, 헤르페스 바이러스, 클라미디아, 및 HPV)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환자에서 종양 또는 병원체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치료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동종이계 세포, 및 종양 괴사 또는 병원체 감염된 조직 괴사의 생성물을 포함하는, 계내에서 생성된 항원을 포함한다. 치료학적 조성물은 또한 프라이밍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밍 조성물을 일반적으로 환자 내로 주사되어 동종이계 Th1 면역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면역계에 의한 거부 반응을 생성하는 동종이계 세포를 함유한다.
치료학적 조성물은 종양 또는 병원체-감염된 조직으로부터의 항원성 물질, 및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항원성 물질은 암성 세포로부터의 또는 감염된 조직으로부터의 항원을 함유하는 계내에서 방출된 항원성 물질이다. 항원성 물질은 계내에서 종양 또는 병원체-감염된 조직의 조직 괴사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항원성 물질은 종양 또는 병원체-감염된 조직의 절제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절제는 생체내, 계내, 또는 생체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성 물질은 종양 또는 병원체-감염된 조직으로부터의 조직 절제시에 방출된 열 충격 단백질을 포함한다.
치료학적 조성물은 또한 동종이계 세포를 포함한다. 계내에서 생성된 항원성 물질을 포함하는 실시양태에서, 치료학적 조성물은 계내에서 생성된 항원을 함유하는 병병 부위 내로 직접 투여되는 동종이계 세포를 포함한다. 환자 내로 주사되었을 때 동종이계 세포는 거부 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 항원에 대한 지연형 과민성 반응을 자극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환자에서 전신 항-종양 또는 항-병원체 면역의 자극에 대한 애주번트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치료학적 조성물은 프라이밍 조성물 및 동종이계 세포에 의해 생성된 반응에 대한 애주번트로서의 역할을 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밍 조성물 및 동종이계 세포는 치료학적 조성물 중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첨가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학적 조성물은 프라이밍 조성물은 제외한, 동종이계 세포 및 계내에서 생성된 항원만을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면역 반응을 얻는 데에는 프라이밍 조성물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용의 종양 또는 병원체에 대한 백신 조성물을 포함한다. 백신은 바람직하게 프라이밍 조성물 및 항원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프라이밍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환자 내로 주사되어 동종이계 Th1 면역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면역계에 의한 거부 반응을 생성하는 동종이계 세포를 함유한다.
항원성 조성물은 종양 또는 병원체-감염된 조직으로부터의 항원성 물질 및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성 물질은 암성 세포로부터의 또는 감염된 조직으로부터의 항원을 함유하는 자가 용해물이다. 항원성 물질은 종양 또는 병원체-감염된 조직의 조직 괴사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항원성 물질은 종양 또는 병원체-감염된 조직의 절제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절제는 생체내, 또는 생체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성 물질은 종양 또는 병원체-감염된 조직으로부터의 조직 절제시에 방출된 열 충격 단백질을 포함한다. 항원성 조성물은 또한 동종이계 세포를 포함한다. 항원성 물질 및 동종이계 세포는 함께 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별개로 패키징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계내에서 생성된 백신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백신 중 항원성 물질은 계내에서 생성된 것이고, 동종이계 세포는 애주번트로서 환자에게 바람직하게, 병변내로 투여된다. 항원성 물질의 계내 생성은 항원성 물질을 방출하는 환자 내의 종양 또는 병원체 감염된 조직의 절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절제는 냉동절제, 전기천공, 또는 종양 또는 병원체 감염된 조직의 괴사성 사멸을 일으키는 다른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계내에서 생성된 항원을 포함하는 실시양태에서, 환자에게 투여되는 항원성 조성물은 동종이계 세포를 포함하고, 상기 세포는 방출된 항원을 함유하는 괴사성 병변 부위에 투여된다. 환자 내로 주사되었을 때 항원성 조성물은 거부 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 항원에 대한 지연형 과민성 반응을 자극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환자에서 전신 항-종양 또는 항-병원체 면역의 자극에 대한 애주번트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백신은 프라이밍 조성물 및 항원성 조성물에 의해 생성된 반응에 대한 애주번트로서의 역할을 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밍 조성물 및 항원성 조성물은 백신 중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첨가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백신은 프라이밍 조성물은 제외한, 항원성 조성물만을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면역 반응을 얻는 데에는 항원성 조성물이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치료학적 백신은 면역 반응을 억제시키거나, 회피함으로써 발생하고/거나, 지속되는 질환, 예컨대, 암 또는 만성 바이러스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프라이밍 단계
프라이밍 단계의 목적은 환자에서 후속되는 동종항원에의 노출시에 회상될 수 있는 항-동종이계 Th1 면역을 일으키고자 하는 것이다. 프라이밍은 환자를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에 노출시킴으로써 발생되고, 상기 동종이계 세포의 후속 거부는 제2 분취물을 환자에게 투여하였을 때 면역 기억으로부터 생성된 환자의 면역계에 의해 일어난다. 바람직하게, 주입된 동종이계 세포를 거부할 수 있는 환자의 능력을 억제시킬 것이고, 또한 항-동종항원 Th1 면역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바, 환자는 프라이밍 이전에는 면역억제성이 아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환자의 면역계는 Th1 면역을 생성하는 쪽으로 편향된다. Th2 면역이 아닌, Th1 면역이 동종이계 세포의 거부에의 반응으로 발생하도록 동종이계 세포를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환자의 면역계는 주입시 Th1 시토카인 (예컨대, IFN-감마 및 TNF-알파)을 생산하는 동종이계 세포를 투여함으로써 Th-1 반응을 일으키는 쪽으로 편향될 수 있다. Th1 시토카인은 동종항원에의 면역 반응이 Th1형 면역 쪽으로 편향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환자의 면역계를 Th-1 면역을 일으키는 쪽으로 편향시키는 다른 방법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먼저 환자를 프라이밍시키는 데 사용되고, 이어서, 추후에는 (세포 사멸 도입 이후) 병변내 투여를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병원성 또는 종양 물질의 공급원에 대한 애주번트로서 사용되는 동종이계 세포는 바람직하게 동종이계 활성화된 T-세포, 더욱 바람직하게, 동종이계 활성화된 CD4+ Th1 세포, 더욱 바람직하게, 효과기 또는 기억 세포로 분화되고, 고수준의 1형 시토카인, 예컨대, IL-2, IL-15, IFN-감마, TNF-알파를 생산하고, 또한 바람직하게, 세포 표면 상에 효과기 분자, 예컨대, CD40L, TRAIL 및 FasL을 고밀도로 발현하지만, IL-4 또는 다른 2형 시토카인을 생산하지 않는 동종이계 CD4+ T-세포이다. 선천 면역 세포 (예컨대, 수지상 세포, 대식세포 및 NK 세포)의 CD40 결찰은 고수준의 시토카인 IL-12를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며, 이는 CD4+ T 세포를 Th1형 면역으로 분극화시키고, CD8+ T 세포의 증식을 증진시키고, NK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이러한 전염증유발성(pro-inflammatory) 이벤트는 환자의 면역계에 의한 거부시 동종이계 세포 상에서 동종항원에 대한 Th1 면역의 일관된 발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프라이밍 단계에서, 활성화된 동종이계 T-세포는 환자에게 바람직하게는 정맥내로 투여되지만, 이는 또한 진피내로도 투여될 수 있다. 동종이계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고의적으로 HLA-미스매칭된 도너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정맥내 주입을 위한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약 1 x 107개 이상의 세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적어도 약 1 x 108 내지 1 x 1010개의 세포이다. 주로 면역 반응을 생성할 수 있는 상기 범위 밖의 동종이계 세포의 투여량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이환된 조직의 절제 또는 항원성 조성물의 투여 이전에 Th1 항-동종항원 면역을 발생시키는 것에 대해 환자를 시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1 항-동종항원 면역을 발생시키는 데에는 적어도 약 7일 이상 소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환자가 Th1 항-동종항원 면역을 발생시키는 것에 대해 약 7일 내지 약 14일이 허용된다. Th1 항-동종항원 면역 발생은 예를 들어, ELISPOT 검정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Th1 항-동종항원 면역을 발생시키는 것에 대해 환자를 시험하는 다른 방법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Th1 항-동종항원 면역이 약할 경우, 동종이계 세포의 추가의 부스터 주사가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진피내로 부스터 주사가 이루어지고, 이로써, 피부에서 지연형 과민성 (DTH)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동종이계 T-세포 생성
활성화 및 환자 내로의 주입시, 환자에 의해 Th-1 면역이 생성될 수 있도록 동종이계 T-세포가 생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항-동종이계 Th1 면역을 자극시키는 데 필요한 특성을 가지는 동종이계 세포를 생산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1) 정상 스크리닝된 기증자로부터 백혈구 성분 채집술에 의해 단핵구 세포 공급원 물질을 수집하고; (2) 공급원 물질로부터 CD4 T-세포를 단리시키고; (3) 0, 3 및 6일째에 고정화된 항-CD3 및 항-CD28 모노클로날 항체 (mAb)로 CD4+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4) 9일째에 고정화된 항-CD3 및 항-CD28 mAb로 세포를 다시 활성화시키고, 활성화 후 24 h 이내에 세포를 주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세포 사멸 단계
계내 세포 사멸 또는 세포 손상으로 DC가 병변으로 동원될 수 있고, DC에 의한 흡수를 위한 항원의 공급원이 제공될 수 있다. 괴사에 의해 사멸을 유발하는 프로세스에 의해 표적 조직을 파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괴사란, 일정량의 세포내 성분이 환경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별 세포 또는 세포 군의 사멸을 의미한다. 본 적용을 목적으로, 괴사는 냉동절제, 비가역적 전기천공,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초음파 요법, 에탄올 화학절제, 마이크로파 열 절제, 무선주파수 에너지 또는 그의 조합을 비롯한, 다양한 방법에 의한 세포 사멸을 포함한다. 괴사 방식으로 사멸된 세포는 건강한, 또는 아포프토시스 방식의 임종 세포에 의해서는 생성되지 않는 자극인, DC의 동원 및 성숙화를 담당하는 곤란의 내인성 신호를 활성화시킨다. 추가로, 미성숙한 DC의 상기 자극에의 노출은 국소 및 전신 Th1 면역 개시에 중요한, 성숙화 신호를 제공한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괴사에 의해 사멸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표적 조직을 계내에서 냉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동수술은 액체 N2 또는 아르곤 가스를 적용함으로써 조직 괴사를 유도할 수 있는, 잘 겨냥된 제어식 처치이다. 냉동수술 동안 및 그 이후에 발생하는 생물학적 변화는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연구되어 왔다. 조직 손상 및 괴사는 세포 동결에 의해, 및 해동 후 발생하는 혈관 정체에 의해 유도된다. 냉동수술 (계내 동결)은 동결된 조직의 자가 항원에 대하여 특이적인 면역원성 반응을 생성할 수 있는 (항원의 비경구적 투여를 통해 수득된 것과 유사한) 항원성 자극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냉동절제는 DC에 의한 항원 프로세싱을 위해 펩티드가 용해된 종양 또는 병원체-감염된 세포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하고, 전염증유발성 시토카인 환경을 조성한다. 냉동절제 후에 방출된 시토카인, 예컨대, IL-1, IL-2, TNF-α, IFN-γ, 및 GM-CSF는 암 또는 병원체 감염된 세포를 파괴시킬 수 있는 면역 반응에 필수적인 T, NK, 및 랑게르한스 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괴사에 의해 사멸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표적 조직에 대해 비가역적 전기천공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가역적 전기천공은 마이크로초 내지 밀리초 전기 펄스를 조직에 전달하여 비가역적 세포막 투과화를 통해 세포 괴사를 일으키는 조직 절제 기법이다. 비가역적 전기천공에서, 전극 사이의 세포의 세포막은 파괴되고, 이로써 세포 괴사가 일어난다. 비가역적 전기천공은 DC에 의한 항원 프로세싱을 위해 항원이 용해된 종양 또는 병원체-감염된 세포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하고, 전염증유발성 시토카인 환경을 조성한다.
항원 공급원을 생성하는 데 바람직한 또 다른 방법은 열 충격 단백질 (HSP)로도 알려져 있는 자가 샤페론 단백질을 사멸된 감염된 조직 또는 종양으로부터 단리시키는 것이다. HSP은 박테리아, 진균 및 기생충 병원체에 대한 면역 반응의 주요 표적 중 하나이다. 세포외 환경 중 특정 샤페론은 또한 샤페론 폴리펩티드에 대한 그의 능력 및 숙주 면역계, 특히, 전문 항원 제시 세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그의 능력에 기인하여 선천 및 적응 면역을 조정할 수 있다. 종양으로부터의 열 충격 단백질에 의한 백신화는 항-종양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 연구는 HSP의 면역원성은 그와 회합하는 항원 펩티드로부터 유래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항원 공급원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샤페론 단백질을 단리시키는 데 바람직한 방법은 미국 특허 번호 6,875,849 (카산티스(Katsantis))에 기술되어 있다. 추가의 방법은 미국 특허 번호 6,797,480; 6,187,312, 6,162,436; 6,139,841; 6,136,315; 및 5,837,251 (스리바스타바(Srivastava))에 기술되어 있다.
애주번트 단계
애주번트 단계의 목적은 DC를 성숙화시켜 사멸된 표적 조직을 함유하는 병변에 흡수된 항원에 대하여 Th1 면역을 자극시키는 것이다. 이는 동일한 동종이계 세포, 즉, 환자를 프라이밍시키는 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기원의 동종이계 세포를 주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분취량의 동종이계 세포는 바람직하게 병변내로, 즉, 냉동절제에 의해, 또는 다른 세포 사멸 방법에 의해 유발된 괴사성 병변 내로 직접 주사된다. 별법으로, 샤페론 단백질이 항원의 공급원으로서 사용될 때, 환자를 프라이밍시키는 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동종이계 세포는 샤페론 단백질과 함께 바람직하게, 진피내로 주사된다. 원하는 면역 반응을 생성하기 위한 동종이계 세포의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약 1 x 107개 이상의 세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약 1 x 108 내지 1 x 1010개의 세포이다. 원하는 면역 반응을 생성할 수 있는 상기 범위 밖의 동종이계 세포의 투여량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동종이계 세포 제조는 상기 기술된 것과 동일하다.
면역 반응을 개시시키고, 면역계가 자가 조직에 대하여 가지는 천연 내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괴사성 세포 사멸 후에 방출되거나, 샤페론 단백질과 회합되는 항원은 DC에 의해 흡수되어야 하고, "위험" 신호를 전달하는 면역 활성화 성분과 함께 제시되어야 한다. 동종이계 세포에 대한 기억 면역 반응은 이러한 "위험"을 조성한다.
미성숙한 DC로 명명되는, 조직에 상주하는 DC는 환경으로부터 계내에서 생성된 항원을 포획할 수 있지만, T 세포를 자극시키는 데 있어서는 부족하다. 병원체 감염 및 후속되는 염증성 반응에 대한 반응으로, DC는 성숙화로 불리는 분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로써, DC는 배출 림프절로 이동시킬 수 있는 능력을 상향조절시키고, 포획된 항원을 T 세포로 제시한다. Th1 CD4+ T 세포 및 CTL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DC는 다수의 성숙화/분화 자극을 통합시켜야 한다. 병원체 또는 종양 접촉 부위에서, 병원체 또는 종양-유래 결정기, 전염증유발성 시토카인 및/또는 세포 파편에의 노출이 성숙화 과정에서 제1 단계를 유도한다. 이는 공동 자극성 분자 및 케모카인 수용체의 상향 조절을 포함하며, 이로써, DC는 각각 항원을 T 세포에 제시할 수 있고, 림프절로 이동시킬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하게 된다. 림프절에서, 동족 CD4+ T 세포의 접촉이 DC에 추가의 분화 자극을 제공하고, 이는 활성화된 T 세포의 생존 및 CD4+ T 세포의 분극화를 조절한다.
DC의 성숙화는 항원 흡수 부위에서 일어나고, 회상 거부 반응은 DC 성숙화, 림프절로의 이동, 및 병변에서 흡수된 항원에 대한 Th1 면역의 프로그래밍을 위해 필요한 적절한 염증성 위험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애주번트로서의 역할을 한다.
실시예
동물
Balb/c 마우스가 숙주였고, C57B1/6 (B6) 마우스는 Th1 세포의 공급원으로서 사용되었다. 마우스는 모두 6 내지 10주령된 것이었고, 하닷에설-히브리 대학 의대(Hadassah-Hebrew University Medical Center)의 특정 무병원체 시설에서 유지시키고, 승인받은 동물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였다.
동종이계 Th1 기억 세포 제조
수컷 C57BL/6 마우스로부터 비장 세포를 수거하고, 적혈구를 용해시키기 위해 염화암모늄-칼륨 (ACK) 완충제로 처리하였다. 비장당 대략 70-100 x 106개의 세포를 단리시켰다. 이어서, MS 칼럼 (밀테니이 바이오테크(Miltenyi Biotec: 독일)) 상에서 CD4 면역자기 입자를 사용하여 양성 선별 (순도 >98%)에 의해 CD4+ T-세포를 정제하고, 대략 8-12 x 106개의 CD4 세포를 단리시켜 50-60%의 수율을 얻었다. 3:1의 초기 비드:CD4 세포 비로 항-CD3 및 항-CD28-코팅된 상자성 비드 (CD3/CD28 T-세포 확장기 비드, 다이날(Dynal)/인비트로겐(Invitrogen))로 확장시켜 Th1 기억 세포를 생성하였다. 정제된 CD4 세포를 10% FBS,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글루타민, 비필수 아미노산 (NEAA) (바이오로지컬 인더스트리즈(Biological Industries: 이스라엘)) 및 3.3 mM N-아세틸-시스테인 (NAC; 시그마(Sigma))을 함유하는 RPMI 1640 (완전 배지) 중에서 20 IU/mL 재조합 마우스 (rm)IL-2, 20 ng/mL rmIL-7, 및 10 ng/mL rmIL-12 (페프로테크(Peprotech: 뉴저지)) 및 10 ㎍/mL 항뮤린 IL-4 mAb (벡톤 디킨슨(Becton Dickenson))와 함께 인큐베이션시켰다. rmIL-2 및 rmIL-7을 포함하는 추가의 시토카인-함유 완전 배지를 3일째부터 6일째까지 매일 CD4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농도가 0.5 내지 1 x 106개의 세포/mL가 되도록 유지시켰다. 3일째부터 6일째까지 매일 추가의 CD3/CD28 비드를 첨가하였다. 세포 확장에 따라 1:1 비드:세포 비를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비드의 개수를 계산하였다. 배양 6일 후, CD4 세포는 대략 80 내지 100배 확장되었고, 물리적으로 파괴시키고, 자석에 통과시켜 상기 세포를 수거하고, 비드를 제거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수거된 세포의 표현형은 >95% CD4+, CD45RO+, CD62Llo, IFN-α+ 및 IL-4-였다.
CD3/CD28 나노비드 제조
비오티닐화된 마우스 항-CD3 및 항-CD28 mAb (BD 파미겐(BD Pharmingen))를 각각 400 ㎕의 PBS 중에 최종 농도 25 ㎍/ml로 희석시킨 후, 1:1 비로 혼합하여 최종 부피가 800 ㎕가 되도록 만들었다. 20 ㎕의 스트렙아비딘-코팅된 나노비드 (밀테니이(Miltenyi: 독일))를 세척하고, PBS 중 최종 부피 200 ㎕로 희석하였다. 이어서, 800 ㎕의 CD3/CD28 mAb 용액 및 200 ㎕의 희석된 나노비드를 혼합하여 각 mAb의 최종 농도가 총 부피 1 ml 중 10 ㎍/ml가 되도록 만들었다. 혼합물을 RT에서 30 min 동안 회전식 혼합 장치에 놓았다. 이어서, mAb 접합된 나노비드를 자석 상의 MS 칼럼 (밀테니이: 독일)을 통과시키고, 철저하게 세척하였다. 이어서, 보유된 나노비드를 칼럼으로부터 유리시키고, 200 ㎕의 PBS 중에 재현탁시켰다. 나노비드는 순수한 T-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없었다. 그러므로, 6일 전 CD3/CD28 T-세포 확장기 비드 (다이날: 노르에이)로 미리 활성화된 수거된 Th1 기억 세포에 대하여 나노비드를 적정하였다. 배치마다 약간의 변동이 있기는 하였지만, 일반적으로 20 ㎕/107개의 세포가 미리 활성화된 Th1 기억 세포를 최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D3/CD28 가교 결합
활성화된 Th1 기억 세포의 주입을 요구한 본 실험에서는 수거된 Th1 세포를 주입 이전에 미리 적정된 농도의 CD3/CD28-접합된 나노비드와 함께 인큐베이션시켰다. 최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세포를 최소 4 h 내지 최대 18 h 동안 나노비드와 함께 인큐베이션시켜야 했다. 최적으로 활성화시킴에 따라 IFN-α가 생산되었고, 세포 표면 상에서 CD40L 및 FasL이 상향조절되었다. 본 실험을 위해, CD3/CD28 가교 결합된 Th1 기억 세포의 주입은 모두 사전 인큐베이션 후 4-8 h가 경과하였을 때 수행하였다. 주입 이전에 세포를 철저하게 세척하여 임의의 비회합 나노비드를 제거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가교 결합된 Th1 기억 세포는 세포 표면 상에서 FasL 및 CD40L을 발현하였고, 2000ng/ml/106개의 세포/6h 과량으로 IFN-α를, 및 106개의 세포/6 h 당 20pg/ml 미만으로 IL-4를 생산하였다. CD3/CD28 가교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Th1 기억 세포는 시토카인을 생산하지 않거나, FasL 또는 CD40L을 발현하지 않았다.
냉동요법
직경이 3 mm인 구형 아산화질소 냉동프로브를 이용하여 냉동요법을 수행하였다. 가스 압력은 50 bar로 유지시키고, 조직 내에서 -30 내지 -40℃ 범위의 온도를 달성할 수 있도록 줄-톰슨(Joule-Thomson) 효과가 허용되었다. 종양 중앙부를 절개하고, 종양과 접촉하도록 냉동프로브를 배치하였다 (1-2 mm 깊이로 삽입하였다): 그를 완전하게 파괴시키는 것이 아니라, 동결에 의해 그에 영향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신속한 동결 사이클 (20 s 동안 지속)을 3회에 걸쳐 수행한 후, 천천히 해동시켰다. 병변 중앙부에서 아이스 볼이 생산되었고, 이는 전체 종양 부피의 약 ⅔에 도달하였다.
실시예 #1:
확장성 전이성 질환에서 동종이계 Th1 세포가 전신 항종양 면역을 자극시킬 수 있는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하기 프로토콜을 시험하였다. BCL1 백혈병, 4T1 유방암 및 3LL 폐암을 포함하는 치사량의 종양 세포를 0일째 마우스에 정맥내로 주입하고, 종양 세포를 또한 진피내로 주사하여 고형 종양 매스를 확립시켰다. 7일째, 마우스에 1 x 105 용량의 동종이계 Th1 세포를 제공하였다. 14일째, 마우스를 (a) 염수; (b) 염수 + 종양의 부분 냉동절제; (c) 103 용량의 동종이계 Th1 세포; 또는 (d) 동종이계 Th1 세포 + 종양의 부분 냉동절제를 주사하여 종양내 처리를 수행하였다. 90일째 생존한 동물의 마리수에 관한 결과는 하기에 제시되어 있다 (n=10):
Figure 112015097724201-pct00001
실시예 #2
본 발명이 고형 종양을 앓는 환자의 치료에 유익한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오직 고형 종양 매스를 생성하는 종양의 진피내 주사를 받은 동물에서만 상기 실험 디자인을 반복하였다. 본 결과는 전이성 질환을 앓는 동물에서 수득된 것과 유사하였다.
Figure 112015097724201-pct00002
냉동요법과 함께 Th1 세포를 조합함에 따라 높은 치유율을 얻었다. 냉동요법은 괴사에 의해 종양을 사멸시키며, 이는 아폽토시스(apoptosis)에 의한 사멸 (화학요법에 의해 유발되는 사멸의 유형)보다 더욱 병리학적인 세포 사멸의 유형인 것으로 사료된다. 냉동요법을 통해 종양의 면역원성은 더욱 증가되는 바, 그러므로, 괴사성 종양 사멸과 동종이계 Th1 세포의 조합은 전신 항종양 면역을 일으키는 종양 백신의 한 유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록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참조로 하여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형태상 상세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9)

  1. 동종이계 세포(allogeneic cell); 및
    종양 괴사의 생성물을 포함하는 항원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학적 조성물로서, 여기서, 항원은 종양 조직의 절제에 의해 계내에서(in situ) 생성된 것이고, 그에 의해 동종이계 세포 및 계내에서 생성된 항원은 환자에 의한 면역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항-종양 면역을 생성하고, 동종이계 세포가 활성화된 T-세포인 것인, 치료학적 조성물.
  2. 동종이계 세포를 포함하는 애주번트; 및
    절제에 의한 종양 조직의 괴사에 의해 계내에서 생성된 항원을 포함하는 환자용의 종양에 대한 백신 조성물로서, 여기서, 계내에서 생성된 항원과 함께 괴사성 부위에 애주번트가 존재하는 것이 환자에 의한 면역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종양에 대한 항-종양 면역을 생성하고, 동종이계 세포가 활성화된 T-세포인 것인, 백신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동종이계 세포를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제가 냉동절제에 의한 것인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제가 전기천공에 의한 것인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항원이 종양 항원, 열 충격 단백질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동종이계 세포가 1형 시토카인을 발현하는 것인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동종이계 세포가 세포 표면 상에 CD40L, TRAIL, FasL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효과기 분자를 발현하는 것인 조성물.
  1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서 종양에 대한 적응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
    계내에서 절제에 의해 종양 조직으로부터 항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계내에서 생성된 항원의 부위에 대하여 동종이계 세포를 투여하여 절제된 조직으로부터의 항원의 흡수에 대한 애주번트로서의 역할을 하는 면역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개체의 항원 제시 세포의 후속 성숙이 항-종양 면역을 전신으로 자극시키는 단계로, 동종이계 세포가 활성화된 T-세포인 단계.
  12. 제11항에 있어서,
    계내에서 항원을 생성하기 이전에 프라이밍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라이밍 조성물이 동종이계 Th1 면역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개체의 면역계에 의해 거부되는 동종이계 T-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계내 항원 생성 이전에 개체의 면역계가 항-동종이계 Th1 면역 기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절제가 냉동절제에 의한 것인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절제가 전기천공에 의한 것인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항원이 종양 항원, 열 충격 단백질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동종이계 세포가 1형 시토카인을 발현하는 것인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동종이계 세포가 세포 표면 상에 CD40L, TRAIL, FasL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효과기 분자를 발현하는 것인 방법.


KR1020157028277A 2013-03-12 2014-03-10 절제 면역요법 KR102265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96,171 2013-03-12
US13/796,171 US9320794B2 (en) 2006-11-13 2013-03-12 Ablative immunotherapy
PCT/US2014/022287 WO2014164396A1 (en) 2013-03-12 2014-03-10 Ablative immunotherap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234A KR20150138234A (ko) 2015-12-09
KR102265276B1 true KR102265276B1 (ko) 2021-06-16

Family

ID=51658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8277A KR102265276B1 (ko) 2013-03-12 2014-03-10 절제 면역요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2970910A4 (ko)
JP (1) JP6538647B2 (ko)
KR (1) KR102265276B1 (ko)
CN (2) CN106581673A (ko)
AU (2) AU2014249374A1 (ko)
BR (1) BR112015022974A8 (ko)
CA (1) CA2904853A1 (ko)
IL (1) IL241326B (ko)
PH (1) PH12015502086A1 (ko)
SG (2) SG10201707446PA (ko)
WO (1) WO2014164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1309B (zh) * 2018-02-14 2022-02-15 上海美杰医疗科技有限公司 多模态消融治疗术前规划方法及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7368B1 (en) 1996-07-25 2001-08-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ancer immunotherapy using autologous tumor cells combined with cells expressing a membrane cytokine
CN1806849A (zh) * 2005-01-19 2006-07-26 上海三维生物技术有限公司 肿瘤的治疗方法
US20080112963A1 (en) * 2006-11-13 2008-05-15 Immunovative Therapies, Ltd. Ablative immunotherapy
US7972594B2 (en) * 2006-11-13 2011-07-05 Immunovative Therapies Ltd. Ablative immunotherapy
WO2009095033A1 (en) * 2008-01-31 2009-08-06 Agirx Limited Vaccine composit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22974A8 (pt) 2019-11-26
KR20150138234A (ko) 2015-12-09
AU2020201309A1 (en) 2020-03-12
CN106581673A (zh) 2017-04-26
IL241326B (en) 2021-05-31
WO2014164396A1 (en) 2014-10-09
SG11201507350WA (en) 2015-10-29
BR112015022974A2 (pt) 2017-07-18
SG10201707446PA (en) 2017-10-30
CA2904853A1 (en) 2014-10-09
PH12015502086A1 (en) 2016-01-18
AU2014249374A1 (en) 2015-09-24
JP6538647B2 (ja) 2019-07-03
CN105102613A (zh) 2015-11-25
IL241326A0 (en) 2015-11-30
EP2970910A1 (en) 2016-01-20
EP2970910A4 (en) 2016-11-16
JP2016518319A (ja)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3576B2 (en) Vaccine comprising allogeneic T-cells
US20110142887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liquidation of tumors
US20160243231A1 (en) Ablative Immunotherapy
US20200338127A1 (en) Th1 vaccination priming for active immunotherapy
US20080112963A1 (en) Ablative immunotherapy
KR102265276B1 (ko) 절제 면역요법
CA3208059A1 (en) Therapeutic composition and method combining multiplex immunotherapy with cancer vaccin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