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668B1 - Latch bolt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mortise - Google Patents

Latch bolt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mort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668B1
KR102260668B1 KR1020190164851A KR20190164851A KR102260668B1 KR 102260668 B1 KR102260668 B1 KR 102260668B1 KR 1020190164851 A KR1020190164851 A KR 1020190164851A KR 20190164851 A KR20190164851 A KR 20190164851A KR 102260668 B1 KR102260668 B1 KR 102260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lever
latch bolt
bol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8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9959A (en
Inventor
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8433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11596A/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8433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99948A/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시스
Priority to CN202010076802.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577016B/en
Priority to TW110116541A priority patent/TWI764710B/en
Priority to TW109108571A priority patent/TWI743708B/en
Publication of KR20200099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959A/en
Priority to KR1020210023264A priority patent/KR1023131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6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7Securing, deadlocking or "dogg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05B2047/001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more than one motor for the same function, e.g. for redundancy or increased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래치볼트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해정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하지 않아도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정시켜 도어를 간편하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ch bolt automatic release type door lock mortise, and more specifically, by forming the latch bolt to be automatically released by the motor,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are automatically released by the motor without the user operating the handle. It relates to a latch bolt automatic release type door lock mortis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open the door easily.

Description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Latch bolt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mortise}Latch bolt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mortise

본 발명은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래치볼트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해정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하지 않아도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정시켜 도어를 간편하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ch bolt automatic release type door lock mortise, and more specifically, by forming the latch bolt to be automatically released by the motor,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are automatically released by the motor without the user operating the handle. It relates to a latch bolt automatic release type door lock mortis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open the door easily.

일반적으로 도어락 모티스는 레버 등의 회전수단에 의하여 도어의 측면으로 돌출 및 인입되는 래치볼트를 포함한다. 래치볼트는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즉, 닫힘의 기능만 수행)이며, 잠금 수단은 아니다. 따라서 노브(knob) 또는 그립(grip)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는 데드볼트를 설치하여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에 의한 잠금 구조를 갖는 도어락 모티스(Mortise)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door lock motive includes a latch bolt protruding and retracted to the side of the door by a rotation means such as a lever. The latch bolt is a means for preventing the door from automatically opening (that is, performing only the function of closing), and is not a locking means. Therefore, a door lock Mortise having a locking structure by a latch bolt and a dead bolt by installing a dead bolt that is locked and released by a knob or a grip has also been developed and used.

또한, 도어의 외부에서는 키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반도체 칩이 내장된 안전키를 이용하고, 도어의 내부에서는 버튼을 누르면 모터의 동력으로 데드볼트를 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 모티스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 모티스는 사용자가 도어 잠금을 잊더라도, 도어가 닫힌 후 모터의 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데드볼트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다. 물론 디지털 도어락 모티스도 열쇠를 삽입하여 데드볼트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digital door lock mortise that can release a dead bolt with the power of a motor by pressing a key input button or using a safety key with a built-in semiconductor chip on the outside of the door and pressing a button on the inside of the door has also been developed and used. Even if the user forgets to lock the door, this digital door lock mortise is convenient as it enables the dead bolt to automatically move to the locked position through the power of the motor after the door is closed. Of course, the digital door lock mortise can also be inserted into a key to unlock the deadbolt.

이와 같은 디지털 도어락 모티스는 사용자가 열쇠를 소지하지 않았더라도, 키 입력을 통해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또한 도어가 닫히면 자동으로 잠기어 안전하고 편리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그 수요는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Such digital door lock mortis can be unlocked by inputting a key even if the user does not have a key, and the demand for digital door lock is rapidly increasing as the perception that it is safe and convenient is spreading as the door locks automatically when the door is closed.

종래의 도어락 모티스들은 도어를 개방할 때 모터의 작동에 의해 데드볼트를 해정 한 후(집안 내부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모터를 작동시키고, 외부에서는 키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안전키를 이용하여 모터를 작동시킴) 별도로 손잡이를 조작하여 래치볼트를 해정하고 도어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작동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door lock mortis, after releasing the dead bolt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when the door is opened (when the door is opened from inside the house, the motor is operated by pressing the button, and from the outside, by pressing the key input button or safety The motor was operated using a key), but it was operated in a way to release the latch bolt and open the door by separately manipulating the handle.

한편, 도어락 모티스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11560호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door lock mortis, there i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11560 No.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래치볼트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해정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하지 않아도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정시켜 도어를 간편하게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by forming the latch bolt to be automatically released by the motor,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are automatically released by the motor even if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hand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tch bolt automatic release type door lock mortis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open the door.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는 바디프론트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래치볼트;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회전제한부와 외력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제한부를 회전시키는 가압부가 형성된 래치레버;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가압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종동기어; 및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기어에 전달하기 위한 제2구동기어가 형성된 제2기어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구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가 회전을 하여 상기 가압돌출부 상기 래치레버 상기 가압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회전제한부가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허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tch bolt automatic release type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to maintain a closed state that prevents the door from being opened by itself by being drawn out or retracted from the body front, the latch bolt having a protrusion; A latch lever formed with a rotation limiting part that presses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or separates from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to limit or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and a pressing part for rotating the rotation limiting part b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by an external force. ; a driven gear integrally form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for moving the pressing portion of the latch lever forward and backward; and a second motor and a second gearbox in which a second driving gear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motor to the driven gear is formed, wherein the second driving gear and the second driving gear are driven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motor. The driven gear rotates and moves the pressing protrusion of the latch lever forward, so that the rotation limiting part of the latch lever is separated from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to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이때, 상기 가압부에는 스프링이 형성되며, 상기 제2모터가 역회전하여 상기 종동기어의 상기 가압돌출부가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가압부와 이격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회전제한부가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spring is formed in the pressing part, and when the pressing protrusion of the driven gear is spaced apart from the pressing part of the latch lever as the second motor rotates in reverse, the pressing part moves back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he rotation limiting part of the latch lever presses the protrusion part of the latch bolt to limit rotation of the latch bolt.

또한, 상기 종동기어의 일측에는 캠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캠의 양단에는 상기 캠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am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en gear, and a limiting portion for limiting a rotation radius of the cam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am.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는 바디프론트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래치볼트; 상기 바디프론트에서 인출 및 인입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 푸쉬풀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1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래치레버; 상기 제3핸들블록과 맞닿아 회전하여 상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와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키는 패닉레버; 및 중앙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형성된 돌출부 및 걸림턱이 각각 서로 반대로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된 견인바;를 포함하며, 상기 푸쉬풀 손잡이가 작동되면 상기 제3핸들블록이 회전하면서 상기 패닉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패닉레버가 상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바디프론트에 인입시킨 후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latch bolt automatic release type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atch bolt provided to maintain a closed state that prevents the door from being opened by itself by being drawn out or retracted from the body front; a dead bolt which is drawn out and retracted from the body front and provide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and integrally formed with a slider that moves linearly forward and backward by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a first handle block integrally formed to ro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at the same time by the operation of the push-pull handle; and a third handle block; a latch lever restricting or allowing rotation of the latch bolt; a panic lever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third handle block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and the latch lever; and a draw bar in which the protrusions and the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about the hinge shaft formed in the center move up and down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and when the push-pull handle is operated, the third handle block rotates while rotating the panic lever and the panic lever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to insert the dead bolt into the body front, and then rotates the latch lever to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이때, 상기 제3핸들블록의 일측에 록킹수단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록킹수단이 상기 견인바의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패닉레버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 허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 locking means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handle block, and the locking means is caught on the locking sill of the draw bar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panic lever to maintain the rotation allowable state of the latch bolt. characterized.

또한, 상기 도어락 모티스는, 열쇠의 회전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패닉레버를 회전시키는 제2핸들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oor lock motiv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andle block which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rotation of the key to rotate the panic lever.

또한, 상기 도어락 모티스는, 상기 바디프론트에서 인입 및 인출됨으로써 도어의 닫힘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견인바의 돌출부를 수평 방향으로 밀어 하강시키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서브래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견인바의 돌출부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견인바의 걸림턱을 상승시켜 상기 걸림턱과 상기 록킹수단의 걸림이 풀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oor lock mortise, by being drawn in and drawn out from the body front, detects the closed and open state of the door, and a sub-latch form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for pushing down the protrusion of the draw bar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rotrusion lowers the protrusion of the pull bar to raise the locking jaw of the draw bar so that the locking between the locking jaw and the locking means is released.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는 바디프론트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래치볼트; 상기 바디프론트에서 인출 및 인입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래치레버; 상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와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키는 패닉레버; 상기 패닉레버를 회전시키는 제1핸들블록;, 제2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 중앙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형성된 돌출부 및 걸림턱이 각각 서로 반대로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된 견인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핸들블록 또는 상기 제3핸들블록이 회전하면서 상기 패닉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패닉레버가 상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바디프론트에 인입시킨 후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latch bolt automatic release type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to maintain a closed state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by itself by being drawn out or retracted from the body front, the latch bolt having a protrusion; a dead bolt which is drawn out and retracted from the body front and provide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and integrally formed with a slider that moves linearly forward and backward by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a latch lever which rotates about a rotational axis to press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or separate from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to limit or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a panic lever for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and the latch lever; a first handle block for rotating the panic lever; a second handle block; and a third handle block; It includes; a draw bar formed so that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about the hinge shaft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locking jaw move up and down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and rotates the panic lever while the second handle block or the third handle block rotates, The panic lever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to insert the dead bolt into the body front, and then rotates the latch lever to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이때, 상기 래치레버는,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회전제한부; 및 외력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제한부가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latch lever may include: a rotation limiting part that presses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or separates from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to limit or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and a pressing part which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rotation limiting part separates from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or presses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볼트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해정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하지 않아도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정시켜 도어를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atch bolt is automatically released by the motor, the door can be easily opened by automatically releasing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by the motor even if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handle.

또한, 사용자가 내부에서 푸쉬풀 손잡이를 조작하거나 외부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돌리면 제3핸들블록 및 제2핸들블록이 패닉레버를 회전시키고, 패닉레버가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데드볼트견인레버와 래치레버를 회전시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정시키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 또는 열쇠를 통해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바로 해정시킬 수 있어 도어를 빠르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push-pull handle from the inside or inserts and turns the key from the outside, the third handle block and the second handle block rotate the panic lever, and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and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as the panic lever rotates By rotating the latch lever to release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the user can immediately release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through the handle or key,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quickl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외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래치레버가 회전하여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 및 허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제1핸들블록, 제2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모터에 의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 해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푸쉬풀 손잡이의 조작을 통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 해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열쇠를 이용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 해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 mort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lever rotates in the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limit and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5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first handle block, the second handle block and the third handle block in the door lock mort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0 are views showing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by the motor in the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5 are views showing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ush-pull handle in the door lock mort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to 20 are views showing unlocking operations of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using the key in the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door lock mort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mponents irrelevant to the gist of the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omitted configuration is not necessarily a configuration that is not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used in combina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외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래치레버가 회전하여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 및 허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제1핸들블록, 제2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모터에 의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 해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푸쉬풀 손잡이의 조작을 통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 해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서 열쇠를 이용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 해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 mort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door lock mort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oor lock mort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lever rotates in the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limit and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and FIG. 5 is a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first handle block, the second handle block and the third handle block in, Figs. 6 to 10 are the lock release of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by the motor in the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and Figs. 11 to 15 are views showing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he push-pull handle in the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It is a view showing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using the key in the door lock mort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케이스(10), 바디프론트(20), 래치볼트(100), 제1 및 제2기어박스(220, 140), 데드볼트(200), 서브래치(300), 제1 내지 제3핸들블록(910, 920, 930) 및 PCB(330)를 포함한다.1 to 20, the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10, a body front 20, a latch bolt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gearboxes 220 and 140. , a dead bolt 200 , a sub-latch 300 , first to third handle blocks 910 , 920 , 930 , and a PCB 330 .

케이스(10)는 도어락 모티스의 각 구성들을 보호하며, 도어에 장착된다. 또한, 케이스(10)의 실외측으로는 실외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열쇠를 삽입할 수 있는 열쇠구멍, 래치볼트(100) 및 데드볼트(200)를 해제시키기 위한 키입력부 또는 카드접촉부가 장착될 수도 있다.The case 10 protects each component of the door lock mortis, and is mounted on the door. In addition, on the outdoor side of the case 10, a key hole in which a user can insert a key to open the door, a key input part or a card contact part for releasing the latch bolt 100 and the dead bolt 200 are mounted. could be

또한, 케이스(10)의 실내측으로는 실내에서 사용자가 래치볼트(100) 및 데드볼트(200)를 해제시키기 위한 푸시풀 손잡이(미도시)가 마련되며, 이러한 푸시풀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기는 힘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변환회전축(미도시)이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어 푸시풀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기면 변환회전축(미도시)에서 미는 힘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킴으로써 후술할 제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변환회전축(미도시)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on the indoor side of the case 10, a push-pull handle (not shown) for a user to release the latch bolt 100 and the dead bolt 200 in the room is provided, and push the push-pull handle (not shown) or a conversion rotation shaft (not shown) that converts a pulling force into a rotational force is formed inside the case 10 to push or pull a push-pull handle (not show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converting the pushing force from the converting rotation shaft (not shown) into a rotational force. The first handle block 910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are rotated. Since such a conversion rotation shaft (not shown) is a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바디프론트(20)는 케이스(10)의 측면, 즉 스트라이커(미도시)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래치볼트(100), 데드볼트(200) 및 서브래치(300)가 드나들 수 있는 인입공이 형성되어 있다.The body front 20 is formed to face the side of the case 10, that is, the striker (not shown), and an inlet through which the latch bolt 100 , the dead bolt 200 and the sub latch 300 can enter and exit is formed. has been

래치볼트(100)는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될 때 도어틀에 닿는 것과 동시에 래치볼트(100)가 직선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다.The latch bolt 100 is provided to maintain a closed state that prevents the door from being opened by itself, and when the door is closed in an open state, it touches the door frame and at the same time protrudes so that the latch bolt 100 can enter in a straight line. has been

이러한 래치볼트(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형성된 스프링(13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양측면 일측에 바디프론트(20)의 내측면과 맞닿아 래치볼트(100)가 바디프론트(20)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10)과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와 맞닿아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돌출부(120)가 형성된다.The latch bolt 10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130 formed on the rear surface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front 20 on one side of both sides so that the latch bolt 100 is A protrusion 120 for limiting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by contacting with the locking jaw 110 for preventing the body front 2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nd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of the latch lever 700 is provided. is formed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형성된 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730)가 밀리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프레임(150)의 홈(151)을 통해 인입되어 회전제한부(720)의 하단면이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의 상단면과 맞닿게 되면 래치볼트(100)의 회전이 제한되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가 스프링(740)을 가압하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래치볼트(100)의 회전이 허용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의 상단면과 하단면 사이에 보강재를 형성하여 회전제한부(720)가 반복 사용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구체적으로, 회전제한부(720)의 상단면과 하단면 사이가 빈 공간으로 형성될 경우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에 의해 지속적으로 힘을 받아 변형이 생겨 휘거나 심할 경우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회전제한부(720)의 상단면과 하단면 사이에 보강재를 형성함으로써 회전제한부(720)의 강성을 향상시켜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에 의해 지속적으로 힘을 받아도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a ), as the pressing part 730 is push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40 formed on the pressing part 730 of the latch lever 700 , the latch lever 700 rotates the rotation shaft 701 .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of the latch lever 700 is drawn in through the groove 151 of the frame 150 by rotating clockwise in the drawing with respect to the center,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is the latch bolt 100. When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20 of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is limited, as shown in Fig. 4 (b), the pressing portion 730 of the latch lever 700 by an external force is a spring ( While pressing 740 , the latch lever 700 rotat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rotation shaft 701 in the drawing so that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of the latch lever 700 is moved from the protrusion 120 of the latch bolt 100 . When it is separated,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is allowed.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inforcing material i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of the latch lever 700 to prevent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by repeated use. Specifically, whe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is formed as an empty space,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is continuously subjected to a force by the protrusion 120 of the latch bolt 100 to cause deformation. If it is bent or severe, it may be damag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reinforcing materi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the rigidity of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is improved, and the latch bolt 100 is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even when a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by the protrusion 120 .

또한,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는 후술할 제2모터(141) 및 제2구동기어(142)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기어(143)에 일체로 형성된 가압돌출부(146)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을 하며, 이에 따라 가압돌출부(146)의 회전에 의해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래치레버(700)가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하여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sing part 730 of the latch lever 7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riven gear 143 that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second motor 141 and the second driving gear 142 to be described later. 146), and accordingly, the pressing part 730 of the latch lever 700 is moved forward by the rotation of the pressing protrusion 146, and the latch lever 700 is rotated around the rotation shaft 701. By rotating,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of the latch lever 700 is separated from the protrusion 120 of the latch bolt 100 to enabl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데드볼트(200)는 바디프론트(20)의 인입공을 통해 인출 및 인입됨으로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구성으로, 데드볼트(200)의 후면에는 외력 또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를 통해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하여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서 인입 및 인출시키는 슬라이더(201)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dead bolt 200 is configured to lock or unlock the door by being drawn out and drawn in through the inlet hole of the body front 20, and the rear of the dead bolt 200 is towed by the first dead bolt rotating by external force or power. A slider 201 that linearly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lever 210 and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to draw in and withdraw the dead bolt 200 from the body front 20 is integrally formed.

상기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는 끝단이 슬라이더(201)에 형성된 장공(202)에 인입되며,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는 후술할 패닉레버(400)와 맞닿도록 형성된다.The end of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is drawn into the long hole 202 formed in the slider 201 , and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is formed to contact the panic lever 400 to be described later.

이에 따라 후술할 제1모터(22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0, 211)가 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을 따라 상단 또는 하단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더(201)를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잡아당겨 데드볼트(200)를 인출 또는 인입시킨다. 또한, 후술할 패닉레버(400)가 사용자의 푸쉬풀 손잡이(미도시)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제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 또는 열쇠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제2핸들블록(920)과 맞닿아 회전하면 패닉레버(400)와 맞닿아 있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회전하면서 동시에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을 따라 하단으로 이동하여 데드볼트(200)를 인입시킨다. 데드볼트(200)의 인입 및 인출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210 and 211 ar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motor 221 to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 While the end of the slider 201 moves to the top or bottom along the long hole 202 of the slider 201, the slider 201 is pushed forward or pulled back to withdraw or retract the dead bolt 200. In addition, the first handle block 910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in which the panic lever 400 to be described later rotates by a user's manipulation of a push-pull handle (not shown) or a second handle block rotates by a key manipulation When it rotates in contact with the panic lever 400,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in contact with the panic lever 400 rotates while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rotates at the same time to rotate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 moves to the bottom along the long hole 202 of the slider 201 to introduce the dead bolt 200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tracting and withdrawing operations of the dead bol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일측에는 토션스프링(230)이 결합되며, 상기 토션스프링(230)은 통상적인 스프링과 같이 압축 시 탄성력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회전하는 초기에는 토션스프링(23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토션스프링(230)을 압축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탄성력에 의해 서서히 회전함에 따라 데드볼트(200)가 서서히 인입되다가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토션스프링(23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즉, 토션스프링(230)이 인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토션스프링(230)이 즉시 인장되면서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도 그에 맞춰 급격하게 회전하면서 데드볼트(200)가 즉시 인입되게 된다. 즉, 데드볼트(200)가 사용자의 푸쉬풀 손잡이(미도시) 조작 또는 열쇠의 조작에 의해 인입될 때에는 초기에는 서서히 인입되다 일정거리 만큼 인입된 이후에는 즉시 데드볼트(200)의 전체면적이 바디프론트(20)의 인입공을 통해 인입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torsion spring 2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and the torsion spring 230 acts as an elastic force when compressed like a conventional spring, and accordingly,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At the initial stage of rotation of 211, the second deadbolt traction lever 211 rotates slowly by the elastic force because it rotates while compressing the torsion spring 23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30 acts. Accordingly, when the dead bolt 200 is slowly retracted and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230 acts, that 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rsion spring 230 is tensioned. Since the torsion spring 230 is immediately tensioned because it rotates,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also rotates rapidly in accordance with it, and the dead bolt 200 is immediately drawn in. That is, when the dead bolt 200 is retrac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a push-pull handle (not shown) or a key, it is slowly retracted at the beginning and immediately after being retracted by a certain distance, the total area of the dead bolt 200 is the body It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of the front (20).

서브래치(300)는 바디프론트(20)에서 인입 및 인출됨으로써 도어의 닫힘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어틀에는 서브래치(300)가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가 닫히면 서브래치(300)는 바디프론트(20)에 인입된 상태가 되며, 도어가 열리면 후면에 형성된 스프링(301)의 탄성력에 의해 바디프론트(20)에서 인출된다. 또한, 서브래치(300)의 측면 일측에는 후술할 견인바(600)의 돌출부(602)를 가압하여 누름으로써 견인바(600)의 걸림턱(601)을 들어올리는 가압돌기(302)가 형성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sub-latch 30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closed and open state of the door by being drawn in and out of the body front 20, and since a space into which the sub-latch 300 can be introduced is not formed in the door frame, the door is closed. When closed, the sub-latch 300 is retracted into the body front 20 ,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sub-latch 300 is drawn out from the body front 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01 formed on the rear surface. In addition, a pressing protrusion 30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sub-latch 300 by pressing the protrusion 602 of the pull bar 600 to be described later to lift the engaging protrusion 601 of the pull bar 600 .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데드볼트(200)와 서브래치(300) 사이에는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제1구동기어(222) 및 제2구동기어(142)를 구동시킴으로써 데드볼트(200) 및 래치볼트(100)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Between the dead bolt 200 and the sub-latch 300, by checking the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door and automatically driving the first driving gear 222 and the second driving gear 142, the dead bolt 200 and the latch bolt A device for controlling 100 is provided.

즉, PCB(800)에 열림 및 닫힘 감지센서(810, 820)와 서브래치 감지센서(830)가 구비되고 슬라이더(201) 및 서브래치(300)에는 각각 감지부(203, 303)가 형성되어 슬라이더(201)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데드볼트(200)가 인출되면 감지부(203)가 닫힘 감지센서(820) 상에 위치하게 되고 이를 닫힘 감지센서(820)에서 감지하여 데드볼트(200)가 인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슬라이더(201)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데드볼트(200)가 인입되면 감지부(203)가 열림 감지센서(810) 상에 위치하게 되고 이를 열림 감지센서(810)에서 감지하여 데드볼트(200)가 인입된 것으로 판단한다.That is, the PCB 800 is provided with open and closed detection sensors 810 and 820 and a sub-latch detection sensor 830, and the slider 201 and the sub-latch 300 are provided with detection units 203 and 303, respectively. When the slider 201 moves forward and the dead bolt 200 is withdrawn, the detection unit 203 is positioned on the closure sensor 820, and the closure sensor 820 detects this and the dead bolt 200 is remov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lider 201 is moved backward and the dead bolt 200 is retracted, the detection unit 203 is located on the open sensor 810 and is detected by the open sensor 810. It is determined that the dead bolt 200 is inserted.

또한, 서브래치(300)가 인입되어 감지부(303)가 서브래치 감지센서(83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면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도어가 닫힌 것으로 판단하고, 서브래치(300)가 인출되어 감지부(303)가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와 맞닿게 되면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도어가 열린 것으로 판단한다.In addition, when the sub-latch 300 is retracted and the sensing unit 303 is spaced apart from the sub-latch detecting sensor 830, the sub-latch detecting sensor 830 determines that the door is closed, and the sub-latch 300 is withdrawn. When the detection unit 30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b-latch detection sensor 830 , the sub-latch detection sensor 830 determines that the door is open.

제1 및 제2기어박스(220, 140)에는 각각 제1 및 제2모터(221, 141)와 제1 및 제2구동기어(222, 142)가 구비되며, 제1 및 제2모터(221, 14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 및 제2구동기어(222, 142)에는 각각 데드볼트 견인기어(213) 및 가압돌출부(146)가 일체로 형성된 종동기어(143)가 맞물려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제1구동기어(222) 및 데드볼트 견인기어(213)가 회전을 하게 되면 데드볼트 견인기어(213)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0, 211)가 함께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에서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1) 및 슬라이더(201)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서 인입 및 인출시키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gearboxes 220 and 140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motors 221 and 141 and first and second driving gears 222 and 142,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motors 221 , respectively. , The driven gear 143 in which the dead bolt traction gear 213 and the pressing protrusion 146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drive gears 222 and 142 that rotate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141 are engaged and rotate together will do Accordingly, when the first driving gear 222 and the dead bolt traction gear 213 rotate by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221 ,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ad bolt traction gear 213 . The traction levers 210 and 211 rotate together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moves up and down in the long hole 202 of the slider 201, so that the slider 201 and the slider 201 are integrally formed. The dead bolt 200 is drawn in and out from the body front 20 .

또한, 제2모터(141)의 구동에 의해 제2구동기어(142) 및 종동기어(143)가 회전을 하게 되면 종동기어(143)와 일체로 형성된 가압돌출부(146)가 함께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도록 하여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한다. 이때, 종동기어(143)에는 캠(144)이 일체로 형성되고, 캠(144)의 양단에는 제한부(145)가 서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각각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한부(145)가 캠(144)의 회전 반경을 제한함으로써 종동기어(143) 및 가압돌출부(146)의 회전 반경을 제한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driving gear 142 and the driven gear 143 are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motor 141, the pressing protrusion 146 formed integrally with the driven gear 143 rotates together and the latch lever By moving the pressing part 730 of the 700 forward and backward, the latch lever 700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701 so that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of the latch lever 700 is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100 ( 120) to limit or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pressure. At this time, the cam 14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riven gear 143, and the limiting parts 145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am 144 in a state that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ccordingly, the limiting parts 145 are formed. By limiting the rotation radius of the false cam 144, the rotation radius of the driven gear 143 and the pressing protrusion 146 is limited.

제1 내지 제3핸들블록(910, 920, 9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핸들블록(910)과 제3핸들블록(930)이 결합핀(940)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하고 제1핸들블록(910)과 제3핸들블록(930)의 결합 사이로 제2핸들블록(920)이 끼어있는 형태이며, 제2핸들블록(920)에는 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할 때 제2핸들블록(920)과 저촉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홈(922)이 형성되고, 제3핸들블록(930)에는 록킹수단(93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핸들블록(910, 920, 930)은 실외측과 가까운 위치부터, 즉 도면 상 상측부터 하측방향으로 제1핸들블록(910, 도면상 상측에 위치), 제2핸들블록(920, 제1핸들블록(910)과 제3핸들블록(930) 사이에 위치), 제3핸들블록(930, 도면상 하측에 위치)의 순서로 동심원상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핸들블록(920)에는 사용자가 열쇠를 사용할 경우 열쇠와 연결되는 실외변환회전축이 결합되는 다각형 모양의 제2결합홀(921)이 형성되어 있고, 제3핸들블록(930)에는 실내변환회전축이 결합되는 다각형 모양의 제3결합홀(9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핸들블록(910)에는 제3결합홀(931)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고 아무것도 연결 되지 않는 제1결합홀(911)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first to third handle blocks 910 , 920 and 930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first handle block 910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through a coupling pin 940 . It rotates at the same time and the second handle block 920 is sandwiched between the coupling of the first handle block 910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and the second handle block 920 includes the first handle block 910 and the second handle block 920. 3 When the handle block 930 rotates, a guide groove 922 is formed so that it can rotate independently without colliding with the second handle block 920, and a locking means 932 is provided in the third handle block 930. this is formed The first to third handle blocks 910, 920, and 930 are formed from a position close to the outdoor side, that i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the drawing, the first handle block 910 (located at the upper side in the drawing), the second handle block ( 920 (located between the first handle block 910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the third handle block 930 (located on the lower side in the drawing) is concentrically coupled in the order, and the second handle block ( When a user uses a key, a second coupling hole 921 of a polygonal shape to which the outdoor conversion rotation shaft connected to the key is coupled is formed,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has a polygonal shape to which the indoor conversion rotation shaft is coupled. of the third coupling hole 931 is formed, the first handle block 910 has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third coupling hole 931 and a first coupling hole 911 to which nothing is connected is formed .

상기 실내변환회전축은 푸시풀방식의 동작을 위해 도어락 모티스의 푸쉬풀 손잡이를 누르는 힘이나 당기는 힘을 제3핸들블록(930)의 회전력으로 변환시켜 제3핸들블록(930)과 일체로 결합된 제1핸들블록(910)과 함께 회전시키는 부품이며, 상기 실외변환회전축은 열쇠와 연결되어 열쇠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부품이다.The indoor conversion rotation shaft converts the force of pressing or pulling the push-pull handle of the door lock mortise in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hird handle block 930 for the operation of the push-pull method, and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third handle block 930. 1 It is a part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handle block 910, and the outdoor conversion rotation shaft is connected to the key and rot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key.

실외변환회전축은 제2결합홀(921)에 안착 결합되고, 실내변환회전축은 제3결합홀(931)에 안착 결합되며, 열쇠는 실외변환회전축에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실외변환회전축과, 실외변환회전축이 결합된 제2핸들블록(920)만 회전시키게 되며, 푸쉬풀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기면 실내변환회전축과, 실내변환회전축이 결합된 제3핸들블록(930) 및 제3핸들블록(930)과 일체로 결합된 제1핸들블록(910)을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The outdoor conversion rotation shaft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hole 921, the indoor conversion rotation shaft is seated and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hole 931, and the key is connected to the outdoor conversion rotation shaft. Therefore, when a key is inserted and rotated from the outside, only the second handle block 920 coupled with the outdoor conversion rotation shaft and the outdoor conversion rotation shaft rotates, and when you push or pull the push-pull handle (not shown), the indoor conversion rotation shaft and the indoor The third handle block 930 to which the conversion rotation shaft is coupled and the first handle block 910 integrally coupled to the third handle block 930 are rotated together.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실내에서 푸쉬풀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겨 실내변환회전축을 회전시키면 제2핸들블록(920)은 고정된 상태로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되는데, 이때 제3핸들블록(930)과 제1핸들블록(910)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회전하게 되며, 제3핸들블록(930)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맞닿아 있는 패닉레버(400)을 회전시키고, 제3핸들블록(930)에 의해 회전되는 패닉레버(400)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맞닿아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When the user rotates the indoor conversion rotation shaft by pushing or pulling a push-pull handle (not shown) indoors by this structure, the second handle block 920 is fixed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is rotated, at this time The 3 handle block 930 and the first handle block 910 rotate together because they are connected,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to rotate the abutting panic lever 400 and , the panic lever 400 rotated by the third handle block 9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to rotate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이에 따라,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동시에 회전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동시에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을 따라 하단으로 이동함으로써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 인입시키고, 이후 패닉레버(4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서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 맞닿아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전제한부(720)를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닉레버(400)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는 맞닿아 있고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는 일정거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데드볼트(200)의 인입이 완료된 후에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접촉을 시작하여 래치볼트(100)의 해정이 이루어지며,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에는 각각 탄성스프링(410, 740)이 형성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가 다시 원위치 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integrally formed to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rotate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is the long hole of the slider 201 . The dead bolt 200 is introduced into the body front 20 by moving to the bottom along the 202, and then the panic lever 400 rotates further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lower locking jaw 710 of the latch lever 700 ) and rotate the latch lever 700 around the rotation shaft 701 to separate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from the protrusion 120 of the latch bolt 100 to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the panic lever 40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and is separated from the lower engaging jaw 710 of the latch lever 700 by a certain distance. 200) is completed, the panic lever 400 and the lower engaging jaw 710 of the latch lever 700 start to contact, the latch bolt 100 is released, and the panic lever 400 and the latch lever ( Each of the elastic springs 410 and 740 is formed in 700 , so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panic lever 400 and the latch lever 700 are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 force.

또한,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함에 따라 제3핸들블록(930)에 일체로 형성된 록킹수단(932)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견인바(600)의 걸림턱(601)의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In addition, as the third handle block 930 rotates, the locking means 932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ird handle block 930 also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to show the engaging projection 601 of the draw bar 600 . move from upper right to left.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바(600)는 시소와 같이 중앙의 힌지축(604)을 중심으로 좌우의 돌출부(602) 및 걸림턱(601)이 각각 서로 반대로 상하 이동하고(즉, 돌출부(602)가 상승하면 걸림턱(601)은 하강하고, 돌출부(602)가 하강하면 걸림턱(601)은 상승함), 돌출부(602)의 하단에는 스프링(603)이 형성되어 있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돌출부(602)는 항상 상승한 상태로 유지되고 걸림턱(601)은 하강한 상태로 유지되며, 견인바(600)의 걸림턱(601)은 도면상 우측은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면상 좌측은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턱(601)이 하강한 상태에서도 록킹수단(510)은 걸림턱(601)의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는 이동이 가능하지만 걸림턱(601)의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며, 걸림턱(601)이 상승해야만 이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4, the draw bar 600 moves up and dow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left and right protrusions 602 and the locking jaw 601 about the central hinge axis 604 like a seesaw (that is, When the protrusion 602 rises, the locking jaw 601 descends, and when the protrusion 602 descends, the locking jaw 601 rises), and a spring 603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602 so that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f it is not applied, the protrusion 602 is always maintained in an elevated state and the engaging jaw 601 is maintained in a descended state, and the engaging jaw 601 of the draw bar 600 is formed in a gentle curved shape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and ,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so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jaw 601 is lowered, the locking means 510 is movable from the right to the left in the drawing of the locking jaw 601, but the drawing of the locking jaw 601 It is impossible to move from the upper left to the right, and it is possible to move only when the locking jaw 601 rises.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푸쉬풀 손잡이(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하여 록킹수단(932)이 견인바(600)의 걸림턱(601)의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 상태에서는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패닉레버(400)가 제3핸들블록(930)을 밀더라도 록킹수단(932)이 걸림턱(601)의 좌측에 걸려 넘어가지 못하는 록킹 상태가 되며, 이러한 록킹 상태에서는 걸림턱(601)의 좌측에 걸려있는 록킹수단(932)에 의해 록킹수단(932)과 일체로 형성된 제3핸들블록(930), 패닉레버(400), 패닉레버(400)에 맞닿아 있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 및 래치레버(700)의 회전이 모두 제한되어 데드볼트(200)의 인입상태와 래치볼트(100)의 해정 상태가 지속된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pull handle (not shown) by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handle block 930 is rotated so that the locking means 932 is moved from the right to the left in the drawing of the engaging jaw 601 of the draw bar 600 . In the state of moving to , even if the panic lever 400 pushes the third handle block 93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10 , the locking means 932 is not caught on the left side of the locking jaw 601 and cannot be passed over. In this locking state, the third handle block 930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cking means 932 by the locking means 932 hung on the left side of the locking jaw 601, the panic lever 400, the panic lever ( 400), the rotation of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and the latch lever 700 are all limited, so that the retracted state of the dead bolt 200 and the unlocked state of the latch bolt 100 are maintained.

이후, 서브래치(300)가 인출되면 서브래치(300)의 가압돌기(302)가 견인바(600)의 돌출부(602)를 하단으로 가압하여 하강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반대편의 걸림턱(601)이 상승하여 록킹수단(932)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패닉레버(400)가 회전하면서 제3핸들블록(930)과 맞닿아 제3핸들블록(930)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록킹수단(932)이 걸림턱(601)의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넘어가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sub-latch 300 is withdrawn, the pressing protrusion 302 of the sub-latch 300 presses the protrusion 602 of the draw bar 600 to the bottom to lower it, and accordingly, the opposite engaging jaw 601 is As it rises and the locking means 932 is released, the third handle block 930 becomes rotatable, and the panic lever 400 rotate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10 while the third handle block 930 is rotated. ) and rotates the third handle block 930 , and accordingly the locking means 932 passes from the left to the right in the drawing of the locking jaw 601 .

또한, 패닉레버(400)가 스프링(410)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 됨에 따라 패닉레버(400)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서로 이격되어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데드볼트(200)를 인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서로 이격되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형성된 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레버(7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프레임(150)의 측면 홈(151)을 통해 인입되어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함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한다.In addition, as the panic lever 400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by the spring 410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panic lever 400 and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and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become rotatable, so that the dead bolt 200 can be pulled out by driving the first motor 221 , and the panic lever 400 and the latch lever As the lower engaging jaws 710 of the 7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atch lever 700 becomes rotatable, so tha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40 formed in the pressing part 730 of the latch lever 700, the latch lever 700. is rotated clockwise in the drawing so that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of the latch lever 700 is drawn in through the side groove 151 of the frame 150 to press the protrusion 120 of the latch bolt 100, Limit the rotation of (100).

한편, 사용자가 실외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제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은 고정된 상태로 실외변환회전축이 결합된 제2핸들블록(205)만 열쇠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열쇠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제2핸들블록(920)이 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열쇠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제2핸들블록(92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패닉레버(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serts and rotates the key outdoors, the first handle block 910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are fixed, and only the second handle block 205 to which the outdoor conversion rotation shaft is coupled rotates together with the key. will do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andle block 920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rotates the key. 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 key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for convenience, the second handle block 920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ly to rotate the panic lever 400 .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실외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제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은 고정된 상태로 제2핸들블록(920)만 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맞닿아 있는 패닉레버(400)을 회전시키고, 제2핸들블록(920)에 의해 회전되는 패닉레버(400)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맞닿아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With this structure, when the user inserts and rotates the key outdoors, the first handle block 910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are fixed, and only the second handle block 920 i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Rotates the panic lever 400 in contact while rotating, and the panic lever 400 rotated by the second handle block 9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to bring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Rotate 210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이에 따라,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동시에 회전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동시에 회전하여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을 따라 하단으로 이동함으로써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 인입시키고, 이후 패닉레버(4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서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 맞닿아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전제한부(720)를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닉레버(400)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는 맞닿아 있고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는 일정거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데드볼트(200)의 인입이 완료된 후에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접촉을 시작하여 래치볼트(100)의 해정이 이루어지며,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에는 각각 탄성스프링(410, 740)이 형성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가 다시 원위치 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integrally formed to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rotates at the same time and moves to the bottom along the long hole 202 of the slider 201, so that the dead bolt ( 200) into the body front 20, and then, while the panic lever 400 rotates further clockwise in the drawing,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locking jaw 710 of the latch lever 700 to rotate the latch lever 700 to the rotation shaft ( 701) to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by separating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from the protrusion 120 of the latch bolt 10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the panic lever 40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and is separated from the lower engaging jaw 710 of the latch lever 700 by a certain distance. 200) is completed, the panic lever 400 and the lower engaging jaw 710 of the latch lever 700 start to contact, the latch bolt 100 is released, and the panic lever 400 and the latch lever ( Each of the elastic springs 410 and 740 is formed in 700 , so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panic lever 400 and the latch lever 700 are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 force.

이후, 사용자가 열쇠를 다시 원위치로 회전시키면 제2핸들블록(920)도 동시에 회전하여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면서 패닉레버(400)와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패닉레버(400)도 다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된다.Thereafter, when the user rotates the key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second handle block 920 also rotates at the same tim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panic lever 400, and accordingly, the panic lever 40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10. ) is also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또한, 패닉레버(400)가 스프링(410)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 됨에 따라 패닉레버(400)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서로 이격되어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데드볼트(200)를 인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서로 이격되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형성된 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레버(7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프레임(150)의 측면 홈(151)을 통해 인입되어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함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한다.In addition, as the panic lever 400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by the spring 410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panic lever 400 and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and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become rotatable, so that the dead bolt 200 can be pulled out by driving the first motor 221 , and the panic lever 400 and the latch lever As the lower engaging jaws 710 of the 7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atch lever 700 becomes rotatable, so tha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40 formed in the pressing part 730 of the latch lever 700, the latch lever 700. is rotated clockwise in the drawing so that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of the latch lever 700 is drawn in through the side groove 151 of the frame 150 to press the protrusion 120 of the latch bolt 100, Limit the rotation of (10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이하 동작과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The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further specifi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process below.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실외에서 키입력부, 카드접촉부를 통해 도어를 개방할 때의 도어락 모티스의 동작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door lock mortis when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and the card contact unit outdoor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혀 데드볼트가(200)가 인출됨으로써 잠금 상태에 있고 래치볼트(100)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실외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 키입력부를 통해 번호를 입력하거나 카드접촉부에 카드를 접촉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모터(221)가 구동되어 제1구동기어(222) 및 데드볼트 견인기어(21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데드볼트 견인기어(213)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0, 211)가 함께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에서 하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1)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 인입시킴으로써 데드볼트(200)가 잠금 해제된다.As shown in Fig. 6, the door is closed and the dead bolt 200 is drawn out, so that the number is entered through the key input unit or the card contact unit is in the locked state and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is restricted to open the door from the outside. 7, the first motor 221 is driven to rotate the first driving gear 222 and the dead bolt traction gear 213, and accordingly, the dead bolt traction gear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210 and 211 integrally formed with the 213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has a long hole ( By moving from 202 to the lower end, the dead bolt 200 is unlocked by inserting the slider 201 and the dead bolt 200 integrally formed therewith into the body front 20 .

데드볼트(200)가 인입됨에 따라 데드볼트(200)의 감지부(203)가 열림감지센서(810) 상에 위치하여 열림감지센서(810)에서 데드볼트(200)가 잠금 해제 된 것을 감지하게 되면, 제2모터(141)가 구동되어 제2구동기어(142) 및 종동기어(143)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종동기어(143)와 일체로 형성된 가압돌출부(146)가 함께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하여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허용하게 된다.As the dead bolt 200 is drawn in, the detection unit 203 of the dead bolt 200 is positioned on the open sensor 810 to detect that the dead bolt 200 is unlocked by the open sensor 810. When the second motor 141 is driven, the second driving gear 142 and the driven gear 143 are rotated, and accordingly, the pressing protrusion 146 formed integrally with the driven gear 143 rotates together. By moving the pressing part 730 of the latch lever 700 forward, the latch lever 7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rotation shaft 701 in the drawing so that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of the latch lever 700 is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is allowed by releasing the pressure by leaving the protrusion 120 of the latch bolt 100 .

이후, 사용자가 실외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잡아당기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당기는 힘으로 인해 도어의 스트라이커(미도시)가 래치볼트(100)를 밀어주어 회전이 가능해진 래치볼트(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된다.Thereafter, when the user pulls the door to open the door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 8 , the striker (not shown) of the door pushes the latch bolt 100 due to the user pulling force, thereby enabling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enters the door lock mortise.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어 사용자의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프링(130, 30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래치볼트(100)와 서브래치(300)가 바디프론트(20)에서 인출되고 이에 따라 서브래치(300)의 감지부(303)가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와 맞닿게 되면서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도어가 열린 것을 감지하게 되면 먼저 제2모터(141)가 역회전하여 제2구동기어(142) 및 종동기어(143)를 역회전시킴으로써 가압돌출부(146)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위치 시키고, 이에 따라 가압돌출부(146)에 의해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어 스프링(7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부(73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래치레버(700)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하여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When the door is completely opened and the user's pulling force is removed, the latch bolt 100 and the sub-latch 300 are connected to the body front 2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each of the springs 130 and 301 as shown in FIG. 9 . When the sub-latch detection sensor 830 detects that the door is opened while the detection unit 303 of the sub-latch 3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b-latch detection sensor 830 according to this, the second motor 141 is reversely rotated to reversely rotate the second drive gear 142 and the driven gear 143 to rotate the pressing protrusion 146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to return it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accordingly, the latch lever ( As the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part 730 of 700 is removed and the pressing part 730 moves back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740, the latch lever 700 rotates clockwise in the drawing to limit rotation. The portion 720 presses the protrusion 120 of the latch bolt 100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

이후, 도어가 다시 닫히게 되면 래치볼트(100)는 도어를 개방할 때와 반대로 경사면에 힘이 가해진다. 즉, 도어의 스트라이커와 래치볼트(100)의 경사면이 부딪히면서 래치볼트(100)에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미는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스프링(130)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래치볼트(100)가 회전 없이 직선으로 케이스(10) 내부에 진입하게 된다.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면 스프링(130)의 힘에 의해 다시 도어틀의 홈에 래치볼트(100)가 돌출된다.Thereafter, when the door is closed again, force is applied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atch bolt 100 as opposed to when the door is opened. That is, as the striker of the door collides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atch bolt 100, a force is applied to the latch bolt 100 to the inside of the door lock motive, and accordingly, the spring 130 is pushed backward while the latch bolt 100 rotates. It enters the inside of the case 10 in a straight line without it. When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the latch bolt 100 protrudes back into the groove of the door frame by the force of the spring 130 .

또한, 서브래치(300)가 바디프론트(20)에 인입되고 이에 따라 서브래치(300)의 감지부(303)가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떨어져 이격되면서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도어가 닫힌 것을 감지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모터(221)가 구동되어 제1구동기어(222) 및 데드볼트 견인기어(21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데드볼트 견인기어(213)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0, 211)가 함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에서 상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1)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서 인출시킴으로써 도어가 잠긴 상태가 된다.In addition, as the sub-latch 300 is drawn into the body front 20, and accordingly, the sensing unit 303 of the sub-latch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sub-latch detecting sensor 830, the door in the sub-latch detecting sensor 830 When it detects that is closed, as shown in FIG. 10 , first the first motor 221 is driven to rotate the first driving gear 222 and the dead bolt traction gear 213, and accordingly, the dead bolt traction gear The first and second deadbolt traction levers 210 and 211 integrally formed with the 213 rotate together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 deadbolt traction lever 211 has a long hole 202 of the slider 201. ), the door is locked by withdrawing the slider 201 and the dead bolt 200 integrally formed therefrom from the body front 20 by moving to the top.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푸쉬풀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길 때 도어락 모티스가 동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5 , a process in which the door lock mortis operates when pushing or pulling a push-pull handle (not shown) to open the door in the room will be describ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힘으로써 데드볼트가(200)가 인출되어 잠금 상태에 있고 래치볼트(100)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도어의 푸쉬풀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기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핸들블록(930)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맞닿아 있는 패닉레버(400)을 회전시키고, 제3핸들블록(930)에 의해 회전되는 패닉레버(400)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맞닿아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door is closed, the dead bolt 200 is drawn out and locked, and the push-pull handle of the door (not shown) to open the door from the inside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is restricted. ) is pushed or pulled, as shown in FIG. 12 , the third handle block 930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rotates the abutting panic lever 400, and by the third handle block 930 The rotated panic lever 4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to rotate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이에 따라,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동시에 회전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동시에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을 따라 하단으로 이동함으로써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 인입시키고, 이후 패닉레버(4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서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 맞닿아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제한부(720)를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닉레버(400)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는 맞닿아 있고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는 일정거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데드볼트(200)의 인입이 완료된 후에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접촉을 시작하여 래치볼트(100)의 해정이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integrally formed to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rotate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is the long hole of the slider 201 . The dead bolt 200 is introduced into the body front 20 by moving to the bottom along the 202, and then the panic lever 400 rotates further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lower locking jaw 710 of the latch lever 700 ) and rotate the latch lever 70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about the rotation shaft 701 to separate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from the protrusion part 120 of the latch bolt 100, so that the latch bolt 100 allow rotation of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1, the panic lever 40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and is separated from the lower engaging jaw 710 of the latch lever 700 by a certain distance. After the insertion of the 200) is completed, the panic lever 400 and the lower engaging jaw 710 of the latch lever 700 start to contact, so that the latch bolt 100 is released.

또한,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함에 따라 제3핸들블록(930)에 일체로 형성된 록킹수단(932)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견인바(600)의 걸림턱(601)의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In addition, as the third handle block 930 rotates, the locking means 932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ird handle block 930 also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to show the engaging projection 601 of the draw bar 600 . move from upper right to left.

이에 따라 록킹수단(932)이 견인바(600)의 걸림턱(601)의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 상태에서는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패닉레버(400)가 제3핸들블록(930)을 밀더라도 록킹수단(932)이 걸림턱(601)의 좌측에 걸려 넘어가지 못하는 록킹 상태가 되며, 이러한 록킹 상태에서는 걸림턱(601)의 좌측에 걸려있는 록킹수단(932)에 의해 록킹수단(932)과 일체로 형성된 제3핸들블록(930), 패닉레버(400), 패닉레버(400)에 맞닿아 있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 및 래치레버(700)의 회전이 모두 제한되어 데드볼트(200)의 인입상태와 래치볼트(100)의 해정 상태가 지속되며, 이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미는 힘으로 도어의 스트라이커(미도시)가 래치볼트(100)를 밀어주어 회전이 가능해진 래치볼트(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된다.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ans 932 is moved from the right to the left in the drawing of the engaging jaw 601 of the draw bar 600, the panic lever 400 is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10 to the third handle block ( Even if the 930 is pushed, the locking means 932 is in a locked state that cannot be caught on the left side of the locking jaw 601, and in this locking state, it is locked by the locking means 932 hooked on the left side of the locking jaw 601 The third handle block 930 formed integrally with the means 932, the panic lever 400,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in contact with the panic lever 400, and the latch lever 700 are all rotated. As it is limited, the retracted state of the dead bolt 200 and the unlocked state of the latch bolt 100 are continued, and then, as shown in FIG. 13 , the striker (not shown) of the door uses the user's pushing force to close the latch bolt 100 . The latch bolt 100, which can be rotated by pushing,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is introduced into the door lock mortise.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0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서브래치(300)가 바디프론트(20)에서 인출되면서 서브래치(300)의 가압돌기(302)가 견인바(600)의 돌출부(602)를 수평방향으로 밀어서 하강시킴으로써 반대편의 걸림턱(601)이 상승하여 록킹수단(932)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패닉레버(400)가 회전하면서 제3핸들블록(930)과 맞닿아 제3핸들블록(930)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록킹수단(932)이 걸림턱(601)의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넘어가게 된다.When the door is fully opened, as shown in FIG. 14 , the sub-latch 300 is drawn out from the body front 2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01 , and the pressing protrusion 302 of the sub-latch 300 moves to the draw bar. By sliding the protrusion 602 of the 6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lower it, the locking jaw 601 on the opposite side rises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means 932,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can rotate. As the panic lever 400 rotate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10,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hird handle block 930 to rotate the third handle block 930, and accordingly the locking means 932 is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 601) from the left to the right in the drawing.

또한, 패닉레버(400)가 스프링(410)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 됨에 따라 패닉레버(400)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서로 이격되어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데드볼트(200)를 인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서로 이격되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형성된 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레버(700)가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함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한다.In addition, as the panic lever 400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by the spring 410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panic lever 400 and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and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become rotatable, so that the dead bolt 200 can be pulled out by driving the first motor 221 , and the panic lever 400 and the latch lever As the lower engaging jaws 710 of the 7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atch lever 700 becomes rotatable, so tha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40 formed in the pressing part 730 of the latch lever 700, the latch lever 700. Rotates clockwise around the rotation shaft 701 in the drawing so that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of the latch lever 700 presses the protrusion 120 of the latch bolt 100, thereby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do.

이후, 도어가 다시 닫히게 되면 래치볼트(100)는 도어를 개방할 때와 반대로 경사면에 힘이 가해진다. 즉, 도어의 스트라이커와 래치볼트(100)의 경사면이 부딪히면서 래치볼트(100)에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미는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스프링(130)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래치볼트(100)가 회전 없이 직선으로 케이스(10) 내부에 진입하게 된다.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면 스프링(130)의 힘에 의해 다시 도어틀의 홈에 래치볼트(100)가 돌출된다.Thereafter, when the door is closed again, force is applied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atch bolt 100 as opposed to when the door is opened. That is, as the striker of the door collides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atch bolt 100, a force is applied to the latch bolt 100 to the inside of the door lock motive, and accordingly, the spring 130 is pushed backward while the latch bolt 100 rotates. It enters the inside of the case 10 in a straight line without it. When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the latch bolt 100 protrudes back into the groove of the door frame by the force of the spring 130 .

또한, 서브래치(300)가 바디프론트(20)에 인입되고 이에 따라 서브래치(300)의 감지부(303)가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떨어져 이격되면서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도어가 닫힌 것을 감지하게 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모터(221)가 구동되어 제1구동기어(222) 및 데드볼트 견인기어(21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데드볼트 견인기어(213)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0, 211)가 함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에서 상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1)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서 인출시킴으로써 도어가 잠긴 상태가 된다.In addition, as the sub-latch 300 is drawn into the body front 20, and accordingly, the sensing unit 303 of the sub-latch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sub-latch detecting sensor 830, the door in the sub-latch detecting sensor 830 When detecting that the is closed, as shown in FIG. 15 , first the first motor 221 is driven to rotate the first driving gear 222 and the dead bolt traction gear 213, and accordingly, the dead bolt traction gear The first and second deadbolt traction levers 210 and 211 integrally formed with the 213 rotate together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 deadbolt traction lever 211 has a long hole 202 of the slider 201. ), the door is locked by withdrawing the slider 201 and the dead bolt 200 integrally formed therefrom from the body front 20 by moving to the top.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20을 참고하여 실내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실외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때 도어락 모티스가 동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20 , a process in which the door lock mortis operates when a user inserts and rotates a key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open the door from the inside will be described.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힘으로써 데드볼트가(200)가 인출되어 잠금 상태에 있고 래치볼트(100)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외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핸들블록(920)이 사용자가 열쇠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맞닿아 있는 패닉레버(400)을 회전시키고, 제2핸들블록(920)에 의해 회전되는 패닉레버(400)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맞닿아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As shown in FIG. 16, when the door is closed, the dead bolt 200 is drawn out and locked, and the user inserts a key to open the door from the outside and rotates it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is restricted. , as shown in FIG. 17, the second handle block 920 rotates the panic lever 400 in contact while rotating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rotates the key, 2 The panic lever 400 rotated by the handle block 9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to rotate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이에 따라,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동시에 회전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동시에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을 따라 하단으로 이동함으로써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 인입시키고, 이후 패닉레버(4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서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 맞닿아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제한부(720)를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닉레버(400)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는 맞닿아 있고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는 일정거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데드볼트(200)의 인입이 완료된 후에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접촉을 시작하여 래치볼트(100)의 해정이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integrally formed to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rotate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is the long hole of the slider 201 . The dead bolt 200 is introduced into the body front 20 by moving to the bottom along the 202, and then the panic lever 400 rotates further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lower locking jaw 710 of the latch lever 700 ) and rotate the latch lever 70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about the rotation shaft 701 to separate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from the protrusion part 120 of the latch bolt 100, so that the latch bolt 100 allow rotation of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6, the panic lever 40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and is separated from the lower engaging jaw 710 of the latch lever 700 by a certain distance. After the insertion of the 200) is completed, the panic lever 400 and the lower engaging jaw 710 of the latch lever 700 start to contact, so that the latch bolt 100 is releas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을 완전히 개방할 때까지 열쇠를 회전시킨 상태로 있기 때문에 제2핸들블록(920)도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어 패닉레버(400) 및 패닉레버(400)에 맞닿아 있는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래치레버(700)의 회전을 모두 제한하여 데드볼트(200)의 인입상태와 래치볼트(100)의 해정 상태가 지속되도록 하며, 이후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미는 힘으로 도어의 스트라이커(미도시)가 래치볼트(100)를 밀어주어 회전이 가능해진 래치볼트(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인입된다.Since the key is rotated until the user fully opens the door in the above state, the second handle block 920 is also fixed in the rotated state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anic lever 400 and the panic lever 400. Both the rotation of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and the latch lever 700 are restricted so that the retracted state of the dead bolt 200 and the unlocked state of the latch bolt 100 are maintained, and then shown in FIG. As shown, the door striker (not shown) pushes the latch bolt 100 by the user's pushing force, and the latch bolt 100, which is rotatable,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is drawn into the door lock mortis.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어 사용자가 열쇠를 다시 원위치로 회전시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핸들블록(920)도 동시에 회전하여 원위치 되면서 제2핸들블록(920)과 패닉레버(400)가 서로 이격되어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패닉레버(400)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 됨에 따라 패닉레버(400)와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서로 이격되어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210)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데드볼트(200)를 인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서로 이격되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형성된 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레버(700)가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함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한다.When the door is fully opened and the user rotates the key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19 , the second handle block 920 is also rotated at the same tim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second handle block 920 and the panic lever 4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anic lever 400 and the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the panic lever 400 rotates counterclockwis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10, and the first dead bolt The traction lever 210 and the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become rotatable, so that the dead bolt 200 can be pulled out by driving the first motor 221 , and the panic lever 400 and As the lower engaging jaws 710 of the latch lever 7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atch lever 700 becomes rotatable, so tha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40 formed in the pressing part 730 of the latch lever 700, the latch lever (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is rotated by the rotation limiting part 720 of the latch lever 700 pressing the protrusion 120 of the latch bolt 100 by rotating the rotation shaft 701 in the 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o limit

이후, 도어가 다시 닫히게 되면 래치볼트(100)는 도어를 개방할 때와 반대로 경사면에 힘이 가해진다. 즉, 도어의 스트라이커와 래치볼트(100)의 경사면이 부딪히면서 래치볼트(100)에 도어락 모티스 내부로 미는 힘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스프링(130)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래치볼트(100)가 회전 없이 직선으로 케이스(10) 내부에 진입하게 된다.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면 스프링(130)의 힘에 의해 다시 도어틀의 홈에 래치볼트(100)가 돌출된다.Thereafter, when the door is closed again, force is applied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atch bolt 100 as opposed to when the door is opened. That is, as the striker of the door collides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atch bolt 100, a force is applied to the latch bolt 100 to the inside of the door lock motive, and accordingly, the spring 130 is pushed backward while the latch bolt 100 rotates. It enters the inside of the case 10 in a straight line without it. When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the latch bolt 100 protrudes back into the groove of the door frame by the force of the spring 130 .

또한, 서브래치(300)가 바디프론트(20)에 인입되고 이에 따라 서브래치(300)의 감지부(303)가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떨어져 이격되면서 서브래치 감지센서(830)에서 도어가 닫힌 것을 감지하게 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모터(221)가 구동되어 제1구동기어(222) 및 데드볼트 견인기어(213)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데드볼트 견인기어(213)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0, 211)가 함께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211)의 끝단이 슬라이더(201)의 장공(202)에서 상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더(201)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서 인출시킴으로써 도어가 잠긴 상태가 된다.In addition, as the sub-latch 300 is drawn into the body front 20, and accordingly, the sensing unit 303 of the sub-latch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sub-latch detecting sensor 830, the door in the sub-latch detecting sensor 830 When detecting that the is closed, as shown in FIG. 20, first the first motor 221 is driven to rotate the first driving gear 222 and the dead bolt traction gear 213, and accordingly, the dead bolt traction gear The first and second deadbolt traction levers 210 and 211 integrally formed with the 213 rotate together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 deadbolt traction lever 211 has a long hole 202 of the slider 201. ), the door is locked by withdrawing the slider 201 and the dead bolt 200 integrally formed therefrom from the body front 20 by moving to the top.

한편,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2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되,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1, but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케이스(10), 바디프론트(20), 래치볼트(100), 제1 및 제2기어박스(220, 140), 데드볼트(200), 보조데드볼트(500), 서브래치(300), 제1 내지 제3핸들블록(910, 920, 930) 및 PCB(330)를 포함하며, 케이스(10), 바디프론트(20), 래치볼트(100), 제1 및 제2기어박스(220, 140) 및 PCB(33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21, the door lock morti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10, a body front 20, a latch bolt 100, the first and second gearboxes 220 and 140, the dead It includes a bolt 200, an auxiliary dead bolt 500, a sub-latch 300, first to third handle blocks 910, 920, 930, and a PCB 330, and a case 10, a body front 20 ), the latch bolt 100 , the first and second gearboxes 220 , 140 , and the PCB 330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데드볼트(200)는 바디프론트(20)의 인입공을 통해 인출 및 인입됨으로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구성으로, 데드볼트(200)의 후면에는 외력 또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데드볼트 견인레버(210)를 통해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하여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서 인입 및 인출시키는 슬라이더(201)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dead bolt 200 is configured to lock or unlock the door by being drawn out and drawn in through the inlet hole of the body front 20, and the dead bolt traction lever ( The slider 201 that linearly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210 to draw in and withdraw the dead bolt 200 from the body front 20 is integrally formed.

상기 데드볼트 견인레버(210)는 슬라이더(201)에 형성된 슬라이더 홈(204)에 인입되며, 데드볼트 견인레버(210)는 패닉레버(400)와 맞닿도록 형성된다.The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is inserted into the slider groove 204 formed in the slider 201 , and the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is formed to contact the panic lever 400 .

이에 따라 제1모터(22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슬라이더(201)의 슬라이더 홈(204)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더 홈(204)의 내측면과 맞닿아 슬라이더(201)를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잡아당겨 데드볼트(200)를 인출 또는 인입시킨다. 또한, 패닉레버(400)가 사용자의 푸쉬풀 손잡이(미도시)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제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 또는 열쇠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제2핸들블록(920)과 맞닿아 회전하면 패닉레버(400)와 맞닿아 있는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회전하여 슬라이더(201)의 슬라이더 홈(204)을 따라 이동하여 데드볼트(200)를 인입시킨다.Accordingly, when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motor 221 is received and the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the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moves the slider groove 204 of the slider 201 . While moving along,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lider groove 204 and pushes the slider 201 forward or pulls it backward to withdraw or retract the dead bolt 200 . In addition, the first handle block 910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rotated by the panic lever 400 by the user's operation of a push-pull handle (not shown) or the second handle block 920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key. ), the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in contact with the panic lever 400 rotates and moves along the slider groove 204 of the slider 201 to retract the dead bolt 200 .

제1 내지 제3핸들블록(910, 920, 930)은 제1핸들블록(910)과 제3핸들블록(930)이 일체로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하고 제1핸들블록(910)과 제3핸들블록(930)의 결합 사이로 제2핸들블록(920)이 끼어있는 형태이며, 제2핸들블록(920)과 제3핸들블록(930)의 일측에는 양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하여 패닉레버(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handle blocks 910 , 920 and 930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first handle block 910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and rotate at the same time, and the first handle block 910 and the third handle block The second handle block 920 is sandwiched between the couplings of the 930, and protrusions are formed in both directions on one side of the second handle block 920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in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panic lever 400 by rotating in both directions.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실내에서 푸쉬풀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기면 제2핸들블록(920)은 고정된 상태로 제3핸들블록(930)이 회전되는데, 이때 제3핸들블록(930)과 제1핸들블록(910)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회전하게 되며, 제3핸들블록(930)이 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맞닿아 있는 패닉레버(400)을 회전시키고, 제3핸들블록(930)에 의해 회전되는 패닉레버(400)가 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맞닿아 데드볼트 견인레버(21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With this structure, when a user pushes or pulls a push-pull handle (not shown) indoors, the second handle block 920 is fixed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is rotated, and at this time, the third handle block 930 is rotated. and the first handle block 910 rotate together because they are connected,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rotat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to rotate the abutting panic lever 400, 3 The panic lever 400 rotated by the handle block 9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to rotate the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이에 따라,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슬라이더(201)의 슬라이더 홈(204)을 따라 이동하여 슬라이더 홈(204)의 도면상 우측 내벽과 맞닿음으로써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 인입시키고, 이후 패닉레버(4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서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 맞닿아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전제한부(720)를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허용한다.Accordingly, the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moves along the slider groove 204 of the slider 201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n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of the slider groove 204, thereby removing the dead bolt 200 from the body front 20. Then, the panic lever 400 rotates further in the 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gaging jaw 710 of the latch lever 700 to rotate the latch lever 700 around the rotation shaft 701.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is allowed by separating the limiting part 720 from the protrusion 120 of the latch bolt 100 .

이후, 패닉레버(400)가 스프링(410)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 됨에 따라 패닉레버(400)와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서로 이격되어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데드볼트(200)를 인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서로 이격되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형성된 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레버(7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프레임(150)의 측면 홈(151)을 통해 인입되어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함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한다.Thereafter, as the panic lever 400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by the spring 410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panic lever 400 and the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is By being rotatable, the dead bolt 200 can be pulled out by driving the first motor 221 , and the lower engaging jaws 710 of the panic lever 400 and the latch lever 7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the latch lever 700 is made rotatable, the latch lever 700 rotates clockwis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40 formed on the pressing part 730 of the latch lever 700 in the drawing, so that the latch lever 700 is rotatable. The rotation limiter 720 is introduced through the side groove 151 of the frame 150 to press the protrusion 120 of the latch bolt 100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

한편, 사용자가 실외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제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은 고정된 상태로 제2핸들블록(205)만 열쇠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user inserts and rotates the key outdoors, the first handle block 910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are fixed and only the second handle block 205 rotates together with the key.

이러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실외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제1핸들블록(910) 및 제3핸들블록(930)은 고정된 상태로 제2핸들블록(920)만 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맞닿아 있는 패닉레버(400)을 회전시키고, 제2핸들블록(920)에 의해 회전되는 패닉레버(400)가 데드볼트 견인레버(210)와 맞닿아 데드볼트 견인레버(210)를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With this structure, when the user inserts and rotates the key outdoors, the first handle block 910 and the third handle block 930 are fixed, and only the second handle block 920 i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Rotates the panic lever 400 in contact while rotating, and the panic lever 400 rotated by the second handle block 9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to remove the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Rotate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이에 따라,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회전하여 슬라이더(201)의 슬라이더 홈(204)을 따라 하여 슬라이더 홈(204)의 우측 내벽과 맞닿음으로써 데드볼트(200)를 바디프론트(20)에 인입시키고, 이후 패닉레버(4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서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과 맞닿아 래치레버(700)를 회전축(70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전제한부(720)를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허용한다.Accordingly, the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rotates and follows the slider groove 204 of the slider 201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ight inner wall of the slider groove 204, thereby attaching the dead bolt 200 to the body front 20. After retracting, the panic lever 400 rotates further in the 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gaging jaw 710 of the latch lever 700 to rotate the latch lever 700 around the rotation shaft 701 to limit rotation.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is allowed by disengaging the portion 720 from the protrusion 120 of the latch bolt 100 .

이후, 사용자가 열쇠를 다시 원위치로 회전시키면 제2핸들블록(920)도 동시에 회전하여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면서 패닉레버(400)와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410)의 탄성력에 의해 패닉레버(400)도 다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된다.Thereafter, when the user rotates the key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second handle block 920 also rotates at the same tim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panic lever 400, and accordingly, the panic lever 40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10. ) is also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또한, 패닉레버(400)가 스프링(410)에 의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 됨에 따라 패닉레버(400)와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서로 이격되어 데드볼트 견인레버(21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제1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데드볼트(200)를 인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패닉레버(400)와 래치레버(700)의 하단걸림턱(710)이 서로 이격되면서 래치레버(700)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래치레버(700)의 가압부(730)에 형성된 스프링(740)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레버(70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레버(700)의 회전제한부(720)가 프레임(150)의 측면 홈(151)을 통해 인입되어 래치볼트(100)의 돌출부(120)를 가압함으로써 래치볼트(100)의 회전을 제한한다.In addition, as the panic lever 400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by the spring 410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panic lever 400 and the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dead bolt traction lever 210 is By being rotatable, the dead bolt 200 can be pulled out by driving the first motor 221 , and the lower engaging jaws 710 of the panic lever 400 and the latch lever 7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the latch lever 700 is made rotatable, the latch lever 700 rotates clockwis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40 formed on the pressing part 730 of the latch lever 700 in the drawing, so that the latch lever 700 is rotatable. The rotation limiter 720 is introduced through the side groove 151 of the frame 150 to press the protrusion 120 of the latch bolt 100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100 .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에는 사용자가 실내에서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보조데드볼트(500)가 추가로 형성되며, 이러한 보조데드볼트(500)는 사용자가 실내에서 잠금장치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블록(52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진퇴블록(510)을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바디프론트(20)에서 인입 또는 인출된다. 이때, 회전블록(520)의 일측에는 토션스프링(530)이 결합되며, 상기 토션스프링(530)은 통상적인 스프링과 같이 압축 시 탄성력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회전블록(520)이 회전하는 초기에는 토션스프링(53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토션스프링(530)을 압축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블록(520)이 탄성력에 의해 서서히 회전함에 따라 보조데드볼트(500)가 서서히 인입되다가 회전블록(520)이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토션스프링(53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즉, 토션스프링(530)이 인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토션스프링(530)이 즉시 인장되면서 회전블록(520)도 그에 맞춰 급격하게 회전하면서 보조데드볼트(500)가 즉시 인입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lock mort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itionally formed with an auxiliary deadbolt 500 that the user can operate only indoors, and this auxiliary deadbolt 500 allows the user to turn the locking device in a clockwise direction indoors. Alternatively, when the rotation block 5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t is drawn in or withdrawn from the body front 20 by moving the advancing and retreating block 510 backward or forward while rotating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this time, a torsion spring 53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tation block 520 , and the torsion spring 530 exerts an elastic force during compression like a conventional spring, and accordingly, the rotation block 520 is initially rotated. Since the torsion spring 530 rotates while compressing i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530 acts, the auxiliary dead bolt 500 is slowly drawn in and then rotates as the rotation block 520 is gradually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When the block 520 rotates by a certain angle, the torsion spring 530 is immediately tensioned while rotat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530 acts, that 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rsion spring 530 is tensioned. The auxiliary dead bolt 500 is immediately retracted while the 520 also rotates rapidly in accordance with it.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모티스는 사용자가 내부에서 푸쉬풀 손잡이를 조작하거나 외부에서 열쇠를 삽입하여 돌리면 제3핸들블록 및 제2핸들블록이 패닉레버를 회전시키고, 패닉레버가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데드볼트견인레버와 래치레버를 회전시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정시키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 또는 열쇠를 통해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바로 해정시킬 수 있어 도어를 빠르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the door lock mort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operates a push-pull handle from the inside or inserts a key from the outside to turn it, the third handle block and the second handle block rotate the panic lever, and the panic lever By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and latch levers while rotating to release the dead bolt and latch bolt, the user can immediately release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through the handle or key, so the door can be opened quick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또한, 래치볼트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해정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하지 않아도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를 해정시켜 도어를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atch bolt is automatically released by the motor, the door can be easily opened by automatically releasing the dead bolt and the latch bolt by the motor without the user operating the handle.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are to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케이스
20 : 바디프론트
100 : 래치볼트
110 : 걸림턱
120 : 돌출부
130 : 스프링
140 : 제2기어박스
141 : 제2모터
142 : 제2구동기어
143 : 종동기어
144 : 캠
145 : 제한부
150 : 프레임
151 : 홈
200 : 데드볼트
201 : 슬라이더
202 : 장공
203 : 감지부
210 : 제1데드볼트 견인레버
211 :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
213 : 데드볼트 견인기어
220 : 제2기어박스
221 : 제1모터
222 : 제1구동기어
300 : 서브래치
301 : 스프링
302 : 가압돌기
303 : 감지부
400 : 패닉레버
410 : 스프링
600 : 견인바
601 : 걸림턱
602 : 돌출부
603 : 스프링
604 : 힌지축
700 : 래치레버
701 : 회전축
710 : 하단걸림턱
720 : 회전제한부
730 : 가압부
740 : 스프링
800 : PCB
810 : 열림감지센서
820 : 닫힘감지센서
830 : 서브래치 감지센서
910 : 제1핸들블록
911 : 제1결합홀
920 : 제2핸들블록
921 : 제2결합홀
922 : 가이드홈
930 : 제3핸들블록
931 : 제3결합홀
932 : 록킹수단
<다른 실시예>
210 : 데드볼트 견인레버
204 : 슬라이더 홈
500 : 보조데드볼트
510 : 진퇴블록
520 : 회전블록
530 : 토션스프링
10: case
20: body front
100: latch bolt
110: jamming jaw
120: protrusion
130: spring
140: second gear box
141: second motor
142: second drive gear
143: driven gear
144 : cam
145: limit
150: frame
151 : home
200: dead bolt
201 : Slider
202: long hole
203: sensing unit
210: first dead bolt traction lever
211: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
213: dead bolt traction gear
220: second gear box
221: first motor
222: first drive gear
300: sub-latch
301: spring
302: pressurizing projection
303: sensing unit
400: panic lever
410: spring
600: draw bar
601: jamming jaw
602: protrusion
603: spring
604: hinge shaft
700: latch lever
701: rotation shaft
710: lower jaw
720: rotation limiter
730: pressurized part
740: spring
800: PCB
810: open sensor
820: closing sensor
830: sub-latch detection sensor
910: first handle block
911: first coupling hole
920: second handle block
921: second coupling hole
922: guide home
930: third handle block
931: third coupling hole
932: locking means
<Another embodiment>
210: dead bolt traction lever
204: slider groove
500: auxiliary dead bolt
510: advance and retreat block
520: rotation block
530: torsion spring

Claims (10)

바디프론트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래치볼트;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회전제한부와 외력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제한부를 회전시키는 가압부가 형성된 래치레버;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가압부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 종동기어;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회전력을 데드볼트 견인기어에 전달하기 위한 제1구동기어가 형성된 제1기어박스; 및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기어에 전달하기 위한 제2구동기어가 형성된 제2기어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구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가 회전을 하면 상기 종동기어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가압돌출부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래치레버의 가압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회전제한부가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허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a latch bolt with a protrusion formed therein and provided to maintain a closed state that prevents the door from being opened by itself by being drawn out or drawn in from the body front;
A latch lever formed with a rotation limiting part that presses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or separates from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to limit or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and a pressing part for rotating the rotation limiting part b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by an external force. ;
a driven gear integrally form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for moving the pressing portion of the latch lever forward and backward;
a first motor and a first gearbox in which a first driving gear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motor to the dead bolt traction gear is formed; and
a second motor and a second gearbox in which a second driving gear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motor to the driven gear is formed;
When the second driving gear and the driven gear rotate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motor, the pressing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driven gear rotates together to move the pressing portion of the latch lever forward. A latch bolt automatic release type door lock mortise, characterized in that a rotation limit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to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스프링이 형성되며,
상기 제2모터가 역회전하여 상기 종동기어의 상기 가압돌출부가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가압부와 이격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래치레버의 상기 회전제한부가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According to claim 1,
A spring is formed in the pressing part,
When the second motor rotates in reverse and the pressing protrusion of the driven gear is spaced apart from the pressing portion of the latch lever, the pressing portion moves back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so that the rotation limiting portion of the latch lever is the latch bolt. Latch bolt automatic release type door lock mortis, characterized in that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latch bolt by pressing the protrusion of th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의 일측에는 캠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캠의 양단에는 상기 캠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3. The method of claim 2,
A cam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en gear,
Latch bolt automatic release type door lock mort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miting portion for limiting the rotation radius of the cam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am.
바디프론트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래치볼트;
상기 바디프론트에서 인출 및 인입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
푸쉬풀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1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래치레버;
상기 제3핸들블록과 맞닿아 회전하여 상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와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키는 패닉레버;
열쇠의 회전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패닉레버를 회전시키는 제2핸들블록;
중앙에 형성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형성된 돌출부 및 걸림턱이 각각 서로 반대로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된 견인바; 및
상기 바디프론트에서 인입 및 인출됨으로써 도어의 닫힘 및 열림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견인바의 돌출부를 수평 방향으로 밀어 하강시키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서브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3핸들블록의 일측에 록킹수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3핸들블록의 록킹수단이 상기 견인바의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패닉레버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 허용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서브래치의 가압돌기가 상기 견인바의 돌출부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견인바의 걸림턱을 상승시켜 상기 걸림턱과 상기 록킹수단의 걸림이 풀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a latch bolt provided to maintain a closed state that prevents the door from being opened by itself by being drawn out or retracted from the body front;
a dead bolt which is drawn out and retracted from the body front and provide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and integrally formed with a slider that moves linearly forward and backward by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a first handle block integrally formed to ro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at the same time by the operation of the push-pull handle; and a third handle block;
a latch lever restricting or allowing rotation of the latch bolt;
a panic lever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third handle block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and the latch lever;
a second handle block for rotating the panic lever by rotating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the rotation of the key;
a draw bar formed so that the protrusions and the locking jaw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about the hinge shaft formed in the center move up and down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sub-latch with a pressing protrusion that detects the closed and open state of the door by being drawn in and out of the body front, and lowers the protrusion of the draw bar by pushing 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cludes;
A locking means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handle block,
The locking means of the third handle block is caught on the clasp of the draw bar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panic lever to maintain the rotation allowable state of the latch bolt,
Latch bolt automatic release type door lock mort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rotrusion of the sub-latch lowers the protrusion of the draw bar to raise the locking jaw of the draw bar so that the locking between the locking jaw and the locking means is relea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바디프론트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래치볼트;
상기 바디프론트에서 인출 및 인입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하는 슬라이더가 일체로 형성된 데드볼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래치레버;
상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와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키는 패닉레버;
상기 패닉레버를 회전시키는 제1핸들블록;, 제2핸들블록; 및 제3핸들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2핸들블록 또는 상기 제3핸들블록이 회전하면서 상기 패닉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패닉레버가 상기 제1 및 제2데드볼트 견인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데드볼트를 상기 바디프론트에 인입시킨 후 상기 래치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a latch bolt with a protrusion formed therein and provided to maintain a closed state that prevents the door from being opened by itself by being drawn out or drawn in from the body front;
a dead bolt which is drawn out and retracted from the body front and provide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and integrally formed with a slider that moves linearly forward and backward by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a latch lever which rotates about a rotational axis to press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or to separate from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to limit or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a panic lever for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and the latch lever;
a first handle block for rotating the panic lever; a second handle block; and a third handle block;
After the second handle block or the third handle block rotates to rotate the panic lever, the panic lever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dead bolt traction levers to introduce the dead bolt into the body front. A latch bolt automatic release type door lock mortis, characterized in that by rotating a latch lever to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레버는,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래치볼트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는 회전제한부; 및
외력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제한부가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탈하거나 상기 래치볼트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볼트 자동 해정형 도어락 모티스.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atch lever is
a rotation limiting part pressing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or separating from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to limit or allow rotation of the latch bolt; and
A latch bolt automatic release type door lock mortis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 pressing part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rotation limiting part separates from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or presses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lt.
삭제delete
KR1020190164851A 2019-02-15 2019-12-11 Latch bolt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mortise KR1022606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076802.6A CN111577016B (en) 2019-02-15 2020-01-23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insert of latch bolt
TW110116541A TWI764710B (en) 2019-03-19 2020-03-16 Latch bolt rotation type door lock mortise
TW109108571A TWI743708B (en) 2019-03-19 2020-03-16 Latch bolt rotation type door lock mortise
KR1020210023264A KR102313116B1 (en) 2019-02-15 2021-02-22 Latch bolt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mort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8100 2019-02-15
KR1020190018100 2019-02-15
KR20190030875 2019-03-19
KR1020190030875 2019-03-19
KR1020190084336A KR20200111596A (en) 2019-03-19 2019-07-12 Latch bolt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mortise
KR1020190084333A KR20200099948A (en) 2019-02-15 2019-07-12 Latch bolt automatic Retracting type door lock mortise
KR1020190084336 2019-07-12
KR1020190084333 2019-07-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264A Division KR102313116B1 (en) 2019-02-15 2021-02-22 Latch bolt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mort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959A KR20200099959A (en) 2020-08-25
KR102260668B1 true KR102260668B1 (en) 2021-06-04

Family

ID=722928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851A KR102260668B1 (en) 2019-02-15 2019-12-11 Latch bolt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mortise
KR1020210023264A KR102313116B1 (en) 2019-02-15 2021-02-22 Latch bolt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mortis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264A KR102313116B1 (en) 2019-02-15 2021-02-22 Latch bolt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mort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606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598B1 (en) 2021-04-19 2022-09-29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Manually Unlockable Auto Latch Door Lock
KR102456722B1 (en) * 2021-07-21 2022-10-18 주식회사 라오나크 Latch bolt with dual lock fun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785B1 (en) 2017-12-20 2018-08-24 (주)이노인스트루먼트 Morti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8504B2 (en) * 2018-09-27 2022-05-31 美和ロック株式会社 Locking / unlock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785B1 (en) 2017-12-20 2018-08-24 (주)이노인스트루먼트 Morti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116B1 (en) 2021-10-15
KR20200099959A (en) 2020-08-25
KR20210074239A (en)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116B1 (en) Latch bolt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mortise
US20180148954A1 (en) Security gate with latch release
CN212478850U (en) Full-automatic lock
CN212336961U (en)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of lock tongue and full-automatic lock with same
KR101891785B1 (en) Mortise
KR101710986B1 (en) Door lock mortise having hook lock unit
KR20170106530A (en) Door lock mortise having bi-directional release function
KR20200099948A (en) Latch bolt automatic Retracting type door lock mortise
KR20200111596A (en) Latch bolt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mortise
KR200458730Y1 (en) Door Lock having Panic Function
CN209228209U (en) Anti-picking structure for lock
CN109236041B (en) Lock tongue structure, automatic lock device and working method
CN111577016B (en)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insert of latch bolt
KR100630945B1 (en) Mortise lock device of digital door lock and door system
CN210685639U (en) Double-bolt self-eject locking body
TWI743708B (en) Latch bolt rotation type door lock mortise
CN108868326A (en) Anti-picking structure for lock
KR100855307B1 (en) Mortice lock of disital doorlock
KR101673493B1 (en) Door lock mortise for bi-directional unlocking
CN114135169A (en) Lock and case
KR200457974Y1 (en) Digital Door Lock having Clutch Function
KR100763820B1 (en) Mortise lock for digital door lock
KR101993260B1 (en) Latch bolt rotation type for door lock mortise
KR102405186B1 (en) Apparatus of Mortise with anti panic
CN109386186B (en) Latch rotating type door lock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