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194B1 - 차량 장거리 할증 요금 산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차량 장거리 할증 요금 산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194B1
KR102261194B1 KR1020190081516A KR20190081516A KR102261194B1 KR 102261194 B1 KR102261194 B1 KR 102261194B1 KR 1020190081516 A KR1020190081516 A KR 1020190081516A KR 20190081516 A KR20190081516 A KR 20190081516A KR 102261194 B1 KR102261194 B1 KR 102261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e
distance
fee
vehicle
moving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5451A (ko
Inventor
박재욱
이정행
Original Assignee
브이씨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씨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씨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1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3/00Taximeters
    • G07B13/02Details; Accessories
    • G07B13/08Tariff-chang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이동거리를 획득하여, 이동거리 별 요금율을 적용함으로써 장거리 할증 요금을 산출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차량 운행 요금 산출 방법은, 차량이 운행한 이동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및 이동거리를 기초로 운행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운행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는, 이동거리가 제1 거리 이하인 경우, 기설정된 제1 운행 요금을 운행 요금으로 산출하고, 이동거리가 제1 거리를 초과하고 제2 거리 이하인 경우, 제1 운행 요금 및 제1 요금율을 이동거리에 적용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된 제2 운행 요금을 운행 요금으로 산출하고, 이동거리가 제2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운행 요금 및 제2 요금율을 이동거리에 적용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된 제3 운행 요금을 운행 요금으로 산출한다.

Description

차량 장거리 할증 요금 산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Calculating Long Distance Surcharge For Rental Vehicles}
본 발명은 장거리 할증 요금에 기초한 차량 요금 산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이동거리를 획득하여, 이동거리 별 요금율을 적용함으로써 장거리 할증 요금을 산출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택시의 경우 영업 지역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고객이 희망하는 이동 지역이 택시의 영업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시외 할증 등을 부여한다. 택시가 속한 영업 지역 외에 다른 지역에서의 영업 활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상으로 추가 운임을 부가하는 것이다.
이때 이동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 영업 지역 바깥으로 운송을 하게 되면, 다시 영업지역으로 공차로 돌아오는 것에 대한 비용까지 고려하여 요금을 부과해야 한다.
특히 고객의 배차 요청이 있는 경우, 목적지를 불문하고 배차가 진행되는 강제 배차 시스템은 필연적으로 장거리 운행을 수행해야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만약 고객이 희망하는 도착지가 영업 지역에서 아주 먼 거리인 경우에도 배차가 수행되며, 운행 종료 후 공차로 돌아와야 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할증 청구 방법은 시계 내에서는 일반 요금율(예: 100m당 100원)을 적용해 요금을 계산하다가, 시외할증 정보가 전송되면 그 순간부터 일반 요금율이 아닌 시외할증 요금율(예: 100m당 120원)을 적용해 요금을 계산하였다. 예를 들어, 총 운행거리가 10km이고 이중 7km는 시계 내이고 3km는 시계외이면 7km는 일반요금율 적용, 3km는 시외할증 요금율을 적용하였다.
다만, 종래와 같이 단순히 시계 내외를 기준으로 비용을 청구한다면, 장거리 운행에 드는 비용을 효율적으로 청구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장거리 운행에 드는 비용(기사 입금, 연료비 등)을 효율적으로 청구하지 않으면, 사업의 지속성이 보장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합리적인 비용을 청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단순히 영업 지역의 경계를 넘어가는 것을 기준으로 장거리 할증을 부과하는 것이 아닌, 체계화된 방법으로 장거리 운행에 대한 할증 요금을 산출하는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 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행 요금 산출 방법은, 상기 차량이 운행한 이동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거리를 기초로 운행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거리가 제1 거리 이하인 경우, 기설정된 제1 운행 요금을 상기 운행 요금으로 산출하고,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제1 거리를 초과하고 제2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운행 요금 및 제1 요금율을 상기 이동거리에 적용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된 제2 운행 요금을 상기 운행 요금으로 산출하고,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제2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운행 요금 및 제2 요금율을 상기 이동거리에 적용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된 제3 운행 요금을 상기 운행 요금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이동거리가 상기 제2 거리를 초과한 경우, 상기 차량이 기설정된 단위거리를 추가로 이동한 횟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행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이동거리가 상기 제2 거리를 초과한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기설정된 단위거리를 이동한 횟수의 증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요금율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운행 요금 및 제2 요금율에 가중치가 부여된 요금율을 상기 이동거리에 적용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된 요금을 상기 운행 요금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요금율은 상기 제1 요금율에 비하여 기설정된 비율만큼 증가된 것이고,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단위거리를 이동한 횟수에 대응하는 횟수만큼 상기 가중치를 상기 제2 요금율에 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요금 산출 방법은 상기 차량이 배정된 지역의 수요 등급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행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운행 요금에 상기 수요 등급에 대응하는 배율을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요금율, 제2 요금율 및 제2 요금율에 가중치가 부여된 요금율은 최대 요금율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된 것이고, 상기 산출된 운행 요금은 최대 요금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요금 산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행 거리를 분할하여 할증율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장거리 할증에 대해 거리별로 효율적인 요금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요금 산출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30)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요금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거리별 요금율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요금 한도를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행 요금 산출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전자 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2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망은 복수의 장치(100, 300)들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망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네트워크망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망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이동 거리 및 운행 요금을 산출하는 장치로써, 차량의 운전 기사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본 발명의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200)은 차량의 위치정보, 출발지 및 목적지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전자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에서는 전자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전자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마트폰(smart phone) 외에도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웹/모바일 사이트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전 기사 및 서비스 이용자는 전자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접속 후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서버에 접속하여 차량에 대한 배차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배차된 차량 및 배정된 운전 기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서버에 접속하여 차량 배차 지시를 수신하고, 출발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여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비스 회사에서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버(200)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실제적인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차량 배차 지시를 직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나, 이것이 서버(200)의 운영 주체와 운전 기사가 직접적인 계약 관계를 맺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즉, 서버(200)의 운영 주체인 차량 회사는 운전 기사를 직접 고용하는 것이 아니라 용역 업체와 용역 계약을 맺고, 용역 업체에 고용된 운전 기사에게 배차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해 서버를 통해 플랫폼을 운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배차가 완료되고 사용자가 탑승하면, 차량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실시간으로 수신되어 갱신되는 이동거리 정보를 통해 현재까지 운행한 거리에 따른 요금을 계산할 수 있고, 시간에 따른 요금도 병행해 계산하여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이동거리에 따라서 상이한 요금율을 적용하여 예상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차량의 이동거리가 제1 거리(예로, 2km) 이하인 경우, 기설정된 제1 운행 요금(예로, 3000원)을 운행 요금으로 산출할 수 있고, 이동거리가 제1 거리(예로, 2km)를 초과하고 제2 거리(예로, 22km) 이하인 경우, 제1 운행 요금(예로, 3000원) 및 제1 요금율(예로, 50원/100m)을 이동거리에 적용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된 제2 운행 요금을 운행 요금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이동거리가 제2 거리(예로, 22km)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운행 요금 및 제2 요금율(예로, 75원/100m)을 이동거리에 적용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된 제3 운행 요금을 운행 요금으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200)는 이동거리가 기설정된 운행 거리를 도과할 때마다 거리 요금율을 일정 비율로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시는 일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거리에 따른 요금 산출은 서버(200) 외에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인공위성을 통해 획득한 차량의 GPS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운행경로상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값에 설정된 요금율을 적용하여 목적지까지의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 및/또는 서버(200)는 사용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운행경로상 예상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예상 이동거리값 별 설정된 요금율을 적용하여 목적지까지의 예상 운행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 및/또는 서버(200)는 산출된 예상 운행 요금을 거리에 따른 요금관련 이벤트 알림정보로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에 따른 요금 관련 이벤트 정보는 “고객님의 출발지**에서 목적지** 까지의 거리에 따른 예상 요금은 17,000원입니다”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거리에 따른 요금 관련 이벤트 알림정보 속의 요금과 실제 산출되는 거리에 따른 요금은 상이할 수 있다. 이벤트 알림정보에 포함된 예상 요금은 목적지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GPS 지도상 예상 운행경로에 따른 예상 운행거리를 이용해 산출한 요금이고, 실제 계산되는 거리에 따른 요금은 실제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실제 운행경로에 따른 운행거리를 이용해 산출된 요금이어서 만약, 예상 운행경로와 실제 운행경로가 다르면 산출되는 요금은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희망하는 목적지가 운행경로 상 차량의 영업 지역 이외의 지역인 경우, 전자 장치(100) 및/또는 서버(200)는 영업 지역을 벗어나는 경로상 이동거리의 거리값에 기설정된 할증 요금율을 적용(예: 75원/100m)하여 예상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통신부(120), 디스플레이(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서버(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10)는 기본 요금 정보, 거리별 요금율 정보, 최대 요금율 정보, 최대 요금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1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부(120)를 통해 메모리(1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망을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110)에 로딩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와이파이칩(미도시), 블루투스 칩(미도시), 무선 통신 칩(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20)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200) 또는 각종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부(120)는 NFC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예상 운행 요금 및 실제 운행 요금 등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의 배차 신청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탑승 후 산출되는 운행 요금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3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0)는 3인치, 4인치, 4.65인치, 5인치, 6.5인치, 8.4인치 등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복수의 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픽셀들의 가로 개수 X 세로 개수는 해상도(resolution)로 표현될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전자 장치(100)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10), 통신부(120) 및 디스플레이(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RAM, ROM, 메인 CPU,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 ROM, 메인 CPU,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1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 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30)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이동거리 획득부(131), 요금율 설정부(132) 및 운행 요금 산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거리 획득부(131), 요금율 설정부(132) 및 운행 요금 산출부(133)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40)에 의해 구동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은 별도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모듈로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운행 요금 산출부(133)는 서버(200)의 프로세서(미도시)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현재 차량의 GPS 좌표, 이동 속도, 정확도, GPS를 산출하기 위한 위성 갯수 등 다양한 측정 값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측정 값을 기초로 운행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 장치(100)가 아닌 서버(200)에서 운행 요금을 산출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 요금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 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운행 요금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거리 획득부(131)는 사용자 또는 승객이 승차한 후 차량이 이동한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S4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거리 획득부(131)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위성을 통해 획득한 GPS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이동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거리 획득부(131)는 차량의 엔진 동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트랜스미션의 회전축에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차량의 이동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감지센서는 회전 수에 대응되는 전자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거리 획득부(131)는 펄스 수 * K 상수 (1 펄스당 이동거리)를 통해 이동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K 상수는 차량 별로 1 펄스 출력에 대응되는 차량의 이동거리에 대한 상수로 기정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거리 획득부(131)는 GPS로부터 수신된 이동거리 정보와 차량의 휠 구동부에 설치된 회전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되어 전송되는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이동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거리 획득부(131)는 GPS로부터 수신된 이동거리 정보와 회전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되어 전송되는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의 평균 값을 차량의 이동거리로 획득할 수 있다.
요금율 설정부(132)는 차량의 이동거리가 제1 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0). 이때, 제1 거리는 기본 요금을 적용하기 위한 기본 요금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는 2k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차량의 이동거리가 제1 거리 이하인 경우(S420-Y), 요금율 설정부(132)는 이동거리당 요금율을 0원/100m으로 설정할 수 있다.
운행요금 산출부(133)는 기설정된 제1 운행요금을 운행요금으로 산출하여 결정할 수 있다(S430). 이때 제1 운행요금은 차량의 기본요금일 수 있다. 기본요금은 제1 거리가 도과하기 전이면, 이동거리에 무관하게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확정요금이다. 예를 들어, 운행요금 산출부(133)는 운행 거리가 제1 거리(예로 2km) 이내인 경우, 제1 운행요금(예로 3000원)을 운행 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차량의 이동거리가 제1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S420-N), 운행요금 산출부(133)는 이동거리가 제2 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40). 이때, 제2 거리는 기본 요금율이 적용되는 미할증 구간에 대응되는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거리는 22km일 수 있고, 제2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할증 요금율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실시예 별로 다양할 수 있다.
차량의 이동거리가 제1 거리 초과 및 제2 거리 이하인 경우(S440-Y), 요금율 설정부(132)는 차량의 요금율을 제1 요금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요금율은 제1 거리를 초과하고 제2 거리 이하로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에 이동거리당 기설정된 금액을 적용하는 일반 요금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요금율은 50원/100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운행요금 산출부(133)는 제1 요금율을 기초로 제2 운행요금을 산출할 수 있고, 이를 차량의 운행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S450). 구체적으로 운행요금 산출부(133)는 제1 운행요금, 제1 요금율 및 이동거리를 기초로 제2 운행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운행요금 산출부(133)는 차량의 이동거리가 제1 거리 초과 및 제2 거리 이하인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2 운행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운행 요금 = 제1 운행요금 + (이동거리 - 제1 거리) * 제1 요금율
예를 들어, 제1 거리가 2km, 제2 거리가 22km, 기본 요금이 3,000원, 제1 요금율이 50원/100m이고, 차량의 이동거리가 20km인 경우를 가정하면, 운행요금 산출부(133)는 제2 운행요금을 3.000 + 9.000 = 12,000원으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이동거리가 제2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S440-N), 요금율 설정부(132)는 차량의 요금율을 제2 요금율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요금율은 제2 거리를 초과하여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에 이동거리당 기설정된 금액을 적용하는 할증 요금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요금율은 65원/100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운행요금 산출부(133)는 제2 요금율을 기초로 제3 운행요금을 산출할 수 있고, 이를 차량의 운행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S460). 구체적으로 운행요금 산출부(133)는 제2 운행요금, 제2 요금율 및 이동거리를 기초로 제3 운행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운행요금 산출부(133)는 차량의 이동거리가 제2 거리 초과인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3 운행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제3 운행 요금 = 제2 운행요금 + (이동거리 - 제2 거리) * 제2 요금율
예를 들어, 제2 운행요금이 12,000원, 제2 거리가 22km, 제2 요금율이 65원/100m이고, 차량의 이동거리가 30km인 경우를 가정하면, 운행요금 산출부(133)는 제3 운행요금을 12,000 + 5,200 = 17,200원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요금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거리별 요금율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요금 한도를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차량이 출발지(510)에서 출발해서 제1 거리(511)가 도과하기 전까지, 즉 기본 요금 구간(A)에서는 제1 운행요금 또는 기본 요금을 운행요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차량이 제1 거리(511)와 제2 거리(512) 사이를 이동할 때, 서버(200)는 제1 요금율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제2 거리(512)와 제1 거리(511)의 사이에 해당하는 거리(513)에 대응하는 일반 요금율 구간(B)에서 제1 요금율 또는 일반 요금율을 적용할 수 있다.
차량의 이동거리가 제2 거리(512)를 초과하는 경우, 서버(200)는 할증 요금율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제2 거리(512)를 초과한 후, 기설정된 단위거리(514)를 도과하기 전까지 해당하는 구간, 즉 제1 할증 요금율 구간(C1)에서 제2 요금율 또는 제1 할증 요금율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할증 요금율은 일반 요금율에 기설정된 가중치 또는 할증률을 부가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할증률을 가중치라고 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가중치가 1.3이고, 일반 요금율 또는 제1 요금율이 50원/100m이면, 제1 할증 요금율은 일반 요금율에 가중치를 부여한 65원/100m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기설정된 단위거리(514)를 도과할 때마다, 단위거리를 추가로 이동한 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거리는 10km이고, 차량이 25km를 이동한 경우, 단위거리 이동 횟수는 2일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이동한 횟수에 대응하여 해당 시점에 적용하고 있는 요금율에 추가적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이 제1 할증 요금율 구간(C1)을 지나 제2 할증 요금율 구간(C2)으로 진입하게 되면, 서버(200)는 기설정된 단위거리(514)를 1회 도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제1 할증 요금율에 1회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중치가 1.3이고, 제1 할증 요금율 구간(C1)에 적용하고 있는 제1 할증 요금율이 65원/100m이면, 제2 할증 요금율은 84.5원/100m일 수 있다. 즉, 서버(200)는 차량이 제2 할증 요금율 구간(C2)에서 이동 중인 경우, 제2 할증 요금율(84.5원/100m)을 적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200)는 차량이 제2 할증 요금율 구간(C2)을 지나 제3 할증 요금율 구간(C3)으로 진입하게 되면, 기설정된 단위거리(514)를 2회 도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제1 할증 요금율에 2회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중치가 1.3이고, 제1 할증 요금율 구간(C1)에 적용하고 있는 제1 할증 요금율이 65원/100m이면, 제3 할증 요금율은 109.85원/100m일 수 있다. 즉, 서버(200)는 차량이 제3 할증 요금율 구간(C4)에서 이동 중인 경우, 제3 할증 요금율(109.85원/100m)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최대 요금율 한도를 미리 결정하고, 할증 요금율이 최대 요금율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할증 요금율에 더 이상 가중치를 부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기본 요금 구간(A)에 대응하는 제1 거리(511)가 2km, 일반 요금율 구간(B)에 대응하는 제2 거리(512)가 20km이고, 가중치 및 할증률은 1.3배, 기설정된 단위거리 또는 추가할증 단위거리가 10km, 최대 요금율 한도가 120원/100m인 경우, 부과 방식은 다음과 같다.
2km: 구간 A, 기본료 과금, 최대 3,000원
2km~22km: 구간 B, 일반 요금율 (50원/100m), 최대 13,000원
22km~32km: 구간 C1, 제1 할증 요금율 (65원/100m), 최대 19,500원
32km~42km: 구간 C2, 제2 할증 요금율 (84.5원/100m), 최대 27,950원
42km~52km: 구간 C3, 제3 할증 요금율 (109.85원/100m), 최대 38,935원
52km~: 구간 D, 제3 할증 요금율 (109.85원/100m), 최대 49,920원
제3 할증 요금율에 가중치를 부여시 최대 요금율 한도를 초과하기 때문에, 서버(200)는 구간 D에서 제3 할증 요금율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부과 방식은 일 예시에 불과하며, 기본 요금 구간(A)에 대응하는 제1 거리(511), 일반 요금율 구간(B)에 대응하는 제2 거리(512), 가중치 및 할증률, 기설정된 단위거리 또는 추가할증 단위거리, 최대 요금율 한도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일반 요금율에 부가되는 할증률 또는 가중치와, 할증 요금율에 추가적으로 부가되는 가중치가 1.3으로 동일한 것을 가정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할증 요금율에 추가적으로 부가되는 가중치가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거리 운행의 지역에 따라서 할증 요금율에 추가적으로 부가되는 가중치는 기설정된 단위구간을 도과하는 횟수가 증가할 때마다 더 높아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장거리 운행의 지역에 따라서 할증 요금율에 추가적으로 부가되는 가중치는 기설정된 단위구간을 도과하는 횟수가 증가할 때마다 더 낮아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장거리 운행의 지역에 따라서 운행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거리당 발생 비용(기사 입금, 연료비 등)이 증가하는 정도가 변경되는 것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적절한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최대 요금 한도를 미리 결정하고, 요금이 최대 요금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이 최대 요금율 한도에 대응되는 거리(515)를 초과하여 구간(D)을 지나는 경우, 서버(200)는 지속적으로 제3 할증 요금율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최대 요금 한도가 설정된 경우, 해당 요금이 부과되기 시작하는 거리(516)부터는 더 이상 요금이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구간 E부터는 최대 요금으로 일정한 요금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대 요금 한도가 50만원인 경우, 요금이 50만원이 부과되기 시작하는 거리(516), 즉 영역 E에서 서버(200)는 50만원으로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거리에 따른 요금 외에도 시간에 따른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본료를 초과하는 이동에 대해서 이동시간만큼 시간 요금이 부과된다. 예를 들어, 시간당 요금이 75원/30s인 경우, 기본 요금 구간(A)을 지난 후 80초가 도과한 경우, 2*75원=150원의 시간 요금이 부과된다.
이때, 서버(200)는 거리요금과 시간요금을 동시병산할 수 있고, 부분 동시 병산할 수도 있다. 이때, 동시 병산은 거리요금과 시간요금을 동시에 병산되는 방식이다. 부분 동시 병산은 조건에 따라 거리요금만 계산하거나 시간요금만 계산할 수 있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차량의 속도를 조건으로 병산 방법을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기설정된 속도 이하로 주행한 구간거리는 도 5 내지 도 6에서 요금을 산출하기 위한 이동거리에서 제외할 수 있다. 대신 서버(200)는 기설정된 속도 이하로 주행한 구간거리를 이동하는데 걸린 시간에 대해서는 시간 요금만을 부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기설정된 속도가 15km/h인 경우, 차량이 15km/h 이하의 속도로 이동한 구간은 이동거리에서 제외할 수 있다. 대신 서버(200)는 15km/h 이하의 속도로 이동한 구간을 이동하는데 걸린 시간에 대한 시간 요금을 부과할 수 있고, 15km/h 를 초과한 속도로 이동한 거리에 대하여는 거리 요금 부과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기설정된 속도를 초과한 속도로 이동한 거리에 대하여는 거리요금과 시간요금을 모두 병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기설정된 속도를 초과한 속도로 이동한 거리에 대하여는 거리요금에 대해서만 병산하고, 기설정된 속도 이하의 속도로 이동한 구간에 대하여는 거리요금과 시간요금을 모두 병산하는 방식의 부분 동시 병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병산 방식을 통해서, 본 발명은 교통 체증 등 다양한 이유로 변화하는 교통 상황에 대하여 효율적인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차량이 호출된 지역의 호출 수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탄력 요금제가 적용할 수 있다. 이때 탄력 요금제는 산출된 요금에 특정 배율 즉, 탄력 요금제 배율을 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도 서버(200)는 최대 요금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탄력 요금제 배율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최대 요금율 한도 및 최대 요금 한도의 경우, 영업 지역을 이탈한 장거리 운행 후 차량이 영업 지역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까지 고려하여 한도가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실시간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시간당 이동가능 거리를 고려하여 최대 요금율 한도 및 최대 요금 한도를 실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사의 시급, 연료비, 감가상각 등 여러 비용을 종합한 결과, 평균적으로 1시간에 8천원씩 비용이 소모된다고 가정한다. 차량이 평균적으로 1시간에 20km를 이동하는 것으로 기대되는 경우(10km 이동 시 30분 소요), 서버(200)는 장거리 운행에 대하여 적어도 10km당 8,000원이 부과되도록 최대 요금율 한도 및 최대 요금 한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메모리
120: 통신부
130: 디스플레이
140: 프로세서
200: 서버
300: 사용자 단말 장치

Claims (11)

  1. 차량 운행 요금 산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운행한 이동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거리를 기초로 운행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거리가 제1 거리 이하인 경우, 기설정된 제1 운행 요금을 상기 운행 요금으로 산출하고,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제1 거리를 초과하고 제2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운행 요금 및 제1 요금율을 상기 이동거리에 적용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된 제2 운행 요금을 상기 운행 요금으로 산출하고,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제2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운행 요금 및 제2 요금율을 상기 이동거리에 적용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된 제3 운행 요금을 상기 운행 요금으로 산출하고,
    상기 이동거리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이동거리가 상기 제2 거리를 초과한 경우, 상기 차량이 기설정된 단위거리를 추가로 이동한 횟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행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이동거리가 상기 제2 거리를 초과한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기설정된 단위거리를 이동한 횟수의 증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요금율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운행 요금 및 제2 요금율에 가중치가 부여된 요금율을 상기 이동거리에 적용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된 요금을 상기 운행 요금으로 산출하는 요금 산출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금율은 상기 제1 요금율에 비하여 기설정된 비율만큼 증가된 것이고,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단위거리를 이동한 횟수에 대응하는 횟수만큼 상기 가중치를 상기 제2 요금율에 곱하는 것인 요금 산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운행 요금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호출된 지역의 호출 수요에 따라 탄력 요금제를 적용하는, 요금 산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금율, 제2 요금율 및 제2 요금율에 가중치가 부여된 요금율은 최대 요금율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된 것이고,
    상기 산출된 운행 요금은 최대 요금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된 요금 산출 방법.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요금 산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차량이 운행한 이동거리를 획득하는 이동거리 획득부; 및
    상기 이동거리를 기초로 운행 요금을 산출하는 운행요금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행요금 산출부는,
    상기 이동거리가 제1 거리 이하인 경우, 기설정된 제1 운행 요금을 상기 운행 요금으로 산출하고,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제1 거리를 초과하고 제2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운행 요금 및 제1 요금율을 상기 이동거리에 적용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된 제2 운행 요금을 상기 운행 요금으로 산출하고,
    상기 이동거리가 상기 제2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운행 요금 및 제2 요금율을 상기 이동거리에 적용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된 제3 운행 요금을 상기 운행 요금으로 산출하고,
    상기 이동거리 획득부는,
    상기 차량의 이동거리가 상기 제2 거리를 초과한 경우, 상기 차량이 기설정된 단위거리를 추가로 이동한 횟수를 획득하고,
    상기 운행요금 산출부는,
    상기 차량의 이동거리가 상기 제2 거리를 초과한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기설정된 단위거리를 이동한 횟수의 증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요금율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제3 운행 요금 및 제2 요금율에 가중치가 부여된 요금율을 상기 이동거리에 적용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된 요금을 상기 운행 요금으로 산출하는 요금 산출 시스템.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금율은 상기 제1 요금율에 비하여 기설정된 비율만큼 증가된 것이고,
    상기 운행요금 산출부가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은 상기 기설정된 단위거리를 이동한 횟수에 대응하는 횟수만큼 상기 가중치를 상기 제2 요금율에 곱하는 것인 요금 산출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운행요금을 산출부는, 상기 차량이 호출된 지역의 호출 수요에 따라 탄력 요금제를 적용하는요금 산출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금율, 제2 요금율 및 제2 요금율에 가중치가 부여된 요금율은 최대 요금율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된 것이고,
    상기 산출된 운행 요금은 최대 요금 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된 요금 산출 시스템.
KR1020190081516A 2019-07-05 2019-07-05 차량 장거리 할증 요금 산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261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516A KR102261194B1 (ko) 2019-07-05 2019-07-05 차량 장거리 할증 요금 산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516A KR102261194B1 (ko) 2019-07-05 2019-07-05 차량 장거리 할증 요금 산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451A KR20210005451A (ko) 2021-01-14
KR102261194B1 true KR102261194B1 (ko) 2021-06-07

Family

ID=7414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516A KR102261194B1 (ko) 2019-07-05 2019-07-05 차량 장거리 할증 요금 산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1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1201A (ja) * 2014-10-15 2016-05-16 有限会社白梅商事 運賃メ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81201A (ja) * 2014-10-15 2016-05-16 有限会社白梅商事 運賃メ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451A (ko)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88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 electronic display of various modes of transportation for viewing and comparing
US10854018B2 (en) Determining an amount for a toll based on location data points provided by a computing device
US10969234B2 (en) Multimodal vehicle routing system and method with vehicle parking
US116205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nning transportation routes
US96896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earning and displaying customized geographical navigational options
CA2826902C (en) Application of a value data to a profile of a vehicle based on a location of the vehicle
WO2019089985A1 (en) Connected user communication and interface system with shuttle tracking application
CN103620345A (zh) 通过信息采集和检索提供路线
KR102628004B1 (ko) 파라미터 간의 계산된 트레이드-오프를 고려하여 내비게이션 경로 생성 및 카풀 옵션 식별
US20220214177A1 (en) Transportation route planning and generation
Jakob et al. Macroscopic modeling of on-street and garage parking: Impact on traffic performance
KR102261194B1 (ko) 차량 장거리 할증 요금 산출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US20200104890A1 (en) Vehicle utilization support system
CN111783037A (zh) 一种车辆里程预估模型优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842632B2 (en) Fleet tracking and behavior modification in geographic areas of interest
US20230316821A1 (en) Fleet tracking and behavior modification in geographic areas of interest
US20240133700A1 (en) Multimodal Vehicle Routing System and Method with Vehicle Pa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