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458B1 -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458B1
KR102263458B1 KR1020190077926A KR20190077926A KR102263458B1 KR 102263458 B1 KR102263458 B1 KR 102263458B1 KR 1020190077926 A KR1020190077926 A KR 1020190077926A KR 20190077926 A KR20190077926 A KR 20190077926A KR 102263458 B1 KR102263458 B1 KR 102263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ype
book
button
book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609A (ko
Inventor
박종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펍플
박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펍플, 박종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펍플
Priority to KR1020190077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4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가공 데이터로부터 메타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객체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객체들 중, 인터랙션이 필요한 객체에 사전에 준비된 인터랙션 기능모듈들을 짝짓는 방법으로 인터랙션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트랜스코딩함으로써 객체들 각각의 인터랙션에 대한 프로그래밍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Book Fi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과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근래에 들어, 정부의 교육 정책 및 교육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교육에 대한 인식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된 인식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책(electronic book; e-book)은 문자,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같은 시청각 정보를 전자매체에 기록하여 종래의 서책과 같이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서를 말한다. 이러한 전자책은 이러닝(e-learning) 콘텐츠 개발 및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새로운 교육 서비스 모델로서 주목받고 있다.
ePUB(electronic PUBlication)은 IDPF(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Forum)에서 개발한 전자책 포맷의 표준으로, 현재 전자책 시장에서는 사실상 표준(De Facto Standard)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현재 대부분의 출판사들은 ePUB 포맷으로 전자책을 제작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종래의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은 리소스를 준비하는 과정(S110), 디자인을 편집하는 과정(S120) 및 HTML 기반 전자책 퍼블리싱 과정(S130)을 포함한다.
ePUB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전통적인 서책을 출판하던 출판사 또는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개인이 ePUB 전자책을 제작하고 출판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다양한 어려움들 중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가 ePUB 전자책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등을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HTML 기반 전자책 퍼블리싱 과정(S130)의 수행은 막대한 인적 및 물적 자원의 낭비를 야기시키며, 이는 ePUB 시장 활성화의 장벽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HTML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여 노동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유형의 전자책 제작 방안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익히지 않더라도 문자, 이미지, 음원,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상용의 디자인 편집 도구를 이용하여 트랜스코딩(Transcoding)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전자책을 출판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가공 데이터(raw data)를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리소스 준비 과정; 상기 미가공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객체(object)에 대한 메타데이터(metadata)를 추출하고, 상기 미가공 데이터 중 문자 정보를 벡터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며, 문자 및 이미지 정보를 편집하는 디자인 편집 과정;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인터랙션(interaction)이 필요한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객체에게 ID를 부여하여 인터랙션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미가공 데이터와 상기 인터랙션 콘텐츠를 전자책 파일로 트랜스코딩하는 트랜스코딩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가공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미가공데이터 중 문자 정보를 벡터 이미지화하는 벡터 변환부; 전자책 파일에서 필요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모듈을 생성하는 모듈 생성부; 상기 미가공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터랙션이 필요한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객체에게 ID를 부여하고, 상기 ID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모듈을 짝지어 인터랙션 콘텐츠를 생성하는 인터랙션 콘텐츠 생성부; 및 상기 ID를 파싱하여 전자책 파일로 트랜스코딩하는 트랜스코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파일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가공 데이터로부터 메타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객체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객체들 중, 인터랙션이 필요한 객체에 사전에 준비된 인터랙션 기능모듈들을 짝짓는 방법으로 인터랙션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트랜스코딩함으로써 인터랙션이 필요한 객체 각각에 대한 프로그래밍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객체들에 대해서 동일한 기능모듈을 이용할 수 있어, 전자책을 출판하기 위해 필요한 인적 및 물적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통상적인 상용 디자인 편집기의 기능들 그대로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강력한 디자인 편집 기능들을 이용하여 전자책을 출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책 출판을 위한 퍼블리싱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디자인 편집기와 HTML 제작 방식의 차이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콘텐츠 왜곡을 없앨 수 있어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으로 PDF 파일을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으로 레이어를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으로 버튼을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으로 정답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으로 자막 파일을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장치(200)는 벡터 변환부(210), 모듈 생성부(220), 인터랙션 콘텐츠 생성부(230) 및 트랜스코딩부(240)를 포함한다.
벡터 변환부(210)는 외부로부터 미가공 데이터(raw data)를 수신하고 분석한다. 벡터 변환부(210)는 미가공 데이터에 포함된 문자 정보 및 이미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metadata)를 추출하고, 추출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정보를 분류하고 저장한다. 여기서, 메타데이터는 문자 정보 및 이미지 정보 각각에 대한 위치 좌표를 포함하는 레이아웃(layout) 정보 및 문자 정보에 대응되는 문자 내용을 포함하는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자 정보에 대한 속성 정보는 문자 각각에 대한 글꼴(font), 크기(size) 및 색상(color)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벡터 변환부(210)는 문자 정보를 벡터 형태로 이미지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듈 생성부(220)는 전자책 파일에서 필요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모듈을 생성한다. 여기서, 전자책 파일에서 필요한 기능이란, 전자책을 서책과 같이 표시함과 동시에 멀티미디어 파일을 활용하여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부가 기능에는 자막 표시, 악보 표시, 오디오 및 비디오 재생, 하이라이트 표시, 문제 풀이, 정답 확인, 페이지 넘김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모듈 생성부(220)는 모듈 생성부(220)는 전자책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파일, EPS(encapsulated postscript) 파일, 이미지 파일, 오디오 파일 및 비디오 파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준비하고, HTML 및 자바스트립트(JavaScript)에서 선택된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능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모듈 생성부(220)는 각각의 부가 기능에 대한 기능모듈을 생성하여 모듈 라이브러리를 구축한다. 전자책 파일에서 전자책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부가 기능들의 종류는 많지 않으며, 특정 유형의 부가 기능들은 반복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한 번 모듈 라이브러리를 구축해 놓으면 부가 기능들 각각에 대해 매번 프로그래밍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인터랙션 콘텐츠 생성부(230)는 벡터 변환부(210)가 수신하여 분석한 미가공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터랙션이 필요한 객체를 판별한다. 인터랙션 콘텐츠 생성부(230)는 인터랙션이 필요한 객체를 판별하기 위해, 벡터 변환부(210)가 추출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한다. 인터랙션 콘텐츠 생성부(230)는 인터랙션이 필요한 것으로 판별된 객체 각각에게 ID를 부여하고, ID와 적어도 하나의 기능모듈 중 선택된 하나를 짝지어 인터랙션 콘텐츠를 생성한다. 또한, 인터랙션 콘텐츠 생성부(230)는 미가공 데이터에 포함되는 문자 및 이미지 가운데 선택된 일부 또는 전부를 편집하거나 미가공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문자 또는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다. 인터랙션 콘텐츠 생성부(230)가 수행하는 이러한 기능들, 즉, 미가공 데이터에 포함되는 문자 및 이미지 가운데 선택된 일부 또는 전부를 편집하거나 미가공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문자 및 이미지를 추가하는 것은 통상적인 상용 디자인 편집기, 예컨대, 어도비 시스템즈의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Adobe Illustrator)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트랜스코딩부(240)는 인터랙션 콘텐츠의 ID를 파싱하여 HTML 기반의 epub 전자책 파일 또는 HTML 파일로 트랜스코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트랜스코딩부(240)에 의해 트랜스코딩된 전자책 파일은 다양한 epub 파일 뷰어 또는 웹브라우저 등에서 실행되어 읽힐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은 리소스(resource) 준비 과정(S310), 디자인 편집 과정(S320) 및 자동으로 전자책 파일을 퍼블리싱하는 트랜스코딩 과정(S330)을 포함한다.
리소스 준비 과정(S310)에서 벡터 변환부(210)는 문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미가공 데이터, 즉, PDF 파일 및 EPS 파일은 물론 전자책에서 실행될 부가 기능을 위한 이미지 파일,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등을 입력받는다.
디자인 편집 과정(S320)에서 벡터 변환부(210)는 미가공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벡터 변환부(210)는 미가공 데이터 중 문자 정보를 벡터 이미지 정보로 변환한다. 이 과정에서 인터랙션 콘텐츠 생성부(230)는 문자 및 이미지 정보를 삭제, 변경 또는 추가하는 등의 디자인 편집을 수행한다.
트랜스코딩 과정(S330)에서 인터랙션 콘텐츠 생성부(230)는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인터랙션이 필요한 객체를 판별하고, 판별된 객체에게 ID를 부여하여 인터랙션 콘텐츠를 생성한다. 트랜스코딩부(240)는 미가공 데이터와 인터랙션 콘텐츠를 이용하여 전자책 파일로 트랜스코딩한다. 트랜스코딩부(240)가 트랜스코딩하여 출력한 결과물은 epub 파일 또는 HTML 파일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으로 PDF 파일을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에서 변환대상 PDF 파일을 찾아서 '찾기' 버튼을 클릭하고, 변환할 PDF 파일을 선택하여 '열기' 버튼을 클릭한다. 변환파일 저장경로 '찾기'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할 폴더를 선택하고, '변환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변환 작업을 수행한다(S31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으로 레이어를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에서 PDF 파일 또는 EPS 파일을 열고, 새로운 레이어를 생성한다. 이때, 레이어 이름을 overlay로 지정한다. 'overlay' 레이어의 하위에 서브 레이어를 생성하고, 각각의 레이어에서 '정답 보기', '오디오 재생' 및 '영상 재생' 등의 버튼 생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32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으로 버튼을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으로 버튼을 만드는 경우, 정답 보기, 오디오 재생 및 영상 재생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답 보기', '오디오 재생' 및 '영상 재생' 등의 버튼 영역을 직사각형 도구(610)를 이용하여 지정한다. 그 후, 개별 작업 레이어의 이름 규칙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정답 보기', '오디오 재생' 및 '영상 재생'에 대한 객체별 작업 레이어 이름 규칙은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항목 기능 규칙
1 정답 보기 버튼: btnXXXYY (XXX: 페이지 번호, YY: 문항 번호)
정답 이미지: btnXXXYY_img
2 오디오 재생 type0_(오디오 파일명): '_' 뒤에 확장자를 포함한 파일명 입력
3 비디오 재생 video_(비디오 파일명): '_' 뒤에 확장자를 포함한 파일명 입력
한편, 미디어 플레이어 버튼의 종류는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름(name) 버튼 이미지(button image) 플레이어 유형(player type)
type1 none invisible
type2 none simple
type3 none script, speed control
type4 exist invisible
type5 exist simple
type6 exist script, speed control
여기서, none은 버튼이 없고, 마우스 오버 시, 붉은색 반투명 영역으로 변경되는 버튼 이미지를 나타내며, exist는 별도의 버튼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플레이어 유형의 경우, invisible은 미디어 플레이어가 보이지 않는 경우를, simple은 기본 재생 컨트롤만 가능한 플레이어를 그리고 script, speed control의 경우, 자막 보기와 속도 조절이 가능한 플레이어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으로 정답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으로 정답 이미지를 만드는 경우, 버튼에 연결되는 정답 이미지를 그린 뒤, 그룹으로 묶어 지정하고, 레이어 이름을 지정한다. 여기서, 레이어 이름은 버튼명_img이다. 글꼴의 경우, 'Create Outlines'로 변경 후, 그룹을 지정함으로써 레이어 이름을 지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으로 자막 파일을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막이 표시될 시간 범위, 자막 내용 등을 지정함으로써 자막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3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의 각 단계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전자책 파일 생성 장치 210: 벡터 변환부
220: 모듈 생성부 230: 인터랙션 콘텐츠 생성부
240: 트랜스코딩부 290: 디자인 편집기
610: 직사각형 도구

Claims (6)

  1. 전자책 생성장치가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책 파일로 변환할 미가공 데이터(raw data) 및 상기 전자책 파일 상에서 실행가능한 형태로 삽입할 콘텐츠 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
    기 정의된 레이어 이름 규칙 및 상기 미가공 데이터 내 객체에 부여된 레이어 이름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책에 삽입할 콘텐츠의 속성, 상기 콘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버튼의 영역 및 상기 버튼의 종류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콘텐츠의 속성 및 상기 버튼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미가공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는 버튼이 삽입된 전자책 파일로 트랜스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의 속성은,
    상기 콘텐츠의 유형 및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파일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종류는,
    버튼 이미지(button image) 표시 유형 및 상기 콘텐츠의 유형이 오디오 재생 또는 비디오 재생인 경우에 상기 콘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의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파일 생성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유형은,
    상기 전자책 상에서 실행가능한 형태로 삽입되는 부가 기능의 유형으로서, 자막 표시, 악보 표시, 오디오 재생, 비디오 재생, 하이라이트 표시, 문제 풀이, 정답 확인 및 페이지 넘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파일 생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의 유형은,
    상기 콘텐츠의 유형이 오디오 재생 또는 비디오 재생인 경우에, 상기 콘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의 유형으로서,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의 표시 여부, 자막 표시 여부 및 속도 조절 기능 제공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파일 생성방법.
  5. 삭제
  6.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는 전자책 생성장치에 있어서,
    전자책 파일로 변환할 미가공 데이터(raw data) 및 상기 전자책 파일 상에서 실행가능한 형태로 삽입할 콘텐츠 데이터를 입력받고, 기 정의된 레이어 이름 규칙 및 상기 미가공 데이터 내 객체에 부여된 레이어 이름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책에 삽입할 콘텐츠의 속성, 상기 콘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버튼의 영역 및 상기 버튼의 종류를 획득하고, 상기 콘텐츠의 속성 및 상기 버튼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미가공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는 버튼이 삽입된 전자책 파일로 트랜스코딩하는 트랜스코딩부
    를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의 속성은,
    상기 콘텐츠의 유형 및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파일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종류는,
    버튼 이미지(button image) 표시 유형 및 상기 콘텐츠의 유형이 오디오 재생 또는 비디오 재생인 경우에 상기 콘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의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파일 생성장치.
KR1020190077926A 2017-12-27 2019-06-28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263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926A KR102263458B1 (ko) 2017-12-27 2019-06-28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354 2017-12-27
KR1020190077926A KR102263458B1 (ko) 2017-12-27 2019-06-28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354 Division 2017-12-27 2017-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609A KR20190079609A (ko) 2019-07-05
KR102263458B1 true KR102263458B1 (ko) 2021-06-10

Family

ID=6722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926A KR102263458B1 (ko) 2017-12-27 2019-06-28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373B1 (ko) * 2020-12-08 2022-03-04 주식회사 펍플 사후 디지털 권한 관리 할당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993B1 (ko) 2011-11-02 2012-05-02 주식회사 비앤씨 책자형 교재를 통해 정보 재생기능을 갖는 교수 방법 및 시스템.
KR101636335B1 (ko) * 2015-04-29 2016-07-06 (주)오렌지디지트코리아 인터랙티브 효과를 자동 부여하는 문서 변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192B1 (ko) * 2007-04-12 2009-07-16 현재봉 사용자 정의 소프트 폰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시스템 및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방법
KR101208588B1 (ko) * 2010-11-29 2012-12-06 정병완 주문형 출판을 제공하는 벡터이미지 기반의 텍스트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84209A (ko) * 2011-01-19 2012-07-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북 콘텐츠 세그먼트를 이용한 이북 파일 제작 방법
KR101495839B1 (ko) * 2012-02-08 2015-02-26 주식회사 아이포트폴리오 전자문서에서 멀티미디어 정보 제공방법 및 검색방법
KR101709186B1 (ko) * 2013-01-25 2017-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전자책 저작 장치 및 방법
KR101890831B1 (ko) * 2017-01-11 2018-09-28 주식회사 펍플 전자책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27332A (ko) * 2017-02-28 2017-03-09 네이버 주식회사 메타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993B1 (ko) 2011-11-02 2012-05-02 주식회사 비앤씨 책자형 교재를 통해 정보 재생기능을 갖는 교수 방법 및 시스템.
KR101636335B1 (ko) * 2015-04-29 2016-07-06 (주)오렌지디지트코리아 인터랙티브 효과를 자동 부여하는 문서 변환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609A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521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training program
US20130191728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generating electronic books
US20200293266A1 (en) Platform for educational and interactive ereaders and ebooks
CN104298725A (zh) 在线课件开发系统一次性编辑输入多版本输出的方法
KR101147256B1 (ko) 표준화된 전자책 생성장치 및 방법
CN102314428A (zh) 一种分布式构造网页的方法
KR102263458B1 (ko)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Macaulay Introduction to web interaction design: With Html and Css
CN102314427A (zh) 一种分布式生成网页的方法
Spritzer et al. Towards a smooth design process for static communicative node‐link diagrams
González et al. Approach design of an accessible media player
Gambier Revisiting certain concepts of translation studies through the study of media practices
WO2019132062A1 (ko)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Gourlay Media systems, multimodality and posthumanism
Fels et al. Sign language online with Signlink Studio 2.0
KR102620692B1 (ko) 이러닝 콘텐츠 제작을 위한 html5 자동 변환 방법
KR102527617B1 (ko) Html5 기반 이러닝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00017815A (ko)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동영상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방법
KR101161693B1 (ko) 객체지향이며 xml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솔루션을 갖춘 cms
WO2014042053A1 (ja) 電子書籍制作装置、ビューワ装置、電子書籍システム及び電子書籍制作方法
Bisenzi et al. 48 Hours to make animation accessible
KR102414020B1 (ko) 컨텐츠 제작 단말기,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Baetens Plain Text: The Poetics of Computation by Dennis Tenen
KR101111688B1 (ko) 대사 학습 보조 장치 및 방법
Sampaio et al. WebAnywhere system improvement: A screen reader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specific w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