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209B1 - 안테나 위장 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 위장 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209B1
KR102265209B1 KR1020200016768A KR20200016768A KR102265209B1 KR 102265209 B1 KR102265209 B1 KR 102265209B1 KR 1020200016768 A KR1020200016768 A KR 1020200016768A KR 20200016768 A KR20200016768 A KR 20200016768A KR 102265209 B1 KR102265209 B1 KR 102265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ntenna
camouflage
pair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봉
Original Assignee
유정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산업(주) filed Critical 유정산업(주)
Priority to KR102020001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역사다리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양측이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을 일정 높이마다 연결되고, 중앙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지주대와 밀착되어 상기 지주대를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게 하는 수평바; 양측이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측을 일정 높이마다 연결되는 보조바; 상기 지주대를 감싸면서 상기 수평바에 고정되어 상기 지주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 및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바 부분까지 둘러싸인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를 가림막할 수 있는 위장재 보드;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위장 장치 및 그 시공방법{Antenna camouflage device and that the constructing method}
본 발명은 안테나 위장 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사에 사용되는 안테나를 가림막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보호와 전자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모듈화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풍압에 안정적인 구조를 가진 안테나 위장 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 통신사의 통신시설물 난립설치로 인한 자연환경 및 도시미관을 크게 훼손 시킬 뿐만 아니라, 무선 국소노출로 인한,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전자파 민원제기 및 통신시설물이 도시 미관을 해치는 근본적 원인이 있다.
종래에는 안테나의 외부를 가릴 수 있도록 위장재 보드가 설치되는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위장재 보드를 결합하기 위한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프레임을 절단 및 용접하게 되고, 또한 위장재 보드를 제조하거나 구조물에 결합하는 방식이 제각각이었다. 이렇듯 안테나 위장을 위한 장치가 모듈화 되어 있지 않아 시공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안테나는 건물의 옥상에 주로 설치되므로 풍압에 의해 뒤틀리는 손상이 많아 구조해석적으로 풍압에 안정적인 안테나 위장 장치가 필요하다.
KR10-0723276 B1 "무선통신안테나용 안테나 위장재 및 위장재제조방법" KR10-2001-0027833 A "환경친화형 기지국용 안테나" KR10-2019-0093854 A "이동통신 안테나 위장 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시설물을 정리정돈 및 위장.은폐. 함으로써 도시미관 개선효과와 더불어 구조물 안전 설치공법에 따른 원활한 설치 및 유지보수와 원가 절감을 극대화하기 위한 안테나 위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역사다리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양측이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을 일정 높이마다 연결되고, 중앙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지주대와 밀착되어 상기 지주대를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게 하는 수평바; 양측이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측을 일정 높이마다 연결되는 보조바; 상기 지주대를 감싸면서 상기 수평바에 고정되어 상기 지주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 및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바 부분까지 둘러싸인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를 가림막할 수 있는 위장재 보드;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프레임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점차적으로 연결 길이가 길어지는 복수 개의 제3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대칭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들에는 상기 수평바가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들에는 보조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직프레임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점차적으로 연결되는 길이가 길어지는 복수 개의 제3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2프레임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에는 상기 수평바가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는 보조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장재 보드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결될수록 경사진 상기 제2프레임에 대응되게 점차적으로 수용크기가 커지는 다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장재 보드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보조바에서 굴곡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바에는, 중앙에 상기 지주대가 안착되도록 상기 지주대 형상에 대응되게 곡률을 가진 안착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점차적으로 연결되는 길이가 길어지는 복수 개의 제3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2프레임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직프레임 한쌍을 준비하고, 중앙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지주대를 안착하는 안착대가 형성된 수평바를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을 일정 높이마다 연결하여 체결하며, 상기 지주대를 상기 안착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로 지주대를 감싸면서 상기 수평바에 고정시키고, 보조바를 상기 제3프레임의 양측에 슬라이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하여 결합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둘레에 대응되게 길이가 다른 복수 개를 사출성형한 위장재 보드를 복수 개 준비하여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바 부분까지 둘러싸인 형태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체형 프레임 구조로 위장 가림막 보드 설치후, 개별 프레임구조에 비하여 풍향에 따른 위장 가림막의 뒤틀림 현상을 근원적으로 차단 할 수 있다.
기 설치된 안테나 각도와 동일 각도로 가림막 보드의 크기를 변경 사출성형 제작 사용함으로 풍압으로부터 받는 단면적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보다 수려한 미관을 연출할 수 있다.
규격 및 부피를 최소화하고 제품을 패키지(PACKAGE)화 함으로써 오염 및 파손,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위장 장치의 구성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직프레임, 수평바, 보조바 구성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위장재 보드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위장 장치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위장 장치의 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직프레임, 수평바, 보조바 구성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위장재 보드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수직프레임(100), 수평바(200), 보조바(300), 고정부재(400) 및 위장재 보드(5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프레임(100)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역사다리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한 쌍이 배치된다.
상세하게, 상기 수직프레임(100)은 'ㄱ'자형의 형강 제1프레임(120)과, 제1프레임(120)과 동일한 'ㄱ'자형의 형강 제2프레임(140)과, 상기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40)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점차적으로 연결되는 길이가 길어지는 복수 개의 제3프레임(16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20)의 수직에 직립시 상대적으로 상기 제2프레임(140)은 상기 제1프레임(120)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120)에는 상기 수평바(200)가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140)에는 보조바(300)가 결합되게 된다.
상기 수평바(200)는 양측이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일측을 일정 높이마다 연결되고, 중앙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지주대와 밀착되어 상기 지주대를 상기 수직프레임(100)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바(200)에는 중앙에 상기 지주대가 안착되도록 상기 지주대 형상에 대응되게 곡률을 가진 안착대(22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200)는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제1프레임(120)에 결합 위치를 안정적으로 되기 위해 상기 제1프레임(120)의 'ㄱ'자형의 형강의 내부 모서리 부분에 받칠수 있도록 삼각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바(200)는 특히 결합 위치가 상기 제3프레임(160)이 설치된 수평선상으로 설치하여 전체적인 구조가 'ㅁ'가 되게하며 볼트 체결시 상기 제3프레임(160)의 'ㄷ'자형의 형강 내부로 체결되게 하여 마감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바(300)는 양측이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타측을 일정 높이마다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타측은 상기 제2프레임(140) 방향이며 상세하게는 상기 제3프레임(16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3프레임(160)은 'ㄷ'형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바(300)는 양측이 상기 제3프레임(160)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되어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지주대에 설치되는 안테나 형상에 따라 간섭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하여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의 수직프레임(100), 수평바(200), 보조바(300)는 동일 재질의 사출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나일론(Nylon)과 탄소섬유(carbon fiber)를 혼합한 재질로 사용하였으며, 이때 탄소섬유는 나일론 대비 30%가 적용되어 경량화 하였다. 철재구조가 아닌 복합합성재질을 사용하여 경량화 하고 비나 습기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지주대를 감싸면서 상기 수평바(200)에 고정되어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400)는 U 볼트(410), 체결너트(420), 한쌍의 볼트공이 관통형성된 보강 플레이트(430)로 구성된다. 보강 플레이트(430)는 수평바(200)의 외측 표면에 수직 배치되는데, U 볼트(410)는 수평바(200)와 보강 플레이트(430)를 통과하여 체결너트(420)와 결합되어 조여지면서 지주대를 고정시키게 된다.
위장재 보드(500)는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바(300) 부분까지 둘러싸인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를 가림막할 수 있다. 위장재 보드(500)는 풍압에 노출되는 부위이므로, 설정크기의 두께를 가져 강도가 확보되도록 한다.
여기서, 위장재 보드(500)는 PC(polycarbonates)수지와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수지를 혼합하여 사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즉 위장재 보드(500)는 볼트로 고정되는 부위에 보강편(510)이 배치된 구조를 가져 강도가 보강될 수 있도록 하는데, 위장재 보드(500)는 PC 재질로 이루어지고, 보강편(510)은 PBT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장재 보드(500)는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결될수록 경사진 상기 제2프레임(140)에 대응되게 점차적으로 수용크기가 커지도록 다단지게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체 노출되는 면적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커지므로 종래의 위장재 보드 크기를 일정하게 체결하는 것 보다 상대적으로 위장재 보드(500)의 단면적을 최소화하여 풍압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위장재 보드(500)는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상측부로 갈수록 보조바(300)측으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위장재 보드(500)는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측면에 밀착되어 볼트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보조바(3000에서 굴곡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위장재 보드(500)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유선형 구조를 가져 풍압에 대한 저항을 적게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안테나 위장 장치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위장 장치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40)과, 상기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40)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점차적으로 연결되는 길이가 길어지는 복수 개의 제3프레임(16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20)에 대하여 상기 제2프레임(140)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일체로 형성된 수직프레임(100) 한쌍을 준비한다.
그 다음, 중앙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지주대(P)를 안착하는 안착대(220)가 형성된 수평바(200)를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일측을 일정 높이마다 볼트에 의해 체결하여 연결한다.
그 다음, 상기 지주대(P)를 상기 안착대(22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400)인 클램프나 U볼트를 사용하여 지주대를 감싸면서 상기 수평바(200)에 고정시킨다.
그 다음, 보조바(300)를 상기 제3프레임(160)의 양측으로 끼워맞춤하고 슬라이드 이동시켜 안테나에 간섭받지 않게 위치를 조절하여 볼트를 체결하고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측면둘레에 대응되게 길이가 다른 복수 개로 사출성형한 위장재 보드(500)를 준비하여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바(300) 부분까지 둘러싸인 형태로 결합하여 볼트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위장재 보드(500) 설치시 일정간격을 유지되게 결합하여 내부로 통풍이 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안테나 위장 장치는 수직프레임(100), 수평바(200), 보조바(300), 고정부재(400) 및 위장재 보드(500)를 조립 가능하게 모듈화하여 현장에서 쉽게 설치 가능하다.
또한, 위장재 보드(500)를 다단으로 하여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경사지게 유선형으로 형성하여서 풍압에 대한 저항을 최소로 할 수 있어 구조해석적으로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안테나 위장 장치의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수직프레임
120: 제1프레임
140: 제2프레임
160: 제3프레임
200: 수평바
220: 안착대
300: 보조바
400: 고정부재
410 : U 볼트
420 : 체결너트
430 : 보강 플레이트
500: 위장재 보드
510 : 보강편

Claims (5)

  1.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역사다리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양측이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을 일정 높이마다 연결되고, 중앙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지주대와 밀착되어 상기 지주대를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게 하는 수평바;
    양측이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측을 일정 높이마다 연결되는 보조바;
    상기 지주대를 감싸면서 상기 수평바에 고정되어 상기 지주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 및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바 부분까지 둘러싸인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안테나를 가림막할 수 있는 위장재 보드;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프레임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점차적으로 연결 길이가 길어지는 복수 개의 제3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대칭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들에는 상기 수평바가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들에는 보조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재 보드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결될수록 경사진 상기 제2프레임에 대응되게 점차적으로 수용크기가 커지는 다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재 보드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보조바에서 굴곡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4.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점차적으로 연결되는 길이가 길어지는 복수 개의 제3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2프레임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직프레임 한쌍을 준비하고, 중앙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지주대를 안착하는 안착대가 형성된 수평바를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을 일정 높이마다 연결하여 체결하며, 상기 지주대를 상기 안착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로 지주대를 감싸면서 상기 수평바에 고정시키고, 보조바를 상기 제3프레임의 양측에 슬라이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하여 결합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둘레에 대응되게 길이가 다른 복수 개를 사출성형한 위장재 보드를 복수 개 준비하여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바 부분까지 둘러싸인 형태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장 장치 시공방법.
  5. 삭제
KR1020200016768A 2020-02-12 2020-02-12 안테나 위장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265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768A KR102265209B1 (ko) 2020-02-12 2020-02-12 안테나 위장 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768A KR102265209B1 (ko) 2020-02-12 2020-02-12 안테나 위장 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209B1 true KR102265209B1 (ko) 2021-06-15

Family

ID=7641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768A KR102265209B1 (ko) 2020-02-12 2020-02-12 안테나 위장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2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833A (ko) 1999-09-16 2001-04-06 김상기 환경친화형 기지국용 안테나
KR100723276B1 (ko) 2006-04-25 2007-05-30 주식회사 이에프디자인 무선통신안테나용 안테나 위장재 및 안테나 위장재제조방법
KR101735761B1 (ko) * 2016-02-26 2017-05-24 최강석 통신안테나 및 카메라 설치용 통합폴
KR101842652B1 (ko) * 2018-01-19 2018-03-29 (주) 나우텍 안테나 위장용 장치
KR20190093854A (ko) 2018-02-02 2019-08-12 김문규 이동통신 안테나 위장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833A (ko) 1999-09-16 2001-04-06 김상기 환경친화형 기지국용 안테나
KR100723276B1 (ko) 2006-04-25 2007-05-30 주식회사 이에프디자인 무선통신안테나용 안테나 위장재 및 안테나 위장재제조방법
KR101735761B1 (ko) * 2016-02-26 2017-05-24 최강석 통신안테나 및 카메라 설치용 통합폴
KR101842652B1 (ko) * 2018-01-19 2018-03-29 (주) 나우텍 안테나 위장용 장치
KR20190093854A (ko) 2018-02-02 2019-08-12 김문규 이동통신 안테나 위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2680B2 (en) Antenna tower and support structure therefor
US20060226406A1 (en) Non-conductive fencing
KR100775636B1 (ko) 환경친화적 무선통신용 안테나의 설치구조물
KR101431243B1 (ko) 안테나 기지국용 옥상 위장막 휀스
US9281556B2 (en) Antenna concealment assembly
US20010013212A1 (en) Arrangement of camouflage applicable over support towers of telecommunications antennas or similar structure
KR102265209B1 (ko) 안테나 위장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57320A (ko) 무선통신용 안테나의 환경 친화적 위장장치
US20120299796A1 (en) Module for Carrying Antennas of a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Antenna Mast Arrangement
KR20190011025A (ko) 건물 옥상 안테나 위장용 펜스 조립모듈 및 이를 이용하여 설치된 안테나 위장 펜스
CN211350972U (zh) 一种方柱型天线外罩
KR20220069751A (ko) 기지국용 안테나의 위장을 위한 풍압 흡수형 위장장치
CN212626058U (zh) 一种楼面美化天线罩
CN112431478A (zh) 一种加强型钢筋网围界
CN219691213U (zh) 一种组合式附墙抱杆及组合式附墙系统
CN216597980U (zh) 一种5g天线美化外罩结构
CN213151016U (zh) 一种5g新型水池型基站美化外罩
CN211655027U (zh) 一种水塔型天线外罩
CN206220368U (zh) 屋面板系统
CN217641778U (zh) 天线美化外罩
CN109914660A (zh) 石材面板装配式安装结构
CN215732169U (zh) 美化天线
CN205299874U (zh) 空调器连接结构及空调器
CN210069678U (zh) 一种在原有灯杆上实现智慧灯杆的加固结构
CN201918497U (zh) 天线美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