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604B1 -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발화체 투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발화체 투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604B1
KR102264604B1 KR1020190138807A KR20190138807A KR102264604B1 KR 102264604 B1 KR102264604 B1 KR 102264604B1 KR 1020190138807 A KR1020190138807 A KR 1020190138807A KR 20190138807 A KR20190138807 A KR 20190138807A KR 102264604 B1 KR102264604 B1 KR 102264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ignition device
unit
aerial vehicle
unmanned a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028A (ko
Inventor
우충식
김인섭
김기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38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604B1/ko
Priority to PCT/KR2020/007889 priority patent/WO2021085788A1/ko
Publication of KR20210053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2201/128
    • B64C2201/1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6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발화체 투하 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무인 비행체에 고정되며,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의 기본 프레임을 제공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로부터 기 설정된 고도에서 분리되어 투하되며, 지표 또는 공중에서 발화하는 발화 장치, 상기 장착부에 상기 발화 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설정된 고도에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발화 장치를 분리하여 투하하는 투하 장치 및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발화 장치로 발화와 관련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착화 스위치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발화체 투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시스템{Apparatus for Dropping ignition using Unmanned Air Vehicle and Dropping ignition Systems Including Them}
본 발명은 발화체 투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발화체 투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발화체는 열이 가해지면 기폭하는 형태로, 공중에서 투하하는 경우에 목표물 또는 지면과 맞닿게 되면서 기폭하지 못하고 발화체의 기능이 상실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공중에서 투하하기 위한 발화체는 도화선에 불을 붙여 투하하는 등의 여러 측면에서 적용하기에는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비현실 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발화체 투하 장치에 있어서, 무인 비행체와 연결된 장착부에 다수의 발화 장치가 연결되어 공중에서 투하 시 분리함으로써, 기 설정된 고도에서 무인 비행체를 이용하여 발화 장치 투하하여 목표한 위치에 근접하여 발화 장치를 발화시키는 것에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화체 투하 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무인 비행체에 고정되며,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의 기본 프레임을 제공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로부터 기 설정된 고도에서 분리되어 투하되며, 지표 또는 공중에서 발화하는 발화 장치, 상기 장착부에 상기 발화 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설정된 고도에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발화 장치를 분리하여 투하하는 투하 장치 및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발화 장치 측으로 발화와 관련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착화 스위치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부는 상기 무인 비행체 내부의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투하 신호에 의해 상기 투하 장치에서 상기 발화 장치를 분리하여 공중 투하하기 위한 전원 및 상기 발화 신호에 의해 상기 발화 장치 내부의 폭발성 물질을 연소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화 장치는 상기 폭발성 물질로 형성되어 충격 또는 열에 의해 기폭되어 발화하는 점화부 및 액체 또는 고체로 형성되며, 상기 점화부에서 발생한 불을 유지하기 위한 연료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인 비행체로부터 공중 투하 시 분리되는 고도를 설정하고, 상기 투하 장치 및 상기 착화 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투하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하 관리부는 상기 무인 비행체에 연결되어 비행 시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환경 정보를 생성하는 환경 인식부 및 상기 환경 정보를 통해 상기 발화 장치의 투하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건 설정부는 상기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의 비행 시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위치 좌표 계산부 및 상기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발화 장치를 투하할 투하 지점의 투하 좌표를 설정하는 좌표 설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하 관리부는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투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발화 장치의 발화 조건을 계산하는 투하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하 계산부는 상기 투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장착부와 연결된 상기 발화 장치가 공중 투하 시 분리되는 무인 비행체의 비행 고도를 설정하는 고도 설정부, 상기 비행 고도를 이용하여 발화 장치가 지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하는 도달 시간 계산부 및 상기 비행 고도 및 상기 지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발화 장치의 기폭 시간을 설정하는 기폭 시간 설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하 관리부는 상기 투하 계산부를 이용하여 상기 발화 장치가 지표 또는 공중에서 발화하기 위해 상기 투하 장치 및 상기 착화 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투하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하 제어부는 상기 발화 장치의 기폭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투하 장치를 작동시키는 개폐 제어부 및 상기 발화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설정된 고도에서 착화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착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하 관리부는 상기 발화 장치, 상기 투하 장치 및 상기 착화 스위치의 동작을 점검하여 점검 완료 정보를 생성하는 점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하 제어부는 상기 점검 완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발화 장치, 상기 투하 장치 및 상기 착화 스위치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발화 장치, 상기 투하 장치 및 상기 착화 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하 관리부는 상기 발화 장치, 상기 투하 장치 및 상기 착화 스위치의 동작을 점검하여 점검 완료 정보를 생성하는 점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하 제어부는 상기 점검 완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발화 장치, 상기 투하 장치 및 상기 착화 스위치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발화 장치, 상기 투하 장치 및 상기 착화 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하 장치는 상기 무인 비행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 받으며, 상기 투하 장치는 서브 모터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어 상기 발화 장치와 상기 장착부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발화체 투하 장치와 연결되는 무인 비행체에 있어서, 별도의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무인 비행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전력을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에 전달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배터리에서 전달된 전압을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가 이용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유지하는 정전압 컨버터 및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를 운용할 경우 불안정해지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압 안정부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투하 신호에 의해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의 발화 장치를 공중에 투하하기 위한 전원을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에 인가하고, 상기 발화 신호에 의해 상기 발화 장치 내부의 폭발성 물질을 연소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발화체 투하 장치 및 무인 비행체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시스템에 있어서, 별도의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무인 비행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전력을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에 전달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배터리에서 전달된 전압을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가 이용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유지하는 정전압 컨버터 및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를 운용할 경우 불안정해지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압 안정부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및 상기 무인 비행체에 연결되도록 탈착식으로 마련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다수로 연결되어 공중 투하 시 분리되며, 발화 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고도에서 내부의 폭발성 물질이 기폭되어 발화하는 발화 장치, 상기 발화 장치를 상기 장착부에 연결하고, 투하 신호에 의해 상기 설정된 고도에서 상기 발화 장치 투하 시 상기 발화 장치를 분리하는 투하 장치 및 상기 발화 신호에 의해 상기 발화 장치에 화력을 공급하는 착화 스위치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장치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개폐 및 착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지표 혹은 공중에서 발화가 가능하며, 개폐 및 착화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목표한 위치에 근접하여 발화하는 방식으로 지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하여 지면과 닿게 되며 발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에 연결되는 발화 장치의 개수 및 투하되는 발화 장치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맞불 작전의 규모에 따라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의 투하 관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 및 무인 비행체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 및 무인 비행체의 회로 구성 및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에 발화체 투하 장치가 연결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를 자세히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장착부(100), 투하 장치(200), 착화 스위치(300), 발화 장치(400) 및 투하 관리부(500)를 포함한다.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도 1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발화체 투하 시스템은 발화체 투하 장치(10) 및 무인 비행체(20)를 포함한다.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발화 장치(400)가 개폐 및 착화되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지표 쪼는 공중에서 발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발화 장치(400)를 공중에서 투하하고, 목표 위치에 근접하여 기폭하기 위한 장치이다.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분리 장치를 투하 장치에 활용하여 임무 수행 중 목표하는 위치에 발화 장치(400)를 투하하여 맞불 작전 시 사용할 수 있다.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발화 장치(400)의 투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맞불 작전의 규모에 따라 대응할 수 있다.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산불이 발생했을 때, 산불이 확장되기 전 산불 앞쪽에 의도적으로 불을 투하하여 미리 먼저 태움으로써 산불이 확장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설정된 위치에 발화 장치(400)를 투하하기 위한 것이다.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산불 발생 지역을 열 화상 카메라가 탑재된 무인 비행체 또는 환경 인식부(510)를 통해 영상을 획득한 후, 투하 지점의 좌표를 획득하여 발화 장치(400)를 투하할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장착부(100)는 별도의 무인 비행체(10)에 고정되며, 발화체 투하 장치(10)의 기본 프레임을 제공한다. 장착부(100)는 탈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00)는 무인 비행체(20) 내부의 전원 공급부(102)를 통해 투하 신호에 의해 투하 장치(200)에서 발화 장치(400)를 분리하여 공중 투하하기 위한 전원 및 발화 신호에 의해 발화 장치(400) 내부의 폭발성 물질을 연소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투하 장치(200)는 발화 장치(400)를 장착부(100)에 연결하고, 설정된 고도에서 발화 장치(400) 투하 시 발화 장치(400)를 분리하여 투하할 수 있다.
투하 장치(200)는 무인 비행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인 비행체(20)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투하 장치(200)는 서브 모터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분리되어 발화 장치(400)와 장착부(100)를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착화 스위치(300)는 발화 장치에 화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화 스위치(300)는 투하 장치(200)와 연결되어 발화 장치(400)에 전기를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화 스위치(300)는 전자 스위치 또는 점화 스위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화 장치(400)를 발화하기 위한 화력의 공급을 관리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발화 장치(400)는 장착부(100)에 다수로 연결되며, 장착부(100)로부터 기 설정된 고도에서 분리되어 투하되며, 지표 또는 공중에서 발화할 수 있다.
발화 장치(400)는 점화부(410) 및 연료부(420)를 포한한다. 발화 장치(400)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발화 장치(400)는 기폭 시간이 되면 발화 신호를 전달하는 타이머(2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화 장치(400)는 타이머(206)에 설정된 기폭 시간이 지나면 착화 스위치(300)에 의해 발화와 관련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 받아 발화할 수 있다.
점화부(410)는 폭발성 물질로 형성되어 충격 또는 열에 의해 기폭되어 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폭발성 물질은 화약, 폭탄 등과 같이 일부분에 충격 또는 열을 가하면 다량의 열을 발생하면서 기체의 팽창력에 의해 급격한 압력 상승이 일어나는 물질이다.
연료부(420)는 액체 또는 고체로 형성되며, 점화부(410)에서 발생한 불을 유지할 수 있다.
투하 관리부(500)는 무인 비행체(20)로부터 공중 투하 시 분리되는 고도를 설정하고, 투하 장치(200) 및 착화 스위치(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투하 관리부(500)는 별도의 프로세서로 장착부(100)에 마련될 수 있으며, 각 투하 장치(200)의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투하 관리부(5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의 투하 관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투하 관리부(500)는 환경 인식부(510), 조건 설정부(520), 투하 계산부(530) 및 투하 제어부(540)를 포함한다. 투하 관리부(500)는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인식부(510)는 무인 비행체(20)에 연결되어 비행 시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환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경 인식부(510)는 카메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건 설정부(520)는 환경 인식부(510)에서 생성된 환경 정보를 통해 발화 장치(400)의 투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조건 설정부(520)는 위치 좌표 계산부(522) 및 좌표 설정부(5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좌표 계산부(522)는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20)의 비행 시 위치 좌표를 계산할 수 있다.
좌표 설정부(524)는 위치 좌표 계산부(522)에서 계산된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발화 장치(400)를 투하할 투하 지점의 투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투하 계산부(530)는 조건 설정부(520)에서 설정된 위치 좌표 및 투하 좌표를 이용하여 발화 장치(400)의 발화 조건을 계산할 수 있다.
투하 계산부(530)는 고도 설정부(532), 도달 시간 계산부(534) 및 기폭 시간 설정부(53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도 설정부(532)는 투하 좌표를 이용하여 장착부(100)와 연결된 발화 장치(400)가 공중 투하 시 분리되는 무인 비행체(20)의 비행 고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달 시간 계산부(534)는 고도 설정부(532)에서 설정된 비행 고도를 이용하여 발화 장치(400)가 지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기폭 시간 설정부(536)는 고도 설정부(532)에서 설정된 비행 고도 및 도달 시간 계산부(534)에서 계산된 지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발화 장치(400)의 기폭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투하 제어부(540)는 투하 계산부(530)를 이용하여 발화 장치(400)가 지표 또는 공중에서 발화하기 위해 투하 장치(200) 및 착화 스위치(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투하 제어부(540)는 개폐 제어부(542) 및 착화 제어부(5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폐 제어부(542)는 발화 장치(400)의 기폭 시간에 도달할 때 투하 장치(2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착화 제어부(544)는 발화 장치(400)에 전기를 공급하여 설정된 고도에서 착화 스위치(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투하 관리부(500)는 발화 장치(400), 투하 장치(200) 및 착화 스위치(300)의 동작을 점검하여 점검 완료 정보를 생성하는 점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하 제어부(540)는 점검부에서 생성된 점검 완료 정보를 기반으로 발화 장치(400), 투하 장치(200) 및 착화 스위치(300)의 상태를 판단하여 발화 장치(400), 투하 장치(200) 및 착화 스위치(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검부는 발화 장치(400), 투하 장치(200) 및 착화 스위치(300)의 동작 유무 또는 동작 상태에 따라 점검 완료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발화 장치(400), 투하 장치(200) 및 착화 스위치(300)의 점검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미리 설정하여 점검 완료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 및 무인 비행체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장착부(100), 투하 장치(200), 착화 스위치(300) 및 발화 장치(400)를 포함한다. 무인 비행체(20)는 배터리(22), 수신기(24), 전압 안정부(26), 정전압 컨버터(28) 및 전원 공급부(102)를 포함한다. 발화체 투하 장치(10) 및 무인 비행체(20)는 도 3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02)는 발화체 투하 장치(10)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무인 비행체(20)의 배터리(22)를 통해 전달받은 전원을 발화체 투하 장치(10)로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부(102)는 투하 신호에 의해 발화체 투하 장치(10)의 발화 장치(400)를 공중에 투하하기 위한 전원을 발화체 투하 장치(10)에 인가하고, 발화 신호에 의해 발화 장치(400) 내부의 폭발성 물질을 연소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부(102)는 장착부(100)에 부착되어, 발화 장치(400)가 공중에서 투하되면 내부의 점화부(410)를 연소시키도록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및 적절한 전압 배분을 위해 수신기(24), 전압 안정부(26) 및 정전압 컨버터(28)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신기(24)는 지상에서 보내는 무인 비행체(20) 및 발화체 투하 장치(10)를 조종하기 위한 신호를 받을 수 있으며, 발화체 투하 장치(10)와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분리 시간 및 착화 시간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수신기(24)는 장착된 발화 장치(400)를 일시에 투하, 또는 개별적으로 투하가 가능하며, 최종적으로 투하된 발화 장치(400)는 분리 시간 및 착화 시간에 따라 목표 위치에서 기폭할 수 있다.
전압 안정부(26)는 각 발화체 투하 장치(10)의 구성 요소들을 동시에 운용할 경우 불안정해지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안정부(26)는 전압 안정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안정부(26)는 안정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 노이즈 또는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콘덴서일 수 있다.
정전압 컨버터(28)는 배터리(22)에서 전달된 전압을 각 발화체 투하 장치(10)의 구성요소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적정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압 컨버터(28)는 일정한 전압을 유지시켜주는 레귤레이터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인 비행체(20)는 장착부(100)와 연결된 투하 장치(200)를 통해 발화 장치(400)를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비행체(20)는 6개의 발화 장치(400)를 운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발화 장치(400)를 운반하여 맞불 작전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화체 투하 시스템은 발화체 투하 장치(10)의 안쪽부터 좌측 발화 장치(400) 및 우측 발화 장치(400)를 교차해서 투하할 수 있다. 발화체 투하 시스템은 발화 장치(400)가 분리되어 투하될 때, 좌측과 우측의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해 장착부(100)와 연결된 투하 장치(200) 및 발화 장치(400)의 위치가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의 발화 장치(400)를 하나 투하하는 경우, 좌측에는 2개의 발화 장치(400)가 위치하고 우측에는 3개의 발화 장치(4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발화체 투하 시스템은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해 좌측의 발화 장치(400) 및 투하 장치(2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 및 무인 비행체의 회로 구성 및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도 3의 발화체 투하 장치(10) 및 무인 비행체(20)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며, 도 4b는 도 3의 발화체 투하 장치(10) 및 무인 비행체(20)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발화체 투하 장치(10) 및 무인 비행체(20)의 회로는 배터리(22), 전원 공급부(102), 정전압 컨버터(28), 수신기(24), 투하 장치(200), 착화 스위치(300) 및 심지 연결 단자(306)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22)를 통해 공급된 전원은 전원 공급부(102)에 전달되어 정전압 컨버터(28)를 통해 적정 전압으로 변환되어 발화체 투하 장치(1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수신기(24)는 별도의 컨트롤러로부터 발화체 투하 장치(10)를 동작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24)는 투하 장치(200) 및 착화 스위치(3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지상에서 조종사가 보내는 신호 및 투하 관리부(500)를 통해 투하 장치(200) 및 착화 스위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착화 스위치(300)를 통해 발화 장치(400)에 화력이 공급되면, 심지 연결단자(306)를 통해 심지(302) 및 열선(304)에 화력이 전달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발화체 투하 장치(10) 및 무인 비행체(20)의 작동 원리는 투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410)에서 시작한다. 투하 신호는 투하 관리부(500)가 송신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지상의 조종사가 보내는 신호일 수 있다.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투하 신호를 수신 받으면(S420), 발화 장치(400)를 장착부(100)와 분리하기 위한 투하 장치(200)가 작동하고(S430), 발화 장치(400)를 발화하기 위한 착화 스위치(300)가 작동할 수 있다(S440).
단계 S440을 통해 착화 스위치가 작동하면, 열선(304)이 발화되는 단계(S442)를 거쳐 발화 장치(400)가 작동될 수 있다(S444).
따라서, 단계 S430 내지 단계 S444를 통해 발화 장치(400)가 투하되고 작동되며, 목표 위치에 근접하여 발화되어 종료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식 발화체 투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식 발화체 투하 장치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장착부(100), 투하 장치(200), 안전핀(202), 연결 고리(204), 착화 스위치(300), 발화 장치(400), 타이머(206), 배터리(208), 심지(302), 열선(304), 점화부(410) 및 연료부(420)를 포함한다.
연결 고리(204)는 투하 장치(200)와 발화 장치(400)를 연결하는 고리이다.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투하 장치(200)가 작동하면, 발화 장치(400)와 연결된 연결 고리(204)가 빠져나가게 되고 발화 장치(400)는 공중에서 투하될 수 있다.
안전핀(202)은 착화 스위치(300) 내에 적용되어 과열로 인한 기체 및 발화 장치(4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원활한 임무 수행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선(304)은 니크롬 선(스프링 형)에 전기를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핀(202)은 발화 장치(400)가 장착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발화 장치(400)가 장착부(100)에서 분리되지 않으면, 착화 스위치(300)에 전류를 차단하여 타이머 오작동 시 기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타이머식 발화체 투하 장치(10)이다. 타이머식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원하는 투하 위치를 설정한 후 고도 설정부(532)에서 무인 비행체(20)의 비행 고도를 설정할 수 있다.
타이머식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일정 비행 고도에서 중력 가속도 법칙에 의하여 발화 장치(400)가 지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도달 시간 계산부(534)에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기폭 시간 설정부(536)에서 무인 비행체(20)의 비행 전에 발화 시간을 타이머에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달 시간 계산부(534)에서 발화 장치(400)가 지면에 도달하는 시간의 계산은 수학식 1로 구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9112343536-pat00001
여기서, 발화 시간은 자유낙하 공식에 의거하여 낙하 높이(h)를 역산하여 낙하 시간(t)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h는 낙하 높이를 나타내고, g는 중력 가속도를 나타내고, t는 낙하 시간을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 5a의 타이머식 발화체 투하 장치(10)의 작동 원리는 투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610)에서 시작한다.
타이머식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단계 S620에서 투하 장치(200)가 투하 신호를 수신하면, 투하 장치(200)가 작동하며, 단계 S630에서 발화 장치(400)가 투하된다.
타이머식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단계 S632에서 발화 장치(400)가 투하됨과 동시에 착화 스위치(300)와 연결된 안전핀(202)이 제거되며, 단계 S640에서 착화 스위치(300)가 작동될 수 있다.
타이머가 작동되는 단계(S650)는 비행 전 설정된 발화 시간에 따라 타이머(206)가 작동된다. 타이머식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타이머(206)에 설정된 발화 시간이 되면, 단계 S652에서 착화 스위치(300)를 통해 열선(304)이 발열되며, 단계 S654에서 심지(302)에 착화가 일어난다.
타이머식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심지(302)의 착화에 의해 점화부(410)가 점화되어 발화되며, 단계 S658에서, 불이 꺼지지 않도록 액체 및 고체 연료를 통해 발화가 일어나며, 목표 위치에 근접하여 발화되며 종료된다.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장착부(100), 투하 장치(200), 착화 스위치(300), 연결 단자(306), 연결 고리(202), 심지(302), 열선(304), 발화 장치(400), 점화부(410) 및 연료부(420)를 포함한다. 도 5a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 단자(306)는 발화 장치(400)에 화력을 공급하기 위한 착화 스위치(3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착화 스위치(300)에 의해 발화 장치(400)에 화력을 공급하도록 심지(302) 및 열선(304)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연결 단자(306)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여 점화부(410)를 발화 시킬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발화 장치(400)의 분리와 착화가 함께 이루어지는 발화 방식이다. 도 5b의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투하 장치(200)의 개방과 동시에 착화 스위치(300)가 작동하여 연결 단자(306)를 통해 심지(302)가 착화되는 방식이다.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심지(302)의 착화로 점화부(410)가 발화되며, 연료부(420)를 통해 점화부(410)에서 발생한 열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도 5b의 발화체 투하 장치(10)의 작동 원리는 투하 관리부(500)가 투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610)에서 시작한다.
도 5b의 발화체 투하 장치(10)의 작동 원리는 단계 S620에서 투하 장치(200)가 투하 신호를 수신하면, 투하 장치(200)가 작동하며, 단계 S630에서 발화 장치(400)가 투하된다.
도 5b의 발화체 투하 장치(10)의 작동 원리는 단계 S620에서 투하 장치(200)가 작동됨과 동시에 단계 S640에서 착화 스위치(300)가 작동될 수 있다. 단계 S652에서 착화 스위치(300)를 통해 열선(304)이 발열되며, 단계 S654에서 심지(302)에 착화가 일어난다.
도 5b의 발화체 투하 장치(10)의 작동 원리는 심지(302)의 착화에 의해 단계 S658에서, 불이 꺼지지 않도록 액체 및 고체 연료를 통해 발화가 일어나며, 목표 위치에 근접하여 발화되며 종료된다.
도 5b의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투하 장치(200)의 작동과 동시에 착화 스위치(300)가 작동됨에 따라 발화 장치(400)의 분리 및 착화가 함께 이루어지는 발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발화체 투하 장치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발화체 투하 방법은 별도의 무인 비행체에 연결되도록 탈착식으로 마련되는 장착부에 다수 개의 발화 장치를 연결하는 단계(S710), 무인 비행체로부터 공중 투하 시 분리되는 고도를 설정하고, 발화 장치와 장착부가 연결되는 투하 장치 및 발화 장치에 화력을 공급하는 착화 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발화 장치의 투하를 관리하는 단계(S720) 및 설정된 고도에서 발화 장치 투하 시 발화 장치를 분리하며, 기 설정된 고도에서 내부의 화약이 기폭되어 발화하는 단계(S730)를 포함한다.
무인 비행체로부터 공중 투하 시 분리되는 고도를 설정하고, 발화 장치와 장착부가 연결되는 투하 장치 및 발화 장치에 화력을 공급하는 착화 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발화 장치의 투하를 관리하는 단계(S720)는 무인 비행체에 연결되어 비행 시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환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환경 정보를 통해 발화 장치의 투하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환경 정보를 통해 발화 장치의 투하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는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의 비행 시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단계 및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발화 장치를 투하할 투하 지점의 투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인 비행체로부터 공중 투하 시 분리되는 고도를 설정하고, 발화 장치와 장착부가 연결되는 투하 장치 및 발화 장치에 화력을 공급하는 착화 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여 발화 장치의 투하를 관리하는 단계(S720)는 위치 좌표 및 투하 좌표를 이용하여 발화 장치의 발화 조건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위치 좌표 및 투하 좌표를 이용하여 발화 장치의 발화 조건을 계산하는 단계는 투하 좌표를 이용하여 장착부와 연결된 발화 장치가 공중 투하 시 분리되는 무인 비행체의 비행 고도를 설정하는 단계, 비행 고도를 이용하여 발화 장치가 지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비행 고도 및 지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발화 장치의 기폭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7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개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에 발화체 투하 장치가 연결된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화체 투하 장치를 자세히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인 비행체(20)는 하단에 발화체 투하 장치(10)를 연결하였다. 무인 비행체(20)는 장착부(100)를 통해 다수의 투하 장치(200) 및 다수의 발화 장치(400)와 일자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인 비행체(20)의 형상에 따라 발화체 투하 장치(10)의 형상은 변화할 수 있다.
발화체 투하 장치(10)는 각각의 투하 장치(200)를 통해 투하 장치(200)와 연결된 발화 장치(400)를 투하할 수 있다.
장착부(100)는 별도의 무인 비행체에 연결되도록 탈착식으로 마련된 탈부착식 연결 장치로서, 수리 및 유지 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투하 장치(200)는 디스펜서형 개폐 장치로서, 서브 모터의 움직임을 이용한 좌우 슬라이드 방식의 개폐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투하 장치(200)는 개폐 작동 신호에 의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밀어 개방시키며, 연결 고리(204)가 빠져나가게 되고 발화 장치(400)를 공중에서 투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발화체 투하 장치
100: 장착부
200: 투하 장치
300: 착화 스위치
400: 발화 장치
500: 투하 관리부

Claims (13)

  1. 발화체 투하 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무인 비행체에 고정되며,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의 기본 프레임을 제공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로부터 기 설정된 고도에서 분리되어 투하되며, 지표 또는 공중에서 발화하는 발화 장치;
    상기 장착부에 상기 발화 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설정된 고도에서 상기 장착부와 상기 발화 장치를 분리하여 투하하는 투하 장치; 및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발화 장치로 발화와 관련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착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투하 장치는 상기 무인 비행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인 비행체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 받으며,
    상기 투하 장치는 서브 모터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어 상기 발화 장치와 상기 장착부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화체 투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무인 비행체 내부의 전원 공급부를 통해 투하 신호에 의해 상기 투하 장치에서 상기 발화 장치를 분리하여 공중 투하하기 위한 전원 및 발화 신호에 의해 상기 발화 장치 내부의 폭발성 물질을 연소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화체 투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 장치는,
    폭발성 물질로 형성되어 충격 또는 열에 의해 기폭되어 발화하는 점화부; 및
    액체 또는 고체로 형성되며, 상기 점화부에서 발생한 불을 유지하기 위한 연료부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비행체로부터 공중 투하 시 분리되는 고도를 설정하고, 상기 투하 장치 및 상기 착화 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투하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하 관리부는,
    상기 무인 비행체에 연결되어 비행 시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환경 정보를 생성하는 환경 인식부; 및
    상기 환경 정보를 통해 상기 발화 장치의 투하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부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설정부는,
    상기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비행체의 비행 시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위치 좌표 계산부; 및
    상기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발화 장치를 투하할 투하 지점의 투하 좌표를 설정하는 좌표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화체 투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하 관리부는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투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발화 장치의 발화 조건을 계산하는 투하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하 계산부는,
    상기 투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장착부와 연결된 상기 발화 장치가 공중 투하 시 분리되는 무인 비행체의 비행 고도를 설정하는 고도 설정부;
    상기 비행 고도를 이용하여 상기 발화 장치가 지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하는 도달 시간 계산부; 및
    상기 비행 고도 및 상기 지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발화 장치의 기폭 시간을 설정하는 기폭 시간 설정부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하 관리부는,
    상기 투하 계산부를 이용하여 상기 발화 장치가 지표 또는 공중에서 발화하기 위해 상기 투하 장치 및 상기 착화 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투하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하 제어부는,
    상기 발화 장치의 기폭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투하 신호에 의해 상기 투하 장치를 작동시키는 개폐 제어부; 및
    상기 발화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여 상기 설정된 고도에서 착화 신호에 의해 상기 착화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착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 장치는 상기 기폭 시간 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기폭 시간이 되면 발화 신호를 전달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화 장치는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기폭 시간이 지나면 상기 착화 스위치에 의해 발화와 관련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 받아 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화체 투하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하 관리부는 상기 발화 장치, 상기 투하 장치 및 상기 착화 스위치의 동작을 점검하여 점검 완료 정보를 생성하는 점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하 제어부는 상기 점검 완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발화 장치, 상기 투하 장치 및 상기 착화 스위치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발화 장치, 상기 투하 장치 및 상기 착화 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화체 투하 장치.
  10. 삭제
  11. 무인 비행체에 있어서,
    별도의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무인 비행체와 연결되는 발화체 투하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무인 비행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전력을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에 전달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배터리에서 전달된 전압을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가 이용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유지하는 정전압 컨버터; 및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를 운용할 경우 불안정해지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압 안정부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투하 신호에 의해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의 발화 장치를 공중에 투하하기 위한 전원을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에 인가하고, 발화 신호에 의해 상기 발화 장치 내부의 폭발성 물질을 연소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13. 발화체 투하 장치 및 무인 비행체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시스템에 있어서,
    별도의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무인 비행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전력을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에 전달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배터리에서 전달된 전압을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가 이용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유지하는 정전압 컨버터 및 상기 발화체 투하 장치를 운용할 경우 불안정해지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압 안정부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및
    상기 무인 비행체에 연결되도록 탈착식으로 마련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다수로 연결되어 공중 투하 시 분리되며, 발화 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고도에서 내부의 폭발성 물질이 기폭되어 발화하는 발화 장치, 상기 발화 장치를 상기 장착부에 연결하고, 투하 신호에 의해 상기 설정된 고도에서 상기 발화 장치 투하 시 상기 발화 장치를 분리하는 투하 장치 및 상기 발화 신호에 의해 상기 발화 장치에 화력을 공급하는 착화 스위치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장치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시스템.
KR1020190138807A 2019-11-01 2019-11-01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발화체 투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시스템 KR102264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807A KR102264604B1 (ko) 2019-11-01 2019-11-01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발화체 투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시스템
PCT/KR2020/007889 WO2021085788A1 (ko) 2019-11-01 2020-06-18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발화체 투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807A KR102264604B1 (ko) 2019-11-01 2019-11-01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발화체 투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028A KR20210053028A (ko) 2021-05-11
KR102264604B1 true KR102264604B1 (ko) 2021-06-15

Family

ID=7571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807A KR102264604B1 (ko) 2019-11-01 2019-11-01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발화체 투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4604B1 (ko)
WO (1) WO2021085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2170A (zh) * 2021-09-10 2021-10-29 陕西蓝悦无人机技术有限公司 一种防弹减震无人机和方法
CN114476074B (zh) * 2022-03-09 2023-11-10 四川傲势科技有限公司 无人机投放反馈与作动装置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663B1 (ko) * 2016-03-23 2018-02-28 대한민국(관리청: 특허청장, 승계청: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산불 진화용 공중투하 소화탄
CN108371767A (zh) * 2018-01-30 2018-08-07 陈迈 一种消防警用多功能飞行救援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32401T3 (es) * 2012-07-24 2019-11-22 Boeing Co Sistema de prevención y detención de incendio no controlado
KR101756103B1 (ko) * 2015-08-11 2017-07-20 (주) 라이트플러스 폭발물 탑재형 무인비행체 및 무인비행체 제어 시스템
CN106553755B (zh) * 2016-11-04 2019-02-22 广州三飞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自主灭火电力巡检无人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663B1 (ko) * 2016-03-23 2018-02-28 대한민국(관리청: 특허청장, 승계청: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산불 진화용 공중투하 소화탄
CN108371767A (zh) * 2018-01-30 2018-08-07 陈迈 一种消防警用多功能飞行救援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028A (ko) 2021-05-11
WO2021085788A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396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소화탄 투하 장치 및 투하 제어 방법
US4714020A (en) Enabling device for a gas generator of a forced dispersion munitions dispenser
KR102264604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발화체 투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화체 투하 시스템
KR102371781B1 (ko) 전도형 전기 무기에서 점화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7982823A (zh) 一种无人机载定高自爆式灭火弹
US9410783B1 (en) Universal smart fuz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or other remote armament systems
US10928149B2 (en) Clay-pigeon-like projectile for crowd control
WO2020042151A1 (zh) 无人机失控保护方法、设备、无人机系统的保护方法和无人机系统
US8695504B2 (en) Activation unit for munition-free decoys
CN207822305U (zh) 一种无人机载定高自爆式灭火弹
KR20170019523A (ko) 폭발물 탑재형 무인비행체 및 무인비행체 제어 시스템
USH251H (en) Increased safety in use, and improved function, of ammunition items
CN112933461B (zh) 一种爆炸覆土和释放二氧化碳双重灭火系统及方法
CN109094788A (zh) 一种无人机弹射装置及系统
CN111336873B (zh) 一种弹上点火的芯片及应用
KR101835496B1 (ko) 로켓 모타용 점화안전장치
KR101978494B1 (ko) 무인 항공기에 장착 가능한 유도 미사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GB2138546A (en) Decoy systems
KR101213974B1 (ko) 전기식 기폭관용 기폭장치, 이를 구비하는 폭파장치 및 전기식 기폭관의 기폭방법
US2686025A (en) Parachute releasing means
KR200496870Y1 (ko) 플라스마를 이용한 그물 발사기구
CN215155785U (zh) 可分离式姿控动力控制系统
CN2416481Y (zh) 用于打击飞机和空中伞兵的炮弹
JP5121064B2 (ja) 起爆システム
Cooper Electro-explosiv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