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535B1 -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및 화상대화 방법 - Google Patents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및 화상대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535B1
KR102260535B1 KR1020190135196A KR20190135196A KR102260535B1 KR 102260535 B1 KR102260535 B1 KR 102260535B1 KR 1020190135196 A KR1020190135196 A KR 1020190135196A KR 20190135196 A KR20190135196 A KR 20190135196A KR 102260535 B1 KR102260535 B1 KR 102260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ing
terminal
user
uni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0768A (ko
Inventor
김용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틀브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틀브리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틀브리즈
Priority to KR102019013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5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05Controlling the feeding rate to the network, e.g. by controlling the video pu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2Monitoring of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bandwidth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2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using a connection between clients on a wide area network, e.g.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for retrieving video segments from the hard-disk of other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노년층이 사용하는 단말기의 사양과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영상/음성 스트리밍 전송을 조정하여 노년층의 사용자들 간에 끊김 현상 없이 화상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화상대화 방법 및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은, 노년층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대화 상대방을 추천하는 대화상대 추천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대화 상대방이 사용하는 상대방 단말기 간에 영상과 음성을 실시간 전송하여 화상대화를 지원하는 화상대화 지원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에 상기 영상 및 상기 음성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패킷이 연속적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스트리밍 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및 화상대화 방법{VIDEO CONVERSATION SYSTEM AND VIDEO CONVERSATION METHOD FOR ELDERLY}
본 발명은 화상대화 시스템 및 화상대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년층이 사용하는 단말기의 사양과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영상/음성 스트리밍 전송속도를 조정하여 노년층의 사용자들 간에 끊김 현상 없는 화상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및 화상대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노년 인구의 비중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노년층이 겪는 문제들 중 하나로, 대화할 상대나 의지할 상대가 없는 외로움과 그로 인한 우울증 등을 들 수 있다. 노년층은 몸이 불편하여 거동이 어렵고 마땅히 친구를 만날 장소나 계기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직장에서 은퇴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취미 생활을 하는데 경제적으로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노인의 외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대화할 수 있는 친구이다. 현재 온라인 상으로 사용자들 간에 화상채팅을 할 수 있는 앱이 있으나, 기존의 화상채팅 앱은 대부분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UI의 고급화, 실시간 액세서리 장착 등의 다양한 옵션 위주로 서비스가 진행되는 관계로, 대부분 고사양의 단말기 기종 위주로 개발이 되어 있다.
노년층이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은 저사양인 경우가 많으며, 노년층이나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사용하는 저사양 폰의 경우, 아예 앱의 다운로드 자체가 안되거나, 영상, 음성이 끊겨서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노년층을 위해 단말기에 UI 크기를 증가시키고 AI 음성 지원 등의 기술을 추가로 적용하게 될 경우 영상이나 음성이 자주 끊기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10-2014-0026980호(2014년03월06일 공개)에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기반 이상형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노년층이 사용하는 단말기의 사양과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영상/음성 스트리밍 전송속도를 조정하여 노년층의 사용자들 간에 끊김 현상 없는 화상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화상대화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P2P 방식의 웹 실시간 통신(WebRTC; Web Real-Time Communication) 기반 화상 대화 시에 단말기 기종 및 OS 버전,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스트리밍 전송속도를 조정하여 노년층의 사용자가 열악한 네트워크 상태에서도 저사양 폰을 이용하여 최대한 원활하게 화상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화상대화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노년층의 사용자의 고객정보 및 화상대화 이력, 화상대화 패턴, 친구 등록 정보, 단말기의 사양, 네트워크 상태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대화 상대와 친구를 추천할 수 있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화상대화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노년층의 사용자의 고객정보 및 화상대화 이력, 화상대화 패턴 및 친구 등록 정보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노년층과 관련된 직업군 별 지표를 산출하여 일자리를 추천할 수 있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화상대화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은, 노년층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대화 상대방을 추천하는 대화상대 추천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대화 상대방이 사용하는 상대방 단말기 간에 영상과 음성을 실시간 전송하여 화상대화를 지원하는 화상대화 지원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에 상기 영상 및 상기 음성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패킷이 연속적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스트리밍 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대화 지원부는 P2P 방식의 웹 실시간 통신(WebRTC; Web Real-Time Communication) 기반으로 상기 화상대화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조정부는, 노년층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단말기의 기종 및 OS 버전 별로 상기 WebRTC 기반의 스트리밍에 관련된 처리 능력을 분류하는 단말기 처리능력 분류부; 상기 단말기들의 다양한 위치 및 상황 별로 상기 WebRTC 기반의 스트리밍에 관련된 소화 능력을 분류하는 단말기 소화능력 분류부; 및 상기 단말기들 간의 다양한 네트워크 상태 별로 상기 WebRTC 기반의 스트리밍에 관련된 전송 능력을 분류하는 네트워크 전송능력 분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조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을 수집하는 단말기 사양 수집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을 수집하는 위치 상황 수집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수집하는 네트워크 상태 수집부; 상기 단말기 처리능력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을 결정하는 단말기 처리능력 결정부; 상기 단말기 소화능력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을 결정하는 단말기 소화능력 결정부; 상기 네트워크 전송능력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결정하는 스트리밍 전송능력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는,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1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제1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2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제2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는, 상기 제1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에 의해 조정된 상기 제1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1 스트리밍 패킷의 데이터량을 조정하는 제1 데이터 조정부; 및 상기 제2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에 의해 조정된 상기 제2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에 따라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2 스트리밍 패킷의 데이터량을 조정하는 제2 데이터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화상대 추천부는, 다양한 노년층의 사용자들의 고객정보 및 화상대화 이력, 화상대화 패턴 및 친구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마이닝, 머신러닝, k-최근접 이웃(k-NN; k-Nearest Neighboring) 알고리즘, 교차 검증(Cross Validation) 알고리즘 및 결정 트리(Decision Tree)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사용자들을 분석하여 사용자 별로 하나 이상의 상대방 사용자를 결정하는 상대방 사용자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과 상기 상대방 사용자가 사용하는 후보 단말기의 사양 간의 유사도, 상기 후보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후보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상대방 사용자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상기 대화 상대방을 결정하는 대화상대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은, 노년층과 관련된 다수의 직업군을 선별하고, 노년층의 사용자의 고객정보 및 화상대화 이력, 화상대화 패턴 및 친구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각 직업군과 관련된 직업 상세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직업 상세 정보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직업군 별 지표를 산출하여 일자리 적합도를 산정하는 직업 추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대화 상대방 간의 화상대화 시간 및 긍정/부정 피드백 반응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대화 성향을 추정하는 대화성향 추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화상대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의 대화 성향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대화상대 후보를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은, 대화상대 추천부에 의해, 노년층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대화 상대방을 추천하는 단계; 화상대화 지원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대화 상대방이 사용하는 상대방 단말기 간에 영상과 음성을 실시간 전송하여 화상대화를 지원하는 단계; 및 스트리밍 조정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에 상기 영상 및 상기 음성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패킷이 연속적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대화를 지원하는 단계는 P2P 방식의 웹 실시간 통신(WebRTC; Web Real-Time Communication) 기반으로 상기 화상대화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단말기 처리능력 분류부에 의해, 노년층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단말기의 기종 및 OS 버전 별로 상기 WebRTC 기반의 스트리밍에 관련된 처리 능력을 분류하는 단계; 단말기 소화능력 분류부에 의해, 상기 단말기들의 다양한 위치 및 상황 별로 상기 WebRTC 기반의 스트리밍에 관련된 소화 능력을 분류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전송능력 분류부에 의해, 상기 단말기들 간의 다양한 네트워크 상태 별로 상기 WebRTC 기반의 스트리밍에 관련된 전송 능력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단말기 사양 수집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을 수집하는 단계; 위치 상황 수집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을 수집하는 단계; 네트워크 상태 수집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수집하는 단계; 단말기 처리능력 결정부에 의해, 상기 단말기 처리능력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을 결정하는 단계; 단말기 소화능력 결정부에 의해, 상기 단말기 소화능력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을 결정하는 단계; 스트리밍 전송능력 결정부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전송능력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에 의해,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1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단계; 제1 데이터 조정부에 의해, 상기 제1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에 의해 조정된 상기 제1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1 스트리밍 패킷의 데이터량을 조정하는 단계; 제2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2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단계; 및 제2 데이터 조정부에 의해, 상기 제2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에 의해 조정된 상기 제2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에 따라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2 스트리밍 패킷의 데이터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화 상대방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대방 사용자 결정부에 의해, 다양한 노년층의 사용자들의 고객정보 및 화상대화 이력, 화상대화 패턴 및 친구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마이닝, 머신러닝, k-최근접 이웃(k-NN; k-Nearest Neighboring) 알고리즘, 교차 검증(Cross Validation) 알고리즘 및 결정 트리(Decision Tree)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사용자들을 분석하여 사용자 별로 하나 이상의 상대방 사용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대화상대 결정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과 상기 상대방 사용자가 사용하는 후보 단말기의 사양 간의 유사도, 상기 후보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후보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상대방 사용자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상기 대화 상대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은, 직업 추천부에 의해, 노년층과 관련된 다수의 직업군을 선별하고, 노년층의 사용자의 고객정보 및 화상대화 이력, 화상대화 패턴 및 친구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각 직업군과 관련된 직업 상세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직업 상세 정보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직업군 별 지표를 산출하여 일자리 적합도를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은, 대화성향 추정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대화 상대방 간의 화상대화 시간 및 긍정/부정 피드백 반응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대화 성향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화 상대방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대화 성향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대화상대 후보를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 대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노년층이 사용하는 단말기의 사양과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영상/음성 스트리밍 전송을 조정하여 노년층의 사용자들 간에 끊김 현상 없이 화상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화상대화 방법 및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P2P 방식의 웹 실시간 통신(WebRTC; Web Real-Time Communication) 기반 화상 대화 시에 단말기 기종 및 OS 버전,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스트리밍 전송속도를 조정하여 노년층의 사용자가 열악한 네트워크 상태에서도 저사양 폰을 이용하여 최대한 원활하게 화상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화상대화 방법 및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노년층의 사용자의 고객정보 및 화상대화 이력, 화상대화 패턴, 친구 등록 정보, 단말기의 사양, 네트워크 상태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대화 상대와 친구를 추천할 수 있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화상대화 방법 및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노년층의 사용자의 고객정보 및 화상대화 이력, 화상대화 패턴 및 친구 등록 정보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노년층과 관련된 직업군 별 지표를 산출하여 일자리를 추천할 수 있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화상대화 방법 및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 간에 화상대화가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상대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트리밍 조정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3의 단계 S300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계 S340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계 S346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에 의해 대화 상대를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에 의해 대화상대 후보를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에 의해 사용자에게 일자리를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취향친구 추천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부'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되거나,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부'는 반드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 간에 화상대화가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상대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100)은 대화상대 추천부(110)와, 화상대화 지원부(120) 및 스트리밍 조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대화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 간에 화상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제공되거나,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에 다운로드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는 노년층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PMP, 웨어러블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상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reless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WIFI(Wireless Fidelity)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화상대 추천부(110)는 노년층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와 관련된 대화 상대방을 추천할 수 있다(S100).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대화 화면에는 대화 상대방의 영상(10)과 대화 상대방의 간단한 정보(20)가 표시될 수 있다. 화상대화 화면의 하단부에는 사용자가 화상 대화를 요청하기 위해 입력하게 되는 "친구만나기" 항목(40), 사용자가 친구로 등록한 목록을 확인하기 위해 입력하게 되는 "내친구" 항목(50), 대화 상대방에게 쪽지를 전송하기 위해 입력하게 되는 "쪽지" 항목(60), 사용자가 과거에 화상 대화를 한 대화 상대방의 목록을 확인하기 위해 입력하게 되는 "지난 봄친" 항목(70)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화상대화 화면에 표시되는 "친구만나기" 항목(30)을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 간에 영상 및 음성이 스트리밍 패킷 단위로 실시간 전송되어 사용자와 대화 상대방 간의 화상 대화가 개시될 수 있다.
화상대화 지원부(120)는 사용자 단말기와 대화 상대방이 사용하는 상대방 단말기 간에 영상과 음성을 실시간 전송하여 사용자와 대화 상대방 간의 화상대화를 지원할 수 있다(S200). 실시예에서, 화상대화 지원부(120)는 P2P 방식의 웹 실시간 통신(WebRTC; Web Real-Time Communication)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10a)와 상대방 단말기(10b) 간에 화상대화를 지원할 수 있다.
WebRTC 기술은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단말기들 간에 영상 통신이 가능한 웹표준 기술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술과, STUN(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서버 및 중계 서버(Relay server)를 기반으로,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단말기들(10a, 10b)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아 서버 비용 부담이 크게 줄어듬은 물론 저개발 국가, 저가 휴대폰 등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 안정적인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노년층이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는 저사양일 가능성이 높다. 저사양 단말기에서도 최대한의 성능을 낼 수 있도록 P2P 방식의 WebRTC 기술을 커스터마이징하여 고사양 단말기와 저사양 단말기 간은 물론, 저사양 단말기들 간에서도 스트리밍 화질을 확보할 수 있다.
스트리밍 조정부(130)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 간에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패킷이 연속적으로 전송되도록,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 및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S300). 사용자와 대화 상대방 간의 화상 대화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 상에 화상 대화를 종료하는 명령을 입력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대화 상대방 간의 화상 대화를 종료한 후, 다른 대화 상대방과의 화상 대화를 요청하면, 새로운 대화 상대방을 사용자에게 추천하게 된다(S400, S50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트리밍 조정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3의 단계 S300의 순서도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스트리밍 조정부(130)는 단말기 처리능력 분류부(131a), 단말기 소화능력 분류부(132a), 네트워크 전송능력 분류부(133a), 단말기 사양 수집부(131b), 위치 상황 수집부(132b), 네트워크 상태 수집부(133b), 단말기 처리능력 결정부(134), 단말기 소화능력 결정부(135), 스트리밍 전송능력 결정부(136) 및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처리능력 분류부(131a)는 노년층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단말기의 기종과 OS 버전(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폰, 아이폰 등) 별로 WebRTC 기반의 스트리밍에 관련된 처리 능력을 분류할 수 있다(S310).
단말기 소화능력 분류부(132a)는 단말기들의 다양한 위치 및 상황 별로 WebRTC 기반의 스트리밍에 관련된 소화 능력을 분류할 수 있다(S320).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의 예로는 단말기가 위치한 국가 및 지역, 장소(실내, 야외 등), 이동상황(예를 들어, 정지상태, 도보 상태, 지하철/버스/자동차 이동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의 위치나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을 고려하여 스트리밍 패킷 전송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나 상황에 따라 적절한 화상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전송능력 분류부(133a)는 단말기들 간의 다양한 네트워크 상태 별로 WebRTC 기반의 스트리밍에 관련된 전송 능력을 분류할 수 있다(S330). 네트워크 상태는 네트워크 유형(LTE, 와이파이 등), LTE/와이파이 등의 신호강도나 속도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들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여 스트리밍 패킷 전송을 제어함으로써 적절한 화상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트리밍 조정부(130)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과 위치 및 상황, 네트워크 상태를 기반으로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S340). 스트리밍 조정부(130)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가 동남아 국가에 위치하거나, 이동 중인 상황이거나, 네트워크 상태(속도, 신호강도)가 열악한 등의 경우에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 속도를 낮출 수 있다. 스트리밍 조정부(130)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과 위치 및 상황, 네트워크 상태를 기반으로, 예를 들어 스트리밍 패킷의 프레임 전송 시간 간격에 의해 전송율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전송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스트리밍 조정부(130)는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 시간 간격을 조절하는 대신, 패킷 데이터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스트리밍 전송 속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조정부(130)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과 위치 및 상황,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영상의 화질 및 음성 품질이 조절되도록 하거나, 단말기에서 생성된 영상/음성의 화질 및 품질을 변환함으로써 스트리밍 전송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단계 S340의 순서도이다. 도 1,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 사양 수집부(131b)는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 및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을 수집하고, 위치 상황 수집부(132b)는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을 수집할 수 있다(S341).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은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 기종, OS 버전, CPU 성능, 메모리 성능)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은 예를 들어, 단말기의 주소 정보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단말기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에 수집된 정보 등을 기반으로 수집될 수 있다.
네트워크 상태 수집부(133b)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수집할 수 있다(S342).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에 의해 측정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예를 들어, 와이파이 신호세기 등)를 기반으로 수집될 수 있다.
단말기 처리능력 결정부(134)는 단말기 처리능력 분류부(131a)의 사양별 스트리밍 처리 능력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을 결정할 수 있다(S343).
단말기 소화능력 결정부(135)는 단말기 소화능력 분류부(132a)의 위치 및 상황별 스트리밍 소화 능력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을 결정할 수 있다(S344).
스트리밍 전송능력 결정부(136)는 네트워크 전송능력 분류부(133a)의 네트워크 상태별 스트리밍 전송 능력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결정할 수 있다(S345).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137)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 그리고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 간의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S346).
도 8은 도 7의 단계 S346의 순서도이다. 도 1,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137)는 제1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137a), 제1 데이터 조정부(137b), 제2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137c) 및 제2 데이터 조정부(137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137a)는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 그리고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1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S346a). 제1 데이터 조정부(137b)는 제1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137a)에 의해 조정된 제1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제1 스트리밍 패킷의 데이터량을 조정할 수 있다(S346b).
제2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137c)는 사용자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 사용자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 그리고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기반으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2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S346c). 제2 데이터 조정부(137d)는 제2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137c)에 의해 조정된 제2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제2 스트리밍 패킷의 데이터량을 조정할 수 있다(S346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초과하게 되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에서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에 부합하는 데이터 만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처리에 따른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량을 줄여 데이터 통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대화 시스템 및 화상대화 방법에 의하면, P2P 방식의 웹 실시간 통신(WebRTC; Web Real-Time Communication)의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노년층을 위해 단말기 화면에 큼직한 UI를 적용하고, 단말기에 추가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음성 지원 등의 기술을 적용하더라도, 스트리밍 패킷의 실시간 최적화(Realtime Optimizing)를 통해 영상이나 음성이 끊기지 않는 화상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에 의해 대화 상대를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대화상대 추천부(110)는 상대방 사용자 결정부(112)와, 대화상대 결정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방 사용자 결정부(112)는 다양한 노년층의 사용자들의 고객정보(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등) 및 화상대화 이력, 화상대화 패턴 및 친구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마이닝, 머신러닝, k-최근접 이웃(k-NN; k-Nearest Neighboring) 알고리즘, 교차 검증(Cross Validation) 알고리즘 및 결정 트리(Decision Tree)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자들을 분석하여 사용자 별로 하나 이상의 상대방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다(S110).
대화상대 결정부(114)는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과 상대방 사용자가 사용하는 후보 단말기의 사양 간의 유사도, 후보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 사용자 단말기와 후보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상대방 사용자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대화 상대방을 결정할 수 있다(S1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고객정보, 화상대화 이력, 화상대화 패턴, 친구 등록 정보와 유사도가 높은 대화 후보 상대방을 추천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와 대화 후보 상대방의 단말기의 사양이나 네트워크 상태 또한 함께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화상 대화 상대방을 추천하므로, 사용자가 화상 대화를 하기에 가장 적합한 친구를 추천하여 사용자의 화상 대화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령층의 사용자들 중 고사양 폰을 이용하여 네트워크가 양호한 상태에서 화상 대화를 하는 사용자의 경우, 다수의 대화 후보 상대방 중에서도 단말기 사양이 높고 네트워크 상태가 양호한 대화 상대를 추천하며, 반대로 사용자들 중 저사양 폰을 이용하거나 네트워크가 불량한 상태에서 화상 대화를 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저사양 폰을 이용하거나 네트워크 상태가 불량한 대화 상대를 추천하여, 주어진 환경 하에서 사용자들이 상호 간에 만족할 수 있는 화상 대화 상대를 매칭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화상 대화 만족도를 전반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에 의해 대화상대 후보를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대화성향 추정부(140)는 사용자와 대화 상대방 간의 화상대화 시간 및 긍정/부정 피드백 반응을 통해 사용자의 대화 성향을 추정할 수 있다(S130).
긍정/부정 피드백 반응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상 대화 중 또는 화상 대화 종료 후에 화상 대화 화면에 제공되는 화상 대화 만족도 입력 항목에 점수, 별점을 선택하거나, 하트 오브젝트(아이콘)를 클릭하여 긍정 피드백을 입력하거나, 불만족 아이콘 등의 항목을 클릭하여 부정 피드백을 입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집될 수 있다.
대화상대 추천부(110)는 대화성향 추정부(140)에 의해 추정한 사용자의 대화 성향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대화상대 후보를 추천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사용자와 대화 상대방 간의 화상대화 시간이 길수록 서로 대화가 잘 통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와 대화 상대방 간의 화상대화 시간이 짧으면 서로 대화가 잘 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대화 상대방의 정보, 성향 등은 추후 사용자의 화상 대화 친구 추천 시에 부정적 요인으로 반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 대화 시간이나 긍정/부정 피드백 반응을 통해 대화 상대방의 정보나 화상 대화 이력, 패턴, 친구 정보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대화 상대와 선호하지 않는 대화 상대를 파악하여, 추후 화상 대화 상대방 추천에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150)는 노년층의 사용자들의 가입정보(회원정보), 고객정보, 화상 대화 이력, 패턴, 친구 정보, 결제 정보, 광고 정보, 취향 친구 정보, 화상 대화 UI 정보, 단말기의 기종, OS 버전, 위치/상황, 네트워크 상태 별 스트리밍 처리 능력과 소화 능력 및 전송 능력의 분류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UI 관리부(160)는 화상 대화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방 단말기에 제공되는 UI(User Interface)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UI 관리부(160)는 노년층을 위해 단말기 화면에 큰 크기의 UI 항목들을 디폴트로 설정하고, 최소화된 터치 동작에 의해 화상 대화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UI 항목들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UI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에 의해 사용자에게 일자리를 추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직업 추천부(170)는 노년층과 관련된 다수의 직업군을 선별하고(S610), 노년층의 사용자의 고객정보 및 화상대화 이력, 화상대화 패턴 및 친구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각 직업군과 관련된 직업 상세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고(S620), 사용자 정보와 직업 상세 정보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직업군 별 지표를 산출하여 일자리 적합도를 산정할 수 있다(S630).
직업 상세 정보는 예를 들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등에 정의된 직업군 별 상세 설명 정보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사용자정보(성별, 나이, 지역, 과거 직업, 취미 등)와 직업 상세 정보 간의 유사도는 예를 들어 단어 벡터 유사도 산출 등의 방법으로 산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노인 일자리에 해당하는 직군을 선별하고 해당 직군 별로 사용자의 지표를 산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일자리 적합도를 산출하며, 이를 근간으로 노년층에 소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노년층에게 새로운 삶의 활력을 불어넣어 노년층과 관련된 각종 가족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대화 시스템 및 화상 대화 방법은 국내 서비스를 넘어 글로벌 서비스로 발전할 경우, 단순한 말벗 서비스를 넘어 실시간 시니어 통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언어 능력이 있는 노년층에게 새로운 수입과 경제활동의 기틀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마땅한 소일거리나 이야기할 상대가 없어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고 있는 노년층에게 새롭고 신선한 대면 서비스의 기회를 제공하여 각종 노년 건강 이슈에 대응할 수 있고, 관련 분야 전문가의 검증/감수를 거쳐 적절한 시각, 언어 및 행동 자극을 부여함으로 치매 등 노년층 주요 질환의 예방에도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취향친구 추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취향친구 추천부(18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취향(예를 들어, 장기, 섹소폰, 바느질 등)에 부합하는 친구를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취향친구 찾기 기능을 통해 쉽고 편리하게 비슷한 취향의 친구를 찾아 등록할 수 있다.
재능 나눔 관리부(190)는 사용자에게 재능 나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재능 나눔 관리부(190)를 통해 비슷한 또래끼리, 또는 테마가 통하는 사람끼리 서로의 노하우를 공유하고 노하우를 공유한 친구에게 포인트를 선물하는 등의 방법으로, 실버 멘토와 실버 멘티 간에 노하우를 교류할 수 있게 된다.
결제 관리부(200)는 화상대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결제 관리부(200)는 다양한 결제 방식으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결제 관리부(200)는 카드 결제, 핸드폰 결제와 같은 기본결제 방식은 물론, 노년층의 사용자가 쉽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화 결제, 자녀에게 결제하기 등의 결제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광고 관리부(21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광고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광고 관리부(210)는 광고를 시청한 사용자에게 무료 화상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 관리부(210)는 화상 대화 마다 광고를 제공하여 광고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에게는 광고 시청 없이 화상 대화를 할 수 있도록 정액 결제를 유도하여 화상 대화 서비스의 수익성을 창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 대화 시스템 및 화상 대화 방법에 의하면, 외로움으로 인해 우울증과 치매가 늘어가는 노년층을 위하여, 건강이 좋지 않거나 경제적으로 어려워도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만 있으면 언제든 친구를 만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말벗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노년층이 사용하는 단말기 사양(예를 들어, 저사양 폰)과 관계 없이 끊김 없는 화상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 대화 시스템 및 화상 대화 방법은 각종 노년층 질환, 고독사, 가족붕괴 등의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즉, 전세계 노년층이 화상통화 기술을 활용하여 말벗을 사귐으로써, 현재 글로벌 이슈인 노년층의 외로움 문제를 해결하고, 노년층에게 새로운 삶의 활력을 주고, 치매, 우울증 등 노년 건강에 이바지 하는 말벗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 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 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 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화상대화 시스템
110: 대화상대 추천부
112: 상대방 사용자 결정부
114: 대화상대 결정부
120: 화상대화 지원부
130: 스트리밍 조정부
131a: 단말기 처리능력 분류부
132a: 단말기 소화능력 분류부
133a: 네트워크 전송능력 분류부
131b: 단말기 사양 수집부
132b: 위치 상황 수집부
133b: 네트워크 상태 수집부
134: 단말기 처리능력 결정부
135: 단말기 소화능력 결정부
136: 스트리밍 전송능력 결정부
137: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
137a: 제1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
137b: 제1 데이터 조정부
137c: 제2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
137d: 제2 데이터 조정부
140: 대화성향 추정부
150: 데이터베이스
160: UI 관리부
170: 직업 추천부
180: 취향친구 추천부
190: 재능 나눔 관리부
200: 결제 관리부
210: 광고 관리부

Claims (18)

  1. 노년층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대화 상대방을 추천하는 대화상대 추천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대화 상대방이 사용하는 상대방 단말기 간에 P2P 방식의 웹 실시간 통신(WebRTC; Web Real-Time Communication) 기반으로 영상과 음성을 실시간 전송하여 화상대화를 지원하는 화상대화 지원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에 상기 영상 및 상기 음성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패킷이 연속적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스트리밍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조정부는,
    노년층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단말기의 기종 및 OS 버전 별로 상기 WebRTC 기반의 스트리밍에 관련된 처리 능력을 분류하는 단말기 처리능력 분류부;
    단말기들의 다양한 위치 및 상황 별로 상기 WebRTC 기반의 스트리밍에 관련된 소화 능력을 분류하는 단말기 소화능력 분류부; 및
    상기 단말기들 간의 다양한 네트워크 상태 별로 상기 WebRTC 기반의 스트리밍에 관련된 전송 능력을 분류하는 네트워크 전송능력 분류부를 포함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조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을 수집하는 단말기 사양 수집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을 수집하는 위치 상황 수집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수집하는 네트워크 상태 수집부;
    상기 단말기 처리능력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을 결정하는 단말기 처리능력 결정부;
    상기 단말기 소화능력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을 결정하는 단말기 소화능력 결정부;
    상기 네트워크 전송능력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결정하는 스트리밍 전송능력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는,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1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제1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2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제2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를 포함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조정부는,
    상기 제1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에 의해 조정된 상기 제1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1 스트리밍 패킷의 데이터량을 조정하는 제1 데이터 조정부; 및
    상기 제2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에 의해 조정된 상기 제2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에 따라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2 스트리밍 패킷의 데이터량을 조정하는 제2 데이터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상대 추천부는,
    다양한 노년층의 사용자들의 고객정보 및 화상대화 이력, 화상대화 패턴 및 친구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마이닝, 머신러닝, k-최근접 이웃(k-NN; k-Nearest Neighboring) 알고리즘, 교차 검증(Cross Validation) 알고리즘 및 결정 트리(Decision Tree)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사용자들을 분석하여 사용자 별로 하나 이상의 상대방 사용자를 결정하는 상대방 사용자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과 상기 상대방 사용자가 사용하는 후보 단말기의 사양 간의 유사도, 상기 후보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후보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상대방 사용자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상기 대화 상대방을 결정하는 대화상대 결정부를 포함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노년층과 관련된 다수의 직업군을 선별하고, 노년층의 사용자의 고객정보 및 화상대화 이력, 화상대화 패턴 및 친구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각 직업군과 관련된 직업 상세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직업 상세 정보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직업군 별 지표를 산출하여 일자리 적합도를 산정하는 직업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상기 대화 상대방 간의 화상대화 시간 및 긍정/부정 피드백 반응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대화 성향을 추정하는 대화성향 추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화상대 추천부는 상기 사용자의 대화 성향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대화상대 후보를 추천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10. 대화상대 추천부에 의해, 노년층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대화 상대방을 추천하는 단계;
    화상대화 지원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대화 상대방이 사용하는 상대방 단말기 간에 P2P 방식의 웹 실시간 통신(WebRTC; Web Real-Time Communication) 기반으로 영상과 음성을 실시간 전송하여 화상대화를 지원하는 단계; 및
    스트리밍 조정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에 상기 영상 및 상기 음성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패킷이 연속적으로 전송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단말기 처리능력 분류부에 의해, 노년층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단말기의 기종 및 OS 버전 별로 상기 WebRTC 기반의 스트리밍에 관련된 처리 능력을 분류하는 단계;
    단말기 소화능력 분류부에 의해, 단말기들의 다양한 위치 및 상황 별로 상기 WebRTC 기반의 스트리밍에 관련된 소화 능력을 분류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전송능력 분류부에 의해, 상기 단말기들 간의 다양한 네트워크 상태 별로 상기 WebRTC 기반의 스트리밍에 관련된 전송 능력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단말기 사양 수집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을 수집하는 단계;
    위치 상황 수집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을 수집하는 단계;
    네트워크 상태 수집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수집하는 단계;
    단말기 처리능력 결정부에 의해, 상기 단말기 처리능력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을 결정하는 단계;
    단말기 소화능력 결정부에 의해, 상기 단말기 소화능력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을 결정하는 단계;
    스트리밍 전송능력 결정부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전송능력 분류부의 분류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에 의해,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1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단계;
    제1 데이터 조정부에 의해, 상기 제1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에 의해 조정된 상기 제1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1 스트리밍 패킷의 데이터량을 조정하는 단계;
    제2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스트리밍 처리 능력,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스트리밍 소화 능력,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전송 능력을 기반으로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제2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는 단계; 및
    제2 데이터 조정부에 의해, 상기 제2 스트리밍 속도 조정부에 의해 조정된 상기 제2 스트리밍 패킷의 전송속도에 따라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상기 제2 스트리밍 패킷의 데이터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상대방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대방 사용자 결정부에 의해, 다양한 노년층의 사용자들의 고객정보 및 화상대화 이력, 화상대화 패턴 및 친구 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마이닝, 머신러닝, k-최근접 이웃(k-NN; k-Nearest Neighboring) 알고리즘, 교차 검증(Cross Validation) 알고리즘 및 결정 트리(Decision Tree)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사용자들을 분석하여 사용자 별로 하나 이상의 상대방 사용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대화상대 결정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양과 상기 상대방 사용자가 사용하는 후보 단말기의 사양 간의 유사도, 상기 후보 단말기의 위치 및 상황,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후보 단말기 간의 네트워크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상대방 사용자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상기 대화 상대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직업 추천부에 의해, 노년층과 관련된 다수의 직업군을 선별하고, 노년층의 사용자의 고객정보 및 화상대화 이력, 화상대화 패턴 및 친구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각 직업군과 관련된 직업 상세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직업 상세 정보 간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직업군 별 지표를 산출하여 일자리 적합도를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대화성향 추정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대화 상대방 간의 화상대화 시간 및 긍정/부정 피드백 반응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대화 성향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화 상대방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대화 성향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대화상대 후보를 추천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방법.
  18. 제10항,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 대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135196A 2019-10-29 2019-10-29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및 화상대화 방법 KR102260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96A KR102260535B1 (ko) 2019-10-29 2019-10-29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및 화상대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96A KR102260535B1 (ko) 2019-10-29 2019-10-29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및 화상대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768A KR20210050768A (ko) 2021-05-10
KR102260535B1 true KR102260535B1 (ko) 2021-06-04

Family

ID=7591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96A KR102260535B1 (ko) 2019-10-29 2019-10-29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및 화상대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5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001B1 (ko) * 2021-12-03 2024-02-27 한예은 메타버스 기반 화상 채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609B1 (ko) * 2011-10-25 2014-03-03 주식회사 이노스파크 사회적 관계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183B1 (ko) * 2012-03-27 2015-05-22 주식회사 케이티 컨텐츠 공유서비스 이용에 따른 화상통화 해상도 변경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26980A (ko) * 2012-08-24 2014-03-06 최영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기반 이상형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US9668166B2 (en) * 2013-02-05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Quality of service for web client based sessions
KR20170043264A (ko) * 2015-10-13 2017-04-21 박정호 밀착형 복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609B1 (ko) * 2011-10-25 2014-03-03 주식회사 이노스파크 사회적 관계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768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017308A (ja) 動的コード管理
CN108369665B (zh) (移动)应用程序使用流失的预测
US9838743B2 (en) Techniques for context aware video recommendation
CN110162717B (zh) 一种推荐好友的方法和设备
US202302319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A Preference
US10991004B2 (en) Utilizing population density to facilitate providing offers
JP6639528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システムリソースに対するコール・トゥ・アクションを作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8516473A (ja) リソースの優先順位付けおよび通信チャネルの確立
US20220103788A1 (en) Dynamically modifying live video streams for participant devices in digital video rooms
US10719890B1 (en) Machine 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clustering
EP3189487A1 (en) Method of targeting web-based advertisements
CN107533714B (zh) 用于针对具有低能力的各方在便携无线装置上实现有效数字营销的系统和方法
CN113383336A (zh) 第三方应用管理
CN111247782B (zh) 用于自动创建即时ad-hoc日历事件的方法和系统
JP2018120461A (ja) 抽出装置、抽出方法及び抽出プログラム
US11244332B2 (en) Segments of contacts
JP7202386B2 (ja) マルチプロフィール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80247331A1 (en) Wait time avoidance
KR102260535B1 (ko)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화상대화 시스템 및 화상대화 방법
KR20210060375A (ko) 유망 콘텐츠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US20150355927A1 (en) Automatic virtual machine resizing to optimize resource availability
US20230325944A1 (en) Adaptive wellness collaborative media system
US10924568B1 (en) Machine learning system for networking
JP6659700B2 (ja) コール・トゥ・アクションを作成し、選択し、提示し、実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427085B1 (ko)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