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098B1 - 스마트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098B1
KR102265098B1 KR1020210026020A KR20210026020A KR102265098B1 KR 102265098 B1 KR102265098 B1 KR 102265098B1 KR 1020210026020 A KR1020210026020 A KR 1020210026020A KR 20210026020 A KR20210026020 A KR 20210026020A KR 102265098 B1 KR102265098 B1 KR 102265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ata
smart farm
control devic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풍
Original Assignee
김천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풍 filed Critical 김천풍
Priority to KR102021002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1/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switching-on in case an undesired electric working condition might result
    • H02H11/0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switching-on in case an undesired electric working condition might result in case of inverted polarity or connection; with switching for obtaining correct 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1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for d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H02H7/085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specially adapted for motors rotating in both dir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9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over-voltage; against reduction of voltage; against phase interru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팜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소프트웨어 및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모터, 전자밸브, 팬, 조명, 펌프, 관수설비 및 기타 장치를 제어하며,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소프트웨어 및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팜 제어장치{Control device for smart farm}
본 발명은 스마트팜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소프트웨어 및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모터, 전자밸브, 팬, 조명, 펌프, 관수설비 및 기타 장치를 제어하며,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소프트웨어 및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도시환경이 지하 환경으로 확대되어 개발됨에 따라 도심에서의 생활환경이 열악해지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는 지하공간에 대한 인간 친화적인 환경 개선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는데, 정보통신기술을 농업의 생산/가공/유통/소비 등에 접목하여 원격에서 자동으로 작물의 생육환경을 관리하고 생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식물재배를 농촌 환경이 아닌 도심 속에 구축하는 스마트팜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팜을 제어하는 종래의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7831호로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기술은 차광장치, 급수장치, 환기장치, 온도조절장치, 습도조절장치, 산소농도조절장치 및 양액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시설물 장치가 설치되고, 밀폐된 공간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시설, 상기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시간별로 농작물 환경이 조성되게 상기 시설물 장치를 제어하는 시간 스케줄 정보를 송신하는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서 송신된 상기 시간 스케줄 정보에 따라 상기 시간별로 상기 시설물 장치를 동작시키는 IOT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IOT 제어 장치는, 상기 농작물 재배시설의 내부 온도 값이 설정된 기준 시간 온도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농작물 재배시설의 외부 온도 값과 상기 내부온도 값 사이의 제1 편찻값 및 상기 내부 온도 값과 상기 기준 시간 온도 범위 사이의 제2 편찻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1 편찻값을 기반으로 상기 농작물 재배시설의 환기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편찻값을 기반으로 상기 시간 스케줄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시설물 장치의 동작시간을 재설정하여 상기 시설물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기존에 DC, AC 제어를 이용하던 종래의 기기들이 아닌 별도의 장치들로 구성되어 있어 설치비용이 많이 들며, 기존의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체 시스템을 전부 교체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투자되어야 하며 일반 농민들이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7831호(2020.05.27.)
본 발명은 메인 소프트웨어 및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모터, 전자밸브, 팬, 조명, 펌프, 관수설비 및 기타 장치를 제어하며,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소프트웨어 및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역전류방지 기능을 가지고, 종래의 기기들을 제어하는 규격인 DC, AC 제어가 가능하여, 기존 비닐하우스 및 유리온실에서 사용하던 장치들과 별도의 연결장치 없이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소프트웨어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110);
외부장치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외부신호 송수신부(120);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 및 외부신호 송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130);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모터, 전자밸브, 팬, 조명, 펌프, 관수설비 및 기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40); 및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30)의 제어신호 및 상기 제어부(140)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50);를 포함하는 스마트팜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소프트웨어 및 외부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AC 제어를 위한 AC제어장치(143)와, DC 제어를 위한 DC제어장치(144)를 포함하여 개폐모터, 전자밸브, 팬, 조명, 펌프, 관수설비 및 기타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 및 외부신호 송수신부(120)는 유선연결 및 무선연결 모두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 및 외부신호 송수신부(120)는 유선연결 및 무선연결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AC 및 DC 동작 시 해당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값측정센서(14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AC제어장치(143)와 DC제어장치(144)의 제어 시 발생될 수 있는 역전류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역전류방지장치(141)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150)는 상기 제어부(140)에서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전류값측정센서(142)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대한 기계학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DC제어장치(144)의 정방향에서 역방향 또는 역방향에서 정방향으로의 제어 시 모터의 과부하 및 단락, 과전압 방지를 위한 인터록 기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측정센서(142)는 센서의 영점을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팜 제어장치는, 기존에 DC, AC 제어를 통해 제어되던 기기들에 바로 적용하여 제어할 수 있어,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등에 사용되는 기존 장치들과 본 발명의 스마트팜 제어장치를 결합하여 스마트팜을 구축할 수 있어 종래의 스마트팜 구축을 위해 구동장치 등을 새로 설치하여 발생하던 과도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역전류방지 기능을 통해 다양한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전류로 인해 스마트팜 제어장치에 발생할 수 있는 제어장치의 파손 또는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데이터 송수신부 및 외부신호 송수신부에서 유선연결 및 무선연결 모두에 대응하여 제어콘솔 형태의 장치와의 유선연결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한 무선연결이 가능하여, 현장에서 또는 현장 밖에서 제어가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 작업자가 접속하여 제어할 수 있어 관리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 및 외부신호 송수신부는 유선연결 및 무선연결 중 선택하여 1개의 연결만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 연결을 동시에 대응할 수 있어, 유선으로 연결한 단말이 있더라도 외부에서 무선으로 연결하여 스마트팜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마트팜 제어장치는 제어신호생성부의 제어신호, 제어부의 처리결과 및 전류값측정센서에서 제공되는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대응 또는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대응할 수 있다. 즉, 유사한 제어신호 또는 환경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 이전에 수행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종래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대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누적된 데이터에 따른 최적의 생육환경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스마트팜의 운영을 유도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스마트팜 제어장치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현재 입력된 작물정보 및 환경정보에 대응하여 날씨 정보와 같은 환경정보 및 크롤링을 통한 해당 작물에 대한 최신 뉴스를 작업자에게 제공하여 스마트팜을 운용하는 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제어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부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부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팜 제어장치 일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역전류방지장치 일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소프트웨어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110);
외부장치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외부신호 송수신부(120);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 및 외부신호 송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130);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모터, 전자밸브, 팬, 조명, 펌프, 관수설비 및 기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40); 및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30)의 제어신호 및 상기 제어부(140)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50);를 포함하는 스마트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는 메인 소프트웨어 및 스마트팜 제어장치 사이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메인 소프트웨어는 스마트팜 내부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온도, 습도, 조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를 통해 스마트팜 제어장치로 송신한다.
즉, 상기 메인 소프트웨어는 상기 센서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스마트팜 내부의 상황을 판단하고, 미리 입력된 작물데이터 및 작물생장환경데이터와 상기 센서에서 수집된 현재 환경데이터를 대조하여, 현재 스마트팜의 환경을 작물의 최적 생장환경으로 맞추기 위하여 스마트팜 내 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이를 상기 스마트팜 제어장치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는 유선연결 및 무선연결 모두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는 USB 또는 RJ45와 같은 유선연결 규격에 대응하는 단자를 갖추어, 메인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메인보드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는 Bluetooth, LTE 또는 WIFI를 통하여 메인 소프트웨어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송수신부의 구성에 있어서 하나의 연결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타입의 연결방식을 사용할 수 있어 작업자의 선택의 폭이 넓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는 유선연결 및 무선연결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유선연결로 제어단말 한 대가 연결된 상황에서 다른 제어단말이 무선연결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스마트팜 내에서 유선으로 연결한 제어단말을 이용하여 현장 제어를 수행하고, 작업자가 외부에 나갔을 때 WIFI 혹은 LTE 망과 같은 무선연결을 통하여 스마트팜을 제어할 수 있어 작업자가 어디에 있든지 스마트팜을 제어할 수 있어 스마트팜의 제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외부신호 송수신부(120)는 컴퓨터, 핸드폰 등의 외부장치 및 스마트팜 제어장치 사이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마트팜 제어장치는 메인 소프트웨어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스마트팜 내부의 각종 장치를 제어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컴퓨터, 핸드폰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스마트팜 내부의 각종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신호 송수신부(120)는 유선연결 및 무선연결 모두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신호 송수신부(120)는 USB 또는 RJ45와 같은 유선연결 규격에 대응하는 단자를 갖추어 외부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신호 송수신부(120)는 Bluetooth, LTE 또는 WIFI를 통하여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부신호 송수신부(120)는 유선연결 및 무선연결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30)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 및 외부신호 송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모터, 전자밸브, 팬, 조명, 펌프, 관수설비 및 기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장치는 현재 스마트팜의 운전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LED 램프 및 기타 스마트팜의 통창, 문, 창문, CCTV, 환기구 개폐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가 조명을 조절하는 경우, 조명의 조도, 파장, 색상 등을 조절할 수 있고, 미리 입력된 패턴으로 시간에 따라 조명의 조도, 파장 및 색상의 변화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 소프트웨어 및 외부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소프트웨어 및 외부장치는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신한 제어명령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만일 송신한 제어명령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으면, 추가 제어명령을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 및 외부신호 송수신부(120)를 통하여 제어부(140)로 송신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부합하는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AC 제어를 위한 AC제어장치(143)와, DC 제어를 위한 DC제어장치(144)를 포함하여 개폐모터, 전자밸브, 팬, 조명, 펌프, 관수설비 및 기타 장치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마트팜 제어장치는 기존의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에서 사용되던 AC 제어 또는 DC 제어 방식을 사용하는 장치들을 그대로 사용하여 스마트팜을 구성할 수 있다.
보다 쉽게 설명하자면, 종래에는 스마트팜을 구성하기 위해서 기존의 비닐하우스 또는 유리온실에서 사용하던 장치들을 전부 교체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스마트팜 제어장치의 경우 종래의 장치들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던 AC 제어 또는 DC 제어를 사용할 수 있어, 기존의 장치들을 재활용하여 스마트팜을 구성할 수 있어 스마트팜 구축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AC 및 DC 동작 시 해당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값측정센서(14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값측정센서(142)는 상기 제어부(140)에 입력되는 전류량을 통하여 현재 해당 장치들이 정상 작동 중인지 오작동 중인지를 판단하여 스마트팜 제어장치의 건전성 여부를 확인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는 정기적인 점검뿐만 아니라 실시간 전류값 측정 정보를 통하여 현재 제어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제어장치의 유지보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는 영점을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류값측정센서(142)의 측정값이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 해당 센서의 영점을 소프트웨어로 재설정하여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즉시 센서를 교체해야 하거나 하드웨어적으로 조정하였을 때 발생하던 시간 및 비용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스마트팜의 운용 가능한 시간을 극대화하여 경제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AC제어장치(143)와 DC제어장치(144)의 제어 시 발생될 수 있는 역전류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역전류방지장치(14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모터, 전자밸브, 팬, 조명, 펌프, 기타 장치에서 역전류가 발생하여 발생할 수 있었던 스마트팜 제어 장치의 파손 또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스마트팜 제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DC제어장치(144)는 정방향에서 역방향 또는 역방향에서 정방향으로의 제어 시 모터의 과부하 및 단락, 과전압 방지를 위한 인터록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50)는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30)의 제어신호 및 상기 제어부(140)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처리하며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50)는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30)의 제어신호,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 상기 전류값측정센서(142)에서 측정된 전류값 등의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써, 스마트팜 제어장치의 오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현재 스마트팜의 환경을 작물의 최적 생장환경으로 맞추기 위하여 스마트팜 내 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최적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50)는 상기 제어신호생성부의 제어신호, 제어부의 처리결과 및 전류값측정센서에서 제공되는 환경정보를 시계열적인 데이터로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응 또는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팜 제어장치는 스마트팜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작업자가 직접 대응해야 할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작업자에게 알람을 통하여 알려주고, 자동으로 이전에 대응했던 대응책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유사한 제어신호, 처리결과 및 환경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 이전에 수행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수동으로 대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누적된 데이터에 따른 최적의 생육환경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스마트팜의 운영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 처리부(150)에 저장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30)의 제어신호,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 상기 전류값측정센서(142)에서 측정된 전류값 등의 데이터로부터, 현재 스마트팜의 환경을 작물의 최적 생장환경으로 맞추기 위하여 스마트팜 내 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최적의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선정하여, 이를 제어부(140)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추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팜 제어장치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현재 입력된 작물정보 및 환경정보에 대응하여 날씨 정보와 같은 환경정보 및 크롤링을 통한 해당 작물에 대한 최신 뉴스를 작업자에게 제공하여 스마트팜을 운용하는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팜 제어장치의 일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에는 220V의 AC와 +-24V DC 전원이 입력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AC제어장치(143) 및 상기 DC제어장치(144)에 AC 및 DC전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30)에 별도의 12V DC 전원이 입력되며, USB 및 Bluetooth 연결을 위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AC제어장치(143) 및 상기 DC제어장치(144)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역전류를 방지하는 상기 역전류방지장치(141)는 AC제어장치(143)에서 RC Snubber 보호회로를 이용하고, 상기 DC제어장치(144)에서 Free Wheeling 보호회로를 이용한다. 다만, 본 발명의 역전류방지장치(141)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데이터 송수신부
120: 외부회로 송수신부
130: 제어신호 생성부
140: 제어부 141: 역전류방지장치
142: 전류값측정센서 143: AC제어장치
144: DC제어장치
150: 데이터 처리부

Claims (7)

  1. 스마트팜 내부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메인보드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110);
    외부장치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외부신호 송수신부(120);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 및 외부신호 송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130);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모터, 전자밸브, 팬, 조명, 펌프, 관수설비 및 기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40); 및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30)의 제어신호 및 상기 제어부(140)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AC제어장치(143)와 DC제어장치(144)의 제어 시 발생될 수 있는 역전류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는 역전류방지장치(141)와,
    AC 및 DC 동작 시 해당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값측정센서(142)와,
    AC 제어를 위한 AC제어장치(143)와,
    DC 제어를 위한 DC제어장치(144)를 포함하며,
    상기 역전류방지장치(141)는 역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스마트팜 제어 장치의 파손 또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하고,
    상기 전류값측정센서(142)는 상기 제어부(140)에 입력되는 전류량을 통하여 해당 장치들이 정상 작동 중인지 오작동 중인지를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고, 작업자는 실시간 전류값 측정 정보를 통하여 스마트팜 제어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전류값측정센서(142)는 센서의 영점을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류값측정센서(142)의 측정값이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 해당 센서의 영점을 소프트웨어로 재설정하여 오차를 최소화하며,
    상기 제어부(140)는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메인보드 및 외부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메인보드 및 외부장치는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신한 제어명령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송신한 제어명령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으면, 추가 제어명령을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 및 외부신호 송수신부(120)를 통하여 제어부(140)로 송신하여, 추가 제어명령에 부합하는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150)는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30)의 제어신호,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를 수행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전류값측정센서(142)에서 측정된 전류값을 관리함으로써, 스마트팜 제어장치의 오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현재 스마트팜의 환경을 작물의 최적 생장환경으로 맞추기 위하여 스마트팜 내 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최적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40)로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150)는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130)의 제어신호, 제어부(140)의 처리결과 및 전류값측정센서(142)에서 제공되는 전류값을 시계열적인 데이터로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응 또는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제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110) 및 외부신호 송수신부(120)는
    유선연결 및 무선연결 모두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제어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제어장치(144)는 정방향에서 역방향 또는 역방향에서 정방향으로의 제어 시 모터의 과부하 및 단락, 과전압 방지를 위한 인터록 기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제어장치.
KR1020210026020A 2021-02-25 2021-02-25 스마트팜 제어장치 KR102265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020A KR102265098B1 (ko) 2021-02-25 2021-02-25 스마트팜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020A KR102265098B1 (ko) 2021-02-25 2021-02-25 스마트팜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098B1 true KR102265098B1 (ko) 2021-06-14

Family

ID=7641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020A KR102265098B1 (ko) 2021-02-25 2021-02-25 스마트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0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429B1 (ko) * 2011-01-07 2011-09-06 주식회사 다인산전 인버터를 이용한 자연 에너지 난방 시스템
KR101887503B1 (ko) * 2017-06-13 2018-08-10 (주)다온정보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한 시설하우스 제어장치
KR20200057831A (ko) 2018-11-14 2020-05-27 신성민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KR102081983B1 (ko) * 2019-08-28 2020-05-29 주식회사 터보코리아이엔에스 사물인터넷 및 인공지능 기반의 터보 송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429B1 (ko) * 2011-01-07 2011-09-06 주식회사 다인산전 인버터를 이용한 자연 에너지 난방 시스템
KR101887503B1 (ko) * 2017-06-13 2018-08-10 (주)다온정보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한 시설하우스 제어장치
KR20200057831A (ko) 2018-11-14 2020-05-27 신성민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KR102081983B1 (ko) * 2019-08-28 2020-05-29 주식회사 터보코리아이엔에스 사물인터넷 및 인공지능 기반의 터보 송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075B1 (ko) 스마트팜 제어 시스템
US10517226B2 (en) Spectral deficiency drive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in plant growth automation
US20180010817A1 (en) Submerged, self-sustained waterborne data center facility
US20130066470A1 (en) Automated building monitoring system
KR20140114089A (ko) 원예시설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9915193B (zh) 液压支架控制系统
CN105634815A (zh) 应用于光纤配线网络的智能odn设备管理系统及方法
CN109298684A (zh) 一种基于云平台的远程智能植保监控管理系统
CN205721456U (zh) 基于4g网络的温室大棚环境远程监控系统
KR20090027284A (ko) 온실 무선경보 감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감시방법
KR102265098B1 (ko) 스마트팜 제어장치
KR102265100B1 (ko) 스마트팜 제어시스템
CN105892532A (zh) 一种蔬菜大棚环境智能调控系统
CN104699042A (zh) 一种基于物联网的设施农业管控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248192A (zh) 光伏农业温棚及其环境参数控制方法、装置
CN111650981A (zh) 一种基于多传感器的畜牧远程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7691032A (zh) 一种基于云计算的无线农业大棚控制系统
KR20170057493A (ko) 로봇을 기반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CN214311419U (zh) 一种智能环境监测系统
KR102463605B1 (ko) IoT를 적용한 작업 자동화 시스템
KR102272472B1 (ko) 복합 제어 스마트팜 시스템
KR102318681B1 (ko) 스마트 팜 원격 제어 시스템
KR20180127566A (ko) 식물생장 환경을 모니터링하며 led 조명을 제어하는, 농장 자동화 시스템
KR20180075186A (ko) Sun 통신이 적용된 복수의 온실 재배 시설의 원격 제어 시스템
CN104090547A (zh) 一种智能多协议一体化无线网络传输与控制装置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