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590B1 - 이미지 정합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정합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3590B1 KR102263590B1 KR1020210046357A KR20210046357A KR102263590B1 KR 102263590 B1 KR102263590 B1 KR 102263590B1 KR 1020210046357 A KR1020210046357 A KR 1020210046357A KR 20210046357 A KR20210046357 A KR 20210046357A KR 102263590 B1 KR102263590 B1 KR 1022635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sub
- cluster
- divided
- gener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3—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06T7/337—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involving reference images or patch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10/757—Matching configurations of points or fe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3—Clustering techniques
- G06F18/232—Non-hierarchical techniques
- G06F18/2321—Non-hierarchical techniques using statistics or function optimisation, e.g. modelling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3—Clustering techniques
- G06F18/232—Non-hierarchical techniques
- G06F18/2321—Non-hierarchical techniques using statistics or function optimisation, e.g. modelling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 G06F18/23213—Non-hierarchical techniques using statistics or function optimisation, e.g. modelling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with fixed number of clusters, e.g. K-means cluster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14—Transformations for image registration, e.g. adjusting or mapping for alignment of imag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18—Image warping, e.g. rearranging pixels individual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3—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2—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lustering, e.g. of similar faces in social networks
- G06V10/763—Non-hierarchical techniques, e.g. based on statistics of modelling distribu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82—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neural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 G06T2207/10044—Radar ima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21—Dividing image into blocks, subimages or window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이미지를 정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군집에 기초하여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주 군집을 이용하여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분할 이미지 및 제 2 분할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정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함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Claims (18)
-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미지 정합 방법으로서,
제 1 이미지의 제 1 픽셀 수 또는 제 2 이미지의 제 2 픽셀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전처리 과정을 통해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 각각으로부터 제 1 분할 이미지 및 제 2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 및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를 정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 과정은,
상기 제 1 이미지를 기 설정된 크기로 축소하여, 제 1 서브 이미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이미지를 기 설정된 크기로 축소하여, 제 2 서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1 특징점을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서브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2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특징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특징점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합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픽셀 수 또는 상기 제 2 픽셀 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처리를 수행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합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픽셀 수 및 상기 제 2 픽셀 수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를 정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합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미지는 위성 이미지이고, 그리고
상기 제 2 이미지는 상기 제 1 이미지가 생성된 이후에 생성된 위성 이미지인,
이미지 정합 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이 결정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을 제외한 나머지 특징점을 상기 제 1 서브 이미지 및 상기 제 2 서브 이미지 각각에서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특징점이 제거된 제 1 서브 이미지 및 제 2 서브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합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에 대한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서브 이미지 및 상기 제 2 서브 이미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군집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군집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 및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합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군집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 및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군집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의 밀도가 가장 높은 주(major) 군집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 이미지에서 상기 주 군집이 배치되는 영역에 대한 제 1 영역 정보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서브 이미지에서 상기 주 군집이 배치되는 영역에 대한 제 2 영역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합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군집이 생성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군집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 미달 군집을 상기 제 1 서브 이미지 및 상기 제 2 서브 이미지 각각에서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군집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 및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미달 군집이 제거된 제 1 서브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군집이 배치되는 영역에 대한 제 3 영역 정보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미달 군집이 제거된 제 2 서브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군집이 배치되는 영역에 대한 제 4 영역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4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합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서브 이미지 및 상기 제 2 서브 이미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군집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의 밀도를 이용하는 밀도 기반 클러스터링(Density-based spatial clustering of applications with noise, DBSCAN)기법에 따라 상기 제 1 서브 이미지 및 상기 제 2 서브 이미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군집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합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서브 이미지 및 상기 제 2 서브 이미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군집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으로 구성되는 군집을 형성할 수 있는 K-평균 클러스터링(K-Means Clustering) 기법에 따라 상기 제 1 서브 이미지 및 상기 제 2 서브 이미지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군집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합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 및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를 정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3 특징점을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4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3 특징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4 특징점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매칭점에 기초하여, 정합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정합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이미지를 워핑(warping)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이미지 및 워핑된 제 2 이미지를 정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합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3 특징점을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4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 및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 각각이 신경망(neural network) 기반의 특징점 추출 모델에 입력 가능할 때까지 상기 전처리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합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정보는, 상기 제 1 서브 이미지에서 상기 주 군집의 중심에 해당하는 제 1 좌표점 및 상기 주 군집이 배치되는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 정보는, 상기 제 2 서브 이미지에서 상기 주 군집의 중심에 해당하는 제 2 좌표점 및 상기 주 군집이 배치되는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합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 정보는, 상기 미달 군집이 제거된 제 1 서브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군집 각각의 중심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좌표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군집 각각이 배치되는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영역 정보는, 상기 미달 군집이 제거된 제 2 서브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군집 각각의 중심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좌표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군집 각각이 배치되는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합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전처리 과정을 통해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 각각으로부터 제 1 분할 이미지 및 제 2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합 방법.
-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미지를 정합하기 위한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제 1 이미지의 제 1 픽셀 수 또는 제 2 이미지의 제 2 픽셀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전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전처리 과정을 통해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 각각으로부터 제 1 분할 이미지 및 제 2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 및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를 정합하는 동작;
을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 과정은,
상기 제 1 이미지를 기 설정된 크기로 축소하여, 제 1 서브 이미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이미지를 기 설정된 크기로 축소하여, 제 2 서브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제 1 서브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1 특징점을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서브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2 특징점을 추출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특징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특징점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복수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 1 이미지의 제 1 픽셀 수 또는 제 2 이미지의 제 2 픽셀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전처리 과정을 통해 상기 제 1 이미지를 기 설정된 크기로 축소하여, 제 1 서브 이미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이미지를 기 설정된 크기로 축소하여, 제 2 서브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서브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1 특징점을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서브 이미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2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특징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특징점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매칭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미지로부터 제 1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이미지로부터 제 2 분할 이미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분할 이미지 및 상기 제 2 분할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를 정합하는,
서버.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6357A KR102263590B1 (ko) | 2021-04-09 | 2021-04-09 | 이미지 정합 방법 |
KR1020210068032A KR102283885B1 (ko) | 2021-04-09 | 2021-05-27 | 이미지 정합 방법 |
KR1020210072706A KR20220140390A (ko) | 2021-04-09 | 2021-06-04 | 이미지 정합 방법 |
US17/342,901 US11257228B1 (en) | 2021-04-09 | 2021-06-09 | Method for image registration |
KR1020210097686A KR20220140392A (ko) | 2021-04-09 | 2021-07-26 | 이미지 정합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6357A KR102263590B1 (ko) | 2021-04-09 | 2021-04-09 | 이미지 정합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8032A Division KR102283885B1 (ko) | 2021-04-09 | 2021-05-27 | 이미지 정합 방법 |
KR1020210072706A Division KR20220140390A (ko) | 2021-04-09 | 2021-06-04 | 이미지 정합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3590B1 true KR102263590B1 (ko) | 2021-06-10 |
Family
ID=7637795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6357A Active KR102263590B1 (ko) | 2021-04-09 | 2021-04-09 | 이미지 정합 방법 |
KR1020210068032A Active KR102283885B1 (ko) | 2021-04-09 | 2021-05-27 | 이미지 정합 방법 |
KR1020210072706A Withdrawn KR20220140390A (ko) | 2021-04-09 | 2021-06-04 | 이미지 정합 방법 |
KR1020210097686A Withdrawn KR20220140392A (ko) | 2021-04-09 | 2021-07-26 | 이미지 정합 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8032A Active KR102283885B1 (ko) | 2021-04-09 | 2021-05-27 | 이미지 정합 방법 |
KR1020210072706A Withdrawn KR20220140390A (ko) | 2021-04-09 | 2021-06-04 | 이미지 정합 방법 |
KR1020210097686A Withdrawn KR20220140392A (ko) | 2021-04-09 | 2021-07-26 | 이미지 정합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257228B1 (ko) |
KR (4) | KR10226359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20182769B (zh) * | 2025-05-14 | 2025-07-15 | 陕西中太能源投资有限公司 | 一种采煤工作面内的动态监测图像融合方法及系统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8886A (ko) * | 2008-07-17 | 2010-01-2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크기불변특징변환을 이용한 다중해상도 위성영상간자동기하보정 방법 |
KR20130013966A (ko) * | 2011-07-29 | 2013-02-06 | 주식회사 모든넷 | 이미지 정합 기반 흉부영상 진단 시스템 및 방법 |
KR101404640B1 (ko) * | 2012-12-11 | 2014-06-20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영상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
KR20140100054A (ko) * | 2013-02-05 | 2014-08-14 | 광주과학기술원 | 이미지 정합 방법 및 이미지 정합 장치 |
US10460458B1 (en) * | 2017-09-14 | 2019-10-29 |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 Method for registration of partially-overlapped aerial imagery using a reduced search space methodology with hybrid similarity measures |
KR102196749B1 (ko) | 2018-11-28 | 2020-12-31 | 주식회사 큐램 | 가중치 특징점을 이용한 이미지 정합 방법 및 그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1771B1 (ko) | 1998-08-12 | 2002-03-08 | 이계철 | 셀분할에의한이미지합성시스템및그방법 |
KR100551826B1 (ko) | 2004-04-29 | 2006-02-13 |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 다수의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이미지 융합 방법 |
KR101175097B1 (ko) | 2010-08-12 | 2012-08-21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파노라마 영상 생성 방법 |
EP3345129A4 (en) * | 2015-08-31 | 2019-07-24 | Cape Analytics, Inc. | SYSTEMS AND METHOD FOR ANALYZING REMOTE IMAGING IMAGES |
KR20190027165A (ko) | 2017-09-06 | 2019-03-14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복수 이미지의 특징을 통일하는 이미지 조정 시스템 및 방법 |
-
2021
- 2021-04-09 KR KR1020210046357A patent/KR102263590B1/ko active Active
- 2021-05-27 KR KR1020210068032A patent/KR102283885B1/ko active Active
- 2021-06-04 KR KR1020210072706A patent/KR20220140390A/ko not_active Withdrawn
- 2021-06-09 US US17/342,901 patent/US11257228B1/en active Active
- 2021-07-26 KR KR1020210097686A patent/KR20220140392A/ko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8886A (ko) * | 2008-07-17 | 2010-01-2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크기불변특징변환을 이용한 다중해상도 위성영상간자동기하보정 방법 |
KR20130013966A (ko) * | 2011-07-29 | 2013-02-06 | 주식회사 모든넷 | 이미지 정합 기반 흉부영상 진단 시스템 및 방법 |
KR101404640B1 (ko) * | 2012-12-11 | 2014-06-20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영상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
KR20140100054A (ko) * | 2013-02-05 | 2014-08-14 | 광주과학기술원 | 이미지 정합 방법 및 이미지 정합 장치 |
US10460458B1 (en) * | 2017-09-14 | 2019-10-29 |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 Method for registration of partially-overlapped aerial imagery using a reduced search space methodology with hybrid similarity measures |
KR102196749B1 (ko) | 2018-11-28 | 2020-12-31 | 주식회사 큐램 | 가중치 특징점을 이용한 이미지 정합 방법 및 그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257228B1 (en) | 2022-02-22 |
KR102283885B1 (ko) | 2021-08-02 |
KR20220140392A (ko) | 2022-10-18 |
KR20220140390A (ko) | 2022-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37141B2 (en) | Deep learning based image comparis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computer readable medium | |
KR102246085B1 (ko) | 어노말리 디텍션 | |
KR102285530B1 (ko) | 영상 정합을 위한 이미지 처리 방법 | |
KR102357531B1 (ko) | 딥러닝 기반의 강수 유형 분류 방법 | |
KR102337412B1 (ko) | 딥러닝 기반 초해상도 이미징 방법 | |
KR102345892B1 (ko) | 변화 탐지 방법 및 장치 | |
US2022026971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Object | |
KR102379636B1 (ko) | 딥러닝 기반의 어노테이션 방법 | |
KR20220112164A (ko) | 목표 물체 검출 방법 및 장치 | |
KR20190041961A (ko) | 딥러닝 기반 이미지 비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
KR20220129995A (ko) | 딥러닝 기반 초해상도 이미징 방법 | |
KR20210152417A (ko) | 앵커-프리 rpn 기반의 물체 검출 방법 | |
US20230196745A1 (en) | Adversarial attack method for malfunctioning object detection model with super resolution | |
KR20220105102A (ko) | 레이더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 |
KR20220116111A (ko) | 인공 신경망의 추론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판단하는 방법 | |
KR102283885B1 (ko) | 이미지 정합 방법 | |
KR102308753B1 (ko) | 목표 물체 검출 방법 및 장치 | |
KR102393951B1 (ko) | 객체 중심 데이터 증강 방법 | |
KR102364881B1 (ko) | 전문가 모사 모델 학습 방법 및 그 학습을 위한 장치 | |
KR102556766B1 (ko) | 데이터셋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 |
KR102783710B1 (ko) | 객체 검출 방법 | |
KR102437396B1 (ko) | 모델 학습 방법 | |
KR102364882B1 (ko) | 객체 검출 방법 | |
KR20230154601A (ko) | 표의 픽셀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10041919A (ko) | 데이터 생성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4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52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3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60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