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164B1 - 태극기 작도용 자 - Google Patents

태극기 작도용 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164B1
KR102260164B1 KR1020190132575A KR20190132575A KR102260164B1 KR 102260164 B1 KR102260164 B1 KR 102260164B1 KR 1020190132575 A KR1020190132575 A KR 1020190132575A KR 20190132575 A KR20190132575 A KR 20190132575A KR 102260164 B1 KR102260164 B1 KR 102260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egeukgi
hole
taegeuk
diameter
cir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370A (ko
Inventor
송유택
Original Assignee
송유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택 filed Critical 송유택
Priority to KR1020190132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1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대한민국국기법에 제시된 비율에 따라 태극기를 용이하게 그릴 수 있는 태극기 작도용 자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태극기 작도용 자 {Auxiliary Ruler for Drawing Taegeukgi}
본 발명은 태극기 작도용 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한민국국기법에 제시된 비율에 따라 태극기를 용이하게 그릴 수 있는 태극기 작도용 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태극기를 대한민국국기법에 따른 공식적인 비율에 맞게 그릴 수 있는 보조 도구가 없어 교육 기관에서 깊이 있는 태극기 관련 교육을 진행하기 힘들었고, 태극기 작도가 어렵다는 인식으로 인해 많은 사람으로 하여금 태극기를 직접 그리며 탐구하는 기회가 적어졌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대한민국국기법 시행령 제6조 [시행 2017. 7. 26.] [대통령령 제28211호, 2017. 7. 26., 타법개정]
본 발명은 펜과 압정만을 이용하여 대한민국국기법에 제시된 비율에 따라 태극기를 용이하게 그릴 수 있는 태극기 작도용 자를 제안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태극기 작도용 자로서, 태극원지름을 1로 했을 때 세로폭은 태극원지름의 1/2이며, 가로폭은 태극기 가로의 길이보다 길되, 우측일측에는 태극기 가로의 길이에 해당되는 눈금A가 표시되며, 중앙 우측에는 태극기 세로의 길이에 해당하는 눈금B가 표시되며, 우측에서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5개의 구멍(10, 20, 30, 40, 50)이 천공되며, 상기 구멍(10, 20, 30)은 태극기 작도용 자의 세로폭을 4등분 하였을 때 하단에서 1등분에 해당하는 선에서 좌우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최우측의 구멍(10)에서 좌측으로 인접한 구멍(20)까지의 거리는 태극원지름 대비 1/4이며, 구멍(20)에서 좌측으로 인접한 구멍(30)까지의 거리 역시 태극원지름 대비 1/4이며, 상기 구멍(40, 50)은 태극기 작도용 자의 세로폭을 4등분 하였을 때 하단에서 3등분에 해당하는 선에서 좌우측방향으로 형성되되, 구멍(40)은 구멍(10)을 기준으로 가로길이는 태극원지름 대비 3/4이며, 세로길이는 태극원지름 대비 1/4이고, 구멍(50)은 구멍(10)을 기준으로 태극원지름 대비 가로길이는 13/12이고, 세로길이는 태극원지름 대비 1/4이며, 상기 태극기 작도용 자의 좌측에는 태극기괘를 그릴 수 있는 괘표시선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극기 작도용 자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태극기 작도용 자는 대한민국국기법에 제시된 비율에 따라 태극기를 용이하게 그릴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도1은 대한민국국기법에 따른 태극기의 비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태극기 작도용 자의 평면도이며,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태극기 작도용 자를 이용하여 태극기를 도시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극기 작도용 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대한민국국기법에 따른 태극기의 비율을 도시한 도면으로, 기본적으로 태극원지름을 1로 하였을 때 태극기 가로와 태극기 세로의 비율은 3:2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태극기 작도용 자의 평면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상기 태극기 작도용 자의 세로폭은 태극원지름의 1/2이다. 그리고, 가로폭은 태극기 가로의 길이보다 길며, 자의 좌측 단부에서 우측일측에 표기된 눈금 A까지의 거리가 태극기 가로의 길이이며, 자의 좌측 단부에서 중앙 우측에 표기된 눈금 B까지의 거리가 태극기 세로의 길이이다.
그리고, 상기 태극기 작도용 자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5개의 구멍이 천공된다.
이 때, 최 우측의 구멍(10)에서 좌측으로 인접한 구멍(20)까지의 거리는 태극원지름 대비 1/4이며, 구멍(20)에서 좌측으로 인접한 구멍(30)까지의 거리 역시 태극원지름 대비 1/4이다. 따라서, 구멍(10)에서 구멍(30)까지의 거리는 태극원지름 대비 1/2이다.
상기 구멍(10, 20, 30)은 태극기 작도용 자의 세로폭을 4등분 하였을 때 하단에서 1등분에 해당하는 선에서 좌우측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구멍(40, 50)은 태극기 작도용 자의 세로폭을 4등분 하였을 때 하단에서 3등분에 해당하는 선에서 좌우측방향으로 형성되는 데, 구멍(40)은 구멍(10)을 기준으로 가로길이는 태극원지름 대비 3/4이며, 세로길이는 태극원지름 대비 1/4이고, 구멍(50)은 구멍(10)을 기준으로 태극원지름 대비 가로길이는 13/12이고, 세로길이는 태극원지름 대비 1/4이다.
즉, 구멍(30)과 구멍(40)의 가로길이는 1/4이고 세로길이는 1/4이며, 구멍(40)과 구멍(50)의 가로길이는 1/3이 된다.
그리고, 상기 태극기 작도용 자의 좌측에는 태극기괘를 그릴 수 있는 괘표시선(60)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괘표시선은 대한민국국기법에 따른 태극기괘의 정의와 비율에 따라 표시된다.
이하에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태극기 작도용 자에 따라 대한민국국기법에 따른 태극기를 도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A와 눈금B를 이용하여 태극기 가로선과 태극기 세로선을 그려 태극기의 직사각형을 도시한 다음, 두개의 대각선을 그려 태극기 직사각형의 중심(R)을 잡는다.
이 후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0)을 R에 압정으로 고정한 다음 구멍(20)에 펜을 넣은 다음 태극기 작도용 자를 구멍(10)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원(C1)을 그리고, 구멍(10)을 R에 압정으로 고정한 다음 구멍(30)에 펜을 넣은 다음 태극기 작도용 자를 구멍(10)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원(C2)을 그린다.
이와 같이 그려진 C1 및 C2를 이용하여 태극문양을 그릴 수 있다.
즉,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대각선(건과 곤을 연결하는 대각선)과 C1이 만나는 2개의 지점에 구멍(10)을 맞춘 다음 구멍(10)에 압정을 꽃고 구멍(20)에 펜을 넣은 다음 태극기 작도용 자를 구멍(10)을 기준으로 회전시킨 다음 대각선 기준으로 좌측에서는 상측반원과 우측에서는 하측반원을 지우면 태극문양이 그려진다.
한편, 태극괘의 경우 구멍(10)을 중심(태극기의 두 대각선의 교점)으로 구멍(40, 50)을 이용해 원을 그리고 태극기 대각선과 자의 중앙선을 일치시킨 다음 자의 테두리와 원의 교점을 이어 괘를 직사각형으로 나타낸다. 또한, 자에 인쇄된 괘표시선을 통해 건, 곤, 감, 리의 괘를 그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태극기 작도용 자의 우측에는 인터넷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의 사용방법을 시청할 수 있는 QR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A: 태극기 가로의 길이를 표시하는 눈금
B: 태극기 세로의 길이를 표시하는 눈금
10~50: 구멍
60: 괘표시선

Claims (3)

  1. 태극기 작도용 자로서, 태극원지름을 1로 했을 때
    세로폭은 태극원지름의 1/2이며,
    가로폭은 태극기 가로의 길이보다 길되, 우측일측에는 태극기 가로의 길이에 해당되는 눈금A가 표시되며, 중앙 우측에는 태극기 세로의 길이에 해당하는 눈금B가 표시되며,
    우측에서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5개의 구멍(10, 20, 30, 40, 50)이 천공되며,
    상기 구멍(10, 20, 30)은 태극기 작도용 자의 세로폭을 4등분 하였을 때 하단에서 1등분에 해당하는 선에서 좌우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최우측의 구멍(10)에서 좌측으로 인접한 구멍(20)까지의 거리는 태극원지름 대비 1/4이며, 구멍(20)에서 좌측으로 인접한 구멍(30)까지의 거리 역시 태극원지름 대비 1/4이며,
    상기 구멍(40, 50)은 태극기 작도용 자의 세로폭을 4등분 하였을 때 하단에서 3등분에 해당하는 선에서 좌우측방향으로 형성되되, 구멍(40)은 구멍(10)을 기준으로 가로길이는 태극원지름 대비 3/4이며, 세로길이는 태극원지름 대비 1/4이고, 구멍(50)은 구멍(10)을 기준으로 태극원지름 대비 가로길이는 13/12이고, 세로길이는 태극원지름 대비 1/4이며,
    상기 태극기 작도용 자의 좌측에는 태극기괘를 그릴 수 있는 괘표시선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극기 작도용 자.
  2. 삭제
  3. 삭제
KR1020190132575A 2019-10-23 2019-10-23 태극기 작도용 자 KR102260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575A KR102260164B1 (ko) 2019-10-23 2019-10-23 태극기 작도용 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575A KR102260164B1 (ko) 2019-10-23 2019-10-23 태극기 작도용 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370A KR20210048370A (ko) 2021-05-03
KR102260164B1 true KR102260164B1 (ko) 2021-06-03

Family

ID=7591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575A KR102260164B1 (ko) 2019-10-23 2019-10-23 태극기 작도용 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1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056Y1 (ko) * 2007-05-22 2008-10-08 김정모 다용도 제도기
JP2013199085A (ja) * 2012-03-26 2013-10-03 Mayumi Shiraishi 画像読み取り指標付き下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2329Y1 (ko) * 1981-07-11 1982-11-03 이성조 국기제도 및 태극무늬 해석용 분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056Y1 (ko) * 2007-05-22 2008-10-08 김정모 다용도 제도기
JP2013199085A (ja) * 2012-03-26 2013-10-03 Mayumi Shiraishi 画像読み取り指標付き下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370A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66673A1 (en) Abacus
ATE549684T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interaktiven verbindung von daten mit formen in einem diagramm
US20160034056A1 (en) Multi-purpose digital coloring tools
US20210283944A1 (en) Combinational template and scale ruler for drawing parallel 3-dimensions
US20200098279A1 (en) Interactive arabic alphabet blocks
KR102260164B1 (ko) 태극기 작도용 자
US20080078094A1 (en) Graphing template
KR101598428B1 (ko) 수학교습도구
US7055259B2 (en) Template set for drawing three-dimensional shapes
CN205498432U (zh) 一种教学用具
US11127310B1 (en) Penmanship device to assist students with dyslexia
US1022384A (en) Device for producing writing characters.
CN207075695U (zh) 一种可组装成教学三角板的圆规盒
JP3174094U (ja) マンダラ配置法による文字練習帳
WO2007008517A3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characters therein
JPH08178601A (ja) 等間隔表示器
CN202795774U (zh) 拼填及书写两用板
CN2893821Y (zh) 座标式九九乘法学习装置
JP3153512U (ja) 元素記号トランプ
MARCHESINI et al. Numbers and letters as tools of production processes in Iron Age: the case of the weight looms in ancient Lessinia (Northern Italy)
TWM546316U (zh) 手工藝品之教學輔助組件
US20150337469A1 (en) Transparent Block Template for Quilting and Embroidery
US11351807B2 (en) Method of stenciling with a magnetic stenciling apparatus
KR20160063801A (ko) 구구단 학습 장치
CN201508452U (zh) 三视图投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