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412B1 -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412B1
KR102263412B1 KR1020190178709A KR20190178709A KR102263412B1 KR 102263412 B1 KR102263412 B1 KR 102263412B1 KR 1020190178709 A KR1020190178709 A KR 1020190178709A KR 20190178709 A KR20190178709 A KR 20190178709A KR 102263412 B1 KR102263412 B1 KR 102263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creen
videos
overlap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우
이상용
서다솔
김성탁
김연준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8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화면에서 동시에 재생되는 두개의 동영상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동일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두개의 동영상을 손가락 터치를 통한 간단한 동작만으로 각각의 개별 동영상의 크기, 위치, 음량 및 재생구간 등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한 화면에서 오버랩되는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손쉽게 개별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Control method of overlap-displayed videoes}
본 발명은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화면에서 동시에 재생되는 두개의 동영상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동일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두개의 동영상을 손가락 터치를 통한 간단한 동작만으로 각각의 개별 동영상의 크기, 위치, 음량 및 재생구간 등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한 화면에서 오버랩되는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손쉽게 개별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터넷 발달과 함께, 짧은 시간에 시청각을 통해 빠르게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동영상 시장이 활성화 되고 있는데, 이러한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하여 다양한 강의, 강좌 등을 시청하고 정보를 습득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며 DIY(Do It Yourself), 홈트레이닝 및 1인 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생활문화가 생겨나고 있다.
위와 같이 DIY, 홈트레이닝, 1인 콘텐츠 제작 등 동영상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주로 가이드 동영상 혹은 배포된 동영상과 자신이 촬영한 동영상 혹은 자신이 촬영된 동영상을 비교하여 한단계씩 확인하면서 정보를 습득하는 것을 선호하며, 이에 따라 이들은 TV,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동영상 시청을 위한 기기들 중에서도, 배포된 동영상 시청뿐만 아니라, 직접 촬영한 동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여 이동하면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 스마트 기기를 통해 주로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 기기의 경우 이동성이 높고 동영상 촬영이 지원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화면의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하나의 화면에서 다양한 영상을 시청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위와 같은 가이드 동영상 혹은 배포된 동영상과 자신의 동영상을 비교하여 시청하는데 불편함이 있어 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5-0045121호에서는 화면을 분할하여 여러개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멀티윈도우 방법을 제시하고 있기는 하나, 이 역시, 윈도우 내에서 제공되는 버튼을 통해서만 제어가 가능하여 윈도우 크기가 작을때는 개별 제어에 어려움이 있는 등 단점이 있으며, 영상을 중첩하여 시청할 수 없다는 불편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따라, 동영상을 오버랩하여 출력하고, 개별 동영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절실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45121호(공개일 : 2015. 04. 28)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화면에서 두개의 동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동일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두개의 동영상을 오버랩하여 동시에 시청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손가락 터치를 통한 간단한 동작만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개별 동영상의 크기, 위치, 음량 및 재생구간 탐색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한 화면에서 오버랩되는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손쉽게 개별 동영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한 화면에서 재생되는 복수의 동영상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오버랩하여 출력되는 두 개의 동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버랩하여 출력될 두 개의 동영상을 각각 입력받는 단계; 디스플레이 화면을 가상의 두 개 영역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을 상기 두 개의 동영상에 대한 제어 영역으로 각각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각각의 분할영역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명령에 따라, 각각의 분할영역에 대응되는 동영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동영상별로 각각 할당된 분할영역을 통한 터치명령의 입력을 통해 하나의 화면에서 동시에 오버랩하여 출력되는 두 개의 동영상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 화면에서 재생되는 복수의 동영상 제어 방법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두개의 동영상을 오버랩하여 동시에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함은 물론, 오버랩되는 개별 동영상의 크기 조절, 위치 조절, 재생구간 탐색, 음량조절 등 동영상 재생환경을 손가락 터치를 통한 간단한 동작만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는 한 화면에서 두개의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개별 동영상의 위치, 크기, 오디오, 재생구간 탐색 등 동영상 재생 환경을 개별적으로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동자세 교정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가 가이드 영상과 본인의 영상을 비교하여 본인 자세의 문제를 스스로 파악하고 교정할 수 있는 등, 두 영상을 비교하거나 동시에 시청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를 위한 가상의 화면 영역 분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화면에서 두 개의 동영상에 대한 다양한 출력제어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에서는 먼저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화면 상에서 출력되는 두 개의 동영상을 각각 입력받게 된다(S101).
다음으로, 입력받은 두개의 동영상을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동시에, 동영상을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화면상에서 가상의 영역을 분할하여 각 동영상에 가상의 분할영역을 할당한다(S102).
이때 이루어지는 가상의 화면 영역 분할은, 실제 화면에서 선으로 분할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 아닌, 다만 사용자의 입력명령을 분할하여 인식하기 위한 가상의 영역 분할일 뿐이며, 사전 설정된 방식에 의하여 분할될 수 있다.
이후, 분할된 영역별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명령을 인식하고(S103), 해당 영역을 할당받은 동영상에서 인식된 터치명령에 따른 제어명령을 실행한다(S104).
이때, 인식되는 터치명령에는 한 손가락을 이용한 상하이동, 좌우이동 및 두 손가락을 이용한 드래그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영상의 음량, 재생구간, 화면 크기 및 화면 위치 등 동영상 출력 환경이 조절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를 위한 가상의 화면 영역 분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동영상을 하나의 화면에서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두 개의 동영상(110,120)을 입력받으면, 두 개의 동영상(110,120)이 한 화면상에 표시된다.
여기서, 두 개의 동영상을 한 화면상에 출력할 때, 디스플레이되는 개별 동영상마다 특정 영역을 가상으로 분할하여 할당한다. 예로써, 첫번째 입력되는 제1 동영상(110)은 제1 분할영역(110a), 두번째 입력되는 제2 동영상(120)은 제2 분할영역(120a)이 할당될 수 있다.
이때 이루어지는 가상의 화면 영역 분할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 화면에서 선으로 분할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아닌, 다만 사용자의 터치명령을 분할하여 인식하기 위한 가상의 영역 분할이다.
이와 같이 개별 동영상마다 가상으로 영역을 분할하여 할당한 후, 입력되는 터치명령을 영역별로 나누어 인식하여, 제어명령이 입력된 영역에 대응되는 동영상 출력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동영상(110)은 제1 분할영역(110a)에 입력되는 터치명령을 통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2 동영상(120)은 제2 분할영역(120a)에 입력되는 터치명령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명령에 따른 동영상 출력제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화면에서 두 개의 동영상에 대한 다양한 출력제어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동영상이 출력되는 화면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이 출력되는 화면상의 위치는 두 손가락을 화면 영역에 동시에 터치한 후 드래그하는 제스처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출력 위치를 결정하고자 하는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서, 해당 동영상을 두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동시에 터치한 후 드래그하면, 해당 동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동영상이 출력되는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이 출력되는 화면의 크기는 줌인(zoom-in) 및 줌아웃(zoom-out)제스처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즉, 분할영역 내에서 두 손가락을 터치한 후, 간격을 벌리면(줌인제스처) 제1 동영상(110) 화면과 같이 동영상 화면의 크기가 커지며, 두 손가락을 터치한 후 간격을 좁히면(줌아웃제스처) 제2 동영상(120) 화면과 같이 동영상 화면의 크기가 작아진다.
이때, 두 동영상의 위치 및 크기 조절을 통해,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동영상의 화면이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경우, 겹쳐진 화면(130)은 내부 알고리즘을 통한 연산을 통해, 두 동영상이 오버랩되면서, 오버랩 되는 영상의 투명도 조절 등을 통해 오버랩되는 두 개의 동영상이 모두 보이도록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자유롭게 동영상 화면을 이동하거나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여 두개의 동영상을 비교하며 확인해 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운동자세 교정 등을 위해 가이드 영상과 본인의 운동 영상을 보다 정확하게 비교하여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투명도 조절을 통한 오버랩 디스플레이 방식은 이미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져 쓰이고 있는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존재하므로 본원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동영상의 음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의 음량은 각각의 화면 분할영역(110a,120a)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한 손가락을 터치한 채 상하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분할영역(110a)의 좌측에 한 손가락을 터치한 채로 상하로 움직이면, 해당 터치명령을 인식하여 제1 동영상(110)의 음량이 조절된다. 마찬가지로, 제2 분할영역(120a)의 우측에서 한 손가락을 이용한 상하 터치명령이 인식되면, 제2 동영상(120)의 음량이 조절된다. 이때, 음량 조절을 위한 별도의 음량 조절바(111)가 화면상에 제공 될 수 있다.
도 6은 동영상의 재생구간을 변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의 재생구간 변경은 각각의 화면 분할영역(110a,120a) 하단에서 한 손가락을 터치한 채 좌우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분할영역(110a)의 좌측 하단에 한 손가락을 터치한 채로 좌우로 움직이면, 해당 터치명령을 인식하여 제1 동영상(110)의 재생구간이 변경되고, 제2 분할영역(120a)에서 또한 마찬가지 방식을 통해 제2 동영상의 재생구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에도 재생 구간 변경을 위한 별도의 재생구간 제어바(112)가 화면상에 제공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분할 영역별로 입력되는 터치 명령을 인식하여 개별 동영상을 제어함으로써, 두 개의 동영상이 서로 오버랩되어 각각의 개별 동영상을 선택하기 어려운 경우, 또는 동영상 화면의 크기가 작게 조절되어 동영상 화면 내 터치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경우에도 별다른 어려움 없이 편리하게 재생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하나의 화면에서 두개의 동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는 두개의 동영상을 서로 오버랩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이드 영상과 본인의 영상을 시청하면서 두개의 동영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비교하며 학습할 수 있음은 물론, 두개의 동영상이 오버랩되어 개별 터치가 어렵거나 화면의 크기가 작게 설정되어 터치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분할 영역을 터치하여 각각의 동영상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0 : 제 1동영상 110a : 제1 분할영역
120 : 제 2동영상 120a : 제2 분할영역
111 : 음량 조절바 112 : 재생구간 제어바
130 : 겹쳐진 화면

Claims (7)

  1.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오버랩하여 출력되는 두 개의 동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버랩하여 출력될 두 개의 동영상을 각각 입력받는 단계;
    디스플레이 화면을, 화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각각 좌·우의 두개의 가상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각의 영역을 상기 두 개의 동영상에 대한 터치명령를 각각 인식하는 제어 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각각의 분할영역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명령에 따라, 각각의 분할영역에 대응되는 동영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동영상별로 각각 할당된 분할영역을 통한 터치명령의 입력을 통해 하나의 화면에서 동시에 오버랩하여 출력되는 두 개의 동영상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두 개의 동영상이 화면 상에서 서로 오버랩되어 출력되는 부분에서는,
    오버랩되는 영상의 투명도 조절을 통해 두 개의 동영상이 모두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영역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명령에는,
    동영상의 화면 크기 조절, 음량 조절 및 재생구간 변경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명령을 통한 개별 동영상의 화면 크기 조절은,
    상기 각각의 분할영역에 두 손가락의 동시 터치를 이용한 줌인 및 줌아웃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명령을 통한 개별 동영상의 음량 조절은,
    상기 각각의 분할영역 일측 가장자리에서의 한 손가락의 터치 및 상하 이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명령을 통한 개별 동영상의 재생구간 변경은,
    상기 각각의 분할영역 하단에서의 한 손가락의 터치 및 좌우 이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
  7. 삭제
KR1020190178709A 2019-12-30 2019-12-30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 KR102263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09A KR102263412B1 (ko) 2019-12-30 2019-12-30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09A KR102263412B1 (ko) 2019-12-30 2019-12-30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412B1 true KR102263412B1 (ko) 2021-06-10

Family

ID=76377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709A KR102263412B1 (ko) 2019-12-30 2019-12-30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4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742A (ko) * 2012-06-25 2014-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89809A (ko) *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150045121A (ko) 2013-10-18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742A (ko) * 2012-06-25 2014-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89809A (ko) *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150045121A (ko) 2013-10-18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48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US10324612B2 (en) Scroll bar with video region in a media system
EP2740264B1 (en) Video peeking
US8881049B2 (en) Scrolling displayed objects using a 3D remote controller in a media system
US8194037B2 (en) Centering a 3D remote controller in a media system
US8610673B2 (en) Manipulation of list on a multi-touch display
US8352877B2 (en) Adjustment of range of content display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
US9507482B2 (en) Electronic slide presentation controller
US20090158222A1 (en) Interactive and dynamic screen saver for use in a media system
US20090153475A1 (en) Use of a remote controller Z-direction input mechanism in a media system
EP2762997A2 (en) Eye tracking user interface
US20140189566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t least two screens
KR102262051B1 (ko) 디스플레이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25494A (ko) 에지 제스처 기법
KR20140025493A (ko) 에지 제스처 기법
US201501860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5094663A (zh) 用户终端设备、用于控制用户终端设备的方法及其多媒体系统
US20160124606A1 (e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40047395A1 (en) Gesture based control of element or item
KR102263412B1 (ko)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
US20120223886A1 (en) Rapid screen control input system
US9864500B2 (e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uto scroll of content as a function of tilting the device
JP6568795B2 (ja) 電子機器の操作方法および画像の表示方法
US20180203590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setting values thereof
US20140223340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dynamic map-type graphic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