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746B1 -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746B1
KR102261746B1 KR1020190153019A KR20190153019A KR102261746B1 KR 102261746 B1 KR102261746 B1 KR 102261746B1 KR 1020190153019 A KR1020190153019 A KR 1020190153019A KR 20190153019 A KR20190153019 A KR 20190153019A KR 102261746 B1 KR102261746 B1 KR 102261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page
experiential
learn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605A (ko
Inventor
임미영
송은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미어에듀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미어에듀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미어에듀케이션
Priority to KR102019015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7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3/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이 자발적으로 참여 학습 과정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음악 개념을 학습시킬 수 있는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활동 체험을 통해 음악에 관한 학습을 제공하는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 있어서, 진료 활동을 통해 음악 학습을 제공하는 병원 체험 음악 교구, 요리 활동을 통해 음악에 관한 학습을 제공하는 요리 체험 음악 교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MUSIC LEARNING BOOK AND MUSIC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이 자발적으로 참여 학습 과정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음악 개념을 학습시킬 수 있는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래의 기록, 연주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오선, 악상기호, 기보법, 악기 연주법 등을 등의 학습이 선행 되어야 한다.
음악을 학습한다는 것은 포괄적인 의미로, 상기한 오선, 악상기호, 기보법, 악기 연주법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공개특허 제10-2003-0082208호(이하 종래기술)는 악기연주 및 음악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정한 소절 단위로 분할된 악보 이미지들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음악 악보와, 상기 각각의 악보 이미지에 해당하는 연주음이 녹음된 각각의 데이터들이 상기 각각의 악보 이미지에 하이퍼 링크되어 해당 악보 이미지를 선택하면 녹음된 연주음 데이터가 디코딩되어 컴퓨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재생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악보에 표기되는 각종 음악 기호들에 대한 설명을 음성으로 녹음하여 해당 음악 기호 이미지와 링크시켜 상세 설명을 들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시간적 제약 없이도 저렴하게 악기 연주법을 배울 수 있으며, 어느 정도의 연주 능력을 갖춘 사람이나 숙련가인 경우도 다양한 형태의 연습을 하고 싶다거나, 혼자서도 다른 연주자와 함께 협연(協演)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음악 학습은 내용이 방대하고 다소 어렵기 때문에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이 음악을 학습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악 지식이 적은 어린이 등이 오선, 악상기호, 악기 연주법 등을 보다 쉽게 학습할 수 있는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특정 활동 체험을 통해 음악에 관한 학습을 제공하는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 있어서, 진료 활동을 통해 음악 학습을 제공하는 병원 체험 음악 교구, 요리 활동을 통해 음악에 관한 학습을 제공하는 요리 체험 음악 교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한다.
또한 병원 체험 음악 교구는 색칠공간이 구비된 건반으로 치아가 표시된 치과페이지, 악상기호를 포함하는 그림이 시력검사표에 표시된 안과페이지, 각각의 손가락에 색칠공간이 구비된 정형외과페이지 및 상부의 분기부와 하부의 벨부를 포함하는 청진기가 도시되되 상기 분기부와 상기 벨부 각각의 테두리를 따라 절개선이 표시되고 상기 분기부의 하측과 상기 벨부의 상측에 각각 펀치 유도부가 도시되는 내과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요리 체험 음악 교구는 꼬챙이에 꽂히고 계이름 기입공간이 구비된 다수의 제1음식물을 포함하는 꼬치가 표시된 분식페이지, 마디를 나타내는 피자 조각과 박자를 나타내는 다수의 제1토핑이 표시된 피자페이지, 물이 수용된 냄비 및 구획된 색칠공간이 구비된 불이 표시된 한식페이지, 패스트푸드가 색칠공간이 구비된 건반으로 표시된 햄버거페이지 및 오선을 표현하는 면발과 상기 면발 또는 면발 간의 공간에 배치되는 제2토핑이 도시된 일식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식페이지는 다수의 QR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QR코드 각각은 서로 다른 크기로 출력되는 소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한식페이지는 상기 QR코드 각각의 인접 위치에 상기 소리정보에 상응하는 셈여림기호가 각각 표시되고, 상기 제1토핑 각각은 명칭의 글자수에 상응하는 박자를 의미하고, 상기 분식페이지는 꼬챙이에 꽂히고 상기 계이름 기입공간이 구비되지 않은 제2음식물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를 이용한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병원 체험 음악 교구, 요리 체험 음악 교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함으로써, 음악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의 참여(체험)을 유도하여 음악에 친근감을 느끼게 하고, 오선, 악상기호, 악기 연주법, 박자, 손가락 번호 등을 보다 쉽게 학습할 수 있게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이 수용된 냄비 및 구획된 색칠공간이 구비된 불과, 각기 다른 크기로 출력되는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QR코드를 포함함으로써,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을 동시에 사용하여 음악을 학습하기 때문에 학습 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병원 체험 음악 교구의 치과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병원 체험 음악 교구의 안과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병원 체험 음악 교구의 정형외과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병원 체험 음악 교구의 내과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음악 학습 교구에서 처방전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요리 체험 음악 교구의 분식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요리 체험 음악 교구의 분식페이지(피자 조각)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요리 체험 음악 교구의 분식페이지(제1토핑)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요리 체험 음악 교구의 한식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요리 체험 음악 교구의 햄버거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요리 체험 음악 교구의 일식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를 설명의 편의상 '본 교구'라 칭하기로 한다.
본 교구는 특정 활동 체험을 통해 음악에 관한 학습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학습자의 선행경험을 학습의 시발점으로 삼고, 학습 과정에 있어 지식의 자발적 구성을 촉진시키는 구성주의 이론을 원리로 하고 있는 것이다.
본 교구(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는 병원 체험 음악 교구(1)(도 1 내지 도 5 참조) 및 요리 체험 음악 교구(2)(도 6 내지 도 11 참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한다.
병원 체험 음악 교구(1)는 진료 활동을 통해 음악 학습을 제공하는 것으로, 치과페이지(11), 안과페이지(12), 정형외과페이지(13) 및 내과페이지(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내지 도 4 참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병원 체험 음악 교구의 치과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과페이지(11)는 색칠공간(CS)이 구비된 건반으로 치아가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색칠공간(CS)이 구비된 건반이 악어의 치아를 대체하여 표시될 수 있다.
치과페이지(11)에서 색칠공간(CS)은 학습자(어린이 등)가 교육자의 지시를 받고 연필 등을 이용하여 건반에서 계이름을 나타내는 위치(색칠공간(CS)의 부분 공간)를 색칠하도록 하는 공간일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치과페이지(11)의 색칠공간(CS)의 다수의 부분 공간에 연필 등으로 색칠되고, 교육자가 계이름을 지시하여 썩은 이(색칠된 부분 공간 중 어느 하나)를 치료해 달라고 하는 경우, 지우개로 색칠공간(CS)에서 색칠된 부분 공간 중 어느 하나의 흑연 등을 지우는 행위가 수행되는 공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교구는 치과페이지(11)를 포함함으로써, 피아노 건반과 교구에 그려진 건반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인지 능력이 강화되고, 건반과 친숙해지며 건반에 대한 이해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병원 체험 음악 교구의 안과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과페이지(12)는 악상기호를 포함하는 그림이 시력검사표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악상기호란 악보에서 오선을 제외한 모든 기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음표, 쉼표, 셈여림기호, 음자리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력검사표에 표시되는 상기 그림은 악상기호뿐만 아니라 계이름이 표시된 건반, 손가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교구는 안과페이지(12)를 포함함으로써, 시력검사표를 이용하여 음악 개념을 익힐 수 있으며, 음악정보처리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병원 체험 음악 교구의 정형외과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형외과페이지(13)는 각각의 손가락에 색칠공간(CS)이 구비될 수 있다. 정형외과페이지(13)는 손 등이 평면을 향하는 양 손이 도시되되, 각각의 손가락에 색칠공간(CS)이 구비될 수 있다.
정형외과페이지(13)의 색칠공간(CS)은 교육자가 음악에서의 손가락 번호를 말하는 경우, 학습자가 상기 손가락 번호에 해당하는 부분 공간에 색칠하는 공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정형회과페이지(13)의 색칠공간(CS)에서 색칠된 부분 공간이 붕대를 의미하도록 색칠된 부분 공간이 흰색으로 칠해질 수 있다.
음악 분야에서 사용되는 상기 손가락 번호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교구는 정형외과페이지(13)를 포함함으로써, 학습지식의 응용 및 공간인지능력이 향상되고, 상기 손가락 번호를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병원 체험 음악 교구의 내과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과페이지(14)는 상부의 분기부(141)와 하부의 벨부(142)를 포함하는 청진기가 도시되되, 상기 분기부(141)와 벨부(142) 각각의 테두리를 따라 절개선(DL)이 도시되고, 분기부(141)의 하측과 벨부(142)의 상측에 각각 펀치 유도부(1411)(1421)가 도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 상측, 하부, 하측은 청진기의 사용 상태에서 연직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청진기에서 분기부(141)의 귀꽂이가 구비된 측이 상측을 의미하고, 벨부(142)의 벨이 구비된 측이 하측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학습자 또는 교육자가 가위 등을 이용하여 절개선(DL)을 절개하여 내과페이지(14)로부터 분기부(141) 및 벨부(142)를 각각 분리하고, 상기 펀지 유도부(1411)(1421) 각각을 천공하여 분기부(141) 및 벨부(142) 각각에 통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에 실 등(연결부재)을 분기부(141) 및 벨부(142)에 각각 형성된 통공에 삽입하여 분기부(141)와 벨부(142)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후에 학습자는 벨부(142)의 하측에 형성된 벨을 교육자의 가슴에 올려놓아 분기부(141) 상측에 형성된 귀꽂이를 통해 교육자의 맥박을 파악할 수 있으며, 맥박을 통해 박자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즉, 본 교구는 내과페이지(14)를 포함함으로써 신체를 활용한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고 교육자와의 의사소통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맥박을 통해 고정박에 대한 개념을 형성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음악 학습 교구에서 처방전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병원 체험 음악 교구(1)는 처방전페이지(15)를 포함할 수 있다. 처방전페이지(15)는 학습 결과, 부족한 역량, 학습 계획 등을 기재할 수 있는 정보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교구는 병원 체험 음악 교구(1)를 포함함으로써, 병원놀이를 모티브로 한 게임을 통하여 음악개념, 계이름 읽기, 건반 등에 친근감을 갖게 하고 흥미를 유발하며 지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유아를 포함한 4~7세의 어린이 등을 상대로 음악을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요리 체험 음악 교구(2)는 요리 활동을 통해 음악에 관한 학습을 제공하는 것으로, 분식페이지(21), 피자페이지(22), 한식페이지(23), 햄버거페이지(24) 및 일식페이지(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도 6 내지 도 11 참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요리 체험 음악 교구의 분식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분식페이지(21)는 꼬챙이에 꽂히고 계이름 기입공간(FS)이 구비된 다수의 제1음식물(211)을 포함하는 꼬치가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분식페이지(21)는 제1음식물(211)이 꼬챙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꽂혀 배치된 차례꼬치가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교육자가 차례꼬치에서 꼬챙이에 꽂힌 다수의 제1음식물(211) 중 상측(도 6을 기준으로 상측)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계이름 기입공간(FS)에 계이름 중 '미'를 기입하는 경우, 학습자는 상기 '미'가 기입된 제1음식물(211)의 하측(도 6을 기준으로 하측)에 구비된 제1음식물(211)의 계이름 기입공간(FS)에 '파'를 기입할 수 있다.
즉, 계이름 순서를 익힐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식페이지(21)는 꼬챙이에 꽂히고 계이름 기입공간(FS)이 구비되지 않은 제2음식물(21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분식페이지(21)는 상기 차례꼬치뿐만 아니라 제1음식물(211)과 제2음식물(212)이 꼬챙이에 꽂힌 건너꼬치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건너꼬치는 꼬챙이에서 제1음식물(211)과 제2음식물(212)이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건너꼬치에서 제1음식물(211)과 제2음식물(212)이 교번하여 배치되고, 교육자가 건너꼬치에서 최상측에 구비된 제1음식물(211)의 계이름 기입공간(FS)에 계이름'도'를 기입하는 경우, 상기 '도'가 기입된 제1음식물(21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음식물(212)을 건너뛰고, 제2음식물(212)보다 하측에 구비되는 또 다른 제1음식물(211)의 계이름 기입공간(FS)에 계이름 '미'를 기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교구는 분식페이지(21)를 포함함으로써, 패턴 읽기를 통한 독보력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반의 구조화와 계이름 순서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요리 체험 음악 교구의 분식페이지(피자 조각)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요리 체험 음악 교구의 분식페이지(제1토핑)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피자페이지(22)는 마디를 나타내는 피자 조각(221)과 박자를 나타내는 다수의 제1토핑(222)이 표시될 수 있다. 음악 분야에서 마디는 통상적으로 미리 결정된 박자수가 있는데, 제1토핑(222)은 테두리의 절개선(DL)을 포함할 수 있고, 교육자 또는 학습자가 절개선(DL)을 절개하여 제1토핑(222)을 마디를 나타내는 피자 조각(221)에 배치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토핑(222)이 1박을 의미하고, 마디를 나타내는 피자 조각(221)이 4분의 4박자를 의미하는 경우, 학습자는 피자 조각(221)에 4개의 제1토핑(222)을 배치시킴으로써 피자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교구는 피자페이지(22)를 포함함으로써, 마디와 박의 길이 및 리듬에 대한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피자페이지(22)에서 다수의 제1토핑(222) 각각은 그 명칭의 글자수에 상응하는 박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토핑(222)이 '스테이크' 토핑을 포함하는 경우, '스테이크'의 글자수가 4글자이므로 4박자를 의미할 수 있고, 제1토핑(222)이 '햄' 토핑을 포함하는 경우, '햄'의 글자수가 1글자이므로 1박자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피자 조각(221)이 4분의 4박자일 경우, 학습자는 제1토핑(222) 중'햄'토핑을 4개 배치시키거나 1개의 '스테이크' 토핑을 배치시킴으로써 피자 조각(221)을 완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교구가 명칭의 글자수에 상응하는 박자를 의미하는 제1토핑(222)을 포함함으로써, 토핑의 글자수대로 박의 개념을 인지하여 피자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언어적 표현 및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박의 길이 및 리듬에 대한 인지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요리 체험 음악 교구의 한식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한식페이지(23)는 물이 수용된 냄비 및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색칠공간(CS)이 구비된 불이 표시될 수 있다. 구획된 색칠공간(CS)이 구비된 불은 상기 냄비의 하측(도 9를 기준으로 하측)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한식페이지(23)는 다수의 QR코드(2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미도시)에 상기 QR코드(231)를 인식하는 스캐너가 구비된 경우, 스캐너를 통해 휴대단말기(미도시)가 QR코드(231)를 인식하여 소리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소리정보는 예시적으로 물이 끓는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다수의 QR코드(231) 각각은 서로 다른 크기로 출력되는 소리정보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식페이지(23)는 QR코드(231) 각각의 인접 위치에 서로 다른 크기로 출력되는 소리정보 각각에 상응하는 셈여림기호(232)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셈여림기호(232)는 음악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피아노(p), 메조피아노(mp), 메조포르테(mf), 포르테(f) 등을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조). 셈여림기호(232) 각각은 QR코드(231) 각각의 상측 또는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한식페이지(23)의 색칠공간(CS)은 4개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고, 피아노(p), 메조피아노(mp), 메조포르테(mf), 포르테(f) 각각의 셈여림 기호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1크기로 출력되는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231)가 피아노(p)의 인접 위치에 구비되고, 제1크기보다 큰 제2크기로 출력되는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231)가 메조피아노(mp)의 인접 위치에 구비되고, 제2크기보다 큰 제3크기로 출력되는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231)가 메조포르테(mf)의 인접 위치에 구비되며, 제3크기보다 큰 제4크기로 출력되는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231)가 포르테(f)의 인접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식페이지(23)의 구획된 색칠공간(CS)이 색칠되는 경우, 그 불의 크기(색칠공간(CS)에서 색칠된 영역의 크기)에 상응하는 물 끓는 소리의 크기를 예측하고 그에 상응하도록 셈여림기호(232)를 선택하여 그에 상응하는 QR코드(231)를 인식토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학습자가 한식페이지(23)의 색칠공간(CS) 중 한 군데만 색칠할 경우, 학습자로 하여금 물 끓는 소리의 크기를 예측하게 하고, 물 끓는 소리에 상응하는 셈여림기호(232) 중 피아노(p)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이후에 교육자 또는 학습자가 피아노(p)와 인접 위치에 배치된 QR코드(231)를 인식하여 소리정보를 출력케 함으로써, 셈여림 기호(232)와 소리 세기를 직접 체험하여 학습토록 할 수 있다.
즉, 한식페이지(23)의 색칠공간(CS)이 색칠됨으로써 정해지는 불의 크기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셈여림기호(232)를 예측하고 그에 상응하는 QR코드(231)를 인식하여 소리정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한식페이지(23)에서 4개로 구획된 색칠공간(CS) 중 한 개의 영역이 칠해질 경우 피아노에 상응하는 QR코드(231)를 인식하고, 한식페이지(23)에서 4개로 구획된 색칠공간(CS) 중 두 개의 영역이 칠해질 경우 메조피아노에 상응하는 QR코드(231)를 인식하고, 한식페이지(23)에서 4개로 구획된 색칠공간(CS) 중 세 개의 영역이 칠해질 경우 메조포르테에 상응하는 QR코드(231)를 인식하고, 한식페이지(23)에서 4개로 구획된 색칠공간(CS) 중 네 개의 영역이 칠해질 경우 메조포르테에 상응하는 QR코드(231)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교구는 한식페이지(23)를 포함함으로써, 셈여림 기호(232)에 따른 소리의 변화를 체험함으로써, 셈여림 기호(232)를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요리 체험 음악 교구의 햄버거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햄버거페이지(24)는 패스트푸드가 색칠공간(CS)이 구비된 건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패스트푸드는 감자튀김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교육자가 계이름을 말하는 경우, 학습자는 햄버거페이지(24)의 색칠공간(CS)에서 상기 계이름에 해당하는 위치를 색칠할 수 있다. 또는 학습자가 계이름을 말하고, 교육자가 햄버거페이지(24)의 색칠공간(CS)에서 계이름에 해당하지 않는 위치에 색칠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수정할 수 있도록 유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교구는 햄버거페이지(24)를 포함함으로써 건반 및 계이름에 대한 이해력을 증진시키고, 계이름과 일치하는 건반을 찾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서 요리 체험 음악 교구의 일식페이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식페이지(25)는 오선을 표현하는 면발(251)과 면발(251) 또는 면발(251) 간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제2토핑(252)이 표시(도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면발(251)은 우동의 면발(251)일 수 있으며 제2토핑(252)은 계란, 김, 파 등일 수 있다.
일식페이지(25)는 제2토핑(252)의 외각이 절개선(DL)을 포함할 수 있고, 교육자 또는 학습자는 절개선(DL)을 절개한 후, 제2토핑(252)을 면발(251) 또는 면발(251) 간의 사이 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교구는 일식페이지(25)를 포함함으로써, 오선을 익히게 할 수 있으며 독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교구는 요리 체험 음악 교구(2)를 포함함으로써, 요리와 음식을 모티브로 한 게임을 통하여 음악개념, 계이름 읽기, 건반 등에 친근감을 갖게 하고 흥미를 유발하며 지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유아를 포함한 4~7세의 어린이 등을 상대로 음악을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시 말해, 본 교구는 병원 체험 음악 교구(1), 요리 체험 음악 교구(2)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함으로써, 객관적 지식의 단순 축적보다는 선행경험을 촉진하여 친숙한 소재들과 음악개념을 연관 짓기 때문에 학습자로 하여금 참여를 유도하고 체험을 하게 하여 음악을 보다 친근하게 접근하도록 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요리, 치료 등과 같이 학습자의 개인적 경험을 통해 음악에 흥미를 유도하고, 일상의 소재로 음악개념을 이해하며 다소 추상적인 악상기호(셈여림, 박자, 음표, 쉼표, 기호 등) 및 개념들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음악적 재료를 창의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창조적 사고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출판사 및 교재 종류와 관계없이 초급 수준에서 등장하는 음악개념들을 다루고 있어 악기, 교재, 출판사 등과 무관하게 모두 활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교구를 통해 놀이를 통해 배운 음악 지식은 장기기억에 효과적이고, 능동적, 자발적 학습 참여로 자기 주도성이 향상되며,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이하 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은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를 이용한 것으로, 상술한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므로,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방법(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은 병원 체험 음악 교구(1)를 이용한 병원 체험 음악 학습 방법 및 요리 체험 음악 교구(2)를 이용한 요리 체험 음악 학습 방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한다.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병원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치과페이지(11)를 이용한 치과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치과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치과페이지(11)의 색칠공간(CS)에서 검은건반을 색칠하는 단계, 계이름에 상응하는 치과페이지(11)의 색칠공간(CS)을 색칠하는 단계 및 치과페이지(11)의 색칠공간(CS)에서 계이름에 상응하는 공간의 색칠을 지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병원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안과페이지(12)를 이용한 안과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안과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교육자가 시력검사표의 상기 그림을 지칭하는 단계 및 학습자가 상기 그림의 명칭과 의미를 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병원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정형외과페이지(13)를 이용한 정형외과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정형외과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교육자가 상기 손가락 번호를 말하는 단계 및 학습자가 상기 정형외과페이지(13)의 색칠공간(CS) 중 상기 손가락 번호에 해당하는 손가락에 구비된 부분 공간을 색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정형외과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교육자가 악기를 연주하는 단계, 학습자가 교육자의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찰력 및 비판적 사고력이 향상되고 올바른 연주 자세에 대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병원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내과페이지(14)를 이용한 내과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내과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내과페이지(14)의 절개선(DL)을 절개하는 단계, 분기부(141)의 펀치 유도부(1411)와 벨부(142)의 펀치 유도부(1421) 각각을 천공하여 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분기부(141)의 통공과 벨부(142)의 통공에 연결부재를 삽입하여 분기부(141)와 벨부(142)를 연결시키는 단계, 벨부(142)의 벨을 가슴에 올려놓아 맥박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맥박에 상응하는 박자, 음표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요리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분식페이지(21)를 이용한 분식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분식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교육자가 어느 하나의 제1음식물(211)의 계이름 기입공간(FS)에 계이름을 기입하는 제1단계 및 학습자가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른 하나의 제1음식물(211)의 계이름 기입공간(FS)에 다음 순번의 계이름을 기입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음식물(211)과 상기 다른 하나의 제1음식물(211) 사이에 제2음식물(212)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다른 하나의 제1음식물(211)의 계이름 기입공간(FS)에는 제2음식물(212)의 개수에 상응하는 순번의 계이름이 기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음식물(211)에 '도'가 기입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음식물(211)과 상기 다른 하나의 제1음식물(211) 사이에 한 개의 제2음식물(212)이 배치되는 경우, '도'에서 제2음식물(212)의 개수에 상응하는 순번의 계이름인 '미'가 상기 다른 하나의 제1음식물(211)의 계이름 기입공간(FS)에 기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진행 방향은 도 6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요리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피자페이지(22)를 이용한 피자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피자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피자 조각(221) 및 제1토핑(222)각각에 박자수 및 박자를 지정하는 단계 및 절개선(DL)을 절개하여 제1토핑(222)을 피자 조각(221)에 배치하는 단계 포함하되, 상기 제1토핑(222)은 명칭의 글자수에 상응하는 박자를 의미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요리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한식페이지(23)를 이용한 한식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한식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한식페이지(23)의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색칠공간(CS)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색칠하는 단계, 한식페이지(23)의 색칠공간(CS)에서 색칠된 영역의 개수에 상응하는 셈여림기호(232)를 선택하는 단계 및 셈여림기호(232)에 인접 위치에 표시되고, 셈여림기호(232)에 상응하는 크기로 출력되는 기 설정된 소리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231)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요리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햄버거페이지(24)를 이용한 햄버거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햄버거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학습자 및 교육자 중 어느 하나가 계이름을 말하는 단계 및 학습자 및 교육자 중 다른 하나가 햄버거페이지(24)의 색칠공간(CS)에서 상기 계이름에 해당하는 위치를 색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요리 체험 음악 학습은 일실페이지(25)를 이용한 일식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식 체험 음악 학습 방법은 절개선(DL)을 절개하는 단계 및 제2토핑(252)을 면발(251), 면발(251) 간의 사이 공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는 반복 사용으로 인해 헤지거나 외력에 의해 찢어지거나 할 수 있고, 또한 수분에 의해 젖거나 하는 등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는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의 외면에 구비되는 코팅막(G)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막(G)은 상기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의 외면에 접하되 제1온도 범위에서 연화되는 접착층(G1), 상기 접착층(G1) 상부에 구비된 발열층(G2), 상기 발열층(G2)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온도 범위보다 높은 제2온도 범위에서 연화되는 중간층(G3) 및 상기 중간층(G3)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2온도 범위보다 높은 제3온도 이상에서 연화되는 보호층(G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막(G)은 보호층(G4)을 포함함으로써, 표면이 경도가 높아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 스크래치, 찢어짐, 헤짐 등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시키며, 발수성을 구비하여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가 젖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코팅막(G)은 표면의 보호층(G4)과 달리 보다 낮은 온도인 제1온도 범위 및 제2온도 범위에서 각각 연화되는 접착층(G1)과 중간층(G3)을 포함함으로써, 코팅막(G) 표면에 구비되는 보호층(G4)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열팽창, 굽힘 등의 외부 환경에 따른 코팅막(G)의 잔류 응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벗겨짐 등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접착층(G1)은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BA, Polybutylacrylate)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G1)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후술하는 발열층(G2)과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의 외면에 접촉하는 부분의 온도 구배가 생겨 접착층(G1)에서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의 외면에 접촉하는 부분의 연화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두께는 0.020mm 내지 0.15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접착층(G1)은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열합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G1)의 연화 온도는 90℃ 내지 100℃로서 상기한 제1온도 범위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코팅막(G)에서 접착층(G1)은 제일 낮은 온도인 제1온도 범위에서 연화되므로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의 외면과 접착력이 우수하여 박리가 억제된다.
발열층(G2)은 상기 접착층(G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폴리아세틸렌 및 요오드를 포함한다. 폴리아세틸렌은 공액 이중 결합 상태에서 전자가 흐르는 틈새가 없지만, 요오드와 같이 이종의 저분자를 혼입함으로써 틈새를 넓힐 수 있기 때문에 전자가 흐름으로써, 전기를 인가하는 경우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열층(G2)을 포함함으로써, 상기한 접착층(G1)과 후술하는 중간층(G3)을 연화시키기 위해 큰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경제적으로 코팅막(G)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중간층(G3)은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100 중량부 및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 공중합체 2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 접착층(G1) 및 보호층(G4)간의 접착력이 부족하게 되어 사용 중 피막박리가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G3)의 연화 온도는 150℃ ~ 160℃로서 상기 제2온도 범위에 해당된다.
상기 보호층(G4)은 톨루엔중의 폴리메틸페닐실록산이 50 중량부, 실리콘-함유 섬유 50 중량부, 실리콘카바이드 50 중량부, 망간옥사이드 6 중량부, 오르가노실리콘-티탄화합물 1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메틸페닐실로산이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연화 온도가 감소하여, 상기 제2온도 범위와의 차이가 적어지며 경도가 감소되고,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제적이지 않다. 실리콘-함유 섬유가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발수성이 떨어지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발수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크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않다. 실리콘카바이드가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내마모성이 감소되며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다. 오르가노실리콘-티탄화합물가 18 중량부 미만일 경우 표면 경도 및 내마모성이 감소되고 18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화 정도가 뚜렷하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다.
이와 같은, 보호층(G4)의 연화 온도는 650℃(상기 제3온도)로서 상기 제2온도 범위보다 높은 온도인 제3온도 미만의 온도에서도 경도를 유지하여 내마모성을 유지하고, 발수성을 유지하므로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팅막(G)은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의 외면에 구비되어,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와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 형상과 외력에 의한 굽힘 등에 의해 압축 응력, 인장 응력과 같은 잔류 응력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잔류 응력 발생되는 경우, 코팅막(G)은 크레이징(crazing)이라 불리는 미세실금, 크랙, 힐록(hillock), 주름(wrinkling), 파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G1) 및 중간층(G3)이 각각 제1온도 범위와 제2온도 범위에 도달하도록 발열층(G2)에 전기를 인가함으로써, 접착층(G1)과 중간층(G3) 각각에 잔류 응력을 제거하여 잔류 응력에 의한 파괴 등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때 보호층(G4)이 연화되지 않도록 발열층(G2)은 제3온도 미만으로 발열되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접착층(G1), 중간층(G3)이 각각 제1온도 범위 및 제2온도 범위에 도달하여 연화하는 과정 중에서도 보호층(G4)은 연화되지 않아 우수한 경도, 내마모성, 발수성 등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발열층(G2)이 제2온도 범위에서 제1온도 범위와 인접한 온도(예시적으로 150℃)로 발열되는 경우, 중간층(G3)의 연화 정도는 접착층(G1)보다 적게 되어 중간층(G3)이 접착층(G1)과 보호층(G4)의 완충 역할을 하게 되기 때문에 접착층(G1)과 보호층(G4)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보호층(G4)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유지하면서 코팅막(G)의 잔류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를 지속적으로 스크래치, 헤짐, 찢어짐, 젖음 등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 시킬 수 있어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병원 체험 음악 교구: 1 치과페이지: 11
안과페이지: 12 정형외과페이지: 13
내과페이지: 14 분기부: 141
벨부: 142 펀지 유도부: 1411, 1421
요리 체험 음악 교구: 2 분식페이지: 21
제1음식물: 211 제2음식물: 212
계이름 기입공간: FS 피자페이지: 22
피자 조각: 221 제1토핑: 222
한식페이지: 23 QR코드: 231
셈여림기호: 232 햄버거페이지: 24
일식페이지: 25 면발: 251
제2토핑: 252 색칠공간: CS
절개선: DL

Claims (4)

  1. 특정 활동 체험을 통해 음악에 관한 학습을 제공하는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에 있어서,
    진료 활동을 통해 음악 학습을 제공하는 병원 체험 음악 교구, 요리 활동을 통해 음악에 관한 학습을 제공하는 요리 체험 음악 교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병원 체험 음악 교구는 색칠공간이 구비된 건반으로 치아가 표시된 치과페이지, 악상기호를 포함하는 그림이 시력검사표에 표시된 안과페이지, 각각의 손가락에 색칠공간이 구비된 정형외과페이지 및 상부의 분기부와 하부의 벨부를 포함하는 청진기가 도시되되 상기 분기부와 상기 벨부 각각의 테두리를 따라 절개선이 표시되고 상기 분기부의 하측과 상기 벨부의 상측에 각각 펀치 유도부가 도시되는 내과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요리 체험 음악 교구는 꼬챙이에 꽂히고 계이름 기입공간이 구비된 다수의 제1음식물을 포함하는 꼬치가 표시된 분식페이지, 마디를 나타내는 피자 조각과 박자를 나타내는 다수의 제1토핑이 표시된 피자페이지, 물이 수용된 냄비 및 구획된 색칠공간이 구비된 불이 표시된 한식페이지, 패스트푸드가 색칠공간이 구비된 건반으로 표시된 햄버거페이지 및 오선을 표현하는 면발과 상기 면발 또는 면발 간의 공간에 배치되는 제2토핑이 도시된 일식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식페이지는 다수의 QR코드를 포함하되, 상기 QR코드 각각은 서로 다른 크기로 출력되는 소리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한식페이지는 상기 QR코드 각각의 인접 위치에 상기 소리정보에 상응하는 셈여림기호가 각각 표시되고,
    상기 제1토핑 각각은 명칭의 글자수에 상응하는 박자를 의미하고,
    상기 분식페이지는 꼬챙이에 꽂히고 상기 계이름 기입공간이 구비되지 않은 제2음식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
  4. 청구항 1에 기재된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를 이용한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
KR1020190153019A 2019-11-26 2019-11-26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 KR102261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019A KR102261746B1 (ko) 2019-11-26 2019-11-26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019A KR102261746B1 (ko) 2019-11-26 2019-11-26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605A KR20210064605A (ko) 2021-06-03
KR102261746B1 true KR102261746B1 (ko) 2021-06-07

Family

ID=76374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019A KR102261746B1 (ko) 2019-11-26 2019-11-26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77183A (ko) 2023-06-19 2024-12-27 이영미 멜로디 학습용 교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9001A1 (en) 2010-12-08 2012-06-14 Age Of Learning, Inc. Vertically integrated mobile educational system
JP2015022300A (ja) * 2013-07-22 2015-02-02 藍花 大友 音楽色聴絵画指導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1316A (ko) * 2008-07-16 2008-10-10 홍혜숙 음악 교육용 교재
KR20180031382A (ko) * 2016-09-20 2018-03-28 주식회사 마노컴퍼니 대화와 상담을 위한 카드 교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9001A1 (en) 2010-12-08 2012-06-14 Age Of Learning, Inc. Vertically integrated mobile educational system
JP2015022300A (ja) * 2013-07-22 2015-02-02 藍花 大友 音楽色聴絵画指導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77183A (ko) 2023-06-19 2024-12-27 이영미 멜로디 학습용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605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akley Powers and submissions: Spirituality, philosophy, and gender
Ji The leopard cannot change his spots, or can he?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lay theories of change
Fischer-Baum et al. Orthographic units in the absence of visual processing: Evidence from sublexical structure in braille
Alarcón The Sardonic Powers of the Erotic in the Work of Ana Castillo
KR102261746B1 (ko) 체험형 음악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체험형 음악 학습 방법
Veispak et al. Probing the perceptual and cognitive underpinnings of braille reading. An Estonian population study
Pullum Linguistics: Why it matters
Bhide et al. Improving Hindi decoding skills via a mobile game
Nuraliyevna et al. TEACHING VOCABULARY IN CLASSROOM FOR SECONDARY AND PRIMARY SCHOOL CHILDREN, AN EFFECTIVE METHODOF TEACHING IN EDUCATION
Schlau Following Saint Teresa: early modern women and religious authority
Brown et al. Mathematics on Lacan's couch
MacKenzie Structural constraints on timing in human finger movements
Chrisomalis The cognitive and cultural foundations of numbers
Williams The Challenge of Spelling in English.
WO2007034652A1 (ja) あん摩マッサージ指圧の術法の表記方法
Eng et al. Acquired dyslexia in a biscript reader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A second case
Poska " An Operation More Appropriate for Women": The Gendering of Smallpox Vaccination in the Spanish Empire
Hegele ‘So she has been educated by a vulgar, silly, conceited French governess!’Social anxieties, satirical portraits, and the eighteenth‐century French instructor
Greene Modern chord progressions
Vespa A Voice without a Muse: Primates and the Ancient Phonosphere in Greek and Roman Cultures
RU2623915C2 (ru) Логопедическая игра "буквы и звуки"
ENGLISH et al. will have to wait some years, until experience in using the strategy to teach by has
Gearhart Using Ševčík OP. 8 and OP. 9 as Core Violin Technique Study
KR20090013627A (ko)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
Egilmez Teaching activities directed towards the beginning stage in piano education: visualizing, dramatizing, associating with lif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