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580B1 -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2580B1 KR102262580B1 KR1020170051235A KR20170051235A KR102262580B1 KR 102262580 B1 KR102262580 B1 KR 102262580B1 KR 1020170051235 A KR1020170051235 A KR 1020170051235A KR 20170051235 A KR20170051235 A KR 20170051235A KR 102262580 B1 KR102262580 B1 KR 1022625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cell
- delay time
- battery
- soc
- vehicle spe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fuel ce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3—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in order to stay within battery power input or output limits; in order to prevent overcharging or battery deple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955—Shut-off or shut-down of fuel ce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동력원인 연료전지와 보조동력원인 축전수단(슈퍼캡 또는 배터리)을 구비한 연료전지-축전수단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연료전지의 발전정지(Fuel Cell Stop)와 재시동(Fuel Cell Restart) 간 상태전환시 지연시간을 두어 빈번한 상태전환을 방지하여 연료전지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연료전지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과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저장하는 저장부; 차속 정보와 배터리의 SOC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연료전지의 정지상태 해제시점에 상기 저장부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차속과 배터리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지연시간이 경과 한 후에 연료전지의 정지상태를 해제하도록 연료전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연료전지의 상태를 전이하는 상기 연료전지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연료전지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과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저장하는 저장부; 차속 정보와 배터리의 SOC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연료전지의 정지상태 해제시점에 상기 저장부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차속과 배터리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지연시간이 경과 한 후에 연료전지의 정지상태를 해제하도록 연료전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연료전지의 상태를 전이하는 상기 연료전지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동력원인 연료전지와 보조동력원인 축전수단(슈퍼캡 또는 배터리)을 구비한 연료전지-축전수단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연료전지의 발전정지(Fuel Cell Stop)와 재시동(Fuel Cell Restart) 간 빈번한 전환으로 인해 연료전지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연료가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연소에 의해 열로 바꾸지 않고 연료전지 스택 내에서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일종의 발전장치이며, 산업용, 가정용 및 차량 구동용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소형의 전기/전자제품, 특히 휴대용 장치의 전력 공급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의 예로, 차량 구동을 위한 전력공급원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 :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는, 수소 이온이 이동하는 전해질막을 중심으로 막의 양쪽에 전기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촉매전극층이 부착된 막전극접합체(MEA : Membrane Electrode Assembly), 반응기체들을 고르게 분포시키고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체확산층(GDL:Gas Diffusion Layer), 반응기체들 및 냉각수의 기밀성과 적정 체결압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 및 체결기구, 그리고 반응기체들 및 냉각수를 이동시키는 분리판(bipolar plat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연료전지에서 연료인 수소와 산화제인 산소(공기)가 분리판의 유로를 통해 막전극접합체의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로 각각 공급되는데, 수소는 애노드('연료극' 혹은 '수소극', '산화극'이라고도 함)로 공급되고, 산소(공기)는 캐소드('공기극' 혹은 '산소극', '환원극'이라고도 함)로 공급된다. 애노드로 공급된 수소는 전해질막의 양쪽에 구성된 전극층의 촉매에 의해 수소 이온(proton, H+)과 전자(electron, e-)로 분해되며, 이 중 수소 이온만이 선택적으로 양이온교환막인 전해질막을 통과하여 캐소드로 전달되고, 동시에 전자는 도체인 기체확산층과 분리판을 통해 캐소드로 전달된다. 상기 캐소드에서는 전해질막을 통해 공급된 수소 이온과 분리판을 통해 전달된 전자가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캐소드로 공급된 공기 중 산소와 만나서 물을 생성하는 반응을 일으킨다. 이때 일어나는 수소 이온의 이동에 기인하여 외부 도선을 통한 전자의 흐름이 발생하며, 이러한 전자의 흐름으로 전류가 생성된다.
한편, 연료전지만을 차량의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차량을 구성하고 있는 부하 모두를 연료전지가 담당하게 되므로 연료전지의 효율이 낮은 운전영역에서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은 소형 차량뿐만 아니라 버스 등의 대형 차량에서 주동력원인 연료전지 외에 모터 구동에 필요한 파워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 동력원으로 축전수단인 고전압 배터리 또는 슈퍼커패시터(슈퍼캡)를 탑재한 시스템이다.
주동력원인 연료전지와 보조동력원인 슈퍼캡(또는, 이차 전지인 고전압 배터리)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모드는 연료전지만을 동력원으로 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연료전지 주행모드(EV Mode)와, 슈퍼캡을 동력원으로 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하이브리드 모드(HEV Mode)로 구분된다.
이러한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은 운행 도중에 필요한 경우 연료전지의 발전을 정지시키고 재개하는 과정[연료전지 정지(Fuel Cell Stop)/연료전지 재시동(Fuel Cell Restart) 과정], 즉 연료전지-배터리, 연료전지-슈퍼캡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연료전지의 발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아이들 스탑(Idle Stop)/해제 제어 과정[연료전지의 온(On)/오프(Off) 제어 과정]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료전지-축전수단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엑셀 신호가 차속에 따른 요구출력을 초과하지 않으면 곧바로 연료전지의 발전을 정지하고, 엑셀 신호가 차속에 따른 요구출력을 초과하면 곧바로 연료전지의 정지상태를 해제(연료전지 재시동)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빈번한 엑셀 조작으로 인해 아이들 스탑(Idle Stop)/해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연료전지의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동력원인 연료전지와 보조동력원인 축전수단(슈퍼캡 또는 배터리)을 구비한 연료전지-축전수단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연료전지의 발전정지(Fuel Cell Stop)와 재시동(Fuel Cell Restart) 간 상태전환시 시간지연을 두어 빈번한 상태전환을 방지하여 연료전지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연료전지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과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저장하는 저장부; 차속 정보와 배터리의 SOC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연료전지의 정지상태 해제시점에 상기 저장부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차속과 배터리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지연시간이 경과 한 후에 연료전지의 정지상태를 해제하도록 연료전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연료전지의 상태를 전이하는 상기 연료전지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과 배터리의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합산하여 최종 지연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은 차속이 증가할수록 지연시간이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그래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은 배터리의 SOC가 증가할수록 지연시간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그래프일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연료전지의 운전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장부가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과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정보 수집부가 차속 정보와 배터리의 SOC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연료전지의 정지상태 해제시점에, 제어부가 상기 저장부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차속과 배터리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연료전지 구동부가 상기 산출된 지연시간이 경과 한 후에 연료전지의 정지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과 배터리의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합산하여 최종 지연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은 차속이 증가할수록 지연시간이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그래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은 배터리의 SOC가 증가할수록 지연시간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그래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주동력원인 연료전지와 보조동력원인 축전수단(슈퍼캡 또는 배터리)을 구비한 연료전지-축전수단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연료전지의 발전정지(Fuel Cell Stop)와 재시동(Fuel Cell Restart) 간 상태전환시 시간지연을 두어 빈번한 상태전환을 방지하여 연료전지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연료전지-슈퍼캡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넷 구성에 대한 일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연료전지의 구성에 대한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의 일실시예 성능 분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연료전지-슈퍼캡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넷 구성에 대한 일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연료전지의 구성에 대한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의 일실시예 성능 분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연료전지-슈퍼캡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넷 구성에 대한 일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전지-슈퍼캡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넷 구성은, 주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연료전지(2),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슈퍼캡(10), 연료전지(2)의 출력측인 메인 버스단(3)과 슈퍼캡(10) 사이에 개재되는 슈퍼캡 초기충전 유닛(Supercap Precharge Unit)(9), 구동모터(8)를 회전시키기 위한 파워 모듈로 연료전지(2)와 슈퍼캡(10)의 출력 측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직류전류를 입력받아 3상 PWM(Pulse Width Modulation)을 생성하고 모터 구동 및 회생제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기(Motor Control Unit, MCU)(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임)(7)를 포함한다. 상기 슈퍼캡 초기충전 유닛(9)은 초기 시동시에만 방전된 슈퍼캡 전압을 충전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수소탱크(1)로부터 수소를 공급받고 공기블로워(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수소와 공기 중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2)를 주동력원으로 사용한다. 구동모터(8) 및 MCU(7)는 연료전지(2)에 메인 버스단(3)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동력 보조(파워 어시스트) 및 회생제동을 위해 슈퍼캡(10)이 초기충전 유닛(9)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메인 버스단(3)에는 고전압과 저전압 사이의 출력 변환을 위한 LDC(Low Voltage DCDC Converter, LV DCDC)(11)와 보기류 부품 구동을 위한 저전압 배터리(12V 보조 배터리)(12)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와 더불어 메인 버스단(3)을 통해 직접 고전압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에어컨(13) 및 히터(냉난방용)(14)가 연결되어 있다.
연료전지(2)를 구동하기 위한 보기류 부품(Fuel Cell BOP, 공기블로워, 수소 재순환 블로워, 물펌프 등)(16)은 메인 버스단(3)에 연결되어 연료전지 시동을 용이하게 하며, 메인 버스단(3)에는 전력 차단 및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각종 릴레이(4,5)와, 연료전지(2)로 역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블로킹 다이오드(6)가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15는 연료전지 보기류(16)의 드라이버(Driver)를 나타내며, 17은 연료전지(2)의 냉시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열을 공급해주는 히터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연료전지의 구성에 대한 일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연료전지는 공기공급부와 수소공급부를 포함하며, 공기블로워(28)를 통해 공급된 건조공기는 가습기(29)를 통해 가습된 뒤 연료전지 스택(2)의 캐소드(Cathode)에 공급되며, 캐소드의 배기가스는 내부에서 발생한 물 성분에 의해 가습된 상태로 가습기(29)에 전해져 공기블로워(28)에 의해 캐소드로 공급될 건조공기를 가습하는데 사용된다.
수소공급부는 2개의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 번째 라인은 저압 레귤레이터(LPR)(23)를 통해 연료전지 스택(2)의 애노드(Anode)로 수소를 공급하며, 수소 재순환 블로워(24)를 통해 애노드 출구단의 수소 중 일부가 재순환된다. 두 번째 라인은 고압의 수소를 밸브(25) 및 이젝터(26)를 통해 직접 애노드로 공급하며, 애노드 출구단의 일부 수소가 재순환되어 이젝터를 통해 공급된다.
또한, 애노드에 남아있는 잔존 수소가 전기 발생 없이 전해질막을 직접 통과하여 캐소드의 산소와 반응하는 현상을 수소 크로스오버(Crossover)라 하며, 이러한 수소 크로스오버 양을 줄이기 위해서 저출력 구간에서는 애노드 압력을 낮추고 스택 출력을 높이는 고출력 구간에서는 압력을 높여야 한다. 이는 저압력 요구시에는 저압 레귤레이터(23)를 단독 사용하고, 고압 요구시나 수소 퍼지시에는 고압 수소를 밸브(25)의 제어를 통해 공급하여 해결한다. 애노드 압력(수소압)이 커질수록 수소 크로스오버 양은 증가하며, 수소 크로스오버는 연비 및 연료전지 내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애노드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소 퍼지 밸브(27)는 애노드단의 불순물 및 응축된 물을 배출하여 스택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용도이며, 애노드 출구단은 워터 트랩(31)과 연결되어 응축된 물을 저장 후 양이 일정수준에 도달하면 밸브(32)를 통해 배출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는, 저장부(41), 정보 수집부(42), 제어부(43), 및 연료전지 구동부(44)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저장부(41)는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과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저장한다. 즉, 저장부(41)는 일례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과,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저장한다.
여기서,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은 차속이 증가할수록 지연시간이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그래프(a)이고, 배터리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은 배터리 SOC가 증가할수록 지연시간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그래프(b)이다.
다음으로, 정보 수집부(42)는 연료전지-축전수단 하이브리드 차량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집한다.
특히, 정보 수집부(42)는 차속 정보와 배터리의 SOC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정보 수집부(42)는 클러스터로부터 차속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으로부터 배터리의 SOC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부(42)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속정보와 배터리의 SOC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때, 차량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제어부(43)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43)는 연료전지의 정지상태 해제시점을 판단한다. 즉, 엑셀 신호(Signal from the Accel Position Sensor)가 차속에 따른 요구출력을 초과하는 경우를 연료전지의 정지상태 해제시점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연료전지의 상태 전이를 판단하는 기술은 상술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는 연료전지의 정지상태 해제시점에 곧바로 연료전지의 정지상태를 해제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지연시간이 경과 한 후에 연료전지의 정지상태를 해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빈번한 연료전지의 상태 전이를 방지할 수 있어 연료전지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43)는 연료전지의 정지상태 해제시점에 저장부(41)에 저장되어 있는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과 배터리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정보 수집부(42)에 의해 수집된 차속과 배터리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산출한 지연시간이 경과 한 후에 연료전지의 정지상태를 해제하도록 연료전지 구동부(44)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이 10초이고, 배터리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이 30초이면 전체 지연시간은 40초(10초 + 30초)가 된다.
다음으로, 연료전지 구동부(44)는 제어부(43)의 제어하에 연료전지의 상태(정지, 발전)를 전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연료전지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현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제어부(43)가 다른 구성요소의 기능을 일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저장부(41)가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과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저장한다(501).
이후, 정보 수집부(42)가 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 차량으로부터 차속 정보와 배터리의 SOC 정보를 수집한다(502).
이후, 연료전지의 정지상태 해제시점에, 제어부(43)가 상기 저장부(41)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차속과 배터리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산출한다(503). 이때, 연료전지의 정지상태 해제시점을 검출하는 기술은 주지 관용의 기술로서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한 차속과 요구출력 및 악셀신호 등에 기초하여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연료전지 구동부(44)가 제어부(43)에 의해 산출된 지연시간이 경과 한 후에 연료전지의 정지상태를 해제한다(504).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료전지의 발전정지(Fuel Cell Stop)와 재시동(Fuel Cell Restart) 간 상태전환시 시간지연을 두어 빈번한 상태전환을 방지하여 연료전지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도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에 의한 엑셀 신호에 의해 연료전지의 상태 전이가 빈번하게 발생해야 할 상황에서, 본 발명이 적용된 방식은 종래의 방식인 도 1에 비해 연료전지의 발전 정지상태와 발전 정지상태의 해제 사이의 전이가 빈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에서, '610'은 배터리의 SOC가 70% 이상인 경우의 전이 상태 그래프를 나타내고, '620'은 배터리의 SOC가 60%인 경우의 전이 상태 그래프를 나타내며, '630'은 배터리의 SOC가 50% 이하인 경우의 전이 상태 그래프를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1 : 저장부
42 : 정보 수집부
43 : 제어부
44 : 연료전지 구동부
42 : 정보 수집부
43 : 제어부
44 : 연료전지 구동부
Claims (10)
- 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연료전지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과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저장하는 저장부;
차속 정보와 배터리의 SOC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연료전지의 정지상태 해제시점에 상기 저장부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차속과 배터리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지연시간이 경과 한 후에 연료전지의 정지상태를 해제하도록 연료전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연료전지의 상태를 전이하는 상기 연료전지 구동부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과 배터리의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합산하여 최종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은,
차속이 증가할수록 지연시간이 감소하는 그래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은,
배터리의 SOC가 증가할수록 지연시간이 증가하는 그래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차속 정보와 배터리의 SOC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 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연료전지의 운전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장부가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과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정보 수집부가 차속 정보와 배터리의 SOC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연료전지의 정지상태 해제시점에, 제어부가 상기 저장부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차속과 배터리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연료전지 구동부가 상기 산출된 지연시간이 경과 한 후에 연료전지의 정지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과 배터리의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을 합산하여 최종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속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은,
차속이 증가할수록 지연시간이 감소하는 그래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SOC에 상응하는 지연시간은,
배터리의 SOC가 증가할수록 지연시간이 증가하는 그래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1235A KR102262580B1 (ko) | 2017-04-20 | 2017-04-20 |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1235A KR102262580B1 (ko) | 2017-04-20 | 2017-04-20 |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7979A KR20180117979A (ko) | 2018-10-30 |
KR102262580B1 true KR102262580B1 (ko) | 2021-06-09 |
Family
ID=6410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1235A KR102262580B1 (ko) | 2017-04-20 | 2017-04-20 |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258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5703A (ko) | 2022-12-28 | 2024-07-08 | 우리산업 주식회사 | 슈퍼캡의 셀 조립체 |
KR20240105705A (ko) | 2022-12-28 | 2024-07-08 | 우리산업 주식회사 | 셀 밸런싱 회로를 구비한 슈퍼캡 모듈 |
KR20240107288A (ko) | 2022-12-29 | 2024-07-09 | 우리산업 주식회사 | 분리 독립 제어형 스위치 모듈을 구비한 연료전지 차량의 컨버터 시스템 |
KR20240107287A (ko) | 2022-12-29 | 2024-07-09 | 우리산업 주식회사 | 스위치 모듈을 이중화한 연료전지 차량의 컨버터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2341B1 (ko) | 2019-10-31 | 2024-08-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연료전지 제어 방법 |
KR20240011535A (ko) | 2022-07-19 | 2024-01-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65653A (ja) | 2006-03-27 | 2007-10-11 | Nissan Motor Co Ltd | 燃料電池システム |
JP2008084769A (ja) | 2006-09-28 | 2008-04-10 | Honda Motor Co Ltd | 燃料電池車両 |
JP2013206773A (ja) | 2012-03-29 | 2013-10-07 | Panasonic Corp | 燃料電池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0703B1 (ko) | 2008-07-08 | 2010-12-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아이들 스탑/해제 제어 방법 |
KR20170036858A (ko) * | 2015-09-18 | 2017-04-0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연료전지차량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
2017
- 2017-04-20 KR KR1020170051235A patent/KR1022625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65653A (ja) | 2006-03-27 | 2007-10-11 | Nissan Motor Co Ltd | 燃料電池システム |
JP2008084769A (ja) | 2006-09-28 | 2008-04-10 | Honda Motor Co Ltd | 燃料電池車両 |
JP2013206773A (ja) | 2012-03-29 | 2013-10-07 | Panasonic Corp | 燃料電池システム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5703A (ko) | 2022-12-28 | 2024-07-08 | 우리산업 주식회사 | 슈퍼캡의 셀 조립체 |
KR20240105705A (ko) | 2022-12-28 | 2024-07-08 | 우리산업 주식회사 | 셀 밸런싱 회로를 구비한 슈퍼캡 모듈 |
KR20240107288A (ko) | 2022-12-29 | 2024-07-09 | 우리산업 주식회사 | 분리 독립 제어형 스위치 모듈을 구비한 연료전지 차량의 컨버터 시스템 |
KR20240107287A (ko) | 2022-12-29 | 2024-07-09 | 우리산업 주식회사 | 스위치 모듈을 이중화한 연료전지 차량의 컨버터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7979A (ko) | 2018-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62580B1 (ko) | 연료전지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
US8119297B2 (en) | Idle stop-start control method of fuel cell hybrid vehicle | |
KR100974760B1 (ko) |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전지 출력 제어 방법 | |
KR101047406B1 (ko) |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넷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US8486571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fuel cell in fuel cell hybrid vehicle | |
US8415065B2 (en) |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fuel cell system | |
US885915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fuel cell hybrid system by switching to battery power in response to idle stop condition | |
US786294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ing a fuel cell engine in a vehicle equipped with an ultracapacitor | |
US20140145500A1 (en) | Power distribution device and method for fuel cell-supercapacitor hybrid vehicle | |
US11050072B2 (en) | Fuel cell system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KR102474508B1 (ko) |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 | |
US8420268B2 (en) | Fuel cell system | |
US8053123B2 (en) | Fuel cell system with a scavenging device and AC impedance measuring unit | |
US8404392B2 (en) | Method of entering and exiting a regenerative/stand-by mode on a fuel cell system where the fuel cell is separated from the regenerative source by a blocking power diode | |
US7776481B2 (en) |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al energy discharged in the fuel cell system | |
KR100974761B1 (ko) |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료전지 출력 제어 방법 | |
US9831513B2 (en) | Fuel cell stack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14056771A (ja) | 燃料電池車両の外部給電制御装置 | |
KR100986500B1 (ko) | 멀티 스택 구조의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 |
US20120015269A1 (en) | Fuel cell system | |
KR101349021B1 (ko) |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차량의 충방전 전류 제한 방법 | |
JP2009151998A (ja) | 燃料電池システム | |
JP7256153B2 (ja) | 電力システム | |
US11660982B2 (en) | Method of controlling fuel cell vehicle and the fuel cell vehicle | |
KR102540935B1 (ko) | 연료전지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