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897B1 - 에어브리더용 캡 - Google Patents

에어브리더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897B1
KR102262897B1 KR1020190147710A KR20190147710A KR102262897B1 KR 102262897 B1 KR102262897 B1 KR 102262897B1 KR 1020190147710 A KR1020190147710 A KR 1020190147710A KR 20190147710 A KR20190147710 A KR 20190147710A KR 102262897 B1 KR102262897 B1 KR 102262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reather
width
cap
receiving hole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101A (ko
Inventor
이보람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7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89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9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aling the gearboxes, e.g. to improve airtight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7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venting gearboxes, e.g. air breat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69Bearings or seals
    • F16H57/0472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에 에어브리더가 삽입되는 수용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구멍의 상부 벽면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돌기는 에어브리더의 내부구멍에 삽입되어 내부구멍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용 캡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브리더용 캡{CAP FOR AIR BREATHER}
본 발명은 누유 방지를 목적으로 에어브리더에 결합하는 에어브리더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브리더(air breather)는 트랜스미션, 엔진, 액슬 하우징 등의 내부 부품들이 작동할 때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기포 등이 생기고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이 형성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압력을 배출시키고 작동을 멈추었을 때 발생되는 진공 상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에어 방지 출입 기구이다.
한편, 액슬을 차량에 조립시 오일 주입 후 뒤집어서 조립을 한다. 액슬을 뒤집어서 조립하는 경우 에어브리더의 내부구멍을 통해 누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에어브리더의 내부구멍을 고무캡으로 막는다.
그런데 기존 고무캡으로 에어브리더를 막는다 하더라도 여전히 누유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으며, 고무캡이 에어브리더 외주에 긴밀히 밀착 결합되기 때문에 고무캡의 분리가 쉽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에어브리더에 결합되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에어브리더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에어브리더용 캡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7892호(2007.05.08. 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삽입돌기가 에어브리더의 내부구멍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누유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타원형 구조로서 전후와 좌우 중 넓은 쪽 부위를 누르면 공간이 형성되어 에어브리더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에어브리더용 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에 에어브리더가 삽입되는 수용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구멍의 상부 벽면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돌기는 에어브리더의 내부구멍에 삽입되어 내부구멍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용 캡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하부몸체 보다 넓은 폭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 몸체는 전후 폭과 좌우 폭 중 어느 한쪽 폭이 더 크다.
또한, 상기 수용구멍은 제1 폭 및 제2 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폭은 수용구멍에 삽입되는 에어브리더의 외주 폭에 부합하고 상기 제2 폭은 수용구멍에 삽입되는 에어브리더의 외주 폭보다 더 크다.
또한, 상기 제1 폭은 수용구멍의 전후 폭이고, 상기 제2 폭은 수용구멍의 좌우 폭이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타원형이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탄성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는 아래로 갈수록 폭 좁아지는 테이퍼형 돌기이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에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폭 방향을 향하고 직선 형태이다.
본 발명은 삽입돌기가 에어브리더의 내부구멍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누유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원형 구조로서 전후와 좌우 중 넓은 쪽 부위를 누르면 공간이 형성되어 에어브리더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브리더에 결합이 용이하고 에어브리더에 한 번 결합되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브리더에 결합 분리가 매우 간편하여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립 공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용 캡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용 캡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존 고무캡으로 에어브리더를 막는다 하더라도 여전히 누유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으며, 고무캡이 에어브리더 외주에 긴밀히 밀착 결합되기 때문에 고무캡의 분리가 쉽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에어브리더에 결합되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에어브리더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에어브리더용 캡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용 캡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브리더용 캡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은 상부몸체(11) 및 상부몸체(11)에서 연장되는 하부몸체(12)를 포함한다.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는 형태 변형이 가능한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로 구성된다.
도 2와 같이 상부몸체(11)는 타원형 구조로 형성된다. 일예로서 상부몸체(11)는 전후 폭은 좁고, 좌우 폭은 넓은 타원형 구조로 형성된다. 상부몸체(11)의 상면(112)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1)가 구비된다.
하부몸체(12)는 상부몸체(11) 보다 작은 타원형 구조로 형성된다. 일예로서 하부몸체(12)는 상부몸체(11)와 같이 전후 폭은 좁고, 좌우 폭은 넓은 타원형 구조로 형성된다.
하부몸체(12)는 상부몸체(11)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하부몸체(12)의 내부에는 수용구멍(121)이 구비된다. 수용구멍(121)은 하부몸체(12)의 중심에 구비된다. 수용구멍(121)에 에어브리더(20)가 삽입된다.
도 2와 같이 수용구멍(121)은 제1 폭(L1)은 좁고, 제2 폭(L2)은 제1 폭(L1) 보다 넓은 타원형 구조로 형성된다. 제1 폭(L1)은 수용구멍(121)의 전후 폭이고, 제2 폭(L2)은 수용구멍(121)의 좌우 폭이다.
제1 폭(L1)은 수용구멍(121)에 삽입되는 에어브리더(20)의 외주 폭에 부합한다. 제2 폭(L2)은 수용구멍(121)에 삽입되는 에어브리더(20)의 외주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수용구멍(121)에 삽입돌기(123)가 구비된다. 삽입돌기(123)는 수용구멍(121)의 상부 벽면(122)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삽입돌기(123)는 아래로 갈수록 폭 좁아지는 테이퍼(taper)형 돌기이다. 삽입돌기(123)는 에어브리더(20)의 중심에 구비되는 내부구멍(21)에 삽입된다.
삽입돌기(123)는 테이퍼형 구조이기 때문에 삽입돌기(123)의 하부는 에어브리더(20)의 내부구멍(21)에 쉽게 삽입된다. 삽입돌기(123)는 테이퍼형 구조이기 때문에 삽입돌기(123)의 상부로 갈수록 에어브리더(20)의 내부구멍(21)에 꽉 끼워져 에어브리더(20)의 내부구멍(21)을 완벽하게 밀폐하여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브리더용 캡의 결합 과정을 설명한다.
도 3, 4와 같이 액슬(미도시)에 장착된 에어브리더(20)에 본 발명의 에어브리더용 캡을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액슬(미도시) 외측으로 노출되는 에어브리더(20) 부위가 수용구멍(121)에 삽입되게 한다. 에어브리더용 캡을 에어브리더(20)에 결합하면 수용구멍(121)의 상부 벽면(122)에 구비되는 삽입돌기(123)가 에어브리더(20)의 내부구멍(21)으로 자연스럽게 삽입된다.
이때, 삽입돌기(123)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형 구조로서 삽입돌기(123)의 하부는 에어브리더(20)의 내부구멍(21)에 쉽게 삽입되고 삽입돌기(123)의 상부는 에어브리더(20)에 내부구멍(21)에 긴밀히 밀착되어 내부구멍(21)으로 누유가 발생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삽입돌기(123)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형 구조이기 때문에 삽입돌기(123)의 상부만 에어브리더(20)의 내부구멍(21)에서 분리하면 나머지 부위는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삽입돌기(123)는 에어브리더(20)의 내부구멍(21)에 깊숙히 삽입되고, 수용구멍(121)의 제1 폭(L1)이 에어브리더(20)의 외주에 긴밀히 밀착되기 때문에 견고한 결합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에어브리더(20)의 내부구멍(21)으로 누유가 발생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브리더용 캡의 분리 과정을 설명한다.
에어브리더용 캡의 분리시 도 2의 화살표와 같이 수용구멍(121)의 제2 폭(L2)을 양쪽에서 중심 방향으로 가압한다.
수용구멍(121)의 제2 폭(L2)을 양쪽에서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면 에어브리더(20)의 외주에 긴밀히 밀착되어 있던 제1 폭(L1)이 전후로 벌어지면서 제1 폭(L1)과 에어브리더(20)의 외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에어브리더용 캡은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1 폭(L1)은 전후 방향으로 쉽게 벌어질 수 있다.
제2 폭(L2)의 양측을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면 제1 폭(L1)과 에어브리더(20)의 외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에어브러더(20)에 결합되어 있던 에어브리더용 캡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부몸체(11)의 상면(112)에 형성되는 돌출부(111)는 직선 형태로 넓은 폭을 가지는 제2 폭(L2) 방향을 가리키기 때문에 상부몸체(11)의 상면(112)의 돌출부(111)를 통해 에어브리더용 캡의 분리시 가압 부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삽입돌기가 에어브리더의 내부구멍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누유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원형 구조로서 전후와 좌우 중 넓은 쪽 부위를 누르면 공간이 형성되어 에어브리더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브리더에 결합이 용이하고 에어브리더에 한 번 결합되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브리더에 결합 분리가 매우 간편하여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립 공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상부몸체
12 : 하부몸체
20 : 에어브리더
21 : 내부구멍
111 : 돌출부
112 : 상면
121 : 수용구멍
122 : 상부 벽면
123 : 삽입돌기
L1 : 제1 폭
L2 : 제2 폭

Claims (9)

  1.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하부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에 에어브리더가 삽입되는 수용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구멍의 상부 벽면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돌기는 에어브리더의 내부구멍에 삽입되어 내부구멍을 밀폐하며,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 몸체는,
    전후 폭과 좌우 폭 중 어느 한쪽 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용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하부몸체 보다 넓은 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용 캡.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멍은,
    제1 폭 및 제2 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폭은 수용구멍에 삽입되는 에어브리더의 외주 폭에 부합하고 상기 제2 폭은 수용구멍에 삽입되는 에어브리더의 외주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용 캡.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은 수용구멍의 전후 폭이고, 상기 제2 폭은 수용구멍의 좌우 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용 캡.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용 캡.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용 캡.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아래로 갈수록 폭 좁아지는 테이퍼형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용 캡.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에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폭 방향을 향하고 직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브리더용 캡.
KR1020190147710A 2019-11-18 2019-11-18 에어브리더용 캡 KR102262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710A KR102262897B1 (ko) 2019-11-18 2019-11-18 에어브리더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710A KR102262897B1 (ko) 2019-11-18 2019-11-18 에어브리더용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101A KR20210060101A (ko) 2021-05-26
KR102262897B1 true KR102262897B1 (ko) 2021-06-08

Family

ID=76137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710A KR102262897B1 (ko) 2019-11-18 2019-11-18 에어브리더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8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875Y2 (ja) * 1990-10-31 1997-07-30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管継手部品定置用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892A (ko) 2005-11-03 2007-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브리더에 대한 변속기의 누유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875Y2 (ja) * 1990-10-31 1997-07-30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管継手部品定置用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101A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6836B2 (en) Shield terminal compatible with multiple housings and shield connector using the same
KR101573967B1 (ko) 밀봉형 전기 커넥터
US9583928B2 (en) Mounting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JPH09245880A (ja) 中継コネクタ
US8382530B2 (en) Case-integrated connector
US20210151923A1 (en) Shield terminal and shield connector
US20200294749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WO2020230580A1 (ja) コネクタ
JP6089992B2 (ja) 電子装置
KR102262897B1 (ko) 에어브리더용 캡
KR101616162B1 (ko) 하우징 구조
US11114829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WO2020230581A1 (ja) コネクタ
US9929495B2 (en) Waterproof connector
CN111316507B (zh) 连接器
JP6366071B2 (ja) 電子装置
US20200251851A1 (en) Elastic member and waterproof connector
CN109790894B (zh) 防振装置
CN104426058A (zh) 火花塞孔的罩结构
CN110459910B (zh) 电子装置
JP2018179264A (ja) グロメット
JP6747890B2 (ja) 車両用緩衝部品
JP4356429B2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WO2022249558A1 (ja) 自動車用制御装置
JP4123434B2 (ja) ブリーザ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