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083B1 -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083B1
KR102264083B1 KR1020200076600A KR20200076600A KR102264083B1 KR 102264083 B1 KR102264083 B1 KR 102264083B1 KR 1020200076600 A KR1020200076600 A KR 1020200076600A KR 20200076600 A KR20200076600 A KR 20200076600A KR 102264083 B1 KR102264083 B1 KR 102264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advertisement
content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섭
류성걸
손세훈
김연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스트리
Priority to KR1020200076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083B1/ko
Priority to KR1020210072334A priority patent/KR102672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083B1/ko
Priority to PCT/KR2021/007710 priority patent/WO20212618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영상의 일부를 클립핑하여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할 때,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가 보유한 광고를 수신하여 개인 클립 영상 내에 삽입하면서, 원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사용권)을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는 크리에이터에게 부여되도록 하며, 개인 클립 영상에 블럭 체인의 트래킹 특성을 적용하여 개인 클립 영상이 배포된 후 재생 횟수를 카운트하여 동영상 컨텐츠 제공자와 개인 클립 영상 제작자에게 광고비를 지불하거나 광고수익을 분배하도록 하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System for Selling Personal Contents by Using Inserting Advertis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스마트 폰 및 태블릿(Tablet) 컴퓨터의 보급이 활발해짐에 따라, 해당 기기들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포함하는 컨텐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PC(Personal Computer) 환경에서도 컨텐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 폰 및 태블릿 컴퓨터의 컨텐츠는 다양한 방법으로 해당 기기에 설치가 가능하지만, 많은 사용자들은 컨텐츠들이 업로드 되어 있는 마켓(Market)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일반적인 컨텐츠 마켓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저작한 개인 컨텐츠(영상, 사진, 음원 등)을 해당 컨텐츠 마켓에 직접 업로드한 후 해당 컨텐츠가 소비되면, 소비된 비용 또는 광고 수입을 분배받는 방식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개인 컨텐츠를 저작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개인 컨텐츠를 각각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마켓에 업로드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으며, 자신 컨텐츠가 노출되지 않는 경우 분배받을 수 있는 이익이 적다는 문제가 있다.
선행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10-1927965호(2018.12.12.) 선행문헌 2 : 등록특허공보 제10-2034880호(2019.10.21.) 선행문헌 3 : 등록특허공보 제10-1202570호(2012.11.19.) 선행문헌 4 : 등록특허공보 제10-1843815호(2018.03.30.)
본 실시예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영상의 일부를 클립핑하여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할 때,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가 보유한 광고를 수신하여 개인 클립 영상 내에 삽입하면서, 원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사용권)을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는 크리에이터에게 부여되도록 하며, 개인 클립 영상에 블럭 체인의 트래킹 특성을 적용하여 개인 클립 영상이 배포된 후 재생 횟수를 카운트하여 동영상 컨텐츠 제공자와 개인 클립 영상 제작자에게 광고비를 지불하거나 광고수익을 분배하도록 하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원본 동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원본 동영상으로부터 일부를 클립핑하여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클립핑부; 상기 개인 클립 영상 내에 상기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제공받은 광고를 삽입한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는 광고 삽입부; 상기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을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서버에 업로드하는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 상기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에 대한 개인 클립 업로딩, 배포, 재생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통계 관리부; 및 광고 과금 서버로부터 상기 개인 클립 업로딩, 배포, 재생 통계 정보에 대응하는 비용을 정산받는 비용 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영상 수신부에서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원본 동영상을 수신하는 과정; 영상 클립핑부에서 상기 원본 동영상으로부터 일부를 클립핑하여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광고 삽입부에서 상기 개인 클립 영상 내에 상기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제공받은 광고를 삽입한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에서 상기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을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서버에 업로드하는 과정; 통계 관리부에서 상기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에 대한 개인 클립 업로딩, 배포, 재생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및 비용 정산부에서 광고 과금 서버로부터 상기 개인 클립 업로딩, 배포, 재생 통계 정보에 대응하는 비용을 정산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영상의 일부를 클립핑하여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할 때,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가 보유한 광고를 수신하여 개인 클립 영상 내에 삽입하면서, 원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사용권)을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는 크리에이터에게 부여되도록 하며, 개인 클립 영상에 블럭 체인의 트래킹 특성을 적용하여 개인 클립 영상이 배포된 후 재생 횟수를 카운트하여 동영상 컨텐츠 제공자와 개인 클립 영상 제작자에게 광고비를 지불하거나 광고수익을 분배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1b,1c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1b,1c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시스템은 디바이스(110), 광고 과금 서버(120), 광고 관리서버(130), 광고 컨텐츠 서버(140), 블록체인 서버(150)를 포함한다.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110)는 셋톱박스, 모바일 폰, 패드, PC, TV 등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10)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동영상 서비스(예컨대, IPTV, 유튜브, 넷플릭스 등)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예컨대, IPTV 제공 업체, 방송국, 유튜브, 넷플릭스 등)는 별도의 광고 서버를 구비하며, 접속한 사용자 계정에 따라 타겟 광고를 추출하여 동영상 서비스 중간에 광고가 출력되도록 한다.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는 와이드 비젼 영상, VR 영상, 파노라마 영상, 멀티뷰 영상, 고해상도 영상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영상 컨텐츠로서 와이드 비젼 영상, VR 영상, 파노라마 영상, 멀티뷰 영상, 고해상도 영상 등을 수신하여 출력한다. 디바이스(110)는 녹화모드로 동작하여 와이드 비젼 영상, VR 영상, 파노라마 영상, 멀티뷰 영상 등에서 특정 시점(특정 인물만 선택, 특정 뷰만 선택)의 영상을 녹화하여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한다. 특히 녹화 모드 중 화면 캡쳐 모드를 사용할 경우, 전체 영상 중 관심 영역을 화면 터치, 객체 트랙킹 등의 별도의 화면 검색 방식을 이용하여 시청자가 직접 화면을 보면서 원하는 영역을 화면에 표출 시키고, 표출된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개인 클립 영상에 별도의 광고(내부 저장장치, URL 등에 위치됨)를 삽입한다. 디바이스(110)는 광고가 삽입된 개인 클립 영상을 SNS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10)는 특정 차량 시승기 영상에 내부 저장장치 또는 URL을 기반으로 특정 광고를 삽입한 후 유튜브에 업로드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개인 클립 영상에 광고를 삽입한 후 광고 서버로 어떠한 광고가 삽입되었는지를 리포팅한다.
디바이스(110)는 와이드 비젼 영상, VR 영상, 파노라마 영상, 멀티뷰 영상, 고해상도 영상 등으로부터 일부를 클립핑하여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한다. 디바이스(110)는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할 때,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가 보유한 광고를 수신하여 개인 클립 영상 내에 삽입한다. 디바이스(110)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서비스하는 동영상 서비스(와이드 비젼 영상, VR 영상, 파노라마 영상, 멀티뷰 영상, 고해상도 영상 등) 중 일부를 녹화하여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는데, 개인 클립 영상 내에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보유한 광고를 삽입하므로 원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사용권)을 얻는다.
디바이스(110)에서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할 때, 동영상 제공업체에서 보유한 광고를 삽입함으로 인해, 동영상 제공업체에서 소유하고 있는 동영상에 대한 저작권이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는 크리에이터에게도 부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동영상 제공업체(예컨대, 방송국)와 광고 제공 업체에서 저작권 부여에 동의한 상태로서, 크리에이터가 동영상 제공업체(예컨대, 방송국)에서 보유한 광고 중 어느 하나를 개인 클립 영상에 삽입하는 경우, 자동으로 저작권을 획득할 수 있다.
동영상 제공업체(예컨대, 방송국)에서 보유한 광고는 IPTV 전용 광고, 개인 클립 영상 삽입 가능 광고로 구분될 수 있다. 클립 영상 삽입 가능 광고는 개인 클립 영상에 삽입되어 공유되는 횟수에 따라 광고비가 산정될 수 있는 광고를 의미한다. 동영상 제공업체(예컨대, 방송국)에서 보유한 광고는 광고 관리서버(130)에서 관리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에서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한 후 SNS 서버에 수동으로 업로드할 수도 있지만, 설정에 따라 기 등록된 서버로 자동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면 자동 업로더 API를 이용하여 특별한 동작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업로드를 수행한다.
디바이스(110)는 개인 클립 영상에 대한 과금 및 재생산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적용한다. 디바이스(110)는 개인 클립 영상에 광고를 삽입할 때 블럭체인으로 장부를 만들어서 개인 클립 영상에 적용한다. 디바이스(110)는 장부에 대한 키값만을 외부로 전송한다. 예컨대, 디바이스(110)는 개인 클립 영상이 1분짜리 영상인 경우, 10초단위로 프레임을 추출하여 블럭체인 장부를 적용한다. 디바이스(110)에서 생성한 개인 클립 영상은 블록체인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어디에 배포되더라도 배포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에서 개인 클립 영상이 생성되면, 디바이스(110)는 외부 블록체인 서버(150)로부터 개인 클립 영상에 대응하는 블록을 수신하여 개인 클립 영상에 삽입한다. 디바이스(110)는 광고와 블록을 삽입한 개인 클립 영상을 SNS 서버 또는 동영상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하여 배포되도록 한다.
디바이스(110)는 개인 클립을 생성하기 위해 매뉴얼 화면을 구성하거나 AI 자동 화면을 구성한다. 디바이스(110)는 화면 내 주요 관심 영역, 관심 구간 등을 기준으로 화면을 구성하는 AI 엔진을 적용한다. 디바이스(110)는 사전 클립 생성 가이드 기준으로 AI 엔진(서로 다른 혹은 동일)을 차별적으로 운용한다. 디바이스(110)는 평소에 사용자가 별도로 시청하지 않아도 개인 클립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광고 삽입 후 업로딩한다. 이 경우 이러한 과정은 디바이스의 다른 운용에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운용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110)는 광고 삽입을 위해 로컬 광고 파일(해당 사업자의 목적으로 준비해 놓은 디바이스(110) 내 광고 또는 외부 광고)을 삽입한다. 디바이스(110)는 타겟 광고를 위해 사전에 획득하여 가지고 있는 광고를 이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광고 삽입을 위해 개인 광고 삽입을 허용하고, 비허용 광고를 구분한다. 디바이스(110)는 URL 이용한 광고를 삽입하고, 광고 삽입 사업 사이트를 연동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개인 클립 업로딩 방법으로 SNS 서버로 자동 로딩하거나, 자동 로딩 사이트에 업로드하거나 공유 저장소, 개인 구독자에 배포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개인 클립을 업로드하기 전에 블록체인을 적용한다. 디바이스(110)는 컨텐츠 ID 적용 방법으로 블록체인이 아닌 기존 서버 연동 기록 방식으로 ID, 복제 방제 Key, DRM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키를 블록체인으로 적용하여 개인 클립 영상에 대한 컨텐츠 변형을 방지하고 변형 시 재생 불가하도록 한다. 디바이스(110)는 키를 블록체인으로 적용하여 개인 클립 영상에 대한 컨텐츠를 식별(Identification) 및 승인한다. 디바이스(110)는 개인 클립 영상에 대한 재생을 검증한다.
디바이스(110)는 장부를 블록체인으로 적용하여 개인 클립 영상에 대한 컨텐츠 유통, 재생 정보를 기록하여 광고 관리서버(130)에서 개인 클립 영상에 대한 배포 정보를 확인하여 유통 통계 및 소비 통계를 확보하도록 한다.
디바이스(110)는 개인 클립 영상의 컨텐츠 내 해싱을 통한 로컬 블록체인을 적용하여 변형, 광고 삽입 이력, 위치 등을 반영한 해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디바이스(110)는 개인 클립 영상에 대한 컨텐츠와 서버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해싱을 수행한다. 해싱 정보는 컨텐츠와 광고 관리서버(130) 혹은 디바이스(110)에 동시에 저장된 후 관리 및 업데이트된다. 해싱 정보는 타 컨텐츠와의 연관성 없이 블록체인 단위로 저장된다.
디바이스(110)는 하나의 컨텐츠가 배포될 경우, 다수개의 배포판/복제판이 생성되고, 이러한 1개의 컨텐츠로 형성되는 1개의 그룹을 기준으로 블록체인이 생성되도록 한다. 즉, 디바이스(110)는 신규로 개인 클립 영상이 1개가 추가 생성하는 경우, 1개의 블록을 추가한다. 디바이스(110)는 블록체인 장부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1개의 그룹의 블록을 모두 업데이트한다. 블록의 포함 정보 내역으로 컨텐츠 한 개가 플레이될 때마다, 플레이 상태, 구간, 반복, 배속 등 플레이 현황 정보와 삽입된 광고의 노출 정보를 블록의 내역에 포함 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110)는 블록체인 장부 내역을 확인하기 위해 서버 보유 해당 오리진 컨텐츠의 장부를 확인한다.
디바이스(110)는 외부의 블록체인 서버(150)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을 생성 및 관리한다. 디바이스(110)는 개인 클립 영상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를 블록체인 서버(150)로 전송한다. 디바이스(110)는 블록체인 서버(150)로부터 개인 클립 영상에 대응하는 키 및 장부를 수신한다.
디바이스(110)는 로컬 CPU 및 GPU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을 처리한다. 디바이스(110)는 내부 계산력을 이용하여 로컬에서 블록체인을 처리한다. 키값, 장부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량의 사이즈는 크고 작음에 제한이 없다. 생성된 블록체인 정보를 재수신할 데이터량에 제한이 없다. 개인 클립 영상에 붙는 블록체인 정보는 최소화 되어야하며, 컨텐츠 소비에 따라 블록체인 정보가 증가되지 않아야 한다.
광고 과금 서버(120)는 개인 클립 영상에 삽입된 광고를 카운팅하여, 최초 동영상 컨텐츠 제공자와, 개인 클립 영상 제작자에게 광고비를 지불하거나 광고수익을 분배한다. 광고 과금 서버(120)는 장부 정보를 확인하여 통계 산출하여 수익을 확보하고 분배한다.
광고 관리서버(130)에서 특정 키값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인터넷상에서 추출하여 소비되는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 결과를 광고 과금 서버(120)로 리포팅한다. 광고 컨텐츠 서버(140)는 광고 컨텐츠를 파일 또는 URL 형태로 디바이스(110)로 전송한다.
블록체인 서버(150)는 블록체인 생성시 식별자 또는 키값만을 부여하여 배포 여부 또는 훼손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되도록 한다. 개인 클립 영상 한 개가 플레이될 때마다 블록체인 장부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블럭 체인의 트래킹 특성을 적용하여 개인 클립 영상이 배포된 후 재생 횟수를 카운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개인 클립 영상은 컨텐츠, 광고, 블록체인을 포함한다.
블록체인 서버(150)는 키값과 장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생성한다. 블록체인 서버(150)는 컨텐츠 전부 혹은 일부를 사용하여 키값을 생성(컨텐츠 보안/ID)한다. 블록체인 서버(150)는 가상화페와 유사한 형태로 컨텐츠 노출 정보를 장부에 기록(광고 통계)한다.
블록체인 서버(150)는 고정된 크기의 블록체인을 구성하고, 블록체인 내부의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체인의 기능을 하도록 한다. 블록체인 서버(150)는 존재하는 큰 수의 미디어 클립이 고정된 동일한 블록체인 구성 요소를 가지도록 하며, 동시에 특정 위치를 업데이트하여 존재/소비/유통 관련 정보를 해킹 없이 보존하도록 한다. 블록체인 서버(150)는 미디어의 수에 관계없이 고정된 길이의 버추얼 체인 형식으로 운용되도록 한다.
블록체인 서버(150)는 블럭 체인의 장부 길이를 고정시키고, 재생 이력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며, 동일 컨텐츠의 장부를 모두 일치시킨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10)는 영상 수신부(210), 영상 클립핑부(212), 광고 저장부(214), 광고 삽입부(216), 저작권 중계부(218), 블록체인 생성부(220),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222), 통계 관리부(224), 비용 정산부(226)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1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1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11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수신부(210)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원본 동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한다. 영상 수신부(210)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와이드 비젼 영상, VR 영상, 파노라마 영상, 멀티뷰 영상, 고해상도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원본 동영상을 수신한다.
영상 클립핑부(212)는 원본 동영상으로부터 일부를 클립핑하여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클립핑부(212)는 원본 동영상이 출력되는 화면을 캡쳐하여 개인 클립 영상으로 생성한다. 영상 클립핑부(212)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명령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거나 특정 개체에 대한 자동 트랙킹으로 화면에 출력 중인 컨텐츠를 개인 클립 영상으로 생성한다.
광고 저장부(214)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제공받은 광고를 저장한다. 광고 삽입부(216)는 개인 클립 영상 내에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제공받은 광고를 삽입한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한다.
저작권 중계부(218)는 개인 클립 영상 내에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보유한 광고를 삽입하면 원본 동영상에 대한 저작권을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에 부여한다.
블록체인 생성부(220)는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에 개인 클립 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키값과 컨텐츠 유통 및 재생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장부를 포함하는 블록을 삽입한 블록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한다. 블록체인 생성부(220)는 자체적으로 블록을 개인 클립 영상에 삽입하거나 블록체인 서버(150)와 연동하여 블록을 개인 클립 영상에 삽입한다. 블록체인 생성부(220)는 블록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이 한 개가 플레이될 때마다 블록 내 장부가 업데이트 되도록 한다.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222)는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을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서버에 업로드한다.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222)는 블록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을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서버에 업로드한다.
통계 관리부(224)는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에 대한 개인 클립 업로딩 통계 정보를 생성한다. 통계 관리부(224)는 키값의 트래킹 특성을 적용하여 블록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이 배포, 재생될 때마다 재생 횟수가 카운트되도록 한다.
비용 정산부(226)는 광고 과금 서버(120)로부터 개인 클립 업로딩 통계 정보에 대응하는 비용을 정산받는다. 비용 정산부(226)는 광고 과금 서버(120)로부터 블록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의 재생횟수 또는 배포횟수에 따라 광고비를 지불받거나 광고수익을 분배받는다.
도 3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광고 관리서버(130)로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301).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광고 관리서버(130)로부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302a).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광고 저장부에 광고 컨텐츠 응답 신호에 따른 해당 위치의 광고 컨텐츠를 획득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디바이스(110) 내의 광고 저장부는 광고 컨텐츠 서버(140)로부터 직접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302b).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화면 녹화부로 개인 클립 영상 생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303).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광고 삽입부로 광고 컨텐츠 위치 및 광고 삽입 명령을 전송한다(S304).
디바이스(110) 내의 화면 녹화부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영상의 일부를 클립핑하여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여 광고 삽입부로 전송한다(S305a). 디바이스(110) 내의 광고 삽입부는 내부의 광고 저장부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여 삽입한다(S305b). 디바이스(110) 내의 광고 삽입부는 광고 컨텐츠 서버(140)로부터 해당 광고 URL로부터 해당 광고를 수신하여 삽입한다(S305c).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를 제어하여 개인 클립 영상의 업로딩 방식을 제어한다(S306). 단계 S306에서,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개인 클립 영상이 생성되면 설정에 따라 기 등록된 SNS 서버에 자동 업로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면 자동 업로더 API를 이용하여 특별한 동작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업로드하도록 제어한다.
디바이스(110) 내의 광고 삽입부는 개인 클립 영상에 광고를 삽입한 후 개인 클립 저장부로 전송한다. 개인 클립 저장부는 광고 삽입부로부터 광고가 삽입된 개인 클립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한다(S307). 디바이스(110) 내의 개인 저작 클립 업로드부는 개인 클립 저장부로부터 광고가 삽입된 개인 클립 영상을 수신하면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서버에 자동으로 업로드한다(S308).
디바이스(110) 내의 개인 저작 클립 업로드부는 개인 클립 영상을 업로드한 후 개인 클립 업로딩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응용 시스템부로 전송한다(S309).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광고 삽입된 개인 클립 업로딩 통계 정보를 광고 과금 서버(120)로 전송한다(S310).
도 3에서는 단계 S301 내지 단계 S31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3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광고 관리서버(130)로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401).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광고 관리서버(130)로부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402a).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광고 저장부에 광고 컨텐츠 응답 신호에 따른 해당 위치의 광고 컨텐츠를 저장한다. 디바이스(110) 내의 광고 저장부는 광고 컨텐츠 서버(140)로부터 직접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402b).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화면 녹화부로 개인 클립 영상 생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403).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광고 삽입부로 광고 컨텐츠 위치 및 광고 삽입 명령을 전송한다(S404).
디바이스(110) 내의 화면 녹화부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영상의 일부를 클립핑하여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여 광고 삽입부로 전송한다(S405a). 디바이스(110) 내의 광고 삽입부는 내부의 광고 저장부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한다(S405b). 디바이스(110) 내의 광고 삽입부는 광고 컨텐츠 서버(140)로부터 광고 URL의 해당 광고를 수신한다(S405c).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를 제어하여 개인 클립 영상의 업로딩 방식을 제어한다(S406). 단계 S406에서,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개인 클립 영상이 생성되면 설정에 따라 기 등록된 SNS 서버에 자동 업로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면 자동 업로더 API를 이용하여 특별한 동작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업로드하도록 제어한다.
디바이스(110) 내의 광고 삽입부는 개인 클립 영상에 광고를 삽입한 후 개인 클립 저장부로 전송한다. 개인 클립 저장부는 광고 삽입부로부터 광고가 삽입된 개인 클립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한다(S407).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블록체인 생성부로 블록체인 생성 신호를 전송한다(S408).
디바이스(110) 내의 블록체인 생성부는 블록체인 서버(150)로 광고가 삽입된 개인 클립 영상(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키값과 장부를 포함하는 블럭을 요청한다(S490a). 디바이스(110) 내의 블록체인 생성부는 응용 시스템부로 블록체인 생성 정보를 보고한다(S409b).
디바이스(110) 내의 블록체인 생성부는 블록체인 서버(150)로부터 개인 클립 영상(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키값과 장부를 포함하는 블럭을 수신한다(S410a). 디바이스(110) 내의 블록체인 생성부는 블록체인 서버(150)로부터 수신된 블록을 개인 클립 영상에 삽입한다(S410b).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는 블록체인 생성부로부터 블록이 삽입된 개인 클립 영상을 수신한다.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는 블록이 삽입된 개인 클립 영상을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서버에 자동으로 업로드한다(S411).
디바이스(110) 내의 개인 저작 클립 업로드부는 블록이 삽입된 개인 클립 영상을 업로드한 후 개인 클립 업로딩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응용 시스템부로 전송한다(S412).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블록이 삽입된 개인 클립 업로딩 통계 정보를 광고 과금 서버(120)로 전송한다(S413).
도 4에서는 단계 S401 내지 단계 S413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4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광고 관리서버(130)로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501).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광고 관리서버(130)로부터 광고 컨텐츠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502a).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광고 저장부에 광고 컨텐츠 응답 신호에 따른 해당 위치의 광고 컨텐츠를 저장한다. 디바이스(110) 내의 광고 저장부는 광고 컨텐츠 서버(140)로부터 직접 광고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502b).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화면 녹화부로 개인 클립 영상 생성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503).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광고 삽입부로 광고 컨텐츠 위치 및 광고 삽입 명령을 전송한다(S504).
디바이스(110) 내의 화면 녹화부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영상의 일부를 클립핑하여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여 광고 삽입부로 전송한다(S505a). 디바이스(110) 내의 광고 삽입부는 내부의 광고 저장부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수신한다(S505b). 디바이스(110) 내의 광고 삽입부는 광고 컨텐츠 서버(140)로부터 광고 URL의 해당 광고를 수신한다(S505c).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를 제어하여 개인 클립 영상의 업로딩 방식을 제어한다(S506). 단계 S506에서,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개인 클립 영상이 생성되면 설정에 따라 기 등록된 SNS 서버에 자동 업로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면 자동 업로더 API를 이용하여 특별한 동작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업로드하도록 제어한다.
디바이스(110) 내의 광고 삽입부는 개인 클립 영상에 광고를 삽입한 후 개인 클립 저장부로 전송한다. 개인 클립 저장부는 광고 삽입부로부터 광고가 삽입된 개인 클립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한다(S507).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블록체인 생성부로 블록체인 생성 신호를 전송한다(S508).
디바이스(110) 내의 블록체인 생성부는 광고가 삽입된 개인 클립 영상(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키값과 장부를 포함하는 블럭을 생성한다. 디바이스(110) 내의 블록체인 생성부는 응용 시스템부로 블록체인 생성 정보를 보고한다(S509). 디바이스(110) 내의 블록체인 생성부는 개인 클립 영상(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키값과 장부를 포함하는 블럭을 개인 클립 영상에 삽입한다(S510).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는 블록체인 생성부로부터 블록이 삽입된 개인 클립 영상을 수신한다.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는 블록이 삽입된 개인 클립 영상을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서버에 자동으로 업로드한다(S511).
디바이스(110) 내의 개인 저작 클립 업로드부는 블록이 삽입된 개인 클립 영상을 업로드한 후 개인 클립 업로딩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응용 시스템부로 전송한다(S512). 디바이스(110) 내의 응용 시스템부는 블록이 삽입된 개인 클립 업로딩 통계 정보를 광고 과금 서버(120)로 전송한다(S513).
도 5에서는 단계 S510 내지 단계 S513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5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디바이스
120: 광고 과금 서버
130: 광고 관리서버
140: 광고 컨텐츠 서버
150: 블록체인 관리서버
210: 영상 수신부 212: 영상 클립핑부
214: 광고 저장부 216: 광고 삽입부
218: 저작권 중계부 220: 블록체인 생성부
222: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 224: 통계 관리부
226: 비용 정산부

Claims (13)

  1. 개인 컨텐츠 판매 장치에 있어서,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원본 동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원본 동영상으로부터 일부를 클립핑하여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클립핑부;
    상기 개인 클립 영상 내에 상기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제공받은 광고를 삽입한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는 광고 삽입부;
    상기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을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서버에 업로드하는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
    상기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에 대한 개인 클립 업로딩, 배포, 재생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통계 관리부;
    광고 과금 서버로부터 상기 개인 클립 업로딩, 배포, 재생 통계 정보에 대응하는 비용을 정산받는 비용 정산부; 및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에 상기 개인 클립 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키값과 컨텐츠 유통 및 재생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장부를 수신하고, 상기 키값과 상기 장부를 포함하는 블록을 삽입한 블록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는,
    상기 블록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의 컨텐츠 내 해싱을 통한 로컬 블록체인을 적용하여 컨텐츠 변형, 광고 삽입 이력, 위치를 반영한 해싱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해싱 정보는 상기 컨텐츠와 광고 관리서버 및 상기 장치 중 적어도 둘 이상에 동시에 저장 및 업데이트되고,
    상기 블록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이 한 개가 플레이될 때마다, 플레이 상태, 구간, 반복, 배속과 연관된 플레이 현황 정보와 삽입된 광고의 노출 정보를 블록의 내역에 포함하여, 고정된 크기로 구성된 블록체인의 장부 길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장부가 업데이트 되도록 하여 컨텐츠 소비에 따라 블록체인 정보가 증가되지 않도록 하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클립 영상 내에 상기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보유한 광고를 삽입하면 상기 원본 동영상에 대한 저작권을 상기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에 부여하는 저작권 중계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생성부는,
    상기 블록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이 한 개가 플레이될 때마다 상기 장부가 업데이트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는,
    상기 블록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을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관리부는 상기 블록체인 키값과 장부의 트래킹 특성을 적용하여 상기 블록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이 배포, 재생될 때마다 재생 횟수가 카운트되도록 하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정산부는,
    상기 광고 과금 서버로부터 상기 블록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의 재생횟수 또는 배포회수에 따라 광고비를 지불받거나 광고수익을 분배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부는,
    상기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와이드 비젼 영상, VR 영상, 파노라마 영상, 멀티뷰 영상, 고해상도 영상 중 하나 이상의 원본 동영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제공받은 광고를 저장하는 광고 저장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클립핑부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명령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거나 특정 개체에 대한 자동 트랙킹으로 화면에 출력 중인 컨텐츠를 상기 개인 클립 영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클립핑부는
    사용자의 설정 명령에 의해, 자동으로 컨텐츠를 수신하고, 사전 설정 명령 내용에 따라 수신 컨텐츠로부터 개인 클립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장치.
  13.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개인 컨텐츠 판매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방법은,
    영상 수신부에서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원본 동영상을 수신하는 과정;
    영상 클립핑부에서 상기 원본 동영상으로부터 일부를 클립핑하여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광고 삽입부에서 상기 개인 클립 영상 내에 상기 동영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제공받은 광고를 삽입한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개인 저작 클립 업로더부에서 상기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을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서버에 업로드하는 과정;
    통계 관리부에서 상기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에 대한 개인 클립 업로딩, 배포, 재생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비용 정산부에서 광고 과금 서버로부터 상기 개인 클립 업로딩, 배포, 재생 통계 정보에 대응하는 비용을 정산받는 과정; 및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 삽입 개인 클립 영상에 상기 개인 클립 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키값과 컨텐츠 유통 및 재생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장부를 수신하고, 상기 키값과 상기 장부를 포함하는 블록을 삽입한 블록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을 생성하는 블록체인 생성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생성 과정에서,
    상기 블록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의 컨텐츠 내 해싱을 통한 로컬 블록체인을 적용하여 컨텐츠 변형, 광고 삽입 이력, 위치를 반영한 해싱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해싱 정보는 상기 컨텐츠와 광고 관리서버 및 상기 장치 중 적어도 둘 이상에 동시에 저장 및 업데이트되고,
    상기 블록 삽입 개인 클립 영상이 한 개가 플레이될 때마다, 플레이 상태, 구간, 반복, 배속과 연관된 플레이 현황 정보와 삽입된 광고의 노출 정보를 블록의 내역에 포함하여, 고정된 크기로 구성된 블록체인의 장부 길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장부가 업데이트 되도록 하여 컨텐츠 소비에 따라 블록체인 정보가 증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KR1020200076600A 2020-06-23 2020-06-23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 KR102264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600A KR102264083B1 (ko) 2020-06-23 2020-06-23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
KR1020210072334A KR102672545B1 (ko) 2021-06-03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
PCT/KR2021/007710 WO2021261852A1 (ko) 2020-06-23 2021-06-21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600A KR102264083B1 (ko) 2020-06-23 2020-06-23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334A Division KR102672545B1 (ko) 2021-06-03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083B1 true KR102264083B1 (ko) 2021-06-11

Family

ID=7637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600A KR102264083B1 (ko) 2020-06-23 2020-06-23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4083B1 (ko)
WO (1) WO20212618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852A1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픽스트리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
KR102424150B1 (ko) * 2021-11-29 2022-07-22 주식회사 콘텐츠민주주의 동영상 자동 제작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570B1 (ko) 2012-03-05 2012-11-19 곽상기 피피엘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KR101843815B1 (ko) 2016-12-22 2018-03-30 주식회사 큐버 비디오 클립간 중간영상 ppl 편집 플랫폼 제공 방법
KR101927965B1 (ko) 2017-07-11 2018-12-12 (주)에임투지 광고 동영상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2034880B1 (ko) 2019-01-30 2019-10-21 크립토라이즌 주식회사 리워드 광고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734A (ko) * 2018-12-27 2019-10-02 권민성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마케팅 시스템
KR102264083B1 (ko) * 2020-06-23 2021-06-11 주식회사 픽스트리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570B1 (ko) 2012-03-05 2012-11-19 곽상기 피피엘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KR101843815B1 (ko) 2016-12-22 2018-03-30 주식회사 큐버 비디오 클립간 중간영상 ppl 편집 플랫폼 제공 방법
KR101927965B1 (ko) 2017-07-11 2018-12-12 (주)에임투지 광고 동영상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2034880B1 (ko) 2019-01-30 2019-10-21 크립토라이즌 주식회사 리워드 광고 제공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852A1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픽스트리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
KR102424150B1 (ko) * 2021-11-29 2022-07-22 주식회사 콘텐츠민주주의 동영상 자동 제작 시스템
WO2023096392A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 콘텐츠민주주의 동영상 자동 제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316A (ko) 2021-12-30
WO2021261852A1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362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lickable links servers using a decentralized blockchain ledger
KR101073112B1 (ko) 저작물과 광고를 공개라이센스를 이용하여 결합한 컨텐츠 관리방법 및 그 장치
JP4370085B2 (ja) 動画配信技術を用いた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
JP6574919B1 (ja) ビデオストリーミング再生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000430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e grain payment for media services
US200801046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nking media
KR102264083B1 (ko)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
US20200351560A1 (en) Video streaming playback system and method
KR20090120490A (ko) 광고 펀딩 데이터 액세스 서비스
JP4580009B2 (ja) 動画配信技術を用いたビデオレンタルシステム
JP2005184228A (ja) 映像コンテンツ配信装置、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010234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情報提供装置、情報端末、記録媒体
KR102672545B1 (ko) 광고 삽입 기능을 이용한 개인 컨텐츠 판매 방법 및 장치
JP2007018076A (ja) 情報管理装置および情報管理方法
US20080313664A1 (en) Method to record, save, and send otherwise non-recordable and copyrighted material
US201500193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y moment monetization of media
JP2002203069A (ja) 情報配信方法及び配信システム
KR20160148784A (ko) 사전 제작된 2d/3d프린팅 출력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33342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음원의 저작권료 정산 시스템
KR10215814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102211988B1 (ko) 상품 판매 영상을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KR100958427B1 (ko) 컨텐츠 데이터 재생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60399B1 (ko) 음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기록 매체
Frumes et al. Developing an Internet and Wireless License Agreement for Motion Pictures and Television Programming
KR20240020429A (ko) 디지털 컨텐츠 이용권 거래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