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584B1 - Motor for actuating lens - Google Patents

Motor for actuating l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584B1
KR102262584B1 KR1020200102422A KR20200102422A KR102262584B1 KR 102262584 B1 KR102262584 B1 KR 102262584B1 KR 1020200102422 A KR1020200102422 A KR 1020200102422A KR 20200102422 A KR20200102422 A KR 20200102422A KR 102262584 B1 KR102262584 B1 KR 102262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cover
base
driving motor
lens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4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4261A (en
Inventor
여인재
조재홍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6933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46875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2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584B1/en
Publication of KR2020010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261A/en
Priority to KR1020210071771A priority patent/KR1024239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584B1/en
Priority to KR1020220088515A priority patent/KR1026543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08Insulating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3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boards, i.e. printed circuit boards or similar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보빈을 포함하는 가동자; 상기 가동자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가동자와 구동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가동자와 구동부를 수용하는 커버캔; 및 상기 커버캔의 적어도 일측면 일부 또는 전부에 배치되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커버캔;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include a mover comprising a bobbin;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over; a base supporting the mover and the driving unit; a cover can fastened to the base to accommodate the mover and the driving unit; and an insulating portion disposed on a part or all of at least one side of the cover can.

Description

렌즈구동모터{MOTOR FOR ACTUATING LENS}Lens drive motor {MOTOR FOR ACTUATING LENS}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가 개선된 렌즈구동모터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driving moto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As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are widely distributed and wireless Internet services are commercialized, the demands of consumers related to portable terminals are also diversifying.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additional devices are being installed in portable terminals.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Among them, a camera module is a representative that can take a photo or video of a subject, store the image data, and edit and transmit it as needed.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compact camera modules is increasing for use in various multimedia fields such as notebook personal computers, camera phones, PDA, smart devices, toys, etc., and for image input devices such as information terminals of surveillance cameras and video tape recorders. .

카메라 모듈은 렌즈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이러한 렌즈구동모터는 가동자, 구동부, 상기 가동자와 구동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커버캔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includes a lens driving motor, and the lens driving motor may include a mover, a driving unit, a base supporting the mover and the driving unit, and a cover can.

상기 베이스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동자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가동자의 코일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솔더링된다. 또한, 커버캔은 통상적으로 외부 전파 등을 차단하기 위해 금속재로 형성된다.The base may be dispos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il portion of the mover is solde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drive the mover. In addition, the cover can is typical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to block external radio waves and the lik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코일부와 인쇄회로기판 간 솔더링 작업시 생성되는 솔더는 금속재와 친화력이 강하므로, 상기 커버캔에도 접하게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쇼트 발생이 야기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JP특개2013-024938A
However, since the solder generated during the soldering operation between the coil uni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has a strong affinity with the metal material as described above, i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ver can, and in this case, a short circuit may occur.
(Patent Document 1) JP Patent Publication 2013-024938A

실시예는 커버캔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솔더링에 의한 쇼트 방생 방지를 포함하여 신뢰성이 향상되는 렌즈구동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embodiment may provide a lens driving motor with improved reliability, including prevention of short-circuit by soldering, while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cover can.

실시예는 보빈을 포함하는 가동자; 상기 가동자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가동자와 구동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가동자와 구동부를 수용하는 커버캔; 및 상기 커버캔의 적어도 일측면 일부 또는 전부에 배치되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커버캔;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include a mover comprising a bobbin;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over; a base supporting the mover and the driving unit; a cover can fastened to the base to accommodate the mover and the driving unit; and an insulating portion disposed on a part or all of at least one side of the cover can.

또한, 상기 커버캔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can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또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커버캔의 내측면 전체에 증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portion may be deposit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cover can.

또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커버캔의 외측면 하단부에 증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part may be deposited on the low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can.

또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커버캔의 내측면 전체와 외측면 하단부에 증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portion may be deposit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can.

또한, 상기 절연부는 세라믹을 스프레이 코팅 방식으로써 상기 커버캔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part may be formed on the cover can by spray coating ceramic.

또한, 상기 절연부는 테프론 수지를 스프레이 코팅 방식으로써 상기 커버캔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part may be formed on the cover can by spray coating a Teflon resin.

또한, 상기 가동자는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1 코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며 상기 보빈을 내측에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코일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마그넷부와, 상기 마그넷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제2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와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 외부 전원과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된 단자부를 포함하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er includes a first coil par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bbin, the driving part includes a housing supported by the base and accommodating the bobbin therein; A substrate including a magnet portion disposed, a second coil portion disposed on the base to face the magnet portion, and a terminal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il portion and the base and bent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t one side may include

또한, 상기 베이스는 측면에 상기 단자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may be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terminal part is seated on the side.

또한, 상기 커버캔은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일면 중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부분이 하측으로 소정 간격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가 형성된 일면의 내측면 및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절연부가 증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can has an extended portion extending downwar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urface of the cover can coupled to the base,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groov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ne surface on which the extension portion is formed has the insulating portion can be deposi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캔에 절연부를 형성함으로써 조립시 솔더링에 의한 전기적 쇼트를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렌즈구동모터 또는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n insulating part on the cover ca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lectrical short due to soldering during assembly, so that a lens driving motor or a camera module with improved reliability can be implem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가 인쇄회로기판과 결합한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가 표시된 커버캔의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in which a lens driving motor is combined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can with an insul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all terms herein have the same general meaning a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f a term used in this specification conflicts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the definition used herein shall govern.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owever,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렌즈구동모터를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lens driving motor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는 크게 가동자(200), 구동부(300), 베이스(400), 커버캔(100) 및 절연부(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largely include a mover 200 , a driving unit 300 , a base 400 , a cover can 100 and an insulating unit 500 , and an elastic unit. (60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커버캔(100)은 후술할 베이스(400)에 체결되어 가동자(200), 구동부(300) 및 탄성유닛(600)을 수용할 수 있으며, 렌즈구동모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캔(100)은 상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커버캔(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ver can 100 may be fastened to a base 400 to be described later to accommodate the mover 200 , the driving unit 300 and the elastic unit 600 , and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lens driving motor. As shown, the cover can 1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s opened, but the shape of the cover can 100 is not limited thereto.

요컨대, 커버캔(100)의 형상은 상측에서 보았을 때 4각 형상 또는 8각 형상일 수도 있으며, 그 외의 모든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hape of the cover can 100 may be a quadrangular shape or an octagon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may be implemented in any other shape.

상기 커버캔(100)은 내측면이 후술할 베이스(400)의 측면부와 밀착하여 상기 베이스(400)에 의해 하측면이 폐쇄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오염물질 침투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can 1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portion of the base 4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lower surface thereof may be closed by the base 400, while protecting the internal components from external impact and external contamination It may have a material penetration prevention function.

또한, 상기 커버캔(100)은 핸드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외부의 전파 간섭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의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캔(100)은 철,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부식방지를 위해 니켈과 같은 금속으로 도금처리를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ver can 100 may also perform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components of the camera module from external interference generated by a mobile phone or the like. Accordingly, the cover can 1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iron or aluminum, and may be plated with a metal such as nickel to prevent corrosion.

이러한 커버캔(100)은 후술할 요크부 자체로 구현되거나, 요크부를 내측에 몰딩 처리하여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캔(100) 상측면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캔(100)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이너요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너요크는 후술할 보빈(210)에 형성된 요입부(213)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너요크는 요크부의 상측면 개구부 주위의 모서리에 배치되거나, 측면에 배치될수 있으며, 보빈(210)의 요입부(213)는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can 100 may be implemented as a yoke unit itself,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r may be fixed by molding the yoke unit on the inside. In an embodiment, an inner yoke (not shown) bent inside the cover can 10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cover can 100 . This inner yoke may be located in the concave portion 213 formed in the bobbin 21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inner yoke may be disposed at a corner around the opening on the upper side of the yoke portion or may be disposed on the side, and the concave portion 213 of the bobbin 210 may be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또한, 상기 커버캔(100)은 후술할 베이스(400)와 체결되는 일면 중 상기 안착홈(420)에 대응되는 부분이 하측으로 소정 간격 연장되는 연장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장부(110)로 인해 상기 커버캔(100)을 베이스(400)에 삽입시 후술할 기판(340)의 단자부(342)가 자연스럽게 절곡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can 100 may be formed with an extension portion 110 in which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groove 420 extends downwar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mong one surface fastened to the base 400 to be described later. Due to the part 110 , when the cover can 100 is inserted into the base 400 , the terminal part 342 of the substrate 34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naturally bent.

상기 가동자(200)는 후술할 렌즈 또는 렌즈부(800)를 수용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가동자(200)는 보빈(210)과 제1 코일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er 200 may be moved by accommodating a lens or a lens unit 800 to be described later. The mover 200 may include a bobbin 210 and a first coil unit 220 .

상기 보빈(210)은 내측에 렌즈부(800)를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빈(210)은 후술할 렌즈부(800)와 결합되어 렌즈부(800)를 고정하며, 이러한 렌즈부(800)와 보빈(210)의 결합방식은 나사산을 보빈(210)의 내주면과 렌즈부(80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하여 체결하는 나사산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무나사산 방식으로써 결합할 수도 있다. 물론, 나사산 결합 방식에서도 나사산 체결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호 간에 더욱 견고한 장착을 도모할 수도 있다.The bobbin 210 may accommodate the lens unit 800 therein. Specifically, the bobbin 210 is coupled to a lens unit 800 to be described later to fix the lens unit 800 , and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lens unit 800 and the bobbin 210 is a screw thread of the bobbin 210 . A thread coupling method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800 are respectively formed and fastened may be used, but may also be coupled in a non-threaded method using an adhesive. Of course, even in the screw thread coupling method, it is possible to achieve a more robust mounting between each other by using an adhesive after the screw thread fastening.

또한, 상기 보빈(210)의 외주면은 후술할 제1 코일부(220)가 권선되거나 장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11)는 상기 보빈(210)의 외측면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빈(210)의 외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part 211 , which guides winding or mounting of the first coil part 22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210 . The guide part 2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 and may be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 or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shown. have.

또한, 상기 보빈(210)의 상측면 및/또는 하측면에는 후술할 베이스(400)의 상측에서 상기 보빈(210)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측 스프링(610) 및/또는 하측 스프링(620)이 체결되는 내측부 체결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spring 610 and/or a lower spring 620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or lower side of the bobbin 210 so that the bobbin 210 can be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400 to be described later. An inner fastening protrusion 212 to which this is fastened may be formed.

또한, 상기 보빈(210)은 전술한 커버캔(100)의 이너요크가 상기 보빈(210)과 상기 보빈(210)에 권선된 제1 코일부(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요입부(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bbin 21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inner yoke of the cover can 100 described above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bobbin 210 and the first coil unit 220 wound around the bobbin 210 . It may further include a concave portion 213 .

상기 제1 코일부(220)는 상기 보빈(21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빈(210)의 가이드부(211)에 가이드되어 상기 보빈(210)의 외측면에 권선될 수도 있으며, 미리 권선된 코일부가 상기 가이드부(211)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는, 4 개의 개별적인 코일(미도시)이 상기 보빈(210)의 외측면에 90°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코일부(220)는 후술할 인쇄회로기판(70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받아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coil unit 220 may b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 Specifically, it may be guided by the guide part 211 of the bobbin 210 and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 or a pre-wound coil part may be mounted on the guide part 211 . Alternatively, four individual coils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at intervals of 90°. The first coil unit 220 may receive power applied from a printed circuit board 700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n electromagnetic field.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가동자(200)를 이동시키며, 이러한 구동부(300)는 하우징(310), 마그넷부(320), 제2 코일부(330) 및 기판(3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300 moves the mover 200 , and the driving unit 300 may include a housing 310 , a magnet unit 320 , a second coil unit 330 , and a substrate 340 . .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커버캔(10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10)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커버캔(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렌즈구동모터의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housing 31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can 100 . In addition, the housing 310 may not be provided separately, bu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can 100 to form the exterior of the lens driving motor.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베이스(400)에 지지되며 상기 보빈(210)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으며, 커버캔(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 하측이 개방되어 상기 가동부를 지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housing 310 may be supported on the base 400 and accommodate the bobbin 210 inside, and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ver can 100 , , the lower side is open to support the movable part.

또한, 상기 하우징(310)은 측면에 후술할 마그넷부(3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그넷부 체결홈(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넷부 체결홈(311)은 후술할 마그넷부(320)의 마그넷과 대응되는 갯수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3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부 체결홈(311)은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31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면 각각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310 may include a magnet part fastening groove 311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gnet part 32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side surface. The magnet part fastening groove 311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310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magnets of the magnet part 32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magnet part fastening groove 311 may be formed in each corner of the housing 310 as shown, but may also be formed in each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

또한, 상기 하우징(310)은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생산성을 고려하여 사출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31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may be formed as an injection molding product in consideration of productivity.

또한, 상기 하우징(310)은 OIS 구동을 위해 움직이는 부분으로써 상기 커버캔(10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보빈(210)은 상기 제1 코일부(220)와 마그넷부(320)의 상호 작용으로써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마그넷부(320)와 후술할 제2 코일부(330)의 상호 작용으로 광축 방향에 직교되는 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Also, the housing 310 is a moving part for driving the OIS an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ver can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case, the bobbin 210 may be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coil unit 220 and the magnet unit 320 , and the housing 310 may be connected to the magnet unit 320 and to be described later. Due to the interaction of the second coil unit 330 , it may move in all directions orthogonal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또한, 상기 하우징(310)의 상측면에는 돌출되어 외부 충격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토퍼(312)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312)는 상기 하우징(3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빈(21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addition, at least two or more stoppers 312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and capable of absorbing an external shock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topper 31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310 , may be formed on the bobbin 210 , or may not be formed.

상기 마그넷부(320)는 상기 제1 코일부(220)와 대향되도록 상기 하우징(310)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310)에 접착제 등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서 4 개의 모서리에 등 간격으로 장착되어 내부 체적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마그넷부(320)는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의 4 개의 내측면에 상기 제1 코일부(220)와 대향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The magnet unit 320 may be mounted to the housing 310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so as to be disposed on the housing 310 to face the first coil unit 220 , and may It is mounted at equal intervals on the corners of the dog to promote efficient use of the internal volume. Alternatively, the magnet unit 320 may be mounted on four inner surfaces of the housing 310 to face the first coil unit 220 .

상기 마그넷부(320)를 이루는 마그넷 각각의 형상은 도시된 것과 같이 사다리꼴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형상 등 각 기둥형상 일수 있으며, 각 기둥형상에서 상기 제1 코일부(220)와 대향하는 면이 일부 곡선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은 가공 시 모서리가 일부 곡면을 갖도록 가공될 수도 있다.The shape of each of the magnets constituting the magnet unit 320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pole shape as shown, but may be prismatic, such as a triangular prism shape or a square prism shape, and the first coil part ( 220) and the opposite surface may be formed to include some curves. In addition, the magnet may be processed so that the corner has a partial curved surface during processing.

상기 제2 코일부(330)는 상기 마그넷부(320)와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코일부(330)는 후술할 베이스(400) 상측에 구비된 기판(340)에 실장되거나, 기판(340)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부(800)의 광 신호를 통과시키기 위해 중앙에 관통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il unit 330 may be disposed on the base 400 to face the magnet unit 320 . Specifically, the second coil unit 330 may be mounted on or formed on a substrate 340 provided on an upper side of the base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ptical signal of the lens unit 800 . A through hole 331 may be formed in the center to pass through.

한편, 렌즈구동모터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제2 코일부(330)는 패턴 코일(patterned coil)인 FP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consideration of reducing the height in the z-axis direction, which is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lens driving motor, the second coil unit 330 may be formed of an FP coil that is a patterned coil. .

상기 기판(340)은 렌즈구동모터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을 고려할 때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substrate 340 may be implemented a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in consideration of reducing the height in the z-axis direction, which is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lens driving motor.

또한, 상기 기판(340)은 상기 제2 코일부(330)와 베이스(400)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에 외부 전원과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된 단자부(34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단자부(342)는 후술할 별도의 인쇄회로기판(700)과 솔더링되기 위해 하측(베이스(400) 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자부(342)는 직각으로 절곡되거나, 상기 커버캔(100)이 후술할 베이스(400)에 삽입시 절곡되거나, 또는, 하측으로 갈수록 커버캔(100)과 멀어지게 예각을 가지고 절곡되어 형성되어 솔더링시 발생할 수 있는 솔더에 의한 쇼트 방지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trate 340 may include a terminal portion 342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il portion 330 and the base 400 and bent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on one side. In this case, the terminal part 342 may be bent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400) to be soldered to a separate printed circuit board 7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terminal part 342 may be bent at a right angle or the cover The can 100 is bent when inserted into the base 400 to be described later, or is bent at an acute angle away from the cover can 100 toward the lower side to prevent short circuit caused by solder that may occur during soldering. have.

또한, 상기 기판(340)은 상기 제2 코일부(33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400) 상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코일부(330)의 관통홀(331)과 대응되는 관통홀(341)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ubstrate 34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400 to apply power to the second coil unit 330 , and the through hole 331 of the second coil unit 330 and A corresponding through hole 341 is formed.

이러한 기판(340)에는 홀센서부(345)가 실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센서부(345)는 상기 마그넷부(32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자기장의 세기 및 위상을 센싱하며, 상기 기판(340)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제1 코일부(220) 및/또는 제2 코일부(330)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기판(340)에는 상기 홀센서부(345)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홀센서 단자부(3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ll sensor unit 345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340 . Specifically, the hall sensor unit 345 senses the strength and phase of a magnetic field to sense the movement of the magnet unit 320 , and interacts with the substrate 340 to form the first coil unit 220 and / or provided to precisely control the second coil unit 330 . In this case, the substrate 340 may further include a Hall sensor terminal 343 for applying power to the Hall sensor 345 .

또한, 상기 홀센서부(345)는 상기 마그넷부(320)와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일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x축 및 y축의 변위를 감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홀센서부(345)는 상기 기판(340)의 모서리 중 인접한 두 개의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두 개의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직각 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두 개의 마그넷 하부에 위치한 홀센서 각각은 x축 또는 y축으로 구동되는 마그넷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센싱하는 것이, 마그넷부(320)의 이동량을 복합적으로 산출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Hall sensor unit 345 may be provided o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magnet unit 320 and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has to detect displacements in the x-axis and the y-axis, so that the Hall sensor unit 345 is the It may include two Hall sensors respectively provided at two adjacent corners among the corners of the substrate 340 . That is, it is easy to complexly calculate the movement amount of the magnet unit 320 by individuall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magnet driven in the x-axis or the y-axis of each of the hall sensors located under the two magnets positioned adjacently in the right-angle direction. because it does

또한, 상기 홀센서부(345)는 상기 보빈(21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센서부(345)는 상기 제1 코일부(220) 내측의 보빈(2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홀센서부(345)는 상기 제1 코일부(220)에 가려져서 외측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센서부(345)는 상기 제1 코일부(220) 외측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Also, the Hall sensor unit 345 may b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 In addition, the Hall sensor unit 345 may be disposed on the bobbin 210 inside the first coil unit 220 . In this case, the Hall sensor unit 345 is covered by the first coil unit 220 . It may not be visible from the outside. Also, the Hall sensor unit 345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coil unit 220 .

이러한 홀센서부(345)는 상기 마그넷부(320) 보다 제1 코일부(220) 또는 제2 코일부(330)에 인접하게 구비되지만, 상기 마그넷부(320)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코일에서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세기보다 몇 백배 큰 것을 감안하면, 마그넷부(320)의 이동 감지에 있어 제1 코일부(220) 또는 제2 코일부(330)의 전자기장은 고려 대상이 되지 않는다.Although the hall sensor unit 345 is provided closer to the first coil unit 220 or the second coil unit 330 than the magnet unit 320 ,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in the magnet unit 320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coil. Considering that the strength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ed in , is several hundred times greater, the electromagnetic field of the first coil unit 220 or the second coil unit 330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in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agnet unit 320 .

이러한 제1 코일부(220) 및/또는 제2 코일부(330)와, 상기 마그넷부(320)의 독립적 또는 유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후술할 렌즈부(800)가 전 방향으로 이동되어 피사체의 화상 초점을 포커싱하고, 손떨림 등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e independent or organic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coil unit 220 and/or the second coil unit 330 and the magnet unit 320 , the lens unit 8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ved in all directions to obtain an image of the subject. It is possible to focus the focus and correct hand shake.

여기서, 화상의 초점을 조정하는 것은, 피사체의 근거리 또는 원거리 포커싱을 위해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상기 렌즈부(800)를 이동시는 A.F(Auto Focusing) 기능을 의미하거나, 손떨림 보정을 위해 상기 z축 방향과 수직 방향인 x, y축 방향으로 상기 렌즈부(800)를 이동시키는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을 의미하거나, 상기 A.F 기능과 OIS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Here, adjusting the focus of the image means an AF (Auto Focusing) function when the lens unit 800 is moved in the z-axis direction, which is the optical axis direction, for near or far focusing of the subject, or the z It may mean an 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that moves the lens unit 800 in the x and y-axis directions that are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r may mean a function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AF function and the OIS function. .

즉, 실시예는 A.F(Auto Focusing) 타입으로 구현되거나,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That is,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n Auto Focusing (A.F) type or as a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type.

전술한 실시예는 OIS 타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전자인 A.F(Auto Focusing)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시예는 상기 제2 코일부(330) 및 기판(340)을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OIS type, the former may be implemented as an auto-focusing (AF) type. In this case, the embodiment may not include the second coil unit 330 and the substrate 340 . have.

상기 베이스(400)는 상기 가동자(200)와 구동부(300)를 지지하며, 중앙에는 상기 렌즈부(800)에 대응되는 관통홀(40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400)는 상기 보빈(210)이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중앙에 원형 형상으로써 하측으로 요입된 리세스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400 supports the mover 200 and the driving unit 300 , and a through hole 401 corresponding to the lens unit 800 is formed in the center. In addition, the base 400 may have a circular shape in the center so that the bobbin 210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recess (not shown) concave downward may be formed.

또한, 상기 베이스(400)는 상측 모서리에 돌출되어 상기 커버캔(100)의 내측면과 면접하거나 결합하는 한 개 이상의 고정돌기(4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돌기(410)는 상기 커버캔(100)의 체결을 용이하게 가이드 함과 동시에 체결 후 견고한 고정을 꾀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base 400 may be formed with one or more fixing protrusions 410 that protrude from the upper corner to face or combin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can 100 , and these fixing protrusions 410 are the cover cans 100 . It facilitates guiding the fastening of the can 100 and at the same time makes it possible to achieve firm fixation after fastening.

또한, 상기 베이스(400)는 측면에 상기 단자부(342)가 안착되는 안착홈(4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자부(342)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요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420)은 상기 단자부(342)의 절곡 각도에 대응되도록 아래로 갈수록 직각 또는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400 may have a seating groove 420 in which the terminal part 342 is seated on the side thereof, and the terminal part 342 may be recessed into at least one side surface. 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420 may be formed at a right angle or an acute angle toward the bottom to correspond to the bending angle of the terminal part 342 .

또한, 상기 베이스(400)는 상기 홀센서부(345) 각각의 홀센서에 대응되는 홀센서 수용홈(4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홀센서가 상기 기판(340)의 하측에 실장되는 것이 내부 높이의 소형화에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ase 400 may have a Hall sensor receiving groove 430 corresponding to each Hall sensor of the Hall sensor unit 345 . In this case, the Hall sensor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340 . It is advantageous in miniaturization of the inner height.

또한, 상기 베이스(400)는 후술할 이미지센서(미도시)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는 상기 베이스(40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40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 또는 블루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400 may perform a sensor holder function to protect an image sensor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and a filter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is case, the filter may be mounted in the through hole 40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400 , and an infrared filter or a blue filter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필터(미도시)는 예를 들어,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 등의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400) 외에 추가로 상기 베이스(400) 하부에 별도의 센서홀더(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filter (not shown)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film material or a glass material, and an infrared blocking coating material may be disposed on a flat optical filter such as a cover glass for protecting an imaging surface or a cover glass. In addition, a separate sensor holder (not shown) may be located under the base 400 in addition to the base 400 .

한편, 상기 필터가 렌즈의 외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필터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렌즈 면에 코팅 처리하여 적외선의 차단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lter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lens, of course, it is possible to block infrared rays by coating the lens surface without separately configuring the filt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는 탄성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unit (600).

상기 탄성유닛(600)은 상측 스프링(610), 하측 스프링(620) 및 측면 스프링(630)을 포함한다.The elastic unit 600 includes an upper spring 610 , a lower spring 620 and a side spring 630 .

상기 상측 스프링(610)과 하측 스프링(620)은 하우징(310)의 각각의 변 부위에 배치된 별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생산의 효율성을 위하여 단일의 판재가 절곡 및 절단된 형상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spring 610 and the lower spring 620 may be formed of separate springs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housing 310, but for efficiency in production, a plate spring in a shape in which a single plate is bent and cut.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상기 상측 스프링(610)은 상기 하우징(310)의 상단부에 배치되되,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에서 광축 방향으로 소정 넓이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부위가 상기 보빈(210)의 상단부측을 지지한다. 즉, 상기 상측 스프링(610)은 상기 하우징(310)의 상면 및 보빈(210)의 상면에 체결되어 보빈(210)을 지지하며, 상기 보빈(210)의 상방 이동시 복귀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31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The upper spring 610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310 and protrudes from an opening formed at the upper en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protruding portion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bobbin 210 . That is, the upper spring 610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210 to support the bobbin 210 , and to provide a return force when the bobbin 210 moves upward. It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310 .

구체적으로, 상기 상측 스프링(610)은 후술할 인쇄회로기판(700)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유입되는 제1 상측 스프링(610a)과, 인가된 전원이 상기 제1 코일 패턴부에 통전되어 유출되는 제2 상측 스프링(610b)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upper spring 610 includes a first upper spring 610a into which power applied from a printed circuit board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lows in, and a first spring 610a through which the applied power flows through the first coil pattern part and flows out. 2 includes an upper spring (610b).

상기 제1 상측 스프링(610a)과 제2 상측 스프링(610b)은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판스프링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전원의 입출력을 위해 별도의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upper spring 610a and the second upper spring 610b may be formed as a leaf spring in a shape symmetrical about the optical axis,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leaf spring, but separate plates for input and output of power. It is preferably formed of a spring.

상기 제1 상측 스프링(610a)과 제2 상측 스프링(610b) 각각은, 상기 하우징(310)에 체결되는 외측부(611)와, 상기 보빈(210)에 체결되는 내측부(612)와, 상기 외측부(611)와 내측부(6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6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61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딩부로써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upper spring 610a and the second upper spring 610b includes an outer part 611 fastened to the housing 310, an inner part 612 fastened to the bobbin 210, and the outer part ( 611 ) and a connection part 613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ner part 612 . Here, the connection part 613 may be formed as at least one bending part.

상기 상측 스프링(610)의 체결을 위해, 상기 하우징(310)의 상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외측부 체결돌기(313)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부(611)에는 상기 외측부 체결돌기(313)에 대응되게 형성된 외측부 체결홀(61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부(611)에는 후술할 두 개의 측면 스프링(6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외측 돌기부(611b)가 형성된다.At least one outer fastening protrusion 31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for fastening the upper spring 610 , and the outer fastening protrusion 313 is formed on the outer part 611 to correspond to the outer fastening protrusion 313 . The formed outer fastening hole 611a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outer protrusion 611b is formed on the outer portion 611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wo side springs 63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상측 스프링(610)의 체결을 위해, 상기 보빈(210)의 상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내측부 체결돌기(212)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부(612)에는 상기 내측부 체결돌기(212)에 대응되게 형성된 내측부 체결홀(612a)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the fastening of the upper spring 610, at least one inner fastening protrusion 2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210, and the inner fastening protrusion 212 is formed on the inner part 612. Correspondingly formed inner fastening holes 612a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제1 상측 스프링(610a)과 제2 상측 스프링(610b) 각각의 내측부(612)에는 상기 제1 코일부(220)에 권선된 코일의 일단(221)과 타단(2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내측 돌기부(612b)가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one end 221 and the other end 222 of the coil wound around the first coil unit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ner portion 612 of each of the first upper spring 610a and the second upper spring 610b. An inner protrusion 612b for connection is formed, respectively.

상기 외측 돌기부(611b)와 측면 스프링(630), 상기 내측 돌기부(612b)와 코일의 일단(221)과 타단(222)은 각각 솔더링으로써 전기적 결합될 수 있다.The outer protrusion 611b and the side spring 630, the inner protrusion 612b, and one end 221 and the other end 222 of the coil may be electrically coupled by soldering, respectively.

한편, 상기 하측 스프링(620)의 외측부(611)는 베이스(400)의 상면에 지지되고, 내측부(612)는 상기 보빈(210)의 하단부측을 지지한다. 상기 하측 스프링(620)은 후술할 인쇄회로기판(700)의 전원이 입, 출력되지 아니하므로, 단일의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outer portion 611 of the lower spring 620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400 , and the inner portion 612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bobbin 210 . The lower spring 620 may be formed as a single leaf spring because pow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not input or output.

상기 측면 스프링(630)은 상기 x, y축의 진동 감쇄를 위해 상기 하우징(310)의 측면에 일측이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400)의 측면에 타측이 체결된다. 이러한 상기 측면 스프링(630)은 90°의 각도로 일정 간격을 형성하는 네 개의 측면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side spring 630 is fastened to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310 to attenuate vibrations in the x and y axes, and the other side is fastened to a side surface of the base 400 . The side spring 630 may be provided with four side springs form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t an angle of 90°.

이러한 상기 측면 스프링(630)과 상기 하우징(310) 및/또는 베이스(400)의 접합면에는 댐퍼부재(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부재는 졸 또는 겔 형태의 에폭시 재질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 스프링(630)과 상기 하우징(310) 및/또는 베이스(400) 사이에 도포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 damper member (not shown) may be applied 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side spring 630 and the housing 310 and/or the base 400 . Such a damper member may be implemented as an epoxy material in the form of a sol or gel, and may be applied between the side spring 630 and the housing 310 and/or the base 400 to absorb an impact.

한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는 카메라 모듈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핸드폰 또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a camera module, and such a camera module is a mobile phone or a notebook personal computer, a camera phone, PDA, smart, a variety of multimedia fields such as toys (toy), and further monitoring It may be provided in an image input device such as an information terminal of a camera or a video tape record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가 인쇄회로기판(700)과 결합한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mera module in which a lens driving motor is combined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가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경우 렌즈부(800), 인쇄회로기판(700) 및/또는 이미지센서(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when the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it may further include a lens unit 800 , a printed circuit board 700 , and/or an image sensor (not shown).

상기 렌즈부(800)는 렌즈 배럴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800)가 렌즈 배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lens unit 800 may be a lens barr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holder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lens may be included. In the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lens unit 800 is a lens barre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렌즈부(800)는 후술할 인쇄회로기판(7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이미지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렌즈부(800)는 한 개 이상의 렌즈가 구비된다.The lens unit 8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The lens unit 800 includes one or more lenses.

상기 인쇄회로기판(700)은 상측면 중앙부에 이미지센서(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소자(710)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700)은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단자부(342) 또는 하측 스프링(620) 또는 상측 스프링(610) 또는 직접적으로 상기 제1 코일부(220) 및/또는 제2 코일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printed circuit board 700 may have an image sensor (not shown) mounted o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and various elements 710 for driving the camera module may be mounted thereon. In addition, the printed circuit board 700 is the terminal part 342 or the lower spring 620 or the upper spring 610 or directly the first to apply power for driving the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unit 220 and/or the second coil unit 330 .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700)은 상기 단자부(342)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솔더링 포인트(720)를 두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자부(342)와 인쇄회로기판(700)의 솔더링시 솔더가 금속재인 커버캔(100)에 착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전원인가시 전기적 쇼트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공정 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nted circuit board 700 has a soldering point 720 in order to apply power to the terminal part 342 . In this case, when soldering the terminal part 342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700 , the solder may ignite on the cover can 100 , which is a metal material. In this case, an electrical short may occur when power is applied, and defects in the process may occur. can occur

따라서, 실시예는 상기 커버캔(100)의 적어도 일측면 일부 또는 전부에 배치(증착 또는 코팅 또는 적층 또는 접착)되는 절연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part 500 disposed (deposited or coated, laminated or adhered) on at least one side part or all of the cover can 100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가 표시된 커버캔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can in which an insulating part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부(500)는 상기 커버캔(100)에 스프레이 코팅, 딥 코팅, 스핀 코팅, 플로우 코팅 등으로써 증착 또는 코팅 또는 적층 또는 접착될 수 있으며, 세라믹 코팅, 실리콘 코팅, 수지 코팅 중 어느 하나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테프론, 불소수지 또는 폴리 에틸렌 중 어느 하나로써 선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insulating part 500 may be deposited, coated, laminated or adhered to the cover can 100 by spray coating, dip coating, spin coating, flow coating, etc., ceramic coating, silicone coating, It may be implemented as any one of the resin coatings. The resin may be selected from any one of Teflon, fluororesin, or polyethylene.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부(500)는 투명한 도료로써 기존의 커버캔(100)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세라믹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또는 코팅 또는 적층 또는 접착될 수 있다. 또는 절연성, 내마모성, 내산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테프론 수지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또는 코팅 또는 적층 또는 접착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he insulating part 500 may be coated with, laminated, or adhered to a ceramic capable of maintaining the appearance of the existing cover can 100 as a transparent paint by a spray method. Alternatively, a Teflon resin excellent in insulation, abrasion resistance, acid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may be sprayed or coated, laminated, or adhered.

상기 절연부(500)는 상기 커버캔(100)에 전부 또는 국부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국부적으로 상기 커버캔(100)에 구현되는 경우, 코팅 마스크 지그를 통해 효율적으로 원하는 위치만 국부적으로 또는 코팅 또는 적층 또는 접착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sulating part 500 may be implemented entirely or locally in the cover can 100 . When implemented locally on the cover can 100, coating, lamination, or adhesion may be performed locally or only at a desired location efficiently through a coating mask jig.

상기 절연부(500)는 솔더링 작업시 솔더볼의 튐 현상이 발생해도 커버캔(100)에 솔더볼이 부착되지 않게 되므로, 전기적 쇼트를 방지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자부(342) 합선에 의한 쇼트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insulating part 500 prevents the solder ball from being attached to the cover can 100 even if the solder ball bounces during the soldering operation,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lectric short circuit, and a terminal part 342 short circuit that may occur at the camera module e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in advance.

또한, 상기 절연부(500)는 스프레이 방식으로써 코팅 두께를 미세 수준(2㎛ 정도)으로 증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커버캔(100) 설계 변경이 필요없으며, 커버캔(100)의 내, 외부 부품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sulating part 500 can deposit a coating thickness at a fine level (about 2 μm) by a spray method,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design of the existing cover can 100 , Interference of external components can be avoided.

또한, 상기 절연부(500)는 전술한 외측 돌기부(611b)와 측면 스프링(630), 상기 내측 돌기부(612b)와 코일의 일단(221)과 타단(222)이 각각 솔더링으로써 전기적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의한 내부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캔(100)의 내측면 전체 또는 일부에 증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캔(100)의 절연부(500)는 상기 솔더링 같은 전기적 결합 부분 부근 또는 가까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nsulating part 500, the above-described outer protrusion 611b and the side spring 630, the inner protrusion 612b, and one end 221 and the other end 222 of the coil may be electrically coupled by soldering, respectively. Therefore, it may be deposited on all or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can 100 in order to prevent an internal short circuit due to use. In addition, the insulating part 500 of the cover can 100 may be disposed near or near an electrical coupling part such as the soldering.

또한, 상기 절연부(500)는 상기 커버캔(100)의 외측면 하단부에 증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커버캔(100)의 내측면 전체와 외측면 하단부에 증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노출부가 형성된 일면의 내측면 및/또는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증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part 500 may be deposited on the low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can 100 , or may be deposit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can 100 , or the exposed portion It may be deposi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and/or the outer surface of the formed one surface.

이러한 절연부(500)의 전체 또는 일부의 증착은 상기 단자부(342)와 인쇄회로기판(700)의 솔더링 위치, 상기 커버캔(100) 내, 외부의 전기적 환경 또는 제품 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증착될 수 있다.The deposition of all or part of the insulating part 500 is variously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soldering position of the terminal part 342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700 , the electrical environment inside and outside the cover can 100 , or product productivity, etc. can be deposited.

기판(340)은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340)의 단자부(342)는 베이스(400)의 제1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캔(100)의 측판은 베이스(400)의 제1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캔(100)의 제1측판은 양측 코너에 배치되는 제1영역(121)과, 제1영역(121)의 하단으로부터 함몰되는 제1홈(122)과 제2홈(123)과, 제1홈(122)과 제2홈(123) 사이에 배치되고 제1홈(122)과 제2홈(123)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는 연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340)은 제2 코일부(330)가 배치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단자부(342)는 몸체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단자부(342)는 복수의 단자가 배치되는 제1부분과, 제1부분과 몸체부를 연결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캔(100)의 연장부(110)는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단자부(342)의 제2부분과 오버랩될 수 있다. 연장부(110)의 하단은 커버캔(100)의 제1측판의 하단 중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00)는 베이스(400)의 제1측면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40)는 단차부일 수 있다. 커버캔(100)의 제1영역(121)은 돌출부(44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bstrate 340 may include a terminal part 342 including a plurality of terminals. The terminal part 342 of the substrate 34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base 400 . The side plate of the cover can 100 may include a first side plat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of the base 400 . 2 and 3 , the first side plate of the cover can 100 has a first area 121 disposed at both corners, and a first groove 122 recesse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area 121 . ) and the second groove 123 , the extension part 110 disposed between the first groove 122 and the second groove 123 an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irst groove 122 and the second groove 123 . may include. The substrate 340 may include a body portion on which the second coil portion 330 is disposed, and the terminal portion 342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The terminal portion 342 may include a first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disposed and a secon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The extension part 110 of the cover can 100 may overlap the second part of the terminal part 34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art 110 may be disposed at the lowest position among the lower ends of the first side plate of the cover can 100 . As shown in FIG. 2 , the base 400 may include a protrusion 440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side of the base 400 . The protrusion 440 may be a stepped portion. The first region 121 of the cover can 1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440 .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will know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claims I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and its equivalent scope.

100: 커버캔 200: 가동자
210: 보빈 220: 제1 코일부
300: 구동부 310: 하우징
320: 마그넷부 330: 제2 코일부
340: 기판 400: 베이스
500: 절연부
100: cover can 200: mover
210: bobbin 220: first coil unit
300: driving unit 310: housing
320: magnet unit 330: second coil unit
340: substrate 400: base
500: insulation

Claims (20)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커버캔;
상기 커버캔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커버캔의 상기 측판과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커버캔 내에 배치되는 마그넷과 제1코일;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의 제1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캔의 상기 측판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캔의 상기 제1측판은 양측 코너에 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하단으로부터 함몰되는 제1홈과 제2홈과,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사이에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제1측면에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캔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단차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a cover can comprising a top plate and a side plate extending from the top plate;
a bobbin disposed in the cover can;
a base coupled to the side plate of the cover can;
a magnet and a first coil disposed in the cover can;
a substrate disposed on the base; and
a second coil disposed on the substrate;
The substrate includes a terminal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terminals,
The terminal part of the board is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base,
The side plate of the cover can includes a first side plat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of the base,
The first side plate of the cover can includes a first area disposed at both corners, first and second grooves recessed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area,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an extension formed between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The base includes a step portion formed on the first side of the base,
The first region of the cover can is a lens driving moto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tep portion of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2코일이 배치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캔의 상기 연장부는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기판의 상기 단자부와 오버랩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trate includes a body portion on which the second coil is disposed,
The terminal portion extends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The extended portion of the cover can overlaps the terminal portion of the substr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복수의 단자가 배치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과 상기 몸체부를 연결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캔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단자부의 상기 제2부분과 오버랩되는 렌즈구동모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erminal portion includes a first por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disposed, and a second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The extension part of the cover can overlaps the second part of the terminal par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의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커버캔의 상기 연장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part of the terminal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extension part of the cover can and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상기 하단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end of the first region is a lens driving motor disposed on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의 코너 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커버캔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is a lens driving motor including a plurality of fixing projections protruding from a corner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c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하단은 상기 커버캔의 상기 제1측판의 하단 중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art is a lens driving motor disposed at the lowest position among the lower ends of the first side plate of the cover c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캔의 상기 연장부의 내면에 배치되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A lens driving motor including an insulating part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of the cover c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측면에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안착홈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includes a seating groove formed on the first side of the base,
A part of the substrate is a lens driving motor dispos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서로 이격되는 4개의 마그넷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magnet is a lens driving motor comprising four magne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캔의 상기 제1측판의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sulating par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of the first side plate of the cover c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상기 커버캔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은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and a housing dispos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cover can,
The first coil is disposed on the bobbin,
The magnet is a lens driving motor disposed in the hous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상측 스프링;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고 상기 상측 스프링 아래에 배치되는 하측 스프링; 및
상기 상측 스프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측면 스프링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an upper spring connecting the bobbin and the housing;
a lower spring connecting the bobbin and the housing and disposed below the upper spring; and
A lens driving motor including a side spr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캔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절연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A lens driving motor including insulating parts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over can.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7항의 렌즈구동모터; 및
상기 렌즈구동모터의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rinted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lens driving motor of claim 7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lens coupled to the bobbin of the lens driving motor.
제15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camera module of claim 15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02422A 2014-06-09 2020-08-14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2625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422A KR102262584B1 (en) 2014-06-09 2020-08-14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0210071771A KR102423932B1 (en) 2020-08-14 2021-06-02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0220088515A KR102654352B1 (en) 2020-08-14 2022-07-18 Motor for actuating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338A KR102146875B1 (en) 2014-06-09 2014-06-09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0200102422A KR102262584B1 (en) 2014-06-09 2020-08-14 Motor for actuating le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338A Division KR102146875B1 (en) 2014-06-09 2014-06-09 Motor for actuating len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771A Division KR102423932B1 (en) 2020-08-14 2021-06-02 Motor for actuating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261A KR20200104261A (en) 2020-09-03
KR102262584B1 true KR102262584B1 (en) 2021-06-09

Family

ID=72469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422A KR102262584B1 (en) 2014-06-09 2020-08-14 Motor for actuating l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58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4938A (en) * 2011-07-15 2013-02-04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817B1 (en) * 2010-07-19 2017-05-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KR101950020B1 (en) * 2011-12-23 2019-02-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4938A (en) * 2011-07-15 2013-02-04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261A (en)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6235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US20160011394A1 (en) Unit for actuating lens,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471243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116861B1 (en) Actuator for actuating lens
KR102179867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220729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105697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153739B1 (en) Camera Module
KR102224476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146875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20230079339A (en)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262584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423932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306000B1 (en) Camera module
KR102179126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323624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461364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375959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551233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507394B1 (en) Actuator for actuating lens
KR102349229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camera module and mobile phone inclulding the same
KR102551232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256722B1 (en) Actuator for actuating lens
KR102374765B1 (en) Actuator for actuating lens
KR102301739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