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173B1 -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 - Google Patents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173B1
KR102265173B1 KR1020200177772A KR20200177772A KR102265173B1 KR 102265173 B1 KR102265173 B1 KR 102265173B1 KR 1020200177772 A KR1020200177772 A KR 1020200177772A KR 20200177772 A KR20200177772 A KR 20200177772A KR 102265173 B1 KR102265173 B1 KR 102265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assembly
coil
co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민
신정우
유충목
김지웅
Original Assignee
세원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원이앤씨(주) filed Critical 세원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20017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2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 H01F1/2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e.g. powder pressed, sintered, or bound toge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2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0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09Magnetic cores comprising laminations characterised by being fastened by caul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전자석화된 코어에 인력 및 척력을 작용시켜 로터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마그넷 와이어(120); 상기 마그넷 와이어(120)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구조로 이루어지는,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상부파우더코어(135)와, 외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고정자가이드(137)를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제작되는 상부고정자케리어(131)를 구비하는 고정자 케리어 상단 어셈블리(130); 및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하부파우더코어(145)와, 하부파우더코어(145)가 끼워져 구비되는 하부고정자케리어(141)와, 외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고정자가이드(147)를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제작되는 하부고정자케리어(141)를 구비하는 고정자 케리어 하단 어셈블리(140);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코일 권선에 따른 잔여 공간을 최소화 하여 점적율(Space Factor) 및 기자력(起磁力, magnetomotive force)을 향상시키고, 두꺼운 코일의 코일링 후 조립이 용이하게 하는 고정자 조립체의 구조와 냉각효율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고정자 조립체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Stator core unit assembly with sealed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 권선에 따른 잔여 공간을 최소화 하여 점적율(Space Factor) 및 기자력(起磁力, magnetomotive force)을 향상시키고, 두꺼운 코일의 코일링 후 조립이 용이하게 하는 고정자 조립체의 구조와 냉각효율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고정자 조립체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모터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전력을 얻는 장치로서 가정용 전자제품에서 각종 산업용 기기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모터는 하우징이나 케이싱에 고정됨과 아울러 전원의 인가에 의해 회전자계를 형성하도록 코일이 권선되는 고정자와, 고정자 내부에 샤프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를 주요 구성으로 하며, 고정자가 발생시키는 자속이 회전자와 상호 작용을 일으켜 회전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고정자(Stator)는 발전기나 전동기에서 고정되어 있는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외부에서 전기를 받아 역학적 일 (work)을 하는 전동기, 그리고 역학적 일을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에서의 역학적 운동은 대부분 원운동이다. 따라서 이 장치들에서는 회전하는 부분과 고정되어 있는 부분이 필연적으로 존재하는데, 회전하는 부분을 회전자, 고정된 부분을 고정자라고 한다. 전동기나 역학적 발전기는 자기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자기장을 제공하는 자석과, 전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도체판 또는 도선이 필수적이다. 전동기나 발전기의 세부 방식에 따라 자석이 회전자, 도선이 고정자가 되기도 하고, 반대로 자석이 고정자, 도선이 회전자가 되기도 한다.
한편, 통상적으로 모터의 출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는 코일에 의한 기자력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은 기자력은 코일의 턴수에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고출력의 모터를 구현하기 위하여는 코일의 턴수를 늘리는방안이 고려되어야 하나, 이는 다른 측면에서 모터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모터의 구조적 변경이 점적율의 극대화 등과 같이, 고출력을 얻을 수 있으면서도 소형화된 모터를 구현하는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또한 점적율 증대됨에 따라 코일의 두께는 커지게 되어 코일이 권선되는 고정자 자체에 권선은 어렵게 되어 그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었으나, 종래 기술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43992호(2014. 09. 17)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72869호(2019. 04. 22)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에 고정자 하우징, 마그넷 와이어, 고정자 케리어 상단 어셈블리, 고정자 케리어 하단 어셈블리, 결합부, 실링조립부, 코일결선 와이어 연결부 및 단턱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밀폐된 고정자 내부 공간부에 열발산 물질주입으로 냉각성능 향상 및 방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열발산 물질 외 작동유 등 냉매 주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파우더 코어 끝단부 경사면 및 단차를 추가한 것이고. 제5목적은 코일 결선은 외부에서 진행 후 삽입 가능하도록 공정 간소화 및 코일 조립이 간단한 장점이 있고, 제6목적은 코일 권선에 따른 잔여 공간을 최소화 하여 점적율(Space Factor) 및 기자력(起磁力, magnetomotive force)을 향상시키고, 제7목적은 두꺼운 코일의 코일링 후 조립이 용이하게 하는 고정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고, 제8목적은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는 복수개의 분말코어(예: 연자성 재질의 분말 소결)와 비금속재의 스태이터 하우징을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감싸는 구조이며 분말 코어에 감싸진 형상은 인슐레이터(예: 코어의 절연 기능)의 역할을 대신하며, 제9목적은 상/하부 연결부의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고정자 케리어는 코어의 접촉면, 회전축과의 밀폐성을 유지하기 위해 결합형 구조로 되어 있고, 그 밀폐된 공간에 내열성 열발산 향상 물질 또는 비전도성 냉각제를 투입하여 방수 기능, 내부 절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0목적은 냉각효율 향상을 최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1목적은 축방향 자속 모터 및 고정자 조립체의 제조 및 조립 방법은, 고정자 코어를 상/하로 분리하여 제작하고, 분리된 코어와 상/하부 스태이터 가이드를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끼워 맞춤으로 조립함으로써, 그 사이에 기성형된 평각선, 원형 코일을 삽입하는 구조로 조립되어, 조립성 향상과 점적율 증대로 모터의 출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2목적은 이로 인해 고정자 조립체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전자석화된 코어에 인력 및 척력을 작용시켜 로터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마그넷 와이어; 상기 마그넷 와이어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구조로 이루어지는,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상부파우더코어와, 외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고정자가이드를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제작되는 상부고정자케리어를 구비하는 고정자 케리어 상단 어셈블리; 및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하부파우더코어와, 하부파우더코어가 끼워져 구비되는 하부고정자케리어와, 외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고정자가이드를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제작되는 하부고정자케리어를 구비하는 고정자 케리어 하단 어셈블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에 고정자 하우징, 마그넷 와이어, 고정자 케리어 상단 어셈블리, 고정자 케리어 하단 어셈블리, 결합부, 실링조립부, 코일결선 와이어 연결부 및 단턱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밀폐된 고정자 내부 공간부에 열발산 물질주입으로 냉각성능 향상 및 방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발산 물질 외 작동유 등 냉매 주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우더 코어 끝단부 경사면 및 단차를 추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 결선은 외부에서 진행 후 삽입 가능하도록 공정 간소화 및 코일 조립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코일 권선에 따른 잔여 공간을 최소화 하여 점적율(Space Factor) 및 기자력(起磁力, magnetomotive force)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두꺼운 코일의 코일링 후 조립이 용이하게 하는 고정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는 복수개의 분말코어(예: 연자성 재질의 분말 소결)와 비금속재의 스태이터 하우징을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감싸는 구조이며 분말 코어에 감싸진 형상은 인슐레이터(예: 코어의 절연 기능)의 역할을 대신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하부 연결부의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고정자 케리어는 코어의 접촉면, 회전축과의 밀폐성을 유지하기 위해 결합형 구조로 되어 있고, 그 밀폐된 공간에 내열성 열발산 향상 물질 또는 비전도성 냉각제를 투입하여 방수 기능, 내부 절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냉각효율 향상을 최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축방향 자속 모터 및 고정자 조립체의 제조 및 조립 방법은, 고정자 코어를 상/하로 분리하여 제작하고, 분리된 코어와 상/하부 스태이터 가이드를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끼워 맞춤으로 조립함으로써, 그 사이에 기성형된 평각선, 원형 코일을 삽입하는 구조로 조립되어, 조립성 향상과 점적율 증대로 모터의 출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고정자 조립체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의 부분
결합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의 요부
확대 단면도.
본 발명에 적용된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전자석화된 코어에 인력 및 척력을 작용시켜 로터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마그넷 와이어(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 발명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100)는 상기 마그넷 와이어(120)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상부파우더코어(135)와, 상부파우더코어(135)가 끼워져 구비되는 상부고정자케리어(131)와, 상부고정자케리어(131)의 외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고장자가이드(137)가 구비된 고정자 케리어 상단 어셈블리(13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하부파우더코어(145)와, 하부파우더코어(145)가 끼워져 구비되는 하부고정자케리어(141)와, 하부고정자케리어(141)의 외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고장자가이드(147)가 구비된 고정자 케리어 하단 어셈블리(1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 고정자가이드(137)(147)에는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100)를 상호 고정 설치하는 볼트(138)(148)가 조립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하부 고정자케리어(131)(141)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요홈(190)이 형성되고, 이 요홈(190)과 대향되는 위치의 상하부 고정자가이드(137)(147)에는 요홈(190)에 각각 끼워지게 복수개의 돌기(19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상하부 고정자케리어(131)(141)가 상호 맞닿아 결합되는 부위는 상호 단턱진 부위에 의해 긴밀히 결합되도록 결합부(1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마그넷와이어(120)의 상하단에는 각각 코일 결선시 와이어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돌출 연장된 코일결선 와이어 연결부(170)가 구비된다.
또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상하부 고정자케리어(131)(141)에는 열전도성/ 내열성 화합물(예: 열/상온 경화 변성 혼합 에폭시 수지)을 주입한 후 밀봉시킬 수 있도록 상호 암수결합 조립되는 실링조립부(1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실링조립부(160)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하부 고정자케리어(131)(141)의 내부에는 열전도성/내열성 화합물이 주입되는 공간부(16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상하부 고정자케리어(131)(141)에는 내부에 상하부 파우더코어(135)(145)가 삽입되도록 구멍(132)(14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 고정자케리어(131)(141)에는 상하부 파우더코어(135)(145)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턱부(18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상하부 파우더코어(135)(145)의 끝단부에는 경사면 및 단차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100)는 연자성 재질의 분말 소결로 이루어진 상하부 파우더 코어(135)(145)와 비금속재의 고정자 하우징(110)을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파우더 코어에 감싸진 형상은 코어의 절연 기능을 하는 인슐레이터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코일 권선에 따른 잔여 공간을 최소화 하여 점적율(Space Factor) 및 기자력(起磁力, magnetomotive force)을 향상시키고, 두꺼운 코일의 코일링 후 조립이 용이하게 하는 고정자 조립체의 구조와 냉각효율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100)의 전체 분해 사시도로, 다수개의 부품이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100)의 부분 결합상태 사시도로, 고정자하우징(110)과 마그넷 와이어(120)를 기준으로 고정자 케리어 상단 어셈블리(130)와 고정자 케리어 히단 어셈블리(140)가 조립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100)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다수개의 부품이 상호 결합된 상태의 요부를 보인 확대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상부파우더코어(135)와, 외부에 고저 설치되는 상부고정자가이드(137)를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제작되는 상부고정자케리어(131)를 구비하는 고정자 케리어 상단 어셈블리(130)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하부파우더코어(145)와, 외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고정자가이드(147)를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제작되는 하부고정자케리어(141)를 구비하여 고정자 케리어 하단 어셈블리(140)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고정자하우징(110)과 마그넷 와이어(120)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자 케리어 상단 어셈블리(130)와 고정자 케리어 히단 어셈블리(140)를 함께 조립하여 도 3 과 같이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은 밀폐된 고정자 내부 공간부(165)에 열발산 물질주입으로 냉각성능 향상 및 방수가 가능하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고,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열발산 물질 외 작동유 등 냉매 주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 파우더 코어(135)(145) 끝단부 경사면 및 단차를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마그넷 와이어(120)의 코일 결선은 외부에서 진행 후 삽입 가능하도록 공정 간소화 및 코일 조립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코일 권선에 따른 잔여 공간을 최소화 하여 점적율(Space Factor) 및 기자력(起磁力, magnetomotive force)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100)는 연자성 재질의 분말 소결로 이루어진 상하부 파우더 코어(135)(145)와 비금속재의 고정자 하우징(110)을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파우더 코어에 감싸진 형상은 코어의 절연 기능을 하는 인슐레이터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 상/하부 연결부의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고정자 케리어(131)(141)는 코어의 접촉면, 회전축과의 밀폐성을 유지하기 위해 결합형 구조로 되어 있고, 그 밀폐된 공간에 내열성 열발산 향상 물질 또는 비전도성 냉각제를 투입하여 방수 기능, 내부 절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냉각효율 향상을 최대화 시킬 수 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축방향 자속 모터 및 고정자 조립체의 제조 및 조립 방법은, 고정자 코어를 상/하로 분리하여 제작하고, 분리된 코어와 상/하부 스태이터 가이드를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끼워 맞춤으로 조립함으로써, 그 사이에 기성형된 평각선, 원형 코일을 삽입하는 구조로 조립되어, 조립성 향상과 점적율 증대로 모터의 출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결과 본 발명은 Motor 완성품 조립 후 Rotor와 Magnet Wire간 분리 구조가 가능하고, 절연 및 내 전압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열 발산을 도와주는 물질 주입 시 방수 기능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특히 코일 권선에 따른 잔여 공간을 최소화 하여 점적율(Space Factor) 및 기자력(起磁力, magnetomotive force)을 향상시키고, 두꺼운 코일의 코일링 후 조립이 용이하게 하는 고정자 조립체의 구조와 냉각효율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고정자 조립체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
110: 고정자 하우징
120: 마그넷 와이어
130: 고정자 케리어 상단 어셈블리
140: 고정자 케리어 하단 어셈블리
150: 결합부
160: 실링조립부
170: 코일결선 와이어 연결부
180: 단턱부

Claims (3)

  1. 코일 권선에 따른 잔여 공간을 최소화 하여 점적율(Space Factor) 및 기자력(起磁力, magnetomotive force)을 향상시키고, 두꺼운 코일의 코일링 후 조립이 용이하게 하는 고정자 조립체의 구조와 냉각효율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100)에 관한 것으로,
    전자석화된 코어에 인력 및 척력을 작용시켜 로터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마그넷 와이어(120);
    상기 마그넷 와이어(120)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구조로 이루어지고,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상부파우더코어(135)와, 외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고정자가이드(137)를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제작되는 상부고정자케리어(131)를 구비하는 고정자 케리어 상단 어셈블리(130); 및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하부파우더코어(145)와, 하부파우더코어(145)가 끼워져 구비되는 하부고정자케리어(141)와, 외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고정자가이드(147)를 함께 인서트 사출하여 제작되는 하부고정자케리어(141)를 구비하는 고정자 케리어 하단 어셈블리(140);가 포함되되,
    상기 상하부 고정자케리어(131)(141)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요홈(190)이 형성되고, 이 요홈(190)과 대향되는 위치의 상하부 고정자가이드(137)(147)에는 요홈(190)에 각각 끼워지게 복수개의 돌기(191)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 고정자케리어(131)(141)가 상호 맞닿아 결합되는 부위는 상호 단턱진 부위에 의해 긴밀히 결합되도록 결합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마그넷와이어(120)의 상하단에는 각각 코일 결선시 와이어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돌출 연장된 코일결선 와이어 연결부(17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고정자케리어(131)(141)에는,
    내부의 상하부파우더코어(135)(145)의 측면까지 감싸는 구조로 인슐레이터 역할이 포함되며, 동시에 전도성 화합물을 주입한 후 밀봉시킬 수 있도록 상호 암수결합 조립되는 실링조립부(16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
  3. 삭제
KR1020200177772A 2020-12-17 2020-12-17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 KR102265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772A KR102265173B1 (ko) 2020-12-17 2020-12-17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772A KR102265173B1 (ko) 2020-12-17 2020-12-17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173B1 true KR102265173B1 (ko) 2021-06-16

Family

ID=7660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772A KR102265173B1 (ko) 2020-12-17 2020-12-17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1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278A (ko) * 1986-06-19 1988-03-24 제임즈 제이 시거인 자동차 표면에 장착 가능한 화물 선반
JP2000253635A (ja) * 1998-12-28 2000-09-14 Shibaura Densan Kk アキシャルギャップモータ
KR101443992B1 (ko) 2009-09-29 2014-09-23 아메리칸 수퍼컨덕터 코포레이션 고정자 조립체
JP2015180147A (ja) * 2014-03-19 2015-10-08 マツダ株式会社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
KR101972869B1 (ko) 2017-04-25 2019-04-26 엘씨 텍(주) 슬롯리스 bldc 모터의 고정자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치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278A (ko) * 1986-06-19 1988-03-24 제임즈 제이 시거인 자동차 표면에 장착 가능한 화물 선반
JP2000253635A (ja) * 1998-12-28 2000-09-14 Shibaura Densan Kk アキシャルギャップモータ
KR101443992B1 (ko) 2009-09-29 2014-09-23 아메리칸 수퍼컨덕터 코포레이션 고정자 조립체
JP2015180147A (ja) * 2014-03-19 2015-10-08 マツダ株式会社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
KR101972869B1 (ko) 2017-04-25 2019-04-26 엘씨 텍(주) 슬롯리스 bldc 모터의 고정자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8412B1 (ko) 고에너지 적 자석을 가진 서보모터
US4868970A (en) Method of making an electric motor
US4954739A (en) Servo motor with high energy product magnets
US20090096313A1 (en) Stator for rotating electrical machine, part to be used for st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ator for rotating electrical machine
WO2013099343A1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回転電機
EP1653585A1 (en) Insulated stator with wire routing element
CN105026000A (zh) 具有冷却装置的电机及其制造方法
CN101779365A (zh) 转子组件
US20150288230A1 (en) Stator or rotor
JP2010136571A (ja) 回転電機用ステータ
KR20150077443A (ko) 전기 모터 또는 발전기를 위한 치부
JP4631340B2 (ja) 回転電機
US20050218745A1 (en) Stepping motor with dual-layer bobbin cover
KR102265173B1 (ko) 밀폐형 구조의 고정자 코어 유닛 조립체
US20080284273A1 (en) Lead frame
US11713754B2 (en) Device for driving a compress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device
JP2010114998A (ja) コイルユニットおよび電磁部品
JP7004766B2 (ja) 絶縁装置を備える圧縮機の駆動装置
GB2348322A (en) Air-gap winding impregnated with magnetic material in a binder
US20230069671A1 (en) Motor with stator formed from stator motorettes and compression spacers for increased heat transfer efficiency
EP3796526A1 (en) Molded motor
WO2024084845A1 (ja) 電動機
US20220324298A1 (en) Device for driving a compres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evice
JPWO2011092928A1 (ja) 回転電機
US11223247B2 (en)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